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6659A - 표면 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 - Google Patents

표면 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6659A
KR20000076659A KR1020000006956A KR20000006956A KR20000076659A KR 20000076659 A KR20000076659 A KR 20000076659A KR 1020000006956 A KR1020000006956 A KR 1020000006956A KR 20000006956 A KR20000006956 A KR 20000006956A KR 20000076659 A KR20000076659 A KR 200000766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ther
layer
nonwoven fabric
fibers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6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6929B1 (ko
Inventor
노부또요시끼
아까마따가즌도
요네다히사오
Original Assignee
나카무라 하사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카무라 하사오,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filed Critical 나카무라 하사오
Publication of KR200000766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66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69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69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82Stretched reticular film fibres; Composite fibres; Mixed fibres; Ultrafine fibres; Fibres for artificial lea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2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 B32B5/24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26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the presence of two or more layers which are next to each other and are fibrous, filamentary, formed of particles or foamed one layer being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another layer next to it also being fibrous or filamentar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02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3/12Soles with several layers of differ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7/00Footwear with health or hygienic arrangements
    • A43B7/12Special watertight footwear
    • A43B7/125Special watertight footwear provided with a vapour permeable member, e.g. a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32B7/14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applied in spaced arrangements, e.g. in strip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04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ultra-fine two-component fibres, e.g. island/sea, or ultra-fine one component fibres (< 1 denie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WALL, FLOOR, OR LIKE COVERING MATERIALS, e.g. LINOLEUM, OILCLOTH, ARTIFICIAL LEATHER, ROOFING FELT, CONSISTING OF A FIBROUS WEB COATED WITH A LAYER OF MACROMOLECULAR MATERIAL; FLEXIBLE SHEET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N3/00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 D06N3/0002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 D06N3/0013Artificial leather, oilcloth or other material obtained by covering fibrous webs with macromolecular material, e.g. resins, rubber or derivative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using multilayer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5/00Polyureas;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7/00Clothing
    • B32B2437/02Gloves, sho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04Artificial lea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3907Pile or nap type surface or component
    • Y10T428/2395Nap type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355Continuous and nonuniform or irregular surface on layer or component [e.g., roofing, etc.]
    • Y10T428/24438Artificial wood or leather grain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26Spot bonds connect compon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369Coating or impregnation improves elasticity, bendability, resiliency, flexibility, or shape retention of the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369Coating or impregnation improves elasticity, bendability, resiliency, flexibility, or shape retention of the fabric
    • Y10T442/2377Improves elastic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20Coated or impregnated woven, knit, or nonwoven fabric which is not [a] associated with another preformed layer or fiber layer or, [b] with respect to woven and knit, characterized, respectively, by a particular or differential weave or knit, wherein the coating or impregnation is neither a foamed material nor a free metal or alloy layer
    • Y10T442/2738Coating or impregnation intended to function as an adhesive to solid surfaces subsequently associated therewi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1Nonwoven fabric has an elastic qualit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6Microfiber is synthet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6Mechanically interengaged by needling or impingement of fluid [e.g., gas or liquid stream, et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59Including an additional nonwoven fabric
    • Y10T442/666Mechanically interengaged by needling or impingement of fluid [e.g., gas or liquid stream, etc.]
    • Y10T442/667Needled

Abstract

라이팅이 있어서 고급성 외관을 가지면서, 또한 천연 피혁에 가까운 부드러운 질감과 감촉성, 나아가서는 천연 피혁같은 접힌 주름을 겸비한, 표면입모 (立毛) 를 갖는 피혁형 시트와, 그것을 성형 제화한 경우, 표면에 부자연스러운 오목볼록함이 없고, 또 형붕괴하지 않는 구두를 얻을 수 있게되는 피혁형 시트를 제공한다.
하기의 (A) 의 엉킴 (entangled) 부직포와 (B) 의 엉킴 부직포:
(A)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 0.1 데니어 이하의 극미세 섬유 (a) 의 엉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 적층되는 면의 반대측의 면에 솜털이 있고, 경 방향 및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 (破斷 延伸度)가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인 엉킴 부직포,
(B)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 0.5 데니어 이하이고 또 섬유 (a) 의 4 배 이상의 섬도를 갖는 미세 섬유 (b) 의 엉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경 방향 및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가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인 엉킴 부직포
가, 불연속 상으로 존재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되어있는 피혁형 시트.

Description

표면 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LEATHER-LIKE SHEET HAVING NAPPED SURFACE}
본 발명은, 라이팅 (writing) (핸드라이팅 효과 (handwriting effect)) 이 있어서 고급성 외관을 가지면서, 또 천연 피혁에 가까운 질감, 감촉성을 겸비하고, 또한 제화시의 성형성 및 제화후의 형태보전성이 우수한 피혁형 시트에 관한 것이며, 필요에 따라서, 방수성과 투습성을 겸비하고, 게다가 외적요인, 예컨대 잡아당김, 긁힘, 두드림 등의 외적인 응력이 가해졌을 경우나, 오염물 등이 부착했을 때에도, 방수 성능을 손상시키는 경우가 적기 때문에, 구두 등의 응용에 유용한 피혁형 시트와 그것을 이용한 구두에 관한 것이다.
