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31592B1 -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 Google Patents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31592B1
KR100731592B1 KR1020070034041A KR20070034041A KR100731592B1 KR 100731592 B1 KR100731592 B1 KR 100731592B1 KR 1020070034041 A KR1020070034041 A KR 1020070034041A KR 20070034041 A KR20070034041 A KR 20070034041A KR 100731592 B1 KR100731592 B1 KR 100731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t
pan
image
camera
z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40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배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영국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영국전자
Priority to KR10200700340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31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31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31592B1/ko
Priority to JP2007259813A priority patent/JP2008154213A/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40Support for services or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02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television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Control of means for changing angle of the field of view, e.g. optical zoom objectives or electronic zo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1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during image pickup, e.g. digital cameras, camcorders, video cameras having integrated special effects cap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정지역의 감시를 위해 형성된 CCTV시스템의 영상조합, 자가진단/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송신부는, 팬/틸트/줌 카메라의 팬/틸트/줌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부와, 상기 다수의 영상표출부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출부를 선택하여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로 이루어진 제어 입력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에서 선택한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영상을 조합하여 영상표출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내는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와, 감시지역과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송신기 음성통신부와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에 형성된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에서 송신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CPU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버튼 입력부와 상기 제어버튼 입력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편집한 후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영상처리부를 형성하고, 팬/틸트/줌 카메라의 팬/틸트/줌 구동 및 팬/틸트/줌 카메라의 주변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해 출력부에서 인가하는 전류량을 검지하여 팬/틸트/줌 카메라와 주변기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전류감지장치와,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의 파형을 이용하여 렌즈,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동기 검출부로 이루어진 자가진단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센서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정보를 정리하여 메인 CPU로 송신하는 정보수집장치와 상기 송신부와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신부 음성통신부로 구성된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팬/틸트/줌 카메라, 보조카메라 및 주변기기들의 고장난 구성요소의 정확한 판단 및 고장이 발생한 부분을 송신부가 설치된 메인기지에서 확인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절감 및 절차를 간소화하여 조속히 수리를 할 수 있으며, 또한, 송신부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감시지역에 설치된 팬/틸트/줌 카메라 및 다수의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부에서 영상조합을 한 후 송신부로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회선으로도 조합된 영상을 송신할 수 있어 영상전송을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감시지역과 메인기지 간의 음성통신이 양방향으로 가능하여 별도의 음성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수신기, 송신기, 영상조합

Description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TRANSMITTER-RECEIVER THE IMAGE COMBINATION AND SELF-CHECKING AND COMMUNICATING VOICE ARE POSSIBLE}
도 1은 종래의 감시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CCTV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2는 종래의 송/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종래의 송/수신장치의 영상 입출력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4는 종래의 송/수신장치의 팬/틸트/줌 자동, 수동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감시지역을 감시할 수 있는 CCTV시스템을 도시한 블럭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를 도시한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의 영상조합 및 영상입출력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 선택버튼부를 이용하여 영상 조합할 수 있는 형태를 도시한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의 팬/틸트/줌 제어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의 자가진단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의 음성통신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면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 팬/틸트/줌 카메라 영상 S1 : 제1 보조 카메라 영상
S2 : 제2 보조 카메라 영상 S3 : 제3 보조 카메라 영상
S4 : 제4 보조 카메라 영상 1 : 팬/틸트/줌 카메라
2 : 보조 카메라 3 : 센서감지장치
4 : 통신연계장치 5 :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
6 : 영상표출부 10 : 송신부
11 :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부 12 :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
13 : 제어 입력장치 14 : 영상조합 선택버튼부
15 : 송신기 음성통신부 16 : 표시부
17 : 송신기 CPU 18 : 송신기 통신부
20 : 수신부 21 : 제어버튼 입력부
22 : 영상처리부 23 : 전류감지장치
24 : 영상동기 검출부 25 : 자가진단부
26 : 메인 CPU 27 : 정보수집장치
28 : 수신기 음성통신부 29 : 위치검출용 가변 저항기
30 : 출력부 31 : 수신기 통신부
32 : 영상 CPU 33 : A/D변환장치
