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771A - 당뇨병 치료제용 한방약 복방제제 - Google Patents

당뇨병 치료제용 한방약 복방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771A
KR20010029771A KR1020000030134A KR20000030134A KR20010029771A KR 20010029771 A KR20010029771 A KR 20010029771A KR 1020000030134 A KR1020000030134 A KR 1020000030134A KR 20000030134 A KR20000030134 A KR 20000030134A KR 20010029771 A KR20010029771 A KR 200100297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diabetes
treatment
weight part
herb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30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8745B1 (ko
Inventor
추나이 얀
Original Assignee
추나이 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나이 얀 filed Critical 추나이 얀
Publication of KR20010029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87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1Astragalus (milkvetc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8Scrophularia (fig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8Solu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제인 한방약 복방제제와 그 조제방법에 관한 것으로, 한방약 복방제제는 황련, 인삼, 지모, 단삼에서 추출한 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한다. 이는 당뇨병, 특히 Ⅱ형 당뇨병 치료에 쓰이며 혈당, 뇨당을 낮추거나 비장(췌도)의 기능을 점차적으로 회복시키는 등의 치료 효과를 가져온다. 당뇨병 환자에 대한 6000여건의 임상 치료를 거친 결과, 본 제제의 총유효율은 96.33%인 것으로 검증되었다.

Description

당뇨병 치료제용 한방약 복방제제{Compound preparations of Chinese traditional medicine for diabetes}
본 발명은 당뇨병 치료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한방약을 원료로 한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와 그 조제방법에 관한 것이다.
당뇨병은 한방의학에서 소갈증이라고 불리우며 중국에서는 이미 2000년 이상의 역사 기록이 있다. 당뇨병은 일종의 만성질병으로서 인체 내 인슐린의 상대적 혹은 절대적인 분비 부족으로 초래되는 당, 지방 및 단백질의 대사문란에 따른 복합질병이다. 당뇨병은 발병율이 높고 치료 기간이 길어 현재 암, 심뇌혈관병(angiocardiopathy and cerebrovascular disease)과 함께 3대 질병으로 일컬어진다. 현대인의 생활 수준의 제고, 음식 구조의 개선, 생활 방식의 변화와 유전인자 등의 원인으로 말미암아 당뇨병의 발병률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개략적인 통계에 따르면 현재 중국에는 당뇨병 환자가 대략 3000만명인데, 매년 70만명 정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당뇨병은 Ⅰ형과 Ⅱ형 두 가지로 나뉘는데 Ⅰ형은 인슐린의존형, Ⅱ형은 비인슐린의존형이다. 그 중 Ⅱ형 환자, 즉 비인슐린의존형 당뇨병 환자가 총환자수의 90% 정도를 차지하며, 사람들의 건강과 생명을 크게 위협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 국내외에는 아직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는 이상적인 약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다.
양방에서는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대부분 술포닐우레아(sulfonylurea)류, 틸디구아니아둠(thyldiguaniadum)류, 인슐린 등의 약제를 사용한다. 이들 약은 혈당 농도를 낮추는데 있어서는 확실한 효과를 보고 있지만, 겨우 대사문란을 치료하는 정도 밖에 이르지 못한다. 또한 부작용이 심하여 장기적으로 복용하면 간장과 신장을 손상시키고 위장 기능에 영향을 주어 그 합병증의 예방 및 치료에 더욱 어려움이 따르게 된다.
한방에서의 당뇨병 치료 역사는 유구하지만 종래 한방제제는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데 불과하여 일시적인 치료효과를 가져올 뿐,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가져오지 못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일시적으로 혈당, 뇨당을 낮출 뿐만 아니라, 당뇨병을 근본적으로 치료하여 인슐린 기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 당뇨병 치료제 및 그 조제방법을 제공하고자 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제제는 당뇨병과 그 합병증의 발병 원인에 대한 현재 중국의학의 견해와 치료 원칙에 기초하고 현대약리학 연구 성과를 참고로 하여 청열자음(), 보비익신(), 익기생진(), 통맥활락()한 한방약을 선택하여, 한방의학이론에 따라 약재를 배합하여 그 정수를 취하며, 주요하게는 조열편승(), 비신량허(), 락맥저어(), 기음량허()로 인한 당뇨병, 특히 Ⅱ형 당뇨병을 치료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 치료제제는, 일종의 한방약 복방제제를 제공하는 바, 상기 제제는 다음과 같은 원료 혹은 다음과 같은 원료에 알콜 및/또는 물을 가하여 추출하여 얻은 활성성분으로 조성된다.
황련() 600-900 중량분 인삼() 450-750 중량분
황기() 800-1200 중량분 현삼() 450-550 중량분
지모() 550-750 중량분 황백() 780-1420 중량분
창출() 450-550 중량분 단삼() 550-750 중량분
호장()450-550 중량분 지골피() 550-750 중량분
상술한 한방약에서 바람직한 원료배합 중량비()는 다음과 같다.
황련 700-780 중량분 인삼 570-630 중량분
황기 970-1070 중량분 현삼 475-525 중량분
지모 630-700 중량분 황백 1100-1250 중량분
창출 475-525 중량분 단삼 630-700 중량분
호장 475-525 중량분 지골피 630-700 중량분
상술한 한방약제제는 탕제, 충제(분말약), 캡슐, 편제(), 구복액 혹은 환제 등 약제학 범위내의 임의의 약제형으로 제조가능하다. 본 발명의 한방약 제제의 조제 역시 일반 한방약제제의 조제방법에 따라 진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 복방제제는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제조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술한 한방약으로 본 발명인 한방약 복방제제를 조제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1) 원료는 다음과 같은 양의 한방약을 저울로 측정하여 준비한다:
황련 600-900 중량분 인삼 450-750 중량분
황기 800-1200 중량분 현삼 450-550 중량분
지모 550-750 중량분 황백 780-1420 중량분
창출 450-550 중량분 단삼 550-750 중량분
호장 450-550 중량분 지골피 550-750 중량분.
(2) 상술한 인삼의 분말가루에 알콜 및/또는 물을 가한 후, 가열회류()하여 얻은 추출물을 활성성분Ⅰ로 한다.
(3) 상술한 황련과 황백의 분말가루에 물 혹은 산성수를 가해 얻은 침출액을 활성성분Ⅱ로 한다.
(4) 상술한 기타 7가지 약재를 물에 담근 후, 가열하여 얻은 추출물을 활성성분Ⅲ으로 한다.
(5) 상술한 활성성분Ⅰ,Ⅱ,Ⅲ을 골고루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당뇨병복방제제를 얻는다.
인삼은 원기회복 및 비장과 폐를 돕는데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인삼의 유효성분은 진세노시드(ginsenoside)이다. 상기 단계 (2)에서 서술한 가열회류는 3회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열회류 액체로 바람직하기로는 에틸알콜 수용액을 사용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5%-80%의 에틸알콜 수용액을, 가장 바람직하게는 75%의 에틸알콜 수용액을 사용한다. 에틸알콜 농도가 너무 높거나 너무 낮으면 진세노시드의 수득률을 감소시킨다.
상기 단계 (4)에서의 물로 추출하는 과정은 3회 수행하며, 매회 2시간, 용제량(용질을 용해시키는 용매의 양)은 용질량의 10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한방약 복방제제의 실시예, 동물 실험예, 당뇨병치료의 임상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1: 한방약 캡슐a의 조제방법
(1) 다음과 같은 중량비에 따라 각 원료들을 준비한다.
황련 740 중량분 인삼 600 중량분
황기 1020 중량분 현삼 500 중량분
지모 666 중량분 황백 1200 중량분
창출 500 중량분 단삼 666 중량분
호장 500 중량분 지골피 666 중량분
(2) 상술한 배합비에 따라 인삼분말가루를 준비하고, 75% 농도의 에틸알콜용액을 가하여 3회 가열한다. 제1회는 4배량의 75% 농도의 에틸알콜 용액을 가하고 4시간 동안 가열하며, 제2회는 2배량의 75% 농도의 에틸알콜 용액을 가하고 2시간 동안 가열하며; 제3회는 2배량의 75% 농도의 에틸알콜 용액을 가하고 2시간 동안 가열한다. 3회의 가열을 통해 얻은 추출액은 혼합하고, 용매로 쓰인 에틸알콜은 분리해 내며, 물은 노르말프로필알콜포화액(물:노르말프로필알콜=1:2)으로 4회에 걸쳐 분리해낸다. 매회 10시간씩 방치하고, 노르말프로필알콜 용액을 가한 후 노르말프로필알콜을 분리해낸다. 다음으로 80℃에서 건조시켜 입자가 고운 가루로 만든 다음에 사용한다.
