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1164A - 주차설비 - Google Patents

주차설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1164A
KR20000071164A KR1019997007454A KR19997007454A KR20000071164A KR 20000071164 A KR20000071164 A KR 20000071164A KR 1019997007454 A KR1019997007454 A KR 1019997007454A KR 19997007454 A KR19997007454 A KR 19997007454A KR 20000071164 A KR20000071164 A KR 200000711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king
parking lot
guide
companion
gui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7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게게르하르트
Original Assignee
게르하르트 장게 마쉬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게르하르트 장게 마쉬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게르하르트 장게 마쉬넨파브릭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00007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116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6/00Buildings for parking cars, rolling-stock, aircraft, vessels or like vehicles, e.g. garages
    • E04H6/08Garages for many vehicles
    • E04H6/12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 E04H6/1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 E04H6/28Garages for many vehicles with mechanical means for shifting or lifting vehicles with means for transport in vertical direction only or independently in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characterised by use of turntables or rotary rings for horizontal transport

Abstract

여러 층에 마련된 주차영역을 지닌 이 자동차용 주차설비(1)에서는 상기 주차영역에 자동차를 운반하는 이동 주차대(10)가 배치되어 있고, 각 층(5)에는 빈면이 구비되어 있고 수직으로 설정된 빈면의 영역에는 입차 및 출차과정에서 주차대(10)를 수직이동 하도록 승강장치(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차영역 및 빈면은 적어도 중심 기둥(2)의 주위를 돌아서 배치되어 있다; 상기 주차영역 및 빈면은 상기 기둥(2)의 주위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세그먼트들(7, 8, 9)의 길이에 의하여 정해지고, 각 층(5)에 있는 상기 주차대(10)는 회전기(11)와 풀려질 수 있게 접속되어 있으며, 빈면-세그먼트(9)에 있는 상기 주차대(10)는 상기 회전기(11)로의 접속 해제 하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기(31)와 접속될 수 있다.

Description

주차설비{PARKING DEVICE}
AT 252 121 B에서 주지된 이러한 종류의 주차설비에는 일반적으로 차고건물이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차고건물에는 여러 층에 구획들이 나란히 늘어서 있고 서로 마주하여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각 층은 승강기를 통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주차할 자동차들은 받침대 위에서 각 구획으로 운송되는데, 상기 받침대들은 승강기 위에서 수직으로 이동되고 받침대-바닥면에 붙어있는 바퀴의 도움으로 수평으로 움직인다. 그러나 이러한 주차설비에서는 상대적으로 비용이 많이 드는 건축 설비가 요구된다. 더욱이 입차 및 출차시간이 비교적 오래 소요된다.
GB 2 030 550 A는 차량용 지상 주차설비를 보여주는데, 이 주차설비에는 주차탑 안에 개별 주차공간을 지닌 이동 운반공간들이 여러 층에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차공간들은 수직 축의 둘레에 방사선모양으로 배치되어 있고 이 축의 둘레를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층의 중앙에는 원모양의 승강기용 입구가 열려있는데, 상기 승강기는 해당되는 주차공간이 있는 원하는 층으로 차량을 보내고 거기에서 다시 가지고 온다. 부가적으로 주차면 이외에 승강기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에서 차량 자체가 승강기에서 주차면으로 그리고 반대로 처리되어야만 한다는 점이 단점이 된다.
WO 88/09420에서는 지하 주차설비가 공개되어 있는데, 이 주차설비에는 중심 영역에 수직 기둥이 구비되어 있고, 그 기둥의 둘레에는 마찬가지로 원반모양의 회전 운반면이 여러 층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운반면은 여러 개의 방사선 방향의 즉, 방사선모양으로 배치된 주차면을 받침대 위에 서있는 차량용으로 구비하고 있는데, 상기 층에서 빈면으로서의 입구가 유압식 리프트용으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리프트는 차량을 원하는 층으로 보내고 거기에서 데리고 온다. 여기에서 차량이 상기 리프트의 받침대 위에서 주차면으로 그리고 거꾸로 어떻게 도달하는지는 기술되어 있지 않다.
여기에서도, 상술한 주차설비에서와 같이, 주차면을 방사선모양으로 배치하는 것으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많은 자리가 상실되고 긴 직업통로가 필수적이다.
본 발명은 여러 층에 주차영역이 마련되고, 상기 주차영역에 자동차를 운반하는 이동 주차대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층에는 빈면이 구비되어 있고 수직으로 설정된 빈면의 영역에는 입차 및 출차과정에서 상기 주차대를 수직이동 하도록 승강장치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주차영역 및 빈면은 적어도 중앙의 수직 기둥의 주위를 돌아서 배치되어 있는 자동차용 주차설비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주차탑 형태의 주차설비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2는 위 주차설비의 기둥을 통과하는 횡단면을 나타내는 상기 주차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도 1과 비교하여 확대된 축척으로 된, 도 1 및 2에 따른 상기 주차설비의 부분 정단면도이고,
도 4는 상기 기둥의 상부 단부에 설치된 승강구동기가 나타난, 위 주차설비의 상기 기둥의 횡단면이 부분적으로 있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3과 유사하게 상기 주차설비의 변경된 실시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위 변경된 주차설비의 도 4와 유사한 평면도이고,
도 7 및 도 8은 입차(도 7) 내지 출차(도 8)를 위한 차이가 나는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주차탑의 입차- 및 출차층의 평면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차이가 나는 입차- 및 출차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이중탑-주차설비의 비교가능한 평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입차 시에 주차대의 차이가 나는 위치와 관련하여 선회가능하게 배치된 원호형 안전-차단기를 설명하기 위한, 이중탑-주차설비의 평면도이고,
도 13은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한 측면 바닥부분과 길이안전책 및 수평빗장을 지닌 주차대의 평면도이고,
도 14는 도 13에서 선 XIV - XIV을 따라 위 주차대를 관통한 횡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3에서 선 XV - XV을 따라 위 주차대를 관통한 종단면도이고,
도 16은 다른 실시례에 따른 탑모양 주차설비의 단면의, 도 17에서의 선 XVI -XVI을 따른 부분 단면이 있는 정면도이고,
도 17은 도 16에서의 선 XVII - XVII을 따른 위 주차설비의 기둥영역을 관통하는 횡단면도이고,
도 18은 도 17에서의 선 XVIII - XVIII을 따라 절단된, 위 주차설비의 정단면도이고,
도 19는 도 18의 선 XVX - XVX을 따른 횡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리를 확보하면서 차량, 특히 승용차 및 여러 가지 형태의 소형화물차를 빠르게 입차 및 출차하는 데에 적합한, 서두에서 언급한 종류의 주차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동시에 상기 주차설비는 특히 좁고 작은 자리에도 건립될 수 있어야 하고, 그 구조방식은 상기 주차설비가 신속하게 건립될 수 있어야 한다.
서두에서 서술한 종류의 본 발명에 따른 주차설비는, 상기 주차영역 및 빈면이 상기 기둥의 주위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세그먼트들의 길이에 의하여 정해지고, 각 층에 있는 상기 주차대는 회전기와 풀려질 수 있게 접속되어 있으며, 빈면-세그먼트에 있는 상기 주차대는 상기 회전기로의 접속 해제 하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기와 접속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주차설비에서는 탑모양의 배열이 제시되어 있는데, 상기 배열에서는 상기의 중심 수직 기둥의 둘레에 상기 주차대가 주위방향으로 설정되어 배치되어 있고, 자동차가 "접하는" 방향으로 주차되어 있다. 상기 기둥은 예를 들어 강철, 콘크리트 또는 그와 같은 것들로 건립될 수 있고, 정비작업을 위하여 기둥 내부에서의 진입을 위하여 속이 비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주차면들은 상기 회전기의 도움으로 빈면-세그멘트에 있는 위치로 보내질 수 있는데, 상기 위치에서 상기 주차면은 상기 회전기와 풀려지고 상기 승강장치와 접속되어 입·출차 시에 수직의 위치조정이 가능할 수 있게된다. 다른 한편으로 한 주차대가 승강장치의 도움으로, 차량이 있거나 또는 없는 채로, 원하는 층으로 수직으로 이동된다면, 상기 주차대는 거기에서 상기 회전기에 의해 다시 넘겨질 수 있는데, 이 때에 상기 주차대는 상기 상승장치로부터 분리된다. 동시에 상기 주차대는 운반하는 중심 기둥에서의 상대적으로 단순한 구성으로, 특히 부착되어, 유지되고, 그래서 단순한 구조방식이 나타난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승강장치는 상기 개별 주차대를 급속하게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그러면 특히 상기 주차대는 또한 상기 회전기의 도움으로 급속하게 항상 구비된 회전위치로 보내질 수 있게 되어, 입차 및 출차시간이 아주 짧아질 수 있다. 특히 개별적인 구조방식에 따라서는 입차 및 출차시간이 30초 내지 1분의 범위에 이를 수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주차설비에서의 몇 분간의 시간과 비교하면 아주 짧은 것이다. 상술한 주차설비는, 주지된 바와 같이, 또한 차량의 자동, 전산 입차 및 출차에도 매우 적합하다.
