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2385A - 약물복합체 - Google Patents

약물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2385A
KR20010052385A KR1020007013102A KR20007013102A KR20010052385A KR 20010052385 A KR20010052385 A KR 20010052385A KR 1020007013102 A KR1020007013102 A KR 1020007013102A KR 20007013102 A KR20007013102 A KR 20007013102A KR 20010052385 A KR20010052385 A KR 200100523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ompound
gly
drug
spa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31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81443B1 (ko
Inventor
스사키히로시
이노우에카즈히로
쿠가히로시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다시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다시,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스즈키 다다시
Publication of KR200100523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23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14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14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62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 protein, peptide or polyamino acid
    • A61K47/65Peptidic linkers, binders or spacers, e.g. peptidic enzyme-labile link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Abstract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DDS화합물로서 유용한 약물복합체:
A-R-NH-Y-CH2-O-CO-Q
상기 식에서,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및,
Q는 항종양제 등의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부위 선택적으로 빠르게 유리할 수 있어, 기대되는 약효를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다.

Description

약물복합체{Drug Composites}
폐암이나 소화기암 등의 고형암이나 백혈병 등의 혈액암의 치료에 이용되는 항종양제는 정맥내 투여나 경구 투여 등의 투여경로에 의해 전신적으로 투여된 후, 특정의 종양부위에 이행하여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 내지 억제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전신 투여된 항종양제는, 혈중에서 간장, 망내계 장기로 빠르게 침투되거나, 혹은 빠르게 요중배설되기 때문에, 혈중농도가 저하하고 종양부위로의 이행이 제한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통상의 항종양제 자체로는 종양부위로의 이행선택성(종양선택성)이 낮기 때문에, 항종양제가 전신의 여러가지 세포나 조직에 골고루 분포하여, 정상적인 세포나 조직에 대해서도 세포독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토, 발열, 혹은 탈모 등의 부작용을 극히 높은 확률로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항종양제를 효율적이며 동시에 선택적으로 종양부위에 이행시키는 수단의 개발이 요망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수단의 하나로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를 약물담체로 이용하여, 이 다당유도체에 대하여 항종양제를 결합시켜 항종양제의 혈중에서의 소실을 지연시킴과 동시에, 암조직으로의 지향성을 높히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국제공개 W094/19376호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의 카르복실기에 펩티드 쇄(아미노산 수 1~8)가 결합되어 있고, 거기에 이 펩티드 쇄를 개재하여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마이토마이신C, 또는 블레오마이신 등을 결합한 약물복합체가 개시되고 있다. 또한, 특공평 7-84481호 공보에는 카르복시메틸화된 만노글루칸 유도체에 시프염기나 산아미노 결합을 개재하여 상기의 항종양제를 도입한 약물복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약물복합체는 약물담체에 결합된 항종양제 자체에 비하여 보다 우수한 항종양 효과를 가짐과 동시에, 독성, 부작용이 경감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 외, 폴리알콜화 다당유도체를 약물담체로 이용한 약물복합체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는, 「다당-펩티드-독소루비신 복합체에 관한 연구, 다당유도체의 혈중안정성과 항종양 효과의 관계」(참조: 제 10회 일본 DDS학회 강연 요지집, 279, 1994);「다당-펩티드-독소루비신 복합체에 관한 연구, 체내 동태와 항종양 효과」(참조: 제 9회 일본 약물동태학회 연회 강연 요지집, 292. 1994); 제 19회 연구개발 동향 세미나(의약품 기구 주최) 요지집, D-9, 1995; 및 「다당 캐리어에 의한 종양으로의 약물송달에 관한 연구」(참조: 제 12회 콜로이드, 계면기술 심포지움, 일본 화학회, 강연 요지집, 51, 1995) 등의 보고가 있다. 한편, 항종양제를 항체 등에 결합시키기 위한 기술로, 파라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기와 펩티드기를 조합한 시약이 개발되어 있지만(참조: Dubowchik, G.M., Tetrahedron Lett., 38, 5257, 5261, 1997), 상기와 같은 약물담체를 갖춘 약물복합체로의 응용은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다당유도체 등의 약물담체와 항종양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결합시킨 약물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실시예 1)의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차트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실시예 1)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실시예 5)의 GPC 차트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실시예 5)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실시예 7)의 GPC 차트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실시예 7)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되는 약물복합체는, 식(I): A-R-NH-Y-CH2-O-CO-Q로 표시된다. 전기 식에서,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포함되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는, 예를 들면, 항종양제, 항염증제, 항균제 등의 의약으로서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류의 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되는 의약화합물의 주요한 부분구조이며, 적어도 그 의약작용의 발현에 불가결한 부분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다만, 이 의약화합물의 용도는 상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의약화합물로서는, A-R-NH-Y-CH2-O-C0-로 표시되는 기의 카르보닐기와의 결합에 관여할 수 있는 1 또는 2이상의 반응성 관능기(예를 들면, 아미노기, 카르보닐기, 수산기, 티올기, 에스테르기 등)를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약화합물(drug compound)'이라고 하는 용어는, 그 자체가 의약작용을 가지는 화합물의 주요구조를 그 부분구조로서 포함하여 생체내에서 이 화합물을 재생할 수 있는 프로드러그 화합물도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의 잔기(residue of a drug compound)'라고 하는 용어는, A-R-NH-Y-CH2-O-C0-로 표시되는 기의 카르보닐기와 의약화합물 잔기와의 결합이 의약화합물 중의 반응성 관능기와 A-R-NH-Y-CH2-O-C0OH로 표시되는 카르보닐기와의 반응(예를 들면 탈수축합 등)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결합 후의 약물복합체 안에 존재하는 의약화합물에 유래하는 부분구조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의약화합물이 D-NH2, D-NH-D', D-OH, 및 D-SH로 표시되는 경우, 의약화합물의 잔기는 각각 D-NH-, D-N(D')-, D-O-, 및 D-S-로 표시할 수 있고, 이들의 의약화합물을 이용한 약물복합체는, 각각 A-R-NH-Y-CH2-O-C0-NH-D, A-R-NH-Y-CH2-O-C0-N(D')-D, A-R-NH-Y-CH2-O-C0-O-D, 및 A-R-NH-Y-CH2-O-C0-S-D로 표시될 수 있다. 다만, A-R-NH-Y-CH2-O-C0-로 표시되는 기와 의약화합물 잔기와의 결합의 종류는 상기한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의약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마이토마이신C, 블레오마이신, 사이클로시티딘, 빈크리시틴, 빈블라스틴, 메토트렉세이트, 백금계 항종양제(시스플라틴 또는 그 유도체), 텍솔 또는 그 유도체, 캄프토테신 또는 그 유도체(참조: 특개평 6-87746호 공보에 기재된 항종양제, 바람직하게는 청구범위 제 2항에 개시된(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 피라노[3', 4': 6, 7] 인돌리지노[1, 2-b] 퀴놀린-10, 13(9H, 15H)-디온 등) 등의 항종양제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숙신산하이드로코르티손, 숙신산프레드니솔론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메페나민산, 플루페나민산, 디클로페낙, 이부프로펜, 티노리딘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도 이용할 수 있다.
Y로 표시되는 페닐렌기로는, o-페닐렌기 또는 p-페닐렌기 어느 것을 이용해도 좋다. 페닐렌기가 치환기를 가지는 경우, 치환기의 종류, 및 치환기의 개수 및 치환위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페닐렌기의 환상에 존재가능한 치환기의 예로는, 저급 알킬기(직쇄 혹은 분지쇄의 C1-6알킬기, 또는 환상의 C3-6알킬기 등, 이하, 저급 알킬부분을 포함하는 치환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할로 저급 알킬기(클로로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등), 하이드록시 저급 알킬기(하이드록시메틸기 등), 저급 알콕시기(메톡시기, 에톡시기 등), 저급 알케닐기(비닐기, 알릴기 등), 저급 알키닐기(프로파길릭기 등), 수산기, 할로겐 원자(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또는 요소 원자의 어느 것이라도 좋다), 카르복실기, 알콕시카르보닐기(메톡시카르보닐기 등), 알카노일기(아세틸기 등), 할로알카노일기(트리플루오로아세틸기 등), 알릴기(페닐기, 나프틸기 등), 아르알킬기(벤질기 등), 알릴옥시기(페녹시기 등), 아르알킬옥시기(벤질옥시기 등), 아로일기(벤조일기 등), 헤테로아릴기(피리딜기, 퀴놀일기 등), 아미노기, 모노 혹은 디저급알킬아미노기, 카르바모일기, 니트로기, 시아노기, 저급 알킬설피닐기, 저급 알킬설포닐기, 티올기, 또는 저급알킬티오기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페닐렌기의 환상에 2 이상의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것들은 동일해도 달라도 무방하다. 또한, 이들의 치환기가 또 다른 별개의 1 또는 2 이상의 관능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치환기의 예로서, 구체적으로는, 클로로페닐기, 메틸카르바모일기, 클로로벤질기, 알콕시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Y가 나타내는 페닐렌기로서는, 치환 또는 무치환의 p-페닐렌기가 바람직하고, 무치환의 p-페닐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은 스페이서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용되는 '스페이서(spacer)'라고 하는 용어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부분구조이고, 약물담체인 고분자와 의약화합물 잔기와의 사이에 존재하며, 1개의 아미노산 또는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의미하고 있고, 의약화합물을 유리하지 않아도 되는 조직이나 혈중 등에 있어서는 의약화합물 잔기를 약물담체에 보유하고, 의약화합물을 유리해야만 하는 조직(예를 들면 종양조직 등)에 있어서는 효소적으로 분리되어 의약화합물을 유리하는 역할을 가진다. 스페이서로서는,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스페이서는, 1개의 아미노산의 잔기(아미노산의 아미노기 및 카르복실기로부터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의미한다),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올리고펩티드의 잔기(N말단의 아미노기 및 C말단의 카르복실기로부터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의미한다)의 형태를 가지고 있고, C말단(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경우에는 카르복실기)에서 NH-Y-CH2-O-CO-Q에 펩티드 결합하도록 배치된다.
