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149A -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149A
KR20190046149A KR1020170139374A KR20170139374A KR20190046149A KR 20190046149 A KR20190046149 A KR 20190046149A KR 1020170139374 A KR1020170139374 A KR 1020170139374A KR 20170139374 A KR20170139374 A KR 20170139374A KR 20190046149 A KR20190046149 A KR 201900461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control device
automation
control
communication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이엔지
Priority to KR1020170139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6149A/ko
Publication of KR20190046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1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04M1/72533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sting And Monitoring For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화 및 계측 설비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간의 데이터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 및 실시간으로 자
동화 및 계측 설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에 관
한 것으로,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검출을 위한 다수의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종 구성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및 계측 설
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입
력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단말기,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
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송신하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수신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서버,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태 데
이터를 표시하거나 경보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각종 구성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명령 데이
터를 상기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 및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시에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입력받아 상
기 통신서버 또는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
신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Status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of automation and measurement facilities using smartphone}
본 발명은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산업 발달이 진행되면서 오래전부터 전기, 기계 및 소프트웨어의 조합에 의한 무인상태의 자동화 및 계측 설비
가 보급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는 인력에 의한 비용을 줄이고, 인간의 수작업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안전 문제와
작업의 낮은 정확도 문제를 해결함으로써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으며, 특히 근래에는 네트워크 기술과 융합함
으로써 날로 활용 분야가 넓어지고 있는 반면에 장치가 점차 복잡화되어 가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자동화 및 계측 설비가 복잡화되어감에 따라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이상 발생 빈도도 높아지고 있으며,
이상 발생 유형도 다양해지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모니터링하여 유지 보수하는 것에만 그치고 있고, 실제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운영 중에 발생되는 이상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히 대처하기에는 곤란함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자동화 및 계측 설비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간의 데이터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遠隔) 및 실시간(實時間)으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자체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이상에 대한 진
단 및 사후 처리가 조기에 가능함으로써 항시 시스템이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화 및 계
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보급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추가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자동화 및 계측 설비를 안정적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에
직책별 관리 및 보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시스템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연계 운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화 및 계
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상관측, 환경감시, 홍수예방, 수위계측, 화재 및 가스감지 등의 다양한 분야에 사용되는 자
동화 및 계측 설비에 쉽게 활용 가능하도록 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은,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검출을 위한 다수의 센서들과, 상기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종 구성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및 계측 설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입력
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단말기,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무선통
신방식을 통해 송신하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수신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서버 및
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경보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상기 각종 구성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명령 데이터를 상기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시에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각종 구
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서버 또는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
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
여 구성되되,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WI-FI, 3G및 4G 중의 어느 하나로 하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각종 구성장치들 및 제어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고, 각
종 구성장치들의 상태를 표시하며, 명령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검증모드가 구비되되,상기 검증모드는, 전송되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데이터를 비교하되, 제어장치, 제어 단말기 및 통신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경로 데이터, 제어장치, 통신모듈 및 통신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 2 경로 데이터 및 제어장치,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제 3 경로 데이터를 시분할 방식으로 수신하여 편차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검증모드가 구비되되, 상기 검증모드는, 전송되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데이터를 비교하되, 제어장치, 제어 단말기 및 통신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경로 데이터, 제어장치, 통신모듈 및 통신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 2 경로 데이터, 제어장치,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제 3 경로 데이터 및 제어장치, 제어 단말기, 통신서버 및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제 4 경로 데이터를 시분할 방식으로 수신하여 편차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은, 담당자, 중간 관리자 및 최종 관리자용으로 나누어 구비되고, 담당자, 중간 관리자 및 최종 관리자별로 별도의로그인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자동화 및 계측 설비에 이상 발생시, 이상 정보가 담당자, 중간 관리자 및 최종 관리자 순으로 일정한 시간 간격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통보되되, 문제 해결시에는 문제 해결과정 정보와 데이터 트렌드가 일시에 통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해결수단을 통해, 본 발명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은 자동화
및 계측 설비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간의 데이터 무선 통신을 통해 원격(遠隔) 및 실시간(實時間)으로 자동
화 및 계측 설비에 대한 감시 및 제어가 가능하고, 자체 시스템의 이상 여부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파악하여 사용자에게 통보하여 이상에 대한 진단 및 사후 처리가 조기에 가능함으로써 항시 시스템이 사용가능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며,
기존에 보급된 개인 휴대용 단말기에 어플리케이션을 간단히 추가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개인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자동화 및 계측 설비를 안정적으로 감시 및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어플리케이션에 직책별 관리 및
보고 기능을 구비함으로써 시스템과 인력을 효율적으로 연계 운용할 수 있으며, 기상관측, 환경감시, 홍수예방, 수위계측, 화재 및 가스감지 등의 다양한 분야에사용되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에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을 빗물펌프장 모니터링시스템에 적용
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휴대용 단말기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휴대용 단말기 어플리케이션의 검증모드의 주요 특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
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은 빗물펌프장, 기상관측시스템, 환경감시시스
템, 홍수예방시스템, 수위계측시스템, 화재 및 가스감지시스템, 구조물 모니터링시스템 등과 같은 자동화 설비
또는 계측 설비에서 검출되는 각종 상태를 감시하고, 이상 발생시 경보기능을 이용하여 사용자 등에게 알리며,
필요시 적절한 대응 제어를 수행하도록 한 시스템이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에서는 시스템 제어를 위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적 요소에 무선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디바이
스(Smart device)가 추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
동화 및 계측 설비, 제어 단말기, 통신서버, 통신모듈,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를 구비한다.
