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50649A - 토질개량기 - Google Patents

토질개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50649A
KR20010050649A KR1020000056531A KR20000056531A KR20010050649A KR 20010050649 A KR20010050649 A KR 20010050649A KR 1020000056531 A KR1020000056531 A KR 1020000056531A KR 20000056531 A KR20000056531 A KR 20000056531A KR 20010050649 A KR20010050649 A KR 200100506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raw
cutter
improved
mix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65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11935B1 (ko
Inventor
가모시다야스히로
요시다야스히로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100506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506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1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11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5/00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 E02F5/22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 E02F5/223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for back-filling
    • E02F5/226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for special purposes for making embankments; for back-filling for back-filling with means for processing the soil, e.g. screening belts, separators; Padding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surface soil stabilisation for road building or like purposes, e.g. mixing local aggregate with bind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2Conveying equipment mounted on a dredg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4Loading devices mounted on a dredger or an excavator hopper dredgers, also equipment for unloading the hopp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7/00Equipment for conveying or separating excavated material
    • E02F7/06Delivery chutes or screening plants or mixing plants mounted on dredgers or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Consolidation Of Soil By Introduction Of Solidifying Substances Into Soil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Disintegrating Or Milling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 Road Repair (AREA)

Abstract

점토상의 흙과 토질개량재를 충분히 혼합하여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는 토질개량기로 한다.
하우징31내에 소일커터32와 임팩트해머33을 구비하고, 원료토와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하여 개량토로 하는 혼합기22와, 이 개량토를 반송하는 개량토반송장치30을 갖는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소일커터32를 드럼45에 커터46을 설치한 형상으로 하고, 이 커터46을 원료토반송장치27의 무단띠모양체36에 근접시키며 이 무단띠모양체36 과 드럼45와의 사이의 간격을 작게하여 원료토중의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가 드럼45와 무단띠모양체36과의 사이를 통과하지 않도록 한다.
이에 의해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가 임팩트해머33에 낙하공급되지 않으므로 임팩트해머33에 의해 입자직경이 작은 덩어리가 되도록 부수어 혼합하여 원료토에 토질개량재가 충분히 침투하여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토질개량기{SOIL IMPROVER}
본 발명은 쇄석(碎石)현장, 쉴드(shield)식 턴넬 굴삭 현장 등에서 생기는 흙탕물을 농축한 후에 탈수한 점토상의 흙을 토질개량하여 뒤채움(back filling)재나 노반재등으로서 재이용이 가능하게 하는 토질개량기에 관한 것이다.
토질개량기로서는 기체(機體)에 토지를 개량하는 원료토(土)와 토질개량재를 혼합하여 개량토로 하는 혼합기와, 이 혼합기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를 기체외부로 배출하는 배출콘베이어 장치를 설치한 것이 여러 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원평9-341347호(일본 특개평11-169739호 공보)에 나타낸 토질개량기가 제안되고 있다.
이 토질개량기는 도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아니한 기체에 혼합기1과, 개량토반송장치2와, 원료토반송장치3과, 개량재공급장치4와, 원료토호퍼5를 설치하고 있다. 원료토호퍼5내의 원료토6을 원료토반송장치3에서 혼합기1로 향하여 반송하고, 이 반송도중의 원료토6의 위에 개량재공급장치4로 토질개량재를 공급하며, 그후에 원료토6과 토질개량재를 혼합기1로 투입하여 부수어 혼합하고 개량토7을 개량토반송장치2에서 기체외부로 배출한다.
상술한 혼합기1은 케이스10안에 제1차 혼합기로서의 소일커터(soil cutter)11과 제2차 혼합기로서의 복수의 임팩트해머(회전자부 로터)12를 설치한 형상으로 원료토반송장치3에서 반송된 원료토6을 소일커터11로 잘라 떨어뜨려 임팩트해머12로 향하여 낙하시키고, 임팩트해머12로 원료토6과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하여 토질개량을 한다.
개량토7은 배출구8로부터 개량토반송장치2로 낙하된다.
한편, 쇄석작업현장에 있어서는, 산으로부터 원석을 채취하고, 이 원석을 파쇄기로 파쇄하며, 이 파쇄된 쇄석에 부착되어 있는 진흙찌꺼기등을 세척 제거하여 골재로 하고 있다.
상술의 제거된 진흙찌꺼기는 흙탕물 상태로 모아 농축한 후, 탈수프레스에 의해 탈수하여 탈수케이크(cake)라고 불려지고 있는 점토상의 흙으로서 처분하고 있다.
상술한 탈수케이크는 건조하면 표면으로부터 작은 흙가루가 비산하고, 빗물 등에 의해 부드러운 흙탕물형상으로 되돌아간다.
이 때문에 탈수케이크는 강도가 낮아,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하는 경우에, 좋은 날씨가 계속되면 작은 흙가루가 비산하고, 강우가 계속 되면 흘러 나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탈수케이크를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없으며 원석을 채취한 산등에 방치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자 등은 상술한 탈수케이크를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하기 위하여, 종래의 토질개량기로 토질을 개량하였지만 강도가 낮아, 작은 흙가루가 많은 토질 때문에 탈수케이크를 충분히 가늘게 부수어 고화재와 혼합하지 않으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재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개량토를 얻을 수가 없었다.
본 발명자등은 상술한 원인에 대하여 예의 연구·실험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것이 판명되었다.
상술한 소일커터11은 도3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13에 긴 커터14를 방사상으로 복수 취부하고 회전방향에 인접한 2개의 커터14와 회전축13과의 사이에 거의 V자모양의 큰 공간15를 갖는 형상으로 회전축13과 함께 커터14를 회전함으로서 원료토반송장치3에서 반송된 원료토6을 잘라 떨어뜨리는 것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34(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6안에 커터로 잘라지지 않는 점토덩어리16이 있으면, 이 점토덩어리16에 커터가 14가 닿고, 점토덩어리16을 원료토6안으로 밀어 넣으면서 커터14가 도34(b),(c)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토덩어리 16을 통과한다.
도34(d)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커터14가 점토덩어리16을 파내어 앞의 커터14로 향하여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나르게 하고, 이 점토덩어리 16이 앞의 커터14와 다음의 커터14와의 사이(상술한 대략 V자 형상의 큰 공간15)로 들어간다.
커터14가 다시 회전하면은 앞의 커터14와 다음의 커터14와의 사이에 들어간 점토덩어리16이 임팩트해머12로 향하여 낙하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소일커터11의 경우에, 커터로 잘라지지 않은 점토덩어리가 그대로 임팩트해머12로 향하여 낙하하므로, 입자의 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크게 된다.