상기 층에서 상기 기둥에 언제나 최소한, 수평이고 일반적으로 원모양이며 상기 승강장치의 위치에서 차단된 유도부가, 예를 들어 유도궤도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도궤도에서 상기 주차대가 예를 들면 굴림대나 미끄럼블럭과 같은 유도부분들의 도움으로 그 회전이동을 위하여 유지되고 인도된다면, 각 층에 있는 상기 주차대의, 구조적으로 특히 단순한 고정장치를 위해서 유리하다. 동시에 고유한 지지바닥을 준비할 필요가 없고,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유도부 내지 유도궤도에 있는 상기 주차대를 부착하기 및/또는 운반하면서 지탱하기에 적합하며, 이 때에 상기 주차대는 자유로이 돌출되어 있다.
상기 회전기가 상기 기둥에 있는 상기 주차면의 내부에서 방사상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고 구동가능한 회전세트를 구비하고 있다면, 콤팩트하고 효율적인 구조방식에도 유리하다. 여기에서, 충분한 최소한의 구조부분들의 개수를 찾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세트가 예를 들어 굴림대나 미끄럼블럭과 같은 운반- 및 유도부분들을 통하여, 그와 같은 유도부, 때로는 상기 주차면을 보유한 유도궤도에서,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된다면 유리하다.
자유로이 방사상으로 밖으로 돌출되어있는 주차면으로부터 가해지는 동력 내지 회전모멘트를 효과적으로 수용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세트가 그 하부 영역에서 상기 기둥에서의 지지굴림대를 통하여 내부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것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모멘트 내지 동력은, 특히 자동차가 실린 주차대에서, 상기 주차대로부터 상기 회전세트 및 상기 지지굴림대를 통하여 상기 기둥으로 유입될 수 있다.
그래서 앞에서 제시된 실시례에서는 상기 회전세트가 상기 주차대와 관련하여 확실한 지지- 내지 운반작용을 떠맡는다. 상기 회전세트의 단순하고 쉬운 실시를 위해서, 상기 회전세트가 상기 주차대의 회전 구동을 위한 동반작용만을 주로 수행한다면, 상기 층에서 상기 주차대의 지지부 내지 부착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회전세트는 지지부 내지 부착부와 독립되어 회전할 수 있게 위치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회전세트가, 수평이고 일반적으로 원모양이며 상기 기둥에 고정된 유도부, 예를 들면 유도궤도에서 운반- 및 유도부분들, 예를 들면 굴림대나 미끄럼블럭의 도움으로 유지되고, 이 때에 이 회전세트-유도부가 결국 상기 승강장치의 위치에서 차단된다면, 역시 유리하다. 동시에 상기 주차대가 유도부분들, 예를 들면 굴림대나 미끄럼블럭을 통하여 추가로 상기 회전세트-유도부 내지 -유도궤도에서 지지되고, 이로 인하여 상기 기둥에 고정되어 설치된 이 유도부가 이중으로 이용되고, 그로 인하여 상기 회전세트의 자유로운 회전위치부가 방해받지 않는다면, 단순하고 효율적인 구조라는 이유에서 역시 유리하다.
나아가서 상기 회전세트의 힘차고 정비할 필요가 별로 없으며 지속적인 구동의 관점에서, 상기 회전세트가, 상기 기둥에 고정되고 회전하면서 구동가능한 구동기와 함께 작동하는 톱니고리를 구비한다면 유리하다. 상기 구동기는 이론적으로 톱니구동기를 통하여 제작될 수 있지만, 특별히 가볍고 마찰- 및 소모가 없는 상기 회전세트의 톱니고리와의 물림을 얻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회전가능한 운반부분에 있는 자유로이 회전가능한 굴림대의 도움으로, 상기 톱니 대신에 상기 굴림대가 있는 작은 톱니바퀴와 유사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앞에서 언급한 수평 유도부는, 특히 유도궤도는 빈면-세그멘트 내에서 언제나 승강장치의 위치에서 차단되어, 거기에서 상기 주차대의 수직 이동이 상기 승강장치의 도움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차단은 그러나 (주위방향으로) 비교적 경미한 길이를 통해서만 필요한데, 왜냐하면 상기 주차대는 상기 유도궤도의 바깥에서 방사상으로 위치할 수 있어서 상기 차단으로 인하여 상기 승강장치용 내지 상기 운반-결합용 공간만이 상기 주차대에 만들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여기에서 상기 주차대의 수직이동을 특히 효율적이고 공간절약형 방식으로 만들기 위하여, 상기 승강장치가 상기 주차대용 수직 이동 동반기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때에 상기 수직 이동 동반기는 각 층에서 상기 수평 유도부의 차단 영역을 통하여 계속 이동하고, 자기로부터 방사상 바깥으로 돌출해있는 주차대를 상응하는 운반요소를 통하여 운반한다. 동시에 상기 회전기로부터 상기 주차대를 수용하기 위해서, 상기 동반기가 최소 수평의, 예를 들면 궤도모양의 유도구역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구역은 주차대를 연결하고 풀기 위하여 각 층에 위치한 동반기에서 상기 기둥에 있는 (소속된) 수평 유도부와 일직선상에 놓여 있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주차대의 확실한 수직이동서는, 상기 동반기가 최소한 수직 유도부, 예를 들면 유도궤도를 따라서, 상기 기둥의 종축으로 직선으로 가는 것이 유리하다. 상기 회전세트를 그 회전영역에서 제한하는 일없이, 상기 회전세트의 각 주차대를 풀고 상기 동반기를 통하여 주차대의 수용을 단순하게 실행하기 위해서는, 상기 수직 유도부 내지 유도궤도가 각 층의 상기 회전세트의 영역에서 차단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로 인하여 상기 회전세트는 상기 수직 유도궤도로 인하여 방해받지 않고서 360°및 그 이상으로 회전이동을 수행할 수 있다. 동시에 각 층의 영역에서도 상기 회전세트의 영역에서 상기 동반기를 수직으로 상응하게 유도할 수 있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세트가 적어도 수직 유도구역, 예를 들면, 상기 회전세트의 상응하는 회전위치에서 상기 기둥에 있는 수직 유도부 내지 유도궤도 일직선상에 놓이는 유도궤도구역과 함께 준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그래서 상기 동반기는 한 층에서의 그 수직이동시에 그곳의 회전세트의 상기 수직 유도(궤도)구역을 통과해서 인도된다. 동시에 상기 주차대가 항상 상기 수직 유도(궤도) 내지 소속된 회전세트-유도(궤도)구역에서 유도부분들, 예를 들면 굴림대나 미끄럼블록의 도움으로 유지되는 것이 구조상으로 유리하다. 그래서 이러한 형태에서는 상기 수직 유도부가 상기 주차대의 부착을 위하여 상기 동반기차량용 수직 유도부로부터 제외된 채로 끌어당겨진다.
