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6514B1 -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 Google Patents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16514B1
KR101816514B1 KR1020170032678A KR20170032678A KR101816514B1 KR 101816514 B1 KR101816514 B1 KR 101816514B1 KR 1020170032678 A KR1020170032678 A KR 1020170032678A KR 20170032678 A KR20170032678 A KR 20170032678A KR 101816514 B1 KR101816514 B1 KR 101816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unit
panel
maintenanc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26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일환경테크
Priority to KR10201700326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5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도록 기존에 설치된 상하수도 감시제어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설치하여 이에 따른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시설의 고장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이 강화되고, 중앙감시실에서 관련시설의 고장을 파악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적용하여 선로 고장 및 전송설비에 문제가 있을 시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되지는 종래 감시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제이터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고장발생 신호를 중앙감시반에서 전송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감시반 복구가 완료되면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유지관리 시간의 단축 및 유지보수의 신속성이 향상되고,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광범위한 구역으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함에 있어서 관련 데이터 등을 쉽게 분석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과 연계, 별도의 고장 및 예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기존의 상하수도 감시 제어 시스템에 용이하게 접목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이에 따른 보급화를 통해 상하수도 계통의 감시 및 제어시스템 분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은 상하수도 계통에 설치된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설정 주기에 따른 시간에 따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수도 계통의 주요시설에 대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감시제어반 및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는 상기 주요시설에 대한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되,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시 상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기 감시제어국을 대신해 현장에서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관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의 이상으로 상기 전송 제어부를 통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시 상기 데이터를 확보하되,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부 및 통신포트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출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증폭기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로 배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재생하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주제어부와 입력부와 증폭기와 인터페이스 보드 및 스피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장치와, 상기 주 전원장치의 기능상실 시에 대체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진단부를 가져 상기 관리패널이 자체 문제로 인한 데이터 수집, 저장 및 데이터 전송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가진단을 통한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PANEL FOR MAINTENANCE MANAGEMENT OF WATERWORKS AND SEWAGE OBSERVATION SYSTEM}
본 명세서에 개시된 내용은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도록 각 시설에 대한 제어 기능과, 그 제어 상태나 제어 결과 등에 대한 감시기능을 수행하는 감시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설치하여 이에 따른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련시설의 고장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이 강화되도록 함으로써 유지보수의 신속성이 구현되는 상하수도 시설 통합 제어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상하수도는 지하에 매설되며, 적정 기간이 지나면 노후에 의해 부식되거나 자연적 또는 인위적인 외력 등에 의해 파손 등이 발생되어 누수가 발생된다.
상기된 바에 의해 상수도의 경우 급수공급의 차질이 발생되거나 하수도의 경우 수질 오염 등의 문제가 발생되게 되며, 이를 복구하기 위한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됨과 함께 다양한 피해가 발생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수도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에서 청음봉 등의 누수탐사장비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무작위로 누수탐사를 시행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누수탐사방식은 정확성이 결여될 뿐만 아니라 광범위한 지역을 무작위로 탐사하는 방식으로서, 투입되는 인력과 비용에 비해 실효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근래에는 상하수도가 매립된 지역에 별도의 구역으로 나누고, 각각의 구역으로 지정된 영역에 별도의 감시 장치를 설치하여 각각의 구역에서 관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이를 하나의 상하수도 관측소에서 포괄적으로 운영 및 감시하는 감시제어 시스템이 접목되어 사용된다.
상기된 바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소 계통에는 블록 단위로 유량계, 압력계 및 수질 기타 관측장비를 사용하여 운영 및 관리하는 감시제어 시스템이 사용되며, 이 감시제어 시스템은 유량계 및 압력계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로거 메모리에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기록 및 저장한다. 또한, 저장된 데이터는 감시제어국으로부터의 자료 전송 요구 또는 기타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용선 모뎀, 인터넷 모뎀 또는 CDMA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게 일반적이다.
이러한 종래의 상하수도 감시제어 시스템은 상하수도 분야의 원격감시제어장치에 있어서 주요시설의 고장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하여 중앙감시반에서 원인분석을 수행한다.
즉, 기존에는 중앙감시실에서 관련시설의 고장을 파악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적용하도록 하였는데, 이는 선로 고장 및 전송설비에 문제가 있을 때에는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되지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고장발생 신호를 중앙감시반에서 전송이 불가능 할 경우에는 데이터 확보 자체가 어려워 감시반 복구가 완료되어도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어 유지보수의 신속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는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광범위한 구역으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함에 있어서 관련 데이터 등을 쉽게 분석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과 연계, 별도의 고장 및 예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음을 시사한다.