이들 세부 구성요소별로 상세히 설명하면, 먼저 자동화 및 계측 설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빗물펌프장 모니터링
시스템, 공장자동화시스템, 기상관측시스템, 환경감시시스템, 홍수예방시스템, 수위계측시스템, 화재 및 가스감
지시스템, 구조물 모니터링시스템 등으로 사용되는 설비로서, 이러한 설비를 구성하는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나 외부환경 상태를 검출하기 위한 다수의 센서들과, 상기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각종 구성장치
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구성장치들 및 외부환경 여기서, '구성장치들 및 외부환경'은 빗물펌프장의 예로 설
명하면, '구성장치들'은 펌프, 모터 등이 해당되고, '외부환경'은 저수지 등의 수위나 수량 등이 해당된다 상
태의 이상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된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러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에 대해 빗물펌프장 모니터링시스템을 일예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
명하면, 빗물펌프장은 폭우시 유수지(遊水池)에 유입된 물을 다수의 펌프들을 이용하여 배출하는 곳으로, 다수
의 펌프들과, 펌프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 및 모터에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전력공급수단 등의 구성장치들이 구
비되며, 또한 감시 및 관리를 위해 유수지와 각각의 구성장치들에는 수위를 검출하는 수위센서, 펌프 및 모터
과열 등을 분석하기 위해 펌프 베어링 및 모터의 온도를 검출하는 온도센서, 펌프의 기계적 결함 및 수력학적
결함 등의 분석을 위해 진동 상태를 검출하는 진동센서, 펌프의 토출량 등의 분석 및 측정을 위해 유량을 검출
하는 유량센서와 같은 센서들이 설치된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빗물펌프장 모니터링시스템에는 제어장치가 구비되는데, 이 제어장치는 빗물펌
프장에 설치된 각종 센서들로부터 입력되는 검출신호로부터 정해진 프로그램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며, 제어로는
유수지의 수위(水位), 모터의 온도, 펌프의 진동 등의 상태에 따른 모터의 회전수(rpm) 제어, 이상 여부를 판단
에 따른 경보수단 작동제어 등이 있다.
여기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제어장치로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DCS(Distributed Control
System) 등이 사용되며, PLC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어 단말기는 자동화 설비를 제어하기 위한 PLC와 같은 제어장치에 연결 단자를 통해 연결되는 단말기로
서, PC(Personal Computer)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각종 센서들로부터 제어장치를 거쳐 입력된 신호를 통해 각
종 상태 데이터와 이상 여부 등의 정보가 그래프, 그림, 숫자, 문자 등으로 화면에 표시되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 데이터들을 키보드 등의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제어 단말기를 통해 현장의 사용자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를 관리하게 되고, 이상 발생시에 필요한 조치
를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통신서버는 인터넷망을 통해 상기 제어 단말기에 연결되어 제어 단말기로부터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 등을 입력받아 이를 무선통신방식으로 송신하며, 또한 무선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여 변환 후 다시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 장치로서, 인터넷 망이 연결되며
무선통신이 가능한 웹서버(Web server)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무선통신방식으로는 WI-FI, 3G, 4G 방식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통신서버에서 전송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화면에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각종 구성
장치들 및 외부환경의 상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게 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각
종 구성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명령 데이터를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로는 휴대폰과 PDA가 결합된 형태인 스마트폰(Smart phone)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사
용되는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은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각종 구성장치들 및 제어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고,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를 표시하며,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제어를 위한 명령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일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어플리
케이션은 사용자의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입력 및 검증하는 로그(Log) 기능(도 3의 a), 자동화 및 계측 설비
의 개괄적 사항을 화면에 표시하는 목록 표시 기능, 자동화 및 계측 설비에서 발생되는 이상 상황을 화면에 표
시하고 사용자의 확인 여부를 표시하는 경보 이벤트 표시 및 확인처리 기능(도 3의 c,e), 각 구성장치들의 상태
를 표시하는 상태 확인 기능(도 3의 d), 상태 데이터의 흐름을 연속적으로 표시하는 데이터 트렌드 표시 기능
(도 3의 b)이 구비되며, 또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버튼, 입
력창 등이 표시되는 입력 기능이 구비되게 된다.
