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08995B1 - 절첩식 유모차 - Google Patents

절첩식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08995B1
KR100808995B1 KR1020020005308A KR20020005308A KR100808995B1 KR 100808995 B1 KR100808995 B1 KR 100808995B1 KR 1020020005308 A KR1020020005308 A KR 1020020005308A KR 20020005308 A KR20020005308 A KR 20020005308A KR 100808995 B1 KR100808995 B1 KR 100808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unlocking
hand
legs
front leg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53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64183A (ko
Inventor
스즈키요시유키
Original Assignee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6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6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08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08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02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foldable widthwi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는 좌우의 앞다리(前脚)(2) 및 좌우의 뒷다리(後脚)(4)가 각각 좌우로 확장 또는 수축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발판(24)은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되어 위쪽을 향해서만 반으로 접을 수 있게 한 2개의 지지 암(61, 63)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그 지지 암(61, 63)이 반으로 접히지 않도록 각 지지 암(61, 63)을 수평 상태로 록킹하는 이동 블록(69)(고정 클로(70))이 형성되어 있다. 이동 블록(69)에 한쪽 끝이 연결된 릴리즈 와이어(75)는 앞다리(2) 내에 삽입되고, 그 릴리즈 와이어(75)의 다른쪽 끝이 앞다리(2) 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풀리(76)에 고착되어 있다. 앞다리(2)에는 핸드 프레임(5a)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와 대향하는 후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통로(77)가 뚫어 마련되어 있고, 풀리(76)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된 조작 레버(76a)가 개구(77)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핸들, 핸드 프레임, 가드 서클, 링크, 발판

Description

절첩식 유모차{FOLDING STROLLER}
도 1은 본 발명의 1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유모차의 개략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의 측면도,
도 3a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가드 서클의 부착 부분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 측면도이고, 도 3b는 도 3a의 ⅢB부의 확대도,
도 4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가드 서클의 부착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5a 및 도 5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핸들의 상부의 상세를 나타내는 확대도(도 5a는 록킹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며, 도 5b는 록킹 해제시에 있어서의 각 부재의 위치 관계를 나타낸다. ),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핸들의 상부에 위치하는 연결부의 내부의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핸드 프레임에서의 핸드 프레임용 록킹 기구의 동작 상황을 나타내는 단면도(도 7a는 록킹시의 상황을 나타내며, 도 7b는 록킹 해제시의 상황을 나타낸다. ),
도 8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발판의 상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9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발판의 록킹 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정단면도,
도 10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에 있어서의 발판의 록킹 기구를 록킹 또는 록킹 해제하기 위한 조작 기구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 측면도,
도 11은 도 10에 나타내는 조작 기구의 록킹 해제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도 8에 나타내는 발판이 반으로 접힌 상태를 나타내는 정단면도,
도 13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절첩식 유모차의 접힌(folding)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앞바퀴, 2 앞다리, 3 뒷바퀴, 4 뒷다리, 5 핸들, 5a 핸드 프레임, 6 상부 홀더, 7 하부 홀더, 11 가드 서클, 14 링크, 18 제 1 개폐 링크, 23 제 2 개폐 링크, 24 발판, 26 연결부, 30 홀더 그립, 34 록킹 레버, 35 록킹 해제 레버, 38 릴리즈 와이어, 40 고정 클로, 45 록킹 핀 돌출·해제 기구, 46 고정 블록, 47 슬라이딩 블록, 49 록킹 핀, 53, 54 록킹홀, 61, 62 지지 암, (69) 이동 블록, 70 고정 클로, 75 릴리즈 와이어, 76 풀리, 76a 캠 리드면
본 발명은 비사용시에 있어서 컴팩트하게 접을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아를 산책이나 쇼핑 등을 위해 옥외로 데리고 나가는 경우에 사용하는 유모차에 있어서는, 필요에 따라서 접을 수 있고, 수납이나 휴대 등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 여러 가지 제안되어, 실용화되고 있다.
이러한 종류의 절첩식 유모차는 파이프 프레임식의 접는 의자와 유사한 원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캐스터가 부착된 프레임을 전후 방향으로 폴딩 및 전개가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한, 그 프레임을 좌우 방향으로도 폴딩 및 전개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폭치수도 줄이고, 이 줄인 상태로 프레임의 상단의 핸들이 L자형상으로 되도록 하여, 이 부분을 손잡이로 해서 전차나 버스 등의 승강시에 팔을 걸어 운반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절첩식 유모차에서는 사용시에 있어서 어른이 프레임 상단의 핸들에 손을 걸어 누르기 쉬운 높이를 기본 치수로 하고 있고, 접은 상태에서도 그 높이 치수(길이 치수)는 기본적으로 변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절첩식 유모차를 접은 상태로 운반할 때에도 캐스터가 지면(地面)에 닿은 상태로 되기 쉬워, 운반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러한 상태를 피하기 위해서는, 절첩식 유모차를 잡는 팔을 높이 올린 상태로 운반하지 않으면 안되어, 장시간의 반송성이 결여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런데, 예를 들면, 특허 제257227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핸 들을 반으로 접는 형태로서, 높이 치수(길이 치수)를 줄이도록 한 것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절첩식 유모차에서는 핸들상에 설치된 록킹 버튼을 해제하고, 핸들을 절곡시키고, 다음에, 가드 등을 절곡시키는 등의 폴딩 조작이 필요로 되어, 그 조작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폴딩 상태에서는 록킹이 걸리지 않아 전개상태에 있어서도 폴딩 록킹 기구가 자동적으로 걸리는 일이 없기 때문에, 조작을 잊어버리는 것 등에 의해 뜻하지 않게 반(半)전개 상태로 되는 일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 구조가 복잡한 것에 비해서는 폴딩시에 있어서 프레임이 앞쪽으로 く자형으로 돌출되어 버리기 때문에, 전후 방향의 축소라는 관점에서는 바람직한 구조가 아니어, 실용성이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상황에 있어서, 본 발명자는 폴딩시에 조작이 간단한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프레임을 축소할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안하고 있다. 