(3) 상술한 배합비에 따라 황련과 황백 분말가루를 취하여 0.2% 황산수용액에 3회 냉침시킨다. 제1회는 5배의 0.2% 황산수용액을 넣고 교반하여 24시간 냉침시키고, 제2회는 4배의 0.2% 황산수용액을 넣고 저으며 24시간 냉침시킨다. 제3회는 3배량의 0.2% 황산수용액을 넣고 교반하여 24시간 냉침시킨다. 다음으로, 3차례의 추출액을 혼합하여 여과한 후 pH9-11로 되도록 석회유()로 조절하고 다시 여과한 후 10% 염화나트륨(w/v)수용액을 넣고 교반한다. 다음으로 염산으로 pH2-3으로 되도록 조절한 후 하루 동안 방치해 둔다. 이어서, 용액을 여과하여 얻은 침전물을 적은 양의 물로 씻어 말리고 80℃ 온도에서 건조시켜 입자가 고운 가루를 만든 후에 사용한다.
(4) 상술한 배합비에 따라 나머지 7가지 약재를 취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후, 물로 흙과 먼지를 깨끗이 씻는다. 다음 생약량의 10배되는 물을 넣고 2시간 담가 두었다가 가열한다. 물이 끓는 시간으로 계산하여 첫 번째는 2시간 동안 가열하고, 두 번째는 6배량의 물을 부어 1.5시간 동안 가열하며, 세 번째에는 5배량의 물을 부어 1.5시간 동안 가열한다. 3차의 추출액을 혼합하고 하룻밤 방치한 후, 위의 맑은 액을 취하여 에틸알콜을 넣어 일반적인 방법으로 에틸알콜 침전시킨다. 이 때, 진공상태로 감압시킨 후 상대밀도가 1.1로 되도록 한다. 다음 95% 에틸알콜 용액을 가하여, 용액에 에틸알콜 함량이 70%가 되도록 조절한다. 에틸알콜용액을 가하고 2시간 동안 세게 교반한 후 하룻밤(약 24시간) 동안 방치한다. 위의 맑은 액을 취하여 에틸알콜을 분리해낸 후 비중이 1.15로 되도록 농축시키고 분무 건조시킨다.
(5) 상술한 3가지 건조된 가루를 고루 혼합하고 88%의 에틸알콜 수용액을 가한 후 혼합기로 고루 혼합한다. 다음 진전과립제조기(oscillating granulator,)로 14호짜리 알약을 만들어, 60℃ 항온열풍기로 건조시켜 수분량을 9% 이하로 만든 후 16호 알약을 취하여 0호 캡슐에 넣으면 질량이 0.4g인 본 발명 캡슐a를 얻는다. 1g의 약가루는 대략 19g의 생약에 해당된다.
실시예2: 한방약 캡슐b의 조제방법
(1) 다음과 같은 배합 비에 따라 각 조성 약재를 준비한다;
황련 900 중량분 인삼 750 중량분
황기 1200 중량분 현삼 550 중량분
지모 750 중량분 황백 1420 중량분
창출 550 중량분 단삼 750 중량분
호장 550 중량분 지골피 750 중량분
(2) 상술한 중량 배합비에 따라 인삼분말가루를 준비하고 55%농도의 에틸알콜 수용액을 가한 후 가열한다. 제1회는 4배량의 55% 농도의 에틸알콜을 가한 후 3시간동안 가열하며, 제2회는 2배량의 55% 농도의 에틸알콜을 가한 후 3시간동안 가열하고, 제3회는 2배량의 55% 농도의 에틸알콜을 넣고 3시간 가열한다. 다음 3회의 채취액을 혼합하고 에틸알콜을 분리해내며, 물은 프로필알콜의 포화수용액(물:프로필알콜=1:2)으로 4회에 걸쳐 분리해낸다. 매회 10시간씩 방치해 두며, 프로필알콜용액을 가한 후, 프로필알콜을 분리해낸다. 다음으로, 80℃에서 건조시킨 후, 입자가 고운 가루로 만든다.
(3) 상술한 중량 배합비에 따라 황련과 황백 분말가루를 취하여 3회 물에 냉침시킨다. 제1회는 5배량의 물을 가하고 교반하며 48시간 동안 냉침시키고, 제2회는 4배량의 물을 가하고 교반하여 48시간 동안 냉침시키며, 제3회는 3배량의 물을 가하고 교반하여 48시간 동안 냉침시킨다. 다음으로, 3회의 추출액을 혼합하고 여과한 후 10% 염화나트륨(w/v)용액을 가하여 교반시킨다. 이어 pH2-3이 되도록 황산수용액으로 조절하여 하룻밤을 방치한 후 여과하여 그 침전물을 적은 양의 물로 씻어내고 물기를 뺀 후 80℃에서 건조시켜 입자가 고운 가루를 만든다.
(4) 상술한 중량 배합비에 따라 나머지 7가지 약재를 취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흙과 먼지를 깨끗이 씻는다. 다음으로 생약의 8배량되는 물을 넣고 2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가열한다.
물끓는 시간으로 계산하면 제1회는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제2회는 6배량의 물을 넣고 1.5시간 가열하며, 제3회는 5배량의 물을 넣고 2시간 가열한다. 3회의 채취액을 혼합하여 하룻밤 방치한 후, 위의 맑은 액을 추출하여 에틸알콜을 넣은 후 일반적 방법에 따라 알콜침전시켜 농축시킨 후 분무 건조시킨다.
(5) 상술한 3가지 건조 분말을 고루 혼합한 후 실시예1의 과정 (5)에 따라 알약을 만들고 건조시킨 후 0호 캡슐에 넣는다. 상기 알약은 매알 0.4g이며 이것이 본 발명의 캡슐b이다. 약가루 1g은 대략 생약 19g에 해당된다.
실시예 3: 한방약 캡슐c의 조제방법
(1) 다음의 중량배합비에 따라 각 한방약을 준비한다;
황련 600 중량분 인삼 450 중량분
황기 800 중량분 현삼 450 중량분
지모 550 중량분 황백 780 중량분
창출 450 중량분 단삼 550 중량분
호장 450 중량분 지골피 550 중량분
(2) 상술한 중량 배합비에 따라 인삼분말가루를 준비한 후 생약무게의 10배되는 물을 가하고 2시간 담가 두었다가 가열한다. 물끓는 시간으로 계산하면 제1회는 16시간 가열하고, 제2회는 6배량의 물을 가하고 12시간 가열하며, 제3회는 5배량의 물을 가하고 8시간 가열한다. 다음으로 3회의 추출액을 혼합하고 노르말프로필알콜의 포화수용액(물:노르말프로필알콜=1:2)으로 4회 정제한다. 매번 10시간씩 정치()시킨 후 노르말프로필알콜을 혼합하여 분리해내며 80℃에서 건조시킨 후 입자가 고운 가루를 만들어 사용한다.
(3) 상술한 중량 배합비에 따라 황련과 황백 분말가루를 취하여 0.3%염산수용액에 3회 냉침시킨 후 2mol/L 수산화나트륨으로 조절하여 pH9-11로 되도록 한다. 기타 과정은 실시예1의 과정 (3)과 같다. 얻은 침전물을 건조시킨 후 입자가 고운 가루로 만든다.
(4) 상술한 중량 배합비에 따라 나머지 7가지 약재를 취한 후 불순물을 제거하고 물로 흙과 먼지를 깨끗이 씻은 다음 생약의 8배량되는 물을 넣고 2시간 동안 담가 두었다가 가열한다. 물끓는 시간으로 계산하면 제1회는 2시간 가열하고, 제2회는 6배량의 물을 가하고 1.5시간 가열하며 제3회는 5배량의 물을 가하고 1.5시간 가열한다. 3회의 채취액을 혼합하여 하룻밤 방치한 후, 위의 맑은 액을 추출하여 에틸알콜을 가한 후 일반적 방법에 따라 알콜침전시켜 농축시킨 후 분무 건조시킨다.
(5) 상술한 3가지 건조가루를 고루 혼합한 후 실시예1의 과정 (5)에 따라 알맹이를 만들고 건조시킨 후 0호 캡슐에 넣는다. 상기 알약은 매알 0.4g이며 이것이 본 발명의 캡슐c이다. 약가루 1g은 대략 생약 19g에 해당된다.
실시예 4: 한방약 복방 충제(우림약)a의 조제방법
실시예 1에서 서술한 방법에 따르되 다음과 같은 중량 배합비에 따라 각 조성부분을 준비한다.
황련 900 중량분 인삼 750 중량분
황기 1200 중량분 현삼 550 중량분
지모 750 중량분 황백 1420 중량분
창출 550 중량분 단삼 750 중량분
호장 500 중량분 지골피 750 중량분
수득한 약가루를 혼합하고 건조시키면 곧 430g의 한방약 복방 충제a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5: 한방약 복방 충제b의 조제방법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르되 다음과 같은 배합비에 따라 각 조성부분을 준비한다.
황련 600 중량분 인삼 650 중량분
황기 800 중량분 현삼 450 중량분
지모 550 중량분 황백 780 중량분
창출 450 중량분 단삼 550 중량분
호장 450 중량분 지골피 550 중량분
수득한 약가루를 혼합하고 건조시키면 곧 약 380g의 한방약 충제b를 얻을 수 있다.
