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2770A - 다층 박형 용기 - Google Patents

다층 박형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2770A
KR20010022770A KR1020007001370A KR20007001370A KR20010022770A KR 20010022770 A KR20010022770 A KR 20010022770A KR 1020007001370 A KR1020007001370 A KR 1020007001370A KR 20007001370 A KR20007001370 A KR 20007001370A KR 20010022770 A KR20010022770 A KR 200100227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olyethylene
strength resin
thin container
eas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70013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오카추네미
오카다카주히코
모리사키히로시
Original Assignee
오카다 카즈히코
한신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카다 카즈히코, 한신 가세이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카다 카즈히코
Publication of KR200100227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2770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5/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section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005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00Layered products having a non-plan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2949/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blow-moulding
    • B29C2949/07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 B29C2949/074Preforms or parisons characterised by their configuration having ribs or protru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4Permeability to gases, adsorption
    • B32B2307/7242Non-perme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7/00Polyesters, e.g. PET, i.e. polyethylene terephthal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70Food packag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80Medical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Blow-Moulding Or Thermoform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Abstract

다층 박형 용기(1)는 동부(2) 및 캡 장착을 위한 구경부(3)를 갖춘 용기로서, 압출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만들어지며, 탄성율 2,000∼23,000Kg/cm2을 갖는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외측층(A) 및 탄성율1,000Kg/cm2이하를 갖는 저강도 수지(ⅱ)로 구성된 내측층(B)을 가진다. 다층 박형 용기(1)에서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시 구경부(3)에 상당하는 부분이 동부(2)에 상당하는 부분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경부(3)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ⅰ)의 양이 동부(2)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증가된다. 또한,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외측층은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기를 갖는 단면 형상으로 압출되어, 동부(2)는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되고 동부(2)의 축선을 따라 뻗어 있는 복수의 리브(21)와 함께 형성된다.

Description

다층 박형 용기{Multilayered thin container}
예를 들면, 의료용 수액용기로서는 비교적 유연한 수지로부터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 만들어지는 다양한 박형 용기가 제안되었으며, 필름 부재를 평탄한 빽(bag)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만들어지는 소위 종래의 수액용기 대신에 사용되었다. 다른 한편, 이러한 박형 용기는 다루기가 매우 용이하지만, 전체적으로 어느 정도의 고강도 및 입체적 구조를 가지고 있어서 수액 빽에 비해서 액의 배출 특성인 배액성 및 용이하게 함몰되는 특성인 감용성이 저하된다. 또한, 수액용기는 구경부에 캡을 장착함으로써 밀폐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박형 용기의 구경부는 일반적으로 용기 본체를 형성한 후 별도의 과정으로 구경부에 보강 구경부재를 용착하거나 용기 본체를 만들기 위한 블로우 성형을 할 때 구경부에 구경부재를 삽입함으로써 형성된다.
그런데, 종래의 박형 용기는 별도의 과정에서 만들어진 별도의 구경부재를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였기 때문에 복잡한 제작 장치 또는 공정을 이용하여 만들어졌다. 또한, 구경부재가 장착되는 용기의 한 부분에 핀 홀(pin hole)이 발생하기 쉬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우수한 배액성과 감용성을 나타내며 캡 장착을 위한 구경부의 기저부에서의 핀 홀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되고 보다 간단한 공정으로 만들어질 수 있는 것으로, 동부, 및 캡 장착을 위한 구경부를 포함하는 신규한 다층 박형 용기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다층 박형 용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유연한 동부(cylindrical body)에 캡이 장착되는 고강도 구경부(neck portion)가 블로우 성형(blow molding) 방법에 의해 동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신규한 다층 박형 용기로 수액용기, 식품용기 및 음료용기 등에 적합한 다층 박형 용기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형 용기의 일부 파단 측면도 및 Ⅰ∼Ⅰ선을 따라 얻어진 동부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다층 박형 용기의 일부 파단 측면도, Ⅱ∼Ⅱ선을 따라 얻어진 동부의 수평 단면도 및 용기의 일부 파단 정면도이다.
도 3은 다층 박형 용기의 블로우 성형를 위하여 사용되는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기의 수직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으로부터 90°다른 방향에서 보여지는 도 3에 나타난 압출 성형기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5는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기의 2층 성형 다이(die)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나타난 2층 성형 다이를 통해 압출 성형된 패리손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7은 다른 2층 성형 다이를 통해 압출 성형된 패리손의 수평 단면도이다.