1. 한국 특허등록 제10-0721933호(2007.05.18)
2. 한국 특허등록 제10-0685794호(2007.02.15)
3. 한국 특허등록 제10-0523856호(2005.10.18)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도록 기존에 설치된 상하수도 감시제어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설치하여 이에 따른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시설의 고장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이 강화되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중앙감시실에서 관련시설의 고장을 파악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적용하여 선로 고장 및 전송설비에 문제가 있을 시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되지는 종래 감시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제이터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고장발생 신호를 중앙감시반에서 전송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감시반 복구가 완료되면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유지관리 시간의 단축 및 유지보수의 신속성이 향상되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광범위한 구역으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함에 있어서 관련 데이터 등을 쉽게 분석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과 연계, 별도의 고장 및 예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기존의 상하수도 감시 제어 시스템에 용이하게 접목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이에 따른 보급화를 통해 상하수도 계통의 감시 및 제어시스템 분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의한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은, 상하수도 계통에 설치된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설정 주기에 따른 시간에 따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수도 계통의 주요시설에 대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감시제어반 및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는 상기 주요시설에 대한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되,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시 상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기 감시제어국을 대신해 현장에서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관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의 이상으로 상기 전송 제어부를 통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시 상기 데이터를 확보하되,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부 및 통신포트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출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증폭기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로 배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재생하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주제어부와 입력부와 증폭기와 인터페이스 보드 및 스피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장치와, 상기 주 전원장치의 기능상실 시에 대체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진단부를 가져 상기 관리패널이 자체 문제로 인한 데이터 수집, 저장 및 데이터 전송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가진단을 통한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주요시설의 선로 또는 전송 설비의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로깅방식으로 확보되게 한다.
삭제
이상에서와 같은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은,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도록 기존에 설치된 상하수도 감시제어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설치하여 이에 따른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시설의 고장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이 강화되는 장점을 갖는다.
중앙감시실에서 관련시설의 고장을 파악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적용하여 선로 고장 및 전송설비에 문제가 있을 시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되지는 종래 감시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제이터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고장발생 신호를 중앙감시반에서 전송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감시반 복구가 완료되면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유지관리 시간의 단축 및 유지보수의 신속성이 향상되는 장점을 갖는다.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광범위한 구역으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함에 있어서 관련 데이터 등을 쉽게 분석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과 연계, 별도의 고장 및 예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장점을 갖는다.
기존의 상하수도 감시 제어 시스템에 용이하게 접목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이에 따른 보급화를 통해 상하수도 계통의 감시 및 제어시스템 분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실물을 보여주는 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이 현장감시제어반에 적용되는 예를 기존방식과 비교하여 함께 보인예.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6과 도 7은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에서 고장점을 이용하여 주요시설의 문제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을 보인 예.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제어부에 구비된 자기진단부의 자기진단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제어부에 구비된 자기진단부를 통한 자기 진단 방법 예의 순서도.
도 10과 도 11는 본 개시의 관리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상하수도 감시 시스템 모바일 웹 서비스의 사용예를 보인 예.
도 12와 도 15은 본 개시의 관리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상하수도 감시 시스템 모바일 웹 서비스의 구성요소를 보여주는 예.
도 16 내지 도 22는 본 개시의 관리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상하수도 감시 시스템 모바일 웹 서비스의 판단기준을 설명하기 위한 예.