실시예 6: 한방약 복방 환제의 조제방법
실시예 1에서 서술한 방법에 따르되 일반적인 한방약 환제의 조제방법에 따라 환제를 만든다. 매 환약에는 약 1.2g의 약가루가 포함되며 약가루 1g은 대략 생약 19g에 해당된다.
실시예 7: 한방약 복방 편제의 조제방법
실시예 1에서 서술한 방법에 따르되 일반적인 한방약 편제의 조제방법에 따라 편제를 만든다. 매 편제에는 약 0.3g의 약가루가 포함되며, 약가루 1g은 대략 생약 19g에 해당된다.
동물 실험예 1: 캡슐a에 의한 동물 급성 독성시험
캡슐a로 동물의 약후 독성반응과 사망 정황에 대한 한차례 관찰을 진행하여 LD50을 계산한다. 실험시 캡슐a(약가루)를 필요한 농도에 따라 증류수로 희석시킨다.
실험동물은 ICR계 품종의 새끼 흰쥐 50마리로서, 자웅이 각각 절반씩 차지하며 체중은 18-22g이다. 이들은 서안의과대학 실험동물센터에서 제공되며 합경증번호는 섬의동증자() 08-005호이다. 실험실 방안 온도는 18-20℃, 상대 습도는 60%-70%, 통풍기로 통풍시키며, 자연 광원은 12시간/일이다. 성별에 따라 각각 조롱에 10마리씩 넣어 기르며 3일에 한번씩 조롱을 청결히 한다.
예비실험을 거쳐 아래와 같은 방식에 따라 약을 주기로 결정한다. 캡슐a의약가루를 증류수로 희석하여 서로 다른 농도의 현탁액을 만드는데, 그 농도의 순서는 각각 46.87%, 37.5%, 30.0%, 24.0%, 및 19.2%이다. ICR계 품종의 새끼 흰쥐 50마리를 택하여 임의로 5개조로 나누며, 각 조에는 자웅이 각각 절반씩 차지하게 한다. 14시간 단식시킨 후 등용적() 0.2㎖/10g으로 상기 서로 다른 농도의 캡슐a의 현탁액을 위()에 주입한다. 약을 주입한 후 7일간 일반 상황과 각 조의 사망 정황을 관찰하였다. 약을 주입한 후 새끼 흰쥐는 활동이 적어졌고 털이 곧추 섰으며 몸뚱이를 웅크리고 호흡이 긴박해졌으며 점막이 검붉은 빛을 띠었다. 사망은 약을 주입한 후 4-48시간 내에 발생하였다. 사망시 점막이 뚜렷하게 검붉은 빛을 띠었을 뿐, 눈이 불거져 나오거나 분비물을 배출하거나 심한 경련을 일으키는 등의 특별한 현상은 없었다. 죽은 새끼 흰쥐의 시체를 차례로 검사한 결과 위유문 부위에서 산재한 출혈점 몇 개를 발견하였고, 주요 내장기관의 색깔이 좀 어두우나 심장, 간장, 비장, 폐, 신장, 부신, 흉선, 창자, 복강 등 주요내장기관에서 형태의 이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 표와 같다(LD50계산은 NDST소프트웨어로 처리하였음).
[표 1]
캡슐a로 인한 반수 사망수()LD50(Bliss법)
현저성 지수: G=0.2406 X50=0.7886 Sx=0.0304; G는 비교적 작아 생략하였음.
이질성 지수: Chi2=0.16 Chi2.05=7.82 Sb=1.6831; 이질성이 없음.
회귀 방정식: Y(Probit) = -0.3040 + 6.7256*log(D)
r = 0.9951
LD50= 6.1466 +/- 1.2024 (5.0607 - 7.4656)
Feiller 이질성교정: Sx = 0.0080 Sb = 0.3850
LD50= 6.1466 +/- 0.2911 (5.8624 - 6.4446)
이로부터 알 수 있는 바, 캡슐a가 ICR계 품종의 새끼 흰쥐에게 주는 LD50은 6.1466g/㎏(생약으로 계산하면 65.15/㎏에 해당함)이고 LD50의 신뢰 한계(confidence limit)는 5.8624-6.4466g/㎏(생약으로 계산하면 62.14-68.31/㎏에 해당함)으로 제한된다.
동물 실험예2: 캡슐a의 장기 독성시험(큰 흰쥐에 대한 6개월간의 장기 독성 시험)
6개월간 연속으로 큰 흰쥐의 위에 약을 주입하여 캡슐a가 일으킨 독성반응에 대하여 장기적 실험을 진행하였다. 관찰을 통하여 제일 처음 나타난 증상과 증상의 정도, 독부반응()의 목표기관과 그 기관의 회복 발전 정황에 따라 무독반응 약제량을 결정하며 인체에 대한 안전량을 결정하는데 참고로 제공한다.
캡슐a(약가루)를 필요한 농도에 따라 증류수로 희석시킨다.
시험동물 SD계 품종의 큰 흰쥐는 서안의과학대학 실험동물센터에서 제공되었으며 합경증번호는 섬의동증자 08-005호이다. 동물의 체중은 96-104g이며, 자웅이 각각 절반씩 차지한다.
건강한 큰 흰쥐 160마리를 고른 후 임의의 4개조로 나누었는데 각 조에 40마리씩, 자웅이 각각 절반씩이다. 각 조에 서로 다른 농도의 약물을 위에 주입하였는데 그 양은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다.
미투여 기준조: 20㎖/㎏(체중1㎏당에 20㎖에 해당함)의 증류수를 위에 주입.
캡슐a의 다량 투여조: 17.5% 농도의 캡슐a 약가루 현탁액을 20㎖/㎏씩 주입. 즉, 3.5g/㎏(약 함량)으로서, 대략 임상환자의 하루 복용량의 50배에 해당함(성인 복용량: 3/일 × 4알/번 ×0.41 g/알 ÷ 70㎏ = 0.07g/㎏·일).
중량 투여조: 8.075% 농도의 현탁액을 20㎖/㎏ 기준으로 위에 주입. 즉 1.75g/㎏(약함량)으로서, 대략 임상환자 하루 복용량의 25배에 해당함.
소량 투여조: 1.75% 농도의 현탁액을 20㎖/㎏ 기준으로 위에 주입. 즉 0.35g/㎏(약함량)으로서, 대략 임상환자 일당 복용량의 5배에 해당함.
동물 실험조건: 에어콘으로 방안 온도는 18-24℃, 상대 습도는 45%-70%로 조절하고 통풍기로 공기를 통풍시키며 자연 광원에 12시간/일로 노출시킨다. 서안의과대학 실험동물센터에서 표준 배합법에 따라 만든 고체 사료를 먹이며 수돗물을 자유로이 마시게 한다. 성별에 따라 조롱에 5마리씩 넣어 기르며, 3일에 한번씩 조롱을 청결히 한다. 적응성 실험 일주일 후부터 매일 한번씩 약을 투여하는데 임상에서 약을 투여하는 경로와 같다. 석달간의 임상치료에 의하면 큰 흰쥐의 장기중독 주기는 6개월이다. 약을 투여하고 3개월 후 각 조마다 절반(20마리)씩 죽이고, 약을 투여한지 6개월 후 각 조에서 나머지의 2/3의 동물(14마리)을 죽여 해당검사를 하며, 나머지 6마리는 일주일간 약 정지 후의 회복기 실험을 한다. 약은 매주 6일간, 매일 오전 8-9시에 투여한다.
검사항목:
1. 일반상태 및 체중의 변화: 각 조의 큰 흰쥐의 정신상태, 활동, 분비물, 음식, 분변, 털, 피부 등 정황을 차례로 관찰한다. 2주일에 한번씩 체중을 측정하며 체중의 변화에 따라 약제량을 조절한다. 약을 투여하고 3개월, 6개월 및 약 정지 후 회복기에 큰 흰쥐의 대사 조롱을 준비하고 각급 동물을 평행하게 무리를 나누어 각조 큰쥐의 24시간 먹이섭취량(g/100g체중)을 측정한다. 대사 조롱의 수량이 제한되어 매번 각 조에 2마리씩 임의로 10마리를 검사한다.
2. 혈액학 검사: 약을 위에 주입하여 3개월, 6개월 및 약 정지 후 회복기에 골동맥에서 채혈하여 각 조 동물의 헤모글로빈(Hb), 적혈구(RBC), 백혈구(WBC)와 그 분류, 혈소판(Pt)등을 검사한다.
3. 혈액생화학검사: 약을 위에 주입하여 3개월, 6개월 및 약 정지 후 회복기에 각각 골동맥에서 채혈하여 각 조 동물의 일반 생화학 항목을 검사한다. 여기에는 아날린아미노트란스페라제(ALT), 아스파라긴산트란스롤카제(AST), 알카린포스파타제(ALP), 총단백(TP), 백단백(ALB), 우레아니트로겐(BUN), 크레아티닌(Crea), 총빌티루빈(T-BIL), 혈당(GLu) 등이 포함된다.