도 8은 여러 가지 층 구조를 갖는 다른 다층 박형 용기의 단면도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다층박형 용기는 동부, 및 캡 장착을 위한 구경부를 갖추고 압출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만들어지며, 탄성율 2,000∼23,000Kg/cm2을 갖는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외측층과 탄성율 1,000Kg/cm2이하를 갖는 저강도 수지(ⅱ)로 구성된 내측층을 가지며, 패리손(parison)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 구경부가 동부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구경부에 상당하는 부분의 고강도 수지의 양이 동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증가되며,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외측층이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기를 갖는 단면 형상으로 압출되는 것에 의해,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되고 동부의 축선을 따라 뻗어있는 복수의 리브(rib)가 동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 다층 박형 용기에서 구경부의 강도가 동부보다 고강도를 갖는 그러한 구조는 동부가 우수한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캡이 구경부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에 형성된 돌기로 이루어진 리브 구조로 인하여 패리손 자체는 높은 형상 유지성(shape retention property)을 나타내기 때문에 특정 형상으로 압출된 패리손은 블로우 성형시 용착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한편, 블로우 성형된 용기의 동부에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리브를 형성함으로써 충진시 요구되는 강도를 동부에 부여할 수 있다. 따라서, 동부는 리브 이외의 부분의 두께를 더 줄일 수 있어서 용기의 배액성(liquid discharging property) 및 감용성(collapse property)이 더 향상 되도록 한다.
상기 다층 박형 용기에 있어서, 좌정 안정성(setting stability) 및 자립성(standing property)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 동부의 기저부의 강도가 동부보다 고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동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용기의 기저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의 양을 증가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층 박형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동부의 두께는 0.3∼2.0mm이다. 한편, 구경부에서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의 두께는 구경부 전체 두께의 20∼99%이며, 동부에서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의 두께는 동부 전체 두께의 1∼50%이다.
상기 다층 박형 용기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고강도 수지는 용융 유동율(melt flow rate : MFR) 0.10∼2.0g/10min과 밀도 0.940∼0.97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MFR 0.2∼0.4g/10min과 밀도 0.925∼0.940g/cm3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며, 저강도 수지는 메탈로센(metallocene)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밀도 0.860∼0.91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폴리에틸렌을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또한, 상기 다층 박형 용기에 있어서, 고강도 수지는 밀도 0.885∼0.935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을 함유할 수 있으며, 저강도 수지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밀도 0.860∼0.91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을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이다.
또 한편, 상기 다층 박형 용기는, 산소가 투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가스차단 수지로 구성되는 가스차단 층이 더 제공될 수 있다. 가스차단 층이 제공된 다층 박형 용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스차단 수지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형 용기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부호 (1)로 나타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형 용기는 동부(2) 및 캡이 장착되는 구경부(3)를 포함하는 다층구조의 박형 용기이며 압출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의 층 구조로서 2∼5층과 같은 적절한 층의 수를 갖는 것이 채택될 수 있다. 도 1, 2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은 적어도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과 저강도 수지로 구성된 내측층(B)을 포함한다. 상기 외측층(A)은 필요한 강도를 용기에 부여하는데 이바지하고 소정의 탄성율을 갖는 수지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외측층 탄성율의 하한은 보통 1,500Kg/cm2, 바람직하게는 2,000Kg/cm2이며, 상한은 보통 18,000Kg/cm2, 바람직하게는 23,000Kg/cm2이다. 즉, 외측층의 탄성율은 보통 2,000Kg/cm2∼ 23,000Kg/cm2이다. 