일반적으로는, A로 표시되는 약물담체와 스페이서와의 결합은, 약물담체의 카르복실기와 올리고펩티드스페이서의 N말단(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의 경우에는 아미노기)과의 펩티드 결합에 의해 형성된다. 다만, 스페이서와 약물담체와의 결합은 상기의 펩티드 결합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화학결합이나 1 또는 2 이상의 스페이서를 이용한 결합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스페이서 중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디카르본산 화합물의 잔기(예를 들면 숙신산 등의 디카르본산의 잔기 등)를 구성단위로 포함하여 양말단이 카르복실기로 될 수 있는 스페이서로 한 경우에는, 약물담체 중의 반응성 아미노기 등을 결합에 이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스페이서는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올리고페티드의 잔기이다.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L- 또는 D-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L-아미노산을 이용할 수가 있고,-아미노산 외에도,-알라닌,-아미노카프론산,-아미노부티린산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러한-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은, 스페이서 안에서 약물담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올리고펩티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경우의 아미노산 배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스페이서가 -X-Z-로 표시되는 디펩티드의 잔기(X는 소수성 아미노산의 잔기를 나타내고, Z는 친수성 아미노산의 잔기를 나타내며, -X-Z-는 소수성 아미노산(X)와 친수성 아미노산(Z)이 각각 N말단측 및 C말단측으로 되어 펩티드 결합한 디펩티드의 N말단의 아미노기 및 C말단의 카르복실기로부터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외한 잔기를 의미한다)이거나, 또는 이 디펩티드의 잔기를 부분 펩티드 배열로서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페닐알라닌, 티로신, 류신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친수성 아미노산으로는, 예를 들면, 글리신, 알라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가 이러한 디펩티드 잔기의 반복 배열(예를 들면, -X-Z-X-Z-, -X-Z-X-Z-X-Z- 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디펩티드 구성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면, 스페이서가 펩티다제가 풍부하다고 사료되어지는 종양부위나 염증부위에서 가수분해되어, 해당부위에 있어서 단시간에 고농도의 의약화합물이 유리하기 때문에, 상기 디펩티드를 포함하는 스페이서와 의약화합물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부분구조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바람직한 부분구조이다. 의약화합물의 잔기로서, 농도에 의존한 항종양 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보다 높은 농도로 보다 강한 항종양 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 농도의존형의 항종양제, 예를 들면, 독소루비신 등)의 잔기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X-Z-로 표시되는 상기의 디펩티드 잔기로 이루어지는 스페이서 또는 이 디펩티드 잔기를 부분 펩티드 배열로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의약화합물의 잔기로는, 일정한 농도이상으로 작용시간의 지속을 필요로 하는 항종양제(예를 들면, 메토트렉세이트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항종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경우가 있지만, 일반적으로는, 상기의 스페이서에 한정되지 않고, 항종양제의 체내 동태의 특징이나 독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한 스페이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증식이 빠른 암종에 대해서는, 단시간에 고농도의 의약화합물을 유리할 수 있는 상기의 스페이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있어서의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는,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 분해가 실질적인 율속단계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스페이서를 효소적 분해속도의 견지로부터 선택함으로써 의약화합물의 원하는 유리속도를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다.
스페이서로서 이용가능한 올리고펩티드의 구체예는 특개평 11-92405호 공보의 표 1에 개시되어 있고, 이들 올리고펩티드는 본 발명의 스페이서로서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A로 표시되는 약물담체로는, 다당유도체 외에, 합성고분자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당유도체 및 합성고분자로는, 생체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독성을 나타내지 않고, 약물담체로서 작용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약물복합체의 제조에 종래부터 이용되고 있는 다당유도체 및 합성고분자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어느 것이라도 이용가능하다. 예를 들면,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고, 폴리알콜화 다당유도체는 특히 적당하다. 또한, 합성고분자로는, 폴리에틸렌글리콜류; 폴리글루타민산, 폴리아스파라긴산, 또는 폴리리신 등의 폴리아미노산류; 또는 N-(2-하이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아미드 유도체 등의 폴리비닐 화합물의 유도체를 예로 들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로는, 예를 들면, 다당류 또는 그것들을 화학적 또는 생물학적으로 수식한 유도체이고 분자 안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하이알루로닌산, 펙틴산, 알기닌산, 콘도로이친, 헤파린 등의 다당류 외에, 플루란, 덱스트란, 만난, 키틴, 이눌린, 레반, 자일란, 아라반, 만노글루칸, 키토산 등의 다당의 일부 또는 전부의 수산기에 대해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관능기를 도입한 것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산기를 카르복시 C1-4알킬화한 것이나, 수산기에 다염기산의 하나인 카르복실기를 에스테르 결합시킨 것 등을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다당류를 폴리알콜화한 후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관능기를 도입한 것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이용되는 다당유도체라고 하는 용어는, 당을 구성요소로서 포함하는 다당화합물 외에, 다당화합물의 환상당 부분을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개환하여 얻어지는 화합물(예를 들면 폴리알콜 화합물 등)을 포함해서, 무엇보다도 광범위하게 해석할 필요가 있다. 이들 다당유도체 중에,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나 카르복시C1-4알킬플루란폴리알콜 등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제조에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이용하는 경우에 대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있어서의 약물담체는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약물담체의 제조에 이용하는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폴리알콜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구성하는 덱스트란폴리알콜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폴리알콜화 가능한 조건하에서 덱스트란을 처리하여 얻어진 덱스트란폴리알콜이며, DDS화합물로서의 사용에 견딜 정도의 폴리알콜화가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제조하기 위해서 이용하는 덱스트란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D-1, 6-결합을 임의의 비율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면,-D-1, 6-결합의 비율이 85%이상, 90%이상, 또는 95%이상의 덱스트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덱스트란의 분자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000 정도부터 2,000,000 정도의 것, 바람직하게는 50,000 정도부터 800,000 정도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시C1-4알킬기를 구성하는 C1-4알킬로서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킬,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메틸기를 이용할 수 있다.
출발물질로서 덱스트란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덱스트란에 과잉의 과요오드산 나트륨(sodium periodate)과 수소화붕소나트륨(sodium borohydricle)을 순차작용시켜서 덱스트란을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폴리알콜화한 덱스트란폴리알콜을 제조할 수 있다. 다만, 덱스트란의 폴리알콜화의 방법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 않고, 당업자에게 이용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카르복시C1-4알킬화는, 예를 들면, 덱스트란폴리알콜의 수산기에 대해서 클로로초산, 브롬초산,-클로로프로피온산,-메틸--클로로프로피온산,-클로로프로피온산,-메틸--클로로프로피온산,-클로로부티린산,-클로로부티린산,-클로로부티린산 등의 할로겐화 C1-4알킬카르본산, 바람직하게는 클로로초산을 반응시켜 수산기를 부분적 또는 완전하게 카르복시C1-4알킬화함으로써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덱스트란폴리알콜을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불활성 용매(예를 들면, 물,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등)에 용해하여, 염기(예를 들면,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 등)의 존재하에 할로겐화C1-4알킬카르본산 또는 그 염을 첨가하여, 빙냉하 내지 100℃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수분 내지 수일간 반응시키면 된다. 카르복시C1-4알킬기의 도입의 정도는, 예를 들면, 카르복시C1-4알킬화의 반응온도나 시약으로 이용하는 할로겐화C1-4알킬카르본산 및 염기의 양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용이하게 조절가능하고, 그러한 수단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다. 덱스트란폴리알콜의 수산기에 대한 카르복시C1-4알킬화의 정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구성당 잔기당 0.01~2.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1.0의 범위이다. 이렇게 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 또는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의 수용액을 조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하여 조제되는 알칼리 금속염의 형태의 다당유도체 외에, 유기아민의 염의 형태인 다당유도체를 약물담체의 원료로 이용해도 좋다. 유기아민의 염의 형태인 다당유도체는,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기용매에 고농도로 용해할 수 있기 때문에, 이 염을 이용하면 반응을 비수계로 수행할 수 있고, 반응효율을 현저히 높힐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유기아민의 염으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등의 지방족 아민류의 염 외에, N-메틸피롤리딘, N-메틸피페리딘, N-메틸몰포린, 디메틸아미노피리딘 등의 지환식(alicyclic) 또는 방향족(aromatic) 아민류의 염, 염화테트라메틸암모니움, 염화테트라에틸암모니움 등의 4급 암모니움염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당유도체의 나트륨염으로부터 유기아민의 염으로의 변환은, 이온교환수지 등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을 물에 용해하여, Bio-Rad AG50W-X2(200-400 메쉬, H+형) 수지를 충전한 컬럼에 넣어 물로 용출한 후, 트리에틸아민 등의 유기아민을 첨가하여 동결건조할 수 있다. 또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을 물에 용해하여, 트리에틸암모니움형의 수지를 통과시킴으로써 1공정으로 변환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예를 들면, R'-NH-Y-CH2-O-CO-Q(식 중의 정의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적절한 방법에 의해 제조하고, 필요에 따라 보호기를 제거한 후, 스페이서의 N말단 아미노기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시기를 산아미노 결합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말단을 보호한 펩티드화합물을 산아미노 결합에 의해 NH2-Y-CH2-OH의 아미노기에 결합시켜, 필요에 따라 펩티드쇄를 연장한 후, 수산기에 CO-X부분 또는 CO-Q부분을 도입할 수 있다. CO-X부분을 도입한 경우에는, 거듭 X를 Q로 변환하여도 무방하다. CO-X부분의 도입에 이용하는 반응제로는, p-니트로페닐디카르보네이트, p-니트로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X가 p-니트로페녹시기에 상당한다), 1, 1'-카르보닐디이미다졸(X가 이미다졸기에 상당한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CO-Q부분을 도입하는 방법으로는, Q에 포스겐(phosgene)을 작용하여 얻어지는 Cl-CO-Q, Q에 p-니트로페닐클로로포르메이트를 작용시켜 얻어지는 X-CO-Q(X가 p-니트로페녹시기에 상당한다)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R'-NH-Y-CH2-O-CO-X를 R'-NH-Y-CH2-O-CO-Q로 변환할 때에는, 의약화합물 또는 보호된 의약화합물을 반응시키지만, 필요에 따라, X와 Q의 종류에 따라 트리에틸아민,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등의 염기나,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 등의 활성화제를 반응계에 첨가해도 좋다. 그 후, 보호기의 종류에 따라 적절한 방법으로 보호기를 제거함으로써 목적물을 얻을 수 있다. 보호기의 종류와 제거의 방법은, 예를 들면, T.W.Green and P.G.M. Wut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2nd ed.", John Wiley & Sons, Inc. (1991) 등에 개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t-부틸카르보닐기의 경우에는, 트리플루오로초산, 초산, 포름산 등의 산류, 바람직하게는 포름산 등의 비교적 약한 산을 이용할 수 있고, 트리틸기의 경우에는, 초산 등의 산류를 이용할 수 있다. 9-플루오레닐메틸카르복시기의 경우에는, 피페라딘 등의 염기류를 이용할 수 있다.
산아미드 결합의 형성에는, 펩티드쇄의 합성에 이용하는 통상의 탈수축합제, 예를 들면, N, N'-디사이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DC)와 같은 N, N'-디사이클로알킬카르보디이미드류,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APC) 등의 카르보디이미드 유도체,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와 같은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외에,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 2-디하이드록시퀴놀린(EEDQ)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스테르법이나 산할라이드법 등에 의해 반응을 수행해도 좋다.