최근, 야외 활동이 레크레이션으로서 중요시되고 있는 배경하에서, 패션의 경향에 있어서도, 캐쥬얼 감각의 천연 피혁 쉬에드 (suede) 및 천연 피혁 누벅 (nubuck), 쉬에드같은 소재 및 누벅같은 소재의 사용이 구두 등을 중심으로 많아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누벅같은 인공피혁은, 실제 천연 피혁 누벅을 구성하는 콜라겐 섬유와 비교할때, 명확하게 섬도 (纖度) 가 높은 섬유가 이용되고 있기 때문에, 외관이 좋지않을 뿐 아니라, 감촉이 거칠거칠하여, 고급성이 없다. 또, 인공피혁을 구성하는 섬유가 전층에 걸쳐서 균일한 섬도이거나, 또는 섬도가 상이한 섬유로 구성되는 경우에도, 이들 섬유가 혼재하고 있는 등의 이유 때문에, 천연 피혁과 같은 미세한 접힌 주름을 달성시킬 수 없었다.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9-1749 에 기재되는 기술과 같이, 입모 (立毛) 부가 0.5 데니어 이하인 극미세 섬유와 상기 극미세 섬유의 4 배 이상의 굵기를 갖는 섬유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입모층을 갖는 경우, 표면의 감촉이, 굵기가 상이한 섬유에 의하여 거칠거칠한 감촉이 되고, 염색한 경우에도, 섬유의 굵기에 따라서 염색의 농도 얼룩이 발생하기 쉽기 때문에, 고급성 외관을 얻기 어렵다. 또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137281 호에 기재되는 기술과 같이,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엉킴 직포에 직편물을 중첩한 후, 니들 펀칭으로 얽힘 일체화하는 경우에도, 표면층 또는 그 부근에 직편물의 섬도가 굵은 섬유가 존재하기 쉬워지므로,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또 굵기가 상이한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 적층되고, 그들 섬유가 혼재하지 않는 예로서,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 59-116477 호에는, 1 데니어 이하의 섬유와 고분자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인공피혁에, 편물 또는 직물을, 점형 도포한 접착제에 의하여 맞붙인다는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그러나, 이 기술에서는, 맞붙이는 층이, 편물 또는 직물이며, 또 그것을 구성하고 있는 섬유의 굵기가 지나치게 굵기 때문에, 안감재로서, 인공피혁의 강도를 높이는 것은 가능하지만, 제화 공정에서의 성형시에 편직물의 오목볼록함이 표면으로 나타나거나, 편직물의 파단 연신도에 따라서는, 성형 공정에 적합하지 않아, 응용하는 구두의 종류가 한정되는 경우가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인공 피혁은, 전층이 염색되어 있는 것이 많고, 특히 구두 등에 이용한 경우에 발과 접하는 부분, 즉 피혁형 시트의 이면의 염색 견뢰도에 따라서는, 양말 등이 염색에 의하여 더러워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 방수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도, 누벅같은 소재는, 천연 피혁 누벅과 동일하게 표면에 은면 (銀面) 층을 갖지 않기 때문에, 구두에 이용한 경우에 투습성이 크고 습기가 잘 차지 않아, 신은 착용감이 좋다는 장점을 가지는 반면, 빗물이 피층을 통과하여 매우 용이하게 내부에 침투한다는 결점을 갖고 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법으로는, 이면에 방수층을 형성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들 방법에 있어서는, 방수층이 이면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이면에 외적인 응력인자, 예컨대, 잡아당김, 긁힘, 두드림 등의 힘이 가해진 경우, 방수층이 손상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자들은, 고급성 외관과 천연 피혁에 가까운 질감, 감촉, 그리고 제화시의 성형성과 형태 보전성을 겸비하고, 나아가서는 필요에 따라서 방수기능과 투습기능을 양립하고, 또한 외적 인자에 대해서도 이들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누벅같은 피혁형 시트에 관하여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다음의 엉킴 부직포 (A), (B):
(A)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 0.1 데니어 이하의 극미세 섬유 (a) 의 엉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 적층되는 면의 반대측에 면이 솜털이 있고, 경 방향 및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가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인 엉킴 부직포,
(B)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 0.5 데니어 이하이고 또 섬유 (a) 의 4 배 이상의 섬도를 갖는 미세 섬유 (b) 의 엉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경 방향 및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가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인 엉킴 부직포,
가 불연속상으로 존재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되어 있는 피혁형 시트에 의하여 상기 목적이 달성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에 이르렀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게는, 엉킴 부직포 (A) 는 염색되어 있으나, (B) 는 실질적으로 염색되지 않은 경우이며, 또 필요에 따라서, 엉킴 부직포 (A) 와 (B) 의 사이에, (C)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습성 필름층이 존재하고 있는 피혁형 시트이다. 또 이들 피혁형 시트를 성형 제화하여 얻어지는 구두이다.
천연 피혁은, 극미세 섬유 다발로 이루어지는 표면층 아래에 상기 극미세 섬유보다도 약간 굵은 섬유로 이루어지는 층이 존재하고 있고, 본 발명의 피혁형 시트는 단면 구조가 이와 같은 천연 피혁의 구조와 유사한 구조로 되어있고, 이것이, 본 발명의 피혁형 시트에 천연 피혁형의 질감이나, 감촉, 접힌 주름 등을 부여하고 있는 원인이라고 추측된다.
첨부 도면은, 본 발명의 피혁형 시트의 단면 모식도이다. 도면 중 1 이 부직포 (A), 2 가 부직포 (B), 3 이 투습성 (透濕性) 필름층 (C), 4 가 접착제층, 5 가 솜털 층을 나타낸다. 도 1 은, 투습성 필름층 (C) 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이고, 도 2 는 투습성 필름층 (C) 이 존재하고 있는 경우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술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A) 층은, 0.1 데니어 이하의 극미세 섬유를 얽켜서 얻은 부직포와, 그것에 함침 ·응고된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있다. (A)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1 데니어 이하일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0.1 ∼ 0.0001 데니어의 범위이다. 0.1 데니어를 초과하면, 입모 면의 촉감이 거칠거칠한 질감이 되고, 미세한 광택을 얻을 수 없고, 외관이 저하된다. 또 0.0001 데니어 미만에서는, 섬유의 파단 강력이 저하하고, 층의 박리 강력 및 파단 강력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또한 염색 후의 발색성이 떨어진다.
극미세 섬유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상용성을 갖지 않으며, 용해성 또는 분해성이 상이한 2 종류 이상의 폴리머를 사용하여 혼합 방사 (紡絲) 법 및 복합 방사법 등의 방사 방법에 의하여, 단면 형상이 해도 (海島) 구조 및 분할 가능한 접합 구조로 되어있는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얻고, 그리고 그 섬유의 일부 (예컨대 해 (海) 성분) 를 추출 또는 분해제거, 접착부를 박리하여 극미세 섬유로 하는 방법 및 입모 구조를 갖는 시트를 형성한 후에 섬유의 일부 (예컨대 해 성분) 를 추출 또는 분해 제거하여 극미세 섬유로 하는 방법, 및 용융방사 노즐로부터 섬유 형성성 폴리머를 토출한 직후에 고속기체로 불어날려 섬유를 가늘게 하는, 소위 멜트 블로우법 등의 공지된 극미세 섬유의 제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섬유굵기의 관리 및 극미세 섬유의 안정성으로부터, 상기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경유하는 방법이다.
극미세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또한 이들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 및, 나일론-6, 나일론-66, 나일론-610 등의 폴리아미드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류 등의 공지된 수지로부터 선택된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상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류, 및 폴리아미드류가 천연 피혁같은 인공 피혁을 얻을 수 있고, 염색성도 우수하다는 것 등의 점에서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수지에는, 방사시의 안정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또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구성하는 추출제거 또는 분해제거되는 수지성분의 예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 폴리스티렌, 스티렌-아크릴계 모노머 공중합체, 스티렌-에틸렌 공중합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등의 폴리머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 종의 폴리머를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에틸렌 및 폴리스티렌 또는 이들을 주체로 하는 공중합체 등의 추출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다음은 상기 극미세 섬유 또는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이용하여 기재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부직포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공지의 방법, 예컨대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로 이루어지는 엉킴 부직포를 제조하는 공정, 그 엉킴 부직포에 탄성 중합체 용액을 함침 ·응고하는 공정,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극미세 섬유로 변성하는 공정을 순차적으로 행함으로써 달성할 수 있다. 물론 극미세 섬유로 변성하는 공정과 탄성 중합체를 함침 ·응고시키는 공정을 역전시킬 수도 있다.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이용하여 엉킴 부직포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종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방사, 연신, 열처리, 권축, 커트 등의 처리를 행하여, 동일 섬유의 원면을 제작하고, 이러한 원면을, 카딩기 (carder) 로 잘 풀어서, 웨버 (weber) 로서 랜덤 (random) 직포 또는 크로스 랩 (cross wrap; 익경사) 직포로 형성한다. 얻어지는 직포를 필요에 따라서 적층하고, 목적하는 무게로 한다. 직포의 무게는, 목적으로 하는 최종적인 용도 분야에 따라서 적정 선택되고, 일반적으로 100 ∼ 3000 g/㎡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 저 비용화 등의 목적으로, 필요로 하는 중량의 약 2 배의 부직포에 탄성 중합체 용액을 함침 응고시킨 후에 밴드 나이프 (band knife) 등으로 두께 방향으로 분할함으로써, 효율적으로 한번에 2 장의 기재를 제조할 수도 있다. 직포의 적층에 이어서 공지된 수단, 예컨대 니들 펀칭법 및 고압 수류 분사법 등을 이용하여 얽힘 처리를 행하여, 엉킴 부직포를 형성한다. 니들 펀칭수 및 니들 펀칭조건은 사용침의 형상 및 직포의 두께에 따라서 상이하지만, 일반적으로는 200 ∼ 2500 펀치/㎠ 의 범위로 설정하는 것이 좋다.
