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06019A -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방법과 방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방법과 방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06019A
KR20010006019A KR1019997009097A KR19997009097A KR20010006019A KR 20010006019 A KR20010006019 A KR 20010006019A KR 1019997009097 A KR1019997009097 A KR 1019997009097A KR 19997009097 A KR19997009097 A KR 19997009097A KR 20010006019 A KR20010006019 A KR 200100060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oadcast receiver
memory
function
memory area
menu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어링스칼-하인즈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7826157&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20010006019(A)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200100060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601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16Indica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1/00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 H03J1/000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 H03J1/0058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 H03J1/0066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 H03J1/0075Details of adjusting, driving, indicating, or mechanical control arrangements for resonant circuits in general using a central processing unit, e.g. a microprocessor provided with channel identification means with means for analysing the received signal strength where the receiving frequencies of the stations are stored in a permanent memory, e.g. ROM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5/00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 H03J5/02Discontinuous tuning; Selecting predetermined frequencies; Selecting frequency bands with or without continuous tuning in one or more of the bands, e.g. push-button tuning, turret tuner with variable tuning element having a number of predetermined settings and adjustable to a desired one of these settings
    • H03J5/0245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 H03J5/0254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the digital values being transfered to a D/A converter
    • H03J5/0263Discontinuous tuning using an electrical variable impedance element, e.g. a voltage variable reactive diode, in which no corresponding analogue value either exists or is preset, i.e. the tuning information is only available in a digital form the digital values being transfered to a D/A converter the digital values being held in an auxiliary non erasable memory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18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32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with simultaneous display of received frequencies, e.g. panoramic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하나의 방법이 제안되었는데, 방송수신기(1), 특히 자동차 라디오에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시키고 그리고 저장하기 위한 방법이 제안되었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10, 11, 12)이 어드레스된다. 더나아가서 적어도 하나의 방송수신기(1)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특히 메뉴 제어되어 소환된다. 적어도 메모리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된다.
본발명의 방송수신기(1)는 하나의 화면장치(25)와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때의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은 각각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과 대응된다. 더나아가서 조작요소(40)가 구비되어있으며, 이 조작요소(40)을 이용해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10, 11, 12)이 어드레스된다. 이러한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을 통해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10, 11,12)에 어드레스된다. 방송수신기(1)의 적어도 하나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조작요소(40)의 작동을 통해서 그리고 하나의 임의의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이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10, 11, 12)의 어드레스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방법과 방송수신기{method for creating and storing user-specific operating menus, and a radio receiver}
사용자 정의에 의한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을 위한 방법은 컴퓨터의 조작키에 의해서 이미 공개되었다.
"Blaupunkt의 이동통신에 관한 Blaupunkt-카탈로그 프로그램 96/97년도 판 SOUND UND FAHRVERGUEGUNG "으로 부터 자동차 라디오" 뉴욕 RDM 127"는 하나의 화면과 이 화면 측면에 장치되어 화면에 각각 표시될 수 있는 조작기능과 이에 대응되는 선택버튼에 대해서 공개하고 있다. 조작기능은 동시에 메뉴에 의해서 제어가능한 화면에 표시될 수 있으며, 동시에 선택버튼과 대응되는 설정기능은 사용자에 의해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되어있다.
본발명은 독립 청구항 1항에 따라 사용자가 정의한 조작메뉴(operating menus)를 설정 및 저장을 위한 방법과 독립 청구항 4항에 따른 방송수신기(또는 라디오 수신기-Radio receiver)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발명의 방송수신기의 조작기능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발명의 방송수신기의 블록 회로도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발명의 방송수신기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 도면.
독립청구항(1)의 주안점을 포함한 본발명의 방법은 종래와는 달리 방송수신기의 조작기능이 조작메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바대로 조작될 수 있도록 장치되어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자신이 원하는 바대로 조작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위한 방송수신기의 사용 편이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서 사용자가 자신에 의해 조작된 조작기능이 실행되는 조작메뉴를 완성할 수 있게된다.
종속 청구항 2 또는 3항에서 실행되는 처방을 통해서 독립 청구항 1 항에서 제시하고 있는 방법의 유리한 개선형태가 이루어진다.