이러한 절첩식 유모차는 구조가 간단하고, 접기 쉽고, 또한 폴딩시 및 전개시의 조작에 연동해서 자동적으로 프레임의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실행할 수 있고, 또 높이 치수뿐만 아니라 그 전후 방향의 치수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절첩식 유모차에 관련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폴딩시 및 전개시의 조작에 연동해서 발판의 록킹 및 록킹 해제를 확실하고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단에 앞바퀴가 설치된 좌우의 앞다리와,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하단에 뒷바퀴가 설치된 좌우의 뒷다리와, 상기 좌우의 앞다리에 지지된 핸들과,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의 하부에 그의 양끝이 연결된 발판으로서 중앙부에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지지 암과, 상기 각 지지 암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각 지지 암을 록킹하는 록킹 기구를 갖는 발판과, 상기 좌우의 앞다리 중 적어도 한쪽의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록킹 해제용 부재와,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내부에 삽입된 릴리즈 와이어로서, 그의 한쪽 끝이 상기 발판의 상기 록킹 기구에 연결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이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에 연결된 릴리즈 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는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앞다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조작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는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선의 주위로 회동하는 풀리로서, 상기 풀리는 상기 조작부로서의 조작 레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핸들은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된 좌우의 핸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 중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를 따라 평행 이동하는 핸드 프레임의 하단과 맞닿도록 상기 앞다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를 따라 상기 핸드 프레임이 아래쪽으로 평행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가 록킹 해제 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의 각각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의 홀더와,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의 홀더의 각각과 협동하여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을 상기 좌우의 앞다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 하강 위치 또는 상기 좌우의 앞다리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 상승위치에서 록킹하는 핸드 프레임용 록킹 기구를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좌우의 앞다리 및 상기 좌우의 뒷다리는 좌우로 확장 또는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발판이 반으로 접히지 않도록 록킹하는 록킹 기구에 그의 한쪽 끝이 연결된 릴리즈 와이어를 적어도 한쪽의 앞다리의 내부에 삽입함과 동시에, 그 릴리즈 와이어의 다른쪽 끝을 상기 한쪽의 앞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록킹 해제용 부재에 연결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폴딩시 및 전개시의 조작에 연동하여 발판의 록킹 및 록킹 해제를 확실하고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다. 특히, 핸드 프레임의 이동에 수반하여 록킹 해제용 부재를 록킹 해제 방향으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폴딩시 또는 전개시에는 핸드 프레임의 간단한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발판의 록킹 해제 또는 록킹을 행할 수 있고, 또한 발판의 록킹 해제시에는 록킹 해제용 부재가 핸드 프레임에 의해서 록킹 해제 작동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되게 되므로, 절첩식 유모차의 폴딩 동작이 저해되는 일이 방지된다. 또한, 발판의 록킹 해제를 행하는 릴리즈 와이어가 앞다리내에 삽입되고, 앞다리내에 설치된 록킹 해제용 부재에 연 결되어 있으므로, 릴리즈 와이어가 핸드 프레임을 따라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좋아짐과 동시에, 릴리즈 와이어에 이물이 끼어 록킹 해제 동작이 저해되는 것도 확실하게 방지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절첩식 유모차는 하단에 앞바퀴(1)가 설치된 좌우 2개의 앞다리(2)와, 각 앞다리(2)의 대략 중앙부에 그 상부가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하단에 뒷바퀴(3)가 설치된 좌우 2개의 뒷다리(4)와, 좌우의 앞다리(2)의 상부에 연결된 U자 형상의 핸들(5)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각 앞다리(2)의 하부에는 발판(24)의 양끝이 연결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발판(24)은 도 8 및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을 향해서만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한 중절(中折)식 발판이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앞다리(2) 및 뒷다리(4)에는 천으로 된 유아 시트나 메시 소재로 이루어지는 보조 주머니 등이 부착되지만, 여기에서는 전체의 구성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상술한 유아 시트나 보조 주머니 등의 도시는 생략하고 있다.