엉킴 부직포는, 탄성 중합체의 함유 처리에 앞서서, 필요에 따라서 열프레스 등의 공지방법에 의하여 표면의 평활화 처리를 행할 수도 있다. 엉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예컨대 폴리에틸렌을 해 성분으로 하고,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를 극미세 의 도 (島) 성분으로 하는 해도 형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인 경우에는, 열 프레스에 의하여 해 성분의 폴리에틸렌을 용해시키고, 섬유끼리를 접착시킴으로써 매우 표면 평활성이 우수한 엉킴 부직포로 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또 엉킴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가 1 성분을 용해 해제하여 극미세 섬유로 변성할 수 있는 다성분 섬유가 아닌 경우에는, 함유시키는 탄성 중합체가 섬유에 고착하여 질감이 딱딱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함침 처리에 앞서서 폴리비닐알콜 등의 가충전 물질로 섬유 표면을 덮어두고, 탄성 중합체를 부여한 후에 가충전 물질을 제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극미세화 공정을 탄성 중합체의 함침·응고공정의 후에 행하는 경우에도, 엉킴 부직포의 단계에서 가충전 물질을 부여함으로써, 더욱 유연한 시트로 할 수 있다.
다음은 엉킴 부직포에 함유시키는 탄성 중합체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질감 면에서 폴리우레탄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소프트 세그멘트로서, 디올과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반응시켜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계 디올, 폴리락톤계 디올, 폴리카보네이트계 디올, 폴리에테르계 디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수평균 분자량이 500 ∼ 5000 의 적어도 1 종류의 폴리머 디올을 사용하고, 이것과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저분자 사슬 연신제를 반응시켜서 얻을 수 있는, 소위 세그멘트화 폴리우레탄을 들 수 있다.
소프트 세그멘트를 구성하는 상기 디올화합물로서는, 내구성 혹은 피혁형의 질감 면에서 탄소수 6 이상 10 이하인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예컨대, 3-메틸-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2-메틸-1,8-옥탄디올, 1,9-노난디올, 1,10-데칸디올 등을 들 수 있다. 디카르복실산의 대표예로서는 숙신산, 글루타르산, 아디프산, 아젤라산, 세바신산 등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등의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머 디올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 미만인 경우에는, 유연성이 결여되고, 천연 피혁형의 질감을 얻지 못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 폴리머디올의 수평균 분자량이 5000 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우레탄기 농도가 감소하기 때문에 유연성 및 내구성, 내열성, 내 가수분해성에 있어서 균형된 것을 얻기 어렵다.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방향족계, 지방족, 지환족계의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저분자 사슬 연신제로서는, 예컨대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탄디올, 헥산디올, N-메틸디에탄올아민, 에틸렌디아민 등의 분자량이 300 이하의 활성 수소원자를 2 개 갖는 저분자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또 필요에 따라서, 탄성 중합체로는, 응고 조절제, 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 있고, 또한 2 종 이상의 폴리머를 병용해도 상관없다. 또한 카본블랙 등의 착색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엉킴 부직포에 탄성 중합체를 함유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질감의 균형면에서 엉킴 부직포에 탄성 중합체 용액을 직접 함침시키고, 필요에 따라서 압착 롤러로 조이는 방법, 및 탄성 중합체 용액을 코터로 코팅하면서 스며들게 하는 방법 등이 바람직하다. 또 천연 피혁형의 유연한 질감 면에서, 부직포를 구성하는 섬유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의 경우에는 극미세 섬유화처리후의 섬유) 와 탄성 중합체와의 중량비율은, 20/80 ∼ 95/5 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5/75 ∼ 90/10 의 범위내이다. 섬유의 비율이 지나치게 낮아지면, 피혁형 시트가 고무같은 질감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섬유의 비율이 지나치게 높아지면 종이같은 질감이 되기 때문에, 목표로 하는 천연 피혁형의 질감을 얻을 수 없다.
엉킴 부직포에 탄성 중합체를 함유시킨 후에, 탄성 중합체 및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의 도 성분에 대해서는 비용제로, 또 해 성분에 대해서는 용제 또는 분해제로서 작용하는 액체로 처리함으로써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극미세 섬유다발로 변성하고, 극미세 섬유 엉킴 부직포와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시트로 한다. 물론, 탄성 중합체를 함유시키는데 앞서서,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극미세 섬유다발로 변성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시트로 할 수도 있다.
얻어진 극미세 섬유의 엉킴 부직포화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부직포의 표면 기모 (起毛) 는, 문지름, 정모 등의 공지된 방법에 의하여 행할 수 있다. 기모하는 솜털 길이는, 촉감 및 광택 등의 외관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문지름 및 정모의 조건, 예컨대 문지름에 이용하는 사포 (砂布) 질의 횟수, 깎는 속도, 누르는 압력 등을 조정함으로써, 바람직한 솜털 길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얻어진 엉킴 부직포와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시트는, 경 방향,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가 50 % 이상, 80 % 이상인 것이 필수이다. 제화 공정에서의 성형시, 약 30 % 정도 연신되기 때문에, 경 방향, 위 방향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의 파단 연신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미만인 경우에는, 성형시의 파단 및, 피혁형 시트 표면의 갈라짐 등의 결함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경 방향 55 % 이상에서 150 % 이하, 위 방향 85 % 이상에서 200 % 이하이다. 파단 연신도를 경 방향 50 % 이상, 위 방향 80 %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니들 펀칭으로 극미세 섬유 또는 극미세 섬유발생형 섬유를 얽키게 했을때의 펀칭수를 높이는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적당한 니들 펀칭수의 니들 펀칭을 행하여, 얻어지는 시트의 파단 연신도를 측정한 결과에 의거하여, 니들 펀칭수를 증감시켜 필요로 하는 파단 연신도를 갖는 시트를 얻을 수 있다. 반대로, 부직포의 보강을 위하여, 편직물이 일체화되어 있는 경우에는, 파단 연신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어서 바람직하지 못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화했을 경우에, 얻어지는 구두의 형붕괴를 방지하고, 또 제화시의 성형시에 표면에 오목볼록함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이면의 마찰 견고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A) 층의 이면에 상기한 (B) 층을 일체화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B) 층은, 0.5 데니어 이하의 섬유로 이루어지는 엉킴 부직포와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층이나, 섬유의 섬도가 0.5 데니어 이하라는 점을 제외하면, (A) 층과 동일하며, 섬유를 구성하는 수지 및 제조 방법, 또는 탄성 중합체를 구성하는 수지 및 제조 방법도 동일하다. 따라서, (A)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수지성분 및 탄성 중합체의 성분이 동일해도 상관없다. 또 (A) 층에서는 필수인 편면의 입모 처리에 관해서는 특별히 필요하지 않으나 처리해도 상관없다.
(B)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0.5 데니어 이하일 필요가 있고, 0.5 데니어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화시의 성형시에 표면에 오목볼록함이 발생하고, 외관 불량이 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0.001 데니어의 범위이다. 또 (A)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에 대하여, (B)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는, 4 배 이상인 것이 필수이다. 바람직하게는 5 ∼ 1000 배이다. 섬도의 차가 4 배 미만이 되면, 천연 피혁과 같이 자연스러운 질감을 얻을 수 없게 되고, 고급성이 저하하거나, 성형시의 형태 보전성이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 말하는 (A) 층과 (B) 층을 구성하는 섬유의 섬도 (평균굵기) 란, 각각의 층 두께 방향의 단면을 전자 현미경으로 사진을 찍고, 그 사진에서 임의의 섬유를 100 가닥 골라내어, 그 단면적에서 각각의 섬유 굵기를 구하고, 굵기를 100 가닥 합계한 후, 100 으로 나눔으로써 구할 수 있다. 또 이 (B) 층에 대해서도 파단 연신도의 한정은 (A) 층의 경우와 동일하며, 경 방향 50 % 이상, 위 방향 80 % 이상을 만족하지 않은 경우에는, (A) 층의 경우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A) 층, (B) 층은, 불연속상으로 존재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되어있다. 접착제로서 이용되는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기존의 폴리우레탄 수지가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접착제에 이용되는 수지는, (A) 층, 또는 (B) 층의 탄성 중합체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해도 좋고, 또 상이해도 좋다. 접착에 이용하는 수지는 접착 성능을 크게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필요에 따라, 안정제, 착색제, 미립자 등이 첨가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A) 층과 (B) 층을 적층하는 경우에는, (A) 층의 경 방향과 (B) 층의 경 방향이 동일 방향을 향하도록 적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에 이용되는 수지의 도포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상기 수지를 용제에 용해하여 도포하는 방법, 및 핫 멜트 (hot melt) 법 등이 있다.