다른 한편으로 각층에서 상기 동반기차량은 상기 중심 기둥에서의 상기 수직 유도(궤도)의 차단을 통하여 유도될 수 있고, 상기 동반기가 상기 차단의 높이와 비교하여 상응하는 크기의 높이를 갖는다는 점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례는, 상기 동반기가 여러 개의 중첩되어 배치된 유도부분들, 예를 들어, 상기 동반기의 높이와 비교하여 단지 경미한 높이로 상기 회전세트의 판부분의 계속유도를 위하여 차단되는 굴림대나 미끄럼블럭을 통하여 상기 수직 유도(궤도)에서 인도된다는 점으로 특징지워진다. 이러한 형태는, 상기 회전세트가 회전구동으로서의 작용만 주로 떠맡아야 하고 그러나 상기 주차대와 관련하여 어떠한 지지작용도 형성되지 않는다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회전세트는 일반적으로 수평의 판부분들을 통하여 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 판부분들은 상기 수직 유도(궤도)의 차단을 통하여 튀어나오고 외부에는 수직의 팔들, 방사상의 축위에 있는, 상기 주차대를 회전하면서 동반하기 위한 지지굴림대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주차대의 수직이동시에 상기 동반기에 상응하여 이것들을 스스로 지탱하기 위해서는, 각 주차대의 지지를 위해 상부 수평 유도구역과 하부 수평 유도구역을 지닌 상기 동반기가 준비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상기 동반기가 측면이동에 대하여 상기 동반기에 있는 각 주차대를 차단하는 차단시소를 구비하는데, 그 차단시소는 각 층에서 상기 기둥에 구비된 조종면을 상기 주차대에 대한 해제위치로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다면 유리한 것으로 증명되어 있다.
상기 주차대를 자유로이 돌출시켜서 지탱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차대가 콘솔-운반팔을 통하여 각 회전기와 풀려질 수 있게 결합된다면 유리하다. 상기 주차대를 동반하고 그것을 고정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회전세트가 상기 주차대의 콘솔-운반팔들용 측면-지지굴림대를 구비하는 것이 유리하다.
주차대위의 자동차를, 특히 수직 및 수평 이동 중에, 측면의 미끄러짐에 대해 안전하게 하기 위해서는, 각 주차대에 자동차용 수평 바닥-길이보호책이 마련되는 것이 유리하다.
또한 밀려남 또는 미끄러짐에 대한 자동차의 안전을 위하여 각 주차대에 바닥-수평빗장이 마련되면 유리하다.
전술한 탑모양의 주차설비에서 상기 주차대는 중심 운반 기둥으로부터 자유로이 돌출해 있을 수 있고 특히 지붕설치가 요구되지 않기 때문에, 각 주차대에 배수로가 있으면, 빗물을 유도하는데에 유리하다.
확대된, 예를 들어 중단없고 통행가능한 바닥을 상기 층에 만들기 위해서는, 상기 주차대에 자동차를 위한 원래의 정차면 옆에 위치한 측면 바닥부분이 구비된다면 유리하다. 그래서 입차/출차층에, 그 층에 이에 대한 추가적인 설비가 요구되지 않으면서, 상기 자동차로 승차 내지 하차가 쉬워진다.
공간절약의 이유에서 그리고 부가적인 정역학의 장점을 얻기 위해, 이중탑 건물에서 두 개의 중심 기둥이 구비되고 그 이중탑은, 위에서 볼 때, 서로 마주하는 승강장치의 영역에서 겹쳐지는 것에 의해 특징지워지는 실시례가 있을 수 있다. 이 때에 상부 단부에 있는 상기 두 개의 중심 기둥은 안정성의 이유에서 서로 부동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진입 내지 -발차의 영역에서 원호형 이동 차단기가 구비되고, 그 차단기로 상기 진입 및 발차가 선택적으로 자유로이 해제되거나 잠길 수 있다면 결국 유리하다. 전술한 주차설비의 자동 운전 중에 사람들을 위태롭게 하지 않기 위해서, 이러한 이동 차단기는 상응하는 방식으로 전산작동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특히 바람직하게는, 일반적으로 1로 표시되는 탑모양의 주차설비는 운반구조부로서 중심 수직 기둥 2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기둥은 주지된 방식으로 콘크리트, 강철 또는 그와 같은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적절하게는 상기 기둥 2는 내부가 비어있고 도 1의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비작업용 계단이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정비입구 4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주차탑이라고 약칭되기도 하는, 상기 주차설비 1은 여러 개의 주차-층들 5가 중첩되어 형성되어 있고, 각 층 5에서는 자동차 6이 주차영역에 상기 기둥 2의 둘레에, 즉 접하는 방향으로 주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전술한 실시례에서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둥 2의 둘레에 120。 - 세그먼트화가 되어있고, 도 1 및 도 2에서 오른쪽에 설명된 세 번째 세그먼트 9는 주차대 10의 수직이동을 위해 빈면을 정하고 있는 반면에, 두 개의 세그먼트 7, 8이 주차영역을 형성하고 있다. 그에 따라 도 2의 평면도에서 오른쪽에 주차대 10이 점선으로 묘사되어 있고, 여기에서 주차영역-세그먼트 7의 주차대 10 또는 주차영역-세그먼트 8의 주차대 (또는 계속 움직이는, 다른 층으로 이동될 주차대) 가 있게 된다. 각 세그먼트 7 및 8의 주차대 10을 빈면-세그먼트 9로 가져오기 위해서, 상기 주차대 110은 상기 기둥 2를 돌아서 그 위치로 회전하여야 한다. 여기에서 일반적으로 11로 표시되는 회전기가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주차대 10은 각 층 5에서 그 회전기와 풀려지거나 결합된다.
상세하게는 각 층 5에서 상기 회전기 11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례에서 회전세트 12를 구비하고 있는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회전기는 일반적으로 고리형이고 도 3에 의하면 상기 주차대 10의 콘솔-운반팔 13의 높이와 보통 같은 높이 위쪽에 도달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회전세트 12는 상기 콘솔-운반팔 13의 위치에서 주변방향으로 각각 위치하고, 그 회전세트는 거기에서 각각 그 입구와 서로 마주하는 두 개의 수직 유도구역을 궤도구역 14, 15 (다음의 유도궤도구역을 지칭함)의 형태로 운반하며, 그 궤도구역에서는 콘솔-운반팔 13에 측면으로 부착된 굴림대 16이 일반적으로 주변방향을 가리키는 회전축과 함께 수용되고 유지되며 인도된다. 나아가 콘솔-운반팔 13에 굴림대 17, 바람직하게는 플랜지굴림대는 방사상으로 향하는 축에 고정되어 있고, 이 축은 일반적으로 원형 내지 고리형 수평 유도부에 방사상으로 안으로 열린 유도궤도 18의 형태로 수용되어 있다. 도 4이외에 도 3 참조. 이 수평 유도궤도 18은 적절한 운반구조부 19를 통하여 단단히 부착되어 있고, 도 4에의 2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기로부터 떨어진 굴림대 16, 17을 지닌 상기 콘솔-운반팔 13의 계속디딤을 위하여 상기 빈면-세그먼트 9의 영역에 놓여진다.
상기 고리형 회전세트 12는 결국 굴림대 21, 특히 플랜지굴림대의 도움으로 수평 유도궤도 18에 넘겨지고 인도된다. 하부 단부에서는 상기 고리형 회전세트 12는 내부에서 지지굴림대 22로 지지되고 인도되는데, 그 지지굴림대는 상기 기둥 2에 자기쪽에서 단단히 부착된 고리원반 23, 24에 자유로이 회전가능하게 위치한다.
상기 주차대 10은 견고함과 강도를 높이기 위해 모서리-받침판 25 (도 3) 를 통하여 모서리형 콘솔의 운반팔 13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회전세트 12를 회전시키기 위해 구동기 27 (도 4)를 통하여 구동되는 모터 26으로 회전구동이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상기 구동기 27이 상기 모터-시작회전축 28과 결합된 몰타십자형 판-굴림대-배치를 통하여 형성되고, 4 개의 모서리점에 구비된 굴림대 29가 상기 구동기 27의 회전 시에 상기 회전세트 12의 톱니고리 30과 물려서 나온다. 상기 모터 26은 예를 들어 하나의 하부 고리판 24위에 놓인다.
