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246A -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 Google Patents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246A
KR20000071246A KR1020000001705A KR20000001705A KR20000071246A KR 20000071246 A KR20000071246 A KR 20000071246A KR 1020000001705 A KR1020000001705 A KR 1020000001705A KR 20000001705 A KR20000001705 A KR 20000001705A KR 20000071246 A KR20000071246 A KR 2000007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weight
counterweight
opening
divided
cou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1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76108B1 (ko
Inventor
오꾸다고조
시게히사요시쓰구
Original Assignee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자키 사토루, 가부시키가이샤 고마쓰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안자키 사토루
Publication of KR2000007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76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76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8Counterweigh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Jib Cranes (AREA)

Abstract

카운터 웨이트 위에 올라가지 않고도 외부에서 자연스러운 자세로 엔진 등의 기기의 점검정비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주행용 차체와, 작업기를 구비하는 상부 선회체를 포함하는 건설용 차량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 (10) 의 정비 부위 (엔진실 (1) 또는 메인 펌프 (4), 라디에이터 (3)) 에 대응하는 부위가 탈착가능한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18, 19) 로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the counterweight for construction vehicle}
본 발명은, 선회체의 전부(前部)에 작업기가 탑재 설치되는 유압 셔블 또는 크레인 등의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압 셔블 또는 이동식 크레인 등의 차량에서의 선회체의 후부에는 카운터 웨이트가 설치되어, 전방 작업기의 부하중량과의 균형을 도모하고 있다. 이 카운터 웨이트는 필수불가결한 것이지만, 설치 스페이스를 많이 차지하므로 거추장스러운 장치이며, 그 때문에 카운터 웨이트의 설치 부분에서의 활용에 대해 여러 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또, 구조적으로 기체 후부의 스페이스를 축소함에 따라, 엔진 주위의 점검정비를 쉽게 실시하기 위해, 카운터 웨이트의 일부에 여러 기능을 구비시키는 기술에 대해 제안되고 있다. 예컨대,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30151 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에서는, 엔진 부분의 점검정비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카운터 웨이트의 중앙부의 상측에 절결 오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그 상부를 덮는 뚜껑판을 부착하여, 점검 ·수리 작업을 실시할 때에는 뚜껑판을 열어 작업자가 오목부를 사용하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평4-30152 호에는, 카운터 웨이트의 중앙부에서의 내측의 일부를 깊이 잘라 오목부를 형성하고, 여기에 보조 웨이트를 끼워넣을 수 있게 함과 동시에, 그 보조 웨이트에 기체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통기구멍을 형성하여, 엔진의 배기를 통기구멍으로부터 외부로 방출할 수 있게 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공개실용신안공보 소61-17334 호에는 카운터 웨이트를 전후로 분할할 수 있게 하고, 엔진 대응위치에 통기개구부를 형성하여, 그 통기개구부에 소음기를 조합하여 엔진의 배기음을 감소시키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그외, 일본 실용신안등록 제 2548492 호에는 카운터 웨이트의 일부에 배기 덕트를 형성하여 엔진의 냉각 효과를 높일 수 있게 함과 동시에, 소음 효과도 얻을 수 있게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또, 일본 실용신안공보 평6-34438 호에는, 중앙 블록과 그 좌우 블록으로 분할된 카운터 웨이트에 있어서, 중앙 블록체의 측면의 주연부(周緣部)와 이에 대향하는 측방 블록체의 측면 주연부의 한 쪽을 외측으로 꺼내고 다른 쪽을 내측으로 당겨, 중앙 블록체와 측방 블록체의 연결상태에서 빈틈없게 외표면을 연속시키도록 한 것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부 주행체와, 작업기를 구비한 상부 선회체로 이루어지는 건설용 차량에 있어서는, 그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형성되는 카운터 웨이트에 대해 이미 여러가지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지만, 요즘 범용되고 있는 중 ·소형의 기종에 있어서는, 소위 소회전의 효율적인 구조가 요구되기 때문에 선회 반경을 작게 할 필요가 생겨, 그 결과 카운터 웨이트를 선회 중심측에 접근시키는 구조가 된다. 그 때문에, 선회체의 후부에 탑재되는 엔진과 부속 기기의 설치 스페이스가 협소해져, 많은 지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그 장애로는, 예컨대 엔진부의 점검정비, 라디에이터, 메인 펌프의 제어 밸브 등의 점검정비 등이, 엔진부를 둘러싸듯이 선회체의 후부에 부착되는 카운터 웨이트에 의해 둘러싸인 상태이므로 공간이 적기 때문에 작업성이 매우 나빠진다. 따라서, 점검수리 (정비) 를 위해서는 카운터 웨이트 전체를 떼어낼 필요가 생겨, 예컨대 작업현장 등 정비공장 이외의 장소에서, 문제 부위에 대응하여 점검수리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상기 선행기술에서의 구성은, 그 대부분이 카운터 웨이트의 설치 스페이스에 여유가 있는 경우인 것이며, 엔진 설치부에 근접하여 카운터 웨이트를 부착해야하는 소선회형의 중 ·소형기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가 필요로 되고 있다.