다당유도체를 이용한 반응을 비수계로 수행하는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물을 포함하지 않는 유기용매이고, 반응물(다당유도체의 유기아민의 염 및 유리 또는 염의 형태인 H-R-NH-Y-CH2-O-CO-Q: H-R은 N말단이 보호되고 있지 않는 것을 나타낸다)을 용해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예를 들면, N, 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설폭시드, 아세트아미드, N-메틸피롤리돈, 설포란 등을 이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약물담체에 도입되는 의약화합물잔기의 양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의약화합물잔기의 종류, 및 약물복합체의 체내동태, 약효, 및 독성 등의 관점으로부터 적절하게 선택해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2~15중량% 정도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약물담체에 도입된 의약화합물잔기의 비율은, 예를 들면, 흡광도 분석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제조방법의 더욱 구체적인 예를 실시예에 제시하였다. 당업자는, 상기의 일반적인 설명 및 실시예의 구체적 설명을 기초로 하여, 출발물질이나 반응시약을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또한 필요에 따라 반응조건이나 공정을 적절히 수식 내지 개변함으로서, 상기 일반식(I)에 포함되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의약화합물의 잔기의 종류(예를 들면, 항종양제 또는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의 잔기)에 따라, 원하는 의약활성을 종양부위나 염증부위 등의 국소에 있어서 특이적으로 발현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의약화합물 자체가 가지는 독성을 감소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예를 들면, 다당유도체 부분으로써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을 가지는 약물복합체는 매우 우수한 혈관투과성을 가지고 있으며, 종양 선택성 및 염증부위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서는, 종양부위나 염증부위에 있어서 프로테아제(펩티다제)에 의해 스페이서 부분이 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되면, 바로 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아미드의 우레탄 결합이 가수분해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서는, 유리 후의 의약화합물에 스페이서 유래의 아미노산이 전혀 잔존하지 않고, 의약화합물 자체의 약효가 손상되는 일이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서는, 스페이서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의약화합물의 적절한 유리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를 포함하는 의약은, 통상, 동결건조품 등의 형태로 바이얼 등에 충전할 수 있고, 용시용해형의 주사용 또는 점적용제제 등의 비경구 투여용제제로서 임상에 제공되지만, 이러한 의약의 제제형태는 상기 상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제의 제조에는, 예를 들면, 용해보조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등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한 제제용 첨가물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의약의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적으로는, 의약화합물 잔기를 구성하는 의약화합물의 투여량, 약물복합체 안에 도입된 의약화합물의 잔기의 양, 환자의 상태나 질환의 종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해야만 한다. 예를 들면, 특개평 6-87746호 공보의 청구범위 제 2항에 개시된 항종양제의 잔기가 약 6중량% 정도의 비율로 도입된 약물복합체를 투여하는 경우에는, 비경구투여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하루당 체표면적 1㎡에 약 0.1~100㎎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1~30㎎의 범위로 1회 투여하고, 3~4주마다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I): R'-NH-Y-CH2-O-CO-Q(식 중, R'는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며, N말단이 보호되고 있거나 보호되고 있지 않은 기를 나타내고;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상관없는 페닐렌기를 나타내며; 및,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된다. 이 화합물에 있어서, Y가 비치환 p-페닐렌기이고, R'가 H-Gly-Gly-Phe-Gly- 또는 H-Gly-Gly-Gly-Phe-로 표시되는 기이고, 의약화합물이 (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인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반식(III):A-R-NH-Y-CH2-O-CO-X[식 중,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X는 수산기, -O-M(M은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또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도 본 발명에 의해 제공된다. 카르복실기의 보호기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당업자에게 이용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다. 또한, 이탈기는 카르보닐탄소상에서의 치환반응에 있어서 이탈기로서 작용하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이용해도 좋지만, 예를 들면, 염소원자, 브롬원자 등의 할로겐원자, 에톡시기 등의 알콕실기, p-톨루엔설포닐옥시기 등의 아릴설포닐옥시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식(II) 또는 식(III)에 있어서의 Y, Q, 또는 R 등의 기호는 식(I)에 대해서 이미 설명한 것과 같다. 식(II) 또는 식(III)에서 표시되는 이들 화합물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제조용 중간체로서 유용하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자들은 다당유도체 등의 약물담체와 항종양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결합시킨 약물복합체에 대하여 예의 연구를 진행하여, 항종양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목적조직에 대하여 부위선택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데 성공하였다(참조: W097/46260). 그러나,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는 약물복합체에서는,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가 반드시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 분해(펩티다제에 의한 가수분해)속도에 의존하지는 않으며, 유리속도가 의약화합물의 입체구조에 영향을 받는 경우가 있다는 것이 판명되었다. 특히, 의약화합물의 반응성 관능기(예를 들면 아미노기)와 스페이서와의 결합부분에 입체장애가 있는 경우에는, 이 경향이 특히 현저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이러한 약물복합체에서는, 스페이서의 효소적 분해에 의해 유리된 의약화합물에 스페이서유래의 아미노산이 1개 내지 수개 잔존하는 경우가 있고, 그 결과, 의약화학물이 불규칙적으로 방출(irregular release)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과 약물담체를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결합시킨 약물복합체이며, 유효성분을 종양부위 등에 대하여 부위선택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고, 동시에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가 실질적으로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인 분해속도에 의존하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가 의약화합물의 입체구조에 의해 실질적으로 영향을 받지않고,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인 분해속도로부터 기대되는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를 달성할 수 있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노력한 결과,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과 약물담체를 1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개재하여 결합시킨 약물복합체에 있어서, 이 스페이서와 의약화합물의 사이에 거듭 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기 등을 삽입하면,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 분해가 생겨 바로 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기가 비효소적으로 가수분해되어 의약화합물이 유리된다는 사실, 및 이 약물복합체에서는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가 의약화합물의 입체구조에는 영향받지 않고, 실질적으로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인 분리속도에 의존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서는, 의약화합물의 입체구조를 고려하지 않고, 스페이서 부분의 효소적 분해속도를 기초로 하여 의약화합물의 유리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하기의 식(I)으로 표시되는 약물복합체가 제공된다.:
A-R-NH-Y-CH2-O-C0-Q
상기 식에서,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및,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 이 약물복합체는 예를 들면, 약물전달계(DDS, drug delivery system) 기능을 갖춘 DDS화합물로서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은, R'-NH-Y-CH2-O-CO-Q(식 중, R'-는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N말단이 보호되고 있거나 보호되고 있지 않은 기를 나타내고;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며: 및,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A-R-NH-Y-CH2-O-CO-X(식 중,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X는 수산기, -O-M(M은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또는 이탈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이 제공된다. 이들 화합물은, 상기의 약물복합체의 제조용 중간체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태양에 의하면, 약물담체가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인 상기 약물복합체; R이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인 상기 약물 복합체, Y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p-페닐렌기인 상기약물복합체; Y가 무치환 p-페닐렌기인 상기 약물복합체;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가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인 상기 약물복합체;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구성하는 덱스트란폴리알콜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폴리알콜화 가능한 조건하에서 덱스트란을 처리하고 얻어진 덱스트란폴리알콜인 상기 약물복합체;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인 상기 약물복합체; 의약화합물이 항종양제 또는 항염증제인 상기 약물복합체; A-R-NH-Y-CH2-O-CO-와 의약화합물의 아미노기가 결합한 상기 약물복합체; 및, 의약화합물이 (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인 상기 약물복합체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중,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시메틸화도(구성당 잔기당 카르복시메틸기의 치환도)는,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을 유리산형으로 변환시킨 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여 0.1N염산으로 적정함으로써 구하였다.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의 수용액을 Bio-Rad AG50W-x 2(H+)형 컬럼에 넣어 통과액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서 이용하였다. 이 시료를 소정과잉량의 0.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에 용해하고,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서 0.1N 염산으로 적정하였다. 시료의 채취량을 s(㎎), 0.1N 수산화나트륨수용액의 소정과잉량을 a(ml), 0.1N 염산의 적정량을 b(ml)로 하여, 카르복시메틸화도를 13.4(a-b)/[s-5.8(a-b)]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약물의 도입량(중량%)는, 약물의 특성흡수를 이용한 흡광도분석(362nm부근)으로부터 구하였다. 또한, 젤여과법은 다음의 조건에 따라 수행하였다(컬럼: TSK gel G4000PWXL, 용리액: 0.1M NaCl, 유속: 0.8ml/min, 컬럼온도: 40℃).
또한, DX-8951은 특개평 6-87746호 공보의 특허 청구범위 제 2항에 기재된 의약화합물〔(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이고, -CO-DX-8951은 이 의약화합물의 1-위치 아미노기가 -CO-로 표시되는 카르보닐기와 펩티드 결합을 형성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DX-8951은 락톤환이 폐환형 또는 개환형의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혼합형태로서 존재하고 있음을 이해해야만 한다. 또한, 하기 실험계획에 나타난 당쇄의 구성단위에는 1개 또는 2개의 카르복시메틸기가 도입되어 있지만, 이것은 당쇄의 구성단위의 한 예를 나타낸 것이고,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약물담체 부분이 상기 구성단위의 반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실시예 중의 화합물 번호는 이하의 실험계획의 화합물 번호에 대응시켜져 있다. 예를 들면, 실시예 5 중의 화합물 2a는 실험계획의 화합물 2a에 대응하고, 이 실험계획의 구조식의 펩티드 부분이 GGFG의 화합물을 표시하고 있다(실험계획 중, Peptide=GGFG라고 기재되어 있다).
실시예 1: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 -Gly-Gly-Phe-Gly-NH-p-C6H4-CH2-O-CO-DX-8951의 합성
덱스트란 T500(20g, 파마시아사제, 분자량 500K)을 0.1M 초산완충액(pH 5.5, 2000ml)에 용해하여, 과요오드산 나트륨(66.0g) 수용액(2000ml)을 첨가하였다. 차광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ml)를 첨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으로 조정하였다. 수산화붕소나트륨(28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고, 초산으로 pH 5.5로 조정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법에 의한 탈염을 수행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고, 덱스트란폴리알콜(10.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159K였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7.5g)을, 수산화나트륨(31.5g)을 물(225ml)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4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8.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274K이고, 카르복시메틸화도는 0.4였다.
Boc-Gly-Gly-Phe-Gly-OH(875mg), 4-아미노벤질알콜(492mg), N, N-디메틸포름아미드(10ml)의 혼합물에,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 2-디하이드록시퀴놀린(989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6:4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2)를 800mg 얻었다.
