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43247A - 잉크젯 기록 용지 - Google Patents

잉크젯 기록 용지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43247A
KR20010043247A KR1020007012194A KR20007012194A KR20010043247A KR 20010043247 A KR20010043247 A KR 20010043247A KR 1020007012194 A KR1020007012194 A KR 1020007012194A KR 20007012194 A KR20007012194 A KR 20007012194A KR 20010043247 A KR20010043247 A KR 20010043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pulp
recording paper
ink
inkjet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12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4776B1 (ko
Inventor
도모타케요시아키
모우리나오코
Original Assignee
도쿠슈 페이퍼 매뉴팩츄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쿠슈 페이퍼 매뉴팩츄어링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쿠슈 페이퍼 매뉴팩츄어링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10043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432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47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0035Uncoated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18Highly hydrated, swollen or fibrilla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HPULP COMPOSITIONS; PREPARATION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ES D21C OR D21D; IMPREGNATING OR COATING OF PAPER; TREATMENT OF FINISHED PAPER NOT COVERED BY CLASS B31 OR SUBCLASS D21G; PAP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21H11/00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 D21H11/16Pulp or paper, comprising cellulose or lignocellulose fibres of natural origin only modified by a particular after-treatment
    • D21H11/20Chemically or biochemically modified fib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 Paper (AREA)
  • Ink J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펄프를 알카리 처리해서 얻은 머서화 펄프를 섬유 원료로 사용함으로써, 잉크 흡수 속도가 빠르고, 잉크 발색 농도가 높은 고속 잉크젯 프린터들에 대응 가능한 잉크젯 기록 용지를 제공한다. 용지 자체가 지닌 탁월한 흡수 속도로 인해, 잉크 흡수를 향상시키기 위한 코팅을 할 필요 없이 비코팅형 잉크젯 기록 용지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잉크젯 기록 용지{INK JET RECORDING PAPER}
잉크젯 기록 방식은 수성 잉크를 사용하여 미세한 액체 방울들을 형성시킨 다음 피기록체에 다양한 방법으로 분사해서 이미지를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최근, 이 잉크젯 기록 방식이 비약적인 증가를 보이고 있는 이유로는, 수성 잉크를 사용하기 때문에 유기 용매의 불쾌한 냄새가 없고, 저소음, 낮은 작동 비용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가정에서 쉽게 칼라 인쇄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연하장 인쇄를 비롯한 간단한 인쇄가 개인적 수준에서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공업적으로 잉크젯 기록 방식을 사용하면 인쇄 속도가 제한된다는 것이 큰 결점이 되고 있다. 즉, 고속 칼라 인쇄를 하기 위해서는 복수의 잉크들이 피기록체에 분사된 후에 재빨리 잉크가 흡수될 필요가 있다. 그 흡수 속도가 느릴 경우에는, 얼룩이 생기거나 또는 미리 분사한 잉크가 흡수되기 전에 다음 잉크가 분사되어서 혼합되므로 선명한 발색을 얻을 수 없게 된다.
잉크 흡수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흡수성이 있는 물질을 코팅 층에 혼합시킨 기록 용지가 여러 개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제99-34481호 공보에는 코팅층의 바인더로서 젤라틴 물질을 사용한 기록 용지를, 그리고 일본 특허 공개 제99-34484호 공보에는 잉크 흡수성이 우수한 충전제를 사용한 기록 재료 등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팅 방식으로 종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비용 증가를 피할 수 없다. 따라서, 낮은 비용으로 고성능 잉크젯 기록 용지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코팅 단계를 거치지 않고 한 단계로 제조될 수 있는 비코팅형 기록 용지가 요망된다.
비코팅형 기록 용지는 일반적으로 상질지 형태 또는 또는 보통지 형태로 시판되고 있다. 시판되는 보통지 형태의 잉크젯 기록 용지는 문자 인쇄시 문자가 번지는 것을 막기 위해 과량의 번짐 방지제(사이즈제)를 배합하고 있어서, 이로 인해 잉크의 흡수 속도가 저하된다. 이러한 기록 용지에 고속 잉크젯 프린터로 문자만을 인쇄하면 충분히 성능을 발휘할 수 있지만, 다양한 색상의 칼라 인쇄를 하면 이미지에 얼룩이 발생해서 선명한 이미지를 얻을 수 없게 된다.