또, 카운터 웨이트를 분할하여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부착할 때는, 그 조립 구조를 간소화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선행기술로서 개시되어 있는 것에서는, 분해 ·조립시의 용이함이나 안전성에 대해서는 별로 고려되어 있지 않고, 분해함에 있어서의 정비의 용이성만이, 또는 디자인면에서의 우아함이 배려되고 있음에 불과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카운터 웨이트 위에 올라가지 않더라도 자연스러운 자세로, 그리고 안전하게 외부에서 엔진 등의 기기의 점검정비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관한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건설용 차량의 후부를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예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설치부의 정면도로써,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좌우 코너부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와 개구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a) 는 좌 코너부를 나타내고, (b) 는 우 코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물탱크로 한 경우의 사시도이다.
도 5 는, 개구부에 커버를 부착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 은,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7 은, 분할된 카운터 웨이트의 중앙부의 정면도 (a),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b) 이다.
도 8 은, 좌우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사시도이다.
도 9 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접속부의 확대상세도이다.
도 10 은, 우측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저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엔진실 2 엔진
3 라디에이터 4 연료공급용 메인 펌프
10,10A 카운터 웨이트
11 카운터 웨이트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
12,16a 개구부의 위 가장자리에 형성된 단부
13,18,19 분할 카운터 웨이트
14,20,56 볼트 30 물탱크
32 물주입구 33 배수구
36 커버 41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2 분할면 43 돌출편
43b 스토퍼 44 조여 붙이기편
45 보조 카운터 웨이트 46 오목한 곳
50 우측 분할 카운터 웨이트
51 좌측 분할 카운터 웨이트
52 분할 접합면 53 걸어 맞춤 오목부
54 볼트 구멍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는, 주행용 차체와, 작업기를 구비하는 상부 선회체를 포함하는 건설용 차량에있어서, 정비 부위에 대응하는 카운터 웨이트의 부위를 탈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대상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점검정비에 필요한 부위를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탈착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카운터 웨이트보다 앞부분의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상에 배치되는 엔진이나 그외의 기기가 점검수리 (정비) 를 필요할 때에는, 그 대응하는 부위의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외부에서 직접 기기의 문제 부위에 접하여 대응하는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카운터 웨이트 위에 올라가 협소한 곳에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기기를 분해조립하는 것이 해소되고,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부 선회체상의 엔진이나 기타 기기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카운터 웨이트의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개구부를 열면 외부로부터 직접 기기의 문제 부위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용이해지며, 예컨대 작업현장에서의 수리 등에 있어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서는,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서의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는 중앙 상부에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상부로부터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게 된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엔진 부분에서의 점검수리가 필요해졌을 때에는, 그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엔진 부분의 측부가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엔진에 대한 처치가 용이해진다는 효과가 있다. 특히, 그 개구부가, 작업자가 지상에 서 있는 상태에서 엔진부에 대응할 수 있는 상태로 형성되어 있으면, 개구부를 여는 것에 의해 작업자가 가장 편안한 자세로 점검 ·수리를 실시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또,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개구부는, 좌우 코너 상부에 형성되고, 이들 코너 상부의 개구부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탈착가능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이들 좌우 코너부의 앞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의 점검수리시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상기 중앙부의 개구부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기기에 대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에 있어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의 상반부의 내측에 보조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보조 카운터 웨이트,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중량을 대략 같은 중량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들 각 카운터 웨이트를 동일한 설비 (예컨대, 크레인) 로 탈착가능하게 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와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분할면에는 걸어 맞춤부를 