여기서, 앞다리(2), 뒷다리(4) 및 핸들(5)은 각각 경량 알루미늄제 중공 파이프 또는 강제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앞다리(2)는 직선 형상 또는 하단에서 구부러져 형성되고, 뒷다리(4)는 일부가 만곡형상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5)은 앞다리(2)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의 좌우 2개의 핸드 프레임(5a)을 갖고 있다. 앞다리(2) 및 뒷다리(4)의 하단에는 각각 앞바퀴(1) 및 뒷바퀴(3)가 부착되어 있다. 앞바퀴(1) 및 뒷바퀴(3)는 모두 발로 밟는 것에 의해 제동이 걸리는 스토퍼가 부착된 더블 캐스터 등으로 이루어지며, 그 상부 부착 단부가 앞다리(2) 및 뒷다리(4)를 구성하는 파이프의 단부에 끼워 넣어진 상태로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도 1, 도 2,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앞다리(2)의 상부 및 대략 중앙부에는 각각 상부 홀더(6) 및 하부 홀더(7)가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중, 상부 홀더(6)에는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6a, 6b)이 전후의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고, 앞쪽의 관통구멍(6a)에는 앞다리(2)의 상단이 삽입 고정되고, 뒤쪽의 관통구멍(6b)에는 앞다리(2)의 뒤쪽으로 앞다리(2)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핸드 프레임(5a)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한, 하부 홀더(7)는 합성 수지제의 사이드 가드(7a)와, 사이드 가드(7a)의 내측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삼각형 형상의 홀더 본체(7b)를 갖고, 홀더 본체(7b)에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는 2개의 관통구멍(8a, 8b)이 전후의 위치 관계로 형성되어 있다. 앞쪽의 관통구멍(8a)에는 앞다리(2)가 삽입되어, 나사(9a)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뒤쪽의 관통구멍(8b)에는 핸드 프레임(5a)이 슬라이딩 가능하고 또한 회동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또, 하부 홀더(7)의 후방부에는 사이드 가드(7a)를 관통하는 지지 핀(9b)에 의해 뒷다리(4)의 선단부측이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되어 있다. 또, 뒷다리(4)의 선단은 앞다리(2)의 앞쪽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보호용 고무 캡(10)이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 상부 홀더(6)의 외주에는 가드 서클(11)의 기부(基部)(11a)가 끼워 맞춰져 있고, 앞다리(2)의 외주를 포위한 상태로 각각 나사(12)에 의해 모두 체결 고정되어 있다. 가드 서클(11)은 각 앞다리(2)에 고정된 기부(11a)와, 기부(11a)의 하단부에 지지 핀(13)을 거쳐서 경동(傾動) 가능하게 접속된 팔걸이(11b)와, 팔걸이(11b)의 선단부에 끼워 맞춰져 가드를 구성하는 선단 환상 부착부(11c)와, 선단 환상 부착부(11c)의 선단부에 걸어맞춰진 선단 환상부(11d)로 구성되어 있다. 또, 선단 환상부(11d)는 고무나 탄성 플라스틱 등의 폴딩이 가능한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가드 서클(11)의 팔걸이(11b)와 뒷다리(4)의 선단부는 링크(14)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또, 링크(14)의 하단에는 고무다리(15)가 끼워 맞춰지고, 도 1 및 도 3a에 나타내는 전개 상태에서는 이 고무다리(15)가 앞다리(2)와 맞닿아 팔걸이(11b)에 가해지는 하중이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가드 서클(11)의 선단 환상부(11d)는 엘라스토머 소재만으로 형성하는 것 이외에, 각종 강성부재(와이어나 스텐레스 판재, 코일 스프링, 판 스프링 등)를 단면 중간부에 넣고, 그 외피를 엘라스토머 소재로 피복하도록 해도 좋다. 또, 선단 환상부(11d)를 엘라스토머 소재만으로 형성하는 경우에는, 그 두께를 두껍게 하여 강성을 부여하고, 선단 환상 부착부(11c)에 핀 등에 의해 직접 고정시키도록 한다. 한편, 선단 환상부(11d)의 단면 중간부에 강성부재를 넣는 경우에는 그 강성부재를 선단 환상 부착부(11c)에 핀 등에 의해 고정시키도록 하면 좋다.
물론, 몸집이 커진 유아 등이 사용하는 경우에는, 가드 서클(11)의 선단 환상부(11d)는 없어도 좋으며, 그 때는 선단 환상부(11d)와 함께 선단 환상 부착부(11c)를 팔걸이(11b)로부터 떼어내고, 대신에 팔걸이(11b)의 선단에 캡 등을 씌워 두도록 하면 좋다.
여기서, 좌우의 앞다리(2)에 부착된 각 상부 홀더(6)의 후단부에는 U자형의 브래킷(16)이 나사(9c)에 의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브래킷(16)에는 제 1 개폐 링크(18)의 상단이 지점 핀(9d)을 거쳐서 요동 가능하게 피벗 접속되어 있다. 또, 제 1 개폐 링크(18)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 교차부가 핀(17)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 1 개폐 링크(18)의 하단부는 뒷다리(4)에 나사 고정된 브래킷(19)에 마찬가지로 지점 핀(도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요동 가능하게 피벗 접속되어 있다.
한편, 하부 홀더(7)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는 좌우의 핸드 프레임(5a)의 선단에는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목각 인형(일본 동북 지방 특산의 머리가 둥근 목각 인형)의 동체와 같은 동체부(20)가 각각 끼워 넣어져 나사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동체부(20)에는 축방향으로 가동하지 않고 둘레 방향으로 회전하는 헤드부를 구성하는 회동체(20a)가 설치되어 있고, 그 회동체(20a)에는 반경 방향의 돌출부(20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20b)의 선단에는 U자형 부품(21)의 바닥부가 둘레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나사 고정되고, U자형 부품(21)의 양 개방 선단부에는 지점 핀(22)을 거쳐서 제 2 개폐 링크(23)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이 제 2 개폐 링크(23)도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자 형상으로 교차하는 2개의 링크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 교차부가 핀(23a)에 의해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 2 개폐 링크(23)의 한쪽 끝은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핸드 프레임(5a)의 선단에 설치된 U자형 부품(21)에 연결되고, 다른쪽 끝은 좌우의 뒷다리(4)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굴곡 부분에 설치된 브래킷(24)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여기서, 핸들(5)은 앞다리(2)를 따라 평행하게 연장하는 직선 형상의 좌우 2개의 핸드 프레임(5a)을 갖고 있지만, 이 핸드 프레임(5a)의 상부는 역 L자 형상으로 굴곡되어 수평부(5b)와 이어져 있다(도 5a 및 도 5b 참조).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의 수평부(5b)는 각각 관절부(25)를 거쳐서 중앙의 연결부(26)에 연결되어 있고, 이들 부품에 의해서 핸드용 그립부가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핸들(5)의 수평부(5b)는 관절부(25)를 거쳐서 중앙의 연결부(26)와 직선 형상으로 되는 전개 상태 또는 그 관절부(25)를 기점으로 하여 중앙의 연결부(26)에 대해서 약 90˚ 회동한 폴딩 상태를 취할 수 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좌우의 핸드 프레임(5a)은 상부 홀더(6) 및 하부 홀더(7)에 대해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앞다리(2)를 따라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고, 절첩식 유모차의 높이 치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들(5)의 각 수평부(5b)에는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홀더 그립(30)이 끼워 맞춰져 있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직부를 이루는 핸드 프레임(5a)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한, 관절부(25)의 외주도 엘라스토머 소재로 이루어지는 커버(31)로 덮여져 있다. 또, 관절부(25)의 구조에 대해서는 통상의 절첩식 유모차와 동일 또는 유사한 기구이므로, 구조의 설명은 생략한다.
