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9554A - 스트롤러 및 이것에 사용되는 발안장 - Google Patents

스트롤러 및 이것에 사용되는 발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9554A
KR20010029554A KR1020000002758A KR20000002758A KR20010029554A KR 20010029554 A KR20010029554 A KR 20010029554A KR 1020000002758 A KR1020000002758 A KR 1020000002758A KR 20000002758 A KR20000002758 A KR 20000002758A KR 20010029554 A KR20010029554 A KR 200100295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 push
lock
locking
opening
closing li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97888B1 (ko
Inventor
스즈키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마츠우라 야스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72851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8870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8539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1088711A/ja
Priority claimed from JP27285299A external-priority patent/JP4393637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우라 야스오,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우라 야스오
Publication of KR200100295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95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978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978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by sliding a bushing along a rod, e.g. like folding means of an umbrell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6Foldable with a scissor-like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6Arrangements for standing up in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 B62B7/06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the handle bar being parallel to the front leg the handle bar moves in parallel relation during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62B7/08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becoming smaller in all three dimens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732Handles
    • Y10T74/2078Handle bars
    • Y10T74/20792Folding or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롤러는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들을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스트롤러 및 이것에 사용되는 발안장{STROLLER AND FOOTREST USED FOR IT}
본 발명은 사용하지 않을 때 콤팩트하고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스트롤러(stroller) 및 이 스트롤러에 사용되는 발안장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모차로 불리우는 접힘식 스트롤러는 기본적으로 파이프 프레임 형 접힘식 의자와 유사한 원리를 기초로 구성된다. 즉, 바퀴가 부착된 앞프레임과 뒷프레임을 전후 좌우로 접거나 펼 수 있어 폭치수를 줄일 수 있고, 이와같이 축소된 상태에서는 앞뒤 프레임의 상단부가 L자형으로 되어 스트롤러의 운반손잡이로 이용되므로 사용자는 기차, 버스 등을 탈 때 팔을 L형부분에 걸어 스트롤러를 운반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스트롤러의 높이치수는 사용시 프레임 상단부에 형성된 L형 손잡이에 손을 두고 성인이 스트롤러를 밀어 이동시키기에 용이한 정도의 높이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접혀질 때도 스트롤러의 높이치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스트롤러를 운반할 때 스트롤러 프레임의 바퀴가 지면과 접촉하여 운반에 어려움을 주며, 이때 사용자는 팔을 높이 들어 스트롤러를 운반해야만 한다. 따라서 장시간 스트롤러를 운반할 때는 이 운반작업이 힘이 든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예를들어 일본특허 제2572278호에 있어서는 스트롤러의 높이치수를 줄이기 위해 앞쪽 프레임의 중앙부를 접혀질 수 있도록 형성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기술의 구조에 따르면 스트롤러를 접기 위해서는 핸들에 배치된 잠금버튼을 먼저 제거하고, 다음에 핸들을 접고, 이어서 안내부를 접는다. 즉, 이 동작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는다.
또, 접힌상태에서 스트롤러를 잠글 수 없고 펴진상태에서도 접힘을 방지하는 잠금기구가 자동으로 작용할 수 없으므로, 수동작동 잠금버튼을 이용하여 스트롤러를 잠거야 하며, 이것은 사용작의 오작동에 기인한 뜻밖의 사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스트롤러의 접힘과 펴짐 동작이 어렵다는 사실 및 구조가 복잡하다는 사실 외에도, 접힌 상태에서 앞프레임이 개뒷다리 형상처럼 앞으로 돌출하게 되므로 스트롤러의 길이방향 치수를 줄인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즉, 종래의 구조는 실용적인 면에서 열등하다.
또, 스트롤러의 발안장 자체의 구조도 복잡하여 접기가 어렵다. 즉 발안장을 접기를 용이하게 하면 그 강도가 너무 낮아지며, 결과적으로 종래 발안장의 실용성 또한 열등하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트롤러용으롯 구조가 간단하고 접힘이 용이하며, 강도가 높은 발안장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발안장을 장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을 때 간단한 미끄럼동작으로 프레임의 치수를 줄일 수 있으며, 접힘과 펼침 동작에서 잠금과 잠금제거동작을 자동적으로 할 수 있는 스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접힐 때 용이한 동작으로 프레임을 콤팩트화할 수 있고, 접힘과 펼침 동작 중에 잠금과 잠금제거동작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스트롤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것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파지부가 하우징에서 미끄럼 이동 가능한 잠금레버와, 하우징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잠금해제레버를 가지고 있어 점힘동작을 용이하게 저지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접힘동작저지를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다. 또, 핸드푸시 프레임이 잠금핀 진퇴기구와 이 진퇴기구 및 동작기구를 접속하는 해제기구를 가지고 있어, 핸드푸시 프레임의 미끄럼 프레임을 파지부에 장착된 동작기구에 의해 수행하며, 그 결과 접힘 및 펼침 동작을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도 1a - 도 1d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롤러의 측면도 및 정면도로서, 특히 도 1a 및 도 1b는 펴진 상태에서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1c 및 도 1d는 접힌 상태에서의 측면도 및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도 2는 사용자가 팔에 걸을 상태로 접힌 스트롤러를 운반하는 상태를 보여주는 설명도.
도 3은 펴진 상태의 스트롤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4는 접힌 상태에서의 스트롤러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5는 도 3의 스트롤러 중 A부분의 확대도.
도 6은 스트롤러의 부분 확대 분해 사시도.
도 7a 및 도 7b는 스트롤러에 사용되는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 확대도로서, 특히 도 7a는 잠금 상태에서 핸드푸시 프레임의 각 부품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b는 잠금제거상태에서 핸드푸시 프레임의 각 부품 간의 위치관계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 상부에 이용되는 접속부 내측에서 그 동작기구를 정단면도.
도 9a - 도 9d는 도 8의 동작기구에 대한 동작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9a는 잠금상태를 나타내고, 도 9b는 잠금레버(34)가 스프링의 탄성력에 대해 잠금제거위치로 미끄럼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도 9c는 잠금해제레버(35)의 트리거동작이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9d는 확대부(43)와 계합상태로부터 고정폴(39)이 제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a 및 도 10b는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직하부 중앙부 부근에 배치된 잠금핀 진퇴기구의 동작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0a는 잠금상태를 도 10b는 잠금제거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 11은 중앙접힘식 발안장의 사시도.
도 12는 발안장을 잠그는 잠금기구의 정단면도.
도 13a - 도 13d는 상기 잠금기구의 동작순서를 설명하는 도면.
도 14는 중앙접힘식 발안장에 사용되는 잠금기구 및 잠금해제기구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화살표B를 따라 취한 제2실시예의 부분확대도.
도 16은 중앙이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발안장의 정단면도.
도 17은 도 16의 화살표C를 따라 취한 발안장의 부분확대도.
본 발명의 제1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들을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2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구성특징을 기초로 스트롤러가
상기 2개의 앞다리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팔걸이 베이스부와, 이 팔걸이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지지점핀을 통해 경사지게 접속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며,
스트롤러를 접을 때 상기 팔걸이 베이스부 및 상기 팔걸이가 접혀져 상기 스트롤러가 자동적으로 접힐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구성특징을 기초로 상기 2개의 앞다리 사이에는 가요성 안내원주부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4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구성특징을 기초로 상기 2개의 앞다리 사이에는 가요성 안내원주부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5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구성특징 내지 제4구성특징을 기초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 상단에는 각각 2개의 차양지지봉이 스트롤러의 진행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며, 이 차양지지봉 사이에는 가요성 햇빛차양이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6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접힘동작을 고정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동작기구를 파지부에 포함하고,
상기 동작기구의 하우징은
부재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이 하우징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레버와,
큰두께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잠금레버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고정폴과,
이 하우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제거레버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일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는 동작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한 부재에 배치되는 해제배선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할 수 없을 때, 상기 고정폴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에 대해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결과 상기 해제배선고정부의 회전도 저지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고정폴이 이동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가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가 회전하여 상기 해제배선고정부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7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접힘동작을 고정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동작기구를 파지부에 포함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정상상태에서 잠금레버의 고정폴의 가동선단측에서 잠금레버를 잠금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하우징 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확대부 및 이 확대부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계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고정폴이 상기 확대부로 이동하여 상기 계합홈과 결합하고, 잠금제거레버의 가압부가 더욱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폴이 이동하여 상기 확대부 위로 이동함으로써 잠금위치 측으로 잡아당여져 자동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8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들을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접속부는 하우징을 갖는 동작기구를 포함하고, 이 동작기구의 하우징은
부재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이 하우징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레버와,
큰두께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잠금레버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고정폴과,
이 하우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제거레버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일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는 동작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한 부재에 배치되는 해제배선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할 수 없을 때, 상기 고정폴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에 대해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 회전을 방지하고, 그 결과 상기 해제배선고정부의 회전도 저지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고정폴이 이동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가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가 회전하여 상기 해제배선고정부가 회전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9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는 동작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정상상태에서 잠금레버의 고정폴의 가동선단측에서 잠금레버를 잠금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하우징 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확대부 및 이 확대부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계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고정폴이 상기 확대부로 이동하여 상기 계합홈과 결합하고, 잠금제거레버의 가압부가 더욱 회전하면 상기 고정폴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확대부 위로 이동함으로써 잠금위치 측으로 잡아당여져 자동 복귀한다.
