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4731A -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4731A
KR20000074731A KR1019990018864A KR19990018864A KR20000074731A KR 20000074731 A KR20000074731 A KR 20000074731A KR 1019990018864 A KR1019990018864 A KR 1019990018864A KR 19990018864 A KR19990018864 A KR 19990018864A KR 20000074731 A KR20000074731 A KR 20000074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mounting position
controller
redundancy
redund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18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0480B1 (ko
Inventor
이남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900188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50480B1/ko
Publication of KR20000074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47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04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04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1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 G06F13/20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 G06F13/24Handling requests for interconnection or transfer for access to input/output bus using interrup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이중화구조를 갖는 시스템에서 초기 구동시 특정 모듈이 항상 동작모듈로 동작할수 있는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이중화구조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방법이, 시스템 초기 구동시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작을 시 자신을 동작모듈로 결정하고, 바로 최기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클 시 자신을 대기모듈로 결정하고, 설정시간 대기후 초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중화구조를 갖는 시스템에 이용된다.

Description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DUAL-MODE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INITIAL ACTIVE STATUS IN A GENERIC REDUNDANT COMMUN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이중화구조를 갖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이중화구조를 갖는 통신시스템에서 초기 동작 모듈를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통신시스템의 이중화모듈 구성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1를 참조하면, 제1모듈(105)와 제2모듈(115)은 이중화모듈로서 서로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제1모듈(105)만을 살펴보면, 주제어부(100)은 상기 통신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101)은 상기 통신시스템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입출력부(102)는 인터럽트 제어부(103)은 상대모듈(제2모듈)의 상태를 상기 주제어부(100)에게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그널 처리부(104)는 상기 제2모듈(115)의 시그널 처리부(114) 사이에 송수신되는 각종 핸드쉐이크(handshake) 신호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이중화모듈은 상기 제1모듈의 시그널처리부(104)와 상기 제2모듈의 시그널처리부(114)간의 시그널 송수신을 통해 서로의 상태를 확인할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시스템의 초기화 동작을 살펴보면, 제1모듈(104)와 제2모듈(115)가 모두 실장되어 있는 경우,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모듈(105)과 상기 제2모듈(115)는 프로그램 데이터 로딩 등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고, 이 과정에서 상기 제1모듈(104)과 제2모듈(115)의 동작(Active) 및 대기(Stanby) 상태를 결정짓는다. 그런데, 이럴 경우 상기 제1모듈(104) 및 제2모듈(115)이 초기화 과정을 동시에 수행했다면 어떤 모듈이 먼저 최기화되어 동작모듈이 될지 모른다. 이러한 경우, 시스템 운영자에게 혼동의 소지를 줄 뿐더러 시스템의 일관성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 구조를 갖는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초기 구동시 초기 동작모듈을 설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중화 구조를 갖는 통신시스템에서 시스템 초기 구동시 미리 설정되어 있는 모듈이 항상 동작모듈로 초기화할수 있는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2모듈과, 상기 모듈내에 구비되며, 시스템 초기 구동시 특정 모듈이 동작모듈로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방법이, 시스템 초기 구동시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작을 시 자신을 동작모듈로 결정하고, 바로 최기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클 시 자신을 대기모듈로 결정하고, 설정시간 대기후 초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이중화모듈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이중화모듈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구조를 갖는 통신시스템에서 초기 동작모듈 설정에 관한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 부호를 가지도록 하였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통신시스템의 이중화모듈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는 제1모듈(205) 및 제2모듈(215)로 구성된 이중화모듈을 보여준다. 