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642A -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악곡 수신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악곡 수신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642A
KR20000068642A KR1019997002618A KR19997002618A KR20000068642A KR 20000068642 A KR20000068642 A KR 20000068642A KR 1019997002618 A KR1019997002618 A KR 1019997002618A KR 19997002618 A KR19997002618 A KR 19997002618A KR 20000068642 A KR20000068642 A KR 200000686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ic
data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pression
request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6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가키마사노리
시타라테루유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686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642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33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0041Recording/reproducing or transmission of music for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 coded form
    • G10H1/0058Transmission between separate instruments or between individual components of a musical system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5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the accompaniment information being stored on a host computer and transmitted to a reproducing terminal by means of a network, e.g. public telephone lin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2240/00Data organisation or data communication aspects, specifically adapted for electrophonic musical tools or instruments
    • G10H2240/095Identification code, e.g. ISWC for musical works; Identification dataset
    • G10H2240/101User identification
    • G10H2240/111User Password, i.e. security arrangements to prevent third party unauthorised use, e.g. password, id number, code,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0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201/30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 H04H2201/33Aspects of broadcast communicatio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return channel, e.g. for collecting users' opinions, for returning broadcast space/time information or for requesting data via the broadcast channe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Abstract

악곡 배정 장치는 수신 장치로부터의 악곡 식별 정보와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을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한 악곡 데이터를 수신 장치에 대하여 송출한다. 요구 신호는 공중 회선을 통하여 전송된다. 악곡 수신 장치는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의 악곡 데이터를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에 의해서 수신하고,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압축 방식 식별 정보로 지정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압축 복호 방식에 의해 복호화한다.

Description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악곡 수신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Music transmitting device, music receiving device, music transmitting method, music receiving method, and music transmitting system}
종래의 악곡 배정 시스템으로서 통신 가라오케 시스템이 이미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가라오케 통신 시스템은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 데이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MIDI 데이터를 만드는 대부분의 경우에는 전문 기술을 가진 사람이 귀로 듣고 음악의 스코어(musical score)를 작성해야만 한다. 또한, MIDI 데이터를 작성함에 있어서도, 전문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여, 원래의 악곡을 정확히 트레이스하기 곤란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MIDI 원음에 의한 재생을 위해, 악기의 음색이나 관악기의 호흡, 건반악기의 터치, 현악기의 연주 방법 등을 원곡과 같게 하는 것이 곤란하며, 곡조를 높이는 방법 등을 포함하여 오리지널 악곡과 같은 분위기로 만드는 것이 어렵다.
또한, 음성 압축으로 데이터를 배정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의 음성 압축 기술이 있는데, 각각의 특징이 있어서 일반적으로 독립된 포맷으로 호환성이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신기로 재생 가능한 (디코드 가능한) 압축 방식의 악곡 데이터를 선택하여 배정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송을 이용하여, 요구되는 악곡 데이터를 용이하게 배정 할 수 있는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한 실시예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악곡 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악곡 수신 장치(60A)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악곡 수신 장치(60B)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악곡 수신 장치(60C)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라오케 장치의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국측의 처리의 한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적용되는 요청 데이터의 구성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다른 예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다른 예의 악곡 배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의 다른 예의 악곡 수신 장치(60D)의 블록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가라오케 장치의 처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 13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방송국측 처리의 다른 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간단한 설명*
1...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
2...악곡 서버
4....통신 방송 위성
5...수신 장치
7...가라오케 장치
8...저장 장치
10...공중 회선
특허 청구 범위의 제 1 항에 따른 발명은, 원격 수신기로부터의 요구에 의거하여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악곡 식별 정보와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수신기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을,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긱으로 압축한 악곡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이다.
특허 청구 범위의 제 2 항에 따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원격의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요구하고,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악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는 악곡 식별 정보와, 악곡이 배정될 때의 압축 방식을 식별하는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과,
상기 생성된 요구 신호를 악곡 배정 장치에 전송하는 전송 수단과,
상기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압축 방식 식별 정보로 지정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압축 복호 방식에 의해 복호화하는 디코드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이다.
특허 청구 범위의 제 3 항에 따른 발명은 원격 수신기로부터의 요구에 따라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악곡 식별 정보와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한 수신기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을,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한 악곡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하는 악곡 배정 방법이다.
특허 청구 범위의 제 4 항에 따른 발명은, 사용자에 의해서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원격의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요구하고,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악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는 악곡 식별 정보와, 악곡이 배정될 때의 압축 방식을 식별하는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요구 신호를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전송하며,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압축 방식 식별 정보로 지정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압축 디코드 방식에 의해 디코드 하는 악곡 수신 방법이다.
특허 청구 범위의 제 5 항에 따른 발명은, 원격 수신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악곡 배정 장치가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기에서는 ,
적어도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는 악곡 식별 정보와, 악곡이 배정될 때의 압축 방식을 식별하는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요구 신호를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전송하며,
악곡 배정 장치에서는,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을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한 악곡 데이터를 송신하도록 한 악곡 배정 시스템이다.