상기 내측층(B)은 배액성과 감용성을 용기에 부여하는데 이바지하고 보통 1,000Kg/cm2이하, 바람직하게는 100∼1,000Kg/cm2의 탄성율을 갖는 수지로 만들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외측층(A)을 위한 상기 고강도 수지로서 필립스(Philips) 촉매 또는 다단 지글러(multistage Ziegler)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지는 수지, 예를 들어 MFR 0.10∼2.0g/10min과 밀도 0.940∼0.97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MFR 0.2∼0.4g/10min과 밀도 0.925∼0.940g/cm3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강도 수지로는 밀도 0.885∼0.935g/cm3를 갖는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폴리프로필렌은 5% 이상의 고무성분을 갖는 블록(block) 공중합체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 내측층(B)을 위한 상기 저강도 수지로는 메탈로센 촉매(single site catalyst : 단일 사이트 촉매)를 사용한 기상법(gas phase method), 액상법(liquid phase method) 또는 용액법(solution method)에 의해 만들어지는 수지, 예를 들어 밀도 0.860∼0.91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이 이후 간혹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수지"로 언급), 또는 상기 메틸로센 폴리에틸렌 수지를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저강도 수지는 매우 샤프(sharp)한 분자량 분포(예, Mw/Mn = 2∼3.5)와 샤프한 조성분포를 갖는 매우 균일한 고분자이고 탁월한 유연성과 내화학성을 나타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하기의 가스차단 수지에 대해 높은 용착력(weldability)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수지 50 중량 % 이상과 일반적인 저밀도 폴리에틸렌 50 중량 % 이하를 포함하는 혼합 폴리에틸렌이 사용되는 경우에 성형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외측층(A)용 고강도 수지와 상기 내측층(B)용 저강도 수지의 다양한 조합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용기의 열멸균시 요구되는 내열성의 관점에서 상기 외측층(A)을 위한 고강도 수지로 밀도 0.880∼0.920g/cm3을 갖는 폴리프로필렌 또는 밀도 0.950∼0.967g/cm3을 갖는 고밀도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내측층(B)을 위한 저강도 수지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밀도 0.860∼0.91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메탈로센 폴리에틸렌 수지를 중량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박형 용기(1)에 있어서,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 상기 구경부(3)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의 양은 상기 동부(2)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증가될 수 있어서 상기 구경부(3)의 강도가 상기 동부(2)의 강도보다 높이 설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구경부(3)는 캡(도시 안됨)을 장착하기에 충분한 강도를 나타내며, 상기 동부(2)는 상기 다층박형 용기로부터 충진물을 배출한 후 거의 완전한 감용 찌그러짐이 되도록 하기에 충분한 유연성을 낼 수 있다. 즉, 장착될 캡으로서는 스크루(screw) 형태 캡, 실(seal) 형태 캡 또는 플러그(plug) 형태 캡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구경부(3)는 사용될 캡의 형태에 따라 적절한 형태로 만들어 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의 (a)와 같이, 상기 구경부(3)는 상단으로부터 돌기되는 플랜지를 갖는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또한, 나타나지는 않았지만 상기 구경부(3)는 숫 나사선(male thread) 형태를 갖는 곧은 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질 수 있다.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의 상기 구경부(3)의 두께는 보통 약 1.5∼4.0mm이고 두께의 20∼99%는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에 의해 구성된다.
상기 동부(2)는 원형, 타원형, 평탄 근사 타원형, 근사 정방형 등과 같이 용기의 의도된 응용에 따라 수평단면이 어떠한 적절한 형태로 될 수 있다. 상기 구경부(3)를 제외한 견부(4) 및 기저부(5)를 포함하는 상기 동부(2)의 두께(하기에서 설명되는 것처럼 리브(21)를 제외한 부분의 두께)는 보통 2.0mm 이하이며, 바람직하기로는 0.5∼2.0mm, 더 바람직하기로는 0.3∼1.5mm이며, 상기 동부(2)의 두께의 1∼50%는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으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있어서 패리손 형성을 위한 압출 성형시 상기 기저부(5)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의 양은 상기 동부(2)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증가될 수 있어서, 상기 기저부(5)의 강도를 상기 동부(2)의 강도보다 높이 설정할 수 있다. 즉, 상기 기저부(5)가 상기 동부(2)의 강도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게 함으로서, 용기가 양호한 좌정 안정성 및 양호한 자립성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있어서, 패리손 형성을 위한 압출 성형시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는 둘레방향에 배열된 복수 돌기(21p)를 갖는 단면 형상(도 6에 나타난 패리손의 단면형상 참조)으로 압출하는 것에 의해, 도 1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동부(2)에 고강도 수지로 구성되고 축선을 따라 뻗어있은 복수의 리브(21)를 형성시킨다. 그 결과, 상기 리브(21)는 상기 동부(2)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할 수 있고, 상기 동부(2)는 상기 리브(21) 이외 부분의 두께가 더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중간체로서 패리손 자체는 높은 형상 유지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블로우 성형 공정에 있어서 성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블로우 성형 공정에 의해 상기 동부(2)에 최종적으로 형성되는 상기 리브(21)는 단면에 있어서 근사 반원형 또는 근사 삼각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각 리브(21)의 높이는 보통 상기 동부(2)의 전체 두께의 약 5∼50%이다. 상기 리브(21)의 수는 약 2∼8개 이다. 한편, 상기 리브(21)의 형상 및 돌기 높이는 하기의 2층 성형 다이와 내장 링(inner ring)(63) 및 압출 링(64)에 의해 결정되는 수지유로(resin path)에 의해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는 도 3, 4에 나타낸 것처럼 압출 성형기(6)를 사용하여 상기 외측층(A) 및 상기 내측층(B)를 포함하는 2층 패리손(P)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을 하고 상기 압출 성형기(6)에 연속적으로 결합된 블로우 성형기(9)의 블로우 성형 다이(도시 안됨)내에서 상기 얻어진 패리손(P)을 블로우 성형을 함으로서 만들어 질 수 있다. 상기 패리손(P)를 형성하기 위한 상기 압출 성형기(6)도 3, 4에 나타난 것처럼 고강도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 1 압출기(7) 및 저강도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제 2 압출기(8)가 결합된 2층 성형 다이로 구성된다.
