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0511A -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 Google Patents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0511A
KR20220050511A KR1020200134266A KR20200134266A KR20220050511A KR 20220050511 A KR20220050511 A KR 20220050511A KR 1020200134266 A KR1020200134266 A KR 1020200134266A KR 20200134266 A KR20200134266 A KR 20200134266A KR 20220050511 A KR20220050511 A KR 202200505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njection nozzle
water tank
wheel loader
fen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42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4204B1 (ko
Inventor
안영기
Original Assignee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모 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342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4204B1/ko
Publication of KR202200505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05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42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42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68Mud guards for utilit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16Mud-guards or wings; Wheel cover panels
    • B62D25/18Parts or details thereof, e.g. mudguard flaps
    • B62D25/188Mud-guard flaps for utility vehic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10/00Technologies related to metal processing
    • Y02P10/20Recyc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ehicle Cleaning, Maintenance, Repair, Refitting, And Outrig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강 및 제선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버켓으로 밀어서 제거하는 청소작업 중에 물탱크의 물을 전방측 타이어 및 그 주위로 분사시켜 고온의 슬러지가 버켓의 좌,우 양측을 통과하여 전방측 타이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휠로더의 후방측에 물탱크를 배치시킴으로써, 물탱크를 이용하여 하중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로서의 기능과 카운터 웨이트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APPARATUS FOR INJECTING WATER FOR WHEEL LOADER}
본 발명은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제강 및 제선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버켓으로 밀어서 제거하는 청소작업 중에 물탱크의 물을 전방측 타이어 및 그 주위로 분사시켜 고온의 슬러지가 버켓의 좌,우 양측을 통과하여 전방측 타이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함과 아울러, 별도의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휠로더의 후방측에 물탱크를 배치시킴으로써, 물탱크를 이용하여 하중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로서의 기능과 카운터 웨이트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로더(Wheel loader)는 흙, 모래 등을 굴착하는 굴착작업, 굴착된 토사를 운반하는 운반작업, 운반된 토사를 화물차량에 싣거나 내리는 하역작업, 도로 정지작업, 제설작업, 견인작업을 등을 수행하는 데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휠로더는 차량의 전측에 설치되어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과, 이 붐의 선단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버킷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버킷을 구비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버킷은 붐의 하강시 차체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상기 붐실린더에 의해 작동하는 붐에 의해 하부로부터 비교적 높은 위치까지 상승하여 흙, 모래 등과 같은 분말형태의 작업물을 화물차량 등에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게 한다.
이때, 험한 지역에서 이용되는 휠로더의 타이어 상부에는 흙받이용 펜더가 배치된다. 펜더는 휠로더가 작업 중 타이어를 통해 작업물 또는 흙탕물이 휠로더의 장비에 비산되는 것을 방지한다.
종래 펜더 고정장치가 구비된 휠로더는, 건설기계의 용량 또는 타이어의 사이즈에 대응되는 대형 또는 소형 크기로 형성되는 펜더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제1 고정장치와 제2 고정장치를 형성하여 휠로더용 펜더를 고정시켰다.
휠로더용 펜더를 고정시키는 것은 건설기계가 주행 중이거나, 작업 중일 때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된 휠로더용 펜더가 분리되어 건설기계의 주행과 작업 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방지하고, 휠로더의 작업에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이때, 제1 고정장치와 제2 고정장치는 휠로더용 펜더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각각 형성되어 펜더를 고정시킨다. 또한, 제2 고정장치의 경우 펜더의 몸체와 연결하여 고정시키기 위해 U볼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건설기계의 주행이나 작업 중에 건설기계에 가해지는 진동이나 부하에 의해 U볼트가 파손될 경우, 안전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로더용 펜더의 고정장치를 해체하기 위해서는 펜더의 상부의 제1 고정장치를 해체하고, 펜더 하부의 제2 고정장치를 해체하여야만 하므로 작업자가 매우 번거로우며, 작업 시간이 증가하므로 작업 능률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U볼트가 자주 파손됨으로써 건설기계의 제조 원가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기존 휠로더의 펜더와 관련된 종래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010591호 "펜더 고정장치가 구비된 휠로더"(등록일자 : 2019.08.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과 제2프레임 사이를 고정시키기 위한 펜더 고정장치가 구비된 휠로더에 있어서, 상기 고정장치는, 케이스부와, 회동 가능하도록 힌지 결합된 제1누름부와, 상기 케이스부에서 연장된 제2 누름부; 및 일단은 상기 케이스부의 일 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누름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제2 누름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누름부와 상기 제2 누름부는 외력에 의하여 순차적으로 상기 스프링이 인장되는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제1 프레임과 상기 제2 프레임 사이의 고정을 해제하는 것이다.
