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32858A -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32858A
KR20010032858A KR1020007006186A KR20007006186A KR20010032858A KR 20010032858 A KR20010032858 A KR 20010032858A KR 1020007006186 A KR1020007006186 A KR 1020007006186A KR 20007006186 A KR20007006186 A KR 20007006186A KR 20010032858 A KR20010032858 A KR 200100328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arm
container
tilt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6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어빈 아이옌
볼프강 그라인
하인리히 드로스테
Original Assignee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리오 파텍, 만네스만 아게 filed Critical 마리오 파텍
Publication of KR200100328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285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34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 B65G47/38Devices for discharging articles or materials from conveyor  by dumping, tripping, or releasing load carri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94Devices for flexing or tilting travelling structures; Throw-off carriages
    • B65G47/96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 B65G47/962Devices for tilting links or platform tilting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conveying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nching, Merging, And Special Transfer Between Conveyor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 Fish Paste Product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공항 수화물과 같은 단일 화물(unit load)을 컨베이어 벨트(3)로부터 이에 근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분기 컨베이어(branching conveyor)로 이송하기 위한 분리 컨베이어(separating conveyor)에 관한 것이다. 상기 분리 컨베이어는 운송 방향(F) 전후 배열되는, 그리고 안내 레일(6)을 따라 이동하는 하부 이송 부재(7)를 구비한다. 이때 상기 하부 이송 부재는 구동되는 견인 수단(4)에 의해 연속 회전하는 체인으로 결합된다. 상기 분리 컨베이어는 또한 상기 하부 이송 부재(7) 상에 배열되는 기울임암(8)을 구비한다. 이때 기울임암(8)의 기울어짐을 위해서 각각의 기울임암(8)에는 축(9) 외부에 커플링 로드(12)가 조인트 방식으로 접한다. 상기 기울임암(8)을 전환 부재(17)에 의해 축(9)을 중심으로 선회시키기 위해서는, 안내 롤러(14)가 안내 레일(15)에 대해 수직으로 옮겨져 장착되는 기울임 레일(16) 내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전환 레일(41)은 캠 기어에 의해 몰티즈 크로스 방식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캠 기어는 운송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쪽으로 향해 구동될 수 있는 핀 디스크(34)를 구비한다. 상기 핀 디스크는 핀(35)에 의해 틈새 내장형 디스크(37) 내에 배열된 틈새(36) 내로 진입한다. 이때 상기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에는,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의 선회 동작을 전환 레일(41)의 상하 이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커넥팅 로드(40)가 장착된다.

Description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SEPARATING CONVEYOR FOR THE TRANSFER OF UNIT LOADS}
독일 특허 DE 4225 491 C1에는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배열되는 컨테이너 비움 장치(container emptying device)가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컨테이너는 대체로 개개의 공항 수화물을 운송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상기 컨테이너 비움 장치는 대체로 운송 방향으로 전후로, 그리고 상호 이격되도록 위치가 단단히 고정된 여러 개의 기울임암(tilting arm)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울임암은 운송 방향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그 중앙부에서 운송 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계속해서, 컨테이너 비움 장치의 영역에는 롤러 컨베이어(roller conveyor) 방식에 따른 운반 롤러(carrying roller)가 제공된다. 상기 운반 롤러는 운송 방향으로 전후 배열되고 원반형(disc-shaped)이다. 상기 운반 롤러, 및 운송 방향으로 관통하는 중앙 틈새를 포함하는 컨테이너의 바닥은, 운반 롤러에 의해 지탱되는 컨테이너가 운반 롤러 상에서 양쪽으로 대략 45 도까지 기울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운송된 수화물을 상기 컨테이너 비움 장치와 측면상으로 경계하고 있는 분기 컨베이어(branching conveyor)로 이동시키기(슬라이딩하기) 위한 컨테이너의 기울어짐은 이중암(double arm)으로 형성된 기울임암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 밖에, 상호 마주하고 있는 기울임암의 단부에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안내 롤러(guide roller)의 형태를 갖는 안내 장치가 제공되며, 이때 상기 안내 롤러는 기울임암의 선회 동작을 컨테이너로 전달하기 위해서, 상기 컨테이너에 대응되는 안내 브리지(guiding bridge) 내로 맞물려진다. 운송 방향으로 전후 배열된 기울임암들 간의 간격은 컨테이너의 길이보다 짧다. 이는 상기 컨테이너가 기울임 과정(tilting process)이 이루어지는 동안에 운송 방향으로 다음 기울임암―여기서 기울임암은 동일한 기울어짐 상태를 취함―에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컨테이너 비움 장치는 다양한 경우에 적용되기에 적합하며, 그 특징은 기울임암의 위치가 단단히 고정된다는데 있다. 상기 비움 장치의 처리 능력(throughput capacity)은 그러나, 상기 기울임암이 선회된 상태에서 다음 컨테이너를 수용하기 위해 다시 수평 상태로 향하기 위해서는, 비워질 개개의 컨테이너들 사이에 충분한 공간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제한을 받는다.
계속해서, 독일 특허 DE 21 51 439 C2에는 이미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배열되는 수화물용 기울임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이때 상기 기울임 장치는 대체로, 운송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운반 트레이(conveying tray)로 구성된다. 상기 운반 트레이는 수화물을 기울이기 위해서 운송 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좌우로 선회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화물은 인접한 분기 컨베이어를 목표로 하여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운반 트레이는 각각 기울임암에 의해, 운송 방향으로 전후 배열되고 상호 결합되어 있는 개개의 하부 이송 부재(undercarriage)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하부 이송 부재는 연속적으로 이어져 있는 체인(chain)을 형성하며, 각각의 체인은 근접하는 컨베이어 벨트로 넘어가는 전환부에서 방향 전환 휠(diversion wheel)의 주위로 안내됨으로써 계속 회전하도록 형성된다. 기울임 과정을 위해서 상기 수화물은, 근접하는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상기 체인 상부 트렁크(upper trunk)에 위치한 운반 트레이로 이송되며, 분기 컨베이어 벨트 쪽으로 내려지거나, 계속 운반되기 위해서 상기 기울임 장치에 연결되는 컨베이어 벨트로 이송된다. 운반 트레이의 기울어짐은 상기 기울임암에 접촉하는 레버암(lever arm)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레버암은 대체로 수직 방향으로 아래로 향하며, 상기 기울임암과 대향하는 단부에 안내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 롤러는 운반 트레이 하부 이송 부재의 육상 경기장 형태의 회전 운행 벨트를 따라 진행되는 안내 레일(guiding rail) 내에서 안내된다. 이를 통해 상기 운반 트레이는 수평 상태로 유지된다. 상기 기울임 과정을 위해, 안내 레일 상에 전환 장치(switching device)가 배열된다. 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든 바람직한 기울어짐 방향에 따라 상기 안내 롤러를 각각 안내 레일의 위쪽에 또는 아래쪽에 배열되는 기울임 레일(tilting rail) 내로 전환시키기 위해서이다. 상기 안내 롤러를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레버암은 그에 대응되도록 아래 또는 위로 이동(아래로 끌어당겨지거나 위로 밀려지게)된다. 이를 통해 상기 운반 트레이는 우측 또는 좌측으로 기울어진다. 전환 부재(switiching element)의 전환은 이중 으로 작용하는 공압 실린더(pneumatic cylinder)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때 공압 실린더의 수평 운동은 각각 크랭크 안내부와 함께 작용하는 두 개의 롤러에 의해 수직 방향 전환 장치의 선회 운동으로 전환된다.