4. 뇨액상규()검사: 검사시간은 전술한 바와 같다. 큰 흰쥐의 대사 조롱에서 뇨액을 채집하여 색깔, 뇨담홍질, 뇨당, 뇨중케톤(), 뇨단백, 적혈구, 백혈구 등을 검사한다.
5. 심전도: 검사시간은 위와 같다. 주로 표준Ⅱ 유도 심전도를 검사한다.
6. 계통해부: 검사시간은 위와 같다.
7. 주요 내장기관 계수: 검사시간은 위와 같다. 검사항목은 심장, 간장, 비장, 폐, 신장, 부신, 고환, 난소 등 9개 내장기관이다.
8. 조직병리학검사: 검사시간은 위와 같다. 검사항목은 심장, 간장, 비장, 폐, 신장, 위두부, 십이지장, 공장(), 결장, 방광, 장계막임파결 (), 고환, 부고환, 난소, 자궁, 흉골(골수), 대뇌, 뇌하수체, 부신, 흉선, 갑상선 등 21개 조직이 포함된다.
큰 흰쥐의 일반 상황은 양호하며 털에 윤기가 나고 정신상태 및 활동이 정상이었다. 눈, 코에 분비물이 없었으며 피부에 무좀, 궤양이 없었다. 24시간 먹이섭취량은 정상이었으며 기준조에 비하여 현저한 통계학적 의의가 없었다(P>0.05). 이상은 캡슐a를 3개월 및 6개월간 위에 주입하여 큰 흰쥐의 일반상태 및 체중의 변화에 뚜렷한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말해준다. 이상 결과는 아래표2 및 표3과 같다.
[표 2]
큰 흰쥐의 24시간 먹이 섭취량에 대한 캡슐a의 영향
[표 3]
캡슐a가 큰 흰쥐의 체중 변화에 준 영향
약을 주입하여 3개월, 6개월과 회복기 후 펜토바르비탈나트륨ip ()으로 가벼운 마취를 시킨 후 골동맥에서 취혈하여 각 조의 혈상 ()상규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약을 주입한 조의 동물의 혈상에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고 모두 정상적 생리범위에 있었으며, 기준조에 비하여 현저한 차이가 없었다(P>0.05). 이는 본 약이 큰 흰쥐의 혈액 속에 뚜렷한 이상 영향을 주지 않음을 말해준다. 결과는 표4와 같다.
약을 주입하여 3개월, 6개월 및 회복기 후 펜토바르비탈나트륨ip로 가벼운 마취를 시킨 후 골동맥에서 취혈하여 각 조의 혈액생화학검사를 진행하였는데 검사항목에는 아미노기 전이효소(aminotransferase), 간장기능, 신장기능, 혈당 등을 포함하였다. 그 결과, 3개월 혹은 6개월간 약을 주입한 후 다량 투여조의 혈당이 현저하게 내려 기준조에 비하여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01). 기타 항목의 생화학 검사 수치는 정상이였으며 기준조에 비하여 현저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이는 본 약이 큰 흰쥐의 겐전이효소, 간 기능, 신장기능에 대하여 뚜렷한 이상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말해주는 바, 결과는 표 5와 같다.
약을 주입하여 3개월, 6개월, 및 약 정지 후 회복에 큰 흰쥐의 대사 조롱으로 뇨액을 수집하여 각 조에 10마리씩, 회복기 동물 6마리에 대하여 뇨액상규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각 조 동물의 뇨액상규는 정상이었으며 뇨당, 뇨중 케톤, 뇨단백, 뇨담홍질 검사는 모두 음성을 띠었다. 현미경 하에서 적혈구와 백혈구를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는 본 약이 큰 흰쥐의 뇨액상규에 이상 작용이 없음을 말해준다. 결과는 표 6과 같다.
약을 주입하여 3개월, 6개월과 회복기 후 펜토바르비탈나트륨ip의 가벼운 마취 하에 사지에 전극을 꽂고 표준Ⅱ 유도 심전도를 측정한 결과, 약을 주입한 조의 큰 흰쥐는 심장 박동수가 정상이고 심장 박동이 고르며 S-T단, T파와 기타 각파에서 이상 현상을 발견하지 못했다. 기준조와 비교하면 심전도는 이상 변화가 없는 바 이는 캡슐a가 큰 흰쥐의 심전도에 이상 작용이 없음을 말해준다.
[표4]
약 주입 3개월, 6개월 후 및 약 정지 후 14일에 캡슐a가 큰 흰쥐 혈상에 미치는 영향
[표5]
약 주입 3개월, 6개월 후 및 약 정지 후 14일에 큰 흰쥐의 혈액 생화학적 지표에 대한 캡슐a의 영향
기준조와 비교하여 *P〈0.05, **P〈0.01
[표6] 캡슐a가 큰 흰쥐의 뇨액상규에 미치는 영향
[표7]
캡슐a가 약 주입 3개월, 6개월 및 약 정지 14일 후에 큰 흰쥐의 내장계수에 미치는 영향
약 주입 후 3개월, 6개월과 회복기에 골동맥의 피를 뽑아 각각 20마리, 14마리, 6마리의 큰 흰쥐를 죽인 후 차례로 그 시체를 검사하였다. 육안으로 각조동물의 심장, 간, 폐, 비장, 신장, 위, 공장, 결장, 방광, 담낭, 부신, 흉선, 고환, 난소, 자궁, 뇌, 뇌하수체, 복강, 흉강 등 주요한 내장기관과 체강의 색깔, 형태, 병조() 등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각조 동물의 주요 내장기관과 체강의 색깔과 형태에는 이상이 없었으며, 육안으로 병리적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약 주입 후 3개월, 6개월 그리고 회복기 후에 동물을 죽이고 육안으로 검시한 즉시, 각 동물의 심장, 간, 비장, 폐, 신장, 부신, 흉선, 고환, 난소를 꺼내어 여과지로 혈액을 흡수한 후 내장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천칭 저울을 사용하여 습중()을 측정한 후 내장계수()(g/100g체중 혹은 mg/100g체중)를 구하였다. 그 결과, 각 내장계수는 모두 정상적인 생리범위 내에 있었으며 기준조에 비하여 현저한 통계학적 의의는 없었다(P〉0/05). 이는 본 약이 큰 흰쥐의 내장기관 계수에 이상 영향을 끼치지 않음을 말해준다 (결과는 표7과 같음).
약 주입 후 3개월, 6개월 및 회복기 후에 각 조 동물의 골동맥을 방혈 ()시켜 각각 20마리, 14마리, 6마리를 죽인 후 해당 내장기관을 꺼내 조직학 병리검사를 진행하였다. 그 중 기준조와 다량 투여조의 전부에서 해당 내장을 꺼내고, 중량, 소량 투여조에서도 각각 6마리의 내장을 꺼냈다. 내장조직에는 심장, 간, 비장, 신장, 위, 십이지장, 공장, 결장, 장계막임파결, 부신, 흉선, 갑상선, 고환, 부고환, 난소, 자궁, 흉골(골수), 뇌, 뇌하수체가 포함되는데, 본 약이 혈당을 낮추어 비장의 조직 병리를 증가시킴을 고려하여 모두 21개 조직을 포함하였다. 10% 포르말린용액으로 고정하고 파라핀의 포매()하에서 HE염색을 하여 보통의 광학현미경 하에서 기준조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약을 먹인 각 조 동물의 조직 기관은 조직 결구가 뚜렷하였으며 약으로 인한 충혈, 수종, 변성(), 괴사, 세포침윤 등 병리적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였는 바, 이는 캡슐a가 중독성 병리변화와 지연성 병리변화를 일으키지 않음을 말해준다.
캡슐a 약가루를 큰 흰쥐에게 6개월 주입한 장기 독성실험에서 뚜렷한 중독반응과 지연성 독성반응은 일으키지 않았다. 동물의 체중에 따른 무독 반응 약제량은 3.5g/kg·일 이었으며 대략 임상환자의 복용량의 50배에 상응하였다.
위에 약을 주입한 후 매일 동물의 일반 상황을 관찰하고 2주일에 한번씩 체중을 측정하였으며 체중에 따라 약제량을 조절하였다.
약을 주입하여 3개월 후 동물의 절반을 죽이고 약을 주입하여 6개월 후 나머지 동물의 2/3을 죽여 해당 검사를 진행하였고 나머지 1/3의 동물은 약 정지 후 2주일의 회복기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약 주입 후 3개월, 6개월 및 회복기에 캡슐a는 동물의 일반 상태, 혈액학, 혈액생화학, 뇨액 및 심전도 등에 뚜렷한 영향이 없었고 계통해부, 내장계수 및 조직병리학 검사에서도 이상 병리적 변화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이상의 실험으로부터 6개월간 약을 주입한 큰 흰쥐의 장기 독성실험에서 뚜렷한 독성반응과 지연성 독성반응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동물 실험예 3: 기능에 대한 주요 치료와 관련되는 캡슐a의 주요 약효학() 실험.