본 발명은 잉크젯 기록 용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고속 잉크젯 프린터에 대응 가능한 잉크 고속 흡수 속도를 갖는 동시에 잉크 발색 농도가 높은 잉크 젯 기록 용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고속 잉크젯 프린터에 대응 가능한 잉크 고속 흡수 속도를 갖는 동시에 잉크 발색 농도가 높은 잉크젯 기록 용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잉크젯 기록 용지로 사용 가능한 원료에 대해서 예의 검토한 결과, 용지의 섬유 원료로서 특정 펄프를 사용함으로써 잉크 흡수 속도가 빨라지고 또한 발색 농도가 높은 잉크젯 기록 용지를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용지는 섬유 원료로서 머서화 펄프(mercerized pulp)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머서화 펄프만을 용지의 섬유 원료로서 사용해도 좋고, 또는 머서화 펄프를 다른 펄프와 혼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머서화 펄프란, 크라프트 펄프 또는 아황산 펄프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표백 방법에 따라 얻을 수 있는 펄프를 강알카리 용액에 침지처리한 다음, 잔류 알카리를 제거하기 위해 물로 충분히 세척해서 얻을 수 있는 펄프를 말한다. 이러한 머서화 펄프는 셀룰로스 펄프내의 헤미셀룰로스를 용출하므로, 흡습량 증가, 단섬유 강도 증가와 같은 특성들을 전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셀룰로스 내의 거의 모든 수산기가 알카리 처리에 의해 나트륨으로 치환되기 때문에 섬유간 수소 결합을 하기 어려워져서, 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종이는 부피가 크고 밀도가 낮은 종이가 된다.
그러나, 이러한 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종이가, 고속 잉크젯 프린터에 대응 가능한 잉크 고속 흡수 속도를 가지며, 게다가 잉크 발색 농도가 높은 잉크젯 기록 용지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은, 이제까지 전혀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용지는 종이 자체가 우수한 잉크 흡수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잉크의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팅을 할 필요 없이 비코팅형 잉크젯 기록 용지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용지 자체의 잉크 흡수성을 저해하지 않는 한도에서, 필요에 따라 코팅을 해도 좋다.
발명 실시를 위한 최적의 형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머서화 펄프 재료로는, 활엽수재, 침엽수재 또는 비목재 등의 전반적인 펄프 원료를 특별한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펄프 재료로는, 일반적으로 제지용 섬유로 사용할 수 있는 활엽수 비표백 크라프트 펄프(LUKP), 활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LBKP), 침엽수 비표백 크라프트 펄프(NUKP), 침엽수 표백 크라프트 펄프(NBKP), 침엽수 표백 아황산 펄프(NBSP), 열역학 펄프(TMP), 마 펄프, 대나무 펄프, 스트로우(straw) 펄프, 케나프(kenaf) 펄프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지의 섬유 원료로 머서화 펄프를 사용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그 사용 비율은 총 섬유 원료 중량을 기준으로 10∼100 중량%이다. 즉, 머서화 펄프만을 사용해도 되고, 머서화 펄프를 비머서화 펄프(알카리 처리를 하지 않은 펄프)와 혼합해서 사용해도 되는데,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머서화 펄프를 총 섬유 원료 중량의 10 중량% 이상의 분량으로 한다. 