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20642A -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20642A
KR20010020642A KR1020000008766A KR20000008766A KR20010020642A KR 20010020642 A KR20010020642 A KR 20010020642A KR 1020000008766 A KR1020000008766 A KR 1020000008766A KR 20000008766 A KR20000008766 A KR 20000008766A KR 20010020642 A KR20010020642 A KR 20010020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aintenance
error
oil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8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0786B1 (ko
Inventor
고바야시겐지
야마자끼겐고
Original Assignee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쓰노 히로미찌, 가부시끼가이샤 다쓰노.메카트로닉스 filed Critical 다쓰노 히로미찌
Publication of KR20010020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06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07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07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085Testing or calibrating apparatus therefo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08Arrangements of devices for controlling, indicating, metering or registering quantity or price of liquid transferred
    • B67D7/22Arrangements of indicators or regi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7/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from bulk storage containers or reservoirs into vehicles or into portable containers, e.g. for retail sale purposes
    • B67D7/06Details or accessories
    • B67D7/32Arrangements of safety or warning devices;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delivery of liqui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Loading And Unloading Of Fuel Tanks Or Sh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검이나 수리에 필요한 보수 작업이나 교환 부품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시기를 원격지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알 수가 있는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급유장치(20)에 발생한 착오에 대응하는 에러 데이터를 기억하며, CCD카메라(25)의 급유기기의 비데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28)를 갖는 제어장치(21)와, 에러 데이터 및 비데오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31), 그들 데이터와 기종 데이터와 함께 보수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35), 보수 데이터를 전화 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급유소 단말장치(30)와, 급유소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어오는 보수 데이터를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45), 보수 데이터와 보수 기준 데이터와를 비교하여 통보 신호 생성하는 데이터 비교부(46), 보수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서 보수센터의 보수센터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통신제어부(41)를 갖는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를 갖추고 있다.

Description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Remote repair system of oil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급유소에 설치되어 있는 급유장치의 보수에 필요한 데이터를 원격지에 있어서 수신하여 급유장치의 점검과 수리를 위한 보수 정보를 얻는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가솔린 스탠드등의 급유소에 설치되는 급유장치에는 펌프 모우터의 동작을 제어하여, 유량펄스발신기로부터 출력되는 펄스에 의하여 유량을 적산하고, 표시기에 급유량을 표시하기 위한 제어장치가 마련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는 급유장치의 각 기기를 제어함과 동시에 예를 들면 각부의 접속이상 착오 펄스, 밸브의 동작 불량, 각종 데이터 착오 등이 발생했을 때 그 에러 내용에 대응하는 착오 코오드를 누적적으로 기록하며, 그 착오 코오드를 조작 판넬의 버튼 조작등에 의해 발생순으로 표시기에 순차 표시하거나 혹은 급유소에 설치되어 있는 POS 단말기 등의 단말장치의 프린터로 인자하여 점검이나 수리시의 보수 정보로서 이용 할 수 있게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급유장치의 점검이나 수리시에 그 자리에서 착오 코오드를 표시기에 표시하거나 급유소의 단말장치의 프린터로 인자하는 방법에서는 원격지의 보수센터에 있어서, 점검이나 수리에 필요한 보수작업이나 교환부품을 미리 준비하는 것이 곤란하며, 또 착오 코오드를 누적한 정보만으로는 충분한 정보가 아닌 경우가 많고, 그 때문에 여분의 작업이나 일손이 추가 될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제안한 것으로 점검이나 수리에 필요한 보수 작업이나 교환 부품을 사전에 예측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시기를 원격지에 있어서, 자동적으로 알 수 가 있는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은 급유소에 설치된 급유장치에 발생한 착오를 검출하여 그 착오에 대응한 착오 코오드를 포함하는 착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것과 함께, 그 급유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CCD 카메라의 급유기기의 비데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를 갖는 급유장치에 마련된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의 착오 데이터 및 비데오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그 착오 데이터 및 비데오 데이터를 기종 데이터와 함께 보수 데이터로 하여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 상기 보수 데이터를 전화 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갖는 상기 급유소에 마련된 급유소 단말장치와, 상기 급유소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보수 데이터를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 상기 보수 데이터와 보수의 기준 데이터와를 비교하여 통보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보수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서 보수센터의 보수센터 단말 장치에 송신하는 통신제어부를 갖는 보수 데이터 총괄장치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로인해 점검이나 수리에 필요한 보수 작업이나 교환 부품을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보수가 필요하게 되는 시기를 원격지에서 자동적으로 알 수가 있게 된다.