형성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특히 소선회형의 기종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배치되는 엔진, 기타 기기의 설치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의 부착 스페이스의 협소로 인해, 엔진이나 기타 기기의 점검 ·정비가 곤란한 것을, 카운터 웨이트의 정비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탈착가능하게 분할하여, 상기 정비시에 그 필요 부위의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지장없이 대응 부위의 기기의 점검정비가 용이해진다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분할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최소 스페이스로 설치되어 있는 엔진부나 펌프 등을 외부로부터 여유있는 상태에서, 또한 작업자가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다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상기 걸어 맞춤부는 탈착가능하게 분할되는 카운터 웨이트의 끼워맞춤부로써, 이 끼워맞춤부에는 간극을 형성하여 떼어낼 때의 스토퍼를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또, 상기 끼워맞춤부는, 기준이 되는 카운터 웨이트의 분할면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분할면에 맞추는 측의 분할면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들어맞는 걸어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분할부가 외부로부터 체결구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인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됨으로써, 카운터 웨이트의 분할 부분에서는, 끼워맞춤 구조이며 체결구에 의해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측의 분할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측의 오목부 (그 반대의 구성도 있다.) 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해 두면,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탈착할 때, 중량물을 취급하므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 소선회형의 작업기의 경우, 카운터 웨이트의 부착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관계상, 카운터 웨이트의 내측에 감추어지게 하여 상부 선회체상에 부착되어 있는 기기류에 대해, 떼내어지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정위치로부터 상기 간극 만큼 이동해도 끼워맞춤 구조의 일면, 예컨대 돌출부의 대응면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기기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상기 탈착가능하게 분할되는 카운터 웨이트는, 하방부 정비용의 하면판을 하부에서 공용하도록 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종래 카운터 웨이트 부착부 근방에서 정비 부위가 되는 부분의 하측에 탈착가능한 커버를 형성하는데 있어, 그 부착을 위해 선회 프레임의 후부를 연장하여 부착부를 형성했던 것을 생략하고, 카운터 웨이트의 하면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이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선회 프레임을 간소화하여 중량의 경감과 경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에 의한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구체적인 실시의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 에는, 본 발명에 관한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하는 건설용 차량의 후부를 나타내는 제 1 실시예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도 2 에 제 1 실시예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설치부의 정면도로써,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분리한 상태로 나타내는 도면이, 도 3 에 좌우 코너부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와 개구부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써, (a) 는 좌 코너부를 나타내고, (b) 는 우 코너부를 나타내는 도면이 각각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 (10) 에 있어서는, 예컨대 유압 셔블과 같은 건설기계에서의 상부 선회체 (도시하지 않음) 상의 후부에 설치되는 엔진실 (1) 의 후측에서, 그 엔진실 (1) 을 둘러싸듯이 설치되어 있고, 중앙 상부에 엔진실 (1) 로부터 후방 외부로 관통하게 하여 상부로 개구하는 개구부 (11)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개구부 (11) 에는, 꼭 들어맞는 형상으로 된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가 끼워 넣어지고, 엔진실 (1) 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2) 의 점검수리가 실시될 때 그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를 개구부 (11) 로부터 떼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
또, 카운터 웨이트 (10) 의 좌우 양 코너부의 내측에는, 선회체상에 각각 엔진 냉각용의 라디에이터 (3), 연료공급용의 메인 펌프 (4) 등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그에 대응하도록, 이 카운터 웨이트 (10) 의 좌우 양 코너부에 개구부 (16,17) 가 형성되고, 이들 개구부 (16,17) 에도 분할 카운터 웨이트 (18,19) 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카운터 웨이트 (10) 에서의 중앙부의 개구부 (11) 는, 전부(前部)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상에 설치되어 있는 엔진 (2) 의 측면이 거의 개방되는 크기의 깊이와 폭으로 형성되고,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가 위쪽으로 끌어 올려지거나 또는 끼워 넣어지는 조작이 용이하도록, 위로 넓어지는 테이퍼가 양측면에 부착되어 있다. 또, 그 개구부 (11) 의 상단 가장자리부에는 양측에 각각 소요폭의 단부 (12) 가 전후방향으로 통하게 형성된다. 이들 단부 (12) 는, 이 개구부 (11) 에 끼워 넣어지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의 상부 양측에 돌출되도록 형성되는 부착 플랜지부 (13a) 의 부착받침으로 되고, 볼트 (14) 에 의해 카운터 웨이트 (10) 의 본체 부분의 나사 구멍 (14') 에 조여 붙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는, 그 측면을 상기 개구부 (11) 의 측면 테이퍼에 거의 합치하도록 하여, 개구부 (11) 에 끼워 넣어 볼트로 고정된 상태에서, 외측면 및 상면이 카운터 웨이트 (10) 의 외측면 및 상면과 거의 일치하도록 된 것이 좋다. 