연결부(26)는 파지(grip)하기 쉬운 형상으로 형성된 합성 수지제의 하우징(32)을 갖고, 그 내부에 록킹 및 록킹 해제를 위한 조작 기구가 조립되고, 그의 상부에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하는 록킹 부재(34)가 배치되고, 하부의 대략 중앙부에 트리거식 록킹 해제 레버(35)가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하우징(32)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매의 플라스틱 성형 부품을 서로 나사 고정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그의 내부에 조작 기구의 각 부재를 수납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을 갖추고 있다. 하우징(32)의 내부의 중앙부에는 하우징(32)과 일체로 성형된 지축(支軸)(36)이 설치되고, 그 지축(36)에 록킹 해제 레버(35)의 중심부가 회동 가능하게 피벗 접속되어 있다. 록킹 해제 레버(35)는 그 압압부(35a, 35b)가 하우징(32)에 형성된 개구부(32a)로부터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사용자가 하우징(32)의 외부에서 압압부(35a) 또는 압압부(35b)를 압압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록킹 해제 레버(35)에는 그의 중심에 대하여 압압부(35a, 35b)와 반대측에 작용부(35c)가 형성되어 있다.
록킹 해제 레버(35)에는 이것과 일체로 원반(37)이 록킹 해제 레버(35)와 동심형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원반(37)의 원주 상의 복수 개소에 릴리즈 와이어 걸어 멈춤부(37a, 37b)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 릴리즈 와이어 걸어 멈춤부(37a, 37b)에 각각 릴리즈 와이어(38)의 한쪽 끝이 고정되고, 도 6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록킹 해제 레버(35)의 압압부(35a)가 압압되고, 록킹 해제 레버(35)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면 각각 릴리즈 와이어(38)가 잡아당겨지도록 작동된다.
하우징(32)에는 하우징(32)과 동일한 재료의 합성 수지에 의해 사출 성형된 록킹 부재(34)가 도 5a 및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끼워 맞춰져 있다. 도 5a는 하우징(32) 상에서 록킹 부재(34)가 가장 우측에 위치해 있고, 이 위치에서 록킹 해제 레버(35)는 회전할 수 없는 록킹 상태(「LOCK」)에 있다. 이에 반해, 도 5b는 하우징(32) 상을 록킹 부재(34)가 도 5a에 나타내는 위치에서 약간 좌측으로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위치에서 록킹 해제 레버(35)는 회전 가능하며, 따라서 록킹 해제 상태(「UNLOCK」)에 있다.
록킹 부재(34)에는 록킹 부재(34)의 두께가 얇은 중간부(39)를 거쳐서 슬라이딩 방향의 선단에 고정 클로(40)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클로(40)는 슬라이딩 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중간부(39)의 두께에 비해서 상당히 두꺼워진 형상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록킹 부재(34)는 인장 스프링(41)에 의해 도 5a에 나타내는 록킹 상태의 위치측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한편, 하우징(32)측에는 두께가 두꺼운 부분인 고정 클로(40)에 대해서 록킹 해제 레버(35)와 반대측에 고정 단부(42)가 두껍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인 고정 클로(40)의 슬라이딩 방향(도 6의 좌우 방향)의 연장선상에는 하우징(32)의 반대 방향에서 고정 클로(40) 부근까지 연장부(43)가 연장해서 마련되어 있고, 이 연장부(43)의 선단 가까이에 고정 클로(40)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홈(43a)이 형성되어 있다.
또, 중간부(39)와 고정 클로(4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록킹 부재(34)와 일체 로 성형하지 않아도 되고, 예를 들면, 강제의 판 스프링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이라 불리고 있는 폴리아미드 수지나 폴리아세탈 수지 등으로 성형한 것을 록킹 부재(34)의 선단에 부착해도 좋다. 이 경우에는, 중간부(39) 및 고정 클로(40)의 탄성력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고정 단부(42)를 불필요하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각 핸드 프레임(5a)에는 이 핸드 프레임(5a)을 상부 홀더(6) 또는 하부 홀더(7)에 고정시키기 위한 핸드 프레임용 록킹 기구(45)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홀더(6) 또는 하부 홀더(7)와 협동하여, 각 핸드 프레임(5a)을 각 앞다리(2)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 하강 위치(폴딩 상태의 위치) 또는 각 앞다리(2)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 상승 위치(전개 상태의 위치)에서 록킹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핸드 프레임용 록킹 기구(45)는 도 7a 및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 프레임(5a)의 내경에 따른 원기둥형 블록을 2개로 분할한 형상의 고정 블록(46) 및 슬라이딩 블록(47)을 갖고 있다. 고정 블록(46)은 핸드 프레임(5a) 내에 고정되어 있다. 한편, 슬라이딩 블록(47)은 핸드 프레임(5a)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고정 블록(46)의 하부측에 형성된 단부(46a)에 의해서 그 하강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또, 고정 블록(46)의 단부(46a)의 근방에는 슬라이딩 블록(47)의 슬라이딩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향하여, 핸드 프레임(5a)에 개구된 구멍(48)에 대해서 돌출 및 퇴피되는 록킹 핀(49)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고정 블록(46) 및 슬라이딩 블록(47)의 대향면에는 핸드 프레임(5a)의 축선방향으로 연장하는 오목 홈(46b, 47b)이 형성되어 있고, 이들 오목 홈(46b, 47b)에 의해서 1개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딩 블록(47)의 오목 홈(47b)의 하단부에는 릴리즈 와이어(38)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고, 또 이들 오목 홈(46b, 47b)에 의해서 형성된 구멍내에는 압축 스프링(50)이 삽입되어 있고, 이 압축 스프링(50)에 의해 슬라이딩 블록(47)이 고정 블록(46)의 단부(46a)측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슬라이딩 블록(47)의 하부측에는 그 이동 스트로크(행정)분만큼 록킹 핀(49)의 선단부의 돌출을 허용하는 긴 구멍(51)이 개구되어 있고, 그 긴 구멍(51)의 배면측에는 구멍(48)에 대해서 경사지는 경사면(47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록킹 핀(49)의 뒤쪽 부분에는 슬라이딩 블록(47)의 경사면(47c)에 걸어맞춰지는 경사형상의 슬라이딩면(49a)을 갖는 플랜지부(49b)가 형성되어 있다. 또, 록킹 핀(49)은 고정 블록(46)의 단부(46a)의 상부에 개구되어 핸드 프레임(5a)의 긴 방향과 직교하는 구멍(46c) 내에 삽입된 압축 용수철(52)에 의해, 핸드 프레임(5a)에 개구된 구멍(48)으로부터 돌출방향으로 항상 가압되고 있다.