여기서 상기 제1모듈(205)을 살펴보면, 먼저 주제어부(200)은 상기 제1모듈(20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01)는 상기 제1모듈(2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입출력부(202)는 외부 모듈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럽트 발생부(203)는 상대방 모듈(제2모듈)의 상태를 상기 주제어부(200)에게 리얼타임(real time)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그널처리부(204)는 상기 제2모듈(215)과 송수신하는 각종 핸드쉐이크 시그널을 제어한다. 실장위치감지부(206)는 자신이 실장되어 있는 시스템 쉘프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200)으로 통보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각 구성부들(201,202,206,203,204)은 상기 제어부(200)와 시그널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럽트발생부(203)은 상기 실장위치감지부(206)과 상기 시그널처리부(204)와 시그널 송수신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2모듈(215)을 살펴보면, 먼저 주제어부(200)은 상기 제1모듈(205)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메모리(201)는 상기 제1모듈(205)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 데이터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다. 입출력부(202)는 외부 모듈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한다. 인터럽트 발생부(203)는 상대방 모듈(제1모듈)의 상태를 상기 주제어부(200)에게 리얼타임으로 알려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그널처리부(204)는 상기 제2모듈(215)과 송수신하는 각종 핸드쉐이크 시그널을 제어한다. 실장위치감지부(206)는 자신이 실장되어 있는 시스템 쉘프내의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주제어부(200)으로 통보한다. 여기서 각 구성부들(214,213,216,212,211)은 상기 제어부(215)와 시그널을 송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인터럽트발생부(213)은 상기 실장위치감지부(216)과 상기 시그널처리부(214)와 시그널을 송수신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1모듈 및 제2모듈은 이중화모듈로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이중화모듈이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을 가지는 모듈을 이중으로 구성하여, 임의 하나의 모듈이 동작하다가 장애 발생시 다른 하나의 모듈로 절체되어 상기 다른 하나의 모듈이 동작하는 것을 말한다. 즉, 이렇게 시스템을 이중화 모듈로 구성할 경우, 하나의 모듈이 다운(down)되어도 계속해서 다른 하나로 시스템을 동작시킬수 있기 때문에 시스템의 성능 및 신뢰성을 보장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두 모듈중 실장위치값이 작은 모듈이 항상 액티브 모듈로 동작하도록 하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상기한 도 2의 구성에서는 제1모듈이 상기 제2모듈보다 더 작은 실장위치값을 갖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한 이중화구조를 갖는 시스템의 동작을 살펴보면, 우선, 제1모듈(205)은 초기화 과정 수행중 상기 실장위치감지부(206)를 통하여 자신이 실장되어 있는 시스템 쉘프내의 위치를 읽어들이고, 상기 제2모듈(215)의 실장위치값과 비교하여 작은 경우 시간 지연없이 바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제2모듈(215) 또한 상기 초기화 과정 수행중 상기 실장감지위치부(216)를 통해 자신이 실장되어 있는 시스템 쉘프내의 위치값을 읽어들이고, 상기 제1모듈(205)의 실장위치값과 비교하여 큰 경우 설정시간(T1)만큼 경과한 다음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게 한다. 즉, 본 발명은 동시에 이중화모듈에 전원 인가시, 항상 상기 제1모듈이 동작모듈(active module)로 초기화되어 이중화모듈의 일관성을 꾀하였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면 도 3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이하 설명은 상기 제1모듈의 제어부(205)가 동작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먼저, 311단계에서 전원인가시 제어부(205)는 313단계에서 상기 실장위치감지부(206)으로 부터 자신의 모듈이 실장되어 있는 쉘프내의 위치값을 구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5)는 315단계에서 시그널처리부(204)를 통해 상대측 모듈의 실장위치를 수신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205)는 317단계에서 상기 자신의 모듈 실장위치와 상기 수신된 상대측 모듈의 실장위치를 비교한다. 그리고 319단계에서 자신의 모듈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모듈의 실장위치보다 큰지를 검사한다. 이때 상기 자신의 모듈 실장위치가 클 경우 상기 제어부(205)는 321단계로 진행하며, 상기 자신의 모듈 실장위치가 작을 경우 상기 제어부(205)는 323단계로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321단계에서 설정시간 만큼 대기하고, 상기 323단계로 진행하여 초기화과정을 수행한다. 즉, 상기 제어부(205)는 대기모듈로 동작한다. 한편, 상기 자신의 모듈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모듈의 실장위치부다 작다고 감지한 상기 제어부(205)는 상기 323단게로 진행하여 바로 초기화과정을 수행한다. 즉, 동작모듈로 동작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시스템 초기 구동시 항상 실장위치가 작은 모듈이 동작모듈로 초기화되는 과정을 설명하였으나, 다른 실시 예로서 실장위치가 큰 모듈이 항상 동작모듈로 초기화될수 있도록 구현할수도 있다. 즉, 본 발명은 이중화모듈을 구성할 경우, 시스템 초기 구동시 항상 특정모듈이 항상 동작모듈로 초기화되기 때문에 시스템의 신뢰성을 보장할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시스템 초기 구동시 항상 특정 모듈이 동작(Active) 상태로 동작하도록 하여 시스템 운영자의 혼동을 없애고 일관성있는 이중화모듈 관리가 가능하다.