본 발명에서는, 요청한 악곡 데이터가 기억 매체에 있는 경우, 기억 매체로디코드 판독 출력하여, 가라오케 장치에서 재생하고, 요청한 악곡 데이터가 기억 매체에 없는 경우, 수신기로부터 공중 회선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에서 요청한 악곡 데이터를 요청한다. 이때, 예를 들면, MIDI, 디코드 오디오, 디코드 오디오 등 복수의 오디오 압축 방식 중에서 지정된 압축 방식의 악곡 데이터가 악곡 서버로부터 판독 출력된다. 판독 출력된 악곡 데이터는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에 의해서 전파로 변환되어 배정된다. 또한, 지정된 압축 방식의 악곡 데이터가 없는 경우, 원래의 악곡 데이터가 원래의 악곡 서버로부터 판독 출력되고, 판독 출력된 악곡 데이터에 대하여 지정된 압축 방식의 인코드 처리가 행하여진다. 인코드된 데이터는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에 의해서 전파로 변환되어 배정된다. 그리고, 배정된 악곡 데이터는 기억 매체에 기록된 후, 기록된 악곡 데이터에 의거하여 디코더에 의해 신장되어, 가라오케 장치에 재생된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우선 본 발명의 개요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가라오케 박스 등에서 노래 부를 때에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신장하여 재생함으로써, 원곡에 가까운 분위기로 노래를 부르는 것을 가능하게 한 시스템이다. 시스템의 주된 구성 요소는 임의로 지정된 압축 방식으로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기 위해, 디지털 방송 설비와 악곡 서버가 있다. 또한, 배정된 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해서 가라오케 박스 등에는 가라오케 장치와 함께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가라오케에서 부르려고 하는 곡이 미리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배정 요청하기 위한 공중 회선을 사용한 통신 단말기와 방송국측에는 그 통신 단말기에서의 요청에 의한 배정 데이터의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기술적인 요건을 설명한다. 우선, 지상파 또는 통신·방송 위성에 의한 디지털 방송 기술에 관해서는 실용화되어 있는 디지털 위성 방송의 기술로서 1) MPEG(Moving Picture Experts Group) 시스템, 2) DVB(Dogotal Video Broadcasting)를 사용한 것이 있다. 이외에도 미국의 GA (Grand Alliance) 등의 지상파 디지털 방송의 기술도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단지 디지털 방송일 뿐만 아니라, 수신할 수 있는 사용자를 선택적으로 식별할 수 있는 컨디셔널 액세스의 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시스템은 디지털 위성 방송의 서비스 제공업자로 실용화되어 있는 기술을 가정한다.
악곡을 압축하는 기술로서는 MPEG 오디오, ATRAC(Adaptive TRansform Acoustic Coding), PCM(Pulse Code Modulation) 방식 등을 고려할 수 있다. 본 시스템에서는 MPEG 오디오를 포함하는 복수의 압축된 데이터와 종래의 MIDI 데이터를 대규모의 서버에 기억하게 한다. 이러한 방법 외에도 각종 압축 방식에 의한 리얼 타임 코드 시스템을 설치하여 악곡의 원데이터로부터 배정시에 압축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미리 압축하여 놓는 것이 즉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는 동시에, 서버의 기억 용량의 절약에도 공헌한다.
디지털 방송의 송출 설비와 대규모(용량) 서버를 제어하여, 사용자로부터 요청를 받아서 목적으로 하는 악곡의 압축 데이터를 배정하는 콘트롤러가 필요하다. 사용자로부터의 요청를 받는 통신 수단으로서 전화 회선 등의 공중 회선을 가정하여, 미리 정해 놓은 신호, 커맨드에 의해 사용자로부터의 요청을 자동적으로 접수하는 기능을 갖게 한다. 이것은 모뎀 장착 PC 또는 워크스테이션과 같은 컴퓨터로 실현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라오케에서 사용하는 가라오케 장치에는 통상의 기구·기능이 있게 된다. 그외에 디지털 방송의 수신기와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신장하는 디코더가 필요하다. 또한, 디코더는 기억 장치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고른 곡이 저장 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재생하고, 저장 장치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전화 회선을 사용하여 방송국에 있는 배정 요청을 제어하는 컴퓨터에 액세스하여 압축 방식과 같이 악곡 데이터를 요구한다.