비머서화 펄프의 재료로는, 머서화 펄프 원료로 전술한 펄프 재료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합성 펄프, 레이온, 비닐론, 나일론, 폴리에스테르 등과 같은 합성 섬유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용지의 잉크 발색성 또는 잉크 흡수성 등의 잉크젯 기록 적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종래의 잉크젯 기록 용지에 사용되고 있는 공지된 무기 재료 또는 유기 재료도 필요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무기 재료로는 경질 탄산칼슘, 중질 탄산칼슘, 카올린, 탈크, 황산칼슘, 황산바륨, 산화티탄, 산화아연, 황화아연, 탄산아연, 새틴화이트, 규산알루미늄, 규산마그네슘, 합성 무정형 실리카, 실리카졸, 콜로이드 실리카, 알루미나졸, 콜로이드 알루미나, 베마이트, 유사 베마이트(pseudo boehmite), 수산화알루미늄, 알루미나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유기 재료로는 PVA, 젤라틴, 아교,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용성 셀룰로스 유도체,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내수성 수용성 중합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부타디엔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전술한 무기 재료 및 유기 재료를 사용하는 방법으로는, 제지 전에 원료에 혼합해서 제지하는 내첨 방법, 제지 도중에 사이즈 프레스(size press) 용액과 혼합하여 종이를 코팅하는 방법, 제지 후에 코팅기로 코팅하는 방법 등을 사용할 수 있지만,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어떠한 재료를 선택하더라도 용지의 잉크 흡수 속도를 크게 저하시킬 것 같은 처리는 피해야 한다. 즉, 예를 들면 바인더 등을 과량으로 배합한 코팅 용액을 용지면에 코팅하는 경우에, 잉크 흡수 속도가 저하되어 잉크를 중첩해서 분사하는 곳에 얼룩이 생기게 된다. 또한, 비용면에서는 한 단계로 제조할 수 있는 비코팅형 용지가 바람직하기 때문에, 내첨 방법 또는 사이즈 프레스 용액에 혼합해서 용지에 코팅하는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문자 인쇄를 하는 경우에 문자의 번짐을 감소시키기 위해 필요에 따라 번짐 방지제 또는 왁스를 원료 중에 첨가할 수도 있지만, 용지의 잉크 흡수성을 방해할 정도의 양을 첨가해서는 안된다. 왜냐하면 과량으로 첨가한 경우에는 미리 인쇄된 잉크가 건조되기 전에 다음 잉크가 기록 용지에 분사되어 잉크들이 혼합되기 때문에 선명한 이미지를 더 이상 얻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전술한 재료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인쇄 마무리를 양호하게 하기 위한 형광 표백제 또는 종이 공급(sheet feeding)에 따른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한 대전 방지제도 사용할 수 있다.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할 수 있는 잉크는 일반적으로 수용성 잉크들이기 때문에,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에 대해 고속 흡수성을 갖는 용지로는, 물을 고속으로 흡수하는 성질을 갖는 용지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종이의 흡수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서는 JIS P 8122(제지의 스톡그트 (Stockgt) 사이즈도 시험법)에 규정된 사이즈도가 알려져 있으며, 잉크젯 기록 용지로는 일반적으로 사이즈도가 5초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이의 흡수 속도를 나타내는 또 다른 지표로는 J. Tappi No. 51-87에 규정되어 있는 "종이 및 판지의 액체 흡수성 시험 방법(브리스토우(Bristow)법)"이 있다. 브리스토우법은 단시간에 고속 흡수하는 종이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자주 사용되고 있는 방법으로서, 특히 약한 사이즈 종이의 흡수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적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브리스토우법에 따라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용지의 흡수 속도를 평가하면, 슬릿 너비가 1 mm, 슬릿 길이가 15 mm인 헤드 박스에 증류수 50 μL, 시험편의 이동 속도를 5.0 mm/sec로 설정한 때의 액체 전이 길이는 100 mm 이하가 되며, 현재 시판중인 잉크젯 기록 용지용 보통지 및 전용지와 비교해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용지가 우수한 흡수 속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밝혀졌다.
다음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열거하면서, 잉크의 발색 농도 및 흡수 속도를 평가한 결과를 나타냈다. 여기에서 "부" 및 "%"는 중량부 및 중량%를 나타낸다.