본 발명의 제10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8구성특징으로 전제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은 잠금핀 진퇴기구를 포함하며, 이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는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1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9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은 잠금핀 진퇴기구를 포함하며, 이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는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12구성특징에 따르면, 발안장이 2개의 발안장 지지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제13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2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4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3구성특징으로 전제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킨다.
본 발명의 제15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접속부, 동작기구 및 발안장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제거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발안장은
2개의 발안장 지지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제16구성특징에 따르면, 제15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17구성특징에 따르면, 제16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킨다.
본 발명의 제18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접속부, 동작기구, 잠금핀 진퇴기구, 해제기구 및 발안장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해제기구는 핸드푸시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고,
상기 발안장은
2개의 발안장 지지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한다.
본 발명의 제19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8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20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9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킨다.
본 발명의 제21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5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2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6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3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7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4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8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5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9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6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0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7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2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제거기구를 동작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8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3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제거기구를 동작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9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14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2개의 앞다리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팔걸이 베이스부와, 이 팔걸이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지지점핀을 통해 경사지게 접속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0구성특징에 따르면, 스트롤러가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접속부, 동작기구, 잠금핀 진퇴기구, 해제기구 및 발안장을 구비하며,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제거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직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해제기구는 핸드푸시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며,
상기 발안장은
2개의 발안장 지지암, 보조해제기구,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보조해제기구는 상기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제거기구를 동작시키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발안장의 보조해제기구의 동작은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직이동과 연계된다.
본 발명의 제31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0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된다.
본 발명의 제32구성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31구성특징을 전제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a 및 1b, 1c 및 1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반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특히, 도 1a 및 도 1b는 스트롤러가 펼쳐진 상태이고, 도 1c 및 도 1d는 스트롤러가 접힌 상태를 나타낸다.
도 1의 스트롤러는 좌우앞다리(2), 좌우뒷다리(4), 핸드푸쉬 프레임(5), 제1개폐링크(6), 제2개폐링크(7)를 포함하며, 좌우앞다리(2)는 통상 하단에 앞쪽 휠(1)을 가지며, 좌우 뒷다리(4)는 하단에 뒷다리를 가진다. 또 핸드푸쉬 프레임(5)은 각 연관 앞다리(2)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할 수 있으면서도 둘레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각각 앞다리(2)에서 지지되며, 상기 제1개폐링크(6)는 2개의 앞다리(2)의 상부홀더와 2개의 뒷다리(4)의 후방부 사이에 개재되고 2개의 부재가 중심부에서 상호 교차함으로써 X자형을 이루며 그 교차중심부는 핀에 의해 지지된다. 또, 제2개폐링크(7)는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5)의 하단이 2개의 뒷다리(4) 대략 중앙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개재되며, 2개의 부재가 중앙부에서 상호 교차하여 X자형상을 이루며 교차중심부는 역시 핀에 의해 지지된다.
앞다리(2), 뒷다리(4) 및 핸드푸시 프레임(5)은 각각 경량 알루미늄 중공파이프, 스틸 파이프 등으로 제조된다.
2개의 앞다리(2)는 각각 선형으로 형성되어 그 하단부에서 각각 만곡되고, 2개의 뒷다리(4)는 각각 부분적으로 만곡되어 있다. 2개의 앞바퀴(1) 및 2개의 뒷바퀴(3)는 각각 그 연관 앞다리(2) 및 뒷다리(4)의 하단부에 장착된다.
앞바퀴(1)와 뒷바퀴(3)는 각각 스토퍼를 갖는 이중 캐스터(caster)를 가지며, 여기서 이 캐스터는 스토퍼에 의해 단계별로 브레이크가 걸린다. 앞바퀴(1) 및 뒷바퀴(3)의 상부장착단부는 앞다리(2) 및 뒷다리(4)를 형성하는 각 연관 파이프단부에 삽입되어 스크류 등으로 고정된다.
2개의 핸드푸쉬 프레임(5)은 각각 전체적으로는 선형으로 형성되며, 각 상부는 역 L자형으로 절곡되어 좌우수평부(5a)를 구성하게 된다. 펴진상태에서 좌우수평부(5a)는 그 연관 조인트부(8)를 통해 중앙에 배치된 접속부(9)에 선형으로 각각 접속되며, 이들 접속부와 조인트부는 손으로 가압할 수 있는 파지부로서 사용된다.
핸드푸시 프레임(5)을 접어 보관하는 경우, 2개의 수평부(5a)는 그 시작점으로서 조인트부(8)와 함께 약 90°각도로 회전하여 손으로 잡을 수 있는 핸들부를 형성하게 될 뿐만아니라 연관 앞다리(2)를 따라 하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높이치수를 감축하게 되고, 그 결과 스트롤러 전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기본적인 프레임구조 외에도, 2개의 앞다리(2) 각 하부에는 중앙 접힘식 발안장(10)이 연결되며, 그 중앙부는 상향으로만 접힐 수 있다. 또, 2개의 뒷다리(2) 각 상부에는 팔걸이 베이스부 및 접힘식 안내원주부(11)가 고정된다.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5)에서 수직으로 뻗는 하부의 상단으로부터 스트롤러의 진행방향으로 각 차양지지봉(12)이 뻗으며, 이것 역시 접힘과 펴짐이 가능하다.
접힘식 팔걸이와 접힘식 안내원주부(11)는 말그대로 접힘과 펴짐이 가능하므로 안내원주부(11)의 중앙부에 배치된 안내부(11c)가 탄성플라스틱 등과 같은 탄성재로 형성된다. 물론 아기가 성장하고 안내원주부(11)의 중앙부에 배치된 안내부(11c)에 장착되는 환형 장착부(11c2)가 필요없게 되면 팔걸이(11b)로부터 장착부(11c2)를 제거하고 안내원주부(11)에는 팔걸이(11b)만을 남겨둘 수도 있으며, 이때는 팔걸이(11b) 만이 접힘식 팔걸이 및 안내원주(11)로서 사용된다.
2개의 차양지지봉(12) 사이에는 천 등과 같은 가요성물질로 형성된 햇빛차양(16)이 장착된다. 따라서 2개의 차양지지봉(12) 사이 공간은 가요성 물질로 덮이며, 2개의 차양지지봉(12) 사이의 거리를 스트롤러가 접혀졌을 때보다 좁게하여도 스트롤러의 접힘동작을 햇빛차양(16)이 방해할 염려가 없다.
또,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같이 앞다리(2) 및 뒷다리(4)에는 천으로된 베이비시트(14)와 그물로된 주머니(5)가 설치되어 스트롤러의 요구에 알맞은 구성을 하게 된다. 한편, 도 1c 및 도 1d에는 다른 부품의 식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비시트(14)와 주머니(15)를 도시하지 않았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도 1a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트롤러가 베이비 캐리지로서 사용되는 경우 제1개폐링크(6) 및 제2개폐링크(7)가 각각 X형으로 열려져 베이비가 착석하기에 충분한 정도의 폭을 확보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5)이 상부로 상승하고, 그 수평부(5a), 조인트부(8), 접속부(9)가 선형으로 배치되며, 그 결과 앞바퀴(1) 및 뒷바퀴(3)가 땅에 접촉한 상태로 파지부로서 직선형으로 배치된 부분을 이용하여 파지부를 손으로 밀어 이동하게 된다.
이와같은 이용상태로부터 스트롤러를 접기 위해서는 접속부(9)에 배치된 잠금해제기구(후술함)를 동작시키고,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5)을 미끄럼 회전이 가능한 상태로 회전시킨다.
접속부(9)에 대해 대략 90°각도로 핸드푸시 프레임(5)의 수평부(5a)를 회전시키는 동안 핸드푸시 프레임(5)을 하향 미끄럼 이동시켜 2개의 개폐링크(6)(7)에 접근시키고, 도 1c 및 1d에 나타낸 바와같이 스트롤러가 폭방향치수로 감축되고, 앞바퀴(1) 및 뒷바퀴(3)가 함께 합쳐진 상태에서 스트롤러는 콤팩트하게 접힌 형상이 된다. 이와 동시에 스트롤러의 높이치수가 핸드푸시 프레임(5)의 하향 미끄럼에 대응하는 양 만큼 짧아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트롤러가 자동으로 잠길 수 있다.