50 :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본 발명은 일정지역의 감시를 위해 형성된 CCTV 시스템의 영상조합, 자가진단/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가진단부에 의해 정확한 장비손실 부분을 미연에 알 수 있어, 유지보수에 따른 시간절감 및 작업의 효율성을 증대할 수 있으면서, 감시지역의 팬/틸트/줌 카메라 및 다수의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부에서 영상조합을 하여 송신부로 송신하기 때문에, 영상회선의 수를 줄여 효율적인 영상전송을 함과 동시에, 양방향으로 음성통신이 가능하여 별도의 음성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인기지와 같이 상시 사람이 상주하지 않은 지역에는 이를 감시하기 위해 CCTV시스템을 이용하여 감시를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CCTV시스템을 도시한 것으로, 팬/틸트/줌 카메라(1)를 이용하여 무인기지와 같은 감시지역을 감시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울타리 및 내부 감시지역에는 다수의 센서감지장치(3)를 구비하여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와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또한, 감시지역에는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에서 촬영한 영상을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5)에 영상을 송신할 수 있도록 수신부(120)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수신부(120)에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송신부(110)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도 2 내지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송/수신부 장치는, 단순히 팬/틸트/줌 카메라의 팬/틸트/줌 구동제어나 영상의 전송을 통한 영상표출부(6)로 표출작업만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와 같이 단순한 구동제어 및 영상표출만을 할 수 있도록 된 송/수신부 장치는 구성부품의 고장 발생시 이를 확인하기 위해 감시지역으로 사람이 투입되어 진단을 한 후, 다시 고장이 발생한 구성요소의 부품을 교체하기 위해 감시지역으로 사람이 투입되어 이를 해결하기 때문에, 고장난 구성부품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과정의 복잡성 및 그에 따르는 시간의 지연으로 인해, 일정기간 동안 감시를 제대로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감시지역의 수신부(120)에서는 단순히 팬/틸트/줌 카메라(1)에서 촬영한 영상만을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5)로 송신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영상전송을 할 수 없었다.
아울러, 감시지역과 메인지기와의 음성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음성통신시설을 설치하여야만 하기 때문에, 최초 시공시 발생하는 비용이 높은 문제점이 노출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팬/틸트/줌 카메라, 보조카메라 및 주변기기의 고장발생 시 고장난 구성요소의 정확한 판단 및 고장이 발생한 부분을 송신부가 설치된 곳인 메인기지에서 확인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절감 및 절차를 간소화하여 조속히 수리를 할 수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송신부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감시지역에 설치된 팬/틸트/줌 카메라 및 다수의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부에서 영상조합을 한 후 송신부로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회선으로도 조합된 영상을 송신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영상전송을 할 수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시지역과 메인기지 간의 음성통신이 양방향으로 가능하여 별도의 음성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는 일정지역을 감시하기 위해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를 구비하고, 감시지역의 외곽과 내부에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센서감지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를 제어할 수 있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제어신호를 통신연계장치를 통해 수신 하여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 중 어느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를 제어함과 동시에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에 영상을 송신하여 다수의 영상표출부로 영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에 설치되는 수신부로 이루어진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는, 팬/틸트/줌 카메라의 팬/틸트/줌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부와, 상기 다수의 영상표출부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출부를 선택하여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로 이루어진 제어 입력장치를 형성하며, 상기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에서 선택한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영상 조합하여 영상표출부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내는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와, 감시지역과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송신기 음성통신부와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에 형성된 수신부는, 상기 송신부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에서 송신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CPU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버튼 입력부와 상기 제어버튼 입력부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편집한 후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로 송신하는 영상처리부를 형성하고, 팬/틸트/줌 카메라의 팬/틸트/줌 구동 및 팬/틸트/줌 카메라의 주변기기들을 구동하기 위해 출력부에서 인가하는 전류량을 검지하여 팬/틸트/줌 카메라와 주변기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전류감지장치와, 팬/틸트/줌 카메라와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의 파형을 이용 하여 렌즈,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동기 검출부로 이루어진 자가진단부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센서감지장치에서 감지된 정보를 정리하여 메인 CPU로 송신하는 정보수집장치와 상기 송신부와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신부 음성통신부를 그 구성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더욱 상세하기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무인기지와 같은 감시지역을 감시하기 위해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감시지역의 울타리 및 내부에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다수의 센서감지장치(3)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는 메인기지에서 감시지역을 세밀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다수개를 형성하며, 특히, 사각지역이 발생하지 않도록 장애물이 있을 때에는 보조 카메라(2)를 사각지역이 발생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센서감지장치(3)들은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센서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울타리의 파손 및 흔들림을 감지할 필요성이 있는 지역에는 진동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설치하고, 출입문 같은 경우에는 적외선 센서 및 자외선 센서 등을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서 도시된 것처럼, 송신부(10)에는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 튼(11)와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12)로 이루어진 제어 입력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11)은 수신부(2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작동을 하며,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12)는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 및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다수의 영상표출부(6)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출부(6)를 선택하여 영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다시 말해, 팬/틸트/줌 카메라(1) 및 보조 카메라(2)와 영상표출부(6)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조합할 수 있도록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를 구비하여, 감시지역의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을 영상 조합한 상태에서 수신부(20)로 하나의 영상회선을 이용해 영상을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는 H/M, PIP1·PIP2·PIP3·H/H·H/O·H/O-2·H/M-M키로 이루어져 있다.
