KR100352999B1 -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52999B1
KR100352999B1 KR1020000028974A KR20000028974A KR100352999B1 KR 100352999 B1 KR100352999 B1 KR 100352999B1 KR 1020000028974 A KR1020000028974 A KR 1020000028974A KR 20000028974 A KR20000028974 A KR 20000028974A KR 100352999 B1 KR100352999 B1 KR 100352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are tire
vehicle body
carrier device
support member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89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9362A (ko
Inventor
김종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289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2999B1/ko
Publication of KR20010109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93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2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2999B1/ko

Links

Landscapes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이어의 손상시를 대비하여 차체의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는 캐리어 장치의 구성을 변경시켜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시 소요되는 힘의 경감과 함께 조작에도 용이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일측 선단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되면서 이의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시킴과 더불어 부재의 전장이 신축가능한 지지부재(10)와, 이 지지부재(10)를 걸림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42)를 가지는 걸림부재(40) 및, 이 걸림부재(40)를 차체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재(10)를 지면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carrier device for spare tire of automotive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타이어의 교환을 위해 사용되는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시 소요되는 힘을 경감시킴과 더불어 조작에도 용이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행중 예기치 못한 사고의 유발로 인해 타이어가 펑크나 손상을 입게 되어 더 이상의 주행을 지속할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하여 손상된 타이어와 교체될 수 있는 여분의 스페어 타이어를 구비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스페어 타이어는 승용자동차의 경우에 트렁크 룸의 내부에 보관하는 것이 통상적이고, 승합이나 상용자동차의 경우에는 차체의 하부에 별도의 캐리어 장치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보관하여 필요시 각각 꺼내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승합이나 상용자동차에서 채택하고 있는 스페어 타이어용 캐리어 장치를 도시하고 있는 바, 이의 구성은 차체(도시안됨)의 하부에서 일측 선단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될 수 있음과 더불어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차체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10)측으로 결합 내지 이탈이 가능한 제1걸림부재(20) 및, 이 제1걸림부재(20)와 함께 상기 지지부재(10)측으로 결합 및 이탈이 가능한 제2걸림부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0)는 환봉형상으로 차체의 하부에 일측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되도록 관통구(11)를 갖춤과 더불어 전체적인 외형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제1바아(12)와, 이 제1바아(12)에 결합되어 상기 스페어 타이어(S)를 상측에 안정되게 안착시킬 수 있도록 절곡된 제2바아(14)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걸림부재(20)는 차체측에 고정되는 제1브라켓트(22)와, 이 제1브라켓트(22)에 피벗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1후크(24)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걸림부재(30)는 차체측에 고정되는 중공형의 장착슬리이브(32)와, 이 장착슬리이브(32)내에 수용되는 나사봉(34) 및, 이 나사봉(34)의 선단에 체결되는 제2후크(36)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재(10)를 구성하는 제1바아(12)와 제2바아(14)의 상측에 스페어 타이어(S)가 안착되어 지지되고, 상기 지지부재(10)는 차체측에 고정설치되는 제1걸림부재(20)와 제2걸림부재(30)에 의해 회동이 저지되게 된다.