도 3은 상기한 바와 같은 어플리케이션이 적용된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로그인하여 일정한 조건을 충족시킨 지정 사용자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 또는 이를 이루는 각종 구성장치들 및 외부환경 상태나 경보의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필요한 제어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원격지에서 실시간으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를 감시하고 관리할 수 있
게 된다.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의 응용례로서, 어플리케이션은 담당자, 중간 관리자 및 최종
관리자용으로 나누어 구비되고, 통신서버에서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에 이상 발생시에 경보가 담당자, 중간 관
리자 및 최종 관리자 순으로 전송되되, 일정한 시간을 가지고 순차적으로 통보되도록 함으로써 경보에 대한 제
어처리가 중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며, 문제 해결시에는 문제 해결을 위해 입력된 제어명령 또는 데이터
등의 문제 해결과정 정보와 현 상태 데이터가 담당자, 중간 관리자 및 최종 관리자에게 동시에 전송되도록 구성
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통신모듈은 제어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연결단자를 구비하고, 제어장치에 연결시에 제
어장치로부터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각종 구성장치들 및 외부환경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입력받아
통신서버 또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며, 무선통신을 통해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통신모듈은 제어장치에 직접 연결되어 제어 단말기와 통신서버를 거치지 않
고, 휴대용 단말기와 무선통신을 통해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제어 단말기나 통신서버에 고장 등의 문제
가 있을 경우에도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데이터 및 이상 발생 여부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직접적인 제
어도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통신모듈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단말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됨이 바람직
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 특징 중의 하나는 본 발명의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검증모드가
구비되는데, 이 검증모드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 이외의 구성장치들 제어 단말기, 통신서버, 통신모듈 에 대한
이상 여부를 검증하여 자동화 및 계측 설비와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 간의 통신에 있어서 신뢰성을 높일 수 있
도록 구성된다.
상기 검증모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제어장치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터는 4가지 경로를 통해 사용자의 휴대용 단말기에 전달될 수 있는데, 그 첫째로 제어장치 --> 제
어 단말기 --> 통신서버 -->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되는 제 1 경로 데이터가 있고(도 4의 a), 둘째로 제어장치
--> 통신모듈 -->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되는 제 2 경로 데이터가 있으며(도 4의 b), 셋째로 제어장치 --> 통신
모듈 --> 통신서버 -->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되는 제 3 경로 데이터가 있으며(도 4의 c), 마지막으로 제어장치
--> 제어 단말기 --> 통신 서버 --> 통신모듈 --> 휴대용 단말기로 전달되는 제 4 경로 데이터가 있으며(도 4의
d), 휴대용 단말기에서는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각 경로 데이터의 편차를 분석하여 그 편차가 일정 값 이
상으로 판정될 경우 특정장치에 이상이 있는 경우로 보고 경보 메시지를 사용자 휴대용 단말기 화면에 표시하는
등의 알림 방법을 통해 사용자로 하여금 구성장치의 이상 여부를 검증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및 제 4 경로 데이터와 나머지 경로 데이터의 편차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는 제어 단말기
에 이상이 있는 것이며, 제 2 경로 데이터와 나머지 경로 데이터의 편차가 일정 값 이상 경우에는 통신 서버(또
는 인터넷망)에 이상이 있는 것이며, 제 1 경로 데이터와 나머지 경로 데이터의 편차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
는 통신모듈에 이상이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각각의 경로 데이터를 비교해 봄으로써 특
정장치의 이상 여부를 확인해 볼 수 있으며, 편차가 일정 값 미만인 경우에는 정상으로 데이터의 신뢰성이 검증
되는 것이다.