상기 급유장치의 제어장치에는 날짜와 시간 데이터를 발생하는 시계부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 기억부에는 착오 코오드에 대응하여 발생 일시 데이터가 착오 데이터로서 기억되어져 있는 것이, 발생일시와 발생빈도를 고려하여 보수의 필요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상기 급유소 단말 장치는 자동 다이얼부를 가지며, 착오 발생시에 상기 보수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에 자동 다이얼에 의해 송신하는 것이 항시 감시하지 않고도 보수의 필요성을 원격지에서 판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데이터 기억부에 격납되는 데이터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다.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소 단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다.
도 6은 본 발명 실시예의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20 : 급유장치
21 : 제어장치 22 : 급유기기
23 : 표시기 24 : 센서
25 : CCD 카메라 26 : 카메라 제어부
27 : 시계부 28 : 데이터 기억부
29 : 제어부 30 : 급유소 단말장치
31 : 데이터 수집장치 32 : 모니터
33 : 프린터 34 : 기종 데이터 기억부
35 : 보수 데이터 기억부 36 : 통신 제어부
36a : 자동 다이얼부 40 :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
41 : 통신 제어부 42 : 모니터
43 : 프린터 44 : 기준 데이터 기억부
45 : 보수 데이터 기억부 46 : 데이터 기억부
47 : 통보부 50 : 보수 센터 단말장치
52,53 : 전화 회선
이하 본 발명을 도시하는 일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1∼도 3은 본 발명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도 1은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의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2는 전체 구성을 설명하는 블럭도, 도 3은 급유장치의 데이터 기억부에 격납되는 데이터의 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들의 도면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10)은 소정의 지역의 급유소에 설치되는 복수대의 급유장치(20)(A,B-------)로부터 얻어지는 착오 데이터 및 화상 데이터를 포함하는 보수에 필요한 데이터를 급유소 단말장치(30)에서 수집하고, 그 데이터를 원격지에 있는 보수 데이터 총괄 센터의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로 자동적 혹은 일정한 기간 마다로 송신하며, 이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에서 데이터를 보수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통보를 행하는 것과 함께 지역의 보수센터의 보수센터 단말장치(50)(a,b-----)로 송신하는 시스템이다.
급유장치(20)는 급유펌프, 펌프모우터, 유량펄스 발신기, 각종 스위치나 전환밸브등의 급유기기(22)와, 급유량등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23)와 급유기기(22)의 각부에 배치된 각종센서(24)와, 급유장치의 내부의 중요한 부분에 있어서의 기름 누설등의 상황을 화상 데이터로서 얻기 위한 CCD 카메라(25)와, 각부를 제어함과 함께 필요한 데이터를 격납하는 제어장치(21)와를 갖추고 있다. 이 제어장치(21)는 CCD카메라(25)를 제어하기 위한 카메라 제어부(26)와, 착오 데이터의 발생 일시를 얻기 위한 시계부(27)와, 착오 데이터나 비디오 데이터를 기억하기 위한 데이터 기억부(28)와, 중앙처리 장치에 상당하는 제어부(29)로서 구성된다.