도 1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일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각부에 관해서 아래에 설명한다.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1)의 송신의 기구는 MPEG 시스템이나 DVB에서 표준화되어 있는 기술에 의해 구축된 것으로 한다. 악곡 서버(2)는 가라오케용 악곡을 각종 음성 압축 기술로 압축하여, 데이터 베이스화한 것이다. 요금 부과 서버(11)는 수신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악곡 데이터를 배정할 때마다 요금을 부과하기 위한 것이다. 이들은 공중 회선(10)을 거쳐 사용자로부터의 데이터 배정의 요청를 받아 기능하는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서 제어된다.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1)로 업링크된 배정 데이터는 통신 방송 위성(4)으로 폴디드되고, 가라오케 박스 등에 설치한 수신 장치(5)에서 수신한다. 수신된 배정 데이터는 디코더(6)에서 신장되어, 가라오케 장치(7)에서 악곡으로 재생된다. 또한 배정된 악곡 데이터는 그대로 하드 디스크와 같은 저장 장치(8)에 기록되고, 그 이후 사용자가 선곡한 경우에는 저장 장치(8)에 기록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디코더(6)에서 신장되어, 가라오케 장치(7)에서 재생된다. 사용자가 고른 곡이 저장 장치(8)에 기록되어 있지 않을 때는 요청 통신 단말기(9)에 의해 공중 회선을 통해서 방송국에 있는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 요구가 전해진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악곡 배정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국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있어서, MIDI 데이터 생성 장치(41)에서 생성된 MIDI 데이터는 MIDI 데이터 서버(42)에 등록된다. MIDI 데이터 서버(42)에 등록된 MIDI 데이터는 MIDI 데이터 송출 시스템(43)으로 이송되고,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로 이송된다. 또한, 악곡 소재 등록 시스템(45)에는 압축되지 않은 악곡 신호가 등록되어 있고, 이 악곡 소재 등록 시스템(45)으로부터의 악곡 신호는 MPEG 오디오 부호기(46) 및 ATRAC 오디오 인코더(49)에 공급되어, 각각 인코드된 후, MPEG 오디오 서버(47) 및 ATRAC 오디오 서버(50)에 등록된다. MPEG 오디오 서버(47)에 등록된 MPEG 오디오데이터는 MPEG 오디오 송출 시스템(48)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로 이송된다. ATRAC 오디오 서버(50)에 등록된 ATRAC 데이터는 ATRAC 오디오 송출 시스템(51)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로 이송된다.
또한, 음성 부가 정보 등록 시스템(52)으로부터의 가사, 악곡 정보 등의 음성 부가정보는 음성 부가 정보 데이터 베이스(53)에 등록된다. 음성 부가 정보 데이터 베이스(53)에 등록된 음성 부가 정보는 음성 부가 정보 송출 시스템(54)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에 공급된다.
또한, 배경 영상용 소재 등록 시스템(55)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MPEG2 비디오 인코더(56)에 공급되어, 인코드된 후, MPEG2 비디오 데이터 서버(57)에 등록된다. MPEG2 비디오 서버에 등록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는 MPEG2 비디오 데이터 송출 시스템(58)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에 공급된다.
멀티플렉서(44)에 있어서는 MIDI 데이터 송출 시스템(43)으로부터의 MIDI 데이터 패킷과, MPEG 오디오 송출 시스템(48)으로부터의 MPEG 오디오 패킷과, ATRAC 오디오 송출 시스템(51)으로부터의 ATRAC 오디오 패킷과, 음성 부가 정보 송출 시스템(54)으로부터의 음성 부가 정보 패킷과, MPEG2 비디오 데이터 송출 시스템(58)으로부터의 MPEG2 데이터 패킷이 시간축 다중화되는 동시에, 스크램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멀티플렉서(44)의 출력은 전파 송출 시스템(59)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중첩 부호, 판독 솔로몬 부호 등의 에러 정정 인코드, QPSK(Quadrature Phase Shift Keying) 변조 및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안테나로부터 위성(4)을 향하여 송신된다.
도 3은 수신 장치(5) 및 디코더(6)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수신기(60A)의 상세한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위성 방송 안테나에서 수신된 신호는 프런트 엔드(61), 디스크램블(62), 트랜스포트 IC(디멀티플렉서)(63)로 구성되는 수신 장치(5)에 입력 단자(Tl)를 통해 공급된다.
입력 단자(Tl)에 입력된 수신 신호는 프런트 엔드(61)에 공급된다. 프런트 엔드(61)는 튜너, QPSK 복조기, 에러 정정 회로로 구성된다. 프런트 엔드(61)내의 튜너에서, 제어용 CPU(Central Processing Unit)(70)로부터의 설정 신호에 따라서, 수신 신호 중에서 소정의 반송파 주파수의 신호가 선택된다. 그리고, 이 수신 신호가 QPSK 복조기에서 복조되며, 또한, 에러 정정 회로에 있어서, 비타비 복호화, 리드 솔로몬 부호 등의 에러 정정 처리가 실시되고, 스크램블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이 출력된다.
프런트 엔드(61)의 출력은 디스크램블(62)에 공급된다. CPU(70)는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 자격 정보와 IC 카드 슬롯(73)에 삽입되어 있는 IC 카드(74)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기의 식별 정보를 비교하여, 수신 신호가 그 수신기 자체에 대하여 이송된 것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 자격 정보와 IC 카드(74)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기의 식별정보가 일치한 경우에는 수신 신호가 그 수신기 차체로 이송된 것으로 인식하고, 디스크램블(62)에 대하여 디스크램블 처리를 하도록 제어 신호가 발생한다. 반대에, 수신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수신 자격 정보와 IC 카드(74)에 기억되어 있는 수신기의 식별 정보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수신 신호가 그 수신기 앞으로 이송된 것이 아닌 것으로 인식하여, 디스크램블 처리는 행해지지 않는다.