1H-NMR(DMSO-d6)δ: 9.73(s, 1H), 8.38(s, 1H), 8.17(d, 1H, J=7.2Hz), 7.91-7.93(m, 1H), 7.56(d, 2H, J=8.0Hz), 7.24-7.26(m, 4H), 7.24(d, 2H, J=8.0Hz), 7.17-7.20(m, 1H), 4.50-4.54(m, 1H), 4.44(s, 2H), 3.66-3.94(m, 3H), 3.63(dd, 1H, J=4.8, 16.7Hz), 3.56(d, 2H, J=5.6Hz), 3.09(dd, 1H, J=4.8, 13.5Hz), 2.83(dd, 1H, J=9.6, 13.5Hz), 1.38(s, 9H).
화합물(2)(465mg), 비스(4-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522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24m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0.5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3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일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9:1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3)를 205mg 얻었다.
1H-NMR(DMSO-d6)δ: 9.88(s, 1H), 8.40-8.42(m, 1H), 8.31(d, 2H, J=9.5Hz), 8.27-8.28(m, 1H), 7.92-7.94(m, 1H), 7.67(d, 2H, J=7.9Hz), 7.55(d, 2H, J=9.5Hz), 7.41(d, 2H, J=7.9Hz), 7.24-7.26(m, 4H), 7.17-7.20(m, 1H), 6.93-6.95(m, 1H), 5.25(s, 1H), 4.50-4.53(m, 1H), 3.77-3.95(m, 3H), 3.61-3.66(m, 1H), 3.55-3.57(m, 2H), 3.08(dd, 1H, J=4.8, 13.5Hz), 2.83(dd, 1H, J=9.5, 13.5Hz), 1.38(s, 9H).
화합물(3)(185mg), DX-8951의 메탄설폰산염(152m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54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93ml)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20ml)의 혼합물을 온실에서 2일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6:4 용액)으로 정제하고, 얻어진 황색고체를 다시 한번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0.5%초산을 포함하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7:3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4)를 130mg 얻었다.
1H-NMR(DMSO-d6)δ: 9.84(s, 1H), 8.40-8.41(m, 1H), 8.19(d, 1H, J=8.0Hz), 8.04(d, 1H, J=8.8Hz), 7.92-7.93(m, 1H), 7.74(d, 1H, J=11.1Hz), 7.63(d, 2H, J=8.0Hz), 7.37(d, 2H, J=8.0Hz), 7.32(s, 1H), 7.24-7.26(m, 4H), 7.16-7.20(m, 1H), 6.94-6.95(m, 1H), 6.48(s, 1H), 5.46(d, 1H, J=16.7Hz), 5.41(d, 1H, J=16.7Hz), 5.24-5.34(m, 3H), 5.08(s, 2H), 4.49-4.52(m, 1H), 3.92(dd, 1H, J=5.6, 16.7Hz), 3.85(dd, 1H, J=5.6, 16.7Hz), 3.78(dd, 1H, J=5.6, 16.7Hz), 3.63(dd, 1H, J=4.8, 16.7Hz), 3.54-3.56(m, 1H), 3.31-3.33(m, 2H), 3.08(dd, 1H, J=4.8, 13.5Hz), 2.83(dd, 1H, J=10.3, 13.5Hz), 2.38(s, 3H), 1.86-1.89(m, 2H), 1.37(s, 9H), 0.88(t, 3H, J=7.2Hz) Mass(FAB); m/e 797(M+1)
화합물(4)(98mg)를 트리플루오로초산(1.5ml)에 용해시켜, 1.5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에테르(30ml)에 적하하여, 침전을 여과하여 취하였다. 에테르로 세정하여 화합물(5)를 100mg 얻었다.
1H-NMR(DMSO-d6)δ: 9.86(s, 1H), 8.48-8.61(m, 2H), 8.37(d, 1H, J=8.3Hz), 8.00-8.20(m, 1H), 7.75(d, 1H, J=10.7Hz), 7.66(d, 2H, J=8.8Hz), 7.41(d, 2H, J=8.8Hz), 7.37(s, 1H), 7.24-7.27(m, 4H), 7.17-7.19(m, 1H), 6.48(s, 1H), 5.72(d, 1H, J=19.0Hz), 5.33-5.48(m, 3H), 5.23-5.30(m, 1H), 5.08-5.11(m, 2H), 4.58-4.61(m, 1H), 3.84-3.99(m, 3H), 3.71(dd, 1H, J=4.9, 16.6Hz), 3.56-3.66(m, 2H), 3.22-3.30(m, 1H), 3.12-3.18(m, 1H), 3.09-3.11(m, 1H), 2.78-2.83(m, 1H), 2.46-2.57(m, 1H), 2.38(s, 3H), 2.18-2.23(m, 1H), 1.82-1.93(m, 2H), 0.90(t, 3H, J=7.3Hz)
화합물(5)(95mg)를 물(5ml)와 메탄올(1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위에서 얻어진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600mg)을 물(10ml)와 메탄올(20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첨가하였다.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26m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15mg)을 첨가한 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13m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반응액에 물(500ml)를 첨가한 후, 한외여과막 10K(필트론사제)를 이용하여 한외여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0.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하여, 여과막(0.16㎛, 필트론사제)를 통과시켰다. 통과한 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6)를 490mg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 후, GPC(컬럼: 토소-TSK Gel PW-4000XL, 용매: 0.1M NaCl, 유속: 0.8ml/min)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M 트리스완충액, pH 10.0, 0.20mg/ml)을 각각 도 1 및 도 2에 표시한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M 트리스완충액(pH 10.0): 아세트니트릴=7:3 중에서 366nm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기초하여 정량한 결과 2.3%(w/w)였다.
실시예 2: 약물복합체로부터의 의약화합물의 유리
37℃의 Meth A(murine fibrosarcoma Meth A) 균질화액 또는 완충액에 실시예 1에서 얻은 약물복합체를 용해하여(378㎍/ml), 20시간 후에 유리된 DX-8951을 정량하였다. 스페이서와 DX-8951을 p-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기를 개재하지 않고 결합한 화합물을 제조하여 비교화합물로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1에 제시하였다. 약물유리량은 이용한 약물복합체 중의 약물량에 대한 유리한 약물량(%)으로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약산성의 균질화액 안에서 빠르게 유리되었지만, 완충액 안에서는 거의 유리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화합물은 약산성의 균질화액 안에서 극히 소량 유리되었지만, 완충액 안에서는 전혀 유리되지 않았다.
반응계 실시예 1의 화합물 비교 화합물
Meth A 균질화액(pH 4.5) Meth A 균질화액(pH 5.5) Meth A 균질화액(pH 6.5) 완충액(pH 4.5) 완충액(pH 5.5) 완충액(pH 6.5) 완충액(pH 7.5) 마우스 혈장 37.7 38.1 4.25 0.190 0.178 0.171 0.138 0.186 0.106 0.034 0.000 0.000 0.000 0.000 - -
-: 시험하지 않음
실시예 3: Meth A 담암(tumor-bearing)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1의 약물복합체의 최대내량(MTD, Maximum Tolerated Dose)
Meth A 세포를 BALB/c계 마우스에 이식하고 Meth A 담암 마우스를 작제하여, 20일째에 실시예 1의 약물복합체를 단회 투여하였다. 투여 후, 경시적으로 체중측정, 독성사의 유무 관찰을 실시하고, 최대체중감소률, 사망률을 표 2에 정리하였다. 투여량은 DX-8951의 무수유리염기의 중량에 환산한 것을 나타낸다. 2.5mg/kg 투여시에 있어서 약간의 체중감소, 10mg/kg투여시에 있어서 전례의 독성사가 관찰된 점으로부터, 실시예 1의 MTD를 5~7.5mg/kg으로 판단하였다.
화합물 투여량(mg/kg) BWLmaxa(%)[day] Nb
대조군 실시예 1 0 30 10 2.5 0.625 0.156 〈0 17.9[22] 32.8[26] 2.2[22] 〈0 〈0 0/2 2/2 2/2 0/2 0/2 0/2
a체중의 최대감소률(괄호 안은 최대감소가 관측된 날)
〈0은 최대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b사망한 마우스/사용한 마우스
실시예 4: 실시예 1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 활성
Meth A 세포(murine fibrosarcoma Meth A)를 BALB/c계 마우스에 이식하고 Meth A 담암 마우스를 작제하여, 이식 후 7일째에 실시예 1의 약물복합체를 단회 투여하였다. 종양의 중량을 21일째에 측정하고, 종양에 대한 억제 효과와 독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제시한다. 표 중, *는 다넷트 검정(Dannet assay)으로 유의차 있음을 나타내고(***P〈0.001, **P〈0.01), 투여량은 DX-8951의 무수유리염기의 중량으로 환산한 것을 나타내고, IR은 종양의 축소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1의 약물복합체가 용량의존적으로 종양의 축소효과를 발휘함이 명백하다.
화합물 투여량 (mg/kg) 종양중량 평균치(g) IR(%) BWLmaxa(%)[day] Nb
대조군 실시예 1 (본발명) 0 7.5 5 2.5 1.25 0.625 2.315±0.3660.008±0.002***0.019±0.004***0.061±0.016***0.610±0.180***1.247±0.280** 0 100 99 97 74 46 〈0 24.8[15] 2.9[13] 〈0 0.3[8] 〈0 0/6 2/6 0/6 0/6 0/6 0/6
a체중의 최대감소율(괄호 안은 최대감소가 관측된 날)
b사망한 마우스/사용한 마우스
실시예 5: 탈보호제로서 포름산을 이용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 -Gly-Gly-Phe-Gly-NH-p-C6H4-CH2-O-CO-DX8951의 합성
덱스트란 T500(20g, 파마시아사제, 분자량 500K)를 0.1M 초산완충액(pH 5.5, 2000ml)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66.0g)의 수용액(2000ml)를 첨가하였다. 차광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ml)를 첨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정하고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법에 의한 탈염을 수행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고, 덱스트란폴리알콜(10.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159K였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7.5g)을, 수산화나트륨(31.5g)을 물(225ml)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4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8.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274K이고, 카르복시메틸화도는 0.4였다.
Boc-Gly-Gly-Phe-Gly-OH(875mg), 4-아미노벤질알콜(492mg), N, N-디메틸포름아미드(10ml)의 혼합물에,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 2-디하이드록시퀴놀린(989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6:4 용액)로 정제하여 화합물 2a(80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9.73(s, 1H), 8.38(s, 1H), 8.17(d, 1H, J=7.2Hz), 7.91-7.93(m, 1H), 7.56(d, 2H, J=8.0Hz), 7.24-7.26(m, 4H), 7.24(d, 2H, J=8.0Hz), 7.17-7.20(m, 1H), 4.50-4.54(m, 1H), 4.44(s, 2H), 3.66-3.94(m, 3H), 3.63(dd, 1H, J=4.8, 16.7Hz), 3.56(d, 2H, J=5.6Hz), 3.09(dd, 1H, J=4.8, 13.5Hz), 2.83(dd, 1H, J=9.6, 13.5Hz), 1.38(s, 9H).