상기 주차영역-세그먼트 7 및 8에서 각각 나온 주차대 10을 상기 빈면-세그먼트 9로 그리고 여기로부터 다시 회전시키기 위해서, 그에 따라 - 바람직하게는 전산조종으로 - 상기 회전세트 12가 모터 26에 의해 구동되고, 여기에서 단지 한 회전방향으로의 구동 또는 양 회전방향으로의 구동이 준비될 수 있다. 빈면 세그먼트 9에서의 위치에서 상기 주차대 10은 상기 회전세트 12 또는 일반적으로 회전기 11로부터 풀려날 수 있고, 그 주차대는 거기에서 승강장치 31과 결합될 수 있는데, 그 승강장치는 각각의 주차대 10 (도 4에서 다시 점선으로 표시된) 의 수직 이동을 실행시킨다. 이 때에 상기 승강장치 31은 상기 기둥 2의 상부 단부에서 승강구동기 32, 예를 들면 모터 33 및 벨트판 34, 35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벨트판 34, 35에는 평평한 구동벨트 36이 말아 올려지고 그것으로부터 풀려지며, 도 1 및 도 3에서 점선으로 묘사된 것 참조, 여기에서 상기 벨트 36은 37 (도 1)에서 위쪽에 상기 기둥 2의 다른 단부에 고정되고, 동반기 39에 있는 상응하는 벨트판 38을 통하여 거기에서 아래쪽으로 인도되며 거기에서 다시 위쪽으로 각각의 벨트판 34 및 35로 인도된다. 상기 동반기 39는 수직 유도에서 굴림대 40으로 유지되고 인도되는데, 그 굴림대는 제시된 실시례에서 각 층 5에서 상기 회전세트 12에 있는 소위 수직 유도궤도구역 14 및 15를 통하지 않고서 고정된 유도부로서 상기 기둥 2에 단단히 부착된 수직 유도궤도 41을 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유도궤도 41 및 유도궤도구역 14, 15를 통하여 상기 동반기 39를 위해 아래에서 위로 통과하는 수직 유도가 유지되고, 그래서 상기 회전세트 12가 각각의 층 5에서 올바른 회전위치에 위치하고 그 회전위치에서 그 회전세트의 유도궤도구역 14, 15가 고정된 수직 유도궤도 41과 일직선상에 놓이면, 그 동반기는 모든 임의의 수직 위치 및 상기 기둥 2를 따른 층 5에서 올려지고 내려질 수 있게된다. 상기 동반기 39는 이 때에 이미 언급한 유도궤도-차단기 20을 통하여 계속 움직이고, 당연히 상기 수평 유도궤도 18을 위한 상기 운반구조부 19도 상기 동반기 39의 계속이동을 위해 상응하는 차단기 또는 감지기를 구비하여야 한다.
상기 동반기 39는 자기의 반사상의 외부면에 상응하는 수평 유도(궤도)구역 42를 구비하고 있는데, 이 유도(궤도)구역은, 상기 주차대 10의 상기 회전세트 12 및 상기 콘솔-운반팔 13에 대한 폐쇄된 고리형 유도부를 마련하기 위하여, 각 층 5에서 상기 차단기 20의 영역에서 남은 수평 유도궤도 18이 있는 이행 위치로 보내질 수 있다. 상기 동반기 39의 상기 수평 유도궤도구역 42에서 각각의 대 10의 수직이동 중에 그 대의 콘솔-운반팔 13은 그 콘솔-운반팔의 굴림대 17을 통하여 매달려서 유지된다. 상기 유도고정은 상기 동반기 39의 수직으로 서로 배치된 굴림대 40을 통하여 그리고 상기 수직 유도부 14, 15 및 41에서 작동하는 상기 콘솔-운반팔 13의 굴림대 16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래서 한편으로, 상기 동반기 39가 층 5에서 올바른 높이에 정지하면 폐쇄된 고리형 수평 유도부 18, 42가 상기 회전세트 12 및 상기 주차대 10의 회전을 위하여 유지되고, 여기에서 이것을 원하는 경우에는 특히 상기 주차대 10의 연속적인 회전이, 진열- 및 광고목적으로, 일어날 수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회전세트 12가 상응하는 회전위치를 취하고 그 회전위치에서 그 회전세트의 수직 유도궤도구역 14 및 15가 - 빈세그먼트 9에서 - 상기 기둥 2에 있는 수직 유도궤도 41과 일직선상에 놓이면 상기 동반기 40의 중단없는 수직이동이 상기 회전세트 12로부터 넘겨받는 주차대 10으로 가능해진다.
제시된 도면에서의 묘사는 특히 도 3 및 도 4에서 상기 승강장치의 영역에서 단지 도식적으로 된 것이고 축척에 맞는 것이 아니며, 상기 동반기 39는 당연히 그 벨트판 38 및 벨트 36과 함께, (관찰되는 각 층의 위쪽에 위치하는) 상응하게 회전하는 회전세트 12 의 상기 차단기 20에서 위아래로 이동가능해야 한다는 것을 보충적으로 언급한다.
도 5 및 도 6에서는 도 1 내지 도 4에 대해 변경된 실시례가 묘사되어 있는데, 그 실시례에서 한편으로 상기 회전세트 12가 다른 한편으로 상기 동반기 39가 도 3 및 도 4에 대하여 변경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세트 12는 각 층 5에서 일반적으로 수평으로 된 3개의 판부분 43을 통하여 형성되는데, 그 판부분은 상기 회전구동이 모터 26' 및 구동기 27 (도 5) 의 도움으로 수행되는 내부 고리 44에 의해 플랜지형으로 방사상 바깥쪽으로 떨어져 있고, 여기에서 각각의 주차대 10에 대하여 두 개의 방사상의 변 45에 수직 동반기-팔 46이 마련되어 있으며, 그 팔에는 지지굴림대 47이 실려있고, 그 지지굴림대는 상기 주차대 10의 상기 콘솔-운반팔 13에 측면으로 놓여있다. 상기 회전세트 12는 계속해서 하부, 내부의 수평 유도부에 있는 굴림대 48의 도움으로 유도궤도 49의 형태로 유지되고 인도되며, 여기에서 이러한 수평 유도궤도 49는 상기 기둥 2에 있는 고정된 고리원판 50에 단단히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례와 비교하여 상기 회전세트 12의 낮은 구조높이가 분명히 얻어지며, 여기에서 상기 회전세트 12의 정확하게는 그 판부분 43 및 변 45의 계속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상기 기둥 2에 있는 상기 수직 유도궤도 41 (또는 일반적으로 유도부) 의 영역에서 단지 분열형 차단기 51 (도 5) 이 요구된다.
상기 판형태 10은 다른 한편으로 다시 그 수직 콘솔-운반팔 13의 도움으로 운반다리 52를 통하여 외부에서 상부의, 방사상으로 계속 외부에 부착된, 운반구조부 19의 의하여 유지되는 수평 유도부에서 결국 유도궤도의 형태로 유지되고 인도된다. 그밖에도 상기 콘솔-운반팔 13에 하부 및 방사상 내부 굴림대 54가 (도 5) 부착되어 있고, 그 굴림대와 함께 상기 콘솔 및 더불어 상기 판형태 10이 수평 하부, 내부 유도궤도 49에 유지되고 인도된다. 그로 인하여 다시 상기 판형태 10의 견고한 부착 및 유도가 무거운 자동차의 적재 시에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반기 39는 도 5 및 도 6에 따른 실시례에서 수직 방향으로 길쭉한 동반자동차 55를 통하여 형성되는데, 그 동반자동차는 여러 개의 중첩되어 배치된 굴림대쌍 56으로 상기 수직 유도궤도 41에서 유지되고 인도된다. 분열형 차단기 51 (도 5) 의 경미한 높이와 비교하여 상기 동반자동차 55의 비교적 큰 수직 길이로 인하여, 상기 회전세트 12가 상응하는 회전위치에 놓이고 상기 수직 유도궤도 41을 지닌 상기 변 45 사이에서 일직선상에 놓이면, 상기 동반자동차 55는 문제없이 상기 차단위치 51을 통과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위 실시례에서는 회전세트 12가 상기 동반기 39의 수직이동을 위한 수직 유도를 보충하기 위해 어떠한 수직 유도궤도구역도 운반하지 않으며, 이것은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례에서도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상기 동반자동차 55가 상응하는 위치에 있다면, 다른 경우에는 폐쇄된 수평 유도궤도 49 내지 53의 영역에서 수평 방향으로 상기 빈면-세그먼트 (도 2의 9) 의 영역에서의 차단기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동반자동차 55는 상부 외부의 수평 유도궤도구역 53' 및 하부 내부 수평 유도궤도구역 49'를 운반한다. 그로 인하여 여기에서도 상기 회전세트 12의 상응하는 선회가 360。 및 그 이상으로 가능하게 되고, 특히 각각의 회전위치에서 상기 주차대 10은 상기 유도부 49, 53으로부터 상기 동반자동차 55를 통하여 넘겨질 수 있고, 그래서 상기 주차대 10의 수직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도 5에서 차단시소 또는 차단빗장 57을 볼 수 있는데, 이것은 57'에서 동반자동차 55에서 선회할 수 있게 적재되고 점선으로 표시되고 밑으로 선회된 정상위치에서 (그 위치로 그 차단시소가 선회력 또는 용수철바이어스를 통하여 압박될 수 있다) 상기 콘솔-운반팔의 방사상 내부 면에의 뒷면에 있는 궤도 58로 돌출한다, 도 5 이외에 도 6 참조. 그로 인하여 정상적인 경우 상기 동반자동차 55의 수직이동 중에 상기 주차대 10과 더불어 동반자동차 55를 향하여 상대적으로, 원하지 않은 측면 움직임에 대하여 그 주차대가 보호된다. 상기 차단시소 57을 도 5에서 완전한 선으로 표시한 수평 해제위치로 보내기 위해, 각각의 층 5의 영역에서 기둥 2에는 조종면 또는 캠 59가 올바른 높이에 부착되어 있는데, 그 해제위치에서는 상기 차단시소 57의 전면의 물림부분이 수평 감지부 60과 함께 궤도 58에서 일직선상에 놓여서, 상기 차단시소 57의 이 해제위치에서 상기 주차대를 지닌 상기 콘솔-운반팔의 접근회전 또는 탈착회전이 상기 회전세트12의 도움으로 가능하게 되는데, 다시 말하면 상기 차단시소 57로부터 방해받지 않는다.