상기 접착용 수지의 도포 형태에 관해서는, 접착하는 수지가 불연속상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형 도포 및, 선상 도포를 들 수 있으나, 접착한 (A) 층 및 (B)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물의 세로, 가로의 신축 탄성을 평균화하는 목적에 있어서는, 점형 접착이 더욱 바람직하고, 그라비어 (gravure) 롤러를 이용하여 접착 수지를 점형 도포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그라비어 롤러의 메쉬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50 ∼ 200 메쉬로 행하는 것이 통상이다. 도포한 접착용 수지가 연속적으로 존재할 경우, 질감이 딱딱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말하는 불연속이란, 도포한 접착제가 종횡 양방향에 대하여 실질적으로 끊김이 없이 연속되어 있는 상태는 아님을 의미하고 있다. 접착제의 도포량으로서는, 고형분으로 1 ∼ 30 g/㎡ 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혁형 시트의 구성은, (A) 층, (B) 층이 불연속상으로 존재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되어 있기 때문에, (A), (B) 양층에 걸치는 섬유는 실질적으로 존재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가짐으로써, (A) 층을 구성하는 극미세 섬유에 의한 고급성 질감, 감촉, 외관을 달성하고, 나아가서는 (A) 층만의 염색에 의한 이면의 견고도 저하 방지, 또 필요에 따라서 방수 필름을 끼워넣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서는, (A) 층은 염색되어 있으나, (B) 층은 실질적으로 염색되지 않은 경우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염색이란, (A) 층을 구성하는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엉킴 부직포에 탄성 중합체가 함유된 층을 형성한 후, 염료로 염색하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A), (B) 각각의 층을 구성하는 극미세 섬유 및 미세 섬유, 또는 탄성 중합체에 미리, 카본블랙을 비롯한 안료 및 염료를 첨가하여 착색하는 것은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B) 층을 구성하는 성분인 미세 섬유 및 탄성 중합체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카본블랙 등에 의하여 착색한 경우에 대하여, 염색한다는 표현은 사용하지 않는다.
(A) 층만을 염색함으로써, (A), (B) 양층을 염색한 경우에 비교하여, 염료 비용이 적게 들고, 또 본 발명의 피혁형 시트를 구두 등에 이용한 경우, 발과 접하는 부분이 염료에 의하여 더러워지는 일이 없다.
이상과 같이 (A), (B) 층의 적층에 의하여 구성되는 피혁형 시트의 두께에 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두에 응용하는 경우에는, (A) 층이 0.25 ∼ 1.8 ㎜, (B) 층이 0.25 ∼ 2.5 ㎜, 적층한 쉬에드같은 피혁형 시트가 0.5 ∼ 3 ㎜ 정도의 두께가 적당하게 이용된다. 또, 염료 비용, 접힌 주름의 관점에서는 (A) 층이 (B) 층에 비하여 얇은 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서 (A) 층과 (B) 층의 사이에 (C)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습성 필름층을 적층하고 있다. (C) 층을 (A), (B) 양층 사이에 끼워넣고, 즉 (A),(C),(B) 순서로 적층시킴으로써,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C) 층이 (A) 층 과 (B) 층 사이에 끼워져 있음으로써, (C) 층이 손상되는 일이 적고, 따라서 피혁형 시트에 외력이 가해진다 해도 내수성이 손상되는 경우도 극히 적다. 이 (C) 층에 대하여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C) 층은,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습성 필름층이다. 투습도에 대해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습기가 차지 않는 구두로서 요구되는 투습성, 즉 피혁형 시트의 투습성을, JIS K-6549 의 측정법 (이하, 측정법 생략) 에 있어서 700 g/㎡/24h 이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1000 g/㎡/24h 이상인 필름형 탄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두께는 방수성, 질감의 균형으로부터 5 ∼ 40 미크론인 것이 바람직하다. 5 미크론 미만에서는, 방수성이 저하하는 경향이 있고, 반대로 40 미크론을 초과하면 질감이 딱딱해지는 경향이 있다.
또, 필름층은, 다공질 또는 비다공질이라도 된다. 단, 다공질인 경우에는 구멍 지름의 크기에 따라서, 내수압이 저하하거나, 필름의 강도가 낮아지는 등의 단점이 발생하기 때문에, 구멍의 평균직경이 3 미크론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탄성 중합체의 성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이용된다. 특히 높은 투습성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주 사슬로 폴리에테르 사슬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필름상으로 성형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공질인 경우에는, 공지의 습식법에 의하여, 또 비다공질인 경우에는 탄성 중합체를 용제에 용해한 후, 박리지상 (薄利紙上) 에서 건식 필름으로서 얻는 방법 및, 중합체가 열가소성을 갖는 경우에는, T 다이 압출 등 열에 의한 용융 성형법 등이 있으나, 성형법에 대해서도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C) 층을 구성하는 필름형 탄성 중합체는, (A) 층 및 (B) 층보다 높은 파단 연신도를 갖고 있어야만 한다. 본 발명에서 말하는 파단 연신도란, JIS K-6550 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며, 바람직하게는 (C) 층의 파단 연신도가, (A) 층 및 (B) 층의 파단 연신도의 어느 것보다도 10 % 이상 높은 경우이다. (C) 층의 파단 연신도가 (A) 층 및 (B) 층의 파단 연신도보다도 낮은 경우에는 구두를 제조할 때의 성형시에 (C) 층이 파단하고, 내수성을 얻을 수 없는 원인이 된다.
(A),(C),(B) 층의 순서로 적층하는데 이용되는 접착 수지로서는, 상술한 듯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투습성을 확보할 목적으로, 주 사슬에 폴리에테르 사슬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가 높은 투습성을 갖기 때문에, 적절하게 이용된다. 접착에 이용되는 수지는, (C) 층의 탄성 중합체를 구성하는 수지와 동일해도 되거나 상이해도 된다.
(A) 와 (C) 및 (C) 와 (B) 층을 접착할 때, 상기 접착용 수지는, 통상 (A) 층, (B) 층에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도포하고, 도포면에 (C) 층이 중첩된다. 접착용 수지를 (C) 층에 직접 도포한 경우에는, 용제 또는 열에 의하여 (C) 층이 용해 및 분해 등에 의하여 방수성이 손상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그러나 예컨대 (A) 층에 (C) 층을 접착한 경우와 같이, (A), (B) 어느 쪽인가의 층에 (C) 층을 접착한 후에, (C) 층측에 접착용 수지를 도포하는 것은 가능하다.