특히 조작기능의 결과가 메뉴에 의해 제어되어 소환되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장소에 저장이 되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기능의 연쇄작용을 통해서 각각 하나의 조작기능을 설정하고 조작과정이 줄어들어 이에 따라 사용이 단순화 되며, 사용자를 위한 조작편이성이 증가하게 된다.
그밖에 조작기능의 결과가 기능명과 서로 대응하게 되고, 이때의 기능명(operation name)은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저장영역의 메모리 장소에 저장되는 장점을 갖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조작기능의 결과가 사용자를 위해서 기능명 표시에 의해 완성된 조작메뉴를 소환하므로써 식별되어 다른 조작기능과는 구별된다.
청구항 4 항의 주안점을 포함한 본발명의 방송수신기에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가능하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으로 방송수신기는 조작메뉴에 의해서 사용자의 요구를 스스로 맞출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위한 조작 편이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방송수신기는 예를 들어서 자주 사용되는 조작기능을 포함한 조작메뉴를 완성하게 된다.
종속 청구항 제 5 항 내지 제 11항에서 실행되고 있는 처방을 통해서 독립 청구항 제 4 항에서 제안된 개선점이 이루어진다.
특히 메뉴버튼을 작동시키므로써 설정된 메모리 영역중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이 화면에 표시되는 메뉴를 구비하고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선택버튼은 조작기능과 서로 대응하고, 선택버튼에 의해서 어드레스되는 메모리장소에 저장되며, 또한 선택버튼을 작동시키므로써 선택버튼과 대응된 조작기능이 실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가 각각의 지정된 사용기능을 포함한 사용자가 정의한 조작메뉴는 각각의 다른 조작메뉴와 동시에 방송수신기의 조작하기 위해서 사용되어, 사용자를 위해서 화면과 메뉴표시의 표시의 단일화가 동시에 이루어진다.
더나아가서 메뉴버튼을 작동시키므로써 조작메뉴가 선택되며, 화면표시를 위해서 전송시킬 수 있고, 조작요소와 선택버튼의 작동에 따라서 직접 화면에 표시되는 조작메뉴의 선택버튼에 대응되는 조작기능은 조작요소에 의해서 어드레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의 임의의 선택버튼의 작동에 의해서 어드레스된 메모리장소에 저장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 정의된 조작메뉴가 매우 간단히 이루어진다.
특히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기능이 메모리장소에 저장되기 전에, 조작요소를 새롭게 작동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따라서 조작기능의 결과가 조작요소의 새로운 작동을 통한 종결을 나타내기 위해서 조작기능의 결과가 메모리장소에 저장되어, 선택버튼의 작동은 조작기능 결과를 메모리장소에 지정할 주소가 해석되며 결정된다. 이에 따라서 여러 조작과정이 조작기능의 결과를 실현시키기 위해서 단하나의 유일한 조작기능으로 단순화 되고, 따라서 사용자를 위한 여러 조작과정들이 상당히 감소되고, 이에 따라서 조작이 간단하고 용이하게 된다.
그밖에 텍스트 기입 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텍스트 기입 기능으로 적어도 하나의 조작기능이 메모리장소에 기능명이 서로 대응되고, 또한 기능명은 메모리 장소에 저장된다. 이러한 것은 무엇보다도 각각의 기능명을 통해서 식별되거나, 또는 다른 조작기능에 의해서 구별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조작기능하에서 조작기능의 결과를 요약(축약)하는 것은 상당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카드입력부에 카드판독기가 구비되어,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영역이 카드입력부에 삽입된 칩카드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에 저장되며, 카드입력부로 칩카드를 삽입한 후에 충전과정이 이루어지고, 이때의 충전과정에서 설정된 칩카드의 방송수신기의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영역에서 복사(copy)가 되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실제 사용자를 위해 구비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가 방송수신기에서 칩카드에 의해서 이미 충전되기 때문에 방송수신기에서 어떠한 메모리의 용량을 제공할 필요없이 방송수신기의 화면에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가 표시된다. 또한 하나의 방송수신기로 여러 사용자가 각각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개인적인 조작메뉴는 사용자 유일의 칩카드에 저장된다.