상기 제 1 압출기(7) 및 상기 제 2 압출기(8)로서, 어큐뮬레이터 (accmulator)식 압출기 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도에 나타난 것처럼 스크류 인 라인(screw in line)식 압출기도 사용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 2 압출기(8)는 수지를 압출하기 위한 스크류(84) 및 스크류를 수납하는 스크류 실린더(85)를 포함한다. 도 3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제 1 압출기(7)는 상기 제 2 압출기(8)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상기 제 1, 2 압출기(7,8)의 각 스크류의 회전 속도는 압출되는 수지의 양이 국부적으로 증가 또는 감소 될 수 있도록 패리손 두께 제어기(도시 안됨)에 의해 반전 제어된다.
도 3, 4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압출 성형기(6)은 주 구성요소로서 장치의 외부 다이부를 구성하는 다이 헤드(61a∼61c), 상기 다이 헤드에 중심으로 삽입된 코아(core)(62), 상기 다이 헤드(61a, 61b ㆍㆍㆍ)와 상기 코아(62) 사이에 삽입된 상기 내장 링(63), 상기 내장 링(63)의 하단측의 외주측과 상기 다이 헤드(61c)의 하단측에 삽입된 압출 링(64), 선단측 압출 링(64b), 상기 선단측 압출 링(64b) 의 하단측에 연속적으로 결합된 다이 부시(bush)(66)를 포함한다.
상기 코아(62)는 중심축을 따라 뻗어있는 공기유로(67c)가 제공된 고정 맨드렐(mandrel), 외주측에 위치한 수지유로를 결정하는 조정가능 가동 맨드렐, 및 상기 선단측 링(64b) 또는 상기 다이 부시(66) 중심에 위치하여 수지 경로를 결정하는 몇 개의 선단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내장 링(63)의 선단부는 하방으로 점차적으로 직경이 줄어드는 테이퍼(tapered) 외주면을 가지며 상기 압출 링(64)의 동경사 테이퍼 내주측이 위치한 부위에 일부가 삽입된다.
상기 압출 링(64)를 더한 상기 다이 헤드(61b, 61c)와 상기 내장 링(63)사이에 상기 제 1 압출기(7)로부터 공급된 고강도 수지가 압출되는 수지유로(67a)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코아(62)의 상기 가동 맨드렐과 상기 내장 링(63)사이에 제 2 압출기로부터 공급되는 저강도 수지가 압출되는 수지유로(67b)가 형성된다. 상기 수지유로(67a)와 상기 수지유로(67b)는 상기 압출 링(64)의 하단측에서 합류된다.
상기 수지유로(67a, 67b)를 통해서 압출되는 서로 강도가 다른 수지는 상기 압출 링(64)에서 층이 구성되는 상태로 일체화된다. 따라서, 일체화 된 수지는 상기 코아(62)의 선단 블록과 상기 다이 부시(66)에 더한 상기 선단측 압출 링(64b)에 의해서 결정되는 간극을 통해서 압출되고, 상기 다이 부시(66)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블로우 성형기(9)로 압출된다. 공기 또는 불활성 기체가 2층 구조를 갖는 패리손이 상기 블로우 성형기(9)의 블로우 성형 다이 내에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코아(62)의 상기 공기유로(67c)를 통해서 공급된다.
그런데, 상기 압출 성형기(6)에 있어서 특정 다이 구조가 도 6에 나타난 것처럼 패리손(P)를 얻을 수 있도록 채택된다. 즉, 도 5에 나타난 것처럼 상기 내장 링(63)은 일정 피치로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노치(notch)를 외주상에 가지고, 상기 압출 링(64)와 상기 내장 링(63)사이에 형성된 상기 수지유로(67a)는 일정 피치로 폭이 증가된다. 이러한 배열에 의해, 상기 수지경로(67a)를 통해서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의 양은 돌기(21p), 예를 들어 8 개의 돌기는 상기 다이 부시(66)를 통해 압출된 상기 패리손(P)이 단면적으로 보여질 때 상기 외측층(A)의 내주면에 형성되도록 부분적으로 증가된다.
상기 패리손(P)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 상기 외측층(A) 및 상기 내측층(B)의 두께는 이러한 수지의 유량, 특별히 패리손 두께 조절 제어기에 의한 고강도 수지의 유량 조정에 의해 특정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압출기(62)의 스크류의 회전속도는 패리손 두께 제어기에 의한 반전 제어에 의해, 상기 동부(2)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용기의 상기 기저부(5)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의 양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상기 동부(2)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용기의 상기 구경부(3)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고강도 수지의 양을 증가시킨다.