이 제어부(29)는 급유기기(22)를 제어하여 표시기(23)에 급유량등을 표시하는 제어를 행함과 함께, 급유기기(22) 혹은 센서(24)로부터의 데이터에 의거하여 각부의 접속 이상, 착오 펄스, 밸브의 동작불량, 각종 데이터 착오 등에 대응하는 착오 코오드와 그의 발생 일시를 시계부(27)로부터 얻어서 데이터 기억부(28)에 격납하고, 또 카메라 제어부(26)에 의해 CCD 카메라(25)를 제어하여 기름 누설등의 정지화상등의 비데오 데이터를 얻어서 데이터 기억부(28)에 격납하는 부분이다.
착오 코오드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소정의 밸브 불량을 나타낸다(착오코오드번호22). 유닛과의 접속 뷸량을 나타내는 0C 표시 혹은 표시기 유닛의 리세트 발생을 나타내는 부호 71 등이 각각의 발생 일시 데이터에 대응하여 데이터 기억부(28)에 기억되어진다.
급유소 단말장치(30)는 급유소에 설치되어 있는 각 급유장치(20)(A,B------)의 데이터를 각각 수집하여 그 데이터를 원격지에 있는 보수 데이터 통괄센터의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로 송신하는 부분이며, 유선 또는 무선 회선으로 각 급유장치의 제어장치(21)에 접속되어 있는 데이터 수집 처리부(31)와, 비데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32)와, 착오 데이터등을 인자하기 위한 프린터(33)와, 급유소에 설치되어 있는 복수대의 급유장치(20)의 식별번호, 제조번호등의 기종에 관한 데이터를 기억하고 있는 기종 데이터 기억부(34)와, 착오 데이터나 비데오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로서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35)와, 데이터를 원격지에 있는 보수 데이터 통괄센터로 전화 회선(52)등에 의해 송신제어 하기 위한 통신 제어부(36)와, 중앙처리 장치에 상당하는 단말측 제어부(37)와를 갖추고 있다. 데이터 수집 처리부(31)는 단말측 제어부(37)의 제어하에 유선 또는 무선 회선(51)으로 접속되어 있는 복수의 급유장치(20)의 하나를 선택하여 데이터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부분이며, 수신한 데이터는 기종 데이터 기억부(34)에 기억 되어 있는 기종 데이터에 대응케 하여 보수 데이터 기억부(35)에 기억하여 필요에 따라 모니터(32)에 표시 혹은 프린터(33)에서 인자 할 수가 있다. 통신제어부(36)는 단말측 제어부(37)의 제어하에 전화회선(52)을 통해서 보수 데이터 기억부(3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수동 다이얼 혹은 자동 다이얼부(36a)의 자동 다이얼에 의해 송신제어하는 부분이다.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는 각 지역의 급유소의 급유소 단말장치(30)로부터 각각 보수 데이터를 수신하며, 데이터로부터 보수의 필요성을 판단하여 필요한 경우에 통보를 함과 함께 지역의 보수 센터의 보수 센터 단말장치(50)(a,b---------)의 어느 것인가에 보수 데이터를 송신하는 부분이며, 급유소 단말장치(30) 및 보수 센터 단말장치(50)(a,b-------)에 전화회선(52)(53)으로 접속된 통신제어부(41)와, 비데오 데이터를 포함하는 각종 데이터를 표시하는 모니터(42)와, 착오 데이터등을 인자하기 위한 프린터(43)와, 부품 교환이나 보수 작업이 필요하게 되는 착오 데이터의 발생빈도나 회수등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를 기억한 기준 데이터 기억부(44)와, 수신한 착오 데이터로부터 같은 착오 코오드의 발생 빈도나 횟수 등을 계수하여 기준 데이터 기억부(45)에 기록한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기준의 내외를 나타내는 신호를 출력하는 데이터 비교부(46)와, 데이터 비교부(46)의 비교 결과에 의거하여 출력되어지는 신호에 의거하여 통보하는 통보부(47)와, 각부를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에 상당하는 센터측 제어부(48)와를 갖추고 있다. 통보부(47)는 모니터에 의한 통보 표시를 포함하며, 표시기에 의한 시각적인 표시나 음성적인 경보기등의 임의의 수단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음에 급유소에 있어서의 급유장치 및 급유소 단말장치, 보수 데이터 통괄센터의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급유장치의 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 도 5는 급유소 단말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 도 6은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아트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장치(20)에 있어서, 제어장치(21)의 제어부(29)는 급유기기(22) 혹은 각부에 배치된 센서(24)에 의한 신호에 의거하여 착오의 발생을 검지하여(ST1), 그 착오에 대응하는 착오 코오드와 착오 발생시에 시계부(27)로부터 출력되는 일시 데이터를 받아들여 데이터 기억부(28)에 기억하고 , 또 착오 데이터에 응하여 카메라 제어부(26)를 통해서 급유장치(20) 내부에 배치된 CCD카메라(25)를 제어하여 기름누설등을 일으키는 현장을 촬영한 정지화상등의 비데오 데이터를 취해 넣어 데이터 기억부(28)에 기억한다(ST2).