그밖에 카드입력부에 삽입된 칩카드에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로 인해서 방송수신기에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저장하기 위해 구비된 메모리 장소가 절약된다.
본발명의 실시예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의 기술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서는 하나의 자동차 라디오로서 이루어진 방송수신기(1)의 조작판(65)이 발명과 관련되어 도시되어 있다. 동시에 조작판(65)은 액정디스플레이로 된 화면(25)을 포함하고 있다. 또한 화면(25)은 사각형태를 이루고 있다. 화면(25)에는 세개의 열과 두개의 행으로 된 6개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그래프의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좌측 행에서는 제1 조작기능(70), 제2 조작기능(71) 그리고 제3 조작기능(72)이 구비되어 있으며, 우측행에는 제4 조작기능(73), 제5 조작기능(74)과 제6 조작기능(75)이 구비되어 있다. 좌측과 우측의 화면(25)의 가장자리에는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에 대한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이 공간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서로 대응된다. 따라서 제1 조작기능(70)은 화면(25)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제1 선택버튼(30)에, 제 2 조작기능(71)은 화면(25)의 좌측 가장자리에 제 2 선택버튼(31)에, 제3 조작기능(72)은 화면(25)의 좌측 가장자리에서 제3 선택버튼(32)과 서로 대응된다. 제4 조작기능(73)은 화면(25)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제4 선택버튼(33)과, 제5 조작기능(74)은 화면(25)의 우측 가장자리의 제5 선택버튼(34)과, 그리고 제6 조작기능(75)은 화면(25)의 우측 가장자리에서 제6 선택버튼(35)이 공간적 그리고 기능적으로 서로 대응된다.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작동을 통해서 이들 선택버튼과 대응되고, 화면장치(25)에 표시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실행된다. 조작판(65)은 더나아가서 메뉴버튼(45)과 조작요소(40)을 포함하고 있다. 메뉴버튼(45)의 작동을 통해서 주기적인 반복으로 최고 6가지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포함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가 화면(25)으로 송출되어 표시된다. 동시에 각각의 메뉴버튼(45)이 작동된 후에는 다음의 조작메뉴로 변환접속된다. 조작요소(40)의 작동을 통해서 메모리영역은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위한 메모리 영역이 어드레스된다.
도 2에서는 본발명의 방송수신기(1)의 블록회로도를 도시하였다. 또한 본발명과 관련된 방송수신기(1)의 요소를 나타내고 있다. 방송수신기(1)는 제어유니트(80)와 연결된 기록-판독-메모리(90)를 포함하고 있다. 그밖에 제어유니트(80)가 화면(25)과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 메뉴버튼(45)와 조작요소(40)를 포함하고 있는 버튼(85)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어유니트(80)은 카드입력부(55)에 있는 카드판독기(50)의 칩과 접촉되어 연결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서 칩카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0)가 카드판독기(50)를 지나 제어유니트(80)와 연결된다.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11)는 제1 설정된 메모리영역(10), 제2 설정된 메모리영역(11), 제3 설정된 메모리영역(12) 그리고 마찬가지로 도 2에서 포인트로 지시된 또다른 메모리 영역이 포함되어 있다. 동시에 칩카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5)에서의 설정 메모리 영역(60, 61, 62)의 갯수와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90)에서의 설정 메모리영역(10,11,12)의 갯수가 서로 일치하게 된다.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90)의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과 칩카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5)의 설정 메모리영역(60, 61, 62)은 각각 6개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분포되어 있다. 각각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방송수신기(1)의 조작기능이 저장된다. 각각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 13, 14, 15)에서 화면(25)에 표시되기위해서 하나의 완전한 조작메뉴가 저장된다. 동시에 각각의 메모리 영역(10, 11, 12, 60, 61, 62)을 위해서 제1 메모리 장소(15)가 이에 따른 조작메뉴의 제1 조작기능(70)를 위해서, 제2 메모리저장소(16)는 이에 따른 조작메뉴의 제2 조작기능(71)을 위해서, 제3 메모리 저장소(17)는 이에 따른 조작메뉴의 제3의 조작기능(72)을 위해서, 제4 메모리 저장소(18)는 이에 따른 조작메뉴의 제4의 조작기능(73)을 위해서, 제5 메모리 저장소(19)는 이에 따른 조작메뉴의 제 5의 조작기능(74)을 위해서, 제6 메모리 저장소(20)는 이에 따른 조작메뉴의 제3의 조작기능(75)을 위해서 구비되어 있으며, 동시에 구비된 메모리 영역(10, 11, 12, 60, 61, 62)에서는 단지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정의로 설정된 조작메뉴가 저장된다. 동시에 저장은 제어유니트(80)에 의해서 버튼(85)의 기입에 따라서 제어된다. 제어유니트(80)는 또한 각각의 버튼(85)에 의해서, 또는 선택된 조작메뉴의 표시가 화면(25)에서 제어된다.