그 결과로, 블로우 성형 다이로 압출된 상기 패리손(P)은 상기 기저부(5)와 상기 구경부(3)에 상당하는 부분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얻어진 패리손(P)은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이 제공되므로 전체적으로 높은 용융 장력을 나타내고 자기 무게에 대해 우수한 형상 유지성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특정 다이 구조를 통해 압출된 상기 패리손(P)는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리브가 미리 형성되어 있는 상기 외측층(A)를 가지기 때문에, 상기 패리손(P)는 상기 리브 구조에 의해 보다 우수한 형상 유지성을 나타낸다. 블로우 성형 다이내로 압출되는 상기 패리손은 일반적인 방법에 의한 블로우 성형에 의해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을 얻는다. 또한, 상기 패리손(P)은 상기와 같이 뛰어난 형상 유지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시 패리손의 용착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얻어진 다층 박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구경부(3)의 강도가 상기 동부(2)의 강도보다 높은 배치를 가지므로써 상기 동부(2)는 우수한 유연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캡이 상기 구경부(3)에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에 있어서, 상기 구경부(3)는 보다 큰 두께와 보다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캡은 상기 구경부(3)에 쉽고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기저부(5)의 두께 및 강도가 증가될 때 상기 얻어진 용기는 좌정 안정성 및 자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한편,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상기 리브(21)는 용기에 충진될 물질이 수용되었을 때 상기 동부(2)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함에 이바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있어서 리브 이외의 상기 동부(2) 부분은 두께가 더 줄어들 수 있어서 배액성 및 감용성이 더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형 용기가 일련의 상기 패리손 압출 및 블로우 성형 과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극히 단순화된다. 또, 별도 구경 부재를 용기상에 용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핀 홀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있어서, 패리손(P)는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상기 외측층(A)이 둘레방향과 외주면에 배열된 복수의 돌기가지고 형성됨으로써 상기 실시예에서처럼 동일한 방법으로 축선을 따른 복수개의 리브가 상기 동부(2)상에 형성되어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단면 형상으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패리손(P)의 상기 돌기(21p)은 상기 압출 성형기(6)에서 상기 압출 링(64), 상기 선단측 압출 링(64b) 및 상기 다이 부시(66)의 각 내주면에 홈을 제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실시예와 비슷하게 상기 동부(2)에 필요한 강도를 부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상기 동부(2)는 리브 이외의 부분에서 두께가 더 줄 수 있다. 또한, 패리손 자체가 형상 유지성을 향상시키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시 패리손의 성형성은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가스차단 수지로 구성된 가스차단 층이 제공될 수 있다. 가스차단 수지로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도 8에 나타난 것처럼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 저강도 수지로 구성된 내측층(C) 및 최내측 층으로 가스차단 층(H)을 포함하는 3층 구조가 제공될 수 있다. 도 8(a)에 나타난 것처럼 3층 구조를 갖는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 층(H)이 산소의 투과를 막아주기 때문에 용기에 충진된 내용물을 질적인 저하가 없이 보존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8(b)에 나타난 것처럼 다른 층 구조로서,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 저강도 수지로 구성된 제 1 내측층(B), 가스차단 층(H), 및 저강도 수지로 구성된 최내측 층으로 제 2 내측층(B2)을 포함하는 4층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도 8(c)에 나타난 것처럼 또 다른 층 구조로서, 고강도 수지로 구성된 외측층(A), 저강도 수지로 구성된 제 1 내측층(B), 가스차단 층(H), 저강도 수지로 구성된 제 2 내측층(B2) 및 타 수지로 구성된 최내측 층(G)을 포함하는 5층 구조를 들 수 있다. 4층 또는 5층 구조를 갖는 다층 박형 용기에 있어서,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폴리에틸렌이 상기 제 1, 2 내측층(B, B2)용 물질로 사용될 때, 이들 내측층과 상기 가스차단 층(H)사이의 용착성은 향상될 수 있다.