도 23과 도 24는 도 16 내지 도 22의 관리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상하수도 감시 시스템 모바일 웹 서비스의 판단시 관정 구성도와 데이터 통신 흐름도의 각각을 보여주긴 위한 예.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수질, 대기, 수위, 전압, 전력, 전류, 유량, 적산량, 펌프, 선로, 전송설비, 각종 센서, 누설전류, 인버터, 침수, 망실, 무정전, 누전, 밸브, 유입, 유출, 배수장, 펌프장, 펌프 펄트(fault), 통신, 모뎀, 2차전지, 데이터베이스,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MMI(Man and Machine Interface]) / HMI(Human and Machine Interface]), 자바(java), 서버, 파라미터, 다운로드, 애플리케이션, 델파이(Delphi), 패킷, CDMA, 태그, 라이브러리, 업데이트 등 본 개시가 속한 분야의 상하수도 시설 및 이를 제어하기 위한 감시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에 대하여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개시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실물을 보여주는 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본 개시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이 현장감시제어반에 적용되는 예를 기존방식과 비교하여 함께 보인예,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개시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시스템의 유지 보수용 패널은 현장감시제어반(100), 관리패널(2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현장감시제어반(100)은 상하수도 관측소 계통에 블록 단위로 유량계, 압력계 및 수질 기타 관측장비를 사용하여 운영 및 관리하는 감시제어 시스템으로서, 유량계 및 압력계 등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감지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로거 메모리에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기록 및 저장하며, 저장된 데이터는 감시제어국으로부터의 자료 전송 요구 또는 기타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전용선 모뎀, 인터넷 모뎀 또는 CDMA 통신망을 통하여 전송되며, 통상 AC 전원에 의해 운영 및 관리가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된 바를 위해 본 개시의 현장감시제어반(100)은 상하수도 계통에 설치된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설정 주기에 따른 시간에 따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110)와 데이터 수집부(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감시제어국(미도시)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120)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수도 계통의 주요시설에 대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본 개시의 데이터 수집부(110)는 상하수도 계통에 설치된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수집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수집하여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측정센서는 측정 유로의 각 측정 지점에 설치된 유량계 및 압력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수집부(110)는 전술된 측정센서로부터 전송되는 BCD 코드 형태 또는 펄스 형태의 데이터를 입력받으며, 아날로그 입력보드(AICB)를 장착할 경우에는 4~20mA, 0~1V 및 0~5V의 아날로그 신호를 처리할 수 있고, 디지털 입출력보드를 장착할 경우에는 최대 32-point의 디지털 접점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또한 RS-232C 포트를 구비하여 무선통신 모뎀을 장착함으로써 데이터를 수집할 수도 있다. 이러한, 데이터 수집부(110)가 측정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수집 주기는 사전에 설정되며, 사용자의 설정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설정 가능한 수집 주기는 1분, 5분, 10분, 20분, 30분 및 60분으로 할 수 있으며, 수집 주기를 시간에 의해 설정하지 않고 특정한 이벤트 발생시마다, 즉 측정된 데이터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범위를 벗어날 때마다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집부(110)는 데이터 저장 방식으로 순환(circular) 저장 방식을 사용하여 메모리 공간이 부족할 경우 자동으로 가장 오래된 데이터부터 순차적으로 제거되면서 새로 수집한 데이터가 저장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메모리에 저장된 자료는 자체 구비된 백업용 배터리에 의해 전원 공급이 없는 경우에도 안전하게 보존되게 할 수 있으며, 데이터 수집부(110)에 저장된 데이터는 후술될 전송 제어부(120)에 의해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직접 노트북 등의 장치를 연결하여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수집부(110)로부터 다운로드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전송 제어부(120)는 데이터 수집부(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사전에 설정된 전송 주기에 대응하는 시간 간격으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되, 데이터의 값이 사전에 설정된 기준 범위에 속하지 않는 경우에는 데이터가 수집된 시점에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도록 한다. 물론, 사용자가 지정한 주기와 시간외에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전송되도록 하고, 이를 데이터화함으로써 상하수의 유량 또는 상태에 따른 수질 개선의 사전 관리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상하수의 압력, PH, 오염도 등을 고려한 수질과 관련된 정보의 제공이 가능하며, 이를 위해 전술된 유량계 및 압력센서외에 온도센서, 전기전도도 센서, PH 센서 등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전송 제어부(120)가 저장된 데이터를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CDMA 통신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송 제어부(120)는 별도로 구비된 CDMA 모뎀을 사용하여 감시제어국의 TM서버에 장착된 CDMA 모뎀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기타 VHF 무선 모뎀 또는 전용선 모뎀(2W/4W)을 이용한 보조 통신망을 통해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전송 제어부(120)가 데이터 수집부(110)에 저장된 데이터를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는 방식은 사전에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전송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수집 주기에 따라 데이터 수집부(110)에서 수집 및 저장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감시제어국에서 상하수도 계통을 주기적으로 관측할 수 있고,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즉 누수 등으로 인한 유량 및 유압 감소 등의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는 이를 즉시 감시제어국에 알릴 수 있다. 한편, 감시제어국으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요청에 의해 전송 제어부(120)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며,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의 값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 외에 전원 공급의 이상과 같은 원격 단말 장치 자체에 이상이 발생한 경우에도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와 함께 이상 발생을 나타내는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CDMA 망이 사용중이라면 SMS(문자 메시지)를 통하여 전송할 수 있고, 감시제어국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데이터 전송이 될 수 있으며, 전송 요청시의 시점뿐만 아니라 요청 이전의 데이터 및 요청 시점 이후로의 실시간 데이터를 모두 전송하여 표출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현장감시제어반(100)은 데이터 수집부(110)와 전송 제어부(120)외에 전원 제어부(130)와 스크린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제어부(130)는 외부의 태양전지 모듈, 축전지 및 AC 전원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수집부(110) 및 전송 제어부(120)에 전원을 공급하되, 데이터 수집부(110) 및 전송 제어부(120)가 동작하지 않으면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데이터 수집부(110)가 측정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간에만 데이터 수집부(110)로 전원을 공급하며, 전송 제어부(120)가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간에만 전송 제어부(120)로 전원을 공급한다.