입자 직경이 큰 덩어리는 토질개량재의 침투성이 나쁘고, 즉 주위에 토질개량재가 붙어도 가운데까지 개량이 진행되기 어려우므로 덩어리의 중심부는 점토상인 채로 되므로,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많으면, 원료토와 토질개량재를 충분히 혼합할 수가 없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개량토를 얻을 수가 없다.
또 종래의 혼합기1의 임팩트해머12는 회전축17에 4개의 해머18을 방사상으로 설치한 형상으로, 이 해머18은 표면이 매끄럽게 만곡된 거의 작은 마디 형상의 단조품이다.
이 때문에 해머18의 피혼합물(원료토와 토질개량재)과 부딪치는 두드림면이 좁고, 또한 만곡되어 있기 때문에 충격에 의해 부수는 성능이 나쁘며, 원료토(탈수덩어리)를 세립화할 수 없으며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높아진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원료토와 토질개량재를 충분히 혼합할 수 없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재이용할 수 있는 정도의 개량토를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탈수케이크등의 점토상의 흙과 토질개량재를 혼합하여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도록 한 토질개량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1은 자주식의 토질개량기의 전체측면도임.
도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3은 혼합기의 소일커터부분의 종단면도임.
도4는 혼합기의 소일커터부분의 횡단면도임.
도5는 커터 배열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낸 드럼의 전개도임.
도6은 커터 배열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드럼의 전개도임.
도7은 커터 배열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낸 드럼의 전개도임.
도8은 커터 배열의 제4 실시형태를 나타낸 드럼의 전개도임.
도9는 커터 배열의 제5 실시형태를 나타낸 드럼의 전개도임.
도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11은 혼합기의 임팩트해머 부분의 종단면도임.
도12는 도11의 A-A 단면도임.
도13은 도11의 B-B 단면도임.
도14는 도11의 C-C 단면도임.
도15는 소일커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종단면도임.
도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17은 후혼합기 부분의 측면도임.
도18은 도17의 평면도임.
도19는 도11의 D-D 단면도임.
도20은 회전커터의 측면도임.
도21은 후혼합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임.
도22는 도21의 평면도임.
도23은 후혼합기의 제3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임.
도24는 플레이트의 사시도임.
도25는 후혼합기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임.
도26은 후혼합기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측면도임.
도2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2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2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30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31은 토질개량재공급장치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낸 토질개량기의 개략 설명도임.
도32는 원료토반송장치의 제2 실시형태를 나타낸 혼합기부분의 단면도임.
도33은 종래의 토질개량기의 개략설명도임.
도34는 소일커터의 동작설명도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혼합기 2 : 개량토반송장치
3 : 원료토반송장치 4 : 토질개량재공급장치
5 : 원료토호퍼 6 : 원료토
11 : 소일커터 12 : 임팩트해머
14 : 커터 16 : 점토덩어리
17 : 회전축 18 : 해머
20 : 기체 22 : 혼합기
27 : 원료토반송장치 28 : 원료토호퍼
29 : 토질개량재공급장치 30 : 개량토반송장치
31 : 하우징 32 : 소일커터
33 : 임팩트해머 33a : 회전축
33b : 해머 33c : 두드림면
34 : 구동풀리 36 : 무단띠모양체
43 : 원통체 44 : 단판(端板)
45 : 드럼 46 : 커터
47 : 회전축 49 : 모터
50 : 일측커터열 51 : 타측커터열
55 : 제1 해머 57 : 제2 해머
59 : 제3 해머 60 : 후혼합기
61 : 구동풀리 64 : 콘베이어프레임
65 : 콘베이어용 모터 67 : 후혼합기취부용브라켓
70 : 프레임본체 73 : 회전축
76 : 커터 78 : 회전커터
80 : 커버체 82 : 후벽
85 : 풀리 86 : 풀리
87 : 벨트 89 : 플레이트
89a : 저판 89b : 세움판
90 : 2차벨트컨베이어 92 : 하우징
94 : 가대(架臺) 100 : 노즐
본 발명자 등은 상술한 것을 감안하여 예의 연구·실험한 결과, 혼합기의 소일커터의 형상을 드럼식으로 함으로서, 흙을 보다 가늘게 세립화할 수 있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안출하였다.
또 혼합기의 임팩트해머의 형상을 개량함으로서 흙이 보다 가늘게 세립화되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안출하였다.
또 개량토를 후혼합기로 다시 혼합함으로서 흙이 보다 가늘게 세립화될 수 있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안출하였다.
제1의 발명은 기체20에, 원료토호퍼28과, 이 원료토호퍼28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개량재공급장치29와, 반송된 원료토와 공급된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교반하여 토질개량토로 하는 혼합기22를 설치한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22는 소일커터32와 임팩트해머33을 구비하고, 이 소일커터32는 드럼45에 커터46을 설치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질개량기이다.
제1의 발명에 의하면, 드럼45를 회전하여 커터46으로 원료토반송장치27에서 반송되는 원료토를 잘라 떨어뜨려 임팩트해머33에 공급할 때에, 이 드럼45의 외표면과 원료토반송장치17의 반송면과의 간극보다도 큰 입도의 덩어리는 임팩트해머33으로 향하여 공급되지 않는다.
이에 의해 원료토중에 입도가 큰 덩어리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라도 개량토의 입자직경이 작아서, 원료토에 토질개량재가 충분히 침투하여 개량효과가 크게 된다.
따라서 점토상의 흙을 뒤채움재나 노반재등으로 다시 이용 가능한 개량토로 할 수가 있다.
제2의 발명은 제1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커터46의 드럼표면으로부터의 돌출높이는 개량토목표입자직경과 거의 같던가 그 이하로, 또한 드럼표면과 원료토반송장치27의 반송면의 최소틈새기는 개량토목표입자직경과 거의 동일한 토질개량기이다.
제2의 발명에 의하면, 개량토의 목표로 하는 입자직경과 거의 동일한 입자직경인 덩어리가 임팩트해머33으로 공급되므로 개량토의 입자직경은 거의 목표로 하는 입자직경으로 된다.
따라서 의도한 바대로의 개량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3의 발명은, 제1 또는 제2의 발명에 대하여 상기 커터46은 드럼45의 축방향과 평행에 대하여 경사진 토질개량기이다.
제3의 발명에 의하면 드럼45를 회전하여 커터46으로 원료토를 잘라 떨어뜨릴 때에 이 잘라 떨어진 원료토가 커터46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원료토가 커터46에 부착되어 막히는 일은 없다.
제4의 발명은 기체20에, 원료토호퍼28과, 이 원료토호퍼28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개량재공급장치29와, 반송된원료토와 공급된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교반하여 토질개량토로 하는 혼합기22를 설치한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22는 소일커터32와 복수의 임팩트해머33을 구비하고, 이 각 임팩트해머33은 회전축33a에 판상의 해머33b를 방사상으로 복수개 설치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질개량기이다.