그리고 급유소 단말장치(30)의 데이터 수집장치(31)로부터 데이터의 송신 지시를 수신하였을 때에(ST3), 제어부(29)는 데이터 기억부(28)에 기억되어 있는 발생 일시에 대응하여 기억되어 있는 착오 코오드와 비데오 데이터를 송신한다(ST4).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유소 단말장치(30)가 각 급유장치(20)로 데이터를 송신 지시(ST11)하고, 그 지시된 급유장치(20)가 데이터를 송신해 왔을 때 데이터 수집 처리부(31)는 단말측 제어부(37)의 제어하에 데이터를 수신하여 보수 데이터 기억부(35)에 기억한다(ST12). 그리고 단말측 제어부(37)는 새로운 착오 데이터의 발생으로 자동적으로 데이터 송신하는가를 판단하고(ST13), 자동 송신하는 경우에는 통신제어부(36)의 자동 다이얼부(36a)가 자동적으로 다이얼하고(ST14), 자동 다이얼 하지 않을 때에는 일정 시간마다 혹은 1일에 1회등으로 정기적으로 혹은 부정기 적으로 수동 다이얼하고(ST15), 각 급유장치(20)의 기종 데이터 기억부(34)에 기억되어 있는 기종 데이터와, 보수 데이터 기억부(35)에 기억 되어 있는 데이터를 대응시켜서 송신한다(ST16).
다음에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가 급유소 단말장치(30)로부터 송신되어서 온 데이터를 센터측 제어부(48)의 제어하에 통신 제어부(41)를 통하여 수신하고, 보수 데이터 기억부(45)에 기억한다(ST21). 이어서 데이터 비교부(46)가 수신한 착오 데이터의 발생 빈도나 횟수 등을 계수하여 기준 데이터 기억부(44)에 기억되어 있는 기준 데이터와 비교 연산을 행하여(ST22), 발생 빈도나 횟수 등이 높은 등의 기준이 외인 경우에는 그 신호를 출력하여 통보기(47)가 통보를 행하며(ST23), 기준이내라면 통보하는 일 없이 급유소의 지역을 담당하는 보수 센터 단말장치(50)(a,b------)의 어느 것인가에 통신 제어부(41)로부터 전화회선(53)을 통하여 보수 데이터 기억부(45)에 기억되어져 있는 보수 데이터를 기종 데이터와 함게 송신한다(ST24).