정상 새끼쥐, 알록산()형과 아드레날린형(부신호르몬형)의 고혈당 큰 흰쥐에 대한 캡슐a의 강당()작용과 집토끼의 내당량()에 대한 영향에 대하여 실험을 진행하여 본 약의 약리작용을 정확히 평가하는데 근거를 제공한다.
실험약물로는 캡슐a, 용제로는 증류수를 사용한다. 증류수로 필요한 농도의 현탁액을 제조하였다. 실험동물은 ICR계 품종의 새끼 흰쥐, SD계 품종의 큰 흰쥐, 일본 큰귀 집토끼이다. 모두 서안의과대학 실험동물센터에서 제공되었으며 합격증번호는 섬의동증자 08-005호이다. 새끼 쥐의 체중 범위는 22-25g, 큰 흰쥐의 체중 범위는 180-250g, 집토끼의 체중 범위는 2.0-2.5Kg이었다. 자웅이 각각 절반을 차지하였으며 각 조 동물수에서 새끼 쥐와 큰 흰쥐는 각각 10마리, 집토끼는 6마리씩이었다. 방안 온도는 18-20℃, 상대 습도는 62%-70%이었다.
1. 알록산형의 고혈당 모형 큰 흰쥐에 대한 강당작용
60마리의 큰 흰쥐를 임의로 6개조 즉 생리염수 기준조, 알록산형의 고혈당 모형 염수 기준조, 모형+캡슐a의 다량, 중량, 소량 투여조(1.0g/Kg, 0.5g/Kg, 0.25g/Kg, 이하 같음), 모형+페네틸디구아니드조(90mg/Kg, 중국강소성금단시제약공장()에서 생산함, 950811, 이하 동일) 등으로 나누었다. 각 조에 각각 10마리씩, 자웅이 각각 절반을 차지하였다.
동물을 12시간 단식시킨 후 꼬리를 베고 취혈하여 혈당 수준을 측정하였다. (포도당산화효소()-과산화물촉매법(), 이하 동일). 그 후 생리염수 기준조외 기타 각급 동물의 피하정맥에 알록산(Sigma회사제품) 40mg/Kg을 주사하여 모형을 만들었으며, 동시에 매 100g의 체중에 3ml의 기준으로 20% 포도당 용액을 위에 주입하여 저혈당으로 인한 쇼크를 방지하였다. 48시간이 지난 후 공복에 취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이 이미 높아졌음을 확인하였다. 모형을 만들어 72시간 지난 후, 약을 먹이기 시작하되 2ml/100g씩 매일 한번, 연속 10일간 먹였다. 마지막 한차례 약을 먹인 4시간 후 공복에 꼬리를 베고 취혈한 후 혈당을 측정하였으며 혈당감소 절대치를 계산하고 각 조간의 t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표8과 같다.
[표8]
캡슐a가 알록산형의 고혈당 모형 큰 흰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모형을 만들기 전과 비교하면 ▲▲P〈0.01, 고혈당 모형 염수조와 비교하면
*P〈0.05, **P〈0.01
이상 결과는 고당 모형조 동물의 혈당 수준이 모형 전에 비하여 훨씬 높음을 말해준다(P〈0.01). 모형+페네네틸디구아니드()조 동물에게 약을 주입한 후에는 혈당 수준이 모형 기준조에 비하여 현저히 내려갔으며 통계학적 의의가 아주 뚜렷하다 (P〈0.01). 캡슐a의 다량, 중량 투여조는 모형 기준조에 비하여 혈당 수준이 뚜렷이 내려갔으며(P〈0.01), 소량 투여조에도 감소작용이 있다(P〈0.05). 결과는 캡슐a가 알록산형의 고혈당 모형 큰 흰쥐의 혈당을 뚜렷이 감소시키는데 작용한다는 것을 확인시켜준다.
2. 부신호르몬형의 고혈당 모형 큰 흰쥐에 대한 강당작용
60마리의 큰 흰쥐를 임의로 각 조에 10마리씩, 정상 생리염수 기준조, 부신호르몬모형 기준조, 모형+페네틸디구아니드조, 모형+캡슐a의 다량, 중량, 소량 투여조 등 6개조로 나눈다. 실험 전에 동물을 12시간 단식시킨 후 꼬리를 베고 취혈하여 정상 혈당 수준을 측정한 후 정상 염수 기준조를 제외한 나머지 각 조 동물의 피하에 1.0mg/Kg의 부신호르몬을 주사하여 모형을 만든다. 1시간 후 공복에 취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여 혈당이 이미 높아졌음을 확인한 후, 위에 약을 한 번 주입한다. 약을 주입한 후 0.5시간, 1.0시간, 2.0시간에 공복에 꼬리를 베고 취혈하여 혈당을 측정한다. 결과는 표9와 같다.
[표9]
캡슐a가 부신호르몬형의 고혈당 모형 큰 흰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모형을 만들기 전과 비교하면 ▲▲P〈0.01, 고혈당 모형 기준조와 비교하면
*P〈0.05, **P〈0.01
상기 결과는 고혈당 모형조 동물의 혈당 수준이 모형을 만들기 전의 수준(P〈0.01)보다 훨씬 높음을 말해준다. 모형+페네틸디구아니드조의 동물에게 약을 주입한 후 혈당 수준이 모형 기준조에 비하여 혈당 내림이 아주 뚜렷하였다 (P〈0.01). 캡슐a의 다량, 중량 투여조는 모형 기준조에 비하여 혈당 수준의 감소가 아주 현저하였으며 중, 소량 투여조는 약을 주입한 후 0.5시간 내에는 혈당 내림이 뚜렷하지 않았다(P〉0.05). 그러나 약을 주입한 후 1.0시간과 2.0시간 내에 뚜렷한 강당작용이 있었는데(P〈0.05 혹은 P〈0.01), 이는 캡슐a가 부신호르몬형 고혈당 모형 큰 흰쥐의 혈당을 아주 뚜렷이 감소시킴을 확인시켜준다.
3. 정상 새끼쥐 혈당에 대한 영향
새끼쥐 50마리를 임의로 5개조 즉 정상생리염수기준조, 우강당조 () (1.0mg/Kg, 중국천진약물연구원신기술개발회사에서 제공, 합경증번호는 961075), 캡슐a의 다량, 중량, 소량 투여조로 나누었다. 각 조에 10마리, 자웅이 각각 절반씩 차지하였다. 약을 주입한 조의 동물에게 연속 4일 약을 주입하되 주입량은 하루에 한번씩 0.2ml/10g이다. 마지막 약을 주입하기 전 12시간 동안 단식시키고 약을 주입한 후 0.5시간, 1.0시간에 각각 꼬리를 베고 눈테두리에서 취혈하여 혈당을 측정하였다(그 결과는 표10과 같음).
[표10]
캡슐a가 정상 새끼쥐의 혈당에 미치는 영향
정상 생리염수 기준조와 비교하여 *P〈0.05, **P〈0.01
비교 결과는 연속 4일 동안 약을 주입하였을 때 캡슐a의 다량 투여조는 마지막 약을 주입하고 0.5시간 및 1.0시간 후에 모두 아주 뚜렷한 혈당 감소작용이 있었고 정상 생리염수 기준조와 비교하여 매우 현저한 통계학적 의의(P〈0.01)가 있었으나, 중량, 소량 투여조는 마지막 약을 주입한 후 1.0시간 이내에는 그 혈당 감소작용이 현저하지 않음(P〉0.05)을 나타낸다. 상술한 실험은 캡슐a가 정상 새끼쥐에 대하여 뚜렷한 강당작용이 있음을 말해준다.
4. 집토끼의 내당량에 대한 영향
집토끼 36마리를 정상 생리염수 기준조, 생리염수 포도당조, 페네틸디구아니드+포도당조, 캡슐a의 다량, 중량, 소량+포도당조 등 6개조로 나누었다. 실험 전 각 조 동물을 14시간 단식시킨 후 공복에 피를 뽑았다. 다음으로, 10ml/Kg의 약을 주입하여 1시간이 지난 후 50% 포도당 용액 4ml/Kg을 복강에 주사하고 귀동맥에서 취혈하고, 포도당을 주사한 후 0.5, 1.0, 3.0시간의 혈당치를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집토끼의 내당량곡선을 그리고 면적계()로 혈당곡선 아래 면적을 구하였으며 각 조간의 현저성 t검사를 진행하였다. 결과는 표11과 같다.
[표11]
캡슐a의 집토끼의 내당량에 미치는 영향(n)
염수+포도당 조와 비교하면 **P〈0.01
캡슐a가 집토끼의 내당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결과는 아래와 같다. 약을 주입한 조는 모두 내당량 곡선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상이한 시간의 혈당은 염수 포도당조에 비하여 모두 낮다. 페네틸디구아니드와 캡슐a의 다량, 중량 투여조의 내당량 곡선 아래 면적은 염수 포도당조에 비하여 아주 현저한 통계학적 의의(P〈0.01)가 있다. 소량 투여조의 혈당곡선 아래면적도 적어지는 추세를 보이나 통계학적 의의는 현저하지 못하다(P〉0.05). 이는 캡슐a가 집토끼의 내당량을 뚜렷하게 제고시킴을 말해준다.