한편, 스트롤러의 앞면을 나타내는 도 1d에서와 같이 스트롤러가 접힌 상태에서 팔걸이(10)는 상향으로 중앙이 접히고, 안내원주부(11)는 뒤로 경사진다. 또, 안내원주부(11)의 중앙부가 되는 안내부(선단환형부)(11c)는 탄성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중합물질로 형성된다. 그러나 안내부(11c)를 다른 접힘구조로 구성할 수도 있다. 즉 예를들어 강고한 물질로 된 코어부재 및 탄성물질로 된 외부커버를 함께 조립하여 3분의 1로 접을 수 있는 파지부를 형성할 수도 있다. 즉, 이 부분(안내부11c)이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폭이 줄고, 안내원주부(11)가 안내부(11c)의 폭감소 만큼에 대응하여 폭을 줄고, 이와 동시에 자동적으로 뒤로 경사지게 된다. 또, 2개의 차양지지봉(12)이 접히면 햇빛차양부(16)가 보관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같이 펴진 상태의 스트롤러의 치수를 L이라고 가정하면(도 1a 참조), 접힌 상태의 치수는 0.7 - 0.8L로 줄어든다. 따라서, 접힌 상태에서 스트롤러를 반송할 때 사용자의 팔에 프레임(5)의 역L자형 만곡수평부(5a)가 유지된 상태로 스트롤러를 운반하여도 사용자가 보통의 성인 키높이를 가지고 있다면 팔을 들어올리지 않아도 스트롤러의 선단이 땅과 접촉하지 않은채 운반이 가능하다. 또, 스트롤러의 바퀴를 굴리면서 사용자 앞에서 스트롤러를 밀어 이동시킬 때, 또는 사용자가 스트롤러 뒤에서 바퀴를 굴리면서 끌어 이동시킬 때에도 스트롤러는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접힌 상태에서 스트롤러의 높이치수가 낮기 때문이다.
다음에, 앞다리(2), 뒷다리(4) 및 핸드푸시 프레임(5)의 구조를 도 3 -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각 앞다리(2)의 상부 및 대략 중앙부 각 외주에는 상부홀더(17) 및 하부홀더(18)가 나사B를 통해 각각 고정되어 있다(도 6 참조). 안내원주부(11)의 각 베이스부(11a)는 상부홀더(17)의 외주부에 끼워지는 한편 베이스부(11a) 및 상부홀더(17)는 함께 스크류B에 의해 앞다리(2)에 함께 체결되며, 베이스부(11a)는 앞다리(2)의 외주를 덮게된다.
상부홀더(17)에는 2개의 상부홀더(17)를 관통하는 삽입구멍(17a)이 형성되고, 각 삽입구멍(17a)을 통해 앞다리(2) 및 핸드푸시 프레임(5)이 삽입된다. 즉, 앞다리(2)의 상단부는 앞쪽 삽입구멍(17a)을 통해 삽입되어 스크류B에 의해 고정되고, 다른 한편으로 뒷쪽의 삽입구멍(17a)은 핸드푸시 프레임(5)을 위한 미끄럼 안내부로서 작용한다.
핸드푸시 프레임(5) 측과 접촉하는 상부홀더(17)의 내측벽(17b)에는 잠금핀구멍(21')(도 5 참조)이 형성되고, 이 잠금핀구멍(21')을 통해 핸드푸시 프레임(5) 내에 배치된 잠금핀(53)(후술함)이 삽입된다.
제1개폐링크(6)의 일단이 지지점핀P을 통해 브라켓(19)에 저널(journal)구조로 장착되어 회전하는 한편 상부홀더(17)의 후방단에는 U형 브라켓(19)이 장착된다. 또, 제1개폐링크(6)의 타단은 뒷다리(4)에 나사결합된 브라켓(20) 상의 지지핀P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저널구조로 되어 있다(도 3참조).
하부홀더(18)(도 6참조)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측면안내부(18a) 및 측면안내부(18a) 내측에 일체로 배치된 삼각형 홀더본체(18b)로 형성되며, 삼각형 홀더본체(18b)는 상측면에 각각 개구된 2개의 삽입구멍을 포함하며, 앞다리(2) 및 핸드푸시 프레임(5)은 각각 홀더본체(18b)의 2개의 삽입구멍을 통해 각각 삽입된다. 따라서 앞다리(2)가 스크류B에 의해 삼각형 홀더본체(18b)에 고정되는 한편 핸드푸시 프레임(5)이 삼각형 홀더본체(18b) 내에 미끄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홀더본체(18b)는 핸드푸시 프레임(5)의 하부측이 수직으로 미끄러지는 방법으로 앞다리(2)의 후방측에 끼워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뒷다리(4)의 선단측이 측면안내부(18a)를 통해 뻗는 지지점핀P을 개재하여 홀더본체(18b)의 후방부에 회전하게 저널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홀더본체(18b)에 있어서 핸드푸시 프레임(5)의 삽입위치에서 상향으로 개방된 구멍(21)은 잠금핀구멍(후술함)이다. 즉, 현재의 잠금핀구멍(21) 및 상기 잠금핀구멍(21')을 이용하여 하부위치 및 상부위치에 핸드푸시 프레임(5)이 각각 위치하면, 잠금핀(53)(후술함)이 돌출하고, 이것에 의해 스트롤러가 2개의 상태, 즉 접힌상태 또는 펴진상태로 유지된다.
하부홀더(18)로부터 돌출하는 핸드푸시 프레임(5)의 (원통형)하단부 선단에는 외피부(7a')가 삽입되어 나사고정되며(도 5 참조), 이 외피부(7a')는 일본 코케시 인형(kokeshi doll)의 외피부와 같은 형상이다. 외피부(7a')의 축방향으로 회전할 수 없으면서 주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동시에 헤드부를 형성하는 회전체(7')가 배치되며, 이 회전체(7')와 일체로 돌기부(7b')가 형성되고, 이 돌기부는 회전체(7')의 반경방향으로 돌출한다. 또, 돌기부(7b')의 선단에는 U형상부(7c')의 바닥부가 나사결합되며, 이 U형상부(7c')는 주변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다. U형상부(7c')의 2개의 개방선단 사이에는 지지점핀P을 통해 제2개폐링크(7)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핸드푸시프레임(5)이 대략 90°각도로 회전하면서 하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여도 제2개폐링크(7)가 아무런 장애없이 용이하게 수축될 수 있다.
또, 제2개폐링크(7)의 후방단은 뒷다리(4)의 대략 중앙의 만곡부에 배치되는 브라켓(20)의 지지점핀P을 통해 유사하게 장착된다.
뒷다리(4)의 선단부는 앞다리(2)의 전방부측에 돌출하고, 보호용 고무캡(22)이 뒷다리(4)의 선단부 돌출단에 끼워진다.
또, 뒷다리(4)의 돌출단 측면이 지지점핀P을 개재하여 파이프형 링크(23)에 접속되며, 이 링크는 팔걸이(11b)를 경사지게 작동하는데 사용된다.
안내원주부(11)는 그 연관 앞다리(2)에 각각 고정되는 상기한 바 있는 2개의 베이스부(11a), 그 연관 지지점핀P을 통해 2개의 베이스부(11a)에 경사지게 각각 접속되는 2개의 팔걸이부(11b), 안내부(11c)의 부분을 형성하는 동시에 2개의 팔걸이(11b)의 각 선단에 끼워지는 2개의 선단환형장착부(11c2), 상기 탄성중합체물질로 형성되고 선단환형장착부(11c2)의 선단에 끼워지는 상기 선단환형부(안내부)(11c), 그리고 상기한 바 있는 2개의 링크(23)를 포함한다. 2개의 링크(23)의 각 상단부는 각 지지점핀P을 통해 2개의 팔걸이(11b) 각 내측에 경사지게 접속된다.
각 안내부(선단환형부)(11c)는 탄성물질로만 형성될 때, 안내부(11c)의 두께가 증대하여 그 강고성이 증대되며, 이후 안내부(11c)는 선단환형장착부(11c2)에 핀으로 고정된다. 이와는 달리 안내부(11c)의 중앙부에 특정부재를 삽입할 수도 있으며, 이후 안내부(11c)의 외부커버가 탄성물질로 덮힐 수도 있다. 또, 안내부(11c)의 중앙부에 삽입될 부재로서 배선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판 부재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코일스프링을 선단환형장착부(11c2)에 장착하여 코일스프링의 가요성 특성을 이용하거나 판스프링을 선단환형장착부(11c2)에 접속할 수도 있다.
물론, 스트롤러를 신체가 성장한 아기를 위해 사용할 경우는 안내부(11c)를 제거할 수 있다. 즉, 이 경우, 2개의 선단환형장착부(11c2)가 각각 그 연관 팔걸이(11b)에서 제거되고, 그 대신 팔걸이(11b) 간 선단에 캡 등을 배치한다.
각 링크(23)의 하단외주변에 고무다리(24)가 끼워지고, 도 3 및 도 5의 펴진 상태에서 고무다리(24)가 각각 그 연관 앞다리(2)와 접촉하며, 팔걸이(11b)로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또, 접힌 상태에서 2개의 링크(23)가 각각 상방향으로 뒷다리(4)의 상단 회전이동과 함께 작동하므로 시작점으로서 그 연관 지지점핀P과 함께 2개의 팔걸이(11b)가 각각 후방으로 기울어져 베이스부(11a) 측으로 자동적으로 접히게 된다. 즉, 스트롤러의 접힘동작에서 손으로 팔걸이(11b)를 들어올릴 필요가 없으므로 팔걸이(11b)가 자동으로 접힐 수 있다. 이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스트롤러의 접힘치수가 더욱 콤팩트하게 된다.