상기 구성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에서는 급유소의 급유장치(20)에 착오가 발생 했을 때, 제어장치(21)가 착오에 대응하는 착오 코오드와 발생 일시 및 필요에 의해 CCD카메라(25)의 정지화상의 비데오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28)에 기억하며, 이어서 그 급유소에 설치되어 있는 급유소 단말장치(30)가 기종 데이터와 함께 착오 데이터 및 비데오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 기억부에 기억하며, 그 데이터를 자동 다이얼 혹은 수동 다이얼에 의한 전화 회선을 통해 원격지의 보수 데이터 통괄센터에 있는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40)가 수신하여 보수 데이터 기억부(45)에 기억하며, 동시에 착오 데이터가 기준 데이터의 이내인가 또는 벗어난 것인가를 판단하여 기준외 인때에는 통보를 위한 신호를 출력하여 통보부(47)에서 통보하며, 기준의 내외 모두를 지역의 보수센터의 보수 센터 단말장치(50)로 데이터 송신한다. 따라서 보수 센터가 착오 데이터의 발생 빈도나 횟수 등 및 필요에 따라 비데오 데이터에 의해 기름 누설 등의 정보를 직접으로 시각적으로 아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판단에 의거하여 점검이나 수리에 필요한 보수작업이나 교환 부품을 사전에 예측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또 보수 데이터 통괄센터에서는 착오 데이터의 발생 빈도 횟수 등을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통보하고, 그것을 보수 센터에 알리는 것으로 급유소에 있어서 보수를 위한 감시를 항상 행할 필요가 없게 된다.
더욱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급유장치(20)의 제어장치(21)에 착오의 발생 일시를 얻기 위한 시계부(27)를 마련하여 착오 코오드와 발생 일시 데이터를 데이터 기억부(28)에 기억하는 예를 설명하였으나, 시계부(27)를 마련하지 않고, 착오 코오드를 발생순으로 기억하여도 좋다. 이와같은 데이터로서도 보수 데이터는 특정의 착오 코오드의 발생시 혹은 급유소 단말장치(30)의 지시에 의거하여 데이터로서 취해 넣을 수 있도록 하여도 좋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에서는 급유장치에서 착오가 발생하였을 때 착오 코오드나 비데오 데이터를 기억하여 그 데이터를 급유소 단말 장치로부터 기종 데이터와 함께 원격지의 보수 데이터 통괄센터로 송신하여 이 데이터에 의해 보수의 필요성을 판단함과 함께 지역의 보수 센터 단말장치로 보수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으로 점검이나 수리에 필요한 수리 작업이나 교환 부품을 사전에 예측 할 수가 있고, 또 보수가 필요한 시기를 원격지에 있어서도 자동적으로 알 수가 있다.

Claims (3)

  1. 급유소에 설치된 급유장치에 발생한 착오를 검출하여 그 착오에 대응한 착오 코오드를 포함하는 착오 데이터를 기억함과 함께 그 급유장치의 내부에 배치된 CCD 카메라의 급유기기의 비데오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부를 갖는 급유장치에 마련된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의 착오 데이터 및 비데오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서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부, 그 착오 데이터 및 비데오 데이터를 기종 데이터와 함께 보수 데이터로 하여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 상기 보수 데이터를 전화 회선을 통해서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갖는 상기 급유소에 마련된 급유소 단말장치와,
    상기 급유소 단말장치로부터 송신되어오는 보수 데이터를 기억하는 보수 데이터 기억부, 상기 보수 데이터와 보수의 기준 데이터와를 비교하여 통보 신호를 생성하는 데이터 비교부, 상기 보수 데이터를 회선을 통해서 보수 센터의 보수센터 단말장치로 송신하는 통신 제어부를 갖는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장치의 제어장치에는 날짜와 시간 데이터를 발생하는 시계부를 가지며, 상기 데이터 기억부에는 착오 코오드에 대응하여 발생 일시 데이터가 착오 데이터로서 기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급유소 단말장치는 자동 다이얼부를 가지며, 착오 발생시에 상기 보수데이터 기억부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를 보수 데이터 통괄장치에 자동 다이얼에 의해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KR1020000008766A 1999-03-15 2000-02-23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KR1003407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6796999A JP3543317B2 (ja) 1999-03-15 1999-03-15 給油装置の遠隔保守システム
JP?11-67969 1999-03-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0642A true KR20010020642A (ko) 2001-03-15
KR100340786B1 KR100340786B1 (ko) 2002-06-20

Family