기존 휠로더와 관련된 종래 다른 선행기술로는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105024호 "휠 로더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공개일자 : 2020.09.07)에 개시된 바와 같이, 버켓이 적재물에 진입하도록 휠 로더를 가속시켜 굴삭 작업을 수행하고; 상기 굴삭 작업 동안 상기 휠 로더의 타이어 슬립을 판단하는 데 필요한 신호들을 획득하고; 상기 신호들에 대하여 기 학습된 예측 알고리즘을 수행하여 상기 타이어 슬립의 발생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타이어 슬립이 발생한 경우 상기 타이어 슬립이 원하는 값 이내로 제거될 때까지 상기 휠 로더를 감속시키고 상기 버켓을 상승시키고; 그리고 상기 타이어 슬립이 제거되면 상기 버켓을 기 설정된 자동 굴삭 궤적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기존 휠로더 중 제철소에 사용될 경우, 제강 및 제선 공정에서 고온의 슬러지 및 지금 등의 이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버켓이 장착된 휠로더를 이용하여 스크레이핑 작업을 수행하는 중에 고온의 이물질이 버켓의 좌,우 양측으로 밀려나오면서 주로 전방측 타이어에 근접되어 닿게 될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전방측 타이어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 10-2010591호 "펜더 고정장치가 구비된 휠로더"(등록일자 : 2019.08.07)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105024호 "휠 로더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공개일자 : 2020.09.07)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제강 및 제선 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버켓으로 밀어서 제거하는 청소작업 중에 물탱크의 물을 전방측 타이어 및 그 주위로 분사시켜 고온의 슬러지가 버켓의 좌,우 양측을 통과하여 전방측 타이어를 손상시키지 않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별도의 카운터 웨이트를 구비할 필요없이 휠로더의 후방측에 물탱크를 배치시킴으로써, 물탱크를 이용하여 하중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물탱크로서의 기능과 카운터 웨이트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도록 그 구조가 개선된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전방에 버켓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구와; 상기 연결구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좌,우 양측의 전방측 타이어측에 각각 배치되는 펜더부재와; 상기 각각의 펜더부재에 결합수단으로 결합되고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전방측 타이어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 및 상기 본체의 후방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며 상기 분사노즐측에 물을 공급하도록 공급관이 연결된 물탱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합수단은 상기 펜더부재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이 끼워진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결합공과, 일측면이 상기 결합공이 형성된 펜더부재에 근접되게 고정되고 타측면이 상기 일측면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절곡되며 타측면에 연결공이 형성된 연결블록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공에 상기 분사노즐이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과, 상기 연결공에 끼워진 분사노즐의 일단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너트, 및 상기 분사노즐의 타단에 결합되는 제2고정너트로 구성된다.
상기 물탱크는 중간에 배치되고 물이 좌,우 양측으로 유동가능한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연결부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 제1,2충진부로 구성된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전방측 타이어의 일측과 타측 및 측면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펜더부재의 일측과 타측 및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은 일단부가 상기 물탱크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좌,우 양측의 펜더부재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측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본 발명은 제강공정이나 제선공정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슬러지를 버켓으로 밀어서 제거하는 과정에서 버켓의 양측으로 슬러지가 밀려나오면서 전방측 타이어측으로 근접하게 되더라도 분사노즐을 통해 전방측 타이어측으로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전방측 타이어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휠로더 본체의 후방에 물탱크가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체 하중 및 내부에 충진된 물의 무게 하중을 이용하여 버켓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밀어내는 중에 본체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카운터 웨이트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펜더부재에 천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이 좌,우측 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브라켓의 연결블록에 분사노즐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브라켓의 장착 위치에 따라 물의 분사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가 적용된 휠로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펜더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결합수단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결합수단에 의해 분사노즐이 펜더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물탱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5의 정면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는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체(100)의 전방에 버켓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구(150)와; 상기 연결구(150)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좌,우 양측의 전방측 타이어(210)측에 각각 배치되는 펜더부재(300)와; 상기 각각의 펜더부재(300)에 결합수단(500)으로 결합되고 물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50); 및 상기 본체(100)의 후방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며 상기 분사노즐(350)측에 물을 공급하도록 공급관(600)이 연결된 물탱크(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0)는 하부에 전,후로 배치되는 전방측 타이어(210)와 후방측 타이어(220)에 구동력이 전달되어 구동되며, 상부에 운전자가 탑승하는 캐빈(110)이 마련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의 상측에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펜더부재(300)가 배치된다.