제4의 발명에 의하면, 임팩트해머33의 해머33b는 판상이기 때문에 이 해머33b의 두드림면 33c는 평탄면으로 면적이 크므로, 소일커터33으로 잘라 떨어뜨려 낙하시켜서 공급된 원료토와의 충돌 효율이 좋으며 원료토의 입자 직경을 작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므로 원료토중에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가 혼입되어 있는 경우라도, 원료토의 입자 직경이 작게 되어 원료토에 토질개량재가 충분히 침투하여 개량효과가 크게 된다.
따라서 점토상의 흙을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로 할 수가 있다.
제5의 발명은 제4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해머33b의 선단면은 거의 파형상인 토질개량기이다.
제5의 발명에 의하면 각 해머33b의 선단면이 거의 파형상이므로 이 해머33b의 선단부분에 큰 입자직경의 원료토가 닿았을 때에 꼭지부가 원료에 닿고 저부는 닿지 않으므로 닿는 면적이 작아 여기에 부딪히는 면압이 높다.
따라서 원료토가 전단파괴(前斷破壞)되기 쉬워, 원료토가 부수어지지 않고 주위로 튀어 날아 가는 일이 없이, 효율이 좋게 부술 수가 있다.
또 인접한 임패트해머33의 해머33b의 상호간은, 파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마주하고 있으므로 이 해머 상호간에 간격을 작게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해머상호간을 거치지 않고 지나가는 원료토의 양이 감소되어 부숨성 및 혼합성이 향상된다.
이상과 같이 서로 어울려서 원료토의 입자직경이 확실하게 작게 되므로 토질개량효과가 보다 크게 된다.
제6의 발명은 기체20에, 원료토호퍼28과, 이 원료토호퍼28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개량재공급장치29와, 반송된 원료토와 공급된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교반하여 토질개량토로 하는 혼합기22와, 이 토질개량토를 반송하는 개량토반송장치30을 취부한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개량토반송장치3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를 부수어 혼합교반하는 후혼합기6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질개량기이다.
제6의 발명에 의하면, 원료토와 토질개량재가 혼합기22로 부수어 혼합교반되어 교량토로 된다.
이 개량토는 후혼합기60으로 다시 부수어 혼합교반되어 점도가 작은 개량토로 된다.
이와 같이 되므로, 원료토중에 입도가 큰 덩어리가 혼입되어 있으며 혼합기22로 토질개량된 개량토의 입자직경이 큰 경우라도, 입도가 작은 개량토를 얻을 수 있으며 원료토에 토질 개량재가 충분히 침투되어 개량효과가 크게 된다.
따라서 점토상의 흙을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로 할 수가 있다.
또 혼합기22로부터 배출된 개량토는 개량토반송장치30으로 반송될 때에 작은 입자직경의 덩어리가 복수 부착하여 큰 입자직경의 덩어리로 되는 일이 있지만 이 큰 입자직경의 덩어리는 후 혼합기 60에서 부수어지고 다시 작은 입자 직경의 덩어리로 된다.
따라서 후혼합기6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는 작은 입자직경의 덩어리로 되고, 눈으로 보았을 때에 충분히 토질개량된 개량토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7의 발명은, 제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혼합기60을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에 취부한 토질개량기이다.
제7의 발명에 의하면, 기체20과 함께 후혼합기60을 이동할 수가 있다.
제8의 발명은, 제6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후혼합기60은 기체20과 별개로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과 마주하여 배설한 토질개량기이다.
제8의 발명에 의하면, 개량토에 따라 후혼합기60을 설치한다던지 제거한다든지 할 수가 있다.
(토질개량기의 전체구조)
도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체20에 좌우의 주행체21,21이 취부되어 자주식(自走式)차량으로 하고 있다. 기체20의 전후중간부에 혼합기22가 설치되어 있다. 기체20의 전부(前部) 가까이에 엔진, 유압펌프등의 구동장치23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장치23은 커버24로 덮여져 있다. 상기 주행체21은 캐터필러(caterpillar)식으로 하고 있지만 차륜식으로 하여도 좋다. 또 기체20에 탑승대2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기체20의 후부 가까이에 취부용 프레임26이 기체20보다도 후방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취부용 프레임26에 원료토 반송장치27이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취부용 프레임26에 원료토호퍼28이 상기 원료토반송장치27의 후부 가까운 부분 위쪽에 위치하여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료토호퍼28과 상기 혼합기22와의 사이에 토질 개량재 공급장치2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 토질개량재 공급장치29에서 원료토반송장치27의 전부 가까운 부분의 위쪽을 덮고 있다.
상기 기체20의 하부에는 개량토반송장치30이 전후방향으로 향하여 취부되어 있다. 이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반송방향일측부(후부 가까이)는 상기 혼합기22의 아래쪽에 위치하며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반송방향타측부(전부 가까이)는 기체20보다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기체20에 주행체21을 취부하여 자주식의 토질개량기로 하고 있지만 기체20에 주행체21을 설치하지 아니하고 정치식(定置式)의 토질개량기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1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토질개량기의 개략구조)
상기 혼합기22는 도2에 나타낸바와 같이, 케이스31내에 제1차 혼합기로서의 소일커터32와 제2차 혼합기로서의 복수의 임팩트해머(회전자부 로터)33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원료토반송장치27은 구동륜34와 종동륜35에 무단띠모양체36을 감아걸은 콘베이어로 하고 있다. 이 원료토반송장치27의 배출단부는 혼합기22의 케이스31의 측벽31a에 형성하여 투입구37로부터 케이스31내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무단띠모양체36은 철제 트랙 브레이크 제동편(트랙슈:track shoe)을 다수 무단모양으로 연결한 케터필러로, 강성이 큰 것이다.
상기 원료토호퍼28의 배출구 가까이 에는 퍼냄로터38이 설치되어 있으며 원료토a의 잘라내는 높이b를 일정하게 한다. 상기 잘라내는 높이b란 원료토반송장치27에서 혼합기22로 향하여 반송하는 원료토a의 높이이다.
상기 원료토 반송장치27의 위쪽에는 흙의 높이를 검출하는 원료토센서39가 설치되어 있으며 원료토의 높이가 설정값 이상(잘라냄 높이b의 약 70%)으로 되면 ON이 되어 원료토가 흐르고 있는 것을 검출한다.
상기 토질개량재공급장치29는 호퍼40의 출구에 정량공급기구41을 설치한 형상이다.
상기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반송방향 일측부는 혼합기22의 케이스31의 배출구42의 아래쪽에 위치하고 있다.