ID=13360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8766A KR100340786B1 (ko) 1999-03-15 2000-02-23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543317B2 (ko)
KR (1) KR1003407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3814B2 (ja) * 2001-02-02 2007-02-21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油所システム
JP5088382B2 (ja) * 2010-01-22 2012-12-05 株式会社タツノ 給油所の集中監視システム
JP6052710B2 (ja) * 2015-01-27 2016-12-27 株式会社タツノ 給油所システム
JP6460481B2 (ja) * 2015-10-06 2019-01-30 株式会社タツノ 給油装置
US11377342B2 (en) 2018-03-23 2022-07-05 Wayne Fueling Systems Llc Fuel dispenser with leak detec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757B2 (ja) * 1989-08-18 2000-04-24 トキコ株式会社 自己診断機能付計量機
JPH03237501A (ja) * 1990-02-14 1991-10-23 Mitsubishi Electric Corp 自動運転システムの故障通報システム
JPH07257698A (ja) * 1994-03-17 1995-10-09 Tokico Ltd 給油装置
JPH08172685A (ja) * 1994-12-19 1996-07-02 Mitsubishi Denki Eng Kk 画像監視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JP3622801B2 (ja) * 1995-11-21 2005-02-23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給油監視装置
JP3935564B2 (ja) * 1997-08-07 2007-06-27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給油所管理装置
JPH1159865A (ja) * 1997-08-21 1999-03-02 Techno Ishii:Kk 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3865162B2 (ja) * 1997-09-19 2007-01-10 トキコテクノ株式会社 給油所管理システム
JPH11306424A (ja) * 1998-02-20 1999-11-05 Isa:Kk 無人店舗、広域無人店舗集中管理システムおよびガソリンスタンド遠隔管理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0786B1 (ko) 2002-06-20
JP2000264398A (ja) 2000-09-26
JP3543317B2 (ja) 2004-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228B1 (ko) 작업기계, 작업기계의 고장진단시스템, 작업기계의메인티넌스시스템
CA2338006C (en) Remote monitoring diagnostic system and method thereof
US8108242B2 (en) Working machine failure information centralized managing system
KR100599990B1 (ko) 작업기계의 메인티넌스시스템
US3820074A (en) Remote operating condition data acquisition system
US20070078528A1 (en) Predictive fault determination for a non-stationary device
US20150310723A1 (en) Trending machine health data using rfid transponders
EP1767708A2 (en) System of wireless electronic devices for construction equipment and maintenance system thereof
US7493820B2 (en) Gas pump filter optimization and alarm system with GPS and web enabled monitoring
KR100340786B1 (ko) 급유장치의 원격 보수 시스템
US6023667A (en) Oil burner motor and refrigeration and air conditioning motor diagnostic apparatus
JP3672397B2 (ja) 移動体通信端末とドッキング可能なガス検知装置
JP2003091316A (ja) 遠隔操作支援方法
GB2174261A (en) Data monitor
JP2010026907A (ja) 検針システム
KR100731592B1 (ko)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EP1499862A1 (en) Remote measurement system
KR200429305Y1 (ko) 원자력발전소 방사선감시설비의 현장제어장치 점검을 위한휴대용 통신루프 점검장치
KR100880503B1 (ko) 건설 장비의 원격 진단 시스템
KR200407975Y1 (ko) 교통상황정보시스템의 고장 검출 기능을 가지는현장제어장치
JP3153592B2 (ja) 自動検針装置及び端末用網制御装置
US6700485B2 (en) Alarm notifying device
KR100395744B1 (ko) 열병합발전기의원격진단시스탬
KR200384306Y1 (ko) 전원 이상 무선통보 시스템
KR101816514B1 (ko)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6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