상기 분사노즐(350)은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의 일측과 타측 및 측면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펜더부재(300)의 일측과 타측 및 측면에 배치된다.
상기 결합수단(50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더부재(300)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350)이 끼워진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결합공(510)과, 일측면(521)이 상기 결합공(510)이 형성된 펜더부재(300)에 근접되게 고정되고 타측면(523)이 상기 일측면(521)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절곡되며 타측면(523)에 연결공(525)이 형성된 연결블록(522)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공(525)에 상기 분사노즐(350)이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520)과, 상기 연결공(525)에 끼워진 분사노즐(350)의 일단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너트(530), 및 상기 분사노즐(350)의 타단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제2고정너트(540)로 구성된 것이다.
상기 제1,2고정너트(530,540)는 상기 분사노즐(350)을 지지브라켓(520)의 연결공(525)에 관통되도록 결합시킨 후에 상기 분사노즐(350)의 일측과 타측방향에 대한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분사노즐(350)을 지지브라켓(520)에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연결공(525)을 관통한 분사노즐(350)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공(510)을 통과하여 하측을 향해 배치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분사노즐(350)의 타단에는 상기 공급관(600)이 연결되는 커넥터가 구비된다.
상기 펜더부재(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의 상측에 수평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펜더부재(310)와, 상기 제1펜더부재(310)의 일측에 결합되며 상기 펜더부재의 외주 둘레 형태에 대응되도록 수직부(322)와 경사부(324)가 일체로 연결된 제2펜더부재(320)와, 상기 제1,2펜더부재(310,320)의 근접부위에 각각 볼팅 결합되어 상기 제1,2펜더부재(310,320)를 연결하는 결합브라켓(330)으로 구성된다.
상기 결합공(510)은 상기 제1펜더부재(310)의 타측 테두리 부위와 측면부위에 각각 장공의 슬롯 형태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펜더부재(320)의 경사부(324)에 좌,우측 방향으로 장공의 슬롯 형태로 길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결합공(51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사노즐(350)을 하측의 전방측 타이어(210) 및 그 주변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상기 분사노즐(350)의 일단부를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공급관(600)은 일단부가 상기 물탱크(400)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좌,우 양측의 펜더부재(300)측으로 제1,2공급관(610,620)으로 분기되며, 상기 제1,2공급관(610,620)은 각각의 분사노즐(350)측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600)은 일 예로 플렉시블한 고무 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물탱크(400)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에 배치되고 물이 좌,우 양측으로 유동가능한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연결부(410)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 제1,2충진부(420,4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물탱크(400)의 연결부(410)는 상기 본체(100)측과 서로 마주보는 면에 단턱진 단턱부(415)가 형성되고, 상기 단턱부(415)에 상기 본체(100)와의 결합을 위한 고정볼트가 체결되도록 복수의 체결공(417)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충진부(420,430)의 상부에는 물탱크(400)의 인양작업을 위한 결합브라켓(330)이 배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제1,2충진부(420,430)는 상기 연결부(410)를 통해 물의 유동이 가능하도록 서로 연통된 구조를 가지며, 제1,2충진부(420,430) 중 하나에 물 공급구가 마련되고 상기 공급관(600)과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버켓을 연결구(150)측에 연결시키고, 제선이나 제강공정에서 발생되는 슬러지를 버켓으로 밀어내는 중에 슬러지가 버켓의 좌,우 양측으로 밀려나면서 전방측 타이어(210)측으로 접근할 경우, 분사노즐(350)에서 물이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측으로 분사되어 전방측 타이어(2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물은 휠로더(10)의 본체(100) 후방에 고정된 물탱크(400)로부터 공급관(600)을 통해 분사노즐(350)측으로 공급되며, 펜더부재(300)의 제1,2펜더부재(310,320)에 각각 형성된 복수의 결합공(510)에 상기 분사노즐(350)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의 전방과 