도 2에 따른 블록 회로도의 기능성은 도 3의 순서도에 따라서 설명된다. 방송수신기(1)가 접속된 이후에는 메뉴버튼(45)의 작동으로 기본 설정에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로 즉 화면(25) 표시로 변환 접속된다.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이 방송수신기(1)에 구비되어 있다면, 조작요소(40)는 버튼스위치를 구비하게 된다. 방송수신기(1)의 여러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에서 다단계 조작요소(40)의 사용, 즉 회전스위치 즉 누름스위치(press switch)의 사용이 제안된다. 각각의 구비된 메모리 영역은 회전스위치(40)의 서로 다른 위치가 바로 어드레스되며, 동시에 회전스위치(40)를 누름으로써 메모리 과정이 유도된다. 만약 여러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에서 버튼스위치가 조작요소(40)로 사용된다면, 버튼스위치(40)는 자신의 서로 다른 작동기간을 통해서 서로 다른 메모리영역(10, 11,12)을 어드레스하거나 또는 메모리과정의 도입을 실현한다. 조작요소(40)가 회전스위치로 구성될 경우에 회전스위치의 위치가 메모리과정의 도입을 위해서 설정되므로, 조작요소(40)의 부가적인 누름스위치는 더이상 필요하지 않다.
화면(25)에 조작메뉴를 표시하기 위해서 메뉴버튼(45)이 작동된 후 제어유니트(80)에서 프로그램이 시작되는데, 이때의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포인트(100)에서 조작요소(40)의 작동에 의해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이 어드레스되었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만약 어드레스 되었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10)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05)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05)에서 대기 서브 프로그램(waiting subprogramm)이 진행되고, 이어서 프로그램 포인트(100)로 재차 되돌아가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10)에서는 조작요소(40)에 의해서 선택된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이 제어 유니트(80)에 의해서 어드레스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15)에서는 제어유니트(80)가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 중의 하나가 눌러졌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만약 눌러졌다면, 프로그램 포인트(130)으로 진행하고, 아니면 프로그램 포인트(120)으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20)에서는 제어유니트(80)은 저장과정이 중단되는지를 시험하게 되고, 이를 위해서 회전스위치로 구성된 조작요소(40)에 있어서는 또다른 하나의 스위칭 위치가 구비되거나 또는 버튼스위치로 조작요소(40)가 구성된 경우에는 사용자 정의의 작동기간이 구비되어야 한다. 더나아가서 조작판(65)에 저장되는 과정이 중단되기 위해서 하나의 부가적인 버튼의 구비를 고려할 수 있다. 만약 프로그램 포인트(120)에 있어서 제어유니트(80)가 중단하기로 결정을 하게 되면, 프로그램은 종결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25)로 분리되며, 이때의 프로그램 포인트(125)에서는 대기 서브 프로그램이 순환되고 있다. 대기 서브 프로그램을 통과한 후에는 다시 프로그램 포인트(115)로 되돌아가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30)에서는 화면(25)에서 눌려진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과 이에 대응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선택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35)에서는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이 새롭게 선택되었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만약 새롭게 선택된 경우에는 프로그램 포인트(130)로 되돌아가 분리되고, 선택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은 이미 맨처음 선택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과 연결되고,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가 설정한다. 또한 서로 다른 조작메뉴에 의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은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를 구성하기 위해서 메뉴버튼(45)의 작동을 통해서 유도된다. 만약 프로그램 포인트(135)에 있어서 제어유니트(80)에 의해서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이 새롭게 작동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인식된다면, 프로그램포인트(140)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40)에서는 조작요소(40)에 의해서 메모리과정이 도입되었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만약 도입되었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55)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45)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45)에 있어서 메모리 과정은 이미 기술한 방법으로 종결되는지의 여부를 시험하게 된다. 