한편, 도 1, 2, 8에 나타난 것처럼 각 실시예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에 있어서, 상기 내측층(B)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경우, 용기가 높은 내화학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용기에 충진된 내용물은 안전하고 확실하게 보존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1)는 의료용 수액 용기, 식품 용기, 음료 용기 등으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설명처럼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에서, 구경부가 큰 두께와 높은 강도를 가지기 때문에 캡은 구경부상에 쉽고 확실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다층 박형 용기에서 특정한 단면 형상으로 압출되는 패리손이 뛰어난 형상 유지성을 나타내기 때문에 블로우 성형시 성형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한편, 고강도 수지로 구성되며 동부에 형성되는 리브는 필요한 강도를 동부에 부여할 수 있기 때문에 동부의 두께는 더 줄어들 수 있고, 용기는 배액성 및 감용성이 더 향상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형 용기의 전체부위가 압출 및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제작 공정이 매우 단순해지게 된다. 그리고, 구경 부재와 같은 별도 부재를 용기상에 용착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핀 홀의 발생이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내측층이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경우, 용기는 내화학성이 더 향상되어 용기에 충진된 내용물은 안전하고 확실하게 보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 박형 용기는 유연한 동부, 캡이 장착되는 고강도 구경부를 포함하며 블로우 성형 방법에 의해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래서, 용기는 의료용 수액 용기, 식품 용기, 음료 용기 등으로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동부, 및 캡 장착용 구경부를 포함하고 압출과 블로우 성형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 다층 박형 용기에 있어서,
    탄성율 2,000∼23,000Kg/cm2의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외측층과 탄성율1,000Kg/cm2이하의 저강도 수지(ⅱ)로 구성된 내측층을 포함하고;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 상기 구경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동부에 상당하는 부분보다 높은 강도를 나타내도록 상기 구경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상기 고강도 수지(ⅰ)의 양이 상기 동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증가되며; 및
    상기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상기 외측층은 둘레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돌기를 갖는 단면 형상으로 압출되는 것에 의하여 상기 동부(2)는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되고 동부(2)의 축선을 따라 뻗어있는 복수의 리브(21)와 함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2. 제 1항에 있어서, 패리손을 형성하기 위한 압출 성형시 상기 다층 박형 용기의 기저부에 상당하는 부분이 상기 동부에 상당하는 부분보다 높은 강도가 나타나도록 상기 기저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압출되는 상기 고강도 수지(ⅰ)의 양이 상기 동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비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동부의 두께가 0.3∼2.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4. 제 1항 내지 제 3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경부에서 상기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상기 외측층의 두께는 상기 구경부 전체 두께의 20∼99%이며,
    상기 동부에서 상기 고강도 수지(ⅰ)로 구성된 상기 외측층의 두께는 상기 동부 전체 두께의 1∼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5. 제 1항 내지 제 4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수지(ⅰ)는 MFR 0.10∼2.0g/10min과 밀도 0.940∼0.97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MFR 0.2∼0.4g/10min과 밀도 0.925∼0.940g/cm3를 갖는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선상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며,
    상기 저강도 수지(ⅱ)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밀도 0.860∼0.91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상기 폴리에틸렌을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6. 제 1항 내지 제 5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강도 수지(ⅰ)는 밀도 0.885∼0.935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이며,
    상기 저강도 수지(ⅱ)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밀도 0.860∼0.910g/cm3를 갖는 폴리에틸렌, 또는 상기 폴리에틸렌을 50 중량 % 이상으로 포함하는 폴리에틸렌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7. 제 1항 내지 제 6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가스차단 수지로 구성되는 가스차단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8. 제 1항 내지 제 7항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차단 수지는 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 폴리아미드 또는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박형 용기.
KR1020007001370A 1999-02-18 1999-09-22 다층 박형 용기 KR200100227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39934 1999-02-18
JP03993499A JP3464405B2 (ja) 1999-02-18 1999-02-18 多層薄肉容器
PCT/JP1999/005195 WO2000048913A1 (fr) 1999-02-18 1999-09-22 Recipient a paroi mince multicouch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2770A true KR20010022770A (ko) 2001-03-26

Family

ID=125667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7001370A KR20010022770A (ko) 1999-02-18 1999-09-22 다층 박형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6244454B1 (ko)
EP (1) EP1029793A1 (ko)
JP (1) JP3464405B2 (ko)