본 발명은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서문에 따른, 특히 공항 수화물와 같은 단일 화물(unit load)을 이송하기 위한 분리 컨베이어(separating conveyo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컨베이어 벨트 상에 배열되는 컨테이너로 운송되는 공항 수화물의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의 측면도.
도 2는 절취선 Ⅱ-Ⅱ에 따른 도 1의 단면도.
도 3은 기울임암이 기울임 상태에 있는 도 2의 기울임 구동 장치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1의 전환 부재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도 4의 전환 부재의 구동 장치 영역에 대한 확대도.
도 6은 도 4의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공항 수화물과 같은 단일 화물용 분리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때 상기 분리 컨베이어는 기울임암의 기울어짐을 유도하는 전환 레일(switching rail)의 이동을 위해서 최대 효율적인 구동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목적은 단일 화물용 컨테이너를 비우기 위한 기울임 장치에 있어서, 특허청구범위 제1항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는 종속항 제2항 내지 제10항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 컨테이너를 기울이기 위해서는, 각각의 기울임암 외부에 레버암이 접속되어(jointed) 장착된다. 여기서 레버암은 대체로 수직으로 향하고 기울임암을 대향하는 그 단부에 안내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안내 롤러는 수평의 운송 상태에 있는 기울임암을 홀딩(holding)하기 위해서 육상 경기장 형태의 운행 레일과 평행하게 뻗어있는 안내 레일과 맞물린다. 상기 기울임암을 선회하기 위해서 안내 레일 상에 전환 레일이 제공된다. 상기 전환 레일은 운송 방향에 대해 횡단하고 수평으로 향하는 축에 의해 전환 조인트(switching joint)의 주위를 선회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환 레일에 의해 상기 안내 롤러는 안내 레일로부터 안내 레일과 수직으로 배열된 기울임 레일 내로 전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레버암 상에 작용하는 수직 방향의 견인력(traction force) 또는 압력에 의해, 상기 기울임암 및 그 위에 고정된 컨테이너가 상기 기울임 장치의 한쪽 또는 그 반대쪽으로 선회된다. 이러한 기울임 기술에 따른 실시 형태가 구조상으로는 특히 간단하다는 사실이 입증된다. 이유인 즉, 상기 기울임 기술에 따른 실시 형태가 대체로 기계적인 구성 요소들을 그 근거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와 같은 기계적 해결 방안에서는 장애가 발생할 수 있는 가능성이 비교적 작다.
전환 부재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는 전환 레일이 안내 레일 상에 배열됨으로써, 상기 전환 부재는 바람직한 형태를 갖게 된다 . 이때 상기 전환 레일의 길이는 대략 컨테이너의 길이에 해당한다. 이를 통해, 기울임암 및 기울임 컨테이너가 비교적 유연하게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전환 레일은 구동 장치에 의해 수평의 정지 상태로부터 가동 상태로 선회될 수 있다. 가동 상태에서 상기 전환 레일은 안내 레일과 이에 부가되는 기울임 레일을 결합시킨다.
상기 전환 레일의 선회 동작을 위한 구동 장치로는 몰티즈 크로스(maltese cross) 방식에 따른 프리스메틱 조인트(prismatic joint) 및 힌지(hinge)를 구비하는 수평 캠 기어(cam gear)가 바람직하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이유인 즉, 이를 통해 상기 기울임 레일의 정지 상태나 가동 상태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직렬 접속식 기어를 포함하는 전동기로 형성된 구동 장치가 선회될 필요가 없으며, 전환 레일의 지지력이 상기 기어의 구동 샤프트에 직접 전달되기 때문이다. 그 결과, 상기 캠 기어는 셀프 로킹(self locking)될 수 있다.
상기 캠 기어는 구동 샤프트 상에 배열된 핀 디스크(pin disk)로 실현되며, 이때 핀 디스크는 대체로 상기 구동 샤프트 쪽으로 옮겨져 장착된 핀으로 구성된다. 상기 핀은 핀 디스크와 동축으로 회전될 수 있는 틈새 내장형 디스크(slotted disk)의 틈새와 맞물린다. 상기 틈새의 맞은 편에 위치한 틈새 내장형 디스크의 단부에는 커넥팅 로드가 조인트 방식으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는 전환 레일과 결합되며, 틈새 내장형 디스크의 선회 동작을 전환 레일의 상하 동작(up or down movement)으로 전환시키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캠 기어가 앞서 기술했던 바와 같이 셀프 로킹되기 위해서는, 상기 핀 디스크 및 틈새 내장형 디스크에 아치형의 베어링 면(bearing surface)이 제공된다. 상기 베어링 면은 핀 디스크 및 틈새 내장형 디스크가 가동 상태 및 정지 상태를 취할 때에 상호 인접해 있음으로써 핀의 부하를 감소시킨다. 가동 상태 및 정지 상태 사이에서의 핀 디스크는 90도로 선회될 수 있으며, 핀 디스크의 양쪽 선회 상태에서 각각의 틈새는 종 방향으로 길게 퍼져 있어서 핀 디스크의 샤프트에 대해 접선형(tangential)으로, 그리고 상기 샤프트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열된다.
더 나아가서, 운송 방향 시점에서 운행 레일 아래쪽 좌우에 위치하는 안내 레일 및 기울임 레일을 이중으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가울임 장치의 운행 레일이 시작되는 부분의 좌측에는 전환 부재를, 그리고 상기 운행 레일의 시작 부분의 우측에는 운행 방향으로 곧바로 이어지는 또 다른 전환 부재를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전환 부재들의 간격은 연속되는 기울임암들의 간격에 해당된다. 여기서 기울임암은 컨테이너를 공동으로 운반함으로써 동시적으로 선회될 수 있다. 상기 전환 부재를 측면으로 옮겨 배열함으로써 하부 이송 부재의 속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유인 즉, 개개의 안내 롤러들 사이의 간격이 안내 레일 및 기울임 레일 측에서는 그 두 배여서, 운송 속도가 높아진 경우에도 다음 안내 롤러와 맞닿기 이전에 상기 전환 레일을 바람직한 위치로 작동시킬 수 있을 만한 시간이 충분히 남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각 기울임암은 하부 이송 부재 상에서 180도로 선회되도록 배열되며, 운송 방향 시점에서 상기 안내 롤러는 각각 교대로 우측 또는 좌측의 레일과 맞물리도록 제공된다.
기울임암이 운송 방향에서 함께 작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다음의 것이 달성된다. 즉, 적어도 두 개의 기울임암이 전체 기울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한 개의 컨테이너에 배열됨으로써, 기울임암이 컨테이너와 함께 다시 수평 상태로 되돌아가는 동작 또한 일어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기울임암을 제자리로 되돌리는데 필요한 추가의 시간이 생략된다. 그 결과, 기울임 장치의 처리 능력, 즉 기울임 장치의 길이가 최적화된다. 이와 같은 기울임 장치 하나로 시간당 컨테이너 2500개 컨테이너의 용량을 처리할 수 있다.