화합물2a(465mg), 비스(4-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522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24m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10.5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건조)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일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9:1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3a(205mg)를 얻었다.
1H-NMR(DMSO-d6)δ: 9.88(s, 1H), 8.40-8.42(m, 1H), 8.31(d, 2H, J=9.5Hz), 8.27-8.28(m, 1H), 7.92-7.94(m, 1H), 7.67(d, 2H, J=7.9Hz), 7.55(d, 2H, J=9.5Hz), 7.41(d, 2H, J=7.9Hz), 7.24-7.26(m, 4H), 7.17-7.20(m, 1H), 6.93-6.95(m, 1H), 5.25(s, 1H), 4.50-4.53(m, 1H), 3.77-3.95(m, 3H), 3.61-3.66(m, 1H), 3.55-3.57(m, 2H), 3.08(dd, 1H, J=4.8, 13.5Hz), 2.83(dd, 1H, J=9.5, 13.5Hz), 1.38(s, 9H).
화합물 3a(185mg), DX-8951의 메탄설폰산염(152m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54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093ml)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20ml)의 혼합물을 온실에서 2일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6:4 용액)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황색고체를 다시 한번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0.5%초산을 포함하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7:3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4a(13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9.84(s, 1H), 8.40-8.41(m, 1H), 8.19(d, 1H, J=8.0Hz), 8.04(d, 1H, J=8.8Hz), 7.92-7.93(m, 1H), 7.74(d, 1H, J=11.1Hz), 7.63(d, 2H, J=8.0Hz), 7.37(d, 2H, J=8.0Hz), 7.32(s, 1H), 7.24-7.26(m, 4H), 7.16-7.20(m, 1H), 6.94-6.95(m, 1H), 6.48(s, 1H), 5.46(d, 1H, J=16.7Hz), 5.41(d, 1H, J=16.7Hz), 5.24-5.34(m, 3H), 5.08(s, 2H), 4.49-4.52(m, 1H), 3.92(dd, 1H, J=5.6, 16.7Hz), 3.85(dd, 1H, J=5.6, 16.7Hz), 3.78(dd, 1H, J=5.6, 16.7Hz), 3.63(dd, 1H, J=4.8, 16.7Hz), 3.54-3.56(m, 1H), 3.31-3.33(m, 2H), 3.08(dd, 1H, J=4.8, 13.5Hz), 2.83(dd, 1H, J=10.3, 13.5Hz), 2.38(s, 3H), 1.86-1.89(m, 2H), 1.37(s, 9H), 0.88(t, 3H, J=7.2Hz)
화합물 4a(200mg)를 포름산(4ml)에 용해시켜, 2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에테르(40ml)에 적하하였다. 침전물을 에테르로 세정하여 화합물 5a(19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9.90(s, 1H), 8.48-8.50(m, 1H), 8.33-8.36(m, 1H), 8.27-8.30(m, 2H), 8.00-8.08(m, 1H), 7.74-7.76(m, 1H), 7.63(d, 1H, J=8.2Hz), 7.31-7.39(m, 3H), 7.21-7.25(m, 5H), 7.15-7.20(m, 1H), 5.43-5.48(m, 2H), 5.22-5.33(m, 3H), 5.08(s, 2H), 4.51-4.53(m, 1H), 3.93(dd, 1H, J=5.5, 16.5Hz), 3.80-3.90(m, 2H), 3.64-3.72(m, 3H), 3.20-3.25(m, 1H), 3.09-3.13(m, 1H), 3.07(dd, 1H, J=4.1, 13.8Hz), 2.81(dd, 1H, J=10.1, 13.8Hz), 2.37(s, 3H), 2.15-2.22(m, 2H), 1.82-1.88(m, 2H), 0.88(t, 3H, J=7.3Hz)
화합물 5a(190mg)를 물(5ml)와 메탄올(1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1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0g)을 물(10ml)와 메탄올(5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첨가하였다.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44m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39mg)을 첨가한 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22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75시간 교반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이미드(11m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8.9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얻어진 무정형의 물질을, Sep-Pak C18카트리지(워터즈사제) 및 Bio-Rad AG50W-X8(Na+form)컬럼으로 정제한 후, 다시 한번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으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6a(700m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시킨 후, GPC(컬럼: 토소-TSK Gel PW-4000XL, 용매: 20% 아세트니트릴 함유 0.1M NaCl 수용액, 유속: 0.8ml/min)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M 트리스완충액, pH 9.0, 0.10mg/ml)을 각각 도 3 및 도 4에 표시한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M 트리스완충액(pH 10.0): 아세트니트릴=7:3 중에서 366nm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기초하여 정량한 결과 3.3%(w/w)였다.
실시예 6: 탈보호제로서 포름산을 이용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 -Gly-Gly-Gly-Phe-NH-p-C6H4-CH2-O-CO-DX8951의 합성
덱스트란 T500(20g, 파마시아사제, 분자량 500K)를 0.1M 초산완충액(pH 5.5, 2000ml)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66.0g)의 수용액(2000ml)를 첨가하였다. 차광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ml)를 첨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정하고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법에 의한 탈염을 수행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10.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159K였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7.5g)을, 수산화나트륨(31.5g)을 물(225ml)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4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8.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274K이고, 카르복시메틸화도는 0.4였다.
Boc-Gly-Gly-Gly-Phe-OH(1000mg), 4-아미노벤질알콜(324m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464mg), N, N-디메틸포름아미드(10ml)의 혼합물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571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2:8 용액)로 정제하고 화합물 2b(122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9.91(s, 1H), 8.25(d, 1H, J=3.7Hz), 8.08-8.20(m, 2H), 7.54(d, 2H, J=8.3Hz), 7.25-7.29(m, 4H), 7.23(d, 2H, J=8.3Hz), 7.16-7.21(m, 1H), 6.95(t, 1H, J=5.9Hz), 5.08(d, 1H, J=5.9Hz), 4.62-4.67(m, 1H), 4.44(d, 2H, J=5.9Hz), 3.74(dd, 1H, J=4.9, 5.4Hz), 3.65(dd, 1H, J=5.9, 16.6Hz), 3.59(d, 2H, J=5.4Hz), 3.07(dd, 1H, J=5.4, 13.7Hz), 2.90(dd, 1H, J=9.3, 13.7Hz), 1.37(s, 9H).
화합물 2b(1160mg), 비스(4-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1303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555m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26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0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4일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6:4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3b(650mg)를 얻었다.
1H-NMR(DMSO-d6)δ: 10.07(s, 1H), 8.31(d, 1H, J=8.8Hz), 8.24-8.25(m, 1H), 8.09-8.12(m, 2H), 7.65(d, 2H, J=8.3Hz), 7.56(d, 2H, J=8.8Hz), 7.42(d, 2H, J=8.3Hz), 7.27-7.28(m, 5H), 7.18-7.19(m, 1H), 6.95(s, 1H), 5.68-5.73(m, 1H), 5.25(s, 2H), 4.64-4.69(m, 1H), 3.58-3.79(m, 6H), 3.08(dd, 1H, J=4.9, 13.7Hz), 2.91(dd, 1H, J=9.8, 13.7Hz), 1.37(s, 9H).
화합물 3b(576mg), DX-8951의 메탄설폰산염(497m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113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303ml)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10ml)의 혼합물을 온실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0.5% 초산을 포함하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2:8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4b(29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10.01(s, 1H), 8.24(d, 1H, J=9.8Hz), 8.09-8.13(m, 2H), 8.05(d, 1H, J=8.8Hz), 7.74(d, 1H, J=10.7Hz), 7.61(d, 2H, J=8.3Hz), 7.37(d, 2H, J=8.3Hz), 7.32(s, 1H), 7.24-7.27(m, 4H), 7.17-7.19(m, 1H), 6.94(s, 1H), 5.47(d, 1H, J=16.1Hz), 5.42(d, 1H, J=16.1Hz), 5.31(d, 1H, J=19.5Hz), 5.27-5.29(m, 1H), 5.24(d, 1H, J=16.1Hz), 5.09(s, 2H), 4.62-4.67(m, 1H), 3.73-3.78(m, 2H), 3.66(d, 1H, J=5.4Hz), 3.63(d, 1H, J=5.4Hz), 3.53-3.59(m, 2H), 3.23-3.27(m, 2H), 3.07(dd, 1H, J=4.9, 13.7Hz), 2.90(dd, 1H, J=9.8, 13.7Hz), 2.37(s, 3H), 2.17-2.23(m, 2H), 1.81-1.90(m, 2H), 1.36(s, 9H), 0.89(d, 1H, J=6.8Hz).
화합물 4b(200mg)를 포름산(4ml)에 용해시켜, 2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에테르(40ml)에 적하하였다. 침전을 에테르로 세정하여 화합물 5b(198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10.06(s, 1H), 8.20-8.41(m, 3H), 8.07(d, 1H, J=8.7Hz), 7.75(d, 1H, J=7.8Hz), 7.61(d, 2H, J=8.3Hz), 7.37(d, 2H, J=8.3Hz), 7.32(s, 1H), 7.21-7.30(m, 5H), 7.18-7.20(m, 1H), 5.41-5.48(m, 2H), 5.23-5.33(m, 3H), 5.08(s, 2H), 4.62-4.65(m, 1H), 3.77(s, 2H), 3.72-3.76(m, 1H), 3.63(dd, 1H, J=5.0, 16.5Hz), 3.58-3.60(m, 1H), 3.40(dd, 1H, J=6.9, 13.7Hz), 3.20-3.23(m, 1H), 3.10-3.13(m, 1H), 3.06(dd, 1H, J=5.0, 13.7Hz), 2.90(dd, 1H, J=9.6, 13.7Hz), 2.37(s, 3H), 2.15-2.22(m, 2H), 1.84-1.90(m, 2H), 0.88(d, 1H, J=6.9Hz)
화합물 5b(100mg)를 물(5ml)와 메탄올(10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100mg)을 물(10ml)와 메탄올(20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첨가하였다.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15m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26mg)을 첨가한 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실온에서 2시간 교반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25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이미드(13mg)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8.5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얻어진 무정형의 물질을, Sep-Pak C18카트리지(워터즈사제) 및 Bio-Rad AG50W-X8(Na+form)컬럼으로 정제한 후, 다시 한번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으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6b(405m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M 트리스완충액(pH 10.0): 아세트니트릴=7:3 중에서 366nm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기초하여 정량한 결과 1.7%(w/w)였다.