그러나, 좌우의 핸드 프레임(5a)을 연결하는 연결부(26)에 있어서의 록킹 부재(34)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상태의 위치에 있을 때에는, 두께가 두꺼운 고정부(40)와 고정 단부(42) 사이에 가동 공간이 없기 때문에 록킹 해제 레버(35)의 작용부(35c)의 회동이 저지되고 있어, 압압부(35a)를 시계 방향으로 압압할 수는 없다.
그래서,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록킹 부재(34)를 스프링(41)의 스프링압에 대항해서 해제 상태의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시키면, 고정 클로(40)의 선단이 연장부(43)와 맞닿아 이것을 타고 오른다. 또, 록킹 부재(34)를 스프링(41)과 대항해서 록킹 해제 상태의 위치를 향하여 슬라이딩시키면, 고정 클로(40)는 연장부(43)를 타고 오른 후, 연장부(43)의 선단 가까이에 형성된 걸어맞춤홈(43a)에 걸어맞춰진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작용부(35c)와 대향하고 있는 것은 이미 두께가 두꺼운 고정 클로(40)가 아니고 록킹 부재(34)의 두께가 얇은 중간부(39)이다. 따라서, 록킹 해제 레버(35)의 작용부(35c)와 중간부(39) 사이에는 충분한 가동 공간이 형성되어 있어, 압압부(35a)를 시계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압압부(35a)를 시계 방향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록킹 해제 레버(35)와 일체의 원반(37)이 회동하여 좌우의 릴리즈 와이어(38)가 끌어당겨진다.
이 때, 록킹 해제 레버(35)의 압압부(35a)의 시계 방향으로의 압압에 의해 작용부(35c)가 이윽고 중간부(39)와 맞닿고, 또 압압부(35a)의 시계 방향으로의 압압에 의해 작용부(35c)가 중간부(39)를 들어올리므로, 이것과 일체의 고정 클로(40)도 걸어맞춤홈(43a)으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연장부(43)의 높이보다 높게 들어올려지면, 곧 스프링(41)에 의해 록킹 부재(34)는 화살표 방향(도 6 참조)으로 되돌려 보내지고, 고정 클로(40)는 연장부(43)를 넘어간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는 작용부(35c)가 고정 클로(40)의 복귀를 방해하고 있다.
그러나, 록킹 해제 레버(35)가 도 6에 나타내는 록킹 상태의 위치에 있고, 릴리즈 와이어(38)가 인장 작용을 받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도 7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슬라이딩 블록(47)은 압축 스프링(50)에 의해서 고정 블록(46)의 단부(46a)측으로 가압되고 있고, 경사면(47c)이 하강 위치에 있고, 이 결과, 록킹 핀(49)의 선단부가 구멍(48)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 상부 홀더(6)에 형성된 록킹홀(53) 또는 하부 홀더(7)에 형성된 록킹홀(54)에 걸어맞춰지고, 핸드 프레임(5a)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고 있다.
그래서, 상술한 바와 같이, 록킹 해제 레버(35)를 시계 방향으로 압압하면, 원반(37)이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릴리즈 와이어(38)가 끌어당겨진다. 이와 같이 해서 릴리즈 와이어(38)가 끌어당겨지면, 도 7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압축 스프링(50)에 대항해서 슬라이딩 블록(47)이 상승되고, 그 결과, 슬라이딩 블록(47)의 경사면(47c)과 록킹 핀(49)의 슬라이딩면(49a)의 걸어맞춤에 의해서 록킹 핀(49)이 후퇴하고, 그 선단이나 상부 홀더(6)에 형성된 록킹홀(53) 또는 하부 홀더(7)에 형성된 록킹홀(54)으로부터 빼내어져, 핸드 프레임(5a) 내로 몰입한다. 따라서, 핸드 프레임(5a)과 상부 홀더(6) 또는 하부 홀더(7)의 걸어맞춤이 해제되고, 상부 홀더(6) 및 하부 홀더(7)에 대해서 핸드 프레임(5a)의 슬라이딩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부 홀더(6)의 록킹홀(53)은 상부 홀더(6)의 뒤쪽벽에 전후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하부 홀더(7)의 록킹홀(54)은 하부 홀더(7)의 측벽에 좌우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첩식 유모차가 사용 상태 즉 전개 상태로서 핸드 프레임(5a)이 상승 위치에 있을 때에는, 핸들(5)의 수평부(5b)와 연결부(26)가 일직선상에 있고, 록킹 핀(49)이 상부 홀더(6)의 록킹홀(53)에 걸어맞춰지고, 핸드 프레임(5a)이 상승한 전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그래서, 이 상태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록킹 해제 레버(35)를 조작해서 릴리즈 와이어(38)를 끌어당기고, 록킹 핀(49)을 상부 홀더(6)의 록킹홀(53)으로부터 빼내어 록킹 해제를 실행하고, 핸드 프레임(5a)을 아래쪽으로 슬라이딩시켜 핸드 프레임용 록킹 기구(45)가 하부 홀더(7)와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시키는 동시에, 핸들(5)의 수평부(5b)를 관절부(25)를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시키고, 압압부(35b)를 압압하여 록킹 해제 레버(35)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시킴으로써 릴리즈 와이어(38)의 끌어당김을 중지하면, 록킹 핀(49)의 선단이 하부 홀더(7)의 록킹홀(54)에 걸어맞춰지고, 핸드 프레임(5a)이 하강 위치에 유지된다. 이것에 의해, 절첩식 유모차는 비사용 상태 즉 폴딩 상태로 된다. 또, 이 폴딩 상태에서 전개 상태로 하는 경우에는 이 반대의 조작을 행하면 좋다.