스크린부(220)는 전원 제어부(130)에 의한 전원 공급 상태, 감시제어국과의 통신 상태, 측정센서로부터의 데이터 수집 상태 및 에러 발생 여부를 나타내는 램프와, 사용자로부터 설정 변경의 조작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조작키와, 데이터 수집부(110)에 의해 수집된 데이터의 값 및 조작명령에 따른 설정 내용을 화면에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현장감시제어반(100)은 본 출원인이 2010년 04월 14일에 출원하여 2012년 02월 28일에 특허 등록받은 등록번호 제10-1123819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의 문헌에 기재 및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 것으로 보다 자세한 설명은 상기의 문헌을 대신하기로 하기로 한다. 물론, 상기 문헌의 현장감시제어반(100)의 구성에 국한하지 않고 시중에 사용되고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갖는 감시제어반이 본 개시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현장감시제어반에는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이 연동되게 설치된다.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은 상하수도 분야의 원격감시제어장치 즉, 현장감시제어반에 있어서 주요시설의 고정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을 강화하기 위해 중앙감시반에서 원인분석을 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 관련 데이터 등을 쉽게 분석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유지보수에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과 연계, 별도의 고장 및 예방이 가능하도록 하는 특징을 갖는다. 즉, 기존에는 중앙감시실에서 관련시설의 고장을 파악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적용하였으나 선로 고장 및 전송설비에 문제가 있을 때의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되지 않는 문제점을 보완하도록 기존 신호체계에 접목하는 별도의 장치로 설치함으로써 현장에서 이에 따른 데이터 분석을 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은 현장감시제어반(100)에 연결되어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는 주요시설에 대한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되,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시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감시제어국을 대신해 현장에서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러한, 관리패널(200)은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어떤 사건이 일어나면 그 사건에 대하여 시간 순서대로 기록되게 하는 데이터로깅 방식으로 확보되게 한다. 이에 의한,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은 현장감시제어반(100)의 이상으로 전송 제어부(120)를 통해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시 데이터를 확보하게 된다. 즉,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은 비행기 등에 사용되는 블랙박스의 기능을 가져 고방발생 신호를 중앙감시반에 전송이 불가능할 경우 데이터를 저장하여 확보한 후, 현장감시제어반(100)의 복구가 완료 되는대로 관련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이를 통해 유지보수의 신속성을 기여할 수 있게 되고, 고장 발생에 예측 및 대비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은 주요시설의 선로 또는 전송 설비의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다. 이때, 고장점 선정에 의한 관리종목을 살펴보면, 누설전류 경보 기능, 전력상태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압력/유량 상태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인버터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침수,망실,도난에 대한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전송설비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무정전 설비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누전에 대한 이상관리의 고장점 지정, 기타 데이터의 저장 및 Trend의 고장점 지정, 펌프에 의한 고장점 등이다.