디스크램블(62)에 있어서, 디스크램블된 MPEG 트랜스포트 스트림은 트랜스포트 IC(63)로 이송된다.
트랜스포트 IC(63)는 CPU(7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디스크램블(62)로부터의 스트림 중에서, 원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분리하는 것이다. 트랜스포트 패킷의 헤더부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패킷 식별자(PID)가 설치되어 있다. 이 PID를 트랜스포트 IC(63)가 검출하고,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MPEG2 비디오 디코더(68)로 공급하여,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MPEG 오디오 디코더(64)로 공급한다.
또한, 도 3의 수신기(60A)는 ATRAC 오디오 데이터나 MIDI 데이터에는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트랜스포트 IC(63)에서는 분리되지 않고, 데이터가 파기된다.
MPEG2 비디오 디코더(68)는 트랜스포트 IC(63)로부터의 MPEG2 비디오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MPEG2 비디오 방식의 디코드 처리를 실시하여, 데이터 압축전의 비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이 비디오 데이터는 NTSC 변환 회로(69)에 공급되고, NTSC 변환 회로(69)에서, 복합 비디오 신호로 변환되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이 NTSC 변환 회로(69)의 출력이 아날로그 비디오 출력 단자(T2)로부터 배경 영상 신호로서 가라오케 장치(7)에 출력된다.
MPEG 오디오 디코더(64)는 트랜스포트 IC(63)로부터의 MPEG 오디오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MPEG 오디오 방식의 음성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65)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로부터 가라오케 장치(7)에 출력된다. 또한, MPEG 오디오 디코더(64)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광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라오케 장치(7)에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트 IC(63)는 트랜스포트 스트림에 포함되는 음성 부가 정보 패킷을 분리하여 CPU(70)로 공급한다. CPU(70)는 이 공급된 음성 부가 정보를 처리하여, MPEG2 비디오 디코더(68)로 디코드 처리된 배경 영상 신호로 수퍼 임포즈한다.
예를 들면, 원격 제어기(71)에 설치된 가사 버튼(도시하지 않음)을 누른 경우에는 음성 부가 정보로서 이송된 가사의 텍스트 데이터가 CPU(70)로부터 MPEG2 비디오 디코더(68)에 공급된다. 그리고, MPEG 비디오 디코더(68)의 OSD(0n Screen Display)기능을 이용하여 수퍼 임포즈 처리된다. 이렇게 해서 가라오케 장치(7)의 스피커로부터 악곡의 음성이 흐르는 동시에, 그 음성과 동기하여, 가사가 수퍼 임포즈된 배경 영상이 찍히기 시작한다.
또한, 수신기(60A)에는 CPU(70)에 접속된 모뎀(75)(요청 통신 단말기(9)에 상당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뎀을 통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요청된 곡의 악곡식별 번호나 디코드 가능한 압축 방식(도 3의 경우에는 MPEG 오디오)을 나타내는 정보가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로 전송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IC(63)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76)가 접속되어 있다. IEEE1394는 대용량의 데이터 및 커맨드을 고속으로 전송할 수 있는 쌍방향 시리얼 인터페이스이다. 이 IEEE1394 인터페이스(76)를 통해 저장 장치(8)와의 사이에서 악곡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트랜스포트 IC(63)에 있어서 분리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과,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과, 음성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IEEE1394 인터페이스(76)에 전송되어, 시리얼 패스상을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패킷화 처리를 실시한 후, 저장 장치(8)에 전송된다.
한편, 저장 장치(8)는 IEEE1394 인터페이스(80), 저장 매체(81)로 구성되어 있다. 수신기(60A)로부터 IEEE1394 패스상을 전송되어 온 데이터는 IEEE1394 인터페이스(80)에 공급되어, 디패킷화된다. 디패킷화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과, MPEG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과, 음성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는 저장 장치(8)내의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의 제어 하에, 저장 매체(81)에 기록된다.
또한, 수신기(60A)의 원격 제어기(71)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악곡의 요청이 이루어지면, CPU(70)는 요청된 악곡 데이터가 저장 매체(81)에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게 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IEEE1394 인터페이스(76)를 통해 저장 장치(8)에 대하여 전송한다. 저장 장치(8)의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는 이 커맨드을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하고,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 그 결과를 IEEE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기(60A)의 CPU(70)에 알린다. 즉,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그 취지를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기(70)의 CPU(70)에 알리는 동시에,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 배경 영상인 MPEG2 비디오 데이터, 가사 등을 포함하는 음성 부가 정보를 저장 매체(81)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기(60A)에 전송한다. 반대로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그 취지를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기(60A)의 CPU(70)에 알린다.