캡슐a는 정상 새끼쥐의 혈당 수준에 대하여 뚜렷한 감소작용이 있으며 알록산형과 아드레날린형 고혈당 모형 큰 흰쥐의 혈당 수준에도 뚜렷한 감소작용이 있으며 집토끼의 내당량 곡선을 뚜렷하게 아래로 움직이며 집토끼의 내당량을 현저히 제고시킨다.
실험예4: 캡슐a가 알록산형 당뇨병 큰 흰쥐의 혈청인슐린 수준에 미치는 영향
실험 동물: SD계 품종의 큰 흰쥐, 체중150-200g, 서안의과대학실험동물센터 에서 제공되었음.
의료기: 원터치(ONE TOUCH)형 혈당의()(미국강생회사제품(Johnson Corporation),
FJ-2008r선 면역 계수기(FJ-2008r)(서안() 262 공장제품
약품과 시제: 캡슐a, 약가루 1g은 대략 생약 19g에 해당함. 실험시 증류수로 필요한 농도의 현탁액을 제조함. 알록산(Alloxan, Sigma회사 제품)
페네틸디구아니드(비준번호950811,강소금단시제약공장),인슐린방출측정시약함()(북경북방생물기술연구소).
큰 흰쥐 100마리를 임의로 2개조 즉 생리염수 기준조(n=10)와 알록산형 당뇨병 모형조(n=90)로 나눈다. 동물을 12시간 단식시킨 후 꼬리를 베고 취혈하여 정상 혈당과 인슐린 수준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모형조 동물에 4% 알록산 생리염수 용액을 0.4ml/100g 정도로 하루에 한번씩 복강에 주사한다. 기준조에는 같은 용량의 생리염수를 주사한다. 주사 후 5일째 공복에 취혈하여 정상 혈당과 인슐린수준을 측정한다. 모형조에서 혈당이 17-27.7mol/L인 동물을 선택하여 다시 생리염수 기준조, 모형 기준조, 모형+페네틸디구아니드(90mg/Kg)조 등으로 나누되 각 조간의 혈당평균치 차이가 1.11mmol/L를 초과하지 않도록 한다. 각 조 동물에게 20mg/Kg의 표준으로 하루에 한번씩 연속 20일동안 약을 주입하거나 생리염수를 주입하여 제10일째와 20일에 공복에 혈당과 인슐린 수준을 측정한다. 그 결과, 약을 주입한 조의 동물은 제 10일과 제20일에 혈당치가 현저히 감소되었고, 캡슐a의 다량, 중량, 소량 투여조 동물은 제20일에 혈청 인슐린 수준이 높아짐이 명확하였다(P〈0.01). 이는 캡슐a가 알록산형 당뇨병 큰 흰쥐의 혈당을 뚜렷이 감소시키고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함을 확인시켜주며 본 약이 알록산으로 인한 큰 흰쥐의 비장 손상에 일정한 회복 기능이 있음을 설명한다(결과는 표12와 같음).
[표12]
캡슐a가 혈당 및 혈청 인슐린 수준에 미치는 영향
모형 전과 비교하면 : ▲▲〈0.01, 고당 모형 기준조와 비교하면 *P〈0.05, **P〈0.01.
상술한 약리학 연구는 본 발명의 캡슐a가 알록산형 고혈당 조의 혈당을 뚜렷이 감소시키고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키며 알록산 비장β 손상에 일정한 회복기능이 있음을 말해준다.
응용예 1: 캡슐a에 의한 당뇨병 치료 109건의 임상관찰.
1997년2월-10월에 캡슐a에 의한 109건의 당뇨병 환자의 임상치료효과(치료일정은 45일임)관찰분석은 아래와 같다.
一. 시험병례표준
1. 납입()병례표준:
1980년 WHO 당뇨병 분류 진단 표준에 부합되는 자는 모두 해당 병례에 속함.
2. 배제()병례표준(비적응증과 배제표준을 포함)
(1) 환자는 본 발명의 한방약 제제를 복용하기 전 혈당이 비록 정상치보다 높았더라도 음식을 공제하거나 활동량을 증가시킨 후의 공복 혈당치가 7.8mmol/L보다 낮아야 한다. 혹은, 식사 2시간 후의 혈당이 11.1mmol/L(200mg/dL)보다 낮아야 한다.
(2) 18세 이하 혹은 65세 이상의 환자 혹은 임신 수유기 여성 및 본 약에 대하여 과민이 있는 환자.
(3) 협력하지 않는 환자(즉 음식 제한에 협력하지 못하거나 규정에 따라 약을 복용하지 않아 약 효과에 영향을 끼치는 환자)
(4) 심장, 간, 신장 등에 심각한 합병증을 일으키거나 혹은 기타 심각한 재발성 질병이 있는 환자, 혹은 정신병환자.
(5) 근 1개월 내에 당뇨병성 케톤증 혹은 케톤산()중독 혹은 감염자.
(6) 규정한 관찰기에 앞서 치료를 중지하여 치료효과를 판단할 수 없거나 자료가 불완전한 환자.
二. 관측지표
1. 안전성검사
(1) 일반신체검사.
(2) 혈당, 뇨당검사와 피, 뇨액상규검사.
(3) 일부환자는 심장, 신장, 간기능검사를 진행한다.
2. 치료 효과 검사
(1) 병력을 상세히 물어보아 음식정황, 활동량, 심리상태, 당뇨병에 대한 지식, 응급상태 등 혈당변화에 영향을 주는 인자를 이해하고 주요한 임상증상과 체질특징의 변화를 관찰한다.
(2) 공복과 식후 2시간의 혈당을 측정하는데 약을 투여한 후 7-10일마다 한번씩 측정한다.
(3) 약을 투여한 후 매 7-10일마다 한번씩 24시간의 뇨당정량을 측정한다.
(4) 당화혈홍단백()검사
(5) 혈장 인슐린 C펩티드 정량 검측.
(6) 비장 고혈당소검사.
(7) 비장세포 항체, 인슐린 수체, 항체()를 검사.
이상(1),(2)는 반드시 진행하여야 하며 기타 사항은 병증상의 수요와 의료조건에 따라 선택한다. 캡슐a 복용 후 10-15일마다 공복 혈당과 뇨당을 검사하여 단위치료 일정(45일)과 치료 전을 대조하여 관찰한다.
관찰일부터 시작하여 환자에게 합리적인 음식 제한을 요구하는데 다양한 노동 강도와 체형에 따라 주식을 대체로 아래와 같이 정한다.
휴양하고 있거나 표준체중 초과환자는 매일 200-300g으로 제한함.
일반노동자는 매일 300-350g.
중체력노동자는 매일 400-500g, 주식 이외의 필요한 열량은 사정에 따라 부식으로 보충한다.
三. 임상관찰
1. 일반자료
a. 성별연령: 남성환자 65건, 여성환자 44건. 그 중 Ⅰ형 환자(인슐린의존형) 4건, Ⅱ형 환자(비인슐린의존형) 105건.
표13과 같이 발병 연령이 46-65세 사이는 모두 87건, 본 조의 79.81% (87/109)를 차지함, 주로 Ⅱ형 당뇨병 환자임.
[표13]
성별 연령 분포표
b. 직업: 본 조에 간부 76명, 노동자 21명, 주부 8명, 농민 3명, 기타 1명인데 그중 간부의 발병률이 현저히 높으며 본 조의 69.72% (76/109)를 차지한다. 대부분 간부는 비교적 육체 활동이 적고, 생활 및 음식 조건이 비교적 우월한 이유로 발병률이 높을 수 있다.
c. 발병 과정: 최단 1년 미만에서 최장 20년을 초과(표14 참고).
[표14]
발병 과정 및 성별 분포
2. 치료와 관찰
a. 약 투여 방법: 캡슐a. 주로 Ⅱ형 당뇨병 치료에 쓰이고 다른 심각한 합병증이 없는 Ⅰ형 당뇨병 환자에게도 실험적으로 투여 가능하다.
복용 방법: 매일 3차례씩 매회 캡슐a를 4알씩 복용하되 연속 45일간 투여한다.
b. 치료 일정: 45일을 단위치료 일정으로 하며 약 투여 후 10-15일마다 한번씩 공복 및 식후에 혈당, 뇨당을 반복하여 검사한다. 그 중 13건은 비장 기능을 측정하여 치료 전후를 비교한다.