기울임암 상에 컨테이너를 고정시키는 방법 중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는, 상기 기울임암 및 자기력에 의해 홀딩될 수 있는 소재의 단부에 영구 자석(permanent magnet)을 배열하는 것이다. 컨테이너가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경우에는 특히 얇은 강판을 컨테이너 바닥 하부면에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영구 자석 및 컨테이너간의 결합은 기울임 장치의 단부에서 기울임암을 아래로 내리는 동작에 의해 쉽게 해제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컨테이너는 다음 컨베이어 벨트에 안전하게 이송될 수 있다. 상기 영구 자석의 기울임 운동이 운송 방향 시점에서 기울임 장치의 시작부분 및 끝부분에서 이루어지고, 운송 방향에 대해 횡단하도록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대체로 기울임암의 수평 상태에서 이루어짐으로써 컨테이너와 유연하게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다. 계속해서, 홀딩 수단―여기서 홀딩 수단의 한쪽 디스크면이 고정될 컨테이너에 향함―이 디스크 형태로 이루어지고, 용이한 각운동(angular movement)을 통해 기울임암에 장착됨으로써 다음의 것이 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홀딩 수단 및 컨테이너 하부면간의 접촉이 가능한 완전한 평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함께 컨테이너가 기울임암 상에, 그리고 기울어짐이 이루어지는 동안 안전하게 홀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것으로는 상기 하부 이송 부재에 캠 롤러(cam roller)를 구비하는 것으로, 이때 상기 캠 롤러는 운송 방향을 횡단하는 시점에서 육상 경기장 형태로 뻗어있는 운행 레일 상에서 이동한다. 이때 이에 장착된 하부 이송 부재를 구비한 상기 견인 수단(traction means)이 운행 레일의 끝부분에 배열된 두 개의 방향 전환 휠을 통해 안내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기술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특히 공항 수화물용 운송 컨테이너와 같은 컨테이너(2)를 비우기 위한 기울임 장치(tilting device; 1)의 측면을 도시한다. 상기 기울임 장치(1)는 컨베이어 벨트(3) 상에 배열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고무 벨트 컨베이어(rubber belt conveyor)로 형성되며, 상기 고무 벨트 컨베이어 상의 운송용 컨테이너는 각각의 고무 벨트 측면으로 이송된다. 상기 컨베이어 벨트(3)는 컨테이너(2)를 기울임 장치(1)로 안내하고 기울임 장치로부터 내보내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기울임 장치(1)의 목적은 상기 컨테이너(2)를 한쪽으로, 그리고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옆으로 선회시키는 것으로, 이는 상기 컨테이너(2)에 의해 운반되는 운송 화물을 (도면 상에 도시되지 않은) 분기 컨베이어―여기서 분기 컨베이어는 바람직하게는 미끄럼틀(slide)로 형성됨―로 전달하기 위함이다.
상기 기울임 장치(1)는 대체로 연속 회전하는 견인 수단(4)으로 구성되며, 상기 견인 수단은 기울임 장치(1)의 시작 및 끝부분에 방향 전환 휠(5)에 의해 안내된다. 여기서 방향 전환 휠은 수평으로, 그리고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향하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면 상에 부분적으로만 도시되는 견인 수단(4)은 바람직하게는 체인으로 형성되며, 이에 대응되는 방향 전환 휠(5)은 스프로킷로 형성된다. 상기 방향 전환 휠(5)들 사이에서의 견인 수단(4)은 운송 방향(F) 쪽으로 뻗은, 그리고 측면이 개방된 운행 레일(6)에 의해 안내되며(도 3 및 도 4 참조), 이때 상기 운행 레일의 안내 표면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견인 수단(4)에는 하부 이송 부재(7)가 볼트에 의해 고정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하부 이송 부재는 견인 수단(4)의 상부 트렁크 영역에서 운송 방향(F)으로 구동될 수 있다. 상기 견인 수단(4)을 따라 다수의 하부 이송 부재(7)들이 배열되며, 이때 상기 하부 이송 부재들간의 거리는, 운송 방향(F)으로 연속되는 각각 두 개의 하부 이송 부재(7)가 한 쌍을 이루며 각 쌍은 컨테이너(2) 한 개씩을 운반하도록 선택되어진다. 각각의 쌍은, 다음 컨테이너(2)와 최소 간격을 유지하는 상태로, 컨테이너(2)의 길이 만큼 상호 이격된다. 컨테이너(2)의 선회 과정이 이루어지기 위해서 각각의 하부 이송 부재(7) 상에 한 개의 기울임암(8)이 고정된다. 이때 상기 기울임암은 운송 방향(F) 및 수평으로 향하는 축(9; 도 2 및 도 3 참조)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다.
하부 이송 부재(7)는 대체로 프레임(10)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레임 상에 기울임암(8)이 축(9) 상에 장착된다. 본원 발명에서 기술되는 하부 이송 부재(7)는 견인 수단(4)의 상부 트렁크 영역에서 운송 방향(F)으로 이동한다. 계속해서 상기 하부 이송 부재(8)는 네 개의 캠 롤러(11)를 구비하며, 상기 캠 롤러는 운송 방향(F) 시점에서 각각 쌍을 이루며 전후로, 그리고 나란히 배열된다(도 2 및 도 3 참조). 상기 캠 롤러(11)는, 견인 수단(4)을 따라 뻗어나가며 기울임 장치(1)에 배열되는 운행 레일(6)에서 이동한다. 상기 운행 레일(6)을 측면상으로 볼 때, 육상 경기장 형태를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육상 경기장 형태의 운행 레일은 상호 평행하게 마주보는 두 개의 직선 레일로 구성되고, 이때 상기 레일들의 단부에 각각의 반원형 레일이 결합되어 있다.
기울임암(8)의 기울어짐은 커플링 로드(coupling rod; 12)에 의해 이루어지며, 상기 커플링 로드는 운송 방향(F)으로 뻗어 있는 조인트 헤드의 축(13; 도 2 및 도 3 참조)에 의해 기울임암(8)에서 선회될 수 있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대체로 아래를 향해 수직이다. 기울임암(8)과 대향하는 커플링 로드(12)의 단부에 안내 롤러(14)가 배열되며, 상기 안내 롤러는 운행 레일(6)에 대해 평행하는, 그럼으로써 마찬가지로 육상 경기장 형태로 뻗어 있는 안내 레일(15a, 15b)과 맞물린다. 상기 기울임암(8)을 수평의 운송 상태에서 기울임 상태로 움직이기 위해서는, 상기 안내 레일(15a, 15b)에 대해 평행하게, 그리고 안내 레일의 위쪽 또는 아래쪽에서 뻗어 있는 기울임 레일(16a, 16b)이 제공된다. 상기 안내 레일(15a, 15b) 및 기울임 레일(16a, 16b)은 전환 부재(17a, 17b)에 의해 상호 결합된다. 상기 전환 부재(17a, 17b)를 전환시킴으로써 상기 기울임암(8)의 선회 동작이 유도될 수 있다. 안내 롤러(14)가 안내 레일(15a, 15b)로부터 커플링 로드(12)와 대응되는 기울임 레일(16)로 전환됨으로써, 상하 움직임이 발생하여 기울임암(8)이 선회되기 때문이다.