(토질개량 동작의 설명)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호퍼28에 투입된 탈수 케이크등의 점토상의 원료토a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퍼내는 로터38에서 일정한 잘라냄 높이로 혼합기22로 향하여 반송된다. 원료토가 반송되면 원료토센서39가 ON으로 되고 정량공급기구41이 동작하여 이 원료토a의 위에 정량공급기구41에서 호퍼40내의 토질개량재가 낙하 공급된다.
혼합기22의 케이스31의 안에까지 반송된 원료토a와 토질개량재는 소일커터32로 잘라 떨어뜨리게 되고 임팩트해머33에서 부수어 혼합교반되어 원료토a의 토질을 개량하며 이 개량토c는 케이스31의 배출구42로부터 개량토반송장치30위로 낙하 공급되며 이 개량토반송장치30에서 기체 전방으로 반송된다.
다음에 소일커터32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도3과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체43의 축방향 양단부에 단판(端板)44를 각각 고정한 드럼45와, 이 원통체43의 외주면43a(드럼45의 외주면)에 고정한 복수의 커터46에서 드럼식의 소일커터32로 하고 있다.
상기 각 단판44사이에 걸쳐, 축47이 옆으로 걸쳐 고착하고 있다. 이 축47의 양단부분47a는 혼합기22의 케이스31의 좌우측벽31b,31b에 베어링48로 회전이 자유롭게 각각 지지되어 있다.
축47의 일단부분47a는 한쪽의 측벽31b에 설치된 모터49의 회전부분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49를 구동하므로서 소일커터32는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한다.
상기 커터46은 직사각형판 모양으로 이 커터46의 원통체43의 외주면43a 로부터의 돌출치수(돌출높이)는 개량토의 목표로 하는 입자직경과 거의 동일하던가 또는 작다. 예를 들면 15mm이다. 이 커터46은 원료토반송장치27의 무단띠모양체36의 표면36a와 약간의 틈새기S를 두고 서로 마주하고 있다. 이 틈새기S는 예를 들면 5mm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원통체43의 외부면43a와 원료토반송장치27의 무단띠모양체36의 표면36a(즉 원료토반송면)와의 최소 간극t는 상술한 개량토의 목표로 하는 입자직경과 거의 동일하던가 또는 작다. 예를 들면 20mm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되므로,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반송장치27에서 반송되는 원료토a는 소일커터32의 회전에 의해 커터46에서 소정 깊이로 잘라 떨어지게 된다.
이 잘라 떨어지게 되는 두께는, 상술한 커터46의 돌출 높이와 거의 동일하던가 또는 작은 값이다. 예를 들면 15mm 이하이다.
또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a안에 커터46으로 절삭할 수 없는 점토덩어리e가 있는 경우에는 이 점토덩어리2는 커터46으로 순차 이동되고 원통체43의 외주면43a와 무단띠모양체36의 표면36a와의 최소 간극부분을 통과하여 낙하한다.
상기 낙하하는 점토덩어리e의 크기(입자직경)는 원통체43의 외주면43a와 무단띠모양체36의 표면36a와 거의 최소 간극이던지 그 이하로, 큰 점토덩어리e는 낙하하지 않는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약 20mm크기의 점토덩어리e가 낙하한다.
상술한 커터46의 돌출높이, 틈새기S는 작은 쪽이 부숴 혼합하는 성능은 좋게 되지만 작업량이 적어지게 된다. 따라서 목표의 입자직경보다도 약간 큰 돌출높이, 예를 들면 목표입자직경 20mm에 대하여 돌출높이를 30mm로 하는 것도 있다.
상기 무단띠모양체36은 철제 트랙슈(track shoe)를 다수 무단상으로 연결한 케터필러로 강성이 크기 때문에 점토덩어리e가 최소 간격부분을 통과할 때에 무단띠모양체36이 점토덩어리e로 눌려져 만곡변형하지 않는다.
따라서 최소 틈새기보다도 큰 점토덩어리e가 통과하여 낙하하는 일이 없다.
상술한 소일커터36으로 잘라 떨어진 원료토와 토질개량재는 복수의 임팩트해머33에서 부수어 분쇄되고, 개량토c로서 개량토반송장치30위로 낙하한다.
그리고 개량토c는 개량토반송장치30에서 기체20의 외부로 반송된다.
상술한 드럼식 소일커터32와 종래와 같은 임팩트해머33을 구비한 혼합기22를 사용하여 탈수케이크에 토질개량재로서 시멘트를 혼합한 개량토는,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토질이다.
예를 들면 입자직경 20mm 이상의 큰 덩어리의 혼합비율이 5 ∼ 10% 의 개량토로, 뒤채움재나 노반 개량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커터46은 도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체43의 축방향 일측부분43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고정한 일측커터열50과 원통체43의 축방향 타측부분43c에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고정한 타측커터열51을 형성하도록 고정하고 있다.
상기 서로 마주한 일측 커터열50과 타측커터열51은 회전 방향으로 향하여 거의 V자 모양으로 되도록 경사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므로, 원료토를 커터46으로 잘라 떨어뜨릴 때에, 이 잘라 떨어지는 원료토는 원통체43의 축방향 중앙부로 향하여 이동하고, 잘라 떨어진 원료토는 원통체43의 축방향 중앙부분으로부터 낙하하므로 잘라 떨어진 원료토가 원통체43의 축방향 양단부로부터 낙하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잘라 떨어진 원료토는 임팩트해머33의 중앙부분에 집중적으로 낙하하므로 임팩트해머33으로 효율이 좋게 부수어 혼합할 수 있다.
상기 일측 커터열50을 형성하는 각 커터46은 원통체43의 원주 방향(회전방향)에는 간격을 두고 인접하며 또한 원통체43의 축방향에는 오버랩 되어 인접한다.
상기 일측 커터열50을 형성하는 각 커터46은 축방향으로 평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α만큼 경사져, 축방향 일단부46a가 축방향 타단부46b보다도 회전방향 전방 가까이로 되어 있다. 상기 각도α는 15도 ∼ 40도의 범위로서 도5에서는 30도 이다.
상기 타측커터열51을 형성하는 커터46은 원통체43의 원주방향(회전방향)에는 간격을 두어 인접하며 또한 원통체43의 축방향에는 오버랩 되어 인접한다.
상기 타측커터열50을 형성하는 각 커터46은 축방향으로 평행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α만큼 경사져 축방향타단부46b가 축방향일단부46a보다도 회전방향 전방 가까이로 되어 있다.
상기 각도α는 15도 ∼ 40도의 범위로서, 도5에서는 30도이다.
이와 같이 되므로 커터46에서 원료토를 잘라 떨어뜨릴 때에 이 잘라 떨어진 원료토는 커터46에 따라 이동하므로 잘라 떨어진 원료토가 커터46에 부착되어 막히는 일은 없다.
이것은 원료토가 탈수케이크등의 점토상의 흙의 경우에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커터46의 수는 도5에 나타낸 수보다도 많거나 적어도 좋다.