수신기(60A)는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 장치(8)로부터 이송된 악곡의 MPEG 오디오 데이터, MPEG2 비디오 데이터 음성 부가 정보를 트랜스포트 IC(63)에 공급한다. 트랜스포트 IC(63)에서는 상술과 같이 PID를 식별하여 각 디코더(64, 68)에 MPEG 오디오 데이터와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공급하는 동시에 음성 부가 정보를 CPU(70)에 공급한다.
한편,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CPU(70)는 모뎀(75)을 통해 악곡 데이터의 배정을 요구한다.
도 4는 수신 장치(5) 및 디코더(6)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수신기(60B)의 상세한 구성의 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과 같은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수신기(60B)에서는 도 3에 있어서의 MPEG 오디오 디코더(64) 대신에 ATRAC 오디오 디코더(90)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 3에 있어서의 수신기(60A)와 같다.
단, 트랜스포트 IC(63)는 PID를 검출하고,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MPEG2 비디오 디코더(68)에 공급하고, ATRAC 오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ATRAC 오디오 디코더(90)로 공급한다. 도 4의 수신기(60B)는 MPEG 오디오 데이터나 MIDI 데이터에는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트랜스포트 IC(63)에서는 분리되지 않고, 데이터가 파기된다.
ATRAC 오디오 디코더(90)는 트랜스포트 IC(63)로부터 ATRAC 오디오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ATRAC 방식의 음성 디코드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처리를 행하여, 데이터 압축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타는 DA 컨버터(65)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한 후,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로부터 가라오케 장치(7)로 출력된다. 또한, ATRAC 오디오 디코더(90)에서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광디지털 출력 인터페이스를 통해 가라오케 장치(7)로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신기(60B)에는 도 3의 경우와 같이 CPU(70)에 접속된 모뎀(75)(요청통신 단말기(9)에 상당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뎀을 통해 요청된 곡의 악곡 식별 번호나 디코드 가능한 압축 방식(도 3의 경우에는 ATRAC 오디오)을 나타내는 정보가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로 전송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IC(63)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76)가 접속되어 있고, 도 3의 경우와 같이 저장 장치(8) 사이에서 ATRAC 오디오 데이터, MPEG2 비디오 데이터, 음성 부가 정보의 수수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도 5는 수신 장치(5) 및 디코더(6)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수신기(60C)의 상세한 구성의 또다른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 도 4와 같은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수신기(60C)에서는 도 3, 도 4에 있어서의 MPEG 오디오 디코더(64), ATRAC 오디오 디코더(90) 대신에 MIDI 데이터 처리부(100)가 설치되어 있다. 다른 부분의 구성은 도 3, 도 4에 있어서의 수신기(60A, 60B)와 같다
단지, 트랜스포트 IC(63)는 PID를 검출하고,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MPEG2 비디오 디코더(68)로 공급하고, MIDI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MIDI 데이터 처리부(100)로 공급한다. 도 5의 수신기(60C) 는 MPEG 오디오 데이터나 ATRAC 오디오 데이터에는 대응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트랜스포트 IC(63)로서는 분리되지 않고, 데이터가 파기된다.
MIDI 데이터 처리부(100)는 트랜스포트 IC(63)로부터의 MIDI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음성 처리를 행하여, 그 출력 오디오 신호가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로부터 가라오케 장치(7)로 출력된다.
또한, 수신기(60C)에는 도 3, 도 4의 경우와 같이 CPU(70)에 접속된 모뎀 (75)(요청 통신 단말기(9)에 상당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뎀을 통해, 요청된 곡의 악곡 식별 번호나 디코드 가능한 압축 방식(도 3의 경우에는 MIDI 데이터)을 나타내는 정보가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로 전송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IC(63)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76)가 접속되어 있고, 도 3의 경우와 같이 저장 장치(8) 사이에서 MIDI 데이터, MPEG2 비디오 데이터, 음성부가 정보의 수수를 행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음에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방법의 한 예를 도 6 및 도 7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도 2는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수신기측에서의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또한, 이 플로우챠트는 도 3, 도 4, 도 5에서 설명한 수신기(60A, 60B, 60C)로 공통이다. 단계(S1)에서 이용자가 수신기(60)로 신청곡을 고른다. 즉, 사용자는 악곡 리스트가 게재된 책을 참조하여 원하는 악곡에 부가된 식별 번호를 원격 제어기(71)로 수신기(60)에 입력함으로써 신청곡을 선택할 수 있다. 단계(S2)에서는 악곡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는 저장 장치(8) 중에서 선택된 신청곡의 악곡 데이터가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저장 장치(8)에 악곡 데이터가 있는 경우, 단계(S6)으로 이행하고, 악곡 데이터가 없는 경우, 단계(S3)으로 이행한다.