도 2는 도 1의 절취선Ⅱ-Ⅱ에 따른 단면도를 확대한 것으로서, 이는 주로 컨테이너(2)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컨테이너(2)는 트렁크, 배낭 또는 가방의 형태의 운송 화물을 대략 45도로 기울어짐으로써 끌어내리기에 특히 적합하다. 상기 컨테이너는 욕조 형태를 갖는다. 여기서 욕조 형태란, 상기 컨테이너(2)가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고 컨테이너(2)의 바닥(19)에 대해 거의 수직으로 향하는 측벽(18)을 구비함을 의미한다. 이는 컨테이너(2)가 컨베이어 벨트(3) 상에서 운송되는 동안에 상승, 하강 및 커브 구간에서 운송 화물이 컨테이너(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앞서 기술된 실시예에서 운송 방향(F)으로 향하는 컨테이너(2)의 내부 측벽(18)은 바닥(19)과는 대략 20도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된다. 상기 측벽(19)이 이와 같이 경사지게 형성됨으로써 컨테이너(2)를 기울일 때 운송 화물이 근접하는 분기형 벨트로 보다 원활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상기 컨테이너(2)는 기울임 장치(1) 상에서 운송 방향(F)으로 운송되는 동안 기울임암(8)을 구비한 홀딩(20) 수단에 의해 고정된다. 동시에 상기 컨테이너(2)의 바닥(19)이 기울임암(8) 상에서 받쳐진다. 상기 홀딩 수단(20)은 바람직하게는 영구 자석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대체로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상기 컨테이너는 컨테이너 바닥(19)의 외측 영역에 강판 프로파일(steel plate profile)을 구비한다. 상기 강판 프로파일은 그밖에도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컨테이너(2)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또한, 상기 홀딩 수단(20)을 기계식 고정 장치로 형성하고 상기 컨테이너(2)에 이에 대응되는 리세스(recess)를 장착하거나 전자석을 사용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는 운행 레일(6)이 하부 이송 부재(7)를 위해서 두 개의 U자형 프로파일로 형성되는 것을 도시한다. 상기 두 개의 U자형 프로파일은 곧은 직선형으로서, 각 개방된 쪽이 서로를 향하며, 측면상으로는 상기 U자형 프로파일의 플랜지 외측이 운반 프레임(22)에 배열된다. 상기 U자형 운행 레일(6)의 각 하부 브리지 상에는 하부 이송 부재(7)의 캠 롤러(11)가 이동한다. 이때 선택되는 캠 롤러(11)의 직경은 , 운행 레일(6)의 하부 브리지 상에 놓여진 캠 롤러(11)가 운행 레일(6)의 상부 브리지와는 극소한 간격을 이룬다. 이를 통해, 한편으로는 상기 캠 롤러(11)가 운행 레일(6) 내에서 장애 없이 이동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기울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컨테이너(2)가 옆으로 이동함으로써 하부 이송 부재(7) 상에 작용된 기울임 모멘트가 상기 운행 레일에 의해 다음과 같이 수용될 수 있다. 즉, 기울임암(8)의 돌출된 부분과 대향하는 캠 롤러(11)가 운행 레일(6)의 하부 브리지로부터 이격되어 곧바로 운행 레일(6)의 상부 브리지에 놓여진다. 이를 통해, 기울임 모멘트로부터 형성되는 힘이 운행 레일(6) 및 운반 프레임 내로 안전하게 전달된다. 상호 나란히 배열되는 하부 이송 부재(7)의 캠 롤러(11)는 상호 동축상으로 배열되는 캠 축(23)의 섹션에 각각 장착되며, 상기 캠 축은 캠 롤러(11) 사이에서 하부 이송 부재(7)의 프레임(10)과 결합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운반 프레임(22) 쪽으로, 그리고 (상부의 하부 이송 부재(7)의 경우에) 아래로 향하는 운반 부재에 의해 볼트(24)를 통해 견인 수단(4)과 결합된다. 상기 견인 수단(4)이 스프로킷 체인으로 형성된 경우, 볼트(24)는 체인 링크용 각 볼트의 측면이 연장된 것을 의미한다.
기울임암(8)은 대체로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뻗어 있는 프로파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로파일은 길게 뻗은 길이의 중심에서 운송 방향(F)으로 향하는 축(9)에 장착됨으로써 동시에 하부 이송 부재(7)의 프레임(10) 상에 위치하게 된다. 기울임암(8)의 단부 및 그 연장부에는 각각 홀딩 수단(20)이 배열된다. 영구 자석으로 형성된 홀딩 수단(20)은 특히 강판 스트립과 같이 제한적으로 유연한(flexible) 연결 부재(21)에 의해 기울임암(8)과 결합된다. 상기 유연한 결합에 의해, 상기 홀딩 수단(20)의 표면이 컨테이너(2) 바닥(19)의 하부면과는 완전 평면으로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홀딩 수단(20)의 홀딩력(holding force)이 최대화된다. 또한, 자석을 포트 형태(pot form)를 갖는 플라스틱 부재 내로 장착할 수 있으며, 이를 기울임암(8)과 단단하게 결합시키거나, 상기 홀딩 수단(20)을 기울임암(8)과 직접 결합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도 2에는 안내 레일(15a, 15b) 및 기울임 레일(16a, 16b)의 배열 방식이 도시된다. 운송 방향(F) 시점에서, 각 운행 레일(6) 하부에 위치한 견인 수단(4)의 상부 트렁크 영역에 안내 레일(15a, 15b) 및 기울임 레일(16a, 16b)로 이루어진 한 쌍이 각각 제공된다. 상기 견인 수단(4)의 하부 트렁크 영역에서 각 기울임 장치(11)의 측면에는 단 한 개의 안내 레일(15a, 15b)만이 있을 뿐, 기울임 레일(16a, 16b)은 배열되어 있지 않다. 도 2는 기울임암(8)을 포함하는 하부 이송 부재(7)를 도시하며, 상기 하부 이송 부재의 커플링 로드(12)는 해당 안내 롤러(14)에 의해 운송 방향(F) 시점에서 우측에 배열되는 안내 레일(15a) 내로, 그리고 필요할 경우에 해당 기울임 레일(16a) 내로 진입한다. 운송 방향(F)을 따라 다음으로 이어지는, 기울임암(8)을 포함하는 하부 이송 부재(7)는 도 2에 도시된 하부 이송 부재(7)와 동일하게 배열된다. 이때 한 개의 컨테이너를 운반하기 위해 두 개의 기울임암(8)이 한 쌍을 이루며, 그 결과 커플링 로드(12)는 이중암으로 형성된 기울임암(8)의 좌측에 해당 축(13)에 의해 조인트된다. 이러한 다른 한 쌍의 하부 이송 부재(7)는 도 3에서 선회되는 기울임 상태로 도시된다.
컨테이너(2)를 항상 공동으로 운반하는 두 개의 기울임암(8)이 공동으로 선회되기 위해서는, 운송 방향(F) 시점에서 전방의 기울임암(8)이 다음과 같이 선회될 수 있다. 즉, 우측에 하부 또는 내부 안내 레일(15)로 이루어진 안내 롤러(14)가 전환 부재(17a; 도 4 및 도 5 참조)에 의해 안내 레일(15a) 및 운행 레일(6) 사이에 배열된 기울임 레일(16a) 내로 전환된다. 이를 통해, 상기 커플링 로드(12)는 수직 방향으로 상향 이동되며, 상기 기울임암(8)은 축(9)을 중심으로 대략 45도로 좌측으로 선회된다.