또 커터46에 원료토가 부착하는 것을 고려하지 않고 원료토의 세립화의 목적을 달성하는 것만 이라면, 커터46의 배열은 도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46의 각도α를 90도로 하여도 좋으며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터46의 각도α를 0도로 하여도 좋다.
또 도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커터열50, 타측커터열51을 연결한 한 개의 기다란 커터46으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다란 커터46을 원통체40의 축방향으로 연속하여 원주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서로 평행하게 고착하여도 좋다.
또 커터46은 볼트로 고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2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토질개량기의 개략 구조)
도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반송장치27, 원료토호퍼28, 토질개량재공급장치29, 개량토반송장치30은 제1실시예의 형태와 마찬가지이다. 혼합기22의 소일커터32는 종래와 동일하고 혼합기22의 임팩트해머33은 회전축33a에 4개의 판상의 해머33b를 방사상으로 설치한 블레이드식의 형상이다.
다음에 임팩트해머33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도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반송장치27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설치한 제1의 임팩트해머33-1과, 원료토반송장치27의 하방에 설치한 제2의 임팩트해머33-2와, 제1의 임팩트해머33-1과 제2의 임팩트해머33-2와 마주하며 또한 이들보다도 하방에 설치한 제3의 임팩트해머33-3을 구비하고 있다.
제1의 임팩트해머33-1은 화살표f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의 임팩트해머33-2는 화살표g방향으로 회전하며, 제3의 임팩트해머33-3은 화살표h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의 임팩트해머33-1의 해머33b와 제2의 임팩트해머33-2의 해머33b의 최소 간격 H-1은 크다. 예를 들면 50mm이다.
제1의 임팩트해머33-1의 해머33b와 제3의 임팩트해머33-3의 해머33b의 최소 간격 H-2는 작다. 예를 들면 -5mm이다. 즉 5mm 만큼 겹쳐 있다.
제2의 임팩트해머33-2의 해머33b와 제3의 임팩트해머33-3의 해머33b의 최소 간격 H-3은 중간이다. 예를 들면 15mm이다.
도11과 도12와 도13과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33a는 케이스31의 좌우측벽31b,31b사이에 걸쳐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된다. 각 회전축33a는 모터M으로 각각 회전 구동된다.
상기 회전축33a에는 제1·제2·제3브라켓 52, 53, 54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어 고정되며 이 제1 브라켓 52에 4개의 제1해머 55의 기부(基部)가 핀56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다.
이 제2 브라켓 53에 4개의 제2해머 57의 기부가 핀58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다.
이 제3 브라켓 54에 4개의 제3해머 59의 기부가 핀60으로 요동이 자유롭게 취부되어 있다.
상기 제1해머55와 제3 해머59는 폭이 좁은 기부55a, 59a와 폭이 넓은 선부(先部)55b, 59b를 갖는 판상으로, 그 선단면 55c, 59c는 파형상이다.
상기 제2 해머57은 제1·제3 해머 55, 59보다도 폭이 좁은 판상이다.
제1 임팩트해머33-1의 제2 해머57은 기부57a와 선부57b가 동일폭으로, 선단부57c는 거의 V자 형상으로, 제1 해머55, 제2 해머57,제3 해머59의 선단면55c, 57c, 59c가 거의 파형상으로 연속한다.
상기 제2 임팩트해머33-2의 제2 해머57과 제3 임팩트해머 33-3의 제2 해머57은 기부57a보다도 선부57b가 약간 좁고 선단면57c는 거의 山형상으로 제1 해머55, 제2 해머57,제3 해머59의 선단면55a, 57a, 59a가 거의 파형상으로 연속한다.
상기 제1 해머55, 제2 해머57, 제3 해머59의 회전방향 전방측의 면 (즉 해머33b의 두드림면33c)은 평탄면으로, 회전 중심으로부터 선단면까지의 거리가 종래의 해머보다도 김과 동시에 폭이 종래의 해머보다도 크고 면적이 종래의 해머보다도 크다.
상기 제1 임팩트해머33-1의 제1·제2·제3 해머 55, 57, 59와 제2 임팩트 해머33-2의 제1·제2·제3 해머 55, 57, 59는 도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상의 꼭지부와 저부가 서로 마주하고 있다. 즉 파형상이 1/2 피치 벗어나 서로 마주하고 있다.
또 파형상의 꼭지부간의 거리가 상술한 최소 간격 H-1에 상당한다.
상기 제2 임팩트해머33-2의 제1·제2·제3 해머 55, 57, 59와 제3 임팩트 해머33-3의 제1·제2·제3 해머 55, 57, 59는 도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상의 꼭지부가 서로 마주하고 있다.
이 파형상의 꼭지부간의 거리가 상술한 최소 간격 H-3에 상당한다.
상기 제1 임팩트해머33-1의 제1·제2·제3 해머 55, 57, 59와 제3 임팩트 해머33-3의 제1·제2·제3 해머 55, 57, 59는 도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파형상의 꼭지부와 저부가 서로 마주하고 또 꼭지부가 저부로 약간 들어가며, 이 파형상의 꼭지부간의 거리는 마이너스, 즉 중합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술한 최소 간격 H-2는 마이너스로, 제1 임팩트해머33-1의 각 해머와 제3 임팩트 해머33-3의 각 해머 상호간의 공간부 면적이 작아서, 그냥 통과하는 원료토의 양은 작다.
상기 소일커터32로 잘라 떨어지는 원료토는, 임팩트해머33의 해머로 타격되어 원료토에 토질개량재를 혼합하여 개량토로 한다.
상기 해머의 두드림면이 평탄면인 것, 및 이 두드림면의 면적이 큰 것으로, 원료토와 충돌할 때의 충돌 효율이 향상되고 충격에 의한 부숨성이 좋아 원료토가 세립화 된다.
따라서 원료토에의 토질개량재의 침투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이 되므로, 원료토중에 소일커터32로 절단되지 않은 점토덩어리가 있는 경우에 이 점토 덩어리가 임팩트해머33으로 작은 덩어리로 부수어진다.
따라서 상술한 임팩트해머33과 종래와 같은 소일커터32를 구비한 혼합기22를 사용하여, 탈수케이크에 토질개량재로서 시멘트를 혼합한 개량토는,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토질이다.
예를 들면 입자 직경 20mm 이상이 큰 입자의 혼입비율이 5 ∼ 10%의 개량토로, 뒤채움재나 노반 개량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다.
또 각 해머는 판상이므로 판재를 절단하는 것으로 해머를 제작할 수 있으므로 싼 값으로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그리고 해머는 단조품이라도 좋다.