< 발색 농도 평가 (1) >
하기의 실시예 1과 2, 및 비교예 1과 2에서 얻은 수공 용지에, 잉크젯 프린터("BJC-420", 케논(주) 제품)를 사용하여, 시안(cyan), 마젠타(magenta), 옐로우(yellow)("BCI-21 Color", 케논(주) 제품) 및 블랙("BCI-21 Black", 케논(주) 제품)의 단색 잉크로 각각 빈틈 없이 인쇄하고, 농도계("MODEL No. 1155", 맥베스사 제품)를 사용하여 발색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실시예 1
활엽수재인 LBKP를 사용하여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펄프 농도가 5%가 되도록 펄프를 분산시킨 다음, 20℃에서 1시간 동안 침수시켜 알카리 처리를 함으로써 머서화 펄프를 제조하였다.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머서화 펄프를 고해도(叩解度)가 4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 사용한 활엽수재인 LBKP를 알카리 처리를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해서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머서화 펄프를 고해도가 4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활엽수재 (LBKP)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실시예 1 알카리 처리 미고해 1.32 1.42 1.27 1.23
비교예 1 미처리 미고해 1.17 1.19 1.14 1.10
실시예 2 알카리 처리 400 mL C.S.F. 1.30 1.29 1.23 1.20
비교예 2 미처리 400 mL C.S.F. 1.22 1.21 1.12 1.15
< 발색 농도 평가 (2) >
하기의 실시예 3과 4, 및 비교예 3과 4에서 얻은 수공지에, 발색 농도 평가(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빈틈 없이 인쇄하고, 그 발색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실시예 3
활엽수재인 LBKP를 사용하여,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펄프 농도가 5%가 되도록 펄프를 분산시킨 다음 20℃에서 2시간 동안 침수시켜 알카리 처리를 함으로써 머서화 펄프를 제조하였다.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3에서 제조한 머서화 펄프를 고해도가 4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에서 사용한 활엽수재인 LBKP를 알카리 처리를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해서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비교예 3에서 사용한 머서화 펄프를 고해도가 4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활엽수재 (LBKP)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실시예 3 알카리 처리 미고해 1.30 1.45 1.27 1.23
비교예 3 미처리 미고해 1.18 1.23 1.11 1.11
실시예 4 알카리 처리 400 mL C.S.F. 1.29 1.32 1.22 1.19
비교예 4 미처리 400 mL C.S.F. 1.23 1.25 1.14 1.17
< 발색 농도 평가 (3) >
하기의 실시예 5와 6, 및 비교예 5와 6에서 얻은 수공지에, 발색 농도 평가(1)과 동일한 방법으로 잉크젯 프린터를 사용하여 빈틈 없이 인쇄하고, 그 발색 농도를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5
침엽수재인 NBSP를 사용하여, 10%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펄프 농도가 5%가 되도록 펄프를 분산시킨 다음 20℃에서 2시간 동안 침수시켜 알카리 처리를 함으로써 머서화 펄프를 제조하였다.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 제조한 머서화 펄프를 고해도가 4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5에서 사용한 침엽수재인 NBSP를 알카리 처리를 하지 않고 그냥 사용해서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비교예 5에서 사용한 머서화 펄프를 고해도가 4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이 펄프를 사용하여 100 g/m2의 수공지를 제조하였다.
침엽수재 (NBSP)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실시예 5 알카리 처리 미고해 1.41 1.52 1.34 1.28
비교예 5 미처리 미고해 1.21 1.20 1.15 1.10
실시예 6 알카리 처리 400 mL C.S.F. 1.32 1.33 1.27 1.21
비교예 6 미처리 400 mL C.S.F. 1.26 1.25 1.19 1.16
< 흡수 속도 평가 >