상기 견인 수단(4)의 하부 영역에서는 기울임암(8)이 선회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우측에는 한 개의 안내 레일(15a), 그리고 좌측에는 한 개의 안내 레일(15)만이 위로 옮겨져 장착된다.
도 3은 도 2의 기울임 영역을 확대한 도면이지만, 운송 방향(F) 시점에서 후방의 하부 이송 부재(7)―여기서 하부 이송 부재는 기울임암(8)의 쌍 중 한 개의 기울임암(8)을 포함함―를 도시한다. 이와 같이 비교해 볼 때 운송 방향(F) 시점에서 좌측에 배열된 안내 레일(15a) 및 기울임 레일(16b)이 우측에 대하여 상호 교체되어 있음이 명백해진다. 따라서 기울임 레일(16b)은 안내 레일(15b)의 하위에 있다. 이러한 배열 방식은 도 2에서도 도시되고 있으며, 이때 견인 수단(4)의 하부 트렁크 영역에서 좌측의 안내 레일(15b)이 운행 레일(6)과의 인접 영역에서 상기 운행 레일(6)과 거의 닿을 정도로 배열되어 있으며, 우측의 안내 레일(15)이 하부 운행 레일(6) 상부면의 틈을 포함하여 수직 방향으로 대략 기울임 레일(16)의 높이 정도로 상향 이동된다.
계속해서 도 3에는 이중암으로 형성되며 (상기 도면에서) 커플링 로드(12)와 대향하는 기울임암(8)의 옆쪽에 견인 로드(25)가 운송 방향(F)으로 향하는 축(26)을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견인 로드(25)는 기울임암(8)이 어떠한 상태에 있든 대체로 수직으로 향하며, 기울임암(8)을 대향하는 상기 로드의 단부는 하부 이송 부재(7)의 프레임(10)에 있는 탄성 부재(27)에 의해 지탱된다. 상기 탄성 부재(27)의 목적은 기울임암(8)을 하부 이송 부재(7)의 프레임(10)에 대하여 미리 인장시켜서, U자형으로 형성되고 측면이 개방된 안내 레일(15a, 15b) 또는 기울임 레일(16a, 16b)의 상부 플랜지에 각각 있는 안내 롤러(14)가 수평의 운송 상태 및 기울어진 기울임 상태로 이동하는데 있다. 이를 통해, 상기 기울임암(8)은 전체 기울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 그리고 제자리로 되돌려지는 동안 견인 수단(4)의 하부 트렁크 영역에 자리잡게 된다.
계속해서, 도 3의 안내 롤러(14)는 견인암(28)을 거쳐, 기울임암(8)과 대향하는 커플링 로드(12)의 단부와 축(29)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견인암(28)은 마찬가지로 측면도인 도 4에 도시된다. 상기 축(29)은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방향으로 향하며 수평이다. 견인암(28)에 커플링 로드(12)를 장착하는 것과 관련하여, 도 3 및 도 4는 상기 커플링 로드가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쪽으로 향하는 축(30)에 의해 이루어짐을 도시한다. 축(13) 및 축(30)은 각각 볼 조인트(ball joint)의 구성 요소로서, 상기 축들은 기울임 과정이 진행되는 동안에 기울임암(8)이 공간 이동할 때 발생하는 위치 변동을 조정하기 위함이다. 안내 롤러(14)가 견인암(28)에 의해 프레임(10)과 결합되고, 안내 롤러가 장착된 지점의 상위에서 커플링 로드(12)가 견인암(28)에 접함으로써, 커플링 로드(12)가 수직 방향으로 추가적으로 안내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상기 견인암(28)을 운송 방향(F) 시점에서 프레임(10)의 전방에 연결함으로써, 상기 안내 롤러(14) 및 견인암(28)이 하부 이송 부재(7)의 후방에서 견인된다. 안내 레일 및 기울임 레일(16) 내에서 안내 롤러(14)가 이와 같이 이동함으로써 견인암(28) 및 커플링 로드(12)간의 조인트 결합의 안정성이 증가한다.
그밖에도 도 2 및 도 3을 비교해 볼 때, 다음과 같은 사실을 발견할 수 있다. 즉, 기울임암(8)의 레벨 쪽에 추가의 연결 강판(31)이 추가 배열되어 있고, 상기 연결 강판에 의해 견인 로드(25) 또는 커플링 로드(12)중 하나가 기울임암(8)과 결합된다. 이때 상기 결합은 컨테이너(2)를 운송하기 위한 기울임암(8) 한 쌍 중 기울임암(8)이 각각 전방 또는 후방의 것인지의 여부에 따른다. 이를 통해, 상호 마주보는 쪽에 놓여진 안내 레일(15a, 15b) 및 기울임 레일(16a, 16b)이 수직 방향으로 상호 교체되어 있고 수직으로 위치가 변경됨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형성된 커플링 로드(12)가 사용되어질 수 있다.
도 4는 도 1에서 운송 방향(F)으로 연속되는 두 개의 전환 부재(17a, 17b)의 영역을 확대한 부분도로서, 이때 상기 전환 부재는 대체로 구동 장치(32; 도 6참조) 및 힌지와 프리스메틱 조인트를 포함하는 몰티즈 크로스 방식의 편평한 캠 기어로 구성된다. 상기 구동 장치(32)는 직렬 접속식 기어를 포함하는 전동기로 구성된다. 구동 장치(32)는 기울임 장치(1)의 운반 프레임(22)에 장착되며, 구동 측면상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고 수평 방향으로 향하는 샤프트(33)에 의해 그 위에 장착된 핀 디스크(34)와 연결된다. 상기 핀 디스크(34)는 샤프트(33) 한쪽에 장착된 레벨암의 기능을 가지며, 이때 샤프트(33)와 대향하는 레벨암의 단부는 샤프트(33)와는 동일한 축방향으로 향하는 핀(35)을 구비한다. 상기 핀(35)은 대체로 롤러를 구비한다. 상기 핀(35)은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의 한쪽이 개방되고 긴 구멍 형태를 갖는 틈새(36) 내로 진입한다. 상기 틈새 내장형 디스크는 핀 디스크(34)의 샤프트(33)와는 동일한 축방향으로 향하는 또 다른 샤프트(38)를 중심으로 선회될 수 있도록 장착된다. 상기 틈새 내장형 디스크(37)는 정사각형으로 시작하여 형성되고, 상기 샤프트(38)와는 편심되도록 장착되며, 캠 구동 장치가 그 최종 위치에서 셀프 로킹되도록 두 개의 오목한 베어링 면(37')을 구비한다. 상기 틈새 내장형 디스크(37)는 기능상으로는 이중 레버로 형성되며, 이때 한 개의 레벨암에 틈새(36)가 배열된다. 여기서 틈새 길이의 예정된 연장부는 샤프트(38)의 원심에 침입한다.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의 맞은 편 레버암에, 그리고 이와 함께 상기 틈새(36)의 맞은 편에 샤프트(38)와 동축으로 향하는 축(39)에 의해 커넥팅 로드(40)가 장착된다. 상기 축(39)과 대향하는 커넥팅 로드의 단부는 축(35)에 대해 평행하게 향하는 또 다른 축(45)에 의해 전환 레일(41)에 고정된다. 이러한 핀 및 틈새간의 결합은 전환 레일(42)을 선회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전환 레일(42)은 베어링 면(34', 37')에 의해 최종 위치로 고정된다.