또 각 해머의 선단면이 파형상이므로 이 해머의 선단부분에 큰 입자 직경의 원료토가 닿았을 때에 꼭지부가 원료토에 닿는 저부는 닿지 않으므로 닿는 면적이 작아져 여기에 부딪치는 면압이 높다.
이 때문에 원료토가 전단 파괴하기 쉽고, 원료토가 부수어지지 아니하고 주위로 튀어 날라가는 일이 없으므로 좋은 효율로 부술 수 있다.
즉 원료토가 부수어지지 않고 주위로 튀어 날라 가게 되면 이 튀어 날른 원료토가 해머로 향햐여 이동하여 오는 원료토와 부딪쳐, 이 원료토가 해머까지 이동하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 인접한 2개의 임팩트해머의 해머상호간은, 파형상의 공간부를 형성하여 마주하고 있으므로 이 해머상호간의 간격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해머상호간을 거치지 않고 지나가는 원료토의 양이 감소하여 부숨성 및 혼합성이 향상된다.
도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임팩트해머33-1의 각 해머33b와 제2 임팩트해머33-2의 각 해머33b 및 제1 임팩트해머33-1의 각 해머 33b와 제3 임팩트해머33-3의 각 해머33b 및 제2 임팩트해머33-2의 각 해머 33b와 제3 임팩트해머33-3의 각 해머33b가 그 선단부분이 상호 중합되도록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회전 중심으로부터 해머33b 선단면까지의 거리가 길게 되고 그만큼 해머33b의 두드림면33c의 면적이 크게 되므로 부숨성이 보다 한층 좋게 된다.
따라서 원료토가 보다 한층 작은 입도로 되므로 토질 개량재의 침투성이 보다 한층 향상된다.
또 각 해머33b의 선단면을 직선 형상으로 하여도 좋으며 각 해머33b를 회전축 33a에 요동하지 않도록 설치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3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토질개량기의 개략 구조)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22, 원료토반송장치27, 원료토호퍼28, 토질개량재공급장치29, 개량토반송장치30은 종래와 동일하다.
상기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반출부분에 후혼합기60을 설치한다. 혼합기22에서 토질개량되어 개량토반송장치30으로 반송되어 배출되는 개량토를 상술한 후혼합기60으로 다시 부수어 혼합한다.
이렇게 함으로서 혼합기22에서 충분히 토질개량이 되지 않고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많은, 예를 들면 혼입비율이 20%이상인 개량토가 후혼합기60에서 다시 부수어 혼합되어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적은, 예를 들면 5 ∼ 10%의 개량토로 된다.
따라서 토질개량재의 원료토에의 침투성이 향상되고 충분히 토질개량되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다음에 후혼합기60의 구체적인 형상을 설명한다.
상기 개량토반송장치30은 도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풀리61과 정동풀리62에 벨트63을 감아 걸은 벨트콘베이어이다.
도17과 도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구동풀리61은 한쌍의 콘베이어프레임64의 길이방향 일단부분사이에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구동풀리60은 한쪽의 콘베이어프레임64에 설치된 콘베이어용 모터65로 회전된다.
한쌍의 콘베이어프레임64사이에 걸쳐 단면이 대략 하향 コ자 형상의 콘베이어용커버체6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한쌍의 콘베이어프레임64의 길이방향 일단부분에 후혼합기 취부용 브라켓67이 각각 볼트68로 취부되어 있다.
이 후혼합기취부용브라켓67은 종판상(縱板狀)으로, 구동풀리61보다도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을 취부부69로 하고 있다.
이 취부부69에 후혼합기60의 프레임본체70이 취부되어 있다.
이 취부본체70은 한쌍의 길이가 긴 횡부재71과 이 횡부재71의 길이방향 일단부사이에 고착된 연결부재72로 평면형상 대략 コ자 형으로 이 한쌍의 횡부재71이 상기 한쌍의 후혼합기 취부용브라켓67의 취부부69에 각각 고착하고 있다.
상기 프레임본체70의 한쌍의 횡부재71의 길이 방향 타단부사이에 도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축73이 회전이 자유롭게 옆으로 걸쳐 지지되고 있다. 이 회전축73은 한쪽의 횡부재 71에 취부된 모터74로 회전된다.
상기 회전축73에는 도19와 도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브라켓75가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고착되어 있다. 이 각 브라켓75는 취부부75a를 방사상으로 복수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브라켓75의 각 취부부75a에는 복수의 커터76이 칼러(collar)77을 개재하여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취부하고 있다.
이 커터76과 회전축73으로 복수의 커터76을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한 방사상으로 구비한 회전 커터78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커터76은 두께 4.5mm의 플레이트로, 축방향에 인접한 커터76의 간격은 22mm이다.
상기 프레임본체70에 회전커터78을 에워싼 커버체8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커버체80은 전면판81과 후면판82와 한쌍의 측면판83으로 상부와 하부가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이 한쌍의 측판83이 프레임본체70의 한쌍의 횡부재71에 있어 회전축지지부분의 주위에 대략 링 형상의 스페이서84를 개재하여 설치하고 있다.
상기 커버체80의 상부 개구80a는 콘베이어용 커버체66과 연속하며, 하부개구부 80b는 하방으로 향하여 개구하고 있다.
상기 회전커터78의 회전축73(회전중심)은 구동풀리61(즉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보다도 반송방향측으로 위치가 엇갈리고, 콘베이어63으로 반송된 개량토는 회전커터78의 회전축73보다도 구동풀리61가까운 부분에 낙하한다.
혼합기22에서 부수어 혼합된 개량토는 개량토반송장치30의 벨트63으로 반송되고 이 개량토는 후혼합기60의 회전커터78에 있어 회전축73보다도 구동풀리61 가까이에 낙하하며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는 커터76에 충돌한다.
개량토가 커터76에 충돌하는 것으로 부수어 혼합된다.
이 때 인접한 커터76의 간격보다도 작은 입자직경의 덩어리는 인접한 커터76사이를 통과하여 낙하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커터76에 충돌한 개량토는 커터76의 회전에 의해 튀어 날라 커버체80의 후면판82에 충돌하고 다시 부수어 혼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80의 후면판82에 충돌한 개량토는 다시 커터76위에 충돌하여 더욱 부수어 혼합되고 커버체80의 하부개구80b로부터 낙하 배출된다.
그리고 커버체80의 후면판82와 커터76과의 최소 간격은 입자 직경이 큰 덩어리가 통과하지 않는 값, 예를 들면 20mm이하로,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가 커터76에 충돌하지 않고 낙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개량토는 후혼합기 60에서 다시 부수어 혼합되므로 이 개량토중에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가 부수어지고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적어지게 된다. 이에 의해 원료토와 토질개량재가 충분히 혼합되어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탈수케이크와 토질개량재를 혼합기22에서 부수어 혼합하여 토질개량한 개량토가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크고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없는 개량토이라도, 이 개량토를 후혼합기60에서 다시 부수어 혼합함으로서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적어져, 예를 들면 20mm 이상의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5%이하의 개량토로 된다.