실시예 7: 탈보호제로서 포름산을 이용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 -Gly-Gly-NH-p-C6H4-CH2-O-CO-DX8951의 합성
덱스트란 T500(20g, 파마시아사제, 분자량 500K)를 0.1M 초산완충액(pH 5.5, 2000ml)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66.0g)의 수용액(2000ml)를 첨가하였다. 차광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ml)를 첨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로 조정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g)을 첨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정하고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정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법에 의한 탈염을 수행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10.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159K였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7.5g)을, 수산화나트륨(31.5g)을 물(225ml)에 용해시켜 얻어지는 수용액에 첨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45g)을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동결건조하고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8.5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젤여과, 플루란표준)은 274K이고, 카르복시메틸화도는 0.4였다.
Boc-Gly-Gly-OH(2.3g), 4-아미노벤질알콜(2.0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3.29g), N, N-디메틸포름아미드(20ml)의 혼합물에,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4.05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4:6 용액)로 정제하여 화합물 2c(2.9g)을 얻었다.
1H-NMR(DMSO-d6)δ: 9.75(s, 1H), 8.15(s, 1H), 7.54(d, 2H, J=8.3Hz), 7.23(d, 2H, J=8.3Hz), 7.07(s, 1H), 5.09(t, 1H, J=8.6Hz), 4.44(d, 2H, J=8.6Hz), 3.88(s, 2H), 3.60(s, 1H), 1.39(s, 9H).
화합물 2c(1.0g), 비스(4-니트로페닐) 카르보네이트(2.72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1.17ml), 4-(디메틸아미노)피리딘(55mg)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ml)의 혼합물을 실온에서 3일간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6:4 용액)으로 정제하여 화합물 3c(376mg)를 얻었다.
1H-NMR(DMSO-d6)δ: 9.92(s, 1H), 8.31(d, 1H, J=9.3Hz), 8.14-8.25(m, 2H), 7.65(d, 2H, J=8.3Hz), 7.56(d, 2H, J=9.3Hz), 7.41(d, 2H, J=8.3Hz), 7.05(d, 1H, J=5.4Hz), 5.25(s, 2H), 3.91(d, 2H, J=4.9Hz), 3.61(d, 2H, J=5.4Hz), 1.40(s, 9H).
화합물 3c(338mg), DX-8951의 메탄설폰산염(400mg),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109mg),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0.243ml) 및 N, N-디메틸포름아미드(20ml)의 혼합물을 온실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감압건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 컬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0.5%초산을 포함하는 디클로로메탄: 메탄올=94:6 용액)로 정제하여 화합물 4c(460mg)을 얻었다.
1H-NMR(DMSO-d6)δ: 9.84(s, 1H), 8.13-8.15(m, 1H), 8.04(d, 1H, J=8.8Hz), 7.73(d, 1H, J=10.7Hz), 7.60(d, 2H, J=8.3Hz), 7.37(d, 2H, J=8.3Hz), 7.32(s, 1H), 7.04(d, 1H, J=5.9Hz), 6.48(s, 1H), 5.46(d, 1H, J=16.1Hz), 5.41(d, 1H, J=16.1Hz), 5.31(d, 1H, J=19.0Hz), 5.26-5.29(m, 1H), 5.24(d, 1H, J=19.0Hz), 5.08(s, 2H), 3.90(d, 2H, J=4.9Hz), 3.61(d, 2H, J=5.9Hz), 3.07-3.12(m, 2H), 2.37(s, 3H), 2.15-2.23(m, 2H), 1.83-1.92(m, 2H), 1.39(s, 9H), 0.89(d, 1H, J=7.3Hz).
화합물 4c(100mg)를 포름산(4ml)에 용해시켜, 2시간 방치하였다. 반응액을 에테르(40ml)에 적하하였다. 침전물을 에테르로 세정하여 화합물 5c(98mg)를 얻었다.
1H-NMR(DMSO-d6)δ: 10.02(s, 1H), 8.24-8.30(m, 3H), 8.05-8.09(m, 1H), 7.73-7.76(m, 2H), 7.59(d, 2H, J=6.6Hz), 7.34-7.38(m, 3H), 6.51(s, 1H), 5.41-5.49(m, 2H), 5.24-5.31(m, 3H), 5.08(s, 2H), 3.95(s, 2H), 3.28(s, 2H), 3.07-3.14(m, 2H), 2.39(s, 3H), 2.14-2.28(m, 2H), 1.86-1.90(m, 2H), 0.90(d, 1H, J=6.0Hz)
화합물 5c(95mg)를 물(15ml)와 메탄올(15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실시예 1에서 얻어진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000mg)을 물(15ml)와 메탄올(15ml)에 용해시킨 용액에 첨가하였다. 1-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28mg),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53mg)을 첨가한 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실온에서 3시간 교반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26mg)을 첨가하였다.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한 후,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이미드디온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반응액을 0.1규정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를 8.5로 조정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얻어진 무정형의 물질을, Sep-Pak C18카트리지(워터즈사제) 및 Bio-Rad AG50W-X8(Na+form) 컬럼으로 정제한 후, 다시 한번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으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화합물 6c(588m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 후, GPC(컬럼: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20% 아세트니트릴 함유 0.1M NaCl 수용액, 유속: 0.8ml/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균질화액 완충액, pH 9.0, 0.12mg/ml) 을 각각 도 5 및 도 6에 표시한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M 트리스완충액, (pH 10.0): 아세트니트릴=7:3 중에서 366nm에 있어서의 흡광도에 기초하여 정량한 결과 3.3%(w/w)였다.
실시예 8: 약물복합체로부터의 의약화합물의 유리
37℃의 Meth A(murine fibrosarcoma Meth A) 균질화액 또는 완충액에 실시예 5, 6, 및 7에서 얻은 약물복합체를 용해하여(50㎍/ml), 20시간 후에 유리된 DX-8951을 정량하였다. 스페이서와 DX-8951을 p-아미노벤질옥시카르보닐기를 개재하지 않고 결합한 화합물을 제조하여 비교화합물로 이용하였다. 결과를 표 4에 제시한다. 실시예 5, 6, 및 7의 약물복합체는, 약산성의 균질화액 안에서 빠르게 유리되었지만, 완충액 안에서는 거의 유리되지 않았다. 한편, 비교화합물은 약산성의 균질화액 안에서 극히 소량 유리되었지만, 완충액 안에서는 전혀 유리되지 않았다.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비교화합물
Meth A 균질화액(pH 4.5) 110.69 15.48 0.44 0.85
Meth A 균질화액(pH 5.5) 110.31 4.97 0.37 0.12
Meth A 균질화액(pH 6.5) 42.71 1.78 0.55 0.01
완충액(pH 4.5) 0.79 0.12 0.15 0.00
완충액(pH 5.5) 0.71 0.19 0.12 0.00
완충액(pH 6.5) 0.8 0.23 0.16 0.00
혈장 0.13 0.51 0.12 0.00
실시예 9: Meth A 담암 마우스에 대한 실시예 5, 실시예 6, 및 실시예 7의 약물복합체의 최대내량(MTD, Maximum Tolerated Dose)
Meth A 세포를 BALB/c계 마우스에 이식하고 Meth A 담암 마우스를 작성하여, 13일째에 실시예 5, 실시예 6 및 실시예 7에서 얻은 약물복합체를 단회 투여하였다. 투여 후, 경시적으로 체중측정, 독성사의 유무의 관찰을 실시하고, 최대체중감소율, 사망율을 표 5에 정리하였다. 투여량은 DX-8951의 무수유리염기의 중량으로 환산한 것을 나타낸다.
화합물 투여량(mg/kg) BWLmaxa(%)[day] Nb
대조군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01052.51.250.6251052.51.2530201052.5 〈027.1[18]28.6[18]28.9[20]5.0[18]2.0[14]27.1[18]24.0[18]22.1[20]2.4[14]14.6[16]14.2[16]13.7[16]25.4[18]31.0[21] 0/33/33/33/30/30/33/33/30/30/33/33/33/33/33/3
a체중의 최대감소율 (괄호 안은 최대감소가 관측된 날)
〈0은 체중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b사망한 마우스/사용한 마우스
체중감소 및 사망예가 관찰된 투여량으로부터, 각 복합체의 MTD를 이하와 같이 판단하였다.
MTD (mg/kg)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25~2.5 2.5 〈2.5
실시예 5에서 얻은 약물복합체의 MTD는 실시예 1에서 얻은 약물복합체의 MTD(실시예 3 참조)의 약 1/3이고, 실시예 1에서 얻은 약물복합체를 이용한 경우의 DX-8951의 유리율(실시예 2의 표 참조)이, 실시예 5에서 얻은 약물복합체를 이용한 경우의 DX-8951의 유리율의 약 1/3(실시예 8의 표 참조)인 것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0: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 표시한 복합체의 항종양 활성
Meth A 세포를 BALB/c계 마우스에 이식하고 Meth A 담암 마우스를 작성하여, 이식 후 7일째에 실시예 1,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제시한 약물복합체를 단회 투여하였다. 종양의 중량을 21일째에 측정하고, 종양에 대한 억제 효과와 독성을 평가하엿다. 결과를 표에 제시한다. 표 중, *는 다네트 검정으로 유의차 있음을 나타내고(***P〈0.001, **P〈0.01, *P〈0.05), 투여량은 DX-8951의 무수유리염기의 중량으로 환산한 것을 나타내고, IR은 종양의 축소율을 나타낸다. 실시예 5 및 실시예 6에서 제시한 약물복합체가 용량의존적으로 종양의 축소 효과를 발휘함이 명백하다.
또한, 실시예 5에서 제시한 약물복합체의 최소유효용량은, 실시예 1에서 제시한 약물복합체의 최소유효용량의 약 1/3이고, 종양 균질화액 안에서의 DX-8951의 유리율(실시예 2의 표 및 실시예 8의 표 참조) 및 Meth A 담암 마우스에서의 MTD(실시예 3의 표 및 실시예 9 참조)에 있어서, 같은 유리가 관찰된 것과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화합물 투여량(mg/kg) 종양중량평균치(g) IR(%) BWLmaxa(%)[day] Nb
대조군실시예 1실시예 5실시예 6 07.552.51.250.6251.8751.250.6250.31250.156252.51.250.6250.31250.15625 2.624±0.4170.005±0.003***0.004±0.001***0.031±0.014***0.775±0.207***1.489±0.215**0.011±0.003***0.010±0.004***0.328±0.164***1.128±0.173***2.394±0.2310.012±0.004***0.016±0.008***0.272±0.066***1.419±0.163**1.645±0.191* 01001009971431001008857910099904637 〈026.1[16]4.0[13]〈0〈0〈012.3[13]〈0〈0〈0〈025.9[13]〈0〈0〈0〈0 0/62/60/60/60/60/60/60/60/60/60/63/60/60/60/60/6
a체중의 최대감소율 (괄호 안은 최대감소가 관측된 날)
〈0은 체중감소가 관찰되지 않았음을 나타낸다.
b사망한 마우스/사용한 마우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종양부위 등에 대하여 부위 선택적으로 이행하고, 그 부위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을 빠르게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유리 후의 의약화합물에는 스페이서 부분에 유래하는 아미노산이 잔존하지 않기 때문에, 기대되는 의약화합물의 약효를 확실하게 발휘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22)

  1.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약물복합체:
    A-R-NH-Y-CH2-O-CO-Q
    상기 식에서,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및,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
  2. 제 1항에 있어서,
    약물담체가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인
    약물복합체.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R이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인
    약물복합체.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p-페닐렌기인
    약물복합체.