상기 전환 레일(41)의 길이는 운송 방향(F)으로 향하고 대략 컨테이너(2)의 종 방향 영역에 위치하며, 상기 전환 레일은 전환 조인트(42)에 의해 정지 상태―여기서 정지 상태 내의 상기 전환 레일은 안내 레일(15b) 상에 배열됨―에서 가동 상태로 선회될 수 있다. 가동 상태에서의 전환 레일(41b)은 상기 안내 레일(15b)을 기울임 레일(16b)과 결합시키며, 운송 방향(F) 시점에서 경사져 있다. 상기 전환 레일(41b)을 위한 전환 힌지(42)는 도 4에서 도시되지 않았다. 이는 전환 레일(41b)이 컨테이너(2)의 매끄러운 기울어짐을 달성하는 전환 레일(41b)의 길이로 인해 도면의 우측 가장자리의 외부에 위치하기 때문이다. 전환 레일(41a)을 위한 전환 조인트(42)는 그러나 도 4에 대한 도 6의 평면도에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전환 레일(41)은 길이 축소상 두 개의 부분으로 형성된다. 제1 부분은 전환 조인트(42)와 결합되고 제2 부분(41a)은 기울임 레일(16b)의 시작부에 고정된다. 제2 부분(41b)은 제1 부분의 방향에 대응되도록 가동 상태에서는 기울임 레일(16)에 대해 각을 이루도록 향한다.
도 4에서의 전환 레일(41b)은 수평의 정지 상태로 도시되어 있다. 전환 레일(41b)의 가동 상태는 도시되어 있는 고정된 단부(41b')에 의해서만 대략적으로 표시된다. 계속해서 도 4에서의 전환 조인트(42)와 나란히 있는 전환 레일(41b)은 전환 조인트(42)를 대향하고 운송 방향(F) 전방에 위치하는 전환 조인트 단부에서 안내 부재(43)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 추가로 홀딩된다. 상기 안내 부재(43)는 운반 프레임(22)에 고정되는 U자형 부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U자형 부분의 개방된 측면이 운송 방향(F) 시점에서 전방으로 향한다. 상기 개구부 내로 전환 레일(41)에 고정된 테입형 부재가 진입한다. 커넥팅 로드(40)는 전환 레일(41b)과 안내 부재(43) 가까이에, 그리고 전환 조인트(42)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가진 채 접촉한다.
계속해서 도 4는 전환 부재(17a)의 전환 레일(41a)의 바람직한 형태를 도시한다.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상기 전환 레일(41a)은 정지 상태로 도시되며, 그 가동 상태는 운송 방향(F)으로 놓여진 전환 레일(41a')의 고정된 부분의 전 단부에 의해 대략적으로 도시된다. 상기 전환 부재(17a)의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의 틈새(36)는 두 가지의 가능한 상태로 도시된다.
도 5는 도 4의 전환 부재(17b) 영역을 확대한 도면으로서, 상기 도면에 의해 전환 부재(17)의 구동 장치(32)의 작동 방법 및 장점이 아래에 보다 구체적으로 상술된다. 상기 전환 레일(41b)은 위로 올려진 수평의 정지 상태를 취하며, 이를 통해 하부 이송 부재(7)의 커플링 로드(12)의 안내 롤러(14)는 안내 레일(15b)을 따라 안내되며, 상기 기울임암(18)은 운송 상태로 놓이게 된다. 이러한 정지 상태에서의 전환 레일(41b)은 커넥팅 로드(40)에 의해 홀딩되며, 이때 상기 커넥팅 로드는 연결각(44) 및 축(45)에 의해 전환 레일(41b)과 조인트 방식으로 결합되며, 상기 커넥팅 로드의 한쪽 단부는 틈새 내장형 디스크(37)로부터 지탱된다. 상기 틈새 내장형 디스크는 틈새 내장형 디스크(37) 및 핀 디스크(34)의 상호 나란히 놓여진 베어링 면(34', 37') 상에 정지 상태로 홀딩된다. 전환 레일(41b)이 가동 상태 및 정지 상태를 취할 때, 상기 틈새(36)는 종 방향을 따라 샤프트(33)에 대해 접선형으로 향하기 때문에, 상기 베어링 면(34', 37')에 의해서만 샤프트(33) 방향의 힘이 핀 디스크(34) 내로 유도된다. 따라서 구동 장치(32)가 선회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도시되는 캠 기어는 셀프 로킹식이다.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에서의 레벨 상태는 전환 레일(41b)의 위치 변경 행로에 적합하도록 다음과 같이 선택되어진다. 즉, 핀 디스크(34) 및 틈새 내장형 디스크(37; 도 4의 전환 부재 17a 참조)가 가동될 때에도 상기 틈새(36)가 종 방향을 따라 샤프트(33)와 접하도록 위치가 조절되며, 베어링 면(34', 37')은 상호 인접하도록 놓여진다. 상기 핀 디스크(34)를 90도로 선회시킴으로써 전환 레일(41)이 가동 상태에서 정지 상태로, 또는 그 반대로 선회될 수 있다. 핀 디스크(34) 및 틈새 내장형 디스크(27)에 의한 전환 레일(41)의 구동상의 결합은 또 다른 장점을 갖는다. 즉, 무엇보다도 전동기로 형성된 구동 장치(32)의 경우에 작은 기동 토크(starting torque)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핀(35) 동작이 이루어지는 초기에, 상기 핀이 우선 비교적 자유롭게 틈새(36)의 종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핀 디스크(34)의 선회 동작이 증가된 이후에서야 상기 틈새(36)의 측벽에 전달되어질 힘의 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계속해서, 도 5에 도시되는 커넥팅 로드(49)의 길이는 조절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전환 레일(41)의 끝부분 및 안내 레일(15)의 시작 부분 또는 기울임 레일(16)의 시작 부분 사이의 전이가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계속해서 도 4의 평면도인 도 6은 전환 조인트(42)가 힌지로 형성됨을 도시한다. 상기 힌지는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쪽으로 향하는 수평의 선회축을 구비하며, 대체로 운반 프레임(22)에서 암을 형성하는 장착 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운반 프레임(22)을 대향하는 상기 장착 부재의 단부에는 축을 위한 보어(bore)가 구비된다. 고정 부재로부터 돌출하는 단부에서 포크 모양의 조인트 부분이 상기 축을 향해 열려진다. 상기 조인트 부분은 각도에 의해 전환 레일(41a)과 결합된다.