이 개량토는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다시 이용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후혼합기60의 회전커터78을 모터75로 회전하지만 개량토반송장치30의 콘베이어용모터65로 회전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21과 도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풀리61의 축61a에 풀리85를 고착하고 회전커터68의 회전축73에 풀리86을 고착하며, 양풀리85, 86에 벨트87을 감아 걸고 콘베이어용 모터65로 회전커터78을 회전한다.
상기 후혼합기60은 회전커터78 대신에 혼합기22에 설치하고 있는 임팩트해머33을 이용하여도 좋다.
상기 후혼합기60은 개량토가 낙하 충돌하는 정도의 형상으로도 좋다.
예를 들면 도23에 나타낸바와 같이 콘베이어 프레임64에 취부브라켓88을 고착하고 이 취부브라켓88에 플레이트89를 수평에 대하여 경사지 자세로 고착한다.
벨트63으로부터 낙하하는 개량토C가 플레이트89에 낙하충돌하고 이 충돌로 개량토c가 부수어 혼합되어 플레이트89를 따라 낙하한다.
이 경우에는 상술한 커버체80내에 회전커터78을 설치한 후혼합기60의 경우보다도 부수어 혼합하는 성능이 저하하지만 입자직경이 큰, 예를 들면 20mm 이상의 덩어리의 혼합비율이 10%정도의 개량토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플레이트89는 도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의 저판89a의 양측가장자리에 세움판89b를 설치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낙하 충돌한 개량토가 주위로 비산하지 않고 저판89a를 따라 낙하한다.
이상 설명에서는 후혼합기60을 개량토반송장치30에 취부하였지만 개량토반송장치30과는 별개로 하여 설치하여도 좋다.
예를 들면 도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차벨트콘베이어90의 콘베이어프레임91에 하우징92를 브라켓93으로 취부하고 이 하우징92내에 상술한 회전커터78을 설치하여 후혼합기 60으로 한다.
원료토반송장치30에서 반송된 개량토C는 하우징92안으로 낙하하고 회전축73보다도 원료토반송장치30 가까이의 커터76과 충돌한다.
커터76으로 튀어 날라간 개량토는 하우징92의 후벽92a에 충돌하고, 다시 커터76에 충돌하여 배출된다.
도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대(架臺)94에 하우징92를 브라켓95로 취부하고 이 가대94에 차륜96을 설치하여 포터블식(portable)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가대94를 이동하여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의 하방에 후혼합기60을 설치하고 배출되는 개량토를 다시 부수어 혼합할 수가 있다.
그리고 도25, 26에 있어서 하우징92내에 회전커터78 대신에 혼합기22에 사용하는 임팩트해머33을 회전이 자유롭게 설치하여 후혼합기60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제4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22의 소일커터32를 상술한 드럼식 소일커터로 하고 임팩트해머33을 상술한 플레이트식의 임팩트해머33으로 한다.
이와 같이 하면 혼합기22안에서 원료토와 토질개량재가 충분히 부수어 혼합되므로 개량토중의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20mm이상의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5%이하로 된다.
따라서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충분히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22의 소일커터32를 드럼식의 소일커터32로 하고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에 후혼합기6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후혼합기6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중의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20mm이상의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5%이하로 된다.
따라서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충분히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22의 임팩트해머33을 플레이트식의 임팩트해머33으로 하고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에 후혼합기60을 설치한다.
이에 의하면 후혼합기6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중의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20mm이상의 덩어리)의 혼입비율이 5%이하로 된다.
따라서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충분히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22의 소일커터32를 드럼식의 소일커터32로 함과 동시에 임팩트해머33을 플레이트식의 임팩트해머33으로 한다.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에 후혼합기60을 설치한다.
이와 같이 하면 후혼합기6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중의 입자직경이 큰 덩어리(20mm이상의 덩어리)가 거의 혼입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뒤채움재나 노반재로서 충분히 다시 이용할 수 있는 개량토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혼합기22의 투입구 37의 가까이에 노즐100을 취부하고 이 노즐100으로부터 액체의 토질개량재를 부출하도록 하여 토질개량재 공급장치29로 한다. 그리고 노즐100을 혼합기22의 하우징31내에 가상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설치하여도 좋다.
이 토질개량재공급장치29는 상술한 각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3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료토반송장치27을 플레이트로 하여 원료토가 자중으로 미끄러져 떨어지도록 한다.
이 원료토반송장치27은 상술한 제1 ∼ 제7의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 있다.
(발명의 구성 부분에 발명의 작용효과가 함께 기재되어 있음.)

Claims (8)

  1. 기체20에, 원료토호퍼28과, 이 원료토호퍼28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개량재공급장치29와, 반송된 원료토와 공급된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교반하여 토질개량토로 하는 혼합기22를 설치한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22는, 소일커터32와 임팩트해머33을 구비하고, 이 소일커터32는 드럼45에 커터46을 설치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질개량기.
  2. 상기 커터46의 드럼표면으로부터의 돌출높이는 개량토 목표 입자직경과 거의 동일하던가 그 이하로, 또한 드럼표면과 원료토반송장치27의 반송면의 최소틈새기는 개량토목표 입자직경과 거의 동일한 청구항 1에 기재된 토질개량기.
  3. 상기 커터46은 드럼45의 축방향과 평행에 대하여 경사진 청구항1 또는 청구항2에 기재된 토질개량기.
  4. 기체20에, 원료토호퍼28과, 이 원료토28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개량재공급장치29와, 반송된 원료토와 공급된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교반하여 토질개량토로 하는 혼합기22를 취부한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22는 소일커터32와 복수의 임팩트해머33을 구비하고 이 각 임팩트해머33은 회전축33a에 판상의 해머33b를 방사상으로 복수 설치한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질개량기.
  5. 상기 각 해머33b의 선단면은 대략 파형상인 청구항4에 기재된 토질개량기.
  6. 기체20에, 원료토호퍼28과, 이 원료토호퍼28내의 원료토를 반송하는 원료토반송장치27과, 개량재공급장치29와, 반송된 원료토와 공급된 토질개량재를 부수어 혼합교반하여 토질개량토록하는 혼합기22와, 이 토질개량토를 반송하는 개량토반송장치30을 설치한 토질개량기에 있어서, 상기 개량토반송장치30으로부터 배출되는 개량토를 부수어 혼합교반하는 후혼합기60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질개량기.
  7. 상기 후혼합기60을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에 설치한 청구항6에 기재된 토질개량기.
  8. 상기 후혼합기60은 기체20과 별개로 개량토반송장치30의 배출부분과 마주하여 배설한 청구항6에 기재된 토질개량기.