후방 및 측면 방향에서 분사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물탱크(400)는 본체(100)의 후방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내부에 충진된 물의 무게와 물탱크(400)의 자체 중량을 이용하여 상기 휠로더(10)의 본체(100)측에 카운터 웨이트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분사노즐(350)은 결합수단(500)의 지지브라켓(520)이 결합되는 펜더부재(300)의 위치에 따라 물의 분사 위치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브라켓(520)의 결합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장공 형태의 결합공(510)을 통해 분사노즐(350)의 일단부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의 공급관(600)은 물탱크(400) 내의 물을 각각의 분사노즐(350)측으로 공급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상기 공급관(600)이 좌,우 양측 분기된 제1,2공급관(610,620)을 통해 좌,우 양측의 펜더부재(300)측에 결합된 분사노즐(350)측에 각각 공급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공급관(600)으로 좌,우 양측의 펜더부재(300)에 마련된 분사노즐(350)측으로 공급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강공정이나 제선공정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슬러지를 버켓으로 밀어서 제거하는 과정에서 버켓의 양측으로 슬러지가 밀려나오면서 전방측 타이어(210)측으로 근접하게 되더라도 분사노즐(350)을 통해 전방측 타이어(210)측으로 분사되는 물을 이용하여 전방측 타이어(210)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손상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또, 본 발명은 휠로더(10) 본체(100)의 후방에 물탱크(400)가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있으므로, 자체 하중 및 내부에 충진된 물의 무게 하중을 이용하여 버켓을 이용하여 슬러지를 밀어내는 중에 본체(100)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카운터 웨이트의 기능을 겸비할 수 있는 유용한 이점을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펜더부재(300)에 천공되도록 형성된 결합공(510)이 좌,우측 방향으로 장공 형태로 형성되고, 지지브라켓(520)의 연결블록(522)에 분사노즐(350)이 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지지브라켓(520)의 장착 위치에 따라 물의 분사방향을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앞서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한정되어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이상에서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 휠로더 100 : 본체
110 : 캐빈 150 : 연결구
210 : 전방측 타이어 220 : 후방측 타이어
300 : 펜더부재 310,320 : 제1,2펜더부재
322 : 수직부 324 : 경사부
330 : 결합브라켓 400: 물탱크
410 : 연결부 415 : 단턱부
417 : 체결공 420,430 : 제1,2충진부
500 : 결합수단 510 : 결합공
520 : 지지브라켓 521 : 일측면
522 : 연결블록 523 : 타측면
525 : 연결공 530,540 : 제1,2고정너트
600 : 공급관 610,620 : 제1,2공급관

Claims (5)

  1. 본체(100)의 전방에 버켓이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마련되는 연결구(150);
    상기 연결구(150)의 후방측에 마련되고 좌,우 양측의 전방측 타이어(210)측에 각각 배치되는 펜더부재(300)와;
    상기 각각의 펜더부재(300)에 결합수단(500)으로 결합되고 물탱크(400)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측으로 분사하는 분사노즐(350); 및
    상기 본체(100)의 후방측에 고정되도록 배치되고 내부에 물이 충진되며 상기 분사노즐(350)측에 물을 공급하도록 공급관(600)이 연결된 물탱크(400);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500)은 상기 펜더부재(300)에 복수개 형성되고 상기 분사노즐(350)이 끼워진 상태로 좌,우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슬롯 형태로 형성된 결합공(510)과,
    일측면(521)이 상기 결합공(510)이 형성된 펜더부재(300)에 근접되게 고정되고 타측면(523)이 상기 일측면(521)으로부터 경사진 각도로 절곡되며 타측면(523)에 연결공(525)이 형성된 연결블록(522)이 마련되고 상기 연결공(525)에 상기 분사노즐(350)이 끼워지도록 결합되는 지지브라켓(520)과,
    상기 연결공(525)에 끼워진 분사노즐(350)의 일단에 나사 체결방식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너트(530), 및
    상기 지지브라켓(520)의 타측면(523)을 기준으로 타측방향에 배치되는 제2고정너트(54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400)는 중간에 배치되고 물이 좌,우 양측으로 유동가능한 연결부(410)와,