도 6과 도 7은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에서 고장점을 이용하여 주요시설의 문제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을 보인 예이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이 상기 고장점 관리종목에서의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주요시설의 문제 발생을 예측하는 방법을 펌프에 의한 고장점과 수위에 대한 고장점을 예로서 도 6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펌프에 의한 고장점은 도 6의 좌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전류, 수압 등의 관련항목의 설정된 값을 센서로 감지하고, 이를 데이터로서 전송받아 저장한다. 이때, 도 6의 우측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펌프 작동의 문제발생으로 주파수 등의 값에 변화가 발생되며 이를 감지하고, 데이터로깅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확보하게 된다. 한편, 수위에 의한 고장점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개도, 유입압력과 유출압력의 각각의 유량 등의 관련항목을 파악하여 데이터로서 전송받으며, 문제발생에 의해 상기의 밸브개도, 유입압력과 유출압력의 각각의 유량의 변동으로 데이터 값에 변화가 발생되면 전술된 데이터로깅 방식으로 데이터를 저장 및 확보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펌프에 의한 고장점과 수위에 의한 고장점의 문제 발생 예측 방법 등을 토대로 설명하지 않은 나머지 전술된 고장점 관리종목에서의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로서 문제발생에 대한 예측방법의 유추가 가능함으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은 하우징(210), 제어부, 스크린부(220), 전원부, 데이터저장부,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된 관리패널(200)을 각각의 구성요소와 함께 그에 따른 규격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제어부와 전원부와 데이터저장부 및 데이터전송부는 하우징(210) 내부에 탑재된 구성이므로 별도의 도면 및 도면부호를 기재하지 않는다.
하우징(210)은 직육면체의 패널의 형태로 현장감시제어반(100)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부(212) 및 통신포트(214) 등이 측면에 구비된다. 이때, 통신포트는 RS-232와 RS-422/485 등 다양한 통신포트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하우징(210)의 내부에는 PCB 또는 PWB 등의 형태를 갖는 제어부가 내부에 탑재된다. 이때, 메모리는 128MByte DDR2로 충분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제어부는 자기진단부를 가져 관리패널(200)의 자체 문제로 인한 데이터 수집 및 저장 그리고 데이터 전송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가진단을 통한 문제 해결이 가능하도록 한다. 여기서 본 개시에 따른 제어부에 구비된 자기진단부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제어부에 구비된 자기진단부의 자기진단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의 제어부에 구비된 자기진단부를 통한 자기 진단 방법 예의 순서도이다.
전술된 바와 같은 본 개시의 자기진단부를 통해 각 에러 상황이나 이상상황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예를 도 8과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은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M)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I)와, 입력부(I)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증폭기(4)와, 주제어부(M)의 제어를 받아 증폭기(4)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로 배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5)와, 증폭기(4)에서 증폭된 신호를 재생하는 스피커와, 상기의 구성요소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장치(6)와, 주 전원장치(6)의 기능상실 시에 대체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장치(7)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원격 단말 장치는 스피커에 대한 언급이 없으나 통상적으로 장치의 이상유뮤에 관련하여서는 빛 또는 소리 및 진동 등을 포함하는 구성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므로 스피커 등과 같은 알림장치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을 가정하에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각 구성요소로 전달 및 송출되는 신호의 입출력 유무를 감지하는 테스트 포인트(TP), 각 테스트 포인트(TP)로부터 감지된 정보를 취합하는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 각 테스트 포인트(TP)에 신호를 입력 또는 출력하고,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로부터 취합된 정보를 판단하여 고장진단을 하는 진단장치 제어부(2)를 포함하는 고장진단 모듈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도 8을 참고하면, 크게 입력부(I), 주제어부(M), 증폭기(4), 인터페이스 보드(5), 스피커로 구성되되, 각 구성요소에 도 8과 같이 테스트 포인트(TP-a, TP-a', TP-b, TP-b', TP-c, TP-c', TP-d)를 설치하게 된다.
이때, 도 8과 같이 설치된 테스트 포인트(TP-a, TP-a', TP-b, TP-b', TP-c, TP-c', TP-d)들은 각기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에 연결되고, 이러한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는 각 테스트 포인트(TP-a, TP-a', TP-b, TP-b', TP-c, TP-c', TP-d)에서 전달된 정보를 취합하여 진단장치 제어부(2)에 전달한다. 여기서,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가 별도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명료함을 위한 것이며, 본 개시의 스크린부(220)가 상기된 기능을 함에 있어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한다. 여기서,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가 별도의 구성으로서 스크린부(220)와 함께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진단장치 제어부(2)는 각 테스트 포인트(TP-a, TP-a', TP-b, TP-b', TP-c, TP-c', TP-d)로부터 전달된 정보를 도 9와 같은 순서로서 판단하여 고장진단을 하게 된다.