3. 치료 효과 판단 기준(1979년 중국당뇨병협회의 기준)
a. 현저한 효과: 치료 후 병 증상이 근본적으로 사라지고 공복 혈당치가 7.2mmol/L보다 낮으며, 식사 2시간 후의 혈당치는 8.3mmol/L보다 낮으며 식사 후 24시간의 뇨당 정량은 10.0g보다 낮다. 혹은 혈당과 24시간 뇨당 정량이 치료 전과 비교하여 30%이상 감소되어야 한다.
b. 유효: 치료 후 병증상이 눈에 뜨이게 개선되고 공복 혈당치가 8.3mmol/L보다 낮으며 식사 2시간 후의 혈당치는 10.0mmol/L보다 낮으며 식사 후 24시간의 뇨당 정량은 25.0g보다 낮아야 한다. 혹은 혈당과 24시간 뇨당 정량이 치료 전에 비하여 30%이상 감소되어야 한다.
c. 무효: 치료 후 병증상의 뚜렷한 개선이 없고 혈당, 뇨당의 감소치가 상술한 표준에 도달되지 않음.
4. 치료 결과와 결론
a. 혈당: 본 조의 무효자가 4건이 있고 나머지 105건의 혈당 평균 감소치는 5.94±2.5mmol/L이었다. 치료 전후의 혈당 변화는 아래표15와 같다.
[표15]
치료 효과의 평가표 수준
b. 병 증상: 치료 후 증상이 뚜렷이 개선되거나 소실되었다(표16).
c. 부작용: 약 8%의 환자가 약 복용 중, 배가 붓고 식욕이 감퇴하는 등의 증상이 있었고 설사 혹은 변비 등 증상이 나타났다. 약 복용 태양을 식사와 함께 혹은 식후 복용으로 바꾼 후 증상이 완화되어 계속 치료가 가능해졌다.
[표16]
치료 전후의 증상 대조표
4.결론: 본 조의 109건의 당뇨병 환자(Ⅰ형 4건, Ⅱ형 105건)의 기초적 임상관찰은 다음과 같은 현상을 설명한다. 본 약은 뚜렷한 강당효과가 있으며 총유효율이 96.33%(현저한 효율 63.33%, 유효율 33.03%)에 달하며 무효인 경우는 4건(Ⅰ형 3건, Ⅱ형 1건)으로서 3.67%에 불과하다. 그 중 5건의 환자는 인슐린 치료를 받은 적이 있었으며 캡슐a를 복용한 후 인슐린 복용량을 점차적으로 줄여, 현재 3건의 환자는 이미 인슐린 복용을 정지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혈당은 여전히 이상수준을 유지할 수 있다.
캡슐a는 주로 Ⅱ형 당뇨병을 치료하며 Ⅰ형에도 일정한 치료 효과가 있다. 본 약은 혈당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상 합병증의 예방과 병증의 개선에도 비교적 좋은 효과를 보여 당뇨병 치료약 중에서 하나의 전도 유망한 약품이 되고 있다.
응용예 2:
모남(), 63세, 1992년부터 맥없고 소변이 잦으며 과음하고 여위며 단 음식을 편식하는 등의 증상이 있었다. 치료 전 혈당을 측정한 결과 12.1mmol/L, 뇨당은 ++이었으며, Ⅱ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았다. 여러가지 약을 복용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이상적이지 못했고 여러 번 증상이 반복 되었으며 맥없음이 뚜렷하였고 다리가 저리고 아팠으며 매일 식사량(주식)은 250g이었다. 본 발명의 실시례4 충제(우림약)를 매일 3회, 매 회 1.6g씩 복용하고 치료 관찰하였는데 약을 투여한 지 30일후 혈당은 8.2mmol/L로 내려갔다. 현재 일반 정황은 좋으며 때때로 다리가 짧은시간 동안 저리고 아픈 현상이 있으며 혈당은 식후 2시간에 7.2mmol/L, 뇨당은 음성을 띠였다. 지금 계속 복용 치료 중에 있는데 치료 효과 판단 기준에 따르면 현저한 효과를 본 예에 속한다.
응용예 3:
모남, 53세, 1997년 7월부터 갈증이 나고, 과식, 과음, 소변이 잦으며 여위고 맥이 없었으며 시력이 나빠지는 등의 증상을 보였다. 신체 혈압을 검사하니 15/40kpa이고 심폐는 (-)였다. 내당량과 인슐린 방출 등의 검사를 거쳐 Ⅰ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았는데 치료 전 혈당은 17.5mmol/L 이하, 뇨당은 ++++였다. 본 발명의 실시례5 충제(우림약)b를 사용하였는데 매일 3회, 매회 1.6g씩 복용하였다. 약을 투여한 지 30일 후 혈당은 4.4mol/L로 내려갔고 뇨당은 음성을 띠었으며, 음식량은 매일 500g이상이며 과일 등을 먹을 수 있다. 치료 효과 판단 기준에 따르면 이는 현저한 효과를 본 예에 속한다.
응용예 4:
모녀, 44세, 4 년 전에 과식하고 여위었으며 맥없는 등 증상이 있었으며 혈당이 높았다. 진일보 내당량 인슐린 방출 실험을 거쳐 Ⅱ형 당뇨병으로 진단 받았다. 강당약 D860과 페네틸디구아니드를 복용한 후 혈당 제한이 좋지 않아 본 발명의 실시례6 환제를 구복하였다. 치료 전 공복 혈당은 14.7mmol/L, 뇨당은 ++였다. 본 발명의 실시례 6환제를 매회 한 알씩 하루 3번 46일 복용한 후 공복 혈당은 5.8mmol/L/로 내려갔다. 지금 일반 상황은 좋으며 임상시 과식하고 여위고 맥없는 등 증상은 사라졌으며 음식은 이미 엄격히 제한하지 않고 적은 양의 과일을 먹어도 혈당은 의연히 만족되는 수준으로 제한된다. 지금 계속 치료 중인데 치료 효과 판단 기준에 의하면 현저한 효과를 본 예에 속한다.
응용예 5:
모남, 65세, 1997년 4월부터 과음, 다뇨, 구토증 증상이 있었으며 체중이 점차 줄어들었는데 3주간에 14Kg 줄었다. 혈당은 15.7mmol/L, 뇨당은 ++++, 체혈압은 18/12kpa이였고 심폐()는 (-), 체중은 68Kg, 혈지()의 점착도가 높아 Ⅱ형 당뇨병을 진단받았다. 본 발명의 실시례2의 캡슐b를 복용하여 치료하였는데 매회 4알씩 하루 3회 구복하였다. 10일간 복용한 후 뇨당은 음성을 띠었고, 체중은 2kg 증가하여 70kg으로 되었다. 30일간 치료하여 '세 가지가 많고 한가지가 적은'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는데 지금 일반정황은 양호하다. 음식은 이미 제한하지 않으며 과일과 단설기 등 식품을 먹을 수 있다. 혈당은 5-7mmol/L이고 뇨당은 음성을 띠었으며 약량은 자체로 조절하고 있다. 치료 효과 판단 기준에 따르면 이는 현저한 효과를 본 예에 속한다.
응용예 6:
모남, 61세, 1991년 5월 신체검사시 당뇨병이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Ⅱ형 당뇨병으로 진단받았다. 혈당은 14.0mmol/L, 뇨당은 +++였는데 치료하지 않았다. 1997년 3월 재검사시 혈당은 14.2mmol/L과 12.9mmol/L, 뇨당은 +++였다. 1997년 4월1일 검사시 혈당은 13.9mmol/L, 뇨당은 +++였으며 이때부터 본 발명의 실시례3의 캡슐c를 복용하였다. 매번 4알씩 하루 3번 복용하였는데 1개월 후 혈당은 6.8mmol/L였고 뇨당은 음성을 띠었다. 음식은 제한하지 않고 줄곧 정상이며, 매일 2-3알씩 구복하고 때때로 약을 투여하지 않는다. 1998년 2월2일 약 정지 20일 후 혈당을 측정한 결과 여전히 7.1mmol/L였고 일반 정황은 양호하였다. 치료 효과 판단 기준에 의하면 이는 현저한 효과를 본 예에 속한다.
본 발명의 한방약 복방제제는 청열자음하고 보비익신하며 익기생진하고 통맥활락한 한방약을 선택하였는데 모두 약전()약물이다. 한방의()이론에 따라 배합하고 그 정수를 뽑아 주로 조열편승하고 비신허손()하며 락맥저어하고 기음량허로 인한 당뇨병 특히 Ⅱ형 당뇨병을 치료한다. 6000여건의 당뇨병 환자의 임상 관찰에 의하면 총유효률이 96.33%에 달한다. 일반적으로 말하여
1. 한번의 치료 일정은 2개월, 일반 정황하에서 환자는 10일 정도 복용하여 효과를 보기 시작하며 1개월 복용 후 혈당, 뇨당은 정상치 혹은 정상치에 접근되는 정도로 내려간다. 이후의 치료는 혈당정황에 따라 점차적으로 약량을 감소시킨다.
2. 2개월 복용 후, 약 80%환자의 인슐린 기능은 일정한 정도로 회복되거나 제고된다.