  5.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Y가 비치환 p-페닐렌기인
    약물복합체.
  6. 제 2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유도체가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인
    약물복합체.
  7. 제 6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구성하는 덱스트란폴리알콜이, 실질적으로 완전하게 폴리알콜화 가능한 조건하에서 덱스트란을 처리하여 얻어진 덱스트란폴리알콜인
    약물복합체.
  8. 제 6항 또는 제 7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인
    약물복합체.
  9. 제 1항 내지 제 8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이 항종양제 또는 항염증제인
    약물복합체.
  10. 제 1항 내지 제 9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미노기를 가지는 의약화합물이 이 아미노기를 개재하여 A-R-NH-Y-CH2-O-CO-와 결합한 기재된
    약물복합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이 (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인
    약물복합체.
  12. 제 11항에 있어서,
    R이 -Gly-Gly-Phe-Gly-인
    약물복합체.
  13. 제 11항에 있어서,
    R이 -Gly-Gly-Gly-Phe-인
    약물복합체.
  14.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DDS화합물:
    A-R-NH-Y-CH2-O-CO-Q
    상기 식에서,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및,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
  15. 제 14항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이 (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인
    DDS화합물.
  16. 제 15항에 있어서,
    R이 -Gly-Gly-Phe-Gly-인
    DDS화합물.
  17. 제 15항에 있어서,
    R이 -Gly-Gly-Gly-Phe-인
    DDS화합물.
  18. R'-NH-Y-CH2-O-CO-Q로 표시되는 화합물:
    상기 식에서,
    R'는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고, N말단이 보호되어 있거나 또는 보호되어 있지 않은 기를 나타내고;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며; 및,
    Q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나타낸다.
  19. 제 18항에 있어서,
    Y가 비치환 p-페닐렌기이고, R'가 H-Gly-Gly-Phe-Gly-로 표시되는 기이며, 의약화합물이 (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인
    화합물.
  20. 제 18항에 있어서,
    Y가 비치환 p-페닐렌기이고, R'가 H-Gly-Gly-Gly-Phe-로 표시되는 기이며, 의약화합물이 (1S, 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 3-디하이드로-9-하이드록시-4-메틸-1H, 12H-벤조[de]피라노[3', 4': 6, 7]인돌리지노[1, 2-b]퀴놀린-10, 13(9H, 15H)-디온인
    화합물.
  21. 하기의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A-R-NH-Y-CH2-O-CO-X
    상기 식에서,
    A는 약물담체인 고분자를 나타내고;
    R은 1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 또는 펩티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나타내며;
    Y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페닐렌기를 나타내고; 및,
    X는 수산기, -O-M(M은 카르복실기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또는 이탈기를 나타낸다.
  22. 제 18항 내지 제 21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항 내지 제 11항의 어느 한 항에 개시된 약물복합체의 제조에 이용하는
    화합물.
KR1020007013102A 1998-05-22 1999-05-21 약물복합체 KR10058144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10/140915 1998-05-22
JP14091598 1998-05-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2385A true KR20010052385A (ko) 2001-06-25
KR100581443B1 KR100581443B1 (ko) 2006-05-23

Family

ID=15279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3102A KR100581443B1 (ko) 1998-05-22 1999-05-21 약물복합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835807B1 (ko)
EP (1) EP1080732A4 (ko)
JP (1) JP4560210B2 (ko)
KR (1) KR100581443B1 (ko)
CN (1) CN1250293C (ko)
AU (1) AU3733399A (ko)
CA (1) CA2333321A1 (ko)
EA (1) EA003398B1 (ko)
HK (1) HK1040052B (ko)
NO (1) NO20005913L (ko)
TW (1) TWI253935B (ko)
WO (1) WO1999061061A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2038A (ko) * 2014-01-31 2018-11-09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US10227417B2 (en) 2013-12-25 2019-03-1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TROP2 antibody-drug conjugate
US10906974B2 (en) 2017-01-17 2021-02-0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GPR20 antibody and anti-GPR20 antibody-drug conjugate
US11077202B2 (en) 2017-05-15 2021-08-03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CDH6 antibody and anti-CDH6 antibody-drug conjugate
US11173213B2 (en) 2015-06-29 2021-11-16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selectively manufacturing antibody-drug conjugate
US11185594B2 (en) 2014-04-10 2021-11-30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HER2 antibody)-drug conjugate
US11273155B2 (en) 2016-12-12 2022-03-15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Combin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 and immune checkpoint inhibitor
US11298359B2 (en) 2014-04-10 2022-04-1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HER3 antibody-drug conjugate
US11318212B2 (en) 2017-08-31 2022-05-03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ntibody-drug conjugate
US11872289B2 (en) 2018-05-18 2024-01-16 Daiichi Sankyo Co., Ltd. Anti-MUC1 antibody-drug conjugate
US11945882B2 (en) 2017-08-31 2024-04-0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ntibody-drug conjugat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7183B (en) 1996-06-06 2003-04-11 Daiichi Seiyaku Co Drug complex
AU765409B2 (en) 1998-10-30 2003-09-18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DS compounds and method for assaying the same
AU2001267831A1 (en) * 2000-06-29 2002-01-08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DS compoun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WI313609B (en) * 2001-08-21 2009-08-21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metastasis or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malignant tumor
AU2003288467A1 (en) * 2002-12-13 2004-07-09 Immunomedics, Inc. Immunoconjugates with an intracellularly-cleavable linkage
US7282590B2 (en) * 2004-02-12 2007-10-16 The Research Foundation Of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Drug conjugates
EP1718667B1 (en) * 2004-02-23 2013-01-09 Genentech, Inc. Heterocyclic self-immolative linkers and conjugates
JP2009508852A (ja) * 2006-01-23 2009-03-05 クワンジュ インスティチュート オブ サイエンス アンド テクノロジー 薬理活性物質と粘膜粘着性高分子とが共有結合されたコンジュゲ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薬理活性物質の経粘膜運搬方法
CN1973902B (zh) * 2006-12-12 2010-11-10 东北师范大学 以人参多糖为载体的抗肿瘤药物阿霉素复合物及制备方法
BRPI0910570A2 (pt) * 2008-04-22 2015-09-22 Fidia Farmaceutici uso de bioconjugados, e, formulações farmacêuticas
PE20130342A1 (es) 2010-04-15 2013-04-20 Spirogen Sarl Pirrolobenzodiacepinas y conjugados de las mismas
WO2011150022A2 (en) 2010-05-25 2011-12-01 Syndevrx, Inc. Polymer-conjugated metap2 inhibitors, and therapeutic methods of use thereof
US9895449B2 (en) 2010-05-25 2018-02-20 Syndevrx, Inc. Polymer-conjugated MetAP2 inhibitors, and therapeutic methods of use thereof
PT2750713E (pt) 2011-10-14 2016-01-20 Genentech Inc Pirrolobenzodiazepinas e conjugados das mesmas
PL2773671T3 (pl) 2011-11-04 2022-01-24 Zymeworks Inc. Projekt stabilnego przeciwciała heterodimerycznego z mutacjami w domenie fc
WO2013177481A1 (en) 2012-05-25 2013-11-28 Immunogen, Inc. 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EP3632471A1 (en) * 2012-10-11 2020-04-08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body-drug conjugate
RS53818B1 (en) 2012-10-12 2015-06-30 Spirogen Sàrl PIROLOBENZODIAZEPINI I NJIHOVI conjugated
PT2906296T (pt) 2012-10-12 2018-06-01 Medimmune Ltd Conjugados de pirrolobenzodiazepina-anticorpo
KR101995621B1 (ko) 2012-10-12 2019-07-03 에이디씨 테라퓨틱스 에스에이 피롤로벤조디아제핀-항-cd22 항체 컨주게이트
WO2014057120A1 (en) 2012-10-12 2014-04-17 Adc Therapeutics Sàrl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CA2887895C (en) 2012-10-12 2019-10-29 Adc Therapeutics Sarl Pyrrolobenzodiazepine-anti-cd19 antibody conjugates
ES2680153T3 (es) 2012-10-12 2018-09-04 Adc Therapeutics Sa Conjugados de anticuerpos anti-PSMA-pirrolobenzodiazepinas
JP6270859B2 (ja) 2012-10-12 2018-01-31 エイディーシー・セラピューティクス・エス・アー・エール・エルAdc Therapeutics Sarl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抗体結合体
EP2910573B1 (en) * 2012-10-19 2020-02-19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body-drug conjugate produced by binding through linker having hydrophilic structure
CN110452242A (zh) 2012-12-21 2019-11-15 麦迪穆有限责任公司 吡咯并苯并二氮杂卓及其结合物
CN105246894A (zh) 2012-12-21 2016-01-13 斯皮罗根有限公司 用于治疗增殖性和自身免疫疾病的非对称吡咯并苯并二氮杂卓二聚物
JP6340019B2 (ja) 2013-03-13 2018-06-06 メドイミューン・リミテッドMedImmune Limited ピロロベンゾジアゼピン及びそのコンジュゲート
CA2905181C (en) 2013-03-13 2020-06-02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for providing targeted therapy
KR102057755B1 (ko) 2013-03-13 2019-12-19 메디뮨 리미티드 피롤로벤조디아제핀 및 그의 컨쥬게이트
DK2984085T3 (da) 2013-04-10 2019-10-21 Syndevrx Inc Modificerede eller polymerkonjugerede fumagillol metap2-hæmmere til anvendelse i behandling af fedme
US9950078B2 (en) 2013-10-11 2018-04-24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EP3054983B1 (en) 2013-10-11 2019-03-20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US9956299B2 (en) 2013-10-11 2018-05-01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GB201317982D0 (en) 2013-10-11 2013-11-27 Spirogen Sarl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WO2015153401A1 (en) 2014-04-04 2015-10-08 Merck Sharp & Dohme Corp Phosphate based linkers for intracellular delivery of drug conjugates
GB201406767D0 (en) 2014-04-15 2014-05-28 Cancer Rec Tech Ltd Humanized anti-Tn-MUC1 antibodies anf their conjugates
WO2016037644A1 (en) 2014-09-10 2016-03-17 Medimmune Limite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GB201416112D0 (en) 2014-09-12 2014-10-29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EP3223854A1 (en) 2014-11-25 2017-10-04 ADC Therapeutics SA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GB201506389D0 (en) 2015-04-15 2015-05-27 Berkel Patricius H C Van And Howard Philip W Site-specific antibody-drug conjugates