이상과 같이 해서, 핸드 프레임(5a)의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의 슬라이딩 조작 및 회동 조작에 의해, 상부 홀더(6)의 록킹홀(53) 또는 하부 홀더(7)의 록킹홀(54)에 록킹 핀(49)이 일치하면, 록킹 핀(49)은 스프링압에 의해 자동적으로 돌출되어 록킹홀(53) 또는 록킹홀(54)의 위치에 고정되므로, 한 번 록킹 해제의 조작을 실행하면, 전개 위치에서 폴딩 위치로 되는 경우 및 그 반대의 경우에도, 어느 한쪽의 상태로 자동적으로 록킹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8은 발판(24)의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판(24)은 합성 수지나 알루미늄 다이캐스트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쪽의 지지 암(61)과, 지지 암(61)의 단부에 지점 핀(62)을 거쳐서 피벗 접속된 다른쪽의 지지 암(63)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한쪽의 지지 암(61)의 지점 핀(62) 측의 단부는 지점 핀(62)을 넘어서 다른쪽의 지지 암(63)을 덮도록 연장해 있고, 이 부분에 대략 타원형의 스텝 플레이트(60)가 설치되어 있다. 또, 한쪽의 지지 암(61)의 지점 핀(62)측의 단부가 다른쪽의 지지 암(63)을 덮도록 연장해 있기 때문에, 지지 암(61, 63)은 지점 핀(62)을 중심으로 하여 위쪽을 향해서만 반으로 접을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각 지지 암(61, 63)의 지점 핀(62)과 반대측의 단부에는 브래킷(64, 65)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앞다리(2)의 하부에 고정된 돌기부(66, 67)에 요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한쪽의 지지 암(61)의 내부에는 코일 스프링(68)에 의해 다른쪽의 지지 암(63) 측으로 접근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이동 블록(69)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이동 블록(69)에는 지지 암(63)측으로 돌출된 고정 클로(70)가 설치되어 있다. 고정 클로(70)는 지지 암(63)의 상면과 지지 암(61)의 하면의 간극(틈) 내에 삽입되어, 각 지지 암(61, 63)이 반으로 접히지 않도록 각 지지 암(61, 63)을 수평 상태로 록킹하는 록킹 기구로서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이동 블록(69)의 하면측에는 핀(71)을 거쳐서 요동 플레이트(72)가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요동 플레이트(72)의 한쪽 끝 상부에는 이동 블록(69)의 한쪽 단면과 맞닿아 이동 블록(69)의 이동을 규제하는 록킹 클로(73)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동 블록(69)의 고정 클로(70)측에는 지지 암(61)과 요동 플레이트(72) 사이에 지지 암(61)과 요동 플레이트(72)를 항상 이간시키는 힘을 작용시키는 제 2 코일 스프링(74)이 삽입되어 있다.
이동 블록(69)의 고정 클로(70)와 반대측에는 릴리즈 와이어(75)의 한쪽 끝이 연결되어 있다. 릴리즈 와이어(75)는 한쪽의 앞다리(2)에 뚫어 마련된 구멍(도 시하지 않음)을 거쳐서 앞다리(2) 내로 삽입되고, 그 선단이 앞다리(2) 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된 풀리(록킹 해제용 부재)(76)에 고착되어 있다. 앞다리(2)에는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핸드 프레임(5a)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통로와 대향하는 후면측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하는 개구(77)가 뚫어 마련되어 있고, 풀리(76)로부터 일체적으로 돌출된 조작 레버(76a)가 개구(77)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그러나, 절첩식 유모차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용 가능한 전개 상태에 있는 때에는 핸드 프레임(5a)이 위쪽으로 끌어올려져 있고,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작 레버(76a)가 앞다리(2)의 개구(77)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따라서, 릴리즈 와이어(75)가 느슨해져 있고, 이동 블록(69)이 다른쪽의 지지 암(63) 측으로 이동하여 고정 클로(70)가 지지 암(63)의 회동단 상부와 걸어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발판(24)이 반으로 접히는 것이 록킹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핸들(5)의 연결부(26)에 설치된 록킹 해제 레버(35)를 조작하여 록킹 핀(49)의 선단부를 상부 홀더(6)의 록킹홀(53)으로부터 퇴피시키고, 핸드 프레임(5a)을 하부로 슬라이딩시키면 도 11에 나타내는 핸드 프레임(5a)에 의해 조작 레버(76a)가 도면에 있어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고, 동시에 풀리(76)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된다. 따라서, 릴리즈 와이어(75)가 위쪽으로 끌어올려지고, 그것에 의해서 이동 블록(69)이 코일 스프링(68)에 대항해서 도 9에 있어서 왼쪽으로 이동되고, 고정 클로(70)와 지지 암(63)의 걸어맞춤이 해제된다.