아울러, 감시지역과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양방향 송신기 음성통신부(15)를 구비하고 있으며, 팬/틸트/줌 카메라(1) 및 보조 카메라(2), 주변기기의 고장을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6)를 구비하고 있다.
한편,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 중 어느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1)에 설치되는 수신부(20)는 상기 송신부(10)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에서 영상조합을 위해 제어신호를 보내면, 이를 수신하여 팬/틸트/줌 카메라(1)에서 촬영한 영상과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을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로 영상조합을 할 수 있도록 영상 CPU(32)로 송신하는 제어버튼 입력부(21)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제어버튼 입력부(21)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영상조합을 조합한 후, 상기 조합된 영상을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5)로 송신하는 영상처리부(2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감시지역 내에 있는 구성요소들, 예컨대, 팬/틸트/줌 카메라(1) 및 보조 카메라(2)나, 팬/틸트/줌 카메라(1)의 주변기기인 와이퍼, 조명등의 이상 유무를 감지할 수 있도록 자가진단부(25)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자가진단부(25)는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시 팬/틸트/줌 카메라(1)와 그 주변기기를 구동하기 위해 출력부(30)에서 인가하는 전류량을 검지하는 전류감지장치(23)와 팬/틸트/줌 카메라(1) 및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의 고유 파형을 이용하여 렌즈나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판별할 수 있는 영상동기 검출부(24)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전류감지장치(23)는 출력부(30)에서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을 때에 인가되는 전류량과 주변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을 때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값과 상이한 전류량이 검출되면 표시부(16)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표시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팬/틸트/줌 구동 및 팬/틸트/줌 카메라(1)의 주변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서는 전류가 일정하게 인가되어야만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게 된다.
하지만, 팬/틸트/줌 카메라(1)나 주변기기에서 팬/틸트/줌 구동 및 주변기기의 작동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다시 말해, 각각의 구성요소에 정상적으로 전류가 공급되지 않게 되면 전류감지장치(23)에서는 이를 검출하여 어떠한 구성요소에 고장이 발생하였는지를 알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영상동기 검출부(24)는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을 때의 영상신호의 파형을 미리 저장하여, 상기 저장된 파형과 상이한 파형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부(16)에 표시할 수 있도록 작동한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면,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이 일정치 않게 되면, 그 파형은 정상적이었을 때와는 다른 형태로 오실로스코프에 의해 파형이 그려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이 영상의 파형을 검출할 수 있도록 영상동기 검출부(24)를 구비하여 만약, 상기 전류감지장치(23)에서 렌즈나 카메라와 같은 구성요소에 인가되는 전류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영상동기 검출부(24)에서 검지된 파형이 정상적이었을 때의 파형과 상이하게 되면, 렌즈나 카메라에서 이상이 발생한 것을 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수신부(20)에는 감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센서감지장치(3)에서 무작위로 검지하여 수신하는 감지정보를 메인 CPU(26)로 송신하기 전에 수신 신호를 정리할 수 있는 정보수집장치(27)와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되는 구동량을 측정하여 현재 팬/틸트/줌 구동이 이루어진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위치검출용 가변 저항기(29)와 상기 송신부(10)와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신기 음성통신부(2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크게 영상조합 및 입출력과정과 팬/틸트/줌 구동의 제어과정과 자가진단 과정과 음성통신과정으로 분류된다.
우선, 본원 발명의 영상조합 및 입출력과정을 살펴보면,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감시지역에 설치된 수신부(20)의 팬/틸트/줌 카메라(1)에서 촬영한 영상이 영상동기 검출부(24)를 거쳐 영상처리부(22)로 송신되며, 또한,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도 영상처리부(22)로 영상을 송신하게 된다.