이렇게 형성함으로써, 조합했을 때 외형이 정돈되므로 외관이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개구부 (11) 의 좌우 측면을 외측에서 내측으로 약간 넓히는 사면으로 해 두면, 선회체가 선회할 때 원심력으로 흔들리지 않고, 안정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 좌우 코너부에서의 개구부 (16,17) 에 있어서는, 도 3 에 예시하는 바와 같이, 모두 끼워맞춰지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 (18,19) 를 고정할 수 있도록 부착 수단을 카운터 웨이트 (10) 본체측과의 사이에 형성하고, 볼트 (20) 로 체결함으로써, 선회시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18,19) 의 안정이 유지되게 되어 있다. 또한, 좌측의 코너부에서의 개구부 (16) 는, 라디에이터에 대해 냉각 에어의 배기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 개구부 (16) 의 하반 부분에 루버 (25a) 가 부착된 커버 (25) 를 개폐가능하게 부설하고, 상반부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 (18) 를 장착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그 분할 카운터 웨이트 (18) 의 부착에 대해서는, 상기 중앙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와 마찬가지로 플랜지부를 상부 양측에 형성하고, 카운터 웨이트 (10) 의 개구부 (16) 의 상단 양가장자리에 단부 (16a) 를 형성하여 부착받침으로 하여, 볼트 (20) 로 조여 붙이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 1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 (10) 에 의하면, 통상시에는, 각 개구부 (11,16,17) 에 각각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18,19) 가 끼워 넣어져 볼트로 조여 붙여져 있기 때문에, 종래의 카운터 웨이트와 동일하게 기능하여 작업기 (도시하지 않음) 의 운전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작업현장 또는 정비공장에서 엔진주위의 점검이나 수리 (정비) 가 필요할 때는, 중앙부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를 고정하고 있는 볼트 (14) 를 떼어내고, 그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를 기중기에 의해 매달아 올리면, 카운터 웨이트 (10) 의 중앙 상반부의 개구부 (11) 가 열린다. 이 상태에서는, 내측에 위치하는 엔진실 (1) 내의 엔진 (2) 이 노출되게 되므로, 작업자는 바닥 또는 지면에 선 상태에서 엔진의 점검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연료분사 펌프, 컴프레서 등의 조정이나 팬벨트를 바꾸는 등의 작업을 안정된 자세로 실시할 수 있다.
또, 좌 코너부에서의 개구부 (16) 로부터 분할 카운터 웨이트 (18) 를 떼어내면, 냉각용의 라디에이터 (3) 에 대한 보수를 자연스러운 자세로 실시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우 코너부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19) 를 개구부 (17) 로부터 떼어내면, 메인 펌프의 제어 밸브 (4) 등 해당 개구부에 대응하는 장소에서 배치되어 있는 기기의 점검 ·수리를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의하면, 종래 작업자가 카운터 웨이트의 위에 올라가 엔진실내에 배치되어 있는 엔진을 비롯한 급유나 냉각 장치기기를 점검 ·수리해야 했지만, 위에 올라가지 않고 카운터 웨이트의 외측으로부터 정비 (수리) 나 점검을 실시할 수 있게 되므로, 작업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고, 확실한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다음, 도 4 에 나타내는 것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물탱크로 한 것이다. 상기 중앙부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30) 를 외형이 개구부 (11) 에 들어맞는 치수로 형성된 물탱크 (이하, 부호 30 을 물탱크로 하여 설명한다.) 로 형성한 것이다. 이 물탱크 (30) 는, 카운터 웨이트 (10) 의 개구부 (11) 위 가장자리의 단부 (12) 에 끼워 볼트로 조여 붙여지는 부착 플랜지 (31) 가 상부 양단에 형성되고, 상부에는 물주입구 (32) 가, 하부에는 바깥방향으로 배수구 (33)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주입구 (32) 에는 캡 (34) 이 탈착가능하게 부착되고, 배수구 (33) 에는 코크 (35) 가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물탱크 (30) 는, 통상 운전시에는 개구부 (11) 에 상기 분할 카운터 웨이트 (13) 와 동일하게 하여 장착 고정되고, 그 내부에 상부의 물주입구 (32) 로부터 물을 주입하여 충만시켜 둔다. 이렇게 함으로써, 충만된 물이 웨이트 대신으로 된다. 다시말하면, 물탱크 (30) 가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점검 또는 수리가 필요한 경우, 배수구 (33) 에 부착되는 코크 (35) 를 열어 내부의 물을 방출시키면 외각(外殼)의 중량뿐이므로, 경량이 되어, 개구부 (11) 로부터 손으로 떼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크레인이나 기타 기중기를 사용할 수 없는 현장 등에서의 엔진부의 점검 ·수리가 물탱크 (30) 를 떼어냄으로써 용이해진다. 조립하는 경우도, 물의 공급이 가능하면, 탱크내에 주입하는 것만으로, 웨이트로서의 역할을 발휘할 수 있다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카운터 웨이트 (10) 로서 개구부 (11) 등이 그대로 작업기의 운전에 대한 반력을 보완할 수 있는 경우는, 도 5 에 예시한 바와 같이, 개구부 (11) 등의 상면에서 외면에 걸쳐 개구부를 덮도록 형성한 커버 (36) 를 부착하여, 이 커버 (36) 를 점검시에 상측으로 열어둠으로써, 개구부 (11) 가 외부에 대해 해방되어, 외측으로부터 엔진실내에서의 작업을 실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36) 는 개구부 (11) 를 닫았을 때에 도시되지 않은 고리 또는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동일한 방법으로 좌우의 개구부 (16,17) 에 대해서도 커버를 부착하여 개구부를 덮고, 작업시에만 열어 내부의 점검 등의 작업을 외측으로부터 실시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다음, 도 6 에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제 2 실시예의 사시도가 나타나 있다. 또, 도 7 에 분할된 카운터 웨이트의 중앙부의 정면도 (a), 배면측에서 본 사시도 (b) 가, 도 8 에 좌우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사시도가, 도 9 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접속부의 확대상세도가, 도 10 에 좌우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저면도가, 각각 나타나 있다.