만약 종결되었으면 프로그램은 끝나며,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포인트(150)로 분리된다. 프로그램포인트(150)에서는 대기 서브프로그램이 진행되고, 이어서 프로그램 포인트(135)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55)에 있어서는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이 작동되었는지를 시험하게 되고, 작동되었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70)로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60)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60)에서는 메모리과정이 이미 기술한 방법으로 종결되고 있는지를 시험하게 된다. 기술된 방법으로 종결되면 프로그램은 마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포인트(165)로 분리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65)에서는 대기 서브프로그램을 통과하고, 이어서 또다시 프로그램 포인트(155)로 분리된다. 프로그램포인트(170)에서는 선택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 또는 선택된 기능의 결과가 최종에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작동에 의해서 어드레스된 선택된 설정 메모리영역(10,11,12)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된다. 프로그램 포인트(175)의 경우에는 메모리과정은 기술된 방법으로 종결되었는지 시험하게 된다. 기술된 방법으로 종결되면 프로그램이 마치게 되고, 그렇지 않으면 프로그램 포인트(100)로 분리된다.
만약 조작요소(40)의 작동을 통해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중 적어도 하나가 저장된 후 그리고 메모리과정이 도입되기 전에 하나의 또다른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이 선택되고, 그리고 이러한 선택은 아무런 효과없이 머므르게 되고, 단지 메모리의 도입을 위해서 해석된다. 이러한 이유에서 저장과정의 도입을 위한 조작요소(40)의 특수한 작동기간과 회전스위칭은 필요하지 않다.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의 선택 변경은 1차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선택 전에 조작요소(40)의 작동에 의해서 가능하다.
메모리 과정이 종결된 후 그리고 카드입력부(55)에서 칩카드(5)를 제거하기전에 제어유니트(80)는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의 내용으로 기록-판독-메모리(95)를 덮어쓰기를 하도록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가 칩카드(5)에 저장된다.
칩카드(5)를 카드입력부(55)에 삽입하는 경우에 제어유니트(80)에 의해서 칩카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5)가 카드판독기(50)와 접촉하고 있는지를 추적함에 따라서 메모리과정이 시작되고, 이때의 메모리 과정은 칩카드(5)의 기술-판독-저장소(95)의 내용을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90)로 복사하게 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기록-판독-메모리(90)는 칩카드(5)의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포함하게 된다. 이어서 화면(25)에 표시되기 위해서 제어유니트(80)는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90)로 부터 소환한다.
카드판독기(50)를 지나 데이타는 칩카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5)에 의해서 판독될 뿐아니라, 데이타는 칩카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5)에 기록되기도 한다.
방송수신기(1)에서 메모리장소를 절약하기 위해서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90)를 제거할 수 있고, 또한 제어유니트(80)는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직접 카드입력부(55)에 삽입된 칩카드(5)의 기술-판독-저장소(95)에 저장하거나,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화면장치(25)에 표시하기 위해서, 또는 이곳에 장치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을 실행시키기 위해서 직접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가 기록-판독-메모리(95)로 부터 소환된다.
설정된 메모리영역(10, 11, 12, 60, 61, 62)에 저장하기 위해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순수한 소프트웨어적으로 증가하여야 하기 때문에,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는 외부의 데이타 처리장치에 의해서, 예를 들어서 컴퓨터에 의해서, 카드입력부와 카드판독기로 또는 증가된 소프트웨어를 카드입력부로 삽입한 칩차드(5)의 기록-판독-메모리(95)에 저장된다.