한편, 상기 설명에서는 B와 P를 일정하게 스크류 및 핀으로 지칭하였지만, 물론 이들 부재는 삽입되는 장착구멍의 형상에 따라 다른 직경, 다른 길이를 가질 수 있으며, 특히 스크류B는 그 장착위치에 따라 리벳 등과 같은 다른 고정부재로 대체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7 - 도 10을 참조하여 상기 구조의 접힘식 스트롤러에 사용되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설명한다. 한편, 도 7 - 도 9는 각각 핸드푸시프레임 및 그 동작기구의 각 상부를 나타내고, 도 10은 잠금핀 돌출 및 수축기구로서 이것은 동작기구와 연계하여 동작할 수 있다.
도 7에서 먼저,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5)의 각 수평부(5a)에 탄성물질로 형성된 홀더 파지부(30)가 끼워지며, 홀더파지부(30)는 각 핸드푸시 프레임(5)의 수직부 상부까지 연장된다.
또, 조인트부(8)의 각 외주부는 탄성물질로 형성된 커버(31)로 덮힌다. 한편, 조인트부(8)의 구조는 종래 공지된 스트롤러의 구조와 유사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접속부(9)의 구조와 관련하여, 유지가 용이한 형상의 합성수지로 형성된 하우징(32) 내측에는 접속부(9)를 잠그고 이 잠금을 해제하는 동작기구가 배치되고, 하우징(32) 상부에는 좌우방향으로 미끄럼가능한 잠금레버(34)가 배치되며, 하우징(32)의 하부 대략 중앙에는 트리거형 잠금해제레버(35)가 돌출되는 형태로 배치된다.
이하, 상기 접속부(9)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접속부(9)에는 도 8 및 도 9에 나타낸 바와같이, 하우징(32)이 배치되며, 하우징(32)은 2개의 플라스팅 몰딩이 함께 나사결합되어 형성된 공간을 포함하고, 이 공간 내에는 특정부재가 저장될 수 있다. 이와같이 형성된 내부공간 중앙부에는 하우징(32)과 함께 일체로 형성된 지지샤프트(36)가 배치되고, 이 지지샤프트(36)는 잠금해제레버(35)에 형성된 중앙구멍(36')에 끼워진다. 하우징(32)에 형성된 개구로부터 외측으로 가압부(35a)(35b)가 각각 노출되도록 잠금해제레버(35)가 구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하우징(32)의 외측으로부터 가압부(35a)(35b)에 대해 가압을 할 수 있다. 또, 잠금해제레버(35)에 있어서, 중심으로서 중앙구멍(36')와 함께 가압부(35a)와 마주하는 측에 고정 폴(39)(후술함)의 가압동작을 행하는 동작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잠금해제레버(35)는 중앙구멍(36')과 일체로하여 동심으로 형성된 디스크(37)를 포함한다. 디스크(37) 둘레의 다수 위치에는 해제배선고정부(37a)(37b)가 배치된다. 해제배선(38)의 각 일단부는 연관 해제배선고정부(37a)(37b)에 고정된다. 즉, 도 8에 나타낸 상태에서 잠금해제레버(35)의 가압부(35a)가 지지샤프트(36)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어 잠금해제레버(35)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해제배선고정부(37a)(37b)가 각각 그 연과 해제배선(38)을 각각 잡아당긴다.
전술한 바와같이, 하우징(32)과 동일한 합성수지물질로 사출성형에 의해 형성된 잠금레버(34)가 하우징(32)에 끼워지며, 이 때 잠금레버(34)는 도 7a 및 도 7b의 좌우방향으로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다. 즉 도 7a는 잠금레버(34)가 하우징(32)에서 최우측에 위치하는 상태를 나타내며, 잠금레버(35)는 잠금상태(LOCK ON)를 유지하며, 이 경우는 회전이 저지된다. 한편, 도 7b는 잠금레버(34)가 하우징 상에서 도 7a의 위치로부터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위치에서 잠금해제레버(35)가 회전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잠금해제레버(35)는 잠금제거상태(LOCK OFF)로 유지된다.
이하, 잠금레버(34) 및 그 부품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잠금레버(34)의 선단에는 얇은 중간부(41)를 벗어난 위치에서 미끄럼방향으로 고정폴(39)이 배치된다. 고정폴(39)의 형상에 있어서 잠금레버(34)의 미끄럼방향의 수직방향 두께는 중간부(41)의 두께보다 상당히 크다(도 8에서는 약 2배). 또, 잠금레버(34)는 통상 도 7a에 나타낸 잠금위치로 인장스프링(40)에 의해 힘을 받게된다.
한편, 하우징(32)측에서, 특히 잠금해제레버(35)에 대해 반대측으로는 고정단차부(42)가 형성되며, 이 고정단차부(42)는 큰두께를 가지고 잠금레버(34)의 큰두께부, 즉 잠금레버(34)의 고정폴(39)과 마주한다. 미끄럼방향(도 8에서 좌우방향)으로 잠금레버(34)의 큰 두께부, 즉 고정폴(39)에서 확장하여 확대부(43)가 형성되며, 이 확대부(43)는 하우징(32)의 반대방향으로부터 시작하여 고정폴(39) 부근에 도달한다. 확대부(43)의 선단 부근에는 고정폴(39)이 결합되는 계합홈(43')이 형성된다.
그러나, 중간부(41) 및 고정폴(39)이 전술한 바와같이 잠금레버(34)와 일체로 형성되지 않고, 예를들어 강철로된 판스프링,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칭하는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아세탈 수지 등으로 형성된 몰딩이 잠금레버(34)의 선단에 장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중간부(41)와 고정폴(39)의 탄성력을 자유롭게 선정할 수 있어 고정단차부(42)를 마련할 필요가 없어진다.
다음에, 잠금레버(34) 및 잠금해제레버(35)의 작동절차에 대해 도 9a - 도 9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a와 유사하게 도 9a는 접속부(9)의 잠금상태를 나타낸다.
즉, 잠금레버(34)는 잠금위치(도 7a)에서 유지되며, 잠금해제레버(35)는 도 8의 상태에서 유지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레버(35)의 가압부(35a)는 시계방향으로 가압되지 않고 해제배선(38)은 그 확대위치에서 각각 유지된다. 여기서, 사용자가 잠금해제레버(35)의 가압부(35a)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갑자기 가압을 시도하면 큰두께의 고정폴(39)과 고정단차부(42) 사이에 가동공간이 존재하지 않게되고, 잠금해제레버(35)의 동작부(35c)에 대해 회전이 방지되며, 그 결과 가압부(35a)를 시계방향으로 가압 및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해제배선(38)은 끌릴 수 없는 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잠금레버(34)가 스프링(40)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도 9a의 상태로부터 도 9b의 상태로 미끄럼 이동하면 고정폴(39)의 선단이 확대부(43)와 접촉하게 된다.
스프링(40)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잠금레버(34)가 더욱 잠금제거위치(도 7b)로 미끄럼 이동하면 고정폴(39)이 확대부(43)와 이르게되어, 이후 도 9c에 나타낸 바와같이 확대부(43) 선단 부근에 형성된 계합홈(43')에 결합된다. 이 상태에서 작동부(35c)와 마주하는 부분은 더이상 큰두께의 고정폴(39)이 되지 않고, 잠금레버(34)의 작은두께 중간부(41)가 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레버(35)의 작동부(35c)와 중간부(41)의 사이에 충분한 가동공간이 형성되며, 그 결과 가압부(35a)를 시계방향으로 가압 및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가압부(35a)가 가압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압부(35a)와 일체로 형성된 디스크(37)가 회전할 수 있으며, 좌우해제배선(38)을 잡아당길 수 있다.
또, 잠금해제레버(35)의 가압부(35a)가 가압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잠금해제레버(35)의 동작부(35c)가 짧게 중간부(41)와 접촉한다. 그리고 가압부(35a)를 더욱 시계방향으로 가압함에 따라 도 9d에 나타낸 바와같이, 동작부(35c)가 중간부(41)를 상승시키고, 중간부(41)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폴(39)이 계합홈(43')으로부터 위로 상승한다. 고정폴(39)이 확대부(43) 보다 높이 상승하면, 스프링(40)의 탄성력에 의해 도 9d에 나타낸 화살표 방향으로 잠금레버(34)가 즉시 뒤로 잡아당겨지며, 그 결과 고정폴(39)이 확대부(43)를 초과하게 된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 동작부(35c)는 여전히 고정폴(39)의 복귀를 저지하고 있으므로 고정폴(39)은 도 9a에 나타낸 위치로 완전히 복귀할 수 없다.