"브리스토우법"(J. Tappi No. 51-87)에서 얻은 액체 전이 길이를 흡수 속도 지표로 해서, 하기의 실시예 7과 8에서 얻은 용지 및 비교예 7과 8의 용지에 대한 흡수 속도를 평가하였다. 이 시험 방법은, 소정량의 액체를 첨가한 헤드 박스를 일정한 임의의 속도로 이동하는 시험편(종이)에 접촉하게 해서, 헤드 박스의 슬릿을 통과해서 지면에 액체를 완전히 흡수시켜 액체가 모두 지면으로 전이할 때까지 액체가 남긴 전이 흔적의 길이(mm)를 측정하는 것으로서, 이 길이가 짧을수록 종이의 액체 흡수성이 더 양호하다. 측정기로서 동적 침투성 시험기((주)동양정기제작소 제품)를 사용하고, 슬릿 너비가 1 mm이고 슬릿 길이가 15 mm인 헤드 박스에 증류수(증류수에 가시 효과를 부여하기 위해 안료를 증류수의 접촉각에 영향을 주지 않는 농도 범위(0.1%)로 혼합한 것)를 50 μL 첨가해서, 시험편 종이의 이동 속도를 2.5, 5.0, 12.5 및 25.0 mm/sec로 설정한 때의 액체 전이 길이(mm)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실시예 7
시판중인 머서화 펄프("설페이트 HJ", 미국의 레오니아사(Rayonier Co.) 제품) 30 중량부, 알카리 처리를 하지 않은 NBKP 40 중량부 및 알카리를 처리하지 않은 LBKP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이 펄프 혼합물을 고해도가 5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하여,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장강초지기(Fourdrinier)에서 80 g/m2의 종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시판중인 머서화 펄프(설페이트 HJ) 45 중량부, 알카리를 처리하지 않은 NBKP 35 중량부 및 알카리를 처리하지 않은 LBKP 20 중량부를 혼합하여, 이 펄프 혼합물을 고해도가 500 mL C.S.F.가 되도록 고해해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장강초지기에서 80 g/m2의 종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잉크젯 기록 용지용 보통지로서, 시판중인 상질 보통지("KA4250NP", 세이코-엡슨(주)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8
흡수성이 양호한 잉크젯 기록용 전용지로서, 시판중인 최고급 전용지 ("MJA4SP1", 세이코-엡슨(주)사 제품)를 사용하였다.
2.5 mm/sec 5.0 mm/sec 12.5 mm/sec 25.0 mm/sec
실시예 7 35.5 49.0 63.0 91.0
실시예 8 27.5 32.5 42.0 54.0
비교예 7 335.0 391.5 443.5 459.0
비교예 8 106.0 112.5 125.5 132.0
표 1 ∼ 표 4의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a) 펄프를 알카리 처리한 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본 발명의 용지는, 비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용지에 비해서 잉크젯 프린터용 잉크의 발색 농도가 향상되었다.
(b) 전술한 잉크 발색 농도의 향상이, 시험에 제공된 모든 색상의 잉크에 대해서 인정되었다.
(c) 고해한 펄프를 사용한 경우에도, 비머서화 펄프보다 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용지가 높은 발색 농도를 얻었다.
(d) 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본 발명의 용지는, J. TAPPI No. 51 - 87에 규정된 "브리스토우법"에 따라 시험편의 이동 속도를 2.5∼25.0 mm/sec로 설정한 때의 액체 전이 길이를 측정한 경우, 어떠한 이동 속도에 대해서도 액체 전이 길이가 100 mm 이하로 나타났고, 시판중인 잉크젯 기록 용지에 비해서 탁월한 잉크 흡수 속도를 갖는다.
상기 기술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섬유 원료로서 머서화 펄프를 사용한 본 발명의 잉크젯 기록 용지는, 고속 잉크젯 프린터에 대응 가능한 잉크 고속 흡수 속도를 가지며, 잉크 발색 농도가 높은 기록 용지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용지 자체가 탁월한 잉크 흡수 속도를 가지기 때문에, 잉크 흡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코팅을 할 필요가 없으며, 비코팅형 잉크젯 기록 용지로서 사용할 수 있다.

Claims (3)

  1. 섬유 원료로서 머서화 펄프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용지.
  2. 제1항에 있어서, 머서화 펄프의 사용 비율이 총 섬유 원료의 10 내지 10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용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J. Tappi No. 51 - 87에 규정된 브리스토우법에서, 슬릿 너비가 1 mm, 슬릿 길이가 15 mm인 헤드 박스에 증류수 50 μL, 시험 편의 이동 속도를 5.0 mm/sec로 설정한 때의 액체 전이 길이가 10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잉크젯 기록 용지.