즉, 도 9를 참조하면, 고장진단 순서는, 장치의 이상을 확인하는 단계(A), 각 테스트 포인트(TP-a, TP-a', TP-b, TP-b', TP-c, TP-c', TP-d)의 신호 미감지부분을 감지하는 단계(B), 미감지 부분의 신호라인에서, 미감지 부분의 테스트 포인트(TP)보다 신호도달 순서가 빠른순서로 인접 테스트 포인트(TP)들의 신호 입력을 확인하는 단계(C), 신호가 확인된 테스트 포인트(TP)와 신호 미감지 부분의 테스트 포인트(TP)사이의 이상 부품을 판단하는 단계(D), 이상 부품 및 신호 미감지 테스트 포인트(TP)를 보고하는 단계(E)로 진행된다.
만약, 한 신호라인에서 신호 미감지 테스트 포인트(TP)가 다수 감지된다면, 진단장치 제어부(2)에서 신호도달 순서가 가장 빠른 테스트 포인트(TP)로 점검신호(a)를 입력하는 단계(F), 나머지 테스트 포인트(TP)들의 점검신호(a)의 입력유무를 확인하는 단계(G)를 더 거쳐 이상 부품을 판단하는 단계(D)로 이어진다.
상기된 바를 도 8을 참조하여 예를들어 설명하면, 신호 미감지 부분이 테스트 포인트(TP-c)라면, 신호도달 순서는 입력부(I), 주제어부(M), 증폭기(4), 스피커의 순서이므로, 테스트 포인트(TP-c)보다 신호도달 순서가 빠른 인접 테스트 포인트(TP-b')의 신호 입력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 포인트(TP-b')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다면, 입력되는 신호가 증폭기(4)에서 망실되고 있으므로, 고장부위는 증폭기(4)가 되고, 진단장치 제어부(2)에서 미감지된 테스트 포인트(TP-c)와 함께 리포팅(reporting)하여 송신부(3)를 통해 관리자에게 SMS, VMS로 송신하고, 진단결과 표시장치인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에 이를 표출하게 된다.
만약, 신호 미감지 부분이 테스트 포인트(TP-b')라면, 신호도달 순서는 입력부(I), 주제어부(M), 증폭기(4), 인터페이스 보드(5), 스피커의 순서이므로, 테스트 포인트(TP-b')보다 신호도달 순서가 빠른 인접 테스트 포인트(TP-b)의 신호 입력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테스트 포인트(TP-b)의 신호가 정상적으로 입력되고 있다면, 입력되는 신호가 테스트 포인트(TP-b')와 테스트 포인트(TP-b)를 연결하는 전선에서 망실되고 있으므로, 고장부위는 테스트 포인트(TP-b')와 테스트 포인트(TP-b)사이의 전선이 되고, 진단장치 제어부(2)에서 미감지된 테스트 포인트(TP-b')와 함께 리포팅하여 송신부(3)를 통해 관리자에게 SMS, VMS로 송신하고, 진단결과 표시장치인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에 이를 표출하게 된다.
만약, 신호 미감지 테스트 포인트(TP)가 한 신호라인에서 다수(TP-b, TP-b', TP-c, TP-c')가 감지된다면, 진단장치 제어부(2)에서 신호도달 순서가 가장 빠른 테스트 포인트(TP-b)로 점검신호(a)를 입력하고, 나머지 테스트 포인트(TP-b', TP-c, TP-c')의 점검신호(a)의 입력유무를 확인하게 된다.
즉, 나머지 테스트 포인트(TP-b', TP-c, TP-c')의 점검신호(a)가 정상적으로 감지된다면, 나머지 부분은 정상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테스트 포인트(TP-b)로 신호를 보내주는 주제어부(M)를 고장부위로 판단하여, 이를 송신부(3)를 통해 관리자에게 SMS, VMS로 송신하고, 진단결과 표시장치인 진단장치 인터페이스(1)에 이를 표출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은 자기진단부를 통해 각 에러 상황이나 이상상황을 구분하여 사용자에게 표출하는 작용 및 방법은 본 개시를 보다 쉽고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예로서 이에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자기진단의 방법으로 표출되게 할 수 있음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사항에 해당됨은 물론이다.