KR (1) KR20010022770A (ko)
WO (1) WO200004891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58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천경 다층벽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142711B1 (ko) * 2003-09-30 2012-05-03 토탈 페트로케미칼스 리서치 펠루이 폴리에틸렌 압착식 파우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31401B1 (en) * 1996-12-31 2002-08-13 Lever Brothers Company, A Division Of Conopco, Inc. Bottle
DE19821827A1 (de) * 1998-05-15 1999-11-18 Elenac Gmbh Grosshohlkörper aus Polyethylen
DE10017443A1 (de) * 2000-04-07 2001-10-25 Boehringer Ingelheim Pharma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mit einer Druckausgleichsöffnung versehenen Behälters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Behälter
DE10038639A1 (de) * 2000-07-28 2002-02-21 Schering Ag Nichtsteroidale Entzündungshemmer
FR2814436B1 (fr) * 2000-09-25 2003-10-31 Oreal Article de conditionnement a rigidite axiale et resistance a la case ameliorees
JP2002154548A (ja) * 2000-11-16 2002-05-28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JP2002154545A (ja) * 2000-11-16 2002-05-28 Toppan Printing Co Ltd プラスチック容器
JP3982173B2 (ja) * 2000-12-05 2007-09-26 東洋製罐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製容器の製造方法
JP2004067171A (ja) * 2002-08-06 2004-03-04 Yoshino Kogyosho Co Ltd ブロー成形品
JPWO2004022307A1 (ja) * 2002-09-05 2005-12-22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90233026A1 (en) * 2002-09-05 2009-09-17 Yoshino Kogyosho., Ltd. Laminated and molded bod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4391887B2 (ja) * 2004-05-31 2009-12-24 株式会社吉野工業所 積層成形体
WO2004062881A1 (en) * 2003-01-14 2004-07-29 E.I.Dupont De Nemours And Company Container having a double wall structure,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8192811B2 (en) * 2003-03-14 2012-06-05 Graham Packaging Pet Technologies Inc. Delamination-resistant multilayer container, preform and method of manufacture
DE10347907A1 (de) * 2003-10-15 2005-05-25 Bernd Hans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gefüllter und verschlossener Behälter
CN100564169C (zh) * 2004-07-28 2009-12-02 东洋制罐株式会社 树脂制容器、树脂制容器的制造方法及树脂制容器的制造装置
US20070068958A1 (en) * 2005-09-29 2007-03-29 John Besser Ribbed sleeve providing insulation
US20110086130A1 (en) * 2009-10-09 2011-04-14 Axelrod Glen S Continuous Production Of Edible Food Products With Selected Shapes
US20080257893A1 (en) * 2007-04-19 2008-10-23 Podd Stephen D Bulk liquid transport system
US8205415B2 (en) * 2009-01-16 2012-06-26 Kraft Foods Global Brands Llc Method of packaging and shipping roast and ground coffee
SG10201405659QA (en) 2009-07-09 2014-11-27 Advanced Tech Materials Substantially rigid collapsible liner and flexible gusseted or non-gusseted l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for limiting choke-off in liners
DK2453953T3 (en) * 2009-07-14 2018-08-06 Sanofi Aventis Deutschland Medication container with a flexible inner layer and a rigid outer layer
US20110081453A1 (en) * 2009-10-05 2011-04-07 T.F.H. Publications, Inc. 3-D Continuous Shaping Of Edible-Based Extrudates
CN106915550A (zh) * 2010-10-11 2017-07-04 恩特格里斯公司 大体刚性的可塌缩内衬、用于替换玻璃瓶的容器和/或内衬、以及加强的柔性内衬
JP6087833B2 (ja) 2010-11-23 2017-03-01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ナーベースの分注器
WO2012118527A1 (en) 2011-03-01 2012-09-0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Nested blow molded liner and overpack and methods of making same
USD722885S1 (en) 2012-06-22 2015-02-24 Kraft Foods Group Brands Llc Container
CN103662277B (zh) * 2012-09-10 2015-09-23 徐跃 双层聚酯瓶及其成型工艺
KR101673830B1 (ko) * 2012-10-31 2016-11-07 가부시키가이샤 요시노 고교쇼 이중 용기
CH707854A2 (de) * 2013-03-20 2014-09-30 Alpla Werke Extrusionsblasgeformte Tube.
FR3020252B1 (fr) 2014-04-24 2020-10-23 Albea Services Tube en polypropylene
JP6594771B2 (ja) * 2015-12-25 2019-10-23 株式会社吉野工業所 二重容器
JP6879226B2 (ja) * 2018-02-23 2021-06-02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エアレスボトルの製造に使用される内袋容器用プリフォーム
JP7286917B2 (ja) * 2018-05-24 2023-06-06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二重容器
JP7310412B2 (ja) * 2018-11-15 2023-07-19 アルテミラ製缶株式会社 缶及びその製造方法
JP7322492B2 (ja) * 2019-04-26 2023-08-08 東洋製罐グループ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容器及びそのプリフォーム
KR20220108074A (ko) * 2019-11-25 2022-08-02 닛세이 에이. 에스. 비 기카이 가부시키가이샤 수지제 용기의 제조 방법 및 제조 장치
CN112550887A (zh) * 2020-12-23 2021-03-26 台州市祥珑食品容器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高阻隔层的吹塑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5618E (en) * 1959-07-21 1964-07-14 Figure
US3398428A (en) 1964-08-25 1968-08-27 Monsanto Co Blow molding apparatus