KR1020007012194A 1999-03-05 2000-02-24 잉크젯 기록 용지 KR100694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79399 1999-03-05
JP1999-57793 1999-03-05
JP1999-356916 1999-12-16
JP35691699 1999-12-16
JP2000034849A JP2001232931A (ja) 1999-03-05 2000-02-14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0-34849 2000-0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3247A true KR20010043247A (ko) 2001-05-25
KR100694776B1 KR100694776B1 (ko) 2007-03-14

Family

ID=2729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12194A KR100694776B1 (ko) 1999-03-05 2000-02-24 잉크젯 기록 용지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7648746B2 (ko)
EP (1) EP1084858B1 (ko)
JP (1) JP2001232931A (ko)
KR (1) KR100694776B1 (ko)
CN (1) CN1158427C (ko)
CA (1) CA2330785A1 (ko)
DE (1) DE60014290T2 (ko)
HK (1) HK1035516A1 (ko)
TW (1) TW476713B (ko)
WO (1) WO200005342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14134B2 (ja) * 2005-07-12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被記録媒体及び該被記録媒体を用いた画像形成方法
BE1016739A3 (nl) * 2005-08-30 2007-05-08 Roltex Belgium N V Gecoat papier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bedrukt gebruiksvoorwerp en gebruiksvoorwerp daaruit gevormd.
KR102180443B1 (ko) * 2013-06-18 2020-11-19 한국조폐공사 고강도 및 고투기도 용지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38679A (en) 1934-02-07 1936-04-28 Brown Co Paper making
US4671691A (en) 1985-01-23 1987-06-09 The Gillette Company Ball-point writing instrument containing an aqueous ink composition
US4758461A (en) 1986-12-05 1988-07-19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paper and ink jet recording method by use thereof
JP3235683B2 (ja) * 1992-12-28 2001-12-04 東洋紡績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染色用繊維構造物及びそれを用いた染色法
JPH07189168A (ja) * 1993-12-27 1995-07-25 New Oji Paper Co Ltd 嵩高紙
JPH0813358A (ja) * 1994-06-23 1996-01-16 Canon Inc インクジェット捺染用布帛、インクジェット捺染方法及び捺染物
US6000794A (en) 1994-10-27 1999-12-14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forming method
US5853901A (en) 1996-12-19 1998-12-29 Cessna; Frank L. Lightweight decorative paper products for pressure laminates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JPH10212690A (ja) 1997-01-23 1998-08-11 Oji Paper Co Ltd 低密度体
JPH10219588A (ja) * 1997-02-04 1998-08-18 Oji Paper Co Ltd 低密度塗工シート
JP4059356B2 (ja) 1997-02-06 2008-03-12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及び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H10245792A (ja) * 1997-02-28 1998-09-14 Oji Paper Co Ltd 低密度体
US6103364A (en) * 1997-06-30 2000-08-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Ink jet printable, washable saturated cellulosic substrate
JP3716561B2 (ja) 1997-07-16 2005-11-16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34484A (ja) 1997-07-23 1999-02-09 Mitsubishi Paper Mills Ltd インクジェット用被記録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0014290D1 (de) 2004-11-04
EP1084858B1 (en) 2004-09-29
CN1158427C (zh) 2004-07-21
CN1296446A (zh) 2001-05-23
EP1084858A4 (en) 2002-09-18
US7648746B2 (en) 2010-01-19
HK1035516A1 (en) 2001-11-30
CA2330785A1 (en) 2000-09-14
WO2000053424A1 (fr) 2000-09-14
US20070110926A1 (en) 2007-05-17
JP2001232931A (ja) 2001-08-28
TW476713B (en) 2002-02-21
KR100694776B1 (ko) 2007-03-14
EP1084858A1 (en) 2001-03-21
DE60014290T2 (de) 2005-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5237C (en) Recording material for the ink jet printing method
EP2633121A1 (en) Paper enhancement treatment with decreased calcium chloride
US6720041B2 (en) Recording medium, and method for producing image using the same
KR100694776B1 (ko) 잉크젯 기록 용지
EP0806300B1 (en) Ink jet recording paper
JPH0727678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618361B2 (ja) 被記録材及び記録方法
JPH0621904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374511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2067485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618358B2 (ja) 被記録材
JP2002067496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の製造方法
JPWO2003078174A1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3720075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2019269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7118289A (ja) 被記録媒体及び画像形成方法
JP3166392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771554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方法
JP2019084726A (ja) 水性顔料用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5262600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4207546B2 (ja) 塗工用組成物及び記録媒体とその製造方法
JPH07164732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の製造方法
JP3064208B2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用紙
JP2008080771A (ja) インクジェット用記録媒体
JPH0379383A (ja) インクジェット記録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