KR1020000056531A 1999-09-27 2000-09-26 토질개량기 KR1007119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96099A JP4176254B2 (ja) 1999-09-27 1999-09-27 土質改良機
JP1999-272960 199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50649A true KR20010050649A (ko) 2001-06-15
KR100711935B1 KR100711935B1 (ko) 2007-05-02

Family

ID=17521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6531A KR100711935B1 (ko) 1999-09-27 2000-09-26 토질개량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595446B1 (ko)
EP (2) EP1087064B1 (ko)
JP (1) JP4176254B2 (ko)
KR (1) KR100711935B1 (ko)
DE (1) DE60021238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32B1 (ko) * 2006-07-07 2007-04-18 이길범 토양 개량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71783B2 (en) * 2000-07-19 2005-12-06 Keanes Limited Recycled material and mixing machinery
GB2379894B (en) * 2001-07-19 2003-08-13 Keanes Ltd Recycled material mixing machine
JP3772306B2 (ja) * 2002-07-30 2006-05-1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土質改良装置
CN100542661C (zh) * 2005-09-09 2009-09-2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滚筒混合器
US7393133B2 (en) * 2006-12-05 2008-07-01 Ernesto Acosta Soil mixer with scalloped cylinder
FR2932703B1 (fr) 2008-06-18 2011-07-01 Rem Innovation Procede pour le recyclage et le traitement des deblais de terrassement et installation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WO2011067584A1 (en) * 2009-12-02 2011-06-09 Aqs Holdings Limited Improvements in soil and/or rock conditioning machines
JP2015077579A (ja) * 2013-10-18 2015-04-23 鈴木 孝行 再生砂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CN106000608A (zh) * 2016-06-30 2016-10-12 柳州市奥火工程机械有限公司 移动颚式破碎站
CN106000606A (zh) * 2016-06-30 2016-10-12 柳州市奥火工程机械有限公司 移动锤式破碎站
CN107858893A (zh) * 2017-10-28 2018-03-30 郑菁清 一种道路桥梁施工物料混合配置装置
CN110665953B (zh) * 2018-07-03 2022-10-18 河南理工大学 一种重金属污染土壤用原位翻土混合修复装置
CN109667308A (zh) * 2018-12-27 2019-04-23 枞阳县中邦科技信息咨询有限公司 一种淤泥泵上的脱水收集装置
CN109797794B (zh) * 2019-01-29 2021-10-12 淮南市众兴机械制造有限责任公司 一种清淤装置
CN110130431B (zh) * 2019-05-13 2021-05-11 吴灶伟 一种泥地区域给排水管路掩埋装置
CN111420982A (zh) * 2020-05-20 2020-07-17 交大环境保护研究院(江苏)有限公司 一种履带式土质改良机
CN112275360B (zh) * 2020-10-01 2021-11-09 广德独山南方水泥有限公司 一种具有稳定配料功能的生料配料站
CN112317095B (zh) * 2020-10-01 2021-11-09 广德独山南方水泥有限公司 一种水泥生产连续式配料、喂料一体化系统
CN115387316B (zh) * 2022-08-31 2024-01-05 中国路桥工程有限责任公司 一种高速公路盐渍土路基处治的换填装置
CN117753533B (zh) * 2024-02-21 2024-05-10 河南广洋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肝素钠生产用粉碎设备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37261A (en) * 1972-03-21 1976-02-10 Hans Blum Apparatus for comminuting tree stumps
JPS5748043A (en) * 1980-09-04 1982-03-19 Nippon Hodo Co Ltd Improving machine for cohesive soil
DE4330962C2 (de) * 1993-09-09 1998-08-27 Sivyer Steel Corp Hammermühle
JP3242565B2 (ja) * 1996-01-12 2001-12-2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土の解砕混合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867235B2 (ja) * 1996-01-12 1999-03-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自走式土質改良機
JPH11169739A (ja) 1997-12-11 1999-06-29 Komatsu Ltd 混合機
JP2000027227A (ja) * 1998-07-10 2000-01-25 Komatsu Engineering Kk 土質改良バケット
JP4007436B2 (ja) * 1998-12-02 2007-11-1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土質改良機の混合装置及びその混合装置を用いた自走式土質改良機
KR100293256B1 (ko) * 1999-02-23 2001-06-15 윤덕용 빠른 클럭 동기 시간과 작은 지터 특성을 갖는 혼합 모드 클럭동기 회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332B1 (ko) * 2006-07-07 2007-04-18 이길범 토양 개량제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176254B2 (ja) 2008-11-05
DE60021238D1 (de) 2005-08-18
KR100711935B1 (ko) 2007-05-02
US6595446B1 (en) 2003-07-22
EP1087064B1 (en) 2005-07-13
DE60021238T2 (de) 2006-04-27
JP2001090104A (ja) 2001-04-03
EP1087064A2 (en) 2001-03-28
EP1087064A3 (en) 2002-12-11
EP1471185A1 (en) 2004-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11935B1 (ko) 토질개량기
CN1112958C (zh) 自行式土壤处理机
JPH11217822A (ja) 自走式土質改良機
CA2430287C (en) A 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excavated material
KR100443875B1 (ko) 토양의해쇄혼합방법및그장치
US5342124A (en) Mixer having blades arranged in a discontinuous helical pattern
JP2000179003A (ja) 土砂処理方法とその装置
JP4927605B2 (ja) 土質改質プラントおよび該土質改質プラントを用いた管埋め戻し工法
JP2000008403A (ja) 混在物などの分別方法および分別粉砕用バケット
JP2006326415A (ja) 土壌不溶化処理車
JP4424612B2 (ja) 建設残土等の粉砕撹拌装置
JP2001334162A (ja) 脱水ケーキ細粒化装置
KR100623455B1 (ko) 토질개량기의 혼합장치
JP2001254391A (ja) 脱水ケーキ細粒化システム及びこれに用いる自走式造粒機械並びに脱水ケーキ細粒化方法
JP3375588B2 (ja) 自走式土質改良機械
JP2002086004A (ja) 脱水ケーキ細粒化装置及び脱水ケーキ細粒化処理装置
JP2002086009A (ja) 脱水ケーキ細粒化システム及び自走式混合解砕機械
JP2001038396A (ja) 泥土固化処理装置
JP2641849B2 (ja) 泥土モルタルに混練する掘削土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JP2001336174A (ja) 土質混合改良機
JP2002253980A (ja) 解砕コンベア装置及びこれに用いる解砕機並びに脱水ケーキ細粒化システム
JPS592842Y2 (ja) 解砕混合機
JP3705705B2 (ja) 自走式土質改良機械及び土質改良方法
JP3416055B2 (ja) 自走式土質改良機械
JPH0298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