또, 좌우 해제배선(38)이 완전히 잡아당겨진 후, 다음에 좌우해제배선(38)이 느슨한 상태에서 잠금해제레버(35)의 가압부(35b)가 가압되어 잠금해제레버(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것에 의해 잠금해제레버(35)의 동작부(35c)가 뒤로 이동하면, 고정폴(39)이 도 9a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해제배선(38)을 느슨하게하는 힘이 강하면, 가압부(35b)가 가압되지 않아도 잠금해제레버(35)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므로, 가압부(35b)의 가압 없이도 도 9a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도 10은 해드푸시 프레임(5) 각각에 위치하여 잠금핀(53)을 진퇴시키는 진퇴기구를 나타내며, 이 진퇴기구는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이, 해제배선의 당김 및 이완 동작, 잠금해제레버(35)의 시계방향회전에 기인하여 좌우해제배선(38)를 잡아당기는 동작과 잠금해제레버(35)의 반시계방향회전에 기인하여 좌우해제배선(38)를 느슨하게 이완시키는 동작과 연계하여 나타낸 것이다.
현재의 잠금핀 진퇴기구는 핸드푸시 프레임(5)을 상향으로 당기고 약 90°각도로 회전시켜 잠금핀(53)을 돌출시키며, 그 결과 잠금핀이 상부홀더(17)에 형성된 잠금구멍(21')(도 5 참조)에 삽입되어 스트롤러를 펴진상태(도 1a 및 도 1b)로 고정하거나, 또는 핸드푸시 프레임(5)을 하향으로 수축시키고 약 90°각도로 회전시켜 진퇴기구에 배치된 잠금핀(53)을 돌출시키며, 그 결과 잠금핀이 하부홀더(18)에 형성된 잠금구멍(21)(도 5 참조)에 삽입되어 접힌 상태(도 1c 및 도 1d)로 스트롤러를 고정시킨다.
도 10을 참조하여 잠금핀 진퇴기구가 접힌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부홀더(18)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그러나, 이 동작자체는 잠금구멍(21')의 위치가 잠금구멍(21)과 비교할 때 약 90°각도로 회전한 위치에 있다는 점을 제외하면 펴진 상태에서 유지되는 상부홀더(18)의 위치로 잠금핀 진퇴기구가 이동하는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다.
다시 도 10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핸드푸시프레임의 하부 수직부 중앙 부근에 배치된 잠금핀 진퇴기구의 단면도로서 현재기구의 동작을 나타낸다. 특히 도 10a는 잠금핀(53)을 잠그는 동작을 나타내고, 도 10b는 잠금핀(53)을 해제하는 동작을 나타낸다.
도 10에 있어서, 잠금핀 진퇴기구는 핸드푸시 프레임(5) 내측에서 고정되는 동시에 핸드푸시 프레임 내경에 대응하는 원통블록을 2개의 섹션으로 분할할 때 얻어지는 형상으로 된 고정블록(50)과, 핸드푸시 프레임(5)을 따라 미끄럼 이동할 수 있고 동시에 하부의 위치가 고정블록(50)의 하부에 형성된 단차부(50a)에 의해 제한되는 미끄럼블록(51)과, 핸드푸시 프레임(5)에 형성된 구멍(52)에 대해 진퇴가능하며, 미끄럼블록(51)의 미끄럼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뻗는 잠금핀(53)을 포함한다.
두 블록(50)(51)의 각 상부에는 2개로 분리된 형태의 구멍(50b)(51a)이 형성되며, 해제배선(38)의 타단이 미끄럼블록(51)의 구멍바닥에 연결되고, 압축코일 스프링(54)이 구멍(50b)(51a)에 삽입되며, 압축코일스프링(54)의 스프링 압력에 기인하여 미끄럼블록(51)이 고정블록(50)의 단차부(50a)를 향해 정상적으로 견인된다.
잠금핀(53)은 핀선단부(53a) 및 플랜지(53c)를 포함하며, 플랜지(53)는 핀선단부(53a)의 뒤쪽에 형성된 경사 미끄럼면(53b)을 가진다. 잠금핀(53)의 플랜지(53c) 후방부는 스프링(55)에 의해 가압되므로 잠금핀(53)은 구멍(52)으로부터 돌출방향으로 힘을 받는다. 스프링(55)은 구멍(50c)에 삽입되며, 이 구멍(50c)은 핸드푸시 프레임(5)의 길이방향에 대해 직각으로 교차하도록 고정블록(50)에서 위로 개구되어 있다.
한편, 미끄럼블록(51)의 하부에는 긴구멍(51b)이 위로 열려 있으며, 이 긴구멍은 잠금핀(53)의 선단부(53a)가 미끄럼블록(51)의 이동 스트로크 만큼 돌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동시에 미끄럼블록(51)의 뒷면측에는 잠금핀(53)의 미끄럼면(53b)과 계합할 수 있는 돌출안내경사면(51c)이 형성된다.
상기 구조에 있어서, 해제배선(38)이 당겨지지 않은 상태에서 도 10a에 나타낸 바와같이 미끄럼블록(51)이 압축코일스프링(54)의 압력으로 고정블록(50)의 단차부(50a)에 접촉되고, 경사면(51c)이 하부위치에 유지되며, 그 결과 잠금핀(53)의 선단부(53a)가 구멍(52)의 외측으로 돌출하고, 추가로 상부홀더(17)에 형성된 잠금구멍(21')으로 돌출하거나 하부홀더(18)에 형성된 잠금구멍(21)으로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핸드푸시 프레임(5)의 수직방향 이동을 저지하게 된다. 잠금핀(53)이 돌출하여 잠금구멍(21')과 결합한 상태에서는 핸드푸시 프레임(5)은 상승위치로 위치하며, 그에 따라 스트롤러가 펴진상태로 유지된다(즉 펴진상태고 고정적으로 잠겨진다). 한편, 잠금핀(53)이 돌출하여 잠금구멍(21)과 결합한 상태에서는 핸드푸시프레임(5)이 하부위치에 위치하며, 그 결과 스트롤러가 접힌상태로 유지된다(즉 잠겨진다).
상기 트리거 동작에 의해 해제배선(38)이 도 10b의 화살표(1)과 같이 상향으로 당겨지면 미끄럼블록(51)이 압축코일스프링(54)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위로 상승하고, 그 결과 잠금핀(53)의 선단부(53a)가 도 10b의 화살표(2)와 같이 경사면(51c)을 따라 후퇴하여 핸드푸시 프레임(5)으로 사라진다.
이 상태에서 핸드푸시 프레임(5) 자체의 미끄럼동작이 도 10b의 화살표(3)와 같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트리거 동작이 정지하여도 잠금핀(53)의 선단부(53a)가 하부홀더(18)의 내벽에 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접힌 위치에서 잠금핀(53)은 하부홀더(18)에 형성된 잠금핀구멍(21)과 작용하며, 펴진 위치에서 잠금핀(53)은 유사하게 상부홀더(17)에 형성된 잠금핀구멍(21')에 작용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잠금핀(53)이 상하 미끄럼동작 및 회전동작에 기인하여 상부홀더(17)에 형성된 잠금핀구멍(21') 또는 하부홀더(18)에 형성된 잠금핀구멍(21)과 결합하면, 압축코일스프링(55)의 탄성력에 기인하여 잠금핀(53)이 자동적으로 돌출하여 잠금핀구멍에 고정된다. 따라서, 잠금해제동작이 일단 수행되고, 스트롤러가 펴진위치로부터 접힌위치로 또는 이와 반대 위치로 전환하면 접히거나 펴진위치로 스트롤러가 자동적으로 잠길 수 있다.
다음에, 도 11 - 도 13을 참조하여 중앙 접힘식 발안장를 잠금 및 해제하는 잠금/해제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도 11에는 발안장(10)의 외측이 도시되어 있다. 합성수지, 알루미늄 다이 캐스팅 등으로 성형되는 발안장(10)은 실질적으로 대략 사각형 스텝판(60), 스텝판(60)의 일단 하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뻗는 일측 지지암(61), 스텝판(60)의 타측에 배치되어 스텝판(60) 대략 중앙부 하면에 배치된 지지점핀(62)을 중심으로 상향으로만 접힐 수 있는 타측 지지암(63), 2개의 지지암(61)(63) 단부에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2개의 앞다리(2) 각 외주에 고정되는 브라켓(611)(631)을 구비한다.
또, 도 12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안장(10) 내측은 지지암(61) 측에 배치되어 타측 지지암(63)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축코일스프링(65)에 의해 힘을 받는 가동블록(64)과, 이 가동블록(64)의 타단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타측지지암(63)의 상면으로 이동할 수 있어 수평상태로 타측 지지암(63)을 잠그는 고정폴(67)과, 가동블록(64)의 하면측에서 핀(68)을 통해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판(69)과, 요동판(69)의 하면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돌출되는 잠금해제용 노브(knob)(70), 요동판(69)의 타단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가동블록(64)의 타단면에 접촉함으로써 가동블록(64)의 이동을 저지하는 잠금폴(691)이 포함되어 있다.