도 7 및 8에서, 입차 (도 7) 및 출차 (도 8) 시에 상기 주차대의 매번 다른 회전위치가 주어질 수 있다는 점이 도식적으로 설명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빈면-세그먼트 9 및 그 안에 위치한 주차대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는데, 상기 주차대 10은 이 위치로의 수직이동을 위해 상기 기둥 2를 돌아 회전될 수 있다.
도 9 및 도 10에서는 이중탑-주차설비가 묘사되어 있는데, 이 주차설비에서는 상기 주차탑의 중심 기둥 2, 2'가 일정 간격을 유지하고 있어서, 평면도에서 보는 것처럼 상기 주차설비의 중첩이 나타난다. 이러한 중첩영역에는 상기 각각의 빈면-세그먼트 9 (도 9) 및 9' (도 10) 가 있는데, 거기에는 상기 주차대 10의 수직 이동이 (여기에서는 자세히 나타나지 않은 승강장치 31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그와 같은 이중탑-주차설비에는 물론 두 개의 기둥 2 및 2'에서 동시에 주차대 10이 수직으로 이동될 수 없고, 항상 탑 하나 또는 다른 탑 중의 하나에서 교대로 나타날 뿐이다. 다른 한편으로 그와 같은 이중탑-주차설비를 통하여 추가로 자리가 줄어드는데, 왜냐하면 상기 기둥 2, 2'는 빈면-세그먼트 9의 자리가 줄어들 수 있도록 더 가까이 다가서기 때문이다.
화살표가 있는 도 7 및 도 8에서와 마찬가지로 도 9 및 도 10에서도 상기 입차위치로 그리고 상기 출차위치에서부터의 진입- 및 출발장치가 표시되어 있다. 도 9에서 상기 기둥 2에 주차대 10이 입차위치에 준비되어 있고 반면에 상기 기둥 2'에 있는 상기 주차대는 대기위치에 있다. 유사한 방식으로 도 10에서 상기 기둥 2에 주차대가 대기위치에 나타나있고, 반면에 상기 기둥 2'에 있는 주차대 10은 출차위치에 놓여 있다.
도 1에 따른 상기 단일탑-주차설비의 직경이 예를 들어 약 8.5 m 에 달할 수 있는 반면에, 도 9 및 도 10에 따른 상기 이중탑-주차설비에서는 상기 주차설비의 폭이 약 15 m에 달하는데, 다시 말하면, 2 × 8.5 m = 17 m 의 폭이 얻어지는 상기 주차설비가 단순히 서로 부착되어 있는 배치에 비하여, 폭에서 2 m가 줄어든다. 상기 주차대 자체는 약 5m의 길이를 가질 수 있고 상기 주차대의 정차면을 형성하는 궤도 61, 62는 약 2.2m의 외부간격을 가질 수 있다.
계속해서 도 7 내지 도 10 그리고 또한 도 11 및 12에서, 상기 주차대 10이 보충된, 특히 측면 바닥부분 63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자동차를 지니고 올라가고 내려올 때 그리고 통행할 때 추가적인 바닥면, 바람직하게는 균일한 바닥면 (도 11 및 12)을 유지하기 위함이다.
도 9 및 도 10에서처럼 11 및 도 12에서 그밖에 다시 이중탑-주차설비가 제시되어 있는데, 도 11에서는 좌측 주차탑에 대한 입차위치가 묘사되어있고, 그에 비하여 도 12는 우측 주차탑 (기둥 2') 에 대한 입차위치를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는 도 9 및 도 10에 비하여 변경된 사항이 묘사되어 있는데, 각각의 주차탑에는 그 주차탑을 240。 이상으로 둘러싸는 만곡형 차단기 64 및 64'가 구비되어 있고, 그 차단기는 매번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며, 여기에서 도 11에 좌측 주차탑 (기둥 2) 에 상기 차단기 64가 열림위치로 회전되고, 그에 반하여 상기 차단기 64'는 우측 주차탑에서 (기둥 2') 닫힘위치에 위치한다. 그에 비하여 도 12에 따른 상황에서는 상기 좌측 주차탑의 차단기 64가 닫힘위치로 다시 선회하고 (화살표), 그에 반하여 상기 우측 주차탑의 차단기 64'는 열리게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매번 자동차의 입차 (또는 출차)가 접근할 수 있는 주차대 10 위에서 화살표를 따라 가능하게 된다.
도 13에는 계속적인 세부적인 안저성을 설명하기 위해 주차대 10이 조금 확대된 축척으로 제시되어 있다. 그래서 상기 궤도 61, 62가 자동차의 바퀴에 대한 측면벽으로 인한 측면 정지, 말하자면 측면 미끄러짐을 막는 세로안전을 실현시키기 위해 깊게 파여져 있다. 계속해서 상기 궤도 61, 62는 수평빗장 66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그 수평빗장은 각각의 자동차를 구름이나 미끄러짐에 대하여 길이방향으로 안전하게 하여야 한다. 결국, 상기 주차대 10은 전술한 주차설비 1에서 원칙적으로 빈 곳에 위치하기 때문에 (도 1), 각각의 주차대 10에는 배수구 67이 만일의 빗물 또는 눈녹은 물을 아래로 유도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다. 그러나 또한 (비록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기상영향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전술한 주차설비에 거주하는 곳을 마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당한 규모의 주차시설을 위해서는 기술된 바와 같은 두 개의 주차탑 이상이 상응하는 체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주차설비의 기능들은 주지된 바와 같이 완전히 전자적으로 조종되고 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또한 안전을 목적으로 하여 해당 위치에 주지된 방식으로 위치표시기, 조절장치, 계전기 및 그와 같은 것들이 중복된 실시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그와 같은 통일체의 고장이 - 예를 들어 조절램프를 통하여 표시될 수 있다 - 상기 전체 주차설비의 고장으로 이어지지 않게 된다. 또한 원거리감시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그밖에 주차설비의 조작을 방해하는 초대형 차량이 진입하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주차설비 외부에 자동차용 측정장치가 비치될 수 있다.
여러 개의 주차탑이 준비된다면, 경우에 따라서 차량의 운전자는 입차 시에 상기 주차설비 바깥에서 표시되지 않은 조정위치에서 해당되는 주차탑번호를 통보받고, 그 시설로 진입한다. 상기 자동차에 부여된 주차대 10이 제공되면 해당되는 주차탑에서 상기 차단기 64 및 64'가 개방되고, 각각의 회전기 11 및 승강장치 31의 도움을 받는다. 상기 차단기 64 및 64'의 개방 후에 상기 자동차가 제공된 주차대로 올라갈 수 있고, 내려지며, 여기에서 통로가 투입되고 상기 변속기 기어를 넣고 상기 핸드브레이크는 당겨진다. 상기 자동차는 떠나가고 차단되며, 상기 바닥부분 63은 운전자가 상기 주차대 10을 떠나기 쉽게 해준다. 경우에 따라서 입차 시에 상기 주차대 10에서 표시등을 통하여 자동차세차시설에서 널리 행해지는 것처럼, 상기 자동차가 길이방향 및 가로방향으로 제대로 위치하였는지의 여부가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운전자가 자동차를 떠나면, 상기 차단기 64 및 64'는 다시 자동적으로 닫히고, 상기 주차대 10은 이제 상기 승강장치 31과 상기 해당 회전기 11의 도움으로 정해진 층 5에서 상기 주차대 10이 앞서 보내졌던 곳으로부터 상기 해당 주차면-세그먼트 1 및 8위로 보내진다.