―도면 위치 부호―
1 기울임 장치
2 컨테이너
3 컨베이어 벨트
4 견인 수단
5 방향 전환 휠
6 운행 레일
7 하부 이송 부재
8 기울임암
9 축
10 프레임
11 캠 롤러
12 커플링 로드
13 축
14 안내 롤러
15a, 15b 안내 레일
16a, 16b 기울임 레일
17a, 17b 전환 부재
18 측벽
19 바닥
20 홀딩 수단
21 연결 부재
22 운반 프레임
23 회전축(캠 축)
24 볼트
25 견인 로드
26 견인 로드의 축
27 탄성 부재
28 견인암
29 견인암의 축
30 커플링 로드의 축
31 연결 강판
32 구동 장치
33 샤프트
34 핀 디스크
35 핀
36 틈새
37 틈새 내장형 디스크
38 샤프트
39 축
40 커넥팅 로드
41a, 41b 전환 레일
42 전환 조인트
43 안내 부재
44 연결각
45 축
F 운송 방향

Claims (10)

  1. 운송 방향(F)으로 전후 배열되고 운행 레일(6)을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구동되는 견인 수단(4)에 의해 연속 회전하는 체인(chain)으로 결합되는 하부 이송 부재(undercarriage; 7)를 포함하고,
    단일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 운송 방향(F)으로 수평하게 뻗어 있는 축(9)을 중심으로 측면으로 선회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이송 부재(7) 상에 배열되는 기울임암(8)을 포함하고
    이때 기울임암(8)의 기울어짐을 위해 각 기울임암(8)에 상기 기울임암의 축(9) 외부에 조인트(joint) 방식으로 맞물리며, 대체로 수직으로 향하고 상기 기울임암(8)과 대향하는 단부에 안내 롤러(14)를 장착하고 있는 커플링 로드(20)를 구비하고,
    기울임암을 홀딩하기 위해서 수평의 운송 상태에서 운행 레일(6)과 평행하게 뻗어 있는 안내 레일(15) 내로 안내되고, 상기 기울임암(8)을 축(9)을 중심으로 작동 가능한 전환 부재(17)에 의해 선회시키기 위해서 안내 레일(15)과는 수직으로 옮겨져 장착되는 경동 레일(16) 내로 전환시킬 수 있는 안내 롤러(14)를 포함하고,
    수평의 정지 상태에서 안내 레일(16) 상에 배열되고, 구동 장치(32)에 의해 선회형 가동 상태―여기서 선회형 가동 상태는 안내 레일(15) 및 해당 기울임 레일을 결합시킴―로 선회될 수 있는 전환 레일(41)로 구성된 전환 부재(17)를 구비하며,
    특히 공항 수화물과 같은 단일 화물을 컨베이버 벨트(3)로부터 이에 근접하는 적어도 한 개의 분기 컨베이어(branching conveyor)로 이송하기 위한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에 있어서,
    상기 전환 레일(41)이 운송 방향(F)에 대해 횡단하는 쪽을 향해 구동될 수 있는 핀 디스크(34)를 구비하는 몰티즈 크로스(maltese cross) 방식의 캠 기어에 의해 선회될 수 있고,
    상기 핀 디스크는 핀(35)에 의해 틈새 내장형 디스크(37) 내에 배열되는 틈새(36) 내로 진입하고, 이때 상기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에는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의 회전 동작을 전환 레일(41)의 상하 동작으로 전환시키는 커넥팅 로드(40)가 장착되는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 화물이, 특히 공항 수화물과 같은 운송 화물을 운송할 수 있는 컨테이너(2)로 형성되고 컨베이어 벨트(3) 사이에서 상기 컨테이너(2)를 계속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두 개의 기울임암(8)이 홀딩 수단(20)에 의해 (컨테이너로부터) 해제 가능한 방식으로 상기 컨테이너(2)와 결합되는 기울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종 방향을 따르는 상기 틈새(36)의 예정된 연장부가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의 샤프트(38)의 원심을 침입하고, 전환 레일(41)을 선회하기 위해 핀 디스크(34)는 정지 상태에서 가동 상태로 대략 90도로 선회될 수 있으며, 상기 틈새(36)는 각각 가동 및 정지 상태에서 종 방향을 따라 핀 디스크(34)의 샤프트(33)와 접하도록 조절되어 있으며, 캠 기어를 셀프 로킹하기 위해서 상기 핀 디스크(34) 및 틈새 내장형 디스크(37)에 배열된 베어링 면(34', 37')이 상호 인접하는 기울임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운송 방향(F) 시점에서 상기 기울임 장치(1)의 좌우에 각각 안내 레일(15), 기울임 레일(16) 및 전환 부재(17)가 제공되고, 상기 커플링 로드(12)들은 각각 교대로 기울임암(8)의 양 측면과 접촉함으로써, 연속되는 하부 이송 부재(7)의 안내 롤러(14)들이 각각 교대로 우측과 좌측의 안내 레일(15) 및 기울임 레일(16) 내로 진입하는 기울임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컨테이너(2)는 기울임암(8)에 배열된 홀딩 수단(20)―여기서 홀딩 수단은 상기 컨테이너를 컨베이어 벨트로부터, 그리고 컨베이어 벨트쪽으로 이송하기 위한 것임― 의해 기울임암과 결합되거나 해제될 수 있으며, 결합 상태의 컨테이너(2)가 이동 가능한 기울임암(8) 상에 안착되는 기울임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이송 부재(7)가 운송 방향(F)을 횡단하는 시점에서 육상 경기장 형태로 뻗어 있는 운행 레일(6) 상에서 이동하는 캠 롤러(11)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 수단(4)이 운행 레일(6)의 끝부분에 배열되는 두 개의 방향 전환 휠(5)에 의해 안내되는 기울임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든 하부 이송 부재(7) 상에 단지 한 개의 기울임암(8)이 배열되고, 운송 방향(F) 시점에서 상기 두 개의 기울임암(8) 사이의 거리가 컨테이너(2)의 길이―여기서 컨테이너의 길이는 컨테이너(2)가 두 개의 기울임암(8)으로부터 운반될 정도임―에 알맞게 결정되는 기울임 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20)이 영구 자석으로 형성되고, 상기 컨테이너(2)가 적어도 접촉면 영역에서 자석으로 구성되는 기울임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디스크형으로 형성되고, 그 중 한 개의 디스크면이 고정될 컨테이너(2)로 향하며, 제한적으로 각운동을 할 수 있도록 상기 기울임암(8)에 장착되는 홀딩 수단(20)을 포함하는 기울임 장치.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수단(20)이 기울임암(9)의 양쪽 단부에 배열되는 기울임 장치.