또, 가동블록(64)의 고정폴(67) 측에서 지지암(61)과 요동판(69) 사이에는 제2압축코일스프링(65')이 개재되며, 이에따라 정상적으로는 지지암(61)과 요동판(69)을 분리시키는 힘이 가해진다.
가동블록(64)의 단부측에는 잠금폴(691)을 수용할 수 있는 계합요부(64a)가 형성된다
또, 지지암(63) 하면에는 요동판(69)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블록(71)이 돌출적으로 배치되어 요동판(69)을 요동시키게 된다.
도 13a의 화살표(1)로 나타낸 바와같이,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낸 발안장(10)의 펴진상태에서 잠금해제용 노브(70)에 외력F가 가해지면 요동판(69)이 도 13a의 화살표(2) 방향으로 스윙된다. 그 결과 잠금폴(691)이 제거되고 이어서 요동판(69)의 가압력으로 압축코일 스프링(65)의 힘에 대항하여 가동블록(64)이 도 13a의 화살표(3) 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 고정폴(67)이 제거되어 지지암(63)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이 동작은 손으로 잠금해제용 노브(70)를 하향 가압하여 수행하게 된다. 고정폴(67)이 제거되어 지지암(63)이 회전하므로, 지지암(63)이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가동블록(64)의 좌측이동이 저지되며, 그 결과 잠금해제용 노브(70)로부터 손을 놓으면 제2압축코일스프링(65')의 힘에 의해 요동판(69)이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고, 도13b와 같이 요동판(69)의 잠금폴(691)이 계합요부(64a)로 이동하며(도 12 참조), 그것에 의해 잠금해제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음에, 접힘동작에 기인하여 특정 각도에 이를 때까지 발안장(10)이 중앙으로 접히면 도 13c에 나타낸 바와같이 접촉블록(71)이 요동판(69)에 접촉하여 요동판(69)을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게 되며, 요동판(69)은 가동블록(64)으로부터 분리된다.
또, 도 13d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각도에서 제2압축코일스프링(65')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판(69)이 내측으로부터 힘을 받아서 수평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스프링힘에 의해 가동블록(64)이 전방으로 이동하고, 가동블록(64)의 고정폴(67) 선단이 지지암(63)의 회전원호면과 충돌한다.
따라서, 수평위치로 발안장을 복귀시키는 동작이 이 상태에서 실행되면 발안장은 수평측으로 복귀할 수 있는 한편 잠금해제상태로 유지된다. 발안장이 수평상태로 전환되면 스프링압력에 의해 가동블록(64)이 다시 전방으로 이동하여 가동블록(64)의 고정폴(67)이 다시 지지암(63)으로 이동하며, 그 결과 도 12에 나타낸 바와같이 발안장을 다시 잠글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발안장을 접을 때 손으로 일단 발안장의 잠금상태를 해제하기만 하면 되며, 발안장을 펼 때는 손으로 다시 발안장을 잠금필요는 없다.
그러나, 접는 동작을 할 때 상기 발안장(10)은 손으로 한번 잠금상태를 제거하는 동작을 요하게 된다. 이 동작을 수행하기위해 실질적 사용자는 스트롤러 뒤에서 앞으로 이동하여 쭈구리고 손으로 잠금해제용 노브(70)에 대해 가압을 해야한다. 즉, 이동작은 수행하기가 보다 어렵다.
따라서, 발안장(10)의 잠금 및 잠금해제를 완벽하게 자동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 도 14 - 도 17는 발안장(10)에 대해 이와같은 완전한 자동잠금 및 해제를 실현하는 것을 나타낸다.
다음에, 발안장(10)의 제2실시예로서 도 14 - 도 17을 참조하여 완전자동 잠금 및 해제에 대해 설명한다. 한편, 이들 도면에 있어서, 상기 제1실시예에서 이용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부품에 대하여는 생략하거나 동일부호를 병기하고, 본실시예의 새로운 부분에 대하여만 다른 부호를 병기한다.
도 14 - 도 17에 있어서, 스텝판(60)이 배치되는 발안장(10) 내측에는 미끄럼블록(80)이 배치되며, 압축코일스프링(81)에 의해 타측지지암(63)의 회전단부 상부에 고정폴(80a) 선단이 위치한다. 또, 미끄럼블록(80)은 해제배선(82)의 일단에 접속된다.
해제배선(82)의 타단은 앞다리(2)를 따라 도출되어 캠(83)(후술함)에 접속되며, 캠(83)은 하부홀더(18) 측 아래 앞다리(2)에 장착된다.
제2실시예의 나머지 부분은 도 12 부분과 그 부품 및 기능이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즉, 이 부품에는 핀을 통해 미끄럼블록(80) 아랫면 측에 요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요동판, 이 요동판의 아랫면 일단으로부터 일체로 설치되어 돌출하는 잠금해제용 노브, 요동판 타단 상부로부터 돌출하여 설치되는 잠금폴이 포함되며, 이 잠금폴은 미끄럼블록(80)의 타단면에 접촉하여 미끄럼블록(8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 미끄럼블록(80)의 고정폴(80a)측에서 지지암(61)과 요동판(69) 사이에는 이들 2개의 부재를 상호 분리시킬 수 있도록 정상상태에서 힘을 가하는 제2압축코일스프링이 개재되어 있다. 미끄럼블록(80)의 단부측에는 잠금폴을 수용할 수 있는 계합요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지지암(63)의 하부면에는 요동판(69)과 접촉할 수 있는 접촉블록이 배치되어 요동판(69)의 스윙을 가능하게 한다.
한편, 캠(83)의 캠선단면은 핸드푸시 프레임(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하는 캠 바닥 핀(84)과 결합되며, 캠 바닥핀(84)의 상하 이동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스트롤러가 펴진 상태, 즉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 바와같이 핸드푸시 프레임(5)의 상승상태에서 캠(83)의 캠선단부가 상향으로 회전하고, 해제배선(82)이 느슨해지며, 그 결과 미끄럼블록(80)이 타측지지암(63)으로 이동하여 고정폴(80a)을 타측지지암(63)의 회전단부 상부와 계합시키고, 이것에 의해 발안장(10)의 중앙접힘상태를 고정시키는 잠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상태로부터 핸드푸시프레임(5)이 접힘동작에 의해 낮아지면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 바와같이 캠(83)의 캠바닥이 하향으로 회전하여 해제배선(82)을 끌어올리고, 이것에 의해 미끄럼블록(80)이 압축코일스프링(81)의 힘에 대해 대향하여 후퇴하며 이것에 의해 타측지지암(63)의 회전단부로부터 미끄럼블록(80)의 고정폴(80a)을 분리시키고, 그 결과 발안장(10)의 중앙 접힘상태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따라서, 도 16에 나타낸 바와같이, 접힘동작에 의해 발안장(10)의 중앙 접힘을 가능하게 한다.
앞의 실시예와 비교할 때, 본실시예의 경우는 발안장(10)의 잠금해제가 접힘동작에 의해 자동적으로 얻어질 수 있으므로 발안장(10)의 접힘 및 펴짐 동작을 더욱 간단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가 간단하고, 접힘이 용이하며, 강도가 높은 발안장을 얻을 수 있을 뿐만아니라, 발안장을 장착할 수 있는 스트롤러의 제공이 가능하며, 접을 때 간단한 미끄럼 동작으로 핸드푸시 프레임을 수축시킬 수 있고, 접힘동작 및 펼침 동작에서 잠금 및 잠금해제 동작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 사용이 간편하다.