스크린부(220)는 하우징(210)의 일측에 설치되며 현장감시제어반(100)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출된다. 스크린부(220)는 액정표시장치(LCD)로서 LCD SIZE : 7 inch wide, LCD TYPE : TFT Color, Color : 65,536 Color, 휘도(Luminance) : 400 cd/㎡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원부는 제어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한다. 본 개시의 전원부는 현장감시제어반(100)에서 사용되는 외부의 태양전지 모듈, 축전지 및 AC 전원부 등에 의해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 물론, 별도의 내부 배터리가 함께 구비되어 상기된 태양전지 모듈, 축전지 및 AC 전원부의 이상시에 대한 비상 전원의 확보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본 개시는 정격전압 -A:AC100~240V / -D:DC24V 및 소비전력 6W가 적합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데이터저장부는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한다. 이러한, 본 개시의 데이터저장부는 앞서 설명된 현장감시제어반의 데이터 수집부(110)와 같이 상하수도 계통에 설치된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수질, 대기, 수위, 전압, 전류, 유량, 펌프상태 등의 데이터를 수집하여 저장한다.
데이터전송부는 데이터를 모뎀 등을 이용한 통신망을 통해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도록 한다. 이러한, 본 개시의 데이터전송부는 앞서 설명된 현장감시제어반(100)의 전송 제어부(120)와 같이 전송 제어부(120)가 저장된 데이터를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CDMA 통신모듈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전송 제어부(120)는 별도로 구비된 CDMA 모뎀을 사용하여 감시제어국의 TM서버에 장착된 CDMA 모뎀과 데이터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와이파이, 블루투스, 지그비, 아두이노 등의 다양한 무선통신기술의 조합되어 접목될 수 있다.
한편, 전술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상하수도 감시 시스템 모바일 웹 서비스의 사용예가 도 10과 도11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를 위한 구성요소가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의 프로그램의 판단기준은 도 16 내지 도 22에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 23과 도 24는 도 16 내지 도 22의 관리패널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인 상하수도 감시 시스템 모바일 웹 서비스의 판단시 관정 구성도와 데이터 통신 흐름도의 각각을 보여주긴 위한 예이다. 상기된 바를 통해 본 개시의 관리패널(200)의 사용예, 그리고 이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사용된 프로그램 및 이의 판단기준 등을 도시된 바를 통해 쉽게 확인 가능하므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된 바에 따른 본 개시의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은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하도록 기존에 설치된 상하수도 감시제어 시스템의 제어장치에 설치하여 이에 따른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이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리시설의 고장점에 대한 유지관리 기능이 강화되고, 중앙감시실에서 관련시설의 고장을 파악 분석하여 유지보수에 적용하여 선로 고장 및 전송설비에 문제가 있을 시 이에 따른 데이터의 저장 및 관리가 되지는 종래 감시시스템의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으며, 주요시설의 데이터를 현장에서 분석하고 제이터를 저장 및 관리함으로써 고장발생 신호를 중앙감시반에서 전송이 불가능 할 경우에도 데이터 확보가 가능하고, 감시반 복구가 완료되면 관련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어 유지관리 시간의 단축 및 유지보수의 신속성이 향상되고, 다수의 지역 시설들로 광범위한 구역으로 구성되는 상하수도 시설을 관리함에 있어서 관련 데이터 등을 쉽게 분석하고 유지관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시설물과 연계, 별도의 고장 및 예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기존의 상하수도 감시 제어 시스템에 용이하게 접목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하여 경제적이며, 이에 따른 보급화를 통해 상하수도 계통의 감시 및 제어시스템 분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관리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M : 주제어부 I : 입력부
1 : 진단장치 인터페이스 2 : 진단장치 제어부
3 : 송신부 4 : 증폭기
5 : 인터페이스 보드 6 : 주 전원장치
7 : 비상 전원장치
100 : 현장감시제어반 110 : 데이터 수집부
120 : 전송 제어부 130 : 전원 제어부
14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 관리패널
210 : 하우징 212 : 케이블결합부
214 : 통신포트 220 : 스크린부

Claims (5)