(A) 층과 (C) 층의 접착 및 (C) 층과 (B) 층의 접착시의, 상기 접착용 수지의 도포방법, 접착제가 부 연속상으로 존재할 필요가 있는 것 등에 관해서는, (A), (B) 양층만의 접착과 동일하며, 상술한 대로이나, 용융시킨 접착용 수지를 그라비어에 의하여 도포하고, 접합을 행한 후, 냉각시키는 방법, 소위 핫 멜트법의 접착이라도 상관없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A), (C) 및 (B) 층으로 이루어지는 적층물, 즉 방수성을 부여한 피혁형 시트의 내수성은, JIS L-1079 법 (이하 측정법 생략) 에 있어서, 1500 ㎜ 이상, 투습도가 700 g/㎡/24h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피혁형시트를 구두로 응용한 경우, 내수도를 1500 ㎜ 이상으로 함으로써, 빗물은 물론, 물 고임이나, 얕은 물가에 구두가 빠졌을 때에도, 물이 피혁형 시트의 표면에서 내부로 침투하는 일이 없고, 투습도를 700 g/㎡/24h 이상으로 함으로써, 습기가 차는 것을 방지하고, 구두를 신은 질감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내수압 1500 ㎜ 이상으로 10 분 이상, 투습도 1000 g/㎡/24h 이상이다. 단 내수압 10000 ㎜ 및 투습도 2500 g/㎡/24h 를 초과하는 것은 제품 품질상 제조가 어렵다.
상기 피혁형 시트에, 불소계 등의 발수제를 첨가할 수도 있다. 발수 처리함으로써, 더러움을 방지할 뿐 아니라, 구두 등에 응용하였을 때 (A) 층에 상당하는 표면층에 물이 스며들어, 구두의 중량이 증가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도 있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 본 발명의 목적을 크게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A) 층과 (B) 층의 사이에, 또 (A) 층과 (C) 층의 사이나, (C) 층과 (B) 층의 사이에 극미세 섬유층 및 다른 수지층을 존재하게 하거나, 나아가서는 (B) 층의 (A) 층 또는 (C) 층과 접하는 면과는 반대 측의 면에 극미세 섬유층 및 다른 수지층을 존재시킬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하여 얻어진 피혁형 시트는, 야외용 캐쥬얼 슈즈, 스포츠 슈즈 등의 일반화는 물론, 성형 공정을 행하는 고급의 구두 원료로서 유용하다.
다음은,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로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 중의 부는 언급이 없는 한, 중량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 (A) 층, (B) 층, (C) 층의 파단 연신도는, JIS L-1096 에 의하여 측정되고, 기재의 생산시의 진행 방향이 경 방향, 그 직각 방향이 위 방향이 된다. 또 두께에 관해서도, JIS L-1096 에 나타나는 방법에 의하여 측정되고, 240 g/㎠ 의 가중시의 두께이다.
또 실시예 중에서 내수압은, JIS K-1079, 투습도는 JIS K-6549 에 의하여 측정을 행한다. 또 외관은 촉감이나 광택 등을 가미하여 발명자들이 판단하여, 양호:O, 보통:ㅿ, 불량: ⅹ 로 표현한다.
제조예 1
나일론-6 (상대점도 2. 8) 과 폴리에틸렌을 칩상태로 50 : 50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압출기에 의하여 용융방사를 행하고, 폴리에틸렌이 해 성분이며 나일론-6 이 도 성분인 해도 단면을 갖는 혼합방사 섬유를 방사하고, 연신, 권축, 커트하여 4 데니어, 51 ㎜ 길이의 단 섬유를 제작하고, 웨버로 크로스 랩을 만들어 니들 펀칭기를 이용하여 700 펀치/㎠ 의 니들 펀칭을 행하여 엉킴 부직포를 었었다. 이 섬유질 시트에 폴리 3 메틸펜탄아디페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계 폴리우레탄 수지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함침하고, 습식 응고시킨 후, 섬유의 해 성분인 폴리에틸렌을 80 ℃ 의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평균 중량 450 g/㎡, 두께 1.3 ㎜, 폴리우레탄 수지와 섬유의 비율이 50/50 의 기질층을 었었다. 얻어진 시트의 나일론 극미세 섬유의 섬도는, 0.006 데니어가 였다. 얻어진 기질층의 편면을 사포로 문질러서 상기 나일론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 표면을 가진 기질 (A)-1 을 었었다. 이 기질의 파단 연신도는 경 방향 70 %, 위 방향 95 % 였다.
제조예 2
제조예 1 에서 얻어진 기질층의 양면을 사포로 문질러서 상기 나일론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표면으로 하고, 그 후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둘로 나누어 슬라이스하고, 평균 중량 220 g/㎡, 두께 0.6 ㎜ 인 기질 (A)-2 를 었었다. 표리 (表裏) 로 얻어진 2 매의 기질은 같은 외관, 평균 중량, 두께를 갖고 있다. 이 기질의 파단 연신도는 경 방향 75 %, 위 방향 110 % 였다.
제조예 3
나일론-6 (상대점도 2.4) 과 폴리에틸렌을 칩 상태로 50:50 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압출기에 의하여 용융방사를 행하고, 폴리에틸렌이 해 성분이며 나일론-6 이 도 성분인 해도 단면 섬유를 방사하고, 연신, 권축, 커트하여 3.5 데니어, 51 ㎜ 길이의 단 섬유를 제작하고, 웨버로 크로스 랩을 만들어 니들 펀칭기를 이용하여 1500 펀치/㎠ 의 니들 펀칭을 행하여 엉킴 부직포를 었었다. 이 섬유질 시트에 폴리 3-메틸펜탄아디페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계 폴리우레탄 수지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함침하고, 습식 응고시킨 후, 섬유의 해 성분인 폴리에틸렌을 80 ℃ 의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평균 중량 305 g/㎡, 두께 0.9 ㎜, 폴리우레탄 수지와 섬유의 비율이 55/45 의 기본층을 었었다. 얻어진 시트의 나일론 극미세 섬유의 섬도는, 0.04 데니어가 였다. 얻어진 기질층의 양면을 사포로 문질러서 상기 나일론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 표면으로 하고, 그 후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둘로 슬라이스하여, 평균 중량 150 g/㎡, 두께 0.4 ㎜ 인 기질 (A)-3 을 었었다. 이 제조 예에서도, 얻어진 2 장의 기질은, 같은 외관, 물성을 갖고 있었다. 이 기질층의 파단면 연신도는 경 방향 80 %, 위 방향 105 % 였다.
제조예 4
나일론-6 (상대점도 2.6) 과 폴리에틸렌을 별도로 융융하여, 각각 방사 돌기의 직전에 합류시켜 50:50 의 중량비로 이루어지고, 나일론-6 이 10 개의 도 성분이고 폴리에틸렌이 해 성분이 되어 있는 해도형 복합 방사섬유를 방사하고, 연신, 권축, 커트하여 5 데니어, 51 ㎜ 길이의 단섬유를 제작하고, 웨버로 크로스 랩을 만들어 니들 펀칭기를 이용하여 1000 펀치/㎠ 의 니들 펀칭을 행하여 엉킴 부직포를 었었다. 이 섬유질 시트에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계 폴리우레탄 수지를 주 성분으로 하는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함침하고, 습식 응고시킨 후, 섬유의 해 성분인 폴리에틸렌을 80 ℃ 의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평균 중량 580 g/㎡, 두께 1.5 ㎜ 폴리우레탄 수지와 섬유의 비율이 58/42 의 기질 (B)-1 을 었었다. 추출후의 섬유의 섬도 (평균 굵기) 는 0.25 데니어가 였다. 이 기질의 파단 연신도는 경 방향 75 %, 위 방향 101 % 였다.
또 (B)-1 기질의 편면을 사포로 문질러서 상기 나일론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 표면으로 한 것을 기질 (A)-4 로 한다.