이들 도면으로 나타내는 제 2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 (10A) 는, 중앙부와 그 좌우 양측부로 크게 삼분할된 것이다. 그 중,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는, 도시되지 않은 상부 선회체에 저면부에서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고, 이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를 기준으로 하여 좌우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가, 그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와 분할부에서 끼워맞춤 구조로 되어, 각각 볼트로 조여 붙여지도록 되어 있다.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는, 도 7(a)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의 분할면 (42) 에서의 거의 중앙부 (상하 방향에서의) 에 각각 돌출편 (43) 이 가로로 형성되어 있다. 그 돌출편 (43) 은, 정면측에서 배면을 향해 완만하게 경사져 있고, 그 상면 (43a) 에는 바깥방향으로 오르막 경사가 있고, 하면의 선단 부분이 스토퍼 (43b) 가 되도록 되고,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분할면 (42) 에는, 좌우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를 조여 붙이기 위한 나사 구멍 (44a) 이 형성된 조여 붙이기편 (44) 이 상하 두 곳에 매설되어 있다. 또한, 이 웨이트는 주철제이며, 강도적으로 안정되도록 상기 조여 붙이기편 (44) 이 매설되어 있다. 또, 배면측에는 엔진실내에 설치된 엔진과 접촉하지 않도록 부분적으로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에는, 중앙 상반부의 내측에 탈착가능한 보조 카운터 웨이트 (45) 가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이 보조 카운터 웨이트 (45) 는 상방으로 떼어낼 수 있게 되고, 떼어낸 후의 오목한 곳 (46) 을 이용하여 엔진의 분사 펌프의 탈착 등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스페이스를 형성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좌우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는,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조립시의 상부 선회체상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를 통상시 외부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일부가 절결되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의 외면은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의 외면과 정돈하여 디자인적으로 우아하고 아름다운 곡면을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이들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의 배면측에는,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와 마찬가지로 상부 선회체상에 설치되어 있는 기기 (메인 펌프, 라디에이터 등) 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응하여 그 접촉을 회피하도록 오목한 곳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있는 좌우 양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는,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와의 분할 접합면 (52,52) 에서의 중앙부에, 각각 배면측으로 개구하여 상기 돌출편 (43) 과 거의 같은 형태로, 적절한 치수의 간극부가 형성되는 만큼 큰 치수로 형성된 걸어 맞춤 오목부 (53) 를 가지고 있다. 또한, 이들 돌출편 (43) 과 걸어 맞춤 오목부 (53) 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와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와의 끼워맞춤부 (걸어 맞춤부) 를 구성한다. 또, 분할 접합면 (52) 에서의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의 조여 붙이기편 (44) 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외면에서 직교하여 체결 볼트 구멍 (54) 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걸어 맞춤 오목부 (53) 는, 도 9 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에 접속되는 상태로 내상면 (53a) 이 그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측의 돌출편 (43) 의 상면 (43a) 에 접촉되도록 해 두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해 두면, 볼트 체결이 용이해진다. 도면중 부호 55 는 카운터 웨이트 탈착조작시에 사용하는 매달기 작업(slinging work)용 고리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예의 카운터 웨이트 (10A) 는, 상기와 같이,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가 차량의 상부 선회체에 볼트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고, 이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를 기준으로 하여 그 좌우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가 외면으로부터 볼트 (56) 에 의해 체결되어 일체화되어, 통상의 카운터 웨이트로서 기능한다.