Claims (32)

  1.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는 스트롤러로서,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들을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앞다리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팔걸이 베이스부와, 이 팔걸이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지지점핀을 통해 경사지게 접속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며,
    스트롤러를 접을 때 상기 팔걸이 베이스부 및 상기 팔걸이가 접혀져 상기 스트롤러가 자동적으로 접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앞다리 사이에는 가요성 안내원주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앞다리 사이에는 가요성 안내원주부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기 수직부 상단에는 각각 2개의 차양지지봉이 스트롤러의 진행방향으로 뻗도록 배치되며, 이 차양지지봉 사이에는 가요성 햇빛차양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6. 접힘동작을 고정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동작기구를 파지부에 포함하는 스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동작기구의 하우징은
    부재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이 하우징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레버와,
    큰두께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잠금레버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고정폴과,
    이 하우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제거레버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일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는 동작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한 부재에 배치되는 해제배선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할 수 없을 때, 상기 고정폴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에 대해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의 회전을 방지하고, 그결과 상기 해제배선고정부의 회전도 저지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고정폴이 이동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가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가 회전하여 상기 해제배선고정부가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7. 접힘동작을 고정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동작기구를 파지부에 포함하는 스트롤러에 있어서,
    상기 동작기구는
    정상상태에서 잠금레버의 고정폴의 가동선단측에서 잠금레버를 잠금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하우징 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확대부 및 이 확대부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계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고정폴이 상기 확대부로 이동하여 상기 계합홈과 결합하고, 잠금제거레버의 가압부가 더욱 회전하면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고정폴이 이동하여 상기 확대부 위로 이동함으로써 잠금위치 측으로 잡아당여져 자동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8.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는 스트롤러로서,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기 수평부들을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접속부는 하우징을 갖는 동작기구를 포함하고, 이 동작기구의 하우징은
    부재를 저장할 수 있는 공간과,
    이 하우징에서 미끄럼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레버와,
    큰두께부를 가지는 한편 상기 잠금레버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고정폴과,
    이 하우징 내에서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잠금제거레버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일부에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가압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다른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폴에 대해 가압할 수 있는 동작부와,
    상기 잠금제거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한 부재에 배치되는 해제배선고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할 수 없을 때, 상기 고정폴은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에 대해 회전을 저지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 회전을 방지하고, 그결과 상기 해제배선고정부의 회전도 저지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고정폴이 이동하여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동작부가 회전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그 결과 상기 잠금제거레버의 상기 가압부가 회전하여 상기 해제배선고정부가 회전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9.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및 접속부를 구비하는 스트롤러로서,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고,
    또한 상기 접속부는 동작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정상상태에서 잠금레버의 고정폴의 가동선단측에서 잠금레버를 잠금위치로 가압하는 스프링과,
    하우징 내에서 돌출하도록 형성된 확대부 및 이 확대부의 선단 부근에 형성된 계합홈을
    구비하며,
    상기 잠금레버가 미끄럼 이동하면 상기 잠금레버의 상기 고정폴이 상기 확대부로 이동하여 상기 계합홈과 결합하고, 잠금제거레버의 가압부가 더욱 회전하면 상기 고정폴은 상기 스프링에 의해 이동하여 상기 확대부 위로 이동함으로써 잠금위치 측으로 잡아당여져 자동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은 잠금핀 진퇴기구를 포함하며, 이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는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은 잠금핀 진퇴기구를 포함하며, 이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에는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12. 2개의 발안장 지지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는 발안장으로서,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안장.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안장.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발안장.
  15.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접속부, 동작기구 및 발안장을 구비하는 스트롤러로서,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제거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발안장은
    2개의 발안장 지지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안장.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안장.
  18.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접속부, 동작기구, 잠금핀 진퇴기구, 해제기구 및 발안장을 구비하는 스트롤러로서,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해제하며,
    상기 해제기구는 핸드푸시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고,
    상기 발안장은
    2개의 발안장 지지암,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스트롤러.
  21.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3.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4.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5.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6.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발안장은 상기 2개의 앞다리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발안장의 2개의 단부는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제거기구를 동작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제거기구를 동작하는 해제기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2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앞다리에 각각 고정되는 2개의 팔걸이 베이스부와, 이 팔걸이 베이스부의 하단부에 지지점핀을 통해 경사지게 접속되는 팔걸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30. 2개의 좌우 앞다리, 2개의 좌우 뒷다리,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 제1개폐링크, 제2개폐링크, 접속부, 동작기구, 잠금핀 진퇴기구, 해제기구 및 발안장을 구비하는 스트롤러로서,
    상기 2개의 좌우 앞다리 각각은 그 하단에 앞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뒷다리 각각은 상기 앞다리 대략 중앙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를 갖는 동시에 후단에 뒷바퀴가 장착되고,
    상기 2개의 좌우 핸드푸시 프레임은 각각 그 둘레방향으로 회전가능하며, 각 핸드푸시 프레임은 역L자형으로 절곡되어 수평부를 형성하는 상부와 수직으로 뻗는 하부를 포함하고, 이 하부는 상기 앞다리의 상단 및 대략 중앙부에 각각 고정되는 상부홀더 및 하부홀더에 삽입되어 이 상하부 홀더에 의해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앞다리에 대해 평행하게 미끄럼 이동이 가능하며,
    상기 제1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앞다리의 상기 상부홀더와 상기 2개의 뒷다리의 후방부 사이에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1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제2개폐링크는 X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하단과 상기 2개의 뒷다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이 제2개폐링크의 X자형 교차중앙부는 핀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접속부는 조인트부를 통해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평부를 상호 접속하는 한편, 이들 수평부와 함께 파지부를 형성하며,
    상기 동작기구는 상기 접속부에 배치되어 수동으로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회전을 저지하는 잠금동작과 이 잠금동작을 제거하는 제거동작을 할 수 있도록 동작하며,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는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내측에 고정되어 상기 접속부가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의 상부와 함께 직선형으로 유지될 때 상기 상부홀더와 계합하고, 상기 핸드푸시 프레임이 상기 접속부의 잠금제거동작의 결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홀더와의 계합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해제기구는 핸드푸시 프레임내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기구를 상기 잠금핀 진퇴기구에 접속하며,
    상기 발안장은
    2개의 발안장 지지암, 보조해제기구, 잠금기구 및 잠금제거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은 각각의 중앙부에서 상호 접속하여 상방향으로만 이 중앙부에서 접혀지며,
    상기 보조해제기구는 상기 잠금기구 및 상기 잠금제거기구를 동작시키며,
    상기 잠금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을 수평상태로 잠그고,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발안장 지지암의 상기 잠금상태를 제거하며, 상기 발안장의 보조해제기구의 동작은 상기 2개의 핸드푸시 프레임의 수직이동과 연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클리어런스로 가동블록에 배치된 고정폴이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잠금기구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롤러.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제거기구는 상기 2개의 지지암이 상기 수평상태로 유지될 때 상기 접속부 부근에 생성되는 상기 클리어런스로부터 상기 고정폴을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스트롤러.
KR1020000002758A 1999-09-27 2000-01-21 스트롤러 KR1006978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285199A JP2001088709A (ja) 1999-09-27 1999-09-27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99-272852 1999-09-27
JP27285399A JP2001088711A (ja) 1999-09-27 1999-09-27 フットレストとこれを備え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JP99-272851 1999-09-27
JP27285299A JP4393637B2 (ja) 1999-09-27 1999-09-27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99-272853 1999-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9554A true KR20010029554A (ko) 2001-04-06
KR100697888B1 KR100697888B1 (ko) 2007-03-21

Family

ID=27336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2758A KR100697888B1 (ko) 1999-09-27 2000-01-21 스트롤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75213B1 (ko)
EP (1) EP1086876A3 (ko)
KR (1) KR100697888B1 (ko)
CN (1) CN1211240C (ko)
MY (1) MY125836A (ko)
SG (1) SG95616A1 (ko)
TW (1) TW59302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5174A (zh) * 2012-05-29 2015-03-04 康贝株式会社 婴儿车及座椅单元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72033B1 (en) * 1999-07-30 2002-10-29 Milliken & Company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seam usage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volume
CN2428383Y (zh) * 2000-01-03 2001-05-02 好孩子集团公司 童车
GB0022104D0 (en) * 2000-09-08 2000-10-25 Crisp David Collapsible pushchair/carrier
IT250451Y1 (it) * 2000-09-22 2003-09-10 Peg Perego Spa Passeggino con telaio ripiegabile e manubrio retrattile
JP2002225721A (ja) * 2001-01-31 2002-08-14 Combi Corp 折畳み式ベビーカー
TW506370U (en) * 2001-06-12 2002-10-11 Link Treasure Ltd Folding structure of stroller
US6485216B1 (en) * 2001-06-20 2002-11-26 Pao-Hsien Cheng Control device for folding movement of a stroller
JP2003095114A (ja) * 2001-09-26 2003-04-03 Combi Corp 飲料台付きガードアーム及びベビーカー
US6588527B2 (en) * 2001-11-23 2003-07-08 William S. Lerner Automatically rocking stroller
US6814368B2 (en) * 2002-08-06 2004-11-09 Pao-Hsien Cheng Foldable stroller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US20050035646A1 (en) * 2003-08-11 2005-02-17 Everett Richard C. Seat for collapsible jogging stroller
TWM256123U (en) * 2004-02-18 2005-02-01 Link Treasure Ltd Baby umbrella stroller capable of being folded with one hand
AU2004100221A4 (en) * 2004-03-26 2004-04-22 Graham Victor Wheelchair mobility handle
US20050242548A1 (en) * 2004-04-30 2005-11-03 Hutchinson James M F Easy folding stroller
US7234722B1 (en) 2004-07-02 2007-06-26 Stroller Technologies, Llc Standing baby stroller
US7281732B2 (en) * 2004-12-15 2007-10-16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tray fold and fold latch mechanisms
CN101175732B (zh) 2005-05-12 2010-06-16 黄文林 一种喹唑啉衍生物的制备方法及用作制备治疗肿瘤疾病药物的应用
ITVR20050107A1 (it) * 2005-09-14 2007-03-15 L Inglesina Baby Spa Dispositivo di impugnatura, particolarmente per passeggini, carrozzine e simili
TWM288610U (en) * 2005-10-19 2006-03-11 Link Treasure Ltd Collapsible framework structure for infant jogging stroller
NL1030330C2 (nl) * 2005-11-01 2007-05-03 Royalty Bugaboo Gmbh Opvouwbare wagen, zoals een buggy, met fixerend dwarsstangsysteem.