출차 시에 상기 운전자는 주지된 주차시설에서처럼 자기의 주차요금을 지불하고, 그 후에 그의 자동차가 자동적으로 위에서 설명한 바의 역순으로 출차위치에 준비된다. 이렇게 되자마자 상기 자동 차단기 64 및 64'가 개방되고 상기 운전자는 자기의 자동차를 열고 승차하며, 자동차를 타고 상기 주차대 10과 상기 전체 시설을 떠난다.
또한 상기 전산조종을 통하여 상기 주차대가 자동차와 더불어 원래의 층으로부터 다른 층으로의 도중에, 특히 출차위치의 가까이에서, "거꾸로 주차될" 수 있는데, 이는 러시 아워에 신속히 출차하고 더불어 전체 시설에서 시간을 벌기 위함이다. 러시 아워에 입차할 때에도 유사하게 상기 자동차가 신속하게 가까운 층 5로 보관되고 나중에 상기 시설의 자동적인 재-편제의 견지에서 거꾸로 주차될 수 있다.
우측통행인지 또는 좌측통행인지에 따라서 언제나 해당되는 진입 및 출발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입차- 및 출차설비는 (도 7 내지 12) 상응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 31에는 상기 주차설비의 여러 실시례에서 전기모터 (모터 33)가 장착된 것처럼 유압모터를 장착할 수 있고, 언급한 벨트 36 대신에 사슬, 플랜지 또는 밧줄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원래의 승강장 32는 상기 기둥 2의 상부 단부 대신에 상기 기둥 2의 다른 위치에, 특히 바닥영역 및 바닥수준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는데, 바닥수준의 하부위치에서는 만일의 점검작업이 쉬어진다.
상기 모터 26은 상기 회전세트 12의 회전 구동 시에 브레이크 및 조절장치 또는 유압모터를 지닌 구동모터일 수 있고, 상기 기술한 구동기 27대신에 예를 들어 톱니고리 30을 다듬은 톱니바퀴 (작은 톱니바퀴)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세트 12의 구동은 톱니벨트 또는 구동벨트 또는 강판구동을 통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상기 개별 층 5는 상기 자동차의 높이에 상응하는 구조높이로 준비될 수 있는데, 말하자면, 예를 들어 최하층을 제외하면, 바닥영역에서 1.50 m의 높이가 될 수 있는데, 바닥영역에서는 경우에 따라서 자동차의 입차 및 출차 시에 하차 및 승차가 그 너머에 위치하는 층으로 인하여 방해받아서는 안되고 - 여기에서 예를 들어 2.20 m의 층 높이가 마련될 수 있다.
입차 및 출차 시에 진입 및 출발이 반드시 상기 바닥수준에 도달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고, 그밖에 상기 기둥 2는 상기 바닥면의 하부에 계속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층 5에서 자동차의 입차 및 출차 시에 상술한 바와 같이 준비될 수 있다는 것을 언급한다. 출발, 다시 말하면 상기 자동차의 입차- 및 출차위치는 상이할 수 있고, 특히 수직이동 시의 위치가 다를 수 있다는 점은 전술한 선회가능한 주차대 10의 장점이 되는데, 왜냐하면 자동차를 지닌 상기 회전세트 12의 상이한 위치에서 해당 주차대 10으로 올라가는 것을 생각할 수 있기 때문이고, 그 이후에 (전산조종되어) 그 층의 상기 회전세트 12가 그와 같이 회전하고, 상기 주차대는 빈면-세그먼트 9의 영역으로 보내지고, 그 후에 상기 동반기 39가 자동차 6을 지닌 상기 주차대 10을 수직으로 전술한 층 5로 이동시키고, 그 층으로부터 그 주차대가 입차 시에 앞서 바깥으로 이동된다.
그밖에도 여러 층 5에서 입차 및 출차를 계획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 층에 두 개의 주차영역-세그먼트 1, 8 및 하나의 빈면-세그먼트 9를 지닌 상술한 배치는, 다시 말하면 층 5 마다의 면 그리고, 특히 기둥 2의 횡단면과 관련하여, 상기 언급한 120。-세그먼트화는, 그로 인하여 최적의 자리이용이 층마다의 주차 시에 가능해진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상기 기둥의 (적절하게 확대된 횡단면도에서) 운반성을 더욱 잘 이용하기 위해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적절한 빈면-세그먼트 9와 함께 다시 상기 중심 기둥 2 둘레에 배치될 3, 4 또는 5 개의 주차영역-세그먼트처럼 층마다 2 개 이상의 주차영역-세그먼트 7, 8을 마련하는 것을 생각해볼 수 있다.
그밖에 상기 각각의 수평 및 수직 유도부는 구성 및 배치와 관련하여 변화될 수 있고, 유도부분으로서의 기술한 굴림대 대신에 바퀴도, 특히 미끄럼블럭 및 그와 같은 것들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수평 및 수직 유도부는 기술하고 제시한 유도궤도, 특히 U-수평단면을 지진 것과 다르게, 예를 들면 굴림대배치를 통하여 - 최소한 부분적으로라도 - 정해진 유도선로 또는 -트랙을 구비하여 실현될 수 있다.
그래서 도 16 내지 19는 상기 동반기 39 및 상기 각각의 주차대 10 - 정확하게는 그 운반팔 13 - 에 대한 수직 유도부가 한편으로는 궤도를 통하여 다른 한편으로는 굴림대를 통하여 형성되어 있는 실시례를 보여주는데, 여기에서 상기 굴림대는 굴림선로 68을 함께 만들고, 그 굴림선로를 따라서 상기 각각의 주차대 10의 운반팔 및 상기 동반기 39의 운반체 69가 이동된다 (도 16 및 17).
상세하게는 도 16 내지 도 19에 따른 상기 실시례는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례의 변경된 형식으로 볼 수 있고, 또한 도 16 내지 19에 의하면 각 층 5에서 비교적 높은 회전세트 12가 준비되고, 그 회전세트는 상기 주차대 10 및 그 콘솔-운반팔 13에 대한 수직 유도부를 가지며, 그 회전세트에는 그 콘솔-운반팔이 상기 동반기 39의 도움으로 수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동반기는 여기에서 물론 그 운반체 69에 - 상기 각각의 주차탑 10의 콘솔-운반팔 13의 동반기에 알맞게 수평단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 경사지게 배치된 굴림대 40'를 구비하고 있고, 그 굴림대는 상기 회전세트 12의, 경사지게 위치하고 일반적으로 L-형으로 홈이파인 수직 유도궤도 및 -궤도구역 14', 15' 에서 그리고 적절하게 고정되고, 상기 기둥 2에 부착된 궤도구역 41'에서 (도 16, 그와 같이 고정되고 수직 방향으로 짧은 궤도구역 41'는 두 개의 회전세트 12의 사이에 도식적으로 묘사되어 있다) 유지되고 인도된다. 이러한 유도궤도 14', 15' 및 41'로 또한 상기 주차대 10의 콘솔-운반팔 13도 상응하게 경사지게 위치한 굴림대 16' (도 10) 와 함께 그 수직 이동시에 인도된다. 추가적으로 상기 동반기 39의 운반체 69 및 상기 콘솔-운반팔 13은 그 굴림선로에서 안쪽으로 인도되고 지지된다. 이러한 굴림선로 68은 주로 각각의 회전세트 12에 마련된 수평 회전축으로 인하여 구비된 굴림대 70을 통하여 그리고 자세하게 표시되지 않은 운반요소의 중개로 상기 기둥 2에 적재되며, 그 운반요소에는 굴림대 70이 설정된 굴림대 71에 적절하게 형성된다. 그래서 방사상 내부로도 그리고 방사상 외부로도 유도선로가 보존되고, 이로 인하여 수직이동 시에 동반기 39 및 주차대 10이 정확하게 인도되고 방사상의 전복을 저지한다.