    상기 연결부(410)의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되고 물이 충진되도록 상기 연결부(410)보다 더 높은 높이를 갖는 제1,2충진부(420,43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350)은 상기 전방측 타이어(210)의 일측과 타측 및 측면방향으로 분사되도록 상기 펜더부재(300)의 일측과 타측 및 측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급관(600)은 일단부가 상기 물탱크(400)측과 연결되고, 타단부가 좌,우 양측의 펜더부재(300)측으로 분기되어 상기 분사노즐(350)측으로 공급되도록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KR1020200134266A 2020-10-16 2020-10-16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KR1024342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266A KR102434204B1 (ko) 2020-10-16 2020-10-16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4266A KR102434204B1 (ko) 2020-10-16 2020-10-16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0511A true KR20220050511A (ko) 2022-04-25
KR102434204B1 KR102434204B1 (ko) 2022-08-19

Family

ID=81452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4266A KR102434204B1 (ko) 2020-10-16 2020-10-16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420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58A1 (ko)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교체형 배터리 모듈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246A (ko) * 1999-01-20 2000-11-25 안자키 사토루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KR100699089B1 (ko) * 2006-12-01 2007-03-23 주식회사 아진산업기술 높,낮이와 스윙 및 틸딩이 가능한 살수장치를 구비한청소차
KR20100071521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유체 분사 장치
KR101359589B1 (ko) * 2013-07-03 2014-02-1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KR101984875B1 (ko) * 2017-12-22 2019-05-31 (주)제일피엔이 포크레인 장착식 물분사기
KR102010591B1 (ko) 2012-12-26 2019-10-2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펜더 고정장치가 구비된 휠로더
KR20200105024A (ko) 2019-02-28 2020-09-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로더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1246A (ko) * 1999-01-20 2000-11-25 안자키 사토루 건설용 차량에서의 카운터 웨이트
KR100699089B1 (ko) * 2006-12-01 2007-03-23 주식회사 아진산업기술 높,낮이와 스윙 및 틸딩이 가능한 살수장치를 구비한청소차
KR20100071521A (ko) * 2008-12-19 2010-06-29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건설장비용 유체 분사 장치
KR102010591B1 (ko) 2012-12-26 2019-10-21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펜더 고정장치가 구비된 휠로더
KR101359589B1 (ko) * 2013-07-03 2014-02-10 천안논산고속도로주식회사 살수 차량용 살수장치
KR101984875B1 (ko) * 2017-12-22 2019-05-31 (주)제일피엔이 포크레인 장착식 물분사기
KR20200105024A (ko) 2019-02-28 2020-09-07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휠 로더의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211058A1 (ko) 2022-04-25 2023-11-0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교체형 배터리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4204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4204B1 (ko) 휠로더용 물 분사장치
CN205772114U (zh) 一种甘蔗卸车清洗平台
US5295318A (en) Backhoe-loader
JP2010075123A (ja) 散布作業車
KR102254105B1 (ko) 노면 제설용 차량
JP2012036666A (ja) 粉塵抑制システムおよび粉塵抑制方法
US20160280118A1 (en) Construction Machine Transport
KR20180106864A (ko) 운전자 스테이션 청소를 위한 잔해물 편향 장치
KR102259506B1 (ko) 노면절삭기의 먼지제거장치
KR100663837B1 (ko) 살수장치가 설치된 굴착기
JP3687752B2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
JPH07246917A (ja) ダンプトラックの足回り洗浄装置
JP2002362333A (ja) 車輌足回り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JP6227807B1 (ja) フロントフェンダ及びホイールローダ
JP6376353B2 (ja) トンネル内の施工装置および施工方法
JP2685500B2 (ja) 自走式コンクリート吹付装置
JP4280899B2 (ja) 車台に車輪と履帯を備えた移動式クレーン
KR100447528B1 (ko) 협소한 터널용 일체식 굴착 및 상차장비
KR20130103843A (ko) 스키드 로더
JP5987094B1 (ja) 車輛フレーム
CN214647847U (zh) 一种随车挖工程车
CN212402136U (zh) 一种小型履带车辆运输装置
JP3136769U (ja) 自走式散水装置
JPH01228584A (ja) 橋梁等の清掃装置
JPH07284745A (ja) 壁面処理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