제조예 5
나일론-6 (상대점도 2.6) 만으로 이루어지는 1.5 데니어, 51 ㎜ 길이의 섬유를 이용하여, 제조예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엉킴 부직포로 하고, 또한 톨루엔에 의한 추출처리를 행하지 않는 이외에는 제조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우레탄 수지와 섬유의 비율이 27:73 의 기질 (B)-2 를 었었다. 이 기질의 파단 연신도는 경 방향 65 %, 위 방향 85 % 였다.
염색예
제조예 1 ∼ 4 에서 얻어진 기질 (A)-1 ∼ 4 를 윈스 (wince) 염색기로, 적색금속함유 착염염료를 이용하여, owf 가 10 % 가 되는 조건 하에서, 90 ℃, 1 시간 염색을 행한다.
실시예 1 ∼ 3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3 장의 기질 (B)-1 에 접착제로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의 DMF 용액을 140 메쉬의 그라비어 롤러로 점형 도포 [도포량(고형분): 3g/㎡] 한 직후에, 각각 염색한 기질 (A)-1 ∼ 3 을 경위 방향이 동일해지도록 접합하여, 피혁형 시트를 었었다.
얻어진 피혁형 시트는, 고급성이 있는 외관, 천연 피혁에 가까운 부드러운 질감, 감촉성을 가지며, 자연스러운 접힌 주름도 실현하였다. 또 염색을 행하지 않은 이면의 염색 견고도는 5 급이었다. 얻어진 피혁형 시트를 구두의 갑피에 이용하기 위하여, 30 % 연신하고, 성형 제화하여 스포츠 슈즈를 제작한 결과, 모두 표면에 오목볼록함이 없는, 천연 피혁에 유사한 고급성 있는 스포츠 슈즈를 얻었다.
실시예 4
폴리우레탄 (다이닛세이카 제조, 하이뮬렌 (highmulene) Y-301-3: 폴리에틸렌글리콜계 폴리우레탄) 의 15 % DMF 용액을 박리지 상에 코팅하고, 공지된 방법으로, 두께 20 미크론의 폴리우레탄 필름을 제작한다 (투습도 2500 g/㎡/24h: 섬유를 포함하지 않고, 또 필름은 비다공질이며, 파단 연신도는 경 방향 350 %, 위 방향 380 % 이다, 이하 Y-301-3 이라고 함). 이 필름을 염색한 기질 (A)-2 와 기질 (B)-1 의 중간층으로서, (A)-2 층, 상기 폴리우레탄필름, (B)-1 층의 순으로 적층한다.
접착제에는 폴리우레탄 (다이닛세이카 제조, 하이무렌 Y-301-3) 을 DMF 에 용해한 것을 이용하여 그라비어 롤러 140 메쉬로 접착제 용액을 (A)-2, (B)-1 각층의 접착면에 점형 도포하여 [도포량 (고형분): 3g/㎡] 접착을 행하고, 피혁형 시트를 었었다.
얻어진 피혁형 시트는, 내수압, 투습도 모두 구두용 원단으로서는 충분한 성능과, 외관을 겸비하고 있다. 얻어진 피혁형 시트를 30 % 연신하고, 성형 제화하여 스포츠 슈즈를 제작한 결과, 모두 표면에 오목볼록 무늬가 없는, 천연 피혁에 유사한 고급성 있는 스포츠 슈즈를 얻을 수 있었다. 또 이 구두를 깊이 4 ㎝ 의 수욕에 침지하여, 2 일간 방치한 결과, 피혁형 시트를 통한 구두 안으로 물 침입은 전혀 나타나지 않았다. 또 피혁형 시트의 표면을 일부 사포로 문질러, 흠집을 내었으나, 내수성에 관해서는 전혀 문제가 없었다.
비교예 1
제조예 4 에서 얻어진 기질 (B)-1 에 접착제로서,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의 DMF 용액을 140 메쉬의 그라비어 롤러로 점형 도포한 직후에, 염색한 기질 (A)-4 를 맞붙여, 피혁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피혁형 시트는, 표면이 거칠거칠한 감촉이며, 라이팅도 거칠어 고급성이 결여되는 것이었다.
비교예 2
제조예 4 에서 방사하여 제작한 평균 중량 350 g/㎡ 인 크로스 랩 상에, 제조예 1 에서 방사하여 제작한 평균 중량 250 g/㎡ 인 크로스 랩을 적층한 후, 니들 펀칭기를 이용하여 700 펀치/㎠ 인 니들 펀칭을 실시하여 엉킴 부직포를 얻었다. 이 섬유질 시트에, 폴리 3 메틸펜탄아디페이트/폴리에틸렌글리콜 공중합계 폴리우레탄 수지의 디메틸포름아미드 용액을 함침하고, 습식응고시킨 후, 섬유의 해 성분인 폴리에틸렌을 80 ℃ 의 톨루엔으로 추출하고, 평균 중량 460 g/㎡, 두께 1.3 ㎜, 폴리우레탄 수지와 섬유의 비율이 45/55 인 기질층을 었었다. 얻어진 시트의 나일론 극미세 섬유의 섬도는, 편면이 주로 0.006 데니어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고, 또 한쪽 면이 주로 0.25 데니어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었다. 얻어진 기질층의 주로 0.006 데니어의 섬유로 구성되어 있는 면을 사포로 문질러서 상기 나일론 극미세 섬유로 이루어지는 입모표면을 가진 기질 (A)-5 를 었었다. 이 기질의 파단 연신도는 경 방향 72 %, 위 방향 90 % 였다. 얻어진 기질을 염색 예로 나타낸 방법으로 염색하고, 피혁형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피혁형 시트는, 비교적 양호한 외관을 가지고 있으나, 약간 거칠거칠한 감촉이며, 자연스러운 접힌 주름을 얻을 수 없었다. 또 이면의 염색 견고도는 3 급이었다.
비교예 3
실시예 1 에 있어서, 기질 (B)-1 을 (B)-2 로 바꾸는 것 외에는 동일한 방법으로 접착하고, 피혁형 시트를 얻어, 스포츠 슈즈로 가공한다. 이것은 표면의 평활성이 떨어져 있다. 이상의 실시예 및 비교예의 결과를 표 1 에 나타낸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상층 기질(A)-1 기질(A)-2 기질(A)-3 기질(A)-2 기질(A)-4 기질(A)-5 기질(A)-1
상층의염색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있음
중간층 - - - Y-301-3 - - -
하층 기질(B)-1 기질(B)-1 기질(B)-1 기질(B)-1 기질(B)-1 - 기질(B)-2
하층의염색 없음 없음 없음 없음 없음 - 없음
접착수지 폴리에스테르계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우레탄 폴리에스테르계우레탄 Y-301-3 폴리에스테르계우레탄 - 폴리에스테르계우레탄
외관
라이팅
질감
감촉 ×
접힌 주름 × × ×
이면견고도 5급 5급 5급 5급 5급 3급 5급
내수압(㎜) 420 395 410 >1500 430 400 390
투습도(g/㎡/24h) 2390 2450 2400 1450 2280 2410 2430
제화성(오목볼록표면) ×
구두의내형태붕괴성 × ×
본 발명의 피혁형 시트는, 라이팅이 있어서 고급성 외관을 가지고 또 천연 피혁에 유사한 부드러운 질감, 감촉성, 나아가서는 천연 피혁같은 접힌 주름을 겸비한 표면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이다. 그것을 성형 제화한 경우에는, 표면에 오목볼록함이 없고, 또한 형태가 붕괴되지 않은 구두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1)

  1. 하기의 엉킴 (entangled) 부직포 (A) 와 (B):
    (A)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 0.1 데니어 이하의 극미세 섬유 (a) 의 엉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또한 적층되는 면의 반대측의 면이 솜털로 되어있고, 경 방향 및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 (破斷 延伸度) 가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인 엉킴 부직포,
    (B) 탄성 중합체를 함유한 0.5 데니어 이하이며 섬유 (a) 의 4 배 이상의 섬도를 갖는 미세 섬유 (b) 의 엉킴 부직포로 이루어지고, 경 방향 및 위 방향의 파단 연신도가 각각 50 % 이상, 80 % 이상인 엉킴 부직포
    가, 불연속 상으로 존재하는 접착제에 의하여 적층 되어있는 피혁형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엉킴 부직포 (A) 는 염색되어 있으나, (B) 는 실질적으로 염색되지 않은 피혁형 시트.