사용자에 의해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 또는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 가 사용자에 의해서 각각의 하나의 유일하게 선택된 기능명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기능명은 부속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된다. 기능명의 기입을 위해서 방송수신기(1), 즉 데이타처리장치에서 텍스트 기입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텍스트 기입기능을 이용해서 사용자는 알파벳식의 기능명이 기입된다. 이러한 텍스트기입은 동시에 직접 도 3에 따라 프로그램(140)과 연결되어 이루어지며, 또한 텍스트 기입기능은 종래의 방법으로 콤팩트-디스크(CD)의 성명 지정을 통해 오디오 장치에서 실현된다.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 또는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와 함께 기능명은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고,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소환하므로써 화면(25)의 적당한 장소에 표시된다.
사용자 정의의 사용메뉴로써 방송수신기(1)에 고정 설정된 조작메뉴는 메뉴버튼(45)의 작동을 통해서 선택될 수 있고, 화면(25)에 송출되어 표시된다.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작동을 통해서 이들이 속해있는 화면(25)에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화면(25)에 표시되어 실행된다.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로 저장하기 위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선택은 반드시 메뉴에 의해 제어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조작메뉴(40)의 작동이 선택된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을 피하고,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을 사용자 기준의 조작메뉴로 저장하도록 준비시킨 후에는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방송수신기(1)의 조작판(65)에서 이 기능들에게 영구적으로 지정된 버튼의 작동에 의해 선택된다.
칩카드(5)에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메모리시키는 것을 포기하고, 여러사용자를 위해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방송수신기(1)의 기록-판독-메모리(90)는 마찬가지로 다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하기 위해서 방송수신기(1)에서 기준설정된 조작메뉴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나 또는 이미 설정되고 저장된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가 이용된다.

Claims (11)

  1.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의 설정 및 저장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12)가 어드레스되고, 적어도 하나의 방송수신기(1)의, 특히 자동차라디오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 메뉴에 의해 제어되어 소환되고,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이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11,12) 내에 어드레스되며, 적어도 하나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가 특히 메뉴에 의해 제어되어 소환되고,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가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의 결과가 기능명(operating name)과 서로 대응되고, 이때의 기능명이 각각에 속한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영역(10, 11, 12)의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화면(25)과 특히 화면의 측면에 장착된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 각각이 화면(25)에 표시될 수 있는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과 서로 대응되어 있는 방송수신기(1), 특히 자동차라디오에 있어서,
    조작요소(4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조작요소(40)를 이용해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이 어드레스되며,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을 통해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가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에 어드레스되고, 방송수신기(1)의 적어도 하나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조작요소(40)와 임의의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작동을 통해서 적어도 하나의 설정메모리영역(10, 11, 12)의 각각 어드레스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
  5. 제 4 항에 있어서, 메뉴버튼(45)이 구비되어 있으며, 메뉴버튼(45)의 적어도 하나의 내용을 실행하므로서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을 화면(25)에 표시할 수 있고, 또한 각각의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은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에 서로 대응되며, 상기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은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에 의해서 어드레스되는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며, 또한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실행을 통해서 이들과 서로 대응되는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메뉴버튼(45)의 실행을 통해서 하나의 조작메뉴가 선택되고 화면(25)에 송출되어 표시되며, 조작요소(40)와 임의의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작동을 통해서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에 대응되고, 직접 화면(25)에 표시되는 조작메뉴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은 조작요소(40)에 의해서 어드레스된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에 있는 임의의 선택버튼(30, 31, 32, 33, 34, 35)의 작동을 통해 어드레스된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7. 제 4 항 내지 제 6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을 저장하기 전에 조작요소(40)의 작동이 새롭게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8. 제 4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하나의 텍스트 기입기능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때의 텍스트 기입기능을 이용해서 하나의 조작기능(70, 71, 72, 73, 74, 75)을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서 기능명을 서로 대응시키고, 기능명은 메모리 장소(15, 16, 17, 18, 19, 20)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9. 제 4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카드입력부(55)에 카드판독기(5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10, 11, 12)이 카드입력부(55)로 삽입된 칩카드(5)에 속한 하나의 설정 메모리 영역(60, 61, 62)에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칩카드(5)를 카드입력부(55)에 삽입한 후에 저장과정이 이루어지며, 이때의 저장과정에서는 칩카드(5)의 설정 메모리 영역(60, 61, 62)이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방송수신기(1)의 메모리 영역(10, 11, 12)으로 복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11. 제 4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판독기(50)가 카드입력부(55)에 구비되어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설정된 메모리 영역(10, 11, 12)은 카드입력부(55)에 삽입된 칩카드(5)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수신기(1).