CN2839061Y (zh) * 2005-11-02 2006-11-22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婴儿车之收折骨架结构
US7651115B1 (en) * 2006-08-04 2010-01-26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Secondary lock for stroller fold mechanism
US7497461B2 (en) * 2006-12-04 2009-03-03 Emerson Anthony G Multi-use convertible infant carrying device
JP5138231B2 (ja) * 2007-01-16 2013-02-06 コンビ株式会社 キャスタ及び該キャスタを有するベビーカー
CN201062047Y (zh) * 2007-02-01 2008-05-21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连动收合机构的婴儿车
US20080217981A1 (en) * 2007-03-05 2008-09-11 Quoc-Thanh Ton-That Leg rest for a stroller
US7641216B2 (en) * 2007-03-05 2010-01-05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lat fold stroller
IL183033A (en) 2007-05-07 2012-10-31 Babyjogger Llc Adjustable stroller with single seat or multiple seats
CN201082718Y (zh) * 2007-07-19 2008-07-09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的单手收合致动机构
JP5232437B2 (ja) * 2007-10-22 2013-07-1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株式会社 幌付折畳式乳母車
US20090160162A1 (en) 2007-11-19 2009-06-25 Daniel Lee Bizzell Stroller with multiple configurations
EP2240359B1 (en) * 2008-01-10 2016-11-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One-hand fold stroller frame
US7900952B2 (en) * 2008-02-08 2011-03-08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olding stroller including locking mechanism
NL1035581C2 (nl) * 2008-06-13 2009-12-15 Maxi Miliaan Bv Wandelwagen.
US8104788B2 (en) * 2010-03-16 2012-01-31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olding stroller including a footrest
FR2969103B1 (fr) * 2010-12-15 2015-07-31 Dorel France Sa Repose-pieds compact pour poussette ou hamac de poussette
CN103158746B (zh) * 2011-12-19 2015-10-07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车
US9216755B2 (en) 2012-03-30 2015-12-22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US8919807B2 (en) * 2012-04-05 2014-12-30 Wonderland Nurserygoods Company Limited Infant stroller apparatus and apparatus for seating a child
CN103707914B (zh) * 2012-09-28 2015-09-23 昆山市贝尔儿童用品有限公司 手把锁定结构
CN102862598B (zh) * 2012-09-29 2015-07-0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幼儿推车
CN103921822B (zh) * 2013-01-11 2015-12-30 安徽省舒城三乐童车有限责任公司 一种婴幼儿推车的单手收车装置
CN203268105U (zh) * 2013-04-08 2013-11-06 英属维京群岛商贯新企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骨架的改进结构
CN104442979B (zh) * 2013-09-24 2017-06-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推车
CN103738381B (zh) * 2013-12-31 2016-10-19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儿童推车
US9517787B2 (en) 2014-08-14 2016-12-13 Baby Jogger Llc Baby stroller
CN104800028A (zh) * 2015-05-06 2015-07-29 上海电机学院 一种家居护理椅
CN104986211B (zh) * 2015-07-09 2017-10-31 罗家华 儿童推车
CN109689473A (zh) 2016-07-27 2019-04-26 考可拉夫特公司 可折叠童车和相关方法
CN109715473B (zh) 2016-07-27 2022-03-04 考可拉夫特公司 具有可移除座椅的童车和相关方法
US10994763B2 (en) 2016-07-27 2021-05-04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with removeable seats and related methods
US11052934B2 (en) 2017-07-27 2021-07-06 Kolcraft Enterprises, Inc. Foldable strollers and related methods
CN109436075B (zh) * 2018-12-21 2024-01-26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的踏脚延伸自动收合机构
CN110550082B (zh) * 2019-09-12 2024-06-04 上海萌大圣母婴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双向婴儿推车
KR102299925B1 (ko) * 2020-05-18 2021-09-09 주식회사 파파야나인 접철구조를 개선시킨 유모차
NL2027160B1 (en) * 2020-12-18 2022-07-22 Royalty Bugaboo Gmbh Foldable stroller, foldable bassinet, foldable seat, stroller and stroller and luggage system
CN112519863A (zh) * 2020-12-22 2021-03-19 嘉善益恒机械科技股份有限公司 滑动折叠式儿童推车
CN112874614A (zh) * 2021-02-04 2021-06-01 安徽小龙仔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折叠功能的儿童童车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681490A (en) * 1950-06-30 1952-10-22 Tan Sad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invalid and like wheeled chairs
US3836164A (en) * 1971-12-23 1974-09-17 Nintendo Co Ltd Collapsible carrier
IT1040082B (it) * 1975-07-25 1979-12-20 Perego Pines Spa Passeggino per bambini pieghevo le in larghezza ed accorcciabile in altezza per un comodo trasporto sul braccio a gusa di ombrello
MX145943A (es) * 1976-05-26 1982-04-23 Ramon Jane Cabagnero Carriola plegable mejorada
US4335893A (en) * 1979-09-28 1982-06-22 California Strolee, Inc. Foldable infant carrier
JPS5832064B2 (ja) * 1980-01-30 1983-07-11 葛西株式会社 乳母車
CH657985A5 (de) * 1982-10-20 1986-10-15 Rainer Kueschall C O Paratec A Faltbarer rollstuhl.
JPS5984664A (ja) * 1982-11-06 1984-05-16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開状態ロツク機構
DE3407241A1 (de) * 1984-02-28 1985-08-29 PEG-Perego-Pines Deutschland GmbH, 8060 Dachau Zusammenlegbarer kinderwagen
JPS60199763A (ja) * 1984-03-23 1985-10-09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の握り棒のロツク機構
DE8907022U1 (de) * 1989-06-08 1990-10-04 Mangold, Hermann, 7959 Kirchberg Zusammenklappbares Buggy-Gestell
JP2794123B2 (ja) * 1989-09-06 1998-09-03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
US5472224A (en) * 1992-04-04 1995-12-05 Jane, S.A. Foldable baby carriage frame and cradle seat couplable to same
JP2542450Y2 (ja) * 1992-10-27 1997-07-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に設ける開閉操作機構
ATE150399T1 (de) * 1993-01-20 1997-04-15 Mgb Faltbare einheit zum tragen oder transport einer person
JP2542123Y2 (ja) * 1993-09-30 1997-07-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遠隔操作機構
JP3311163B2 (ja) * 1994-09-21 2002-08-05 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乳母車およびその座席のための座板の製造方法
US5622376A (en) * 1995-02-27 1997-04-22 Shamie; Louis Stroller with folding mechanism for compact collapsing arrangement
US5769447A (en) * 1996-04-01 1998-06-23 Huang; Li-Chu Chen Foldable stroller
US5863061A (en) * 1996-10-25 1999-01-26 Ziegler; Scott William Collapsible three wheeled stroller
GB2319227B (en) * 1996-11-11 2000-09-27 Huang Li Chu Chen Foldable mechanisim for a stroller
US6105997A (en) * 1996-11-13 2000-08-22 Convaid Products, Inc. Stroller Arrangement
US5772234A (en) * 1997-09-23 1998-06-30 Luo; Chung-I Configuring frame of walk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395174A (zh) * 2012-05-29 2015-03-04 康贝株式会社 婴儿车及座椅单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375213B1 (en) 2002-04-23
CN1211240C (zh) 2005-07-20
KR100697888B1 (ko) 2007-03-21
MY125836A (en) 2006-08-30
EP1086876A3 (en) 2002-10-09
TW593026B (en) 2004-06-21
EP1086876A2 (en) 2001-03-28
CN1289693A (zh) 2001-04-04
SG95616A1 (en) 2003-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7888B1 (ko) 스트롤러
KR100808995B1 (ko) 절첩식 유모차
US10994764B2 (en) Foldable cart frame
US5987673A (en) Undercarriage extension
EP1698314B1 (en) Stretcher
EP2000388A1 (en) Stroller with a handle that is telescopic and rotational movable
US7523954B2 (en) Collapsible stroller with foot rest
JPH0717633Y2 (ja) 手押し車等の折り畳みロック機構
EP2138375A1 (en) Stroller
WO1999062753A2 (en) Collapsible baby stroller and releasable locking and folding mechanism therefor
KR20120100713A (ko) 절첩식 유모차
CN114056411A (zh) 双人童车车架及其车架收合机构
CN211196327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JP4393637B2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3566992B2 (ja) 歩行補助器
CN100425491C (zh) 轻便婴儿车
CN212289998U (zh) 婴儿车车架组件及婴儿车
TWM584760U (zh) 收折式推車車架
CN216580664U (zh) 车架及婴儿推车
CN213619925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JP2001088711A (ja) フットレストとこれを備え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CN220682467U (zh) 一种可联动折叠的童车
CN210760936U (zh) 一种用于婴儿车的折叠结构
CN114056415A (zh) 婴儿车车架组件及婴儿车
JP6780219B2 (ja) 手押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