그래서, 핸들(5)의 수평부(5b)를 관절부(25)를 중심으로 하여 앞쪽으로 회동시키면, 그 동작에 대응하여 제 1 개폐 링크(18) 및 제 2 개폐 링크(23)가 폐쇄방 향으로 수축함과 동시에, 발판(24)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으로 접히고, 좌우의 앞다리(2), 뒷다리(4) 및 핸드 프레임(5a)이 서로 평행 상태를 유지한 채로 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진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록킹 핀(49)의 선단부가 하부 홀더(7)의 록킹홀(54)에 걸어맞춰지고, 이것에 의해, 도 1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첩식 유모차가 폴딩 상태로 되어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절첩식 유모차를 전개하는 경우에는 록킹 해제 레버(35)를 조작하여 록킹 핀(49)의 선단부를 하부 홀더(7)의 록킹홀(54)에서 이탈시킨 후, 핸들(5)의 수평부(5b)를 연결부(26)와 일직선으로 되도록 회동시키면, 그것에 대응하여 제 1 개폐 링크(18) 및 제 2 개폐 링크(23)가 전개 방향으로 열림과 동시에 발판(24)도 일직선 상태로 된다. 그래서, 핸드 프레임(5a)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면, 핸드 프레임(5a)에 의한 조작 레버(76a)의 압압이 해방되고, 풀리(76)가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에서 도 10에 나타내는 상태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릴리즈 와이어(75)가 느슨해지고, 이동 블록(69)이 코일 스프링(68)에 의해 이동되고,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클로(70)가 지지 암(63)에 걸어맞춰져 록킹된다. 그래서, 또 핸드 프레임(5a)을 위쪽으로 끌어올리면, 록킹 핀(49)의 선단부가 상부 홀더(6)의 록킹홀(53)에 걸어맞춰져, 유모차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전개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폴딩시 및 전개시의 조작에 연동해서 발판의 록킹 및 록킹 해제를 확실하고 안전하게 실행할 수 있는 절첩식 유모 차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하단에 앞바퀴가 설치된 좌우의 앞다리와,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에 요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하단에 뒷바퀴가 설치된 좌우의 뒷다리와,
    상기 좌우의 앞다리에 지지된 핸들과,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의 하부에 그의 양끝이 연결된 발판으로서, 중앙부에서 반으로 접을 수 있도록 상기 중앙부에서 서로 연결된 2개의 지지 암과,
    상기 각 지지 암을 수평 상태로 유지하도록 상기 각 지지 암을 록킹하는 록킹 기구를 갖는 발판과,
    상기 좌우의 앞다리 중 적어도 한쪽의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내부에 설치된 록킹 해제용 부재와,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내부에 삽입된 릴리즈 와이어로서, 그의 한쪽 끝이 상기 발판의 상기 록킹 기구에 연결됨과 동시에 다른쪽 끝이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에 연결된 릴리즈 와이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는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외주면에 형성된 개구부로부터 상기 앞다리의 외측으로 돌출하는 조작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는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수평축선의 주위로 회동하는 풀리로서, 상기 풀리는 상기 조작부로서의 조작 레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에 대하여 평행 이동하도록 지지된 좌우의 핸드 프레임을 갖고,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의 상기 조작부는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 중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를 따라 평행 이동하는 핸드 프레임의 하단과 맞닿도록 상기 앞다리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상기 록킹 해제용 앞다리를 따라 상기 핸드 프레임이 아래쪽으로 평행 이동됨에 따라서 상기 록킹 해제용 부재가 록킹 해제 방향으로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앞다리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핸들의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의 각각을 슬라이딩 자유롭게 지지하는 좌우의 홀더와,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의 각각에 설치되고, 상기 좌우의 홀더의 각각과 협동하여 상기 좌우의 핸드 프레임을 상기 좌우의 앞다리를 따라 아래쪽으로 이동한 하강 위치, 또는 상기 좌우의 앞다리를 따라 위쪽으로 이동한 상승위치에서 록킹하는 핸드 프레임용 록킹 기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의 앞다리 및 상기 좌우의 뒷다리는 좌우로 확장 또는 수축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절첩식 유모차.
KR1020020005308A 2001-01-31 2002-01-30 절첩식 유모차 KR1008089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024379 2001-01-31
JP2001024379A JP2002225721A (ja) 2001-01-31 2001-01-31 折畳み式ベビーカ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64183A KR20020064183A (ko) 2002-08-07
KR100808995B1 true KR100808995B1 (ko) 2008-03-05

Family

ID=18889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5308A KR100808995B1 (ko) 2001-01-31 2002-01-30 절첩식 유모차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6464242B2 (ko)
EP (1) EP1228938B1 (ko)
JP (1) JP2002225721A (ko)
KR (1) KR100808995B1 (ko)
CN (1) CN1292949C (ko)
DE (1) DE60200063T2 (ko)
ES (1) ES2210193T3 (ko)
HK (1) HK1049817B (ko)
MY (1) MY122796A (ko)
SG (1) SG98474A1 (ko)
TW (1) TW54441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56B1 (ko) * 2011-08-25 2018-05-25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용 차륜 유지 기구 및 유모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4418A (ja) * 2001-08-17 2003-02-26 Combi Corp 遠隔操作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ベビーカー
JP3967271B2 (ja) * 2003-02-04 2007-08-29 アップリカ育児研究会アップリカ▲葛▼西株式会社 折畳式乳母車
KR100493135B1 (ko) * 2003-05-10 2005-06-02 최재철 물질의 충진/배출 및 다리의 수납/인출이 용이한 저장통
US6877760B2 (en) * 2003-06-09 2005-04-12 Mission Hills Investment Corporation Foldable stroller
TWM257142U (en) * 2003-11-12 2005-02-21 Link Treasure Ltd Frame of stroller
ITMC20040133A1 (it) * 2004-11-08 2005-02-08 Ormesa Srl Passeggino per adulti anziani o disabili dotato di una struttura facilmente compattabile
US7281732B2 (en) * 2004-12-15 2007-10-16 Evenflo Company, Inc. Stroller with tray fold and fold latch mechanisms
US7077420B1 (en) 2005-02-04 2006-07-18 American Recreation Products, Inc. Foldable three-wheeled jogging stroller
JP2007069758A (ja) * 2005-09-07 2007-03-22 Aprica Kassai Inc 折畳式座席運搬車体
NL1030330C2 (nl) * 2005-11-01 2007-05-03 Royalty Bugaboo Gmbh Opvouwbare wagen, zoals een buggy, met fixerend dwarsstangsysteem.
US20090107282A1 (en) * 2005-11-11 2009-04-30 Woodleigh Investments Pty Ltd Handle mechanism and lock
CN201062047Y (zh) * 2007-02-01 2008-05-21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具有连动收合机构的婴儿车
JP5020655B2 (ja) * 2007-02-14 2012-09-05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
US20080217981A1 (en) * 2007-03-05 2008-09-11 Quoc-Thanh Ton-That Leg rest for a stroller
EP2240359B1 (en) * 2008-01-10 2016-11-16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One-hand fold stroller frame
JP5234802B2 (ja) * 2009-04-22 2013-07-10 株式会社リッチェル 折畳み式ベビーカーのロック解除装置、該ロック解除装置を備えた折畳み式ベビーカー
CN102100463B (zh) * 2009-12-18 2014-03-26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幼儿承载装置及具有安全锁的操作机构
US8104788B2 (en) * 2010-03-16 2012-01-31 Dick Cone Industrial Design, Inc. Folding stroller including a footrest
CN201961358U (zh) * 2010-09-08 2011-09-07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一种可收折的婴儿车骨架结构
NL2005363C2 (nl) * 2010-09-16 2012-03-19 Mutsy Bv Inrichtingen voor het ondersteunen van een kind.