한편, 송신부(10)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형태의 영상조합을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를 이용하여, 도 8에서와 같이 H/M, PIP1·PIP2·PIP3·H/H·H/O·H/O-2·H/M-M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영상조합을 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입력하면, 상기 제어신호는 송신부(10)의 송신부 CPU(17)를 거쳐 송신기 통신부(18)와 통신연계장치(4)에 의해 수신부(20)의 수신기 통신부(31)로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수신기 통신부(31)에서는 송신부(10)에서 송신한 제어신호를 판단하여, 새로운 영상조합에 대한 제어신호 값이 수신되었을 때에는 제어버튼 입 력부(21)로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새로운 형태의 영상조합에 대한 제어신호를 영상 CPU(32)로 송신하게 되며, 또한, 새로운 영상조합에 대한 제어신호 값이 아닐 때에는 바로 영상 CPU(32)로 송신하게 된다.
그런 후, 상기 영상 CPU(32)에서는 수신한 제어신호를 토대로 하여 영상처리부(22)에서 영상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송신하여 영상처리하고, 상기 영상조합된 영상을 하나의 영상회선을 통해,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5)로 송신하여, 최종적으로 영상표출부(6)를 통해 감시자가 볼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본원 발명의 팬/틸트/줌 구동 제어과정을 살펴보면, 송신부(10)에 형성된 제어입력장치(13)의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부(11)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수동으로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송신부(10)의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부(11)를 조작하여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 중 어느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1)에 팬/틸트/줌 구동 제어를 하기 위해 제어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송신부(10)의 송신부 CPU(17)와 송신기 통신부(18) 및 통신연계장치(4)를 거쳐 수신기 통신부(31)로 제어신호가 송신된다.
그러면, 수신기 통신부(31)에서 제어신호를 메인 CPU(26)로 송신하게 되며, 상기 메인 CPU(26)에서는 수신된 제어신호에 따른 전류량을 출력부(30)를 통해 팬/틸트/줌 카메라(1) 및 주변기기에 인가하여 팬/틸트/줌 카메라(1) 및 주변기기들을 구동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을 자동으로 구동시키거나, 센서감지장치(3)와 연동하여 이용할 경우를 살펴보면, 메인 CPU(26)에는 팬/틸트/줌 카메라(1)를 자동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미리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팬/틸트/줌 구동을 하게 되며, 이때에 감시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센서감지장치(3)에 이상 알람이 발생하였을 때에는, 센서감지장치(3)에서 정보수집장치(27)로 신호를 보내어 신호를 정리하여 메인 CPU(26)으로 송신하게 된다.
그러면, 팬/틸트/줌 카메라(1)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검출용 가변 저항기(29)에서는 현재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되어 있는 구동 위치를 파악하여, A/D변환장치(33)로 신호를 보내 디지털신호로 전환하게 되고, 상기 변환된 신호는 메인 CPU(26)에서 다시 연산을 하여 센서감지장치(3)의 알람이 발생한 위치와의 거리를 계산함과 동시에 알람이 발생한 지역으로 팬/틸트/줌 카메라(1)를 구동시킬 수 있도록 팬/틸트/줌 카메라(1)에 전원을 인가하여 알람이 이상 알람이 발생한 지역을 집중감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원 발명의 자가진단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송신부(10)의 제어입력장치(13)를 이용하여 팬/틸트/줌 카메라(1)나 주변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해 제어신호를 송신하게 되면, 송신된 제어신호는 통신연계장치(4)를 통해 수신부(2)의 수신기 통신부(31)를 지나 메인CPU(26)에서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메인 CPU(26)에서는 입력된 제어신호에 의해 팬/틸트/줌 카메라(1)를 구동시키기 위해 출력부(30)로 제어신호를 보내 팬/틸트/줌 카메라(1) 및 주변기기의 구동을 위해 필요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하게 되는데, 이때에, 상기 전류감지장치(23)에서는 출력부(30)에서 팬/틸트/줌 카메라(1)로 인가하는 전류량을 지속적으로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부나 와이퍼, 렌즈, 카메라 등에 이상이 발생하게 되면, 팬/틸트/줌 카메라(1)로 인가되는 전류가 제대로 인가되지 않게 되며, 이것을 전류감지장치(23)에서 감지하여 메인 CPU(26)로 전송하게 되고, 상기 전송된 신호는 수신기 통신부(31)와 통신연계장치(4) 및 송신기 통신부(18), 송신기 CPU(17)를 거쳐 표시부(16)를 통해 표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전류감지장치(23)의 작동과 동시에 팬/틸트/줌 카메라(1)의 영상을 검출하는 영상동기 검출부(24)도 작동을 하게 된다.