엔진실이나 그 좌우에 배치되는 라디에이터 또는 메인 펌프 등의 점검 ·정비 (수리) 를 실시할 때는, 그 점검 ·정비 부위에 대응하는 좌우 어느 하나의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또는 51) 를 떼어냄으로써, 대상이 되는 기기의 앞면 이 개방된다. 따라서, 지면에 작업자가 서서 자연스러운 자세로 목적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또는 51) 를 떼어낼 때에는, 그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또는 51) 에 매단 상태로,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의 조여 붙이기편 (44) 부의 나사 구멍 (44a) 에 끼워져 있는 체결 볼트 (56) 를 제거했을 때,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린 상태가 되어 작업을 작업을 실시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매달아 걸어서 지지하고 있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또는 (51). 이하,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로 대표한다.) 가 끌어 올려지는 경향이 있다. 그러므로, 체결 볼트 (56) 가 제거된 순간,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하지만, 분할 부분에서는 끼워맞춤 구조로 되어 바르게 놓여있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측의 돌출편 (43) 의 스토퍼 (43b) 에, 분할되어 들어 올려지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의 걸어 맞춤 오목부 (53) 의 내하면 (53b) 이 맞닿아, 과도하게 상승이동하는 것을 저지한다 (도 9 참조). 따라서, 웨이트가 설치기기에 충돌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렇게 하여 체결을 해체한 후에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를 그대로 측방으로 이동시켜 끼워맞춤부로부터 떼어내고, 지상면으로 내려 목적하는 작업을 실시하게 한다. 이 이동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측의 걸어 맞춤 오목부 (53) 가 돌출편 (43)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동에 있어 지장을 초래하지 않는다.
작업을 마치고 떼어낸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를 원래대로 되돌리려면, 다시 매달기 작업(slinging work)을 실시한 후, 크레인 등으로 매달아 올려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의 측부로 운반하여 접속 조작을 실시한다. 접속부에서의 조합에 있어서는, 매달려 넣어지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의 걸어 맞춤 오목부 (53) 를, 그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의 돌출편 (43) 에 끼워맞출 때, 그 걸어 맞춤 오목부 (53) 의 내상면 (53a) 을 상기 돌출편 (43) 의 상면 (43a) 에 맡기듯이 매달아 넣으면, 그 상태에서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측의 나사 구멍 (44a) 에 볼트 구멍 (54) 이 합치되므로, 그대로 체결 볼트 (56) 에 의해 체결할 수 있고, 볼트 구멍 (54) 의 위치를 맞추기 위해 매다는 높이의 이동조절과 같은 번거러운 조작을 하지 않고, 신속하게 접속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동시에, 상술한 임시적인 맡김이 가능하므로, 잘못하여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를 낙하시킬 염려도 없어, 안전하게 작업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 2 실시예에서는, 정비 대상 부위의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설치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소선회형의 작업기를 구비한 차량이라도, 무리없이 정비 (점검) 가 가능하게 되고, 또한 작업자는 지상에 서서 자연스러운 자세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엔진의 분사 펌프의 탈착 작업 등 엔진부의 정비에 있어서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에 부설되어 있는 보조 카운터 웨이트 (45) 를 떼어내어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그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제 2 실시예에서, 도 1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우측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의 저면부에 부착받침 (57) 을 형성하여, 펌프 주위의 기기류를 덮는 커버가 되는 하면판 (58) 을 부착하도록 하면, 종래 선회 프레임에 지지되어 있던 하면판을 이 우측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 에 부착하여 하부에서의 정비 작업시에 취급이 용이해진다. 그 결과, 선회 프레임측에 커버 (하면판) 의 부착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고, 그 부착부 형성의 부재를 생략할 수 있어 중량을 경감시킬 수 있고, 이들 가공의 생략에 따르는 비용의 삭감으로 경제효과를 높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보조 카운터 웨이트 (45),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보조 카운터 웨이트 (45) 를 제외한 부분) 및 좌우에 각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의 각각의 중량은 거의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동일한 설비 (예컨대, 2.9 ton 크레인) 에 의해 각 카운터 웨이트의 떼어내는 작업이 실시됨으로써,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와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의 걸어 맞춤부를,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측의 돌출편 (43) 과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측의 걸어 맞춤 오목부 (53) 로 구성한 것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들은 오목부와 볼록부를 역으로 하여,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측의 돌출편 (볼록부) 과,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측의 걸어 맞춤 오목부 (오목부) 가 걸어 맞춰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또, 한쪽에 형성한 단차부를 갖는 대략 L 자형의 제 1 걸어 맞춤편과, 이 제 1 걸어 맞춤편에 꼭 들어맞는 다른 쪽에 형성한 대략 역 L 자형의 제 2 걸어 맞춤편이 걸어 맞춰지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41) 의 좌우 양측에 각각 분할 카운터 웨이트 (50,51) 를 배치한 것에 대해 설명했는데, 이 분할 카운터 웨이트는 반드시 양측에 배치할 필요는 없고, 좌우 어느 한 쪽에만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배치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대상으로 하는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의 점검정비에 필요한 부위를 부분적으로 분할하여 탈착가능하게 함으로써, 그 카운터 웨이트보다 앞부분의 위치에서 상부 선회체상에 배치되는 엔진이나 그외의 기기가 점검수리 (정비) 를 필요할 때에는, 그 대응하는 부위의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외부에서 직접 기기의 문제 부위에 접하여 대응하는 처치를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작업자가 카운터 웨이트 위에 올라가 협소한 곳에서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기기를 분해조립하는 것이 해소되고,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 상부 선회체상의 엔진이나 기타 기기에 대응하는 부위에서 카운터 웨이트의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를 형성함으로써, 그 개구부를 열면 외부로부터 직접 기기의 문제 부위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용이해지며, 예컨대 작업현장에서의 수리 등에 있어서도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또한, 엔진 부분에서의 점검수리가 필요해졌을 때에는, 그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엔진 부분의 측부가 크게 개방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엔진에 대한 처치가 용이해진다.