US3869056A (en) 1970-09-14 1975-03-04 Emery I Valyi Multilayered hollow plastic container
GB2034663B (en) 1978-11-07 1983-09-01 Yoshino Kogyosho Co Ltd Synthetic resin thin-walled bottle
JPS55142623A (en) 1979-04-24 1980-11-07 Yoshino Kogyosho Co Ltd Method of forming optical pattern in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made product and method of reinforcing optical pattern formed by the said method
FR2525958A1 (fr) * 1982-04-30 1983-11-04 Paulus Gerard Procede de realisation par la technique de l'extrusion-soufflage de recipients alleges et recipients ainsi obtenus
DE3442092A1 (de) 1984-11-17 1986-05-28 Kautex Werke Reinold Hagen AG, 5300 Bonn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r mit einer verschliessbaren oeffnung versehenen verpackung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 verpackung
JPH082624B2 (ja) 1987-02-09 1996-01-17 株式会社クラレ 延伸成形用多層構造パイプおよびそれを用いた多層容器の製造法
JPH0813499B2 (ja) * 1987-03-04 1996-02-14 三菱瓦斯化学株式会社 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法
US4912048A (en) * 1987-12-21 1990-03-27 Difco Laboratories Fluted culture vessel
DE3744639A1 (de) * 1987-12-31 1989-07-13 Henkel Kgaa Hohlkoerper aus kunststoff mit einer glaenzenden aussenflaeche
AU4283489A (en) 1988-11-23 1990-05-31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Apparatus for extrusion blow molding equipment, blow molding articles, parisons and containers made therefrom and methods for forming the same
DE69223823T2 (de) 1991-02-15 1998-05-20 Mitsui Toatsu Chemicals Durchsichtige schlagzähe Formkörper
DE4139555A1 (de) 1991-09-18 1993-03-25 Gaplast Gmbh Behaelter
JPH06247448A (ja) * 1993-02-19 1994-09-06 Fuji Photo Film Co Ltd 流体用容器
JPH072213U (ja) * 1993-06-16 1995-01-13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用特殊容器
JPH0721510U (ja) * 1993-09-27 1995-04-18 東洋製罐株式会社 耐圧プラスチック容器
FR2725958B1 (fr) 1994-10-19 1997-01-03 Lir France Sa Boitier a fermeture jointive a assistance a l'ouverture
US5888636A (en) 1995-01-19 1999-03-30 Mitsui Chemicals, Inc. Multi-layer blow molded article of polypropylene
BR9609378A (pt) * 1995-06-26 1999-12-21 Emery I Valyi Recipiente de plástico moldado para bebidas e alimentos e processo de fabricação do mesmo.
US5688570A (en) * 1995-10-13 1997-11-18 Crown Cork & Seal Compan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multi-layer preform
EP0961731B1 (de) * 1996-07-05 2004-01-02 Wella Aktiengesellschaft Kunststoffhohlkörper mit hoher chemischer beständigkeit
JPH10167244A (ja) 1996-12-10 1998-06-23 Mitsui Chem Inc クリーン容器
JPH10286896A (ja) * 1997-04-11 1998-10-27 Toyo Seikan Kaisha Ltd スリガラス状外観を呈する多層容器
JPH10315357A (ja) * 1997-05-20 1998-12-02 Nippon Porikemu Kk 樹脂製容器
JP3951376B2 (ja) * 1997-08-28 2007-08-01 東洋製罐株式会社 環状オレフィン系共重合体を含む積層体
JPH11138705A (ja) * 1997-11-12 1999-05-25 Mitsubishi Chemical Corp 熱可塑性樹脂多層積層シートおよびそれからなる多層積層容器
JPH11208633A (ja) * 1998-01-23 1999-08-03 Kureha Chem Ind Co Ltd 自立性耐圧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6583A (ko) * 2001-07-13 2003-01-23 주식회사 천경 다층벽 구조를 갖는 용기와 그 제조방법 및 장치
KR101142711B1 (ko) * 2003-09-30 2012-05-03 토탈 페트로케미칼스 리서치 펠루이 폴리에틸렌 압착식 파우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0048913A1 (fr) 2000-08-24
JP3464405B2 (ja) 2003-11-10
EP1029793A1 (en) 2000-08-23
US6244454B1 (en) 2001-06-12
JP2000238116A (ja) 2000-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22770A (ko) 다층 박형 용기
EP1344618B1 (en) Synthetic resin biaxial oriented blow formed preform for forming bottle body
KR960003915B1 (ko) 배플플레이트를 구비한 연료탱크의 성형방법
USRE36639E (en) Plastic container
US5072841A (en) Plastic containers
US4079850A (en) Multi-layer blow molded container and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CN102168756B (zh) 具有注模端盖的挤出管件焊接容器衬套
US20030175457A1 (en) Mulitlayer thermoplastic structure for gas tank
US5252268A (en) Method of controlling extrusion of multilayer parison
AU607110B2 (en) Blow molded one-piece bottle
JPS6137404A (ja) 多層有底パリソンの射出成形方法
US7381455B2 (en) Flexible tube, resistant to stress cracking and impermeable to water vapor
US6808673B2 (en) Multi-layer hollow body,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a hollow body, and compression-blow-molding mould
US4770837A (en) Method for making articles from polymer blends
JPS63202424A (ja) プラスチツク容器
JP3843687B2 (ja) 軽量スクイズボトル
JP4186275B2 (ja) 多層薄肉容器
JP3865282B2 (ja) 薄肉容器
JP6263431B2 (ja) 喰い切り支持部を備える合成樹脂製ブロー成形多層容器
EP0393204A1 (en) Plastic fuel tank
JP2000006939A (ja) 多層延伸ブロー成形容器
JP2523020Y2 (ja) ブロー成型容器
JP7308050B2 (ja) 二重容器の評価方法
JPH0144576B2 (ko)
JP7085901B2 (ja) 押出ブロー成形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