  1. 상하수도 계통에 설치된 측정센서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설정 주기에 따른 시간에 따라 수집하여 저장하는 데이터 수집부와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설정된 전송 주기에 따라 통신망을 통해 감시제어국으로 전송하는 전송 제어부로 구성되어 상기 상하수도 계통의 주요시설에 대한 감시 및 제어 기능을 수행하는 현장감시제어반; 및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에 연결되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는 상기 주요시설에 대한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실시간 수집하여 저장하되,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시 상기 유지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기 감시제어국을 대신해 현장에서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하도록 하는 관리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의 이상으로 상기 전송 제어부를 통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데이터의 전송이 불가능시 상기 데이터를 확보하되,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에 연결되기 위한 케이블이 결합되는 케이블결합부 및 통신포트가 구비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탑재된 제어부와, 상기 하우징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현장감시제어반으로부터 전송된 상기 데이터가 시각적으로 표출되는 스크린부와, 상기 제어부의 작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데이터를 수집 및 저장하는 데이터저장부와, 상기 데이터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감시제어국으로 전송되도록 하는 데이터전송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제어를 위한 주제어부와,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부와, 상기 입력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증폭시켜주는 증폭기와, 상기 주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상기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신호를 스피커로 배분하는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증폭기에서 증폭된 신호를 재생하는 상기 스피커와, 상기 주제어부와 입력부와 증폭기와 인터페이스 보드 및 스피커에 전력을 공급하는 주 전원장치와, 상기 주 전원장치의 기능상실 시에 대체 전력을 공급하는 비상 전원장치를 포함하는 자기진단부를 가져 상기 관리패널이 자체 문제로 인한 데이터 수집, 저장 및 데이터 전송의 지장이 발생되지 않도록 자가진단을 통한 문제해결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주요시설의 선로 또는 전송 설비의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확보하여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패널은 상기 주요시설의 문제발생에 대한 원인 분석이 가능하도록 상기 고장점을 통한 유지 보수 관련 데이터를 데이터로깅방식으로 확보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5. 삭제
KR1020170032678A 2017-03-15 2017-03-15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KR101816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78A KR101816514B1 (ko) 2017-03-15 2017-03-15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2678A KR101816514B1 (ko) 2017-03-15 2017-03-15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514B1 true KR101816514B1 (ko) 2018-01-09

Family

ID=61000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2678A KR101816514B1 (ko) 2017-03-15 2017-03-15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5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75B1 (ko) * 2013-08-07 2013-11-26 이창호 상하수도 원격관리를 위한 하부기기 통합감시 및 전송 제어장치와 그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3075B1 (ko) * 2013-08-07 2013-11-26 이창호 상하수도 원격관리를 위한 하부기기 통합감시 및 전송 제어장치와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7793B1 (ko) 상수도 계량기 및 이를 이용한 상수도 관제시스템
KR102128707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JP6136031B2 (ja) 配管異常検知データロガー装置、配管構造及び配管異常検知システム
KR101183587B1 (ko) 초고압 지중 송전선로 감시 진단 시스템 및 방법
KR101727530B1 (ko) 모바일 앱 기반 전기 시설의 유지 보수 시스템
US6404343B1 (en) Water leakage monitoring apparatus
CN103985008A (zh) 一种城市地下管道智能监控系统
KR102234448B1 (ko) 디스플레이 장치의 실시간 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관리방법
KR100763881B1 (ko) 차단기 동작시간 측정용 디지털 진단방법
KR102021431B1 (ko) 계장 제어 설비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KR101588664B1 (ko) 중앙제어전용통합입출력수단을 이용한 원클릭 수리시설관리 자동화시스템
KR20110107575A (ko) 산업설비 관리시스템 및 이의 운영방법
KR101917805B1 (ko) 변전설비 시공 현장의 실시간 안전 관리 시스템
KR101816514B1 (ko) 상하수도 관측 시스템의 유지보수용 패널
KR100791913B1 (ko)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 시스템의 노드모듈용 테스터,노드모듈 테스트 방법 및 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시스템의 원격감시장치
CN210721134U (zh) 一种数控机床远程监控系统
KR101358727B1 (ko) 저전력 기반 지하시설물의 관리시스템
CN112964301A (zh) 电力管道的监测方法、装置、系统、设备及存储介质
JP2003091316A (ja) 遠隔操作支援方法
JP2008190917A (ja) ガスメータ異常検出方法、ガスメータ検針端末、及び、ガスメータ異常検出システム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323139B1 (ko) 원격감시시스템 및 방법
KR20190046149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20016731A (ko) 취수 온라인 관리 시스템
KR20220085160A (ko) 클라우드 기반 재난 감지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재난 분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