단계(S3)에서는 저장 장치(8)내에 신청곡의 악곡 데이터가 없기때문에, 악곡의 식별 번호와 재생 가능한 압축 방식을 지정한 요구를 요청 통신 단말기(9)에 의해 전화 회선 등의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 요청한다. 단계(S4)에서는 요청한 후에는 수신기(60)로 목적으로 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단계(S5)에서는 악곡 데이터가 배정 되면 그 악곡 데이터가 완전한지의 여부를 조사하여, 완전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S6)으로 이행하고, 불완전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S8)으로 이행한다. 단계(S8)에서는 선택된 악곡을 두 번째 요청 통신 단말기(9)로부터 요청하고, 수신기(60)에서 목적으로 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을 때까지 기다린다 (단계(S4)). 배정된 악곡 데이터가 완전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단계(S6)에서 압축 방식을 확인하여 디코더(6)로 신장 처리를 행한다. 단계(S7)에서는 신장된 악곡 데이터가 가라오케 장치(7)에서 재생된다.
도 7은 한 예로서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방송국측 장치의 동작을 도시한 플로우챠트이다. 단계(S11)에서, 악곡의 요청이 없을 때에는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서 자동적으로 신보 등의 악곡 데이터를 배정한다. 단계(Sl2)에서는 요청이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 왔는지를 확인한다. 요청이 오지 않은 경우, 단계(S11)으로 이행하고, 요청이 온 경우에는 단계(S13)의 제어로 이행한다. 단계(S13)에서는 지정된 압축 방식의 악곡 데이터를 악곡 서버(2)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한다. 단계(S14)에서는 추출된 악곡 데이터를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1)를 통해 배정한다.
도 8은 요청 통신 단말기(9)이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 전송하는 요청 데이터의 한 예의 구성이다. 요청 데이터에는 요청을 나타내는 커맨드(21)과, 이용자가 선택한 악곡의 식별 번호(22)와, 가라오케 장치측에서 재생 가능한 압축 방식 지정 데이터(23)가 지정되어 있다. 또한, 요청된 악곡 데이터가 디지털 위성 방송을 통해 배정되어 왔을 때에 수신 가능한 가라오케 장치를 특정하기 위한 가라오케 장치의 식별 번호(24)(IC 카드(74)에 기억되어 있다)도 요청 데이터로서 전송된다.
도 9에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 예에서는 상기와 같이 배정 시스템측에서 미리 복수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되어 온 악곡 데이터를 악곡 서버에 기억하고, 악곡 서버에 기억된 악곡 중에서 요청된 악곡을 검색하는 것이 아니고, 지정된 압축 방식으로 리얼 타임에 압축하여 전송하는 것이다. 즉, 악곡 서버(14)에는 압축되어 있지 않은 악곡 신호가 기억되어 있고, 수신기측에서의 요청에 따라서 악곡 서버(14)로부터 요청된 악곡을 검색하여, 추출하여, 지정된 압축 방식으로 악곡 데이터를 배정할 수 있도록 설치된 압축 방식이 다른 복수의 압축 인코더(12)를 선택 전환기(13)에 의해서 선택하여, 지정된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여 전송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렇게하여 압축된 악곡 데이터는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1)를 통해 요구가 있는 수신기측으로 배정된다.
수신기측에서는 수신 장치(5)에서 수신한 악곡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의거하여, 복수의 다른 압축 방식에 대응한 디코더(6) 내에서 적당한 것을 선택 전환기(15)에 의해 선택한다. 이렇게 선택된 디코더(6)에서는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신장하여, 가라오케 장치(7)에 공급한다. 또한 수신된 악곡 데이터는 저장 장치(8)에 공급되어 기억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가 적용된 악곡 배정 시스템에 있어서의 송신국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있어서, MIDI 데이터 생성 장치(41)에서 생성된 MIDI 데이터는 MIDI 데이터 서버(42)에 등록된다. MIDI 데이터 서버(42)에 등록된 MIDI 데이터는 MIDI 데이터 송출 시스템(43)으로 이송되고,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로 이송된다. 여기서 MIDI 데이터만은 리얼 타임으로 인코드 처리를 하는 것이 곤란하기 때문에, 미리 인코드 처리되어 MIDI 데이터 서버(42)에 등록된다.
또한, 악곡 소재 등록 시스템(45)(도 9에 있어서의 14에 상당한다)에는 압축되어 있지 않은 악곡 신호가 등록되어 있고, 이 악곡 소재 등록 시스템(45)으로부터의 악곡 신호는 선택 전환기(13)를 통해 MPEG 오디오 부호기(46) 및 ATRAC 오디오 인코더(49)에 공급되어, 각각 인코드된 후, MPEC 오디오 송출 시스템(48) 및 ATRAC 오디오 송출 시스템(51)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로 이송된다. 선택 전환기(13)에는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도 9)로부터 전환 신호가 공급되어 있고, 이 전환 신호에 따라서, 악곡 소재 등록 시스템(45)으로부터의 악곡 신호는 선택적으로 MPEG 오디오 부호기(46) 또는 ATRAC 오디오 인코더(49)에 공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음성 부가 정보 등록 시스템(52)으로부터의 가사, 악곡 정보 등의 음성 부가 정보는 음성 부가 정보 데이터 베이스(53)에 등록된다. 음성 부가 정보 데이터 베이스(53)에 등록된 음성 부가 정보는 음성 부가 정보 송출 시스템(54)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로 이송된다.