또, 좌우 코너부의 앞측에 배치되어 있는 기기의 점검수리시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상기 중앙부의 개구부와 마찬가지로, 대응하는 기기에 대해 개구부를 통해 외부로부터 용이하게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 보조 카운터 웨이트,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중량을 대략 같은 중량으로 조정함으로써, 이들 각 카운터 웨이트를 동일한 설비 (예컨대, 크레인) 로 탈착가능하게 되어,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소선회형의 기종에 있어서,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배치되는 엔진, 기타 기기의 설치에 따른 카운터 웨이트의 부착 스페이스의 협소로 인해, 엔진이나 기타 기기의 점검 ·정비가 곤란한 것을, 카운터 웨이트의 정비 부위에 대응하는 부위를 탈착가능하게 분할하여, 상기 정비시에 그 필요 부위의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지장없이 대응 부위의 기기의 점검정비가 용이해진다. 특히, 분할되는 카운터 웨이트를 떼어냄으로써, 최소 스페이스로 설치되어 있는 엔진부나 펌프 등을 외부로부터 여유있는 상태에서, 또한 작업자가 지상에서 작업할 수 있게 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킨다.
또한, 카운터 웨이트의 분할 부분에서는, 끼워맞춤 구조이며 체결구에 의해 체결 고정되기 때문에, 기준이 되는 측의 분할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대응하는 측의 오목부 (그 반대의 구성도 있다.) 와의 사이에 간극을 형성해 두면, 분할 카운터 웨이트를 탈착할 때, 중량물을 취급하므로 위치결정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소선회형의 작업기의 경우, 카운터 웨이트의 부착 스페이스에 여유가 없는 관계상, 카운터 웨이트의 내측에 감추어지게 하여 상부 선회체상에 부착되어 있는 기기류에 대해, 떼내어지는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정위치로부터 상기 간극 만큼 이동해도 끼워맞춤 구조의 일면, 예컨대 돌출부의 대응면이 스토퍼의 역할을 하여, 내측에 위치하는 기기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어 안전하다.