상기 영상동기 검출부(24)는 메인 CPU(26)에서 정상적이었을 때의 팬/틸트/줌 카메라(1)에서 촬영한 영상에 대한 파형을 미리 저장하고 있는 상태에서, 영상의 끊김 현상에 의해 파형의 변화가 생겼을 때에는 메인 CPU(26)로 신호를 송신하여, 수신기 통신부(31), 통신연계장치(4), 송신기 통신부(18), 송신기 CPU(17)를 거쳐 표시부(16)로 표출함으로써, 자가진단의 소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는, 통상적으로 무인기지와 같은 감시지역을 감시하는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에 이를 확인하기 위한 작업 및 확인 후 사후조치에 따른 시간 및 인력낭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음성통신과정을 살펴보면, 송신부(10)와 수신부(20)에서 연락을 위한 목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래에는 감시를 위한 장비와 음성통신을 위한 장비를 별도로 설치함으로써, 설치비용 단가가 높아지는 폐단을 없애고자 별도의 통신라인을 구성하지 않더라도, 감시를 위한 장비와 연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는 팬/틸트/줌 카메라, 보조카메라 및 주변기기의 고장발생 시 고장난 구성요소의 정확한 판단 및 고장이 발생한 부분을 송신부가 설치된 곳인 메인기지에서 확인이 가능하여, 유지보수에 따른 비용절감 및 절차를 간소화하여 조속히 수리를 할 수 있다.
또한, 송신부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감시지역에 설치된 팬/틸트/줌 카메라 및 다수의 보조 카메라에서 촬영한 영상을 수신부에서 영상조합을 한 후 송신부로 전송하기 때문에, 하나의 영상회선으로도 조합된 영상을 송신할 수 있어 보다 효율적인 영상전송을 할 수 있다.
아울러, 감시지역과 메인기지 간의 음성통신이 양방향으로 가능하여 별도의 음성장비를 설치하지 않아도 되어 비용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Claims (4)

  1. 일정지역을 감시하기 위해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를 구비하고, 감시지역의 외곽과 내부에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와 연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 다수의 센서감지장치(3)를 형성하며, 상기 팬/틸트/줌 카메라(1)를 제어할 수 있는 송신부 및 상기 송신부의 제어신호를 통신연계장치(4)를 통해 수신하여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 중 어느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1)를 제어함과 동시에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5)에 영상을 송신하여 다수의 영상표출부(6)로 영상을 표출할 수 있도록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1)에 설치되는 수신부로 이루어진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10)는,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을 제어할 수 있는 팬/틸트/줌 카메라 제어버튼부(11)와, 상기 다수의 영상표출부(6) 중 어느 하나의 영상표출부(6)를 선택하여 다수의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 중 어느 하나의 영상을 선택하여 표출할 수 있도록 제어하는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12)로 이루어진 제어 입력장치(13)를 형성하며, 상기 카메라/모니터 선택버튼부(12)에서 선택한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을 다양한 형태로 영상 조합하여 영상표출부(6)에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신호를 보내는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와, 감시지역과의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송신기 음성통신부(15)와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 및 주변기기의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 표시부(16)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하나의 팬/틸트/줌 카메라(1)에 형성된 수신부(20)는, 상기 송신부(10)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에서 송신한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영상 CPU(32)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버튼 입력부(21)와 상기 제어버튼 입력부(21)의 제어신호를 수신하여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을 편집한 후 영상 입출력 제어장치(5)로 송신하는 영상처리부(22)를 형성하고, 팬/틸트/줌 카메라(1)의 팬/틸트/줌 구동 및 팬/틸트/줌 카메라(1)의 주변기기를 구동하기 위해 출력부(30)에서 인가하는 전류량을 검지하여 팬/틸트/줌 카메라(1)와 주변기기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전류감지장치(23)와,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에서 촬영한 영상의 파형을 이용하여 렌즈, 카메라의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는 영상동기 검출부(24)로 이루어진 자가진단부(25)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다수의 센서감지장치(3)에서 감지된 정보를 정리하여 메인 CPU(26)로 송신하는 정보수집장치(27)와 상기 송신부(10)와 음성통신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수신기 음성통신부(28)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부(10)의 영상조합 선택버튼부(14)는 H/M, PIP1·PIP2·PIP3·H/H·H/O·H/O-2·H/M-M키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20)의 전류감지장치(23)는 출력부(30)에서 팬 /틸트/줌 카메라(1)와 