  3. 제 1 항에 있어서, 탄성 중합체가 폴리우레탄인 피혁형 시트.
  4.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가 폴리우레탄인 피혁형 시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접착제의 부여량이 고형분으로서 1 ∼ 30 g/㎡ 인 피혁형 시트.
  6. 제 1 항에 있어서, 부직포 (A) 두께가 0.25 ∼ 1.8 ㎜ 이고, 부직포 (B) 두께가 0.25 ∼ 2.5 ㎜ 인 피혁형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엉킴 부직포 (A) 와 (B) 사이에 탄성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투습성이 있는 필름층 (C) 가 존재하는 피혁형 시트.
  8. 제 7 항에 있어서, 필름층 (C) 의 두께가 5 ∼ 40 ㎛ 인 피혁형 시트.
  9. 제 7 항에 있어서, 필름층 (C) 를 구성하는 수지가 주 사슬에 폴리에테르 사슬을 갖는 폴리우레탄 수지인 피혁형 시트.
  10. 제 7 항에 있어서, (C) 층을 구성하는 필름의 파단 연신도가 (A) 층 및 (B) 층을 구성하는 부직포의 파단 연신도 중 어느 것보다도 10 % 이상 높은 피혁형 시트.
  11.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피혁형 시트를 성형 제화하여 얻어지는 구두.
KR1020000006956A 1999-02-24 2000-02-15 표면 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 KR1003569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45746 1999-02-24
JP4574699 1999-02-24
JP20118399A JP4128312B2 (ja) 1999-02-24 1999-07-15 表面立毛を有する皮革様シート
JP99-201183 1999-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6659A true KR20000076659A (ko) 2000-12-26
KR100356929B1 KR100356929B1 (ko) 2002-10-18

Family

ID=26385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6956A KR100356929B1 (ko) 1999-02-24 2000-02-15 표면 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51404B1 (ko)
EP (1) EP1031656B1 (ko)
JP (1) JP4128312B2 (ko)
KR (1) KR100356929B1 (ko)
CN (1) CN1145727C (ko)
DE (1) DE60027623T2 (ko)
TW (1) TW472097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32A (ko) * 2021-04-01 2022-10-11 이동욱 복수의 라미네이팅층을 포함하는 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6303B (en) 2000-01-06 2003-04-01 Kuraray Co Artificial leather shoe and artificial leather suited therefor
EP1167619B1 (en) * 2000-02-03 2003-07-30 Teijin Limited Leather-like sheety product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JP2002294571A (ja) * 2001-03-30 2002-10-09 Kuraray Co Ltd 難燃性皮革様シート基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04186B2 (ja) 2000-11-24 2009-01-07 株式会社クラレ 立毛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212787B2 (ja) * 2001-07-02 2009-01-21 株式会社クラレ 皮革様シート
DE60238998D1 (de) * 2001-07-31 2011-03-03 Kuraray Co Lederartiges flächengebilde und verfahren zu dessen herstellung
KR100534525B1 (ko) * 2002-02-01 2005-12-07 주식회사 코오롱 저신장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인공피혁용 복합시트
CN100359088C (zh) * 2002-05-20 2008-01-02 可乐丽股份有限公司 片状物及其制造方法
EP1371774B1 (en) * 2002-06-12 2005-12-28 Kuraray Co., Ltd. Flame-retardant leather-like sheet substrate and production method thereof
DE10232269A1 (de) * 2002-07-16 2004-02-05 Hänsel Textil GmbH Flexibler textiler Verstärkungsverbundstoff
KR100607899B1 (ko) * 2002-08-05 2006-08-03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피혁 유사 시트 및 그 제조방법
TW200413122A (en) * 2002-08-22 2004-08-01 Teijin Cordley Ltd Leather-like sheet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ITPD20020264A1 (it) * 2002-10-15 2004-04-16 Geox Spa Suola impermeabilizzata e traspirante perfezionata per calzature e su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US7829486B2 (en) * 2003-02-06 2010-11-09 Kuraray Co., Ltd. Stretchable leather-like sheet substr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DE10330099A1 (de) * 2003-07-03 2005-01-27 Benecke-Kaliko Ag Verbundmaterial mit Kunststoffverbundmatrix,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KR100601767B1 (ko) * 2003-08-28 2006-07-19 가부시키가이샤 구라레 인공 피혁 및 그 제조 방법
ATE445717T1 (de) * 2003-11-15 2009-10-15 Basf Se Mit einer zurichtung versehener träger
TW200521167A (en) * 2003-12-31 2005-07-0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Polymer sheet materia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70207687A1 (en) * 2004-05-03 2007-09-06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Ltd. Method for producing artificial leather
DE602005020934D1 (de) * 2004-06-17 2010-06-10 Kuraray Co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flächenmaterials aus miteinander verschlungenen ultrafeinen filamenten
JP4115431B2 (ja) * 2004-07-13 2008-07-09 明広 白坂 医療用履物
TWI293094B (en) * 2004-08-24 2008-02-0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Artificial leather with real feeling and method thereof
US20060272770A1 (en) * 2004-08-24 2006-12-07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Ltd. Method for making artificial leather with superficial texture
TWI285590B (en) * 2005-01-19 2007-08-2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Moisture-absorbing, quick drying, thermally insulating, elastic composite and method for making
TWI275679B (en) * 2004-09-16 2007-03-1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Artificial leather materials having elongational elasticity
WO2006034807A1 (en) * 2004-09-27 2006-04-06 Gazzoni Ecologia S.P.A. Ecological shoe
US20080149264A1 (en) * 2004-11-09 2008-06-26 Chung-Chih Feng Method for Making Flameproof Environmentally Friendly Artificial Leather
US20080095945A1 (en) * 2004-12-30 2008-04-24 Ching-Tang Wang Method for Making Macromolecular Laminate
EP1859066B1 (de) * 2005-03-04 2010-02-10 Basf Se Matrize mit kleinen näpfchenartigen vertiefungen
TWI297049B (en) * 2005-05-17 2008-05-2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Artificial leather having ultramicro fiber in conjugate fiber of substrate
TW200641193A (en) * 2005-05-27 2006-12-0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A polishing panel of micro fibers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080187715A1 (en) * 2005-08-08 2008-08-07 Ko-Feng Wang Elastic Laminat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ITMI20051616A1 (it) * 2005-08-31 2007-03-01 Alcantara Spa Intermedio multistrato utile per la preparazione di pelle artificiale ad aspetto scamosciato e metodo di preparazione
US20070155268A1 (en) * 2005-12-30 2007-07-05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Ltd. Polishing pad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olishing pad
US20080220701A1 (en) * 2005-12-30 2008-09-11 Chung-Ching Feng Polishing Pad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20070248787A1 (en) * 2006-04-24 2007-10-25 Chou Su J Artificial leather
US20090124156A1 (en) * 2006-05-30 2009-05-14 Michinori Fujisawa Base material for artificial leather and grained artificial leather
WO2008013206A1 (fr) * 2006-07-27 2008-01-31 Tradik Co., Ltd. Cuir synthétique, base à utiliser dans le cuir et procédés pour leur production
WO2008061237A2 (en) * 2006-11-16 2008-05-22 Sustainable Solutions, Inc. Multi-layer nonwoven composite material and method of manufacture
TWI302575B (en) * 2006-12-07 2008-11-01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Manufacturing method for ultrafine carbon fiber by using core and sheath conjugate melt spinning
TW200825244A (en) 2006-12-13 2008-06-16 San Fang Chemical Industry Co Flexible artificial leather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8122616B2 (en) * 2008-07-25 2012-02-28 Nike, Inc. Composite element with a polymer connecting layer
CN103168127A (zh) * 2010-06-15 2013-06-19 朗盛德国有限责任公司 规格板型
IT1403385B1 (it) * 2010-12-24 2013-10-17 Polifloor S R L Suporto rivestito tipo finta pelle.