GB201506411D0 (en) 2015-04-15 2015-05-27 Bergenbio As Humanized anti-axl antibodies
GB201506402D0 (en) 2015-04-15 2015-05-27 Berkel Patricius H C Van And Howard Philip W Site-specific antibody-drug conjugates
US10800826B2 (en) 2015-10-05 2020-10-13 Merck Sharp & Dohme Corp. Antibody peptide conjugates that have agonist activity at both the glucagon and glucagon-like peptide 1 receptors
US11510993B2 (en) 2015-10-06 2022-11-29 Merck Sharp & Dohme Llc Antibody drug conjugate for anti-inflammatory applications
KR20180093995A (ko) 2015-12-10 2018-08-22 신데브알엑스, 인크. 푸마길롤 유도체 및 그의 다형체
US10646463B2 (en) 2016-01-11 2020-05-12 Syndevrx, Inc. Treatment for tumors driven by metabolic dysfunction
GB201601431D0 (en) 2016-01-26 2016-03-09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s
WO2017132103A2 (en) 2016-01-29 2017-08-03 Merck Sharp & Dohme Corp. Phosphonate linkers and their use to facilitate cellular retention of compounds
GB201602356D0 (en) 2016-02-10 2016-03-23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GB201602359D0 (en) 2016-02-10 2016-03-23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GB201607478D0 (en) 2016-04-29 2016-06-15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GB201617466D0 (en) 2016-10-14 2016-11-30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 conjugates
US11160872B2 (en) 2017-02-08 2021-11-02 Adc Therapeutics Sa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GB201702031D0 (en) 2017-02-08 2017-03-22 Medl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CN110582505B (zh) 2017-04-18 2021-04-02 免疫医疗有限公司 吡咯并苯并二氮杂*缀合物
CN110536703A (zh) 2017-04-20 2019-12-03 Adc治疗有限公司 使用抗axl抗体-药物缀合物的组合疗法
US11318211B2 (en) 2017-06-14 2022-05-03 Adc Therapeutics Sa Dosage regimes for the administration of an anti-CD19 ADC
SI3668874T1 (sl) 2017-08-18 2022-04-29 Medimmune Limited Pirolobenzodiazepinski konjugati
GB201803342D0 (en) 2018-03-01 2018-04-18 Medimmune Ltd Methods
GB201806022D0 (en) 2018-04-12 2018-05-30 Medimmune Ltd Pyrrolobenzodiazepines and conjugates thereof
CN113453721A (zh) 2018-10-26 2021-09-28 辛德弗雷克斯公司 Metap2抑制剂的生物标志物及其应用
CA3137373A1 (en) 2019-04-24 2020-10-29 Heidelberg Pharma Research Gmbh Amatoxin antibody-drug conjugates and uses thereof
GB201908128D0 (en) 2019-06-07 2019-07-24 Adc Therapeutics Sa Pyrrolobenzodiazepine-antibody conjugates
CN110339181A (zh) * 2019-07-02 2019-10-18 中国药科大学 一种基于点击反应的pH响应型纳米制剂及其制法和应用
BR112022000297A2 (pt) 2019-07-10 2022-03-15 Cybrexa 3 Inc Conjugados de peptídeos de agentes de alvo de microtúbulos como terapêuticos
CN114341162A (zh) 2019-07-10 2022-04-12 赛博克萨2公司 作为治疗剂的细胞毒素的肽缀合物
AU2021213421A1 (en) 2020-01-31 2022-06-23 Innate Pharma Treatment of cancer
WO2022043256A1 (en) 2020-08-23 2022-03-03 Cobiores Nv Synergistic combinations of anticancer drugs linked to a tetrapeptidic moiety and immunotherapeutic agents
WO2022112356A1 (en) 2020-11-25 2022-06-02 Innate Pharma Treatment of cancer
CA3203072A1 (en) 2020-12-22 2022-06-30 Andrea CASAZZA Compounds comprising a tetrapeptidic moiety
WO2022167664A1 (en) 2021-02-07 2022-08-11 Cobiores Nv Compounds comprising a tetrapeptidic moiety
US11806405B1 (en) 2021-07-19 2023-11-07 Zeno Management, Inc. Immunoconjugates and methods
US20230355792A1 (en) 2022-04-07 2023-11-09 Heidelberg Pharma Research Gmbh Methods of improving the therapeutic index
WO2023227660A1 (en) 2022-05-25 2023-11-30 Innate Pharma Nectin-4 binding agent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081025A1 (en) 1991-02-21 1992-08-22 Kazuhiro Inoue Carboxymethylmannoglucans and derivatives thereof
JP3359955B2 (ja) * 1992-07-16 2002-12-24 第一製薬株式会社 抗腫瘍剤
DE69425464T2 (de) * 1993-02-26 2001-05-23 Drug Delivery System Inst Ltd Polysaccharidderivat und wirkstoffträger
US6214345B1 (en) * 1993-05-14 2001-04-10 Bristol-Myers Squibb Co. Lysosomal enzyme-cleavable antitumor drug conjugates
JPH0784481A (ja) 1993-06-26 1995-03-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CA2192725C (en) 1995-12-28 2004-04-20 Kenji Tsujihara Camptothecin derivatives
TW409058B (en) * 1996-06-06 2000-10-21 Daiichi Seiyaku Co Method for preparation of a drug complex
TW527183B (en) * 1996-06-06 2003-04-11 Daiichi Seiyaku Co Drug complex
US6368598B1 (en) * 1996-09-16 2002-04-09 Jcrt Radiation Oncology Support Services, Inc. Drug complex for treatment of metastatic prostate cancer
WO1998013059A1 (en) 1996-09-27 1998-04-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Hydrolyzable prodrugs for delivery of anticancer drugs to metastatic cells
CA2264610A1 (en) * 1996-11-05 1998-05-14 Bristol-Myers Squibb Company Branched peptide linkers
JPH1171280A (ja) 1997-06-26 1999-03-16 Tanabe Seiyaku Co Ltd 医薬組成物
JPH1192405A (ja) 1997-09-19 1999-04-06 Dai Ichi Seiyaku Co Ltd 薬物複合体
AU765409B2 (en) * 1998-10-30 2003-09-18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DS compounds and method for assaying the same

Cited B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27417B2 (en) 2013-12-25 2019-03-1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TROP2 antibody-drug conjugate
US11008398B2 (en) 2013-12-25 2021-05-18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TROP2 antibody-drug conjugate
KR20220154251A (ko) * 2014-01-31 2022-11-21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KR20180122038A (ko) * 2014-01-31 2018-11-09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US11795236B2 (en) 2014-01-31 2023-10-24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anti-HER2 antibody-drug conjugate
US10155821B2 (en) 2014-01-31 2018-12-18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HER2 antibody-drug conjugate
KR20210088745A (ko) * 2014-01-31 2021-07-14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KR20230113822A (ko) * 2014-01-31 2023-08-01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KR20210127803A (ko) * 2014-01-31 2021-10-22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KR20230042126A (ko) * 2014-01-31 2023-03-27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US11584800B2 (en) 2014-01-31 2023-02-21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of treating cancer comprising administration of anti-HER2 antibody-drug conjugate
KR20220100994A (ko) * 2014-01-31 2022-07-18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KR20210040181A (ko) * 2014-01-31 2021-04-12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KR20220025176A (ko) * 2014-01-31 2022-03-03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her2 항체-약물 접합체
US11185594B2 (en) 2014-04-10 2021-11-30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HER2 antibody)-drug conjugate
US11298359B2 (en) 2014-04-10 2022-04-1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HER3 antibody-drug conjugate
US11173213B2 (en) 2015-06-29 2021-11-16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selectively manufacturing antibody-drug conjugate
US11273155B2 (en) 2016-12-12 2022-03-15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Combination of antibody-drug conjugate and immune checkpoint inhibitor
US11434289B2 (en) 2017-01-17 2022-09-06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GPR20 antibody and anti-GPR20 antibody-drug conjugate
US10906974B2 (en) 2017-01-17 2021-02-0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GPR20 antibody and anti-GPR20 antibody-drug conjugate
US11446386B2 (en) 2017-05-15 2022-09-20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CDH6 antibody and method of producing an anti-CDH6 antibody-drug conjugate
US11077202B2 (en) 2017-05-15 2021-08-03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CDH6 antibody and anti-CDH6 antibody-drug conjugate
US11945882B2 (en) 2017-08-31 2024-04-02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ntibody-drug conjugate
US11318212B2 (en) 2017-08-31 2022-05-03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ntibody-drug conjugate
US11872289B2 (en) 2018-05-18 2024-01-16 Daiichi Sankyo Co., Ltd. Anti-MUC1 antibody-drug conjuga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40052B (zh) 2006-09-15
WO1999061061A1 (fr) 1999-12-02
NO20005913D0 (no) 2000-11-22
HK1040052A1 (en) 2002-05-24
CA2333321A1 (en) 1999-12-02
EP1080732A1 (en) 2001-03-07
NO20005913L (no) 2001-01-22
EA003398B1 (ru) 2003-04-24
CN1250293C (zh) 2006-04-12
AU3733399A (en) 1999-12-13
KR100581443B1 (ko) 2006-05-23
EP1080732A4 (en) 2004-08-25
EA200001217A1 (ru) 2001-06-25
JP4560210B2 (ja) 2010-10-13
US6835807B1 (en) 2004-12-28
CN1310631A (zh) 2001-08-29
TWI253935B (en) 2006-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1443B1 (ko) 약물복합체
JP4137184B2 (ja) 薬物複合体の製造方法
JP4137183B2 (ja) 薬物複合体
US7041818B2 (en) DDS compound and method for measurement thereof
CZ20032430A3 (cs) Konjugáty z hydroxyalkylškrobu a účinné látky
JP6704900B2 (ja) ポリオキサゾリン抗体薬物複合体
JPH1192405A (ja) 薬物複合体
CA2911478C (en) Conjugates for protection against nephrotoxic active compounds
US20030166513A1 (en) Dds compoun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0481434B1 (ko) 약물복합체의제조방법
JP2002030002A (ja) 薬物複合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