Claims (5)

  1.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갖는 제1,2모듈과,
    상기 모듈내에 구비되며, 시스템 초기 구동시 특정 모듈이 동작모듈로 초기화되도록 제어하는 이중화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중화제어부는,
    시스템 초기구동시 자신의 실장위치를 감지하는 실장위치감지부와,
    상대측 모듈 실장위치를 수신하는 시그널처리부와,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비교하여 자신의 상태를 결정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작을 시 자신을 동작모듈로 결정하고 바로 초기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클 시 자신을 대기모듈로 결정하고 설정시간 대기후 초기화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5. 이중화구조 시스템에서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방법에 있어서,
    시스템 초기 구동시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 및 상대측 실장위치를 비교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작을 시 자신을 동작모듈로 결정하고, 바로 최기화를 수행하는 과정과,
    상기 자신의 실장위치가 상기 상대측 실장위치보다 클 시 자신을 대기모듈로 결정하고, 설정시간 대기후 초기화를 수행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화모듈 제어방법.
KR1019990018864A 1999-05-25 1999-05-25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504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864A KR100350480B1 (ko) 1999-05-25 1999-05-25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18864A KR100350480B1 (ko) 1999-05-25 1999-05-25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4731A true KR20000074731A (ko) 2000-12-15
KR100350480B1 KR100350480B1 (ko) 2002-08-28

Family

ID=19587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18864A KR100350480B1 (ko) 1999-05-25 1999-05-25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504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53B1 (ko) * 2010-03-17 2011-05-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에서 cpu 모듈의 이중화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4732B1 (ko) * 1991-12-17 1994-05-28 한국전기통신공사 실시간 운영체계에서의 입출력 장치의 초기화 방법
KR100251711B1 (ko) * 1997-07-09 2000-04-15 윤종용 수시절체방지기능이있는이중화모듈및이중화구조를갖는통신시스템의수시절체방지방법
KR100258072B1 (ko) * 1997-10-14 2000-06-01 이계철 동기 및 데이터 장애 검출 감시회로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2253B1 (ko) * 2010-03-17 2011-05-02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lc 시스템에서 cpu 모듈의 이중화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50480B1 (ko) 2002-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95791B1 (ko) 통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840739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rocessing
JP2002157137A (ja) 通信機能を備えたプログラム更新システム
KR100350480B1 (ko) 초기 동작모듈을 결정하기 위한 이중화모듈 제어장치 및 방법
JPH11150876A (ja) パ−ソナルコンピュ−タの電源供給方法および電源供給装置
KR101583557B1 (ko)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컴퓨터의 대기전원을 이용해서 전원을 제어하는 컴퓨터 전원 제어 pci 카드 및 그의 전원 제어방법
JP2735023B2 (ja) データ制御システム
JPH0644093A (ja) 二重化装置切替方式
JP2606591B2 (ja) 電源投入システム
KR100247008B1 (ko)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KR950022612A (ko) 이중화 장치의 이중화 보드상에서의 에러 감지 장치 및 처리 방법
KR19990031948A (ko) 비동기 전송 모드 근거리 통신망 시스템의 고속 이중화 방법
JP2671750B2 (ja) 周辺制御装置
KR100227516B1 (ko) 대용량 통신처리장치에서의 전화망 가입자 제어장치
JP2002353881A (ja) パケット基地局とその二重化切替時の処理方法
KR100208281B1 (ko) 교환시스템에 있어서 하위프로세서
JPH05327735A (ja) 集中制御システム
JPH07240770A (ja) 回線切り換え制御装置
JPH08191319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
CN115605814A (zh) 增设基础单元、控制装置、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20030061908A (ko) 디바이스 인터페이스를 위한 장치 및 방법
JPH01111248A (ja) データ処理システムの系構成変更方式
JPH0563802A (ja) 交換機の二重化装置
JPH0378400A (ja) 伝送制御装置
JP2018057214A (ja) 電池装置および電池装置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70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