또한, 배경 영상용 소재 등록 시스템(55)으로부터의 영상 신호는 MPEG2 비디오 인코더(56)에 공급되어, 인코드된 후, MPEG 비디오 데이터 서버(57)에 등록된다. MPEG2 비디오 데이터 서버에 등록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는 MPEG2 비디오 데이터 송출 시스템(58)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패킷화된 후, 멀티플렉서(44)에 공급된다.
멀티플렉서(44)에 있어서는 MIDI 데이터 송출 시스템(49)으로부터의 MIDI 데이터 패킷과, MPEG 오디오 송출 시스템(48)으로부터의 MPEG 오디오 패킷과, ATRAC 오디오 송출 시스템(51)으로부터의 ATRAC 오디오 패킷과, 음성 부가 정보 송출 시스템(54)으로부터의 음성 부가 정보 패킷과, MPEG2 비디오 데이터 송출 시스템(58)으로부터의 MPEG2 데이터 패킷이 시간축 다중화되는 동시에, 스크램블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다.
멀티플렉서(44)의 출력은 전파 송출 시스템(59)으로 이송되고, 여기서 중첩 부호, 판독 솔로몬 부호 등의 에러 정정 인코드, QPSK 변조 및 주파수 변환 등의 처리를 실시한 후, 안테나로부터 위성(4)을 향해 송신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다른 예가 적용된 수신 장치(5) 및 디코더(6)가 일체적으로 구성된 수신기(60D)의 상세한 구성의 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3, 도 4, 도 5와 같은 구성 부분에 관해서는 같은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트랜스포트 IC(63)는 CPU(70)로부터의 지령에 의해, 디스크램블(62)로부터의 스트림 중에서, 원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분리하는 것이다. 트랜스포트 패킷의 헤더부에는 전송 데이터의 종류를 나타내는 패킷 식별자(PID)가 설치되어 있다. 이 PID를 트랜스포트 IC(63)는 검출하고,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MPEG2 비디오 디코더(68)로 공급하며, 음성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을 CPU(70)로 공급한다. CPU(70)는 공급된 음성 부가 정보를 처리하여, MPEG2 비디오 디코더(68)로 디코드 처리된 배경 영상 신호에 수퍼 임포즈한다.
또한, CPU(70)는 요청한 악곡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오디오 디코더를 선택하도록 선택 전환기(15, 77)를 제어한다. 즉, MPEG 오디오의 압축 방식으로 악곡을 요청한 경우에는 MPEG 오디오 디코더(64)를 선택하도록 하고, ATRAC 오디오의 압축 방식으로 악곡을 요청한 경우에는 ATRAC 오디오 디코더(90)를 선택하도록 하며, MIDI 방식으로 악곡을 요청한 경우에는 MIDI 데이터 처리부(100)를 선택하도록 선택 전환기(15, 77)을 제어한다.
MPEG 오디오 디코더(64)는 선택 전환기(15)로부터의 MPEG 오디오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MPEG 오디오 방식의 음성 디코드 처리를 하여, 데이터 압축전의 비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65-2)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선택 전환기(77)에 공급된다.
ATRAC 오디오 디코더(90)는 선택 전환기(15)로부터의 ATRAC 오디오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ATRAC 방식의 음성 디코드 처리를 하여, 데이터 압축전의 오디오 데이터를 형성한다. 디코드된 오디오 데이터는 DA 컨버터(65-1)에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로 변환된 후, 선택 전환기(77)에 공급된다.
MIDI 데이터 처리부(100)는 선택 전환기(15)로부터의 MIDI 데이터의 트랜스포트 패킷을 수신하고, 음성 처리를 행하고, 출력 신호를 선택 전환기(77)에 공급한다.
선택 전환기(77)에 공급된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는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로부터 가라오케 장치(7)로 출력된다.
또한, 수신기(60D)에는 CPU(70)에 접속된 모뎀(75)(요청 통신 단말기(9)에 상당한다)이 설치되어 있다. 이 모뎀을 통해, 요청된 곡의 악곡 식별 번호나 원하는 압축 방식(도 3의 경우에는 MPEG 오디오)을 나타내는 정보가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로 전송된다.
또한, 트랜스포트 IC(63)에는 IEEE1394 인터페이스(76)가 접속되어 있다. 트랜스포트 IC(63)에 있어서 분리된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과, MPEG 오디오 데이터 또는 ATRAC 오디오 데이터 또는 MIDI 데이터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과, 음성 부가 정보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은 IEEE1394 인터페이스(76)에 전송되고, 시리얼 패스상을 전송하기 위한 소정의 패킷화 처리가 실시된 후, 저장 장치(8)에 전송되어, 저장 매체(81)에 기록된다.