또, 종래 카운터 웨이트 부착부 근방에서 정비 부위가 되는 부분의 하측에 탈착가능한 커버를 형성하는데 있어, 그 부착을 위해 선회 프레임의 후부를 연장하여 부착부를 형성했던 것을 생략하고, 카운터 웨이트의 하면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간이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선회 프레임을 간소화하여 중량의 경감과 경제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Claims (9)

  1. 주행용 차체와 작업기를 구비하는 상부 선회체를 포함하는 건설용 차량에 있어서, 정비 부위에 대응하는 카운터 웨이트의 부위를 탈착가능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에는,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에서의 전후로 관통하는 개구부는, 중앙 상부에 형성되고, 이 개구부에 상부로부터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 웨이트의 개구부는, 좌우 코너 상부에 형성되고, 이들 코너 상부의 개구부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도록 된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선회체의 후부에 설치되는 카운터 웨이트에 있어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의 상반부의 내측에 보조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좌우 어느 한 쪽 또는 양쪽에 분할 카운터 웨이트가 탈착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는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부 카운터 웨이트와 분할 카운터 웨이트의 분할면에는 걸어 맞춤부가 형성되어 있는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걸어 맞춤부는 탈착가능하게 분할되는 카운터 웨이트의 끼워맞춤부로써, 이 끼워맞춤부에는 간극을 형성하여 떼어낼 때의 스토퍼를 겸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끼워맞춤부는, 기준이 되는 카운터 웨이트의 분할면측에 돌출부가 형성되고, 그 분할면에 맞추는 측의 분할면부에는 상기 돌출부에 들어맞는 걸어 맞춤 오목부가 형성되고, 분할부가 외부로부터 체결구(締結具)에 의해 체결되는 구성인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9. 제 7 항 또는 8 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가능하게 분할되는 카운터 웨이트는, 하방부 정비용의 하면판을 하부에서 공용하도록 되어 있는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KR1020000001705A 1999-01-20 2000-01-14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KR100676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012203 1999-01-20
JP1220399 1999-01-20
JP21788299 1999-07-30
JP99-217882 1999-07-30
JP33269599A JP4289747B2 (ja) 1999-01-20 1999-11-24 建設用車輌におけるカウンターウエイト
JP99-332695 1999-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246A true KR20000071246A (ko) 2000-11-25
KR100676108B1 KR100676108B1 (ko) 2007-02-01

Family

ID=27279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1705A KR100676108B1 (ko) 1999-01-20 2000-01-14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4289747B2 (ko)
KR (1) KR1006761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1301A (zh) * 2013-12-31 2014-05-07 江苏南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配重
KR20220050511A (ko) * 2020-10-16 2022-04-2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53496B2 (ja) * 2001-07-06 2011-08-24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上部旋回機能を備える作業車両
JP4211919B2 (ja)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4724131B2 (ja) * 2007-02-09 2011-07-1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705069B2 (ja) * 2007-04-23 2011-06-22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カウンターウェート構造
JP4928474B2 (ja) 2008-01-08 2012-05-09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NOx低減装置の配設構造
WO2010071380A2 (ko) * 2008-12-19 2010-06-24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정비가 용이한 중장비의 카운터 웨이트 구조
JP5368415B2 (ja) * 2010-11-09 2013-12-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9663919B2 (en) 2013-07-08 2017-05-3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Construction machine
JP6105499B2 (ja) * 2014-01-30 2017-03-29 株式会社日立建機ティエラ 建設機械
JP6876530B2 (ja) * 2017-06-01 2021-05-26 株式会社加藤製作所 移動式クレーンのカウンタウエイト
US11313101B2 (en) 2017-09-29 2022-04-26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Tierra Co., Ltd. Construction machine
JP6909759B2 (ja) * 2018-05-28 2021-07-28 日立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
JP2020026198A (ja) * 2018-08-10 2020-02-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14852891B (zh) * 2022-07-08 2022-09-09 山东志华建设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海洋建筑用防风起重吊机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7102A (ja) * 1993-10-29 1995-05-16 Yutani Heavy Ind Ltd 増量カウンタウエイト
KR19980086061A (ko) * 1997-05-30 1998-12-05 토니헬샴 분할형 카운터웨이트
JP3178387B2 (ja) 1997-09-16 2001-06-18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771301A (zh) * 2013-12-31 2014-05-07 江苏南铸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叉车配重
KR20220050511A (ko) * 2020-10-16 2022-04-25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289747B2 (ja) 2009-07-01
JP2001106479A (ja) 2001-04-17
KR100676108B1 (ko) 2007-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76108B1 (ko)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US6481748B1 (en) Counterweight for construction vehicle
CN100482901C (zh) 具有旋转台的旋转作业机
EP1582635B1 (en) Swiveling work machine
JP3714785B2 (ja) 建設機械
BRPI0905121A2 (pt) máquina de trabalho
JP3461079B2 (ja) 全旋回式作業機
JP4274562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メンテナンス構造
JP3514697B2 (ja) 燃料タンク及びその成形方法
JPH10140613A (ja) 建設機械
JP2571151Y2 (ja) 超小型パワショベル
JP3790448B2 (ja) 建設機械におけるカウンタウエイト
JP3578336B2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フォークリフト
JPH08246499A (ja) バックホウのボンネット構造
JP2508821Y2 (ja) 上部旋回車両のエンジン吸気装置
JPH0632434Y2 (ja) エンジン載設車体に於ける空気導入構造
US8944202B2 (en) Construction machine
JP2003147806A (ja) 建設機械
JPH0529259Y2 (ko)
JP3578337B2 (ja) カウンタバランス型フォークリフト
JP2000136547A (ja) 建設機械
JPH09310376A (ja) 建設機械における外殻部材構造
JP3033003B2 (ja) エンジンのオイルパン
JPS6132099Y2 (ko)
JPH059211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