상기 동반기 39는 - 여기에서 추가적인 모서리판 72를 통하여 강화된다, 방사상의 안쪽으로 보여주는 입구가 있는 C- 또는 U-홈-궤도의 형태의 도 16 - 도 1 내지 4에 따른 상기 실시례에서와 유사하게, 다시 수평 유도구역 42를 운반하고, 이러한 유도구역 42에서는, 플랜지굴림대로서 형성된 굴림대 21 (상기 회전세트 12) 와 17 (상기 주차대-운반팔 13) 이 주차대와 더불어 상기 회전세트 12의 회전위치를 따라서 수용되고 인도된다. 상기 수평 유도구역 42는 도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다시 그밖에 연속적이고 수평이며 궤도형의 유도부 18로 설정되며, 그 유도부는 운반구조를 통하여 - 여기에서는 운반팔 19' - 상기 기둥 2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회전세트 12는 각각 모가 둥글게 되고 수직으로 이르는 금속판 73과 아울러 수평 판부분 74을 구비하고 있는데, 그 판부분은 부분적으로 지지뼈대로서 상기 회전세트 12를 위하여 구비되어 있고, 부분적으로 팔 45를 통하여 (도 6에 의하면 팔 45를 비교할 수 있다) 상기 굴림대 21을 운반하고 상기 각각의 회전세트 12의 회전 구동을 위한 상기 톱니고리 30으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톱니고리 30으로 다시 구동기 27'가 함께 작용하는데, 그 구동기는 모서리구동상자 75를 통하여 여기에서 수평으로 부착된 모터 26''에 의해 구동된다.
그밖에도 도 19에서, 상기 수평 고리유도부 18, 42에서 회전을 위해 구비된 각각의 상기 주차대 10의, 방사상으로 향하는 회전축이 있는 굴림대 17 (플랜지굴림대) 이 상응하는 회전된 운반교 52'를 통하여 상기 콘솔-운반팔 13과 결합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계속해서 도 18은 원래의 주차대 10과 상기 콘솔-운반팔 13 사이의 변경된 받침모서리 25'를 보여준다.
도 16 내지 19에 따른 실 상기 기둥 2는 플랜지결합부 76을 통하여 서로 함께 폐쇄된 실린더 부 77로 형성되어 있는데, 여기에서 상기 플랜지결합부 76의 영역에서 매번 수평단면에서 L-형의 진행고리 78도 동시에 함께 이어지고, 그 진행고리에서 상기 각각의 회전세트 12의 굴림대 22'가 풀어지며, 그 굴림대는 수직이동 회전축과 함께 항상 상기 회전세트 12의 하부 단부에 방사상으로 안쪽에 적재된다. 이러한 진행고리 78에서 풀려지는 굴림대 22'를 통하여 고리유도부 18, 42에서 상기 굴림대 21의 도움으로 상기 각각의 회전세트 12의 부착과 함께 회전이동시에 상기 회전세트 12의 필요한 고정과 유도가 보장된다. 그러나 도 16 내지 19에 따른 실시례에서도 도 1 내지 도 4에 따른 실시례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회전세트 12의 지지와 유도가 상기 기둥 2에서의 지지굴림대 22를 통하여 그리고 상기 회전세트 12의 진행면을 통하여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분명히 실현될 수 있을 것이다.
결국 도 16에서, 상기 동반기 39가 79에서 거기에 있는 자일, 벨트 또는 사슬 36' 중의 하나의 주지된 방식의 도움으로 부착되어 있고, 올려지고 내려질 수 있다. 이러한 벨트, 자일 또는 사슬 36'는 상세하게 기술되지 않은 벨트판, 자일회전통 또는 사슬회전통으로 예를 들어 다시 상기 기둥 2의 상부 단부에 모터에 의해 감아올려지진다 (그리고 그로부터 감아내려진다).

Claims (25)

  1. 자동차용 주차설비(1)로서 여러 층(5)에 주차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주차영역에는 자동차를 운반하는 이동 주차대(1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층(5)에는 각각 빈면이 구비되어 있고 수직으로 설정된 빈면의 영역에는 입차 및 출차과정에서 상기 주차대(10)를 수직이동 하기 위한 승강장치(31)가 배치되어 있으며, 상기 주차영역 및 빈면은 적어도 중심 기둥(2)의 둘레에 배치되어 있는 주차설비에 있어서, 상기 주차영역 및 빈면은 상기 기둥(2)의 주위방향으로 나란히 늘어선 세그먼트들(7, 8, 9)에 따른 길이를 통하여 정해지고, 상기 층(5)에 있는 상기 주차대(10)는 각각 회전기(11)와 풀려질 수 있게 접속되어 있으며, 상기 빈면-세그먼트(9)에 있는 상기 주차대(10)는 상기 회전기(11)로의 접속 해제 하에서 선택적으로 상기 승강기(31)와 접속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층(5)에서 상기 기둥(2)에 각각 최소한, 수평이고 일반적으로 원모양이며 상기 승강장치(31)의 위치에서 차단된 유도부, 예를 들어 유도궤도(18; 49' 53)가 고정되어 부착되어 있고, 상기 유도궤도에서는 상기 주차대(10)가 유도부분들, 예를 들면 굴림대(17; 17', 54)나 미끄럼블럭의 도움으로 그 회전이동을 위하여 유지되고 인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장치(11)는 상기 주차면의 내부에서 상기 기둥(2)에 방사상으로 외전할 수 있도록 배치되고 구동가능한 회전세트(1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4.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트(12)는 운반- 및 유도부분, 예를 들어 굴림대(21; 48) 또는 미끄럼블럭을 통하여 그와 동일한 유도부, 경우에 따라서는 유도궤도(18; 49)에서 회전할 수 있게 유지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주차대(10)를 지닌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트(12)는 그 하부 영역에서 상기 기둥(2)에 있는 지지굴림대(22; 22')를 통하여 내부에서 수평으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6. 제 2 항 및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트(12)는 수평이고 일반적으로 원모양이며, 상기 기둥에 부착된 유도부, 예를 들어 유도궤도(49)에서, 운반- 및 유도부분, 예를 들어 굴림대(48) 또는 미끄럼블럭의 도움으로 유지되고, 동시에 이 회전세트-유도부는 상기 승강장치(31)의 위치에서 결국 차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10)는 유도부분, 예를 들어 굴림대 또는 미끄럼블럭을 통하여 추가로 상기 회전세트-유도부 및 -유도궤도(49)에서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8. 제 3 항 내지 제 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트(12)는 톱니고리(30)를 구비하는데, 상기 톱니고리는 상기 기둥(2)에 고정되고 회전하면서 구동가능한 구동기(27; 27')와 함께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장치(31)는 상기 주차대(10)를 위해 수직 이동가능한 동반기(39)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0. 제 2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 및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기(39)는 적어도 수평이고, 예를 들어 궤도모양의 유도구역(42; 53')으로 형성되고, 상기 유도구역은 상기 각각의 층(5)에 위치한 동반기(39)에서, 주차대(10)를 연결하고 풀기 위하여 상기 기둥(2)에 있는 (소속된) 수평 유도부(17; 53)와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1. 제 9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기(39)는 적어도 수직 유도부, 예를 들어 유도궤도(41)를 따라서 상기 기둥(2)의 종축방향으로 직선으로 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2. 제 3 항 내지 제 8 항 중의 어느 한 항 및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유도부 내지 유도궤도(41; 41')가 상기 각각의 층(5)의 상기 회전세트(12)의 영역에서 차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트(12)에는 최소한 수직 유도구역, 예를 들어 유도궤도구역(14, 15; 14', 15')이 준비되어 있고, 상기 유도구역은 상기 회전세트(12)의 적절한 회전위치에서 상기 기둥(2)에 있는 수직 유도부 및 유도궤도(41, 41')와 일직선상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10)는 유도부분들, 예를 들면 굴림대나 미끄럼블럭의 도움으로 상기 수직 유도궤도 및 소속된 회전세트-유도(궤도)구역(14, 15; 14', 15')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5.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기(39)가 여러 개의 중첩되어 배치된 유도부분들, 예를 들어 굴림대(56) 또는 미끄럼블럭의 도움으로, 상기 수직 유도(궤도)에서 인도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동반기(39)의 높이와 비교하여 바람직하게는 단지 경미한 높이로 상기 회전세트(12)의 판부분(43)의 계속유도를 위하여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6. 제 10 항 및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기(39)에는 상기 각각의 주차대(10)를 지지하기 위해 상부의 수평, 예를 들어 궤도형 유도구역(53') 및 하부의 수평, 예를 들어 궤도형 유도구역(49')이 준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7. 제 15 항 또는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동반기(39)가 측면이동에 반하여 상기 동반기(39)에 있는 상기 각각의 주차대(10)를 차단하는 차단시소(57)를 구비하는데, 상기 차단시소는 상기 층(5)에서 매번 상기 기둥(2)에 구비된 조종면(59)을 상기 주차대(10)에 대한 해제위치로 선회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8. 제 1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10)는 콘솔-운반팔(13)을 통하여 상기 각각의 회전장치(11)와 풀려질 수 있게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19. 제 3 항 내지 제 17 항 중의 어느 한 항 및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트(12)는 상기 주차대(10)의 상기 콘솔-운반팔(13)에 대한 측면지지굴림대(47)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0. 제 1 항 내지 제 19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차대(10)에 자동차를 수평의 바닥-길이안전책이 준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1. 제 1 항 내지 제 20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차대(10)에는 밀려남 또는 미끄러짐으로부터 자동차를 보호하기 위하여 바닥-수평빗장이 준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2. 제 1 항 내지 제 21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주차대(10)에는 배수구(67)가 준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3. 제 1 항 내지 제 22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차대(10)에 상기 자동차를 위한 원래의 정차면 옆에 위치한 측면 바닥부분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4. 제 1 항 내지 제 23 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중탑의 건물에서 두 개의 중심 기둥(2, 2')이 구비되고, 상기 이중탑은, 위에서 볼 때, 서로 마주하는 승강장치의 영역에서 중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25. 제 1 항 내지 제 24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진입 및 -발차의 영역에 원호형 이동 차단기(64, 64')가 구비되고, 상기 차단기로 상기 진입 및 발차가 선택적으로 자유로이 해제되거나 봉쇄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차설비.