즉, 상기 지지부재(10)의 제1바아(12)에 상기 제1걸림부재(20)의 제1후크(24)와 상기 제2걸림부재(30)의 제2후크(36)가 각각 걸림으로써, 상기 지지부재(10)상에 스페어 타이어(S)가 견고하게 안착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지지부재(10)상에 안착된 스페어 타이어(S)를 꺼낼 경우에는, 상기 제1바아(12)로부터 상기 제1후크(24)를 제1브라켓트(22)로부터 회동시켜 탈거함과 더불어, 상기 장착슬리이브(32)내에 수용된 나사봉(34)을 회전시켜 제2후크(36)를 탈거시키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10)의 제1바아(12)의 회동이 자유롭게 되므로, 상기 제1바아(12)를 하강되게 회동시킨 다음 이에 안착된 스페어 타이어(S)를 외부로 꺼내면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에서는, 상기 지지부재(10)로부터 제1걸림부재(20)와 제2걸림부재(30)를 각각 탈거시킬 때에는 상기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하고 있는 제1바아(12)를 약간 든 상태에서 제1후크(24)와 제2후크(36)를 각각 이격시켜야 하므로, 여성이나 노약자가 상기 스페어 타이어(S)를 탈거시킴에 있어 힘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재(10)로부터 제1걸림부재(20)와 제2걸림부재(30)를 탈거시킨 다음에도, 상기 제1바아(12)상에 안착된 스페어 타이어(S)는 여전히 차체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스페어 타이어(S)를 꺼내고자 할 때에는 부득이 작업자가 차체의 하부로 몸을 움직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타이어의 손상시를 대비하여 차체의 하부에 스페어 타이어를 보관하는 캐리어 장치의 구성을 변경시켜 스페어 타이어의 탈거시 소요되는 힘의 경감과 함께 조작에도 용이함을 줄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에 일측 선단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되면서 이의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를 안착시킴과 더불어 부재의 전장이 신축가능한 지지부재와, 이 지지부재를 걸림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를 가지는 걸림부재 및, 이 걸림부재를 차체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재를 지면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용 캐리어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지지부재 12-제1바아
14-제2바아 16-제3바아
20-제1걸림부재 30-제2걸림부재
40-걸림부재 42-후크
44-몸체 50-조작부재
52-나사봉 54-제1베벨기어
56-제2베벨기어 58-회전축
59-와이어 60-안전레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도시안됨)의 하부에서 일측 선단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될 수 있음과 더불어 소정의 형상으로 절곡되어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시킬 수 있도록 된 지지부재(10)와, 상기 차체측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부재(10)측으로 결합 내지 이탈이 가능한 걸림부재(40) 및, 이 걸림부재(40)를 차체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중실의 환봉형상으로 차체의 하부에 일측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되도록 관통구(11)를 갖춤과 더불어 전체적인 외형이 대략 "ㄴ"자 형상으로 절곡 형성된 한 쌍의 제1바아(12)와, 이 한 쌍의 제1바아(12)의 각 선단에서 각각 슬라이딩방식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중공형의 제2바아(14) 및, 이 제2바아(14)의 소정부위에 결합되어 상기 제1바아(12)와 함께 상부에 상기 스페어 타이어(S)를 안정되게 안착시켜 지지할 수 있도록 절곡된 제3바아(16)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걸림부재(40)는 상기 지지부재(10)의 제2바아(14)상에 결합과 해체가 자유로운 후크(42)와, 이 후크(42)의 상측부위를 지지하도록 이에 결합된 몸체(4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조작부재(50)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나사봉(52)과, 이나사봉(52)의 하측 선단에 고정된 제1베벨기어(54)와, 이 제1베벨기어(54)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6) 및, 이 제2베벨기어(56)를 장착하는 회전축(58)과 이에 권취되어 상기 후크(42)를 지지하는 몸체(44)에 연결되는 와이어(59)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조작부재(50)의 나사봉(52)에는 이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 내지 가능하게 하는 안전레버(60)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안전레버(60)는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이의 선단부위가 상기 나사봉(5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52a)에 치합가능하게 된 것으로, 상기 안전레버(60)가 나사봉(52)에 형성된 나사홈(52a)과 치합시에는 상기 나사봉(34)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는 타이어의 교환시, 상기 조작부재(50)를 조작하게 되는 바, 먼저 상기 나사봉(52)의 회전을 위해 먼저 안전레버(60)를 나사홈(52a)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이어 상기 나사봉(52)을 회전시키게 되면, 상기 나사봉(52)에 결합된 제1베벨기어(54)가 회전하게 되면서 이에 치합된 제2베벨기어(56)를 회전시키게 되고, 이 제2베벨기어(56)의 회전에 따라 이를 지지하고 있는 회전축(58)이 회전하면서 이에 권취된 와이어(59)를 풀게 된다.