3. 본 발명 한방약 복방제제는 일시적으로 혈당, 뇨당을 낮출 뿐만 아니라 병의 근원을 치료하여 환자는 점차적으로 인슐린 기능이 회복되거나 제고된다. 본 약은 현재 국내외의 같은 부류의 당뇨병 치료 약물이 도달할 수 없는 효과를 보는 하나의 약품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황련, 인삼, 지모, 단삼에서 추출한 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하여, 구성되는 한방약 복방제제가 제공됨으로써, 당뇨병 특히 Ⅱ형 당뇨병 치료에 쓰이며 혈당, 뇨당을 낮추거나 인슐린의 기능을 점차적으로 회복시키는 등의 치료효과를 볼 수 있다.

Claims (10)

  1. 하기의 원료 혹은 하기의 원료에 알콜 및/또는 물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
    황련 600-900중량분 인삼 450-750중량분
    황기 800-1200중량분 현삼 450-550중량분
    지모 550-750중량분 황백 780-1420중량분
    창출 450-550중량분 단삼 550-750중량분
    호장 450-550중량분 지골피 550-750중량분.
  2. 하기의 원료 혹은 하기의 원료에 알콜 및/또는 물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
    황련 700-780중량분 인삼 570-630중량분
    황기 970-1070중량분 현삼 475-525중량분
    지모 630-700중량분 황백 1100-1250중량분
    창출 475-525중량분 단삼 630-700중량분
    호장 475-525중량분 지골피 630-700중량분.
  3. 하기의 원료 혹은 하기의 원료에 알콜 및/또는 물을 가하여 얻은 추출물질을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
    황련 740중량분 인삼 600중량분
    황기 1020중량분 현삼 500중량분
    지모 666중량분 황백 1200중량분
    창출 500중량분 단삼 666중량분
    호장 500중량분 지골피 666중량분.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한방약 복방제제는 약제학에서 규정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형은 캡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
  6. ① 하기의 한방약을 저울로 측정하여 준비하는 단계;
    황련 600-900중량분 인삼 450-750중량분
    황기 800-1200중량분 현삼 450-550중량분
    지모 550-750중량분 황백 780-1420중량분
    창출 450-550중량분 단삼 550-750중량분
    호장 450-550중량분 지골피 550-750중량분
    ② 상기 인삼의 분말가루에 알콜 및/또는 물을 가한 후 가열하여 얻은 추출물인 활성성분 Ⅰ을 얻는 단계;
    ③ 상기 황련과 황백의 분말가루에 물 혹은 산성수용액을 가한 후, 냉침시켜 얻은 침출액인 활성성분 Ⅱ를 얻는 단계;
    ④ 상기 기타 7가지 약재를 물에 담가 두었다가 가열하여 얻은 추출물인 활성성분 Ⅲ을 얻는 단계;
    ⑤ 상기 활성성분 Ⅰ, Ⅱ 및 Ⅲ을 고루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제인 한방약 복방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②에서 서술한 가열회류는 3회 진행하며, 가열회류액은 에틸알콜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②의 가열회류액은 55%-80%의 에틸알콜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②의 가열회류액은 75%의 에틸알콜수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10.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④에 있어서 물로 추출하는 과정은 매 회 2시간씩 3 회 추출하며, 용제량은 10배량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치료용 한방약 복방제제를 제조하는 방법.
KR10-2000-0030134A 1999-09-07 2000-06-01 당뇨병 치료제용 한방약 복방제제 KR1003787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99119028A CN1075735C (zh) 1999-09-07 1999-09-07 治疗糖尿病的中药复方制剂及其制备方法
CN99119028.9 1999-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771A true KR20010029771A (ko) 2001-04-16
KR100378745B1 KR100378745B1 (ko) 2003-04-07

Family

ID=5280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30134A KR100378745B1 (ko) 1999-09-07 2000-06-01 당뇨병 치료제용 한방약 복방제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378745B1 (ko)
CN (1) CN1075735C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777B2 (en) 2001-01-22 2004-02-17 Seung Young Le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KR100543352B1 (ko) * 2003-01-22 2006-01-20 김성호 당뇨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KR100927435B1 (ko) * 2008-05-21 2009-11-19 조신영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50078A (zh) * 2017-02-04 2017-08-18 文山金七药业有限公司 一种三七提取物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14642721A (zh) * 2022-04-24 2022-06-21 华裕(无锡)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糖尿病的格列吡嗪片制剂及其制备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79460B (zh) * 2003-12-30 2015-04-29 麦仁斯有限公司 用增强代谢活性的丹参衍生物治疗肥胖和代谢综合症
CN101757073B (zh) * 2010-02-09 2013-02-27 中国科学院上海药物研究所 含有苍术提取物的药物组合物
CN102430039B (zh) * 2011-12-06 2014-12-03 余军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2526484B (zh) * 2012-02-16 2013-08-14 崔新明 一种降血糖的药物组合物
CN104225238A (zh) * 2014-10-17 2014-12-24 凌学成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
CN110151903A (zh) * 2019-05-05 2019-08-23 广东新创南方医疗科技有限公司 一种降血糖和修复胰岛细胞的中药配方及其制备方法
CN112915123A (zh) * 2021-04-26 2021-06-08 上海中医药大学 虎杖水提物及其成分在制备防治糖尿病的药物中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207023A (ja) * 1989-02-07 1990-08-16 Moriyuki Hiramatsu 生薬抽出物、その製造法および用途
KR920003620A (ko) * 1990-07-19 1992-02-29 정용문 스테핑모터의 구동회로와 그 구동방법
CN1111522A (zh) * 1995-01-10 1995-11-15 李仲岭 复活胰岛再生胶囊
CN1053826C (zh) * 1995-10-04 2000-06-28 张文龙 双补降糖胶囊及其制作方法
KR100195884B1 (ko) * 1996-02-12 1999-06-15 김박광 황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당강하제 조성물 및 황기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0195886B1 (ko) * 1996-11-01 1999-06-15 김상조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CN1179952A (zh) * 1997-03-18 1998-04-29 谭凤森 渴必消丸、渴必消膏的配方及生产方法
KR20010000070A (ko) * 2000-01-11 2001-01-05 김찬호 당뇨병 치료제 및 그 제조방법
DE102007021204B3 (de) * 2007-05-05 2008-05-29 Howaldtswerke-Deutsche Werft Gmbh Unterseeboot
KR101139000B1 (ko) * 2010-06-03 2012-04-25 고영경 적외선 난방기용 거치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2777B2 (en) 2001-01-22 2004-02-17 Seung Young Le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mellitus
KR100543352B1 (ko) * 2003-01-22 2006-01-20 김성호 당뇨병 치료에 효능이 있는 혼합 생약재 추출물
KR100927435B1 (ko) * 2008-05-21 2009-11-19 조신영 당뇨병 개선 및 완화용 환제 건강식품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50078A (zh) * 2017-02-04 2017-08-18 文山金七药业有限公司 一种三七提取物软胶囊及其制备方法
CN114642721A (zh) * 2022-04-24 2022-06-21 华裕(无锡)制药有限公司 一种治疗糖尿病的格列吡嗪片制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5735C (zh) 2001-12-05
KR100378745B1 (ko) 2003-04-07
CN1287004A (zh) 2001-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5886B1 (ko) 당뇨병 치료용 의약조성물
CN103784727B (zh) 桑叶复方制剂及其应用
KR100378745B1 (ko) 당뇨병 치료제용 한방약 복방제제
CA3022247C (en) Composition for treating diabetic disease
CN109771578A (zh) 防治糖尿病及并发症的组合物
US20220047658A1 (en) Tcm addition and subtraction prescription used prevention/treatment of metabolic syndrome and complications
CN102578451A (zh) 一种降血糖的保健食品组合物
CN112494502B (zh) 一种用于血虚证补血的糖类组合物
CN104173734B (zh) 一种治疗糖调节受损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531783C (zh) 一种用于辅助降血糖的保健食品及其制备方法
CN102125671B (zh) 一种治疗肾虚阴冷所致妇科疾病的中药组合物及制备方法
CN101032534B (zh) 救必应总皂苷的制备方法及应用
CN102166239A (zh) 一种预防和/或治疗糖尿病的产品
CN101204504A (zh) 一种防治糖尿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7205991A (zh) 增重化合物的组合物及其长期使用方法
CN101406576B (zh) 一种治疗糖尿病的中药及制备方法
CN108079000A (zh) 一种治疗糖尿病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0402055C (zh) 一种具有降血糖功能的保健品及制备方法
CN105343506A (zh) 一种制备治疗2型糖尿病的组合物的方法
CN104352748A (zh) 一种治疗糖尿病肾病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406642A (zh) 一种降糖的复方制剂
CN115779046B (zh) 一种防治糖尿病的中药组合物、中药制剂与应用
CN106109599A (zh) 一种治疗肾病综合征的中药组合物
CN108310123A (zh) 一种用于预防和/或治疗高尿酸血症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CN107837309B (zh) 一种具有辅助降血糖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3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