FR2969103B1 (fr) * 2010-12-15 2015-07-31 Dorel France Sa Repose-pieds compact pour poussette ou hamac de poussette
JP5963394B2 (ja) * 2011-03-03 2016-08-03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畳式乳母車
JP5953139B2 (ja) * 2012-06-19 2016-07-20 アップリカ・チルドレンズプロダクツ合同会社 折り畳み式乳母車
CN104442979B (zh) * 2013-09-24 2017-06-30 明门香港股份有限公司 婴儿推车
JP6223121B2 (ja) * 2013-10-25 2017-11-01 コンビ株式会社 折り畳み可能な乳母車
CN103600760B (zh) * 2013-11-26 2016-04-20 中山盛加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可折叠童车
GB2529718A (en) * 2014-09-01 2016-03-02 Stroller Tech Ltd Handle assembly for a folding perambulator and a folding perambulator incorporating the same
CN104442983B (zh) * 2014-11-28 2018-08-07 常德益翔实业有限公司 一种快速折叠的童车车架
US9908551B2 (en) * 2015-09-02 2018-03-06 Artsana USA, Inc Travel stroller folding and latch mechanism
CN109131517B (zh) * 2017-06-15 2021-01-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
CN107650994B (zh) * 2017-10-18 2024-04-12 湖北智权专利技术应用开发有限公司 一种婴儿车解锁连杆机构
CN109436075B (zh) * 2018-12-21 2024-01-26 昆山威凯儿童用品有限公司 一种童车的踏脚延伸自动收合机构
US11457743B1 (en) * 2020-06-01 2022-10-04 True Places, Inc. Folding chair with articulated armrests
CN114954609A (zh) * 2021-02-25 2022-08-30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婴儿车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1397A (en) * 1977-06-15 1980-03-04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DE3046339A1 (de) * 1980-12-09 1982-07-22 PEG-Perego-Pines Deutschland GmbH, 8000 München Faltkinderwagen mit zusammenklappbarer fussstuetze
DE29509125U1 (de) * 1995-06-02 1995-08-17 Rudi Schaller Metalltechnik GmbH, 96268 Mitwitz Gestell für einen zusammenklappbaren Kinder- oder Puppen-Sitz- oder Liegewagen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5638A (en) * 1899-07-24 1899-10-24 Thomas Ballantine Child's carriage.
US909411A (en) * 1907-11-25 1909-01-12 Douglas Dyrenforth Wheel-chair.
US2133540A (en) * 1935-07-05 1938-10-18 Fred H Jacobs Collapsible chair for invalids
US3833256A (en) * 1973-06-01 1974-09-03 C Dehner Folding foot rest and brace for folding wheelchairs
DE3046369C2 (de) * 1980-12-09 1983-12-15 Buderus Ag, 6330 Wetzlar Verfahren zum Regeln einer Heizungsanlage
CH657985A5 (de) * 1982-10-20 1986-10-15 Rainer Kueschall C O Paratec A Faltbarer rollstuhl.
FR2638635B1 (fr) * 1988-11-07 1991-02-08 Benoit Robert Fauteuil roulant pliable
JP2542450Y2 (ja) * 1992-10-27 1997-07-30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手押し杆に設ける開閉操作機構
JP2542123Y2 (ja) * 1993-09-30 1997-07-23 コンビ株式会社 ベビーカーの遠隔操作機構
US5568933A (en) * 1994-11-22 1996-10-29 Labor Savings Machine Co., Ltd. Foldable wheelchair
US6375213B1 (en) 1999-09-27 2002-04-23 Combi Corporation Stroll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91397A (en) * 1977-06-15 1980-03-04 Kassai Kabushikikaisha Baby carriage
DE3046339A1 (de) * 1980-12-09 1982-07-22 PEG-Perego-Pines Deutschland GmbH, 8000 München Faltkinderwagen mit zusammenklappbarer fussstuetze
DE29509125U1 (de) * 1995-06-02 1995-08-17 Rudi Schaller Metalltechnik GmbH, 96268 Mitwitz Gestell für einen zusammenklappbaren Kinder- oder Puppen-Sitz- oder Liegewa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756B1 (ko) * 2011-08-25 2018-05-25 콤비 가부시키가이샤 유모차용 차륜 유지 기구 및 유모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228938A1 (en) 2002-08-07
KR20020064183A (ko) 2002-08-07
JP2002225721A (ja) 2002-08-14
CN1292949C (zh) 2007-01-03
DE60200063D1 (de) 2003-11-27
HK1049817B (zh) 2007-05-04
HK1049817A1 (en) 2003-05-30
EP1228938B1 (en) 2003-10-22
TW544418B (en) 2003-08-01
SG98474A1 (en) 2003-09-19
US20020121766A1 (en) 2002-09-05
DE60200063T2 (de) 2004-07-22
CN1370708A (zh) 2002-09-25
ES2210193T3 (es) 2004-07-01
US6464242B2 (en) 2002-10-15
MY122796A (en) 2006-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8995B1 (ko) 절첩식 유모차
KR100697888B1 (ko) 스트롤러
EP2192022B1 (en) Foldable stroller and fold linkage for same
US7614642B2 (en) Stand up collapsible stroller
US7523954B2 (en) Collapsible stroller with foot rest
JP4937473B2 (ja) ベビーカーの折り畳み操作装置
US7766367B2 (en) Adjustable handle assembly
CN107128350B (zh) 一种折叠婴儿推车
JPH04232175A (ja) 子供用カーシートに変換し得るベビーカー
GB2388576A (en) Foldable stroller
US20230219611A1 (en) Convertible child stroller system with auxiliary basket
JP4393637B2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2001088709A (ja) 折畳み式ベビーカー
JP3566992B2 (ja) 歩行補助器
JP4728863B2 (ja) たも網
JP3880980B2 (ja) 手押車
CN212289998U (zh) 婴儿车车架组件及婴儿车
CN213619925U (zh) 婴儿车车架和婴儿车
KR20240127455A (ko) 베이스 어셈블리 및 어린이 안전 시트
JP2001088711A (ja) フットレストとこれを備えた折り畳み式ベビーカー
CN114056415A (zh) 婴儿车车架组件及婴儿车
JP2005112301A (ja) 折畳式手押し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