이후, 상기 와이어(59)의 풀림에 따라, 이에 연결된 상기 걸림부재(40)의 몸체(44)에 결합된 후크(42)가 상기 지지부재(10)의 제2바아(14)를 차체의 하부에서 지면을 향하여 회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10)의 회동이 종료되면, 상기 걸림부재(40)의 후크(42)를 제거하고서, 상기 제2바아(14)를 잡아 당기게 되면, 상기 제2바아(14)가 차체에 피벗지지되어 고정된 상기 제1바아(12)로부터 슬립이음부분이 빠져 나오게 되어 제2바아(14)에 안착된 스페어 타이어(S)의 인출이 용이해 지게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스페어 타이어(S)의 인출을 마치고서 손상된 타이어와의 교환이 종료된 후에는 다시 손상된 타이어를 캐리어 장치에 올려 놓고 차체측의 하부에 보관하면 되는 데, 이때의 작업순서는 상기와 역순으로 행하면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차체의 하부에 보관하고 있던 스페어 타이어를 타이어의 손상시 인출하고자 함에 있어, 중량이 다소 무거운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하는 지지부재(10)를 매번 들어올리는 부담이 없게 되고, 또한 상기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하는 지지부재(10)가 슬립이음부분으로 이루어진 다수의 바아로 형성됨에 따라 스페어 타이어(S)의 인출시 차체의 하부로 작업자가 몸을 굽혀 들어가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차체에 일측 선단이 피벗지지되어 회동되면서 이의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S)를 안착시킴과 더불어 부재의 전장이 신축가능한 지지부재(10)와, 이 지지부재(10)를 걸림방식으로 탈/장착이 가능하게 결합하는 후크(42)를 가지는 걸림부재(40) 및, 이 걸림부재(40)를 차체에 대해 승/하강이 가능하게 하여 상기 지지부재(10)를 지면을 향해 회동가능하게 하는 조작부재(5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0)는 차체측에 피벗지지되어 회동가능한 한 쌍의 제1바아(12)와, 이 제1바아(12)의 각 선단에 슬립이음으로 결합되어 축방향으로의 이동이 자유로운 제2바아(14) 및, 이 제2바아(14)와 함께 상부에 스페어 타이어(S)를 안정되게 안착시키도록 결합된 제3바아(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50)는 차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나사봉(52)과, 이 나사봉(52)에 고정된 제1베벨기어(54)와, 이 제1베벨기어(54)와 치합되는 제2베벨기어(56) 및, 이 제2베벨기어(56)를 장착하는 회전축(58)과 이에 권취되어 상기 걸림부재(40)의 후크(42)와 연결된 와이어(59)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재(50)에는 이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도록 상기 나사봉(52)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홈(52a)으로 치합이 가능한 안전레버(6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KR1020000028974A 2000-05-29 2000-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KR1003529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74A KR100352999B1 (ko) 2000-05-29 2000-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8974A KR100352999B1 (ko) 2000-05-29 2000-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62A KR20010109362A (ko) 2001-12-10
KR100352999B1 true KR100352999B1 (ko) 2002-09-18

Family

ID=45856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8974A KR100352999B1 (ko) 2000-05-29 2000-05-29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29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670B1 (ko) * 2008-12-04 2011-07-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보조 타이어 고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9362A (ko) 200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69845B2 (ja) タイヤ自動着脱装置
US6997503B2 (en) Automobile body cover
JPH046640B2 (ko)
KR100352999B1 (ko) 자동차의 스페어 타이어 캐리어 장치
EP0084981B1 (en) Method for folding and unfolding an extension jib in wheeled type crane, and crane therefor
CN216269584U (zh) 电动汽车备胎升降收纳系统和包含其的汽车
JPH07108867A (ja) 車輌用乗降スロープ板装置
JP4085879B2 (ja) スペアタイヤキャリア
US20220314695A1 (en) Spare Tire Removal Tool
US3305216A (en) Camper jacking apparatus
US2213840A (en) Combined jack and bumper for automobiles
JP5526602B2 (ja) 車載クレーン
JP4553327B2 (ja) タイヤ脱着補助具
KR19980060107U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의 장착구조
US11766768B2 (en) Spare tire tool kit
JP3423470B2 (ja) スペアタイヤ保持機構
JPS62837B2 (ko)
KR0137402Y1 (ko) 잭핸들 보관이 용이한 나사잭
KR0112632Y1 (ko) 자동차 잭(jack)의 승 · 하강용 핸들
JP2009292395A (ja) 自動車のサブカバー構造
KR200176865Y1 (ko) 스페어 타이어용 고정윈치
JP2007269225A (ja) 車椅子収納装置
KR200451135Y1 (ko) 차량용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19980051415U (ko) 자동차용 스페어타이어 리프트장치
KR0153302B1 (ko) 자동차용 나사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