CN102431232A (zh) * 2011-09-30 2012-05-02 江苏喜登博服饰有限公司 一种保暖皮革面料
CN103132344B (zh) * 2011-11-29 2016-03-30 东丽纤维研究所(中国)有限公司 一种超细纤维人工皮革
EP2650123A1 (en) * 2012-04-10 2013-10-16 PinTail International B.V. Breathable artificial leather
US10136695B2 (en) 2013-02-26 2018-11-27 Nike, Inc. Footwear upper having selectively located padding
US11666113B2 (en) 2013-04-19 2023-06-06 Adidas Ag Shoe with knitted outer sole
DE102013207156A1 (de) 2013-04-19 2014-10-23 Adidas Ag Schuh, insbesondere ein Sportschuh
DE102013207163B4 (de) 2013-04-19 2022-09-22 Adidas Ag Schuhoberteil
DE102013207155B4 (de) 2013-04-19 2020-04-23 Adidas Ag Schuhoberteil
US10689800B2 (en) * 2013-11-01 2020-06-23 Kuraray Co., Ltd. Nubuck-leather-like sheet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for
DE102014202432B4 (de) 2014-02-11 2017-07-27 Adidas Ag Verbesserter Fußballschuh
DE102014220087B4 (de) 2014-10-02 2016-05-12 Adidas Ag Flachgestricktes Schuhoberteil für Sportschuhe
US20160168774A1 (en) * 2014-12-16 2016-06-16 Nike, Inc. Nonwoven Material, Method Of Making Same, And Articles Incorporating The Nonwoven Material
JP6677540B2 (ja) * 2016-03-15 2020-04-08 セーレン株式会社 車両用複合表皮材
DE102016207387B4 (de) * 2016-04-29 2021-11-18 Adidas Ag Socke
CN109154134B (zh) * 2016-06-22 2021-04-13 株式会社可乐丽 立毛状人造革及其制造方法
US11084260B2 (en) * 2017-05-18 2021-08-10 Toray Industries, Inc. Composite sheet material
CN108018637A (zh) * 2018-01-05 2018-05-11 山东神华山大能源环境有限公司 一种聚酯纤维织物及其在湿式电除尘器中的应用
CN110868882B (zh) * 2018-04-16 2021-09-21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鞋外底板
WO2021074169A1 (en) * 2019-10-14 2021-04-22 W. L. Gore & Associates Gmbh Textile composite and footwear
MX2023005052A (es) * 2020-10-30 2023-07-18 Nike Innovate Cv Textil compuesto no tejido de cara asimétrica y métodos de fabricación del mismo.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1055830A (en) * 1973-09-19 1979-06-05 Inmont Corporation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of manufacture
JPS57167441A (en) * 1981-04-03 1982-10-15 Asahi Chemical Ind Laminate entangled body excellent in garment characteristics
DE3381143D1 (de) * 1982-03-31 1990-03-01 Toray Industries Vlies aus ultra feinen verwirrten fasern,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sselben.
JPS59137567A (ja) * 1983-01-21 1984-08-07 東レ株式会社 緻密層を有する積層繊維シ−ト状物の製造方法
JPS60134073A (ja) * 1983-12-17 1985-07-17 Achilles Corp 人工皮革用基材の製造方法
US4620852A (en) * 1984-06-19 1986-11-04 Toray Industries, Inc. Grained artificial leather having good color fastness and dyeing method of ultrafine polyamide fibers
JPS62110991A (ja) * 1985-11-01 1987-05-22 Kuraray Co Ltd 層間剥離強力の大きい皮革様シ−トの製造法
KR890003170B1 (ko) * 1986-11-18 1989-08-25 주식회사 코오롱 유연성이 우수한 인공피혁의 제조방법
US4761324B1 (en) * 1987-06-24 1991-05-07 Elastic,laminated,water-proof,moisture-permeable fabric
JPH0382872A (ja) * 1989-08-28 1991-04-08 Toray Ind Inc 物性、風合ともに良好な人工皮革用繊維質シート
US5298315A (en) * 1991-05-02 1994-03-29 Asahi Kasei Kogyo Kabushiki Kaisha Composite nonwoven fabric
US5389430A (en) * 1993-02-05 1995-02-14 Th. Goldschmidt Ag Textiles coated with waterproof, moisture vapor permeable polymers
CN1067451C (zh) 1993-10-29 2001-06-20 可乐丽股份有限公司 绒面人造革
JP3055849B2 (ja) * 1993-11-09 2000-06-26 株式会社クラレ ヌバック調シート状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132094B2 (ja) * 1995-03-13 2008-08-13 株式会社クラレ 柔軟性および引裂強力に優れた繊維質シート状物
TW440633B (en) 1996-09-27 2001-06-16 Kuraray Co Suede-like artificial leather and its preparation
JP3728480B2 (ja) * 1997-02-17 2005-12-21 株式会社クラレ 皮革様シートの製造方法
JP4086954B2 (ja) * 1998-03-19 2008-05-14 株式会社クラレ 人工皮革基体およびその製造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6732A (ko) * 2021-04-01 2022-10-11 이동욱 복수의 라미네이팅층을 포함하는 털 원단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314087A (ja) 2000-11-14
CN1145727C (zh) 2004-04-14
TW472097B (en) 2002-01-11
EP1031656A1 (en) 2000-08-30
JP4128312B2 (ja) 2008-07-30
CN1264770A (zh) 2000-08-30
EP1031656B1 (en) 2006-05-03
DE60027623D1 (de) 2006-06-08
KR100356929B1 (ko) 2002-10-18
DE60027623T2 (de) 2007-04-05
US6451404B1 (en) 2002-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6929B1 (ko) 표면 입모를 갖는 피혁형 시트
US6900148B2 (en) Leather-like sheet material
US4515854A (en) Entangled fibrous mat having good elasticity and methods for the production thereof
US7442429B2 (en) Grain-finished artificial leathers
KR100429271B1 (ko) 인공피혁 신발 및 이에 적합한 인공피혁
KR101152038B1 (ko) 인공피혁용 기재, 인공피혁 및 인공피혁용 기재의제조방법
US20100159771A1 (en) Base material for artificial leather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6716776B2 (en)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JP4560511B2 (ja) 銀付き調人工皮革
EP1054096B1 (en) Nonwoven fabric made from filaments and artificial leather containing it
KR20020000788A (ko) 피혁 모양 시트 형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2317387A (ja) 銀付人工皮革及びその製造方法
JP3953799B2 (ja) スエード調皮革様シート
KR100368622B1 (ko) 필라멘트로부터 만들어진 부직포 및 그것을 함유하는 인공피혁
JP2002180383A (ja) スポーツ手袋用銀付き皮革様シート
JP2007204863A (ja) ヌバック調人工皮革の製造方法
JPH0138917B2 (ko)
JP2003049371A (ja) ストレッチバック性を有するスエード調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8121132A (ja) 銀付き調皮革様シー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スポーツ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