KR1019997009097A 1997-04-11 1998-02-14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방법과 방송수신기 KR200100060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15052A DE19715052A1 (de) 1997-04-11 1997-04-11 Verfahren zur Erstellung und Speicherung von benutzerspezifischen Bedienmenüs und Rundfunkempfänger
DE19715052.7 1997-04-11
PCT/DE1998/000424 WO1998047228A1 (de) 1997-04-11 1998-02-14 Verfahren zur erstellung und speicherung von benutzerspezifischen bedienmenüs und rundfunkempfän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6019A true KR20010006019A (ko) 2001-01-15

Family

ID=78261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9097A KR20010006019A (ko) 1997-04-11 1998-02-14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방법과 방송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974192B2 (ko)
JP (1) JP4152447B2 (ko)
KR (1) KR20010006019A (ko)
DE (2) DE19715052A1 (ko)
TW (1) TW391085B (ko)
WO (1) WO199804722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37725B4 (de) * 2002-08-17 2022-11-03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Multifunktions-Bedien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DE102005030361A1 (de) 2004-08-25 2006-03-30 Siemens Ag Bedieneinrichtung zur individuellen Bedienung eines Kraftfahrzeuggeräte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14555T3 (de) * 1988-09-13 1999-04-29 Sony Corp Synthesizer für Funkempfänger.
JP2755665B2 (ja) * 1989-03-10 1998-05-20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表示装置
JP3089479B2 (ja) 1990-09-04 2000-09-18 ソニー株式会社 テレビジョン画像表示装置
DE4201031C2 (de) 1992-01-14 1994-09-01 Ludwig J Prof Dr Issing Programmauswahlsystem zur automatisierten Vorauswahl von Fernseh- bzw. Radiosendungen nach den individuellen Interessen der Teilnehmer
DE9321550U1 (de) * 1993-09-02 1999-09-02 Becker Gmbh Mobiler Rundfunkempfänger
US5781247A (en) 1995-04-05 1998-07-14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Customizable menu for a television receiver accessed via a remote control keyboar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8047228A1 (de) 1998-10-22
DE59802534D1 (de) 2002-01-31
JP2001519128A (ja) 2001-10-16
JP4152447B2 (ja) 2008-09-17
DE19715052A1 (de) 1998-10-15
EP0974192B2 (de) 2007-01-17
TW391085B (en) 2000-05-21
EP0974192A1 (de) 2000-01-26
EP0974192B1 (de)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38438A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reating new pages in a touch screen based telephony product having a hierarchical repertory
JPH0213015A (ja) 項目の選択方法及び装置
US8255833B2 (en) Electronic equipment having plural function keys assignable at an arbitrary hierarchical level in a hierarchical menu
US20030128241A1 (en) Information terminal device
JPH07129363A (ja) 文書作成装置
JPH0583009B2 (ko)
JP2000132311A (ja) 文字入力方法および文字入力装置
KR20010006019A (ko) 사용자 정의의 조작메뉴를 설정 및 저장하는 방법과 방송수신기
JP2003076222A (ja) 画像形成装置
JP3664322B2 (ja) 映像処理装置
TW456146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an option in a system
JP2006103668A (ja) 車両マルチメディア装置のディスプレイ装置上の階層構造化されたメニューのディスプレイを制御するための車両マルチメディア装置および方法。
JPH11308493A (ja) ディジタルカメラ
JP3732776B2 (ja) 電子測定装置
JPS6132868A (ja) 複写機のワンタツチコピ−条件設定方式
JP2000066795A (ja) 遠隔入力システム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0101939A (ja) チャンネルプリセット装置
JPS60254910A (ja) 受信周波数自動記憶システム
JPS63298429A (ja) 入力装置
JPH02201610A (ja) リーダ・ライタ装置
JPH04222024A (ja) プログラム作成装置
JPH04282997A (ja) 電子機器
JPH05303360A (ja) 多画面表示装置
JPS63223820A (ja) デ−タ処理装置における入力制御方式
JPH02101512A (ja) 電子計算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