KR1020007006186A 1997-12-09 1998-12-08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KR200100328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56303A DE19756303C1 (de) 1997-12-09 1997-12-09 Verteilförderer zum Übergeben von Stückgut
DE19756303.1 1997-12-09
PCT/DE1998/003669 WO1999029601A1 (de) 1997-12-09 1998-12-08 Verteilförderer zum übergeben von stückgu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2858A true KR20010032858A (ko) 2001-04-25

Family

ID=7852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6186A KR20010032858A (ko) 1997-12-09 1998-12-08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502687B1 (ko)
EP (1) EP1037834B1 (ko)
JP (1) JP2001525304A (ko)
KR (1) KR20010032858A (ko)
CN (1) CN1103728C (ko)
AT (1) ATE219749T1 (ko)
AU (1) AU2409399A (ko)
BR (1) BR9813447A (ko)
CA (1) CA2313460A1 (ko)
DE (2) DE19756303C1 (ko)
ES (1) ES2175855T3 (ko)
WO (1) WO19990296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384757A1 (en) 1999-09-14 2001-03-22 Shionogi & Co., Ltd. 2-imino-1,3-thiazine derivatives
CN1880199B (zh) * 2006-03-14 2010-11-17 深圳易拓科技有限公司 硬盘流水线传送装置
US7762386B2 (en) * 2006-11-10 2010-07-27 Industrial Magnetics Incorporated Magnet assembly for a conveyor system
DE102008024586A1 (de) * 2008-05-21 2009-11-26 Beumer Maschinenfabrik Gmbh & Co. Kg Sortiersystem mit einem Vertikalsorter
DE102008035690A1 (de) * 2008-07-30 2010-03-04 Siemens Aktiengesellschaft Kippschalen-Sortierförderer
US8851267B2 (en) * 2012-03-26 2014-10-07 Mantissa Corporation High efficiency sorting conveyor with improved friction drive motor assembly
US8807320B2 (en) * 2012-06-21 2014-08-19 Mantissa Corporation Independent discharge sorting conveyor
PL3260401T3 (pl) * 2012-09-06 2019-10-31 Compac Tech Limited Siłownik przechyłu i układ przenośnika
DE102013216864A1 (de) 2013-08-23 2015-02-26 Siemens Aktiengesellschaft Sortierfördervorrichtung
US10011440B2 (en) * 2013-09-04 2018-07-03 Compac Technologies Limited Tipping actuator for a conveyor system
US9656810B1 (en) 2014-02-04 2017-05-23 Span Tech Llc Tilted conveyor systems and related methods
CN106276229A (zh) * 2016-08-30 2017-01-04 成都市翻鑫家科技有限公司 一种产品移动取料机构
CN108861499B (zh) * 2017-08-25 2020-11-03 东风汽车公司 一种托盘自动转载装置
CN109048647B (zh) * 2018-08-10 2023-11-21 东莞市玮明实业有限公司 一种多头研磨抛光设备的可翻转作业平台
CN110498230B (zh) * 2019-09-16 2024-04-16 苏州威兹泰克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治具运输回流设备
CN112474372A (zh) * 2020-11-27 2021-03-12 苏州金峰物流设备有限公司 翻转式分拣车、翻转式分拣装置、翻转式分拣系统及翻转式分拣方法
JP7468483B2 (ja) * 2021-09-03 2024-04-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JP7468482B2 (ja) * 2021-09-03 2024-04-16 株式会社ダイフク 物品搬送車
CN113620065B (zh) * 2021-10-11 2021-12-17 常州黑珍珠建材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自动码堆功能的混凝土砌块的输送机
CN117302864B (zh) * 2023-11-29 2024-02-02 江苏百择高分子有限公司 一种聚四氟乙烯生产用自动上料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62874A (en) * 1970-10-12 1972-05-16 Butz Engineering Co Parcel sorting conveyor system
US5579897A (en) * 1987-06-08 1996-12-03 Saseb Bakery North America, Inc. Magnetic conveyor system
US5664660A (en) * 1989-02-24 1997-09-09 Kosan Crisplant A/S Sorter conveyor
US5188216A (en) * 1990-07-09 1993-02-23 Smith Stephen R Magnetic grid
DK167274B1 (da) 1991-06-18 1993-10-04 Cosan Crisplant As Fremgangsmaade til destinationssortering og lejlighedsvis mellemlagring af stykgods, f.eks. flybagage, samt sorterings- og lagringsanlaeg til udoevelse af fremgangsmaaden og baerebakke til brug i dette anlaeg
JPH05162846A (ja) * 1991-12-12 1993-06-29 Toyo Kanetsu Kk 仕分装置
DE4225491C1 (de) * 1992-07-30 1993-10-21 Mannesmann Ag 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Behältern
DE4233553C1 (de) * 1992-09-30 1993-11-25 Mannesmann Ag Kippbare Schale einer Sortierförderanlage
DE4341715C1 (de) * 1993-12-03 1994-11-24 Mannesmann Ag Sortierförderer mit einer kippbaren Schale
DE4447396C1 (de) * 1994-12-23 1996-06-05 Mannesmann Ag Sortierförderer mit einer kippbaren Tragschale
WO1998025842A1 (de) * 1996-12-09 1998-06-18 Mannesmann Ag Kipp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behältern für stückgut
DE19755877C2 (de) * 1996-12-09 2000-06-29 Mannesmann Ag Kippvorrichtung zum Entleeren von Behältern für Stückgut
DE19755474C1 (de) * 1997-12-02 1999-02-11 Mannesmann Ag Förderer für die Sortierung von Stückgut
ATE240249T1 (de) * 1997-12-23 2003-05-15 Crisplant As Gelenkförderer
US6009992A (en) * 1998-03-02 2000-01-04 Mantissa Corporation Cascade free tilt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804607D1 (de) 2002-08-01
JP2001525304A (ja) 2001-12-11
BR9813447A (pt) 2000-10-10
WO1999029601A1 (de) 1999-06-17
DE19756303C1 (de) 1999-07-08
ATE219749T1 (de) 2002-07-15
AU2409399A (en) 1999-06-28
EP1037834A1 (de) 2000-09-27
CA2313460A1 (en) 1999-06-17
US6502687B1 (en) 2003-01-07
ES2175855T3 (es) 2002-11-16
EP1037834B1 (de) 2002-06-26
CN1103728C (zh) 2003-03-26
CN1279644A (zh) 2001-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32858A (ko) 단일 화물 이송용 분리 컨베이어
US6231293B1 (en) Tipping device for emptying containers for piece goods
JP4301213B2 (ja) 搬送用走行体の配送設備
US4852718A (en) Conveyor system
JPH10129472A (ja) ばら荷積載貨車
CN112474371A (zh) 翻板分拣机、翻板分拣系统、翻板分拣机的分拣方法及支撑导轨
CZ296924B6 (cs) Dopravník pro systém dopravující náklad
EP1081065A1 (en) Trolley with passive discharge mechanism
US5960938A (en) Conveyor for cantilevered loads
JPH06211129A (ja) 案内線路に沿って案内される床面走行形搬送車両を有する搬送装置
RU2193999C2 (ru) Опрокидыв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орожнения контейнеров для штучных грузов
US6866138B2 (en) Apparatus for discharging load carriers
CN116553213A (zh) 一种袋装物料箱式自动装车机
CN214638276U (zh) 翻板分拣机、翻板分拣系统及支撑导轨
CN114260189A (zh) 一种分拣小车及分拣设备
FI80641C (fi) Foerfarande foer oeverflyttning av en haengvagn fraon en bana till en annan och haengvagnssystem.
CN112474372A (zh) 翻转式分拣车、翻转式分拣装置、翻转式分拣系统及翻转式分拣方法
JPH0342406A (ja) 搬送装置
CN216827272U (zh) 一种分拣小车及分拣设备
CN211443716U (zh) 一种分拣导轨
JP2002029618A (ja) トレー式物品搬送装置におけるリンクフレーム連結機構
JP2005187153A (ja) 物品仕分け装置
JP2514540B2 (ja) 垂直搬送コンベヤ装置
SU222242A1 (ru) Подвесной грузонесущий конвейер
MXPA99004312A (en) Tipping device for emptying containers for piece goo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