추후기재

Claims (1)

  1.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검출을 위한 다수의 센서들과, 상기 다수의 센서들로부터 검출된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각종 구성장치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며 이상 발생 여부를 판단하는 제어장치가 구비된 자동화 및 계측 설비,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고, 외부로부터 입력
    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단말기, 상기 제어 단말기로부터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인터넷망을 통해 입력받아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송신하며, 무선통신방식을 통해 수신된 명령 데이터를 상기 제어 단말기로 송신하는 통신서버,상기 통신서버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상태 데이터를 표시하거나 경보를 발생시키며, 사용자에 의해입력되는 상기 각종 구성장치들의 제어를 위한 명령 데이터를 상기 통신서버로 전송하는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
    및상기 제어장치에 연결 또는 분리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어장치에 연결시에 상기 제어장치로부터 각종 구
    성장치들의 상태 데이터와 이상 발생 여부를 입력받아 상기 통신서버 또는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 송신하
    며,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다수의 휴대용 단말기로부터 송신되는 명령 데이터를 수신하는 통신모듈을 더 포함하
    여 구성되되 상기 무선통신방식은 WI-FI, 3G 및 4G 중의 어느 하나로 하며,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은 각종 구성장치들 및 제어장치의 이상 발생 여부를 표시하고, 각종 구성장치들의 상태를 표시하며, 명령 데이터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며,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사용되는 어플리케이션에는 검증모드가 구비되되,상기 검증모드는,
    전송되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데이터를 비교하되,제어장치, 제어 단말기 및 통신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 1 경로 데이터,
    제어장치, 통신모듈 및 통신서버를 통해 전송되는 제 2 경로 데이터 및 제어장치, 통신모듈을 통해 전송되는 제 3 경로 데이터를 시분할 방식으로 수신하여 편차가 일정 값 이상인 경우에 경보 메시지를 화면에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20170139374A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2019004614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74A KR20190046149A (ko)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374A KR20190046149A (ko)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149A true KR20190046149A (ko) 2019-05-07

Family

ID=66656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374A KR20190046149A (ko) 2017-10-25 2017-10-25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6149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465A (zh) * 2019-08-20 2019-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3965820A (zh) * 2021-09-03 2022-01-21 安徽丹凤缘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遥测终端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93465A (zh) * 2019-08-20 2019-11-22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CN113965820A (zh) * 2021-09-03 2022-01-21 安徽丹凤缘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遥测终端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88839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al-time performance degradation advisory for centrifugal compressors
KR101737524B1 (ko) 상하수도 시설 원격 감시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128707B1 (ko) 지능형 원격단말장치를 이용한 사물인터넷 기반의 수리 시설물 자율 점검 및 고장 알림 시스템
RU2584814C2 (ru) Переносной полевой инструмент для технического обслуживания с каналом связи технологического процесса
KR101444242B1 (ko) 자가진단 기능을 갖는 원격제어반 및 원격제어반의 자가진단 방법
KR20180088578A (ko) 정보 처리 시스템,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단말 장치, 급수 장치, 및 급수 장치의 제어 방법
Katyarmal et al. Solar power monitoring system using IoT
EP3546751B1 (en) Network monitoring and control of fluid handling apparatus
KR20190046149A (ko) 스마트폰을 활용한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1572959B1 (ko) Plc 기반 간이서버를 이용한 현장 설비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101100236B1 (ko) 자동화 및 계측 설비의 상태 감시 및 관리 시스템
KR102058088B1 (ko) IoT 네트워크 기반 모터밸브 불량검출 및 불량예측 모니터링 시스템
KR200426642Y1 (ko) 인터넷 망을 이용한 실시간 이상 발생 자동 감지 및 원격제어용 부스터 펌프 제어장치
TW201303799A (zh) 雲端污水處理監控系統
JP2023057972A (ja) 動作監視システム
KR101564603B1 (ko) 광산설비의 중앙집중 원격감시제어 시스템
CN103246239A (zh) 渔塭水车监测系统与监测方法
KR100836813B1 (ko) 웹미터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서비스 방법
KR20040003836A (ko) 유무선 겸용 단말기 및 이를 사용한 원격제어감시시스템
CN110244639A (zh) 一种终端设备、工程机械监控设备及工程机械监控系统
KR20150124097A (ko) 안전 모니터링이 가능한 hmi 시스템
KR102406874B1 (ko) 자가 진단이 가능한 자동제어장치
KR20190028974A (ko) Ict융복합 지능형 펌프 수차 유지 보수 방법
KR101474687B1 (ko) 원방감시제어 시스템의 부하의 성능을 측정하는 장치 및 방법
KR20200029782A (ko) 항공장비의 벤치테스트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