주변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을 때에, 팬/틸트/줌 구동 및 주변기기의 구동을 하기 위해 인가되는 전류량을 저장하여, 상기 저장된 전류량과 상이한 전류량이 검출되면 표시부(16)에 표시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20)의 영상동기 검출부(24)는 팬/틸트/줌 카메라(1)와 보조 카메라(2)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였을 때의 영상신호의 파형을 저장하여, 저장된 파형과 상이한 파형이 검출되었을 때에 표시부(16)에서 표시할 수 있도록 작동하는 것에 특징이 있는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KR1020070034041A 2006-12-15 2007-04-06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KR100731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41A KR100731592B1 (ko) 2007-04-06 2007-04-06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JP2007259813A JP2008154213A (ja) 2006-12-15 2007-10-03 Cctvを利用した監視システム及び監視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34041A KR100731592B1 (ko) 2007-04-06 2007-04-06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31592B1 true KR100731592B1 (ko) 2007-06-22

Family

ID=383732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4041A KR100731592B1 (ko) 2006-12-15 2007-04-06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3159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59A (ko) 2016-12-27 2018-07-0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예측 진단 장치 및 감시 시스템
CN111953822A (zh) * 2019-05-15 2020-11-1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120B1 (ko) * 2006-02-10 2006-10-2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재감시 시스템
KR100709893B1 (ko) * 2006-12-15 2007-04-19 주식회사 영국전자 실시간 사각지역 없이 집중감시 가능한 cctv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8120B1 (ko) * 2006-02-10 2006-10-24 주식회사 영국전자 화재감시 시스템
KR100709893B1 (ko) * 2006-12-15 2007-04-19 주식회사 영국전자 실시간 사각지역 없이 집중감시 가능한 cctv 시스템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등록특허공보 10-0638120
등록특허공보 10-0709893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6059A (ko) 2016-12-27 2018-07-05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주식회사 예측 진단 장치 및 감시 시스템
US10848755B2 (en) 2016-12-27 2020-11-24 Hanwha Techwin Co., Ltd. Predictive diagnostic device and monitoring system
CN111953822A (zh) * 2019-05-15 2020-11-17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22017B1 (ko) Cctv를 이용한 지능형 감시시스템 및 지능형 감시방법
KR100685979B1 (ko)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및 방법
KR20050086180A (ko) 무선 단말기 연동형 홈 네트워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20150080080A (ko) 위험시설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및 방법
KR20090078186A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감시 정보 전송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205265B1 (ko) 오류 자가진단 능력을 구비하는 감시용 카메라 시스템
KR100735878B1 (ko) 일체화된 영상장치 테스트 장비
KR102407514B1 (ko) 원격제어반과 cctv카메라를 이용한 통신 및 제어 이중화 원격 감시 제어시스템
KR100731592B1 (ko) 영상조합/자가진단 및 음성통신이 가능한 송/수신장치
KR200413332Y1 (ko)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보안 감시 시스템
KR101241582B1 (ko) 방범 폐쇄회로티브이 설비의 원격관리시스템
KR20090076424A (ko) 열차 출입문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20050246418A1 (en) Server and display device
KR102093615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KR100709894B1 (ko) 무인기지 원격감시 시스템
KR101065646B1 (ko) 통신장비실의 원격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600082B1 (ko) 영상장치가 부가된 화재감지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062432B1 (ko) 엘리베이터의 비상벨 호출에 따른 경비실 및 방제실의 제어시스템
KR20060083061A (ko) 폐쇄회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의 카메라 병렬연결 시오결선 보호 장치
JP3969839B2 (ja) 画像監視装置
JP2654697B2 (ja) 計測制御システム
KR200406523Y1 (ko) 일체화된 영상장치 테스트 장비
JP2000264398A (ja) 給油装置の遠隔保守システム
KR100731324B1 (ko) 지능형 원격제어기
KR102514608B1 (ko) 탈부착형 cctv 고장 자가진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