KR1019997007454A 1997-02-18 1998-02-17 주차설비 KR2000007116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0026897A AT406069B (de) 1997-02-18 1997-02-18 Parkeinrichtung
ATA268/97 1997-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1164A true KR20000071164A (ko) 2000-11-25

Family

ID=34860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7454A KR20000071164A (ko) 1997-02-18 1998-02-17 주차설비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964969A1 (ko)
JP (1) JP2001511858A (ko)
KR (1) KR20000071164A (ko)
CN (1) CN1248309A (ko)
AT (1) AT406069B (ko)
AU (1) AU6199798A (ko)
BR (1) BR9807244A (ko)
DE (1) DE19880168D2 (ko)
NO (1) NO993954D0 (ko)
WO (1) WO199803729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38B1 (ko) * 2014-01-07 2015-02-10 민덕주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148192A2 (en) * 2006-06-17 2007-12-27 Rotating High Towers Sa Rotatable building structure
ATE487010T1 (de) * 2006-07-05 2010-11-15 Rotating High Towers Sa Drehbares gebäude
CN101131001B (zh) * 2006-08-23 2012-05-30 劳拉·米科尔·菲舍尔 可旋转的建筑结构
CN101619622B (zh) * 2008-04-16 2012-12-12 浙江科技学院 立体停车库
CN101718147B (zh) * 2009-11-25 2011-09-21 金华法 旋转式上层停车台
CN101942919A (zh) * 2010-08-12 2011-01-12 王正发 立体集成式车库
CN102733629A (zh) * 2012-06-06 2012-10-17 宁波文百机械制造有限公司 转向定位式停车设备
CN202810293U (zh) * 2012-07-04 2013-03-20 李�浩 联动式智能立体车库
CN102889014B (zh) * 2012-11-02 2015-03-25 赵忠利 立体停车场
CN103352588B (zh) * 2013-07-08 2015-09-16 曹又文 一种立体停车设备用齿轮式旋转机构
CN103993762B (zh) * 2014-05-20 2016-09-21 诺力机械股份有限公司 一种双翅立体停车装置及应用该种停车装置的停取车方法
CN105133896B (zh) * 2015-08-13 2018-06-08 郑俭余 单立柱路边停车库
CN105133894B (zh) * 2015-08-13 2017-07-07 郑俭余 一种无避让立体停车库
CN105257044A (zh) * 2015-08-28 2016-01-20 芜湖科创生产力促进中心有限责任公司 立体车库的升降台板及其控制方法
CN107663962A (zh) * 2016-07-27 2018-02-06 沈阳高佰新贸易有限公司 停车柱
CN108266016A (zh) * 2017-01-04 2018-07-10 杨钊 单立柱升降家用智能停车设备
CN106988584B (zh) * 2017-04-10 2019-02-12 浙舞产业投资有限公司 一种上旋式车库
CN108798105B (zh) * 2018-06-19 2023-06-09 西安建筑科技大学 一种智能集存旋转散取立体车库
CN113123649B (zh) * 2019-12-31 2022-11-15 山东九路泊车设备股份有限公司 一种多层升降旋转式地下车库
KR102658861B1 (ko) * 2021-10-11 2024-04-18 패쓰웨이 오토매틱 파킹 (베이징) 컴퍼니, 리미티드 입체 주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49127A (en) * 1955-06-27 1958-08-26 Joy Mfg Co Apparatus for mechanically parking and storing automobiles
FR1374238A (fr) * 1963-10-29 1964-10-02 Garages aériens avec élévateurs orientables pour véhicules automobiles
BE656137A (ko) * 1963-12-02
BE667357A (ko) * 1964-07-29
GB2030550B (en) * 1978-09-13 1982-08-11 Pui Wai Chan D Motor vehicle parking structure
IT1206064B (it) * 1987-05-21 1989-04-14 Citi Stefano Contenitore per il ricovero automatico di autovetture, modulare, su piani rotanti ed elevatore vertica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38B1 (ko) * 2014-01-07 2015-02-10 민덕주 단주식 이단주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199798A (en) 1998-09-09
DE19880168D2 (de) 2000-10-26
BR9807244A (pt) 2000-05-02
ATA26897A (de) 1999-06-15
AT406069B (de) 2000-02-25
CN1248309A (zh) 2000-03-22
NO993954D0 (no) 1999-08-17
EP0964969A1 (de) 1999-12-22
JP2001511858A (ja) 2001-08-14
WO1998037293A1 (de) 1998-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71164A (ko) 주차설비
KR0132764B1 (ko) 주차시설
US20060228196A1 (en) Car park
US20070294952A1 (en) Car park
JPH0642219A (ja) 自動式駐車場
CN101974979B (zh) 轨道运行套框升降灵活转向存取车设备
JPH0754066B2 (ja) 円形または非円形の地下駐車場
US3520423A (en) Vehicle storage apparatus
KR20050001072A (ko) 승강 이동식 빌라형 주차장치
RU2119030C1 (ru) Многоэтажная механизированная монорельсовая автостоянка-гараж
JP3545554B2 (ja) 自走縦重列エレベータ式駐車設備
KR200221858Y1 (ko) 승강선회식 주차설비.
JP3103278U (ja) 鉄筋コンクリート壁を有した建物組込型で横行搬送装置を具備した篭の昇降式立体駐車装置
KR20040107191A (ko) 주차 장치
JPH0579216A (ja) ターン・テーブル式立体駐車装置
WO2005024156A1 (en) Storage apparatus for vehicles
KR200264291Y1 (ko) 주차기의 턴테이블 구동장치
JPH06185239A (ja) 2階ガレージ架台
KR200326274Y1 (ko) 승강 이동식 빌라형 주차장치
JP2533799B2 (ja) 搬送装置
JPH04140369A (ja) 地下立体駐車場
KR200326203Y1 (ko) 주차 장치
JP3346720B2 (ja) 立坑用地における車輌出入システムおよび車輌出入方法
JP2586192B2 (ja) 立体駐車装置
KR0113229Y1 (ko) 엘리베이터식 입체 주차설비용 회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