또한, 수신기(60D)의 원격 제어기(71)에 의해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지고, 악곡의 요청이 이루어지면, CPU(70)는 요청된 악곡 데이터가 저장 매체(81)에 기록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조사하게 하는 커맨드를 생성하고, IEEE1394의 인터페이스(76)를 통해 저장 장치(8)에 대하여 전송한다. 저장 장치(8)의 콘트롤러(도시하지 않음)는 상기의 커맨드을 IEEE1394의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하고,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이 기록되어 있는지 여부를 체크하여, 그 결과를 IEEE1394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기(60A)의 CPU(70)에 알린다. 즉,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것이 검출되면, 그 취지를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기(70)의 CPU(70)에 알리는 동시에,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MPEG 오디오, ATRAC 오디오, MIDI 데이터 중의 어느 하나에 의해서 압축되어 있다), 배경 영상인 MPEG2 비디오 데이터, 가사 등을 포함하는 음성 부가 정보를 저장 매체(81)로부터 판독 출력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기(60D)에 전송한다. 반대로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그 취지를 IEEE1394 인터페이스(80)를 통해 수신기(60D)의 CPU(70)에 알린다.
수신기(60D)는 저장 매체(81)에 요청된 악곡의 데이터가 기록되어 있는 경우에는 저장 장치(8)로부터 이송된 악곡의 오디오 데이터, MPEG2의 비디오 데이터, 음성 부가 정보를 트랜스포트 IC(63)에 공급한다. 트랜스포트 IC(63)에서는 상기와 같이, PID를 식별하여 MPEG2 비디오 데이터를 MPEG 비디오 디코더(68)에 공급하는 동시에, 음성 부가 정보를 CPU(70)에 공급한다. CPU(70)는 트랜스포트 IC(63)로부터 공급된 압축 식별 정보에 따라서 선택 전환기(14, 77)를 제어한다. 즉, IEEE1394 인터페이스(76)로부터 전송되어 온 오디오 데이터가 MPEG 오디오의 압축 방식인 경우에는 MPEG 오디오 디코더(64)를 선택하도록 하고, ATRAC 오디오 의 압축 방식인 경우에는 ATRAC 오디오 디코더(90)를 선택하도록 하며, MIDI 방식인 경우에는 MIDI 데이터 처리부(100)를 선택하도록 선택 전환기(14, 77)를 제어한다. 이렇게하여 IEEE1394 인터페이스(76)를 통해 공급된 오디오 데이터는 MPEG 오디오 디코더(64), ATRAC 오디오 디코더(90), MIDI 데이터 처리부(100) 중의 어느 하나에서 처리되어, 선택 전환기(77)를 통해 아날로그 오디오 출력 단자(T3, T4)로부터 가라오케 장치(7)로 출력된다.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예로서,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방법의 한 예를 도 12 및 도 13의 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2는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기측에서의 한 예의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단계(S21)에서는 이용자가 수신기(7)에서 신청곡을 고른다. 이 신청곡의 선택 방법은 상기 예와 같다. 단계(S22)에서는 배정되어 온 악곡 데이터의 압축 방식을 지정한다. 또한, 지정한 압축 방식에 의해 악곡의 음질이 다른 것도 있을 수 있다. 단계(S23)에서는 선택된 악곡 데이터가 저장 장치(8)에 축적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색하고, 악곡 데이터가 저장 장치(8)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는 단계(S27)으로 이행하고, 악곡 데이터가 축적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단계(S24)으로 이행한다.
단계(S24)에서는 악곡의 식별 번호와 배정 요구하는 압축 방식을 지정한 요구를 요청 통신 단말기(9)에 의해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 전송한다. 단계(S25)에서는 요청된 악곡 데이터가 수신장치(5)에서 수신되기까지 기다린다. 단계(S26)에서는 악곡 데이터가 배정되면 그 데이터가 완전한지의 여부를 조사하고, 완전하다고 판단한 경우에는 단계(S27)으로 이행하고, 불완전하다고 판단한 경우, 단계(S29)으로 이행한다. 단계(S29)에서는 데이터가 불완전하기 때문에, 요청 통신 단말기(9)에서 두 번째 선택된 악곡을 요청하고, 단계(S25)으로 이행한다. 단계(S27)에서는 수신한 악곡 데이터의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디코더(6)를 선택 전환기(15)에서 선택하고, 악곡 데이터를 신장한다. 단계(S28)에서는 신장된 악곡 데이터를 가라오케 장치(7)에서 재생한다.
도 13은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방송국측의 한 예의 동작의 플로우챠트이다. 단계(S31)에서는 악곡의 요청이 없을 때에는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서 자동적으로 신보 등의 악곡 데이터를 배정한다. 단계(S32)에서는 악곡의 요청이 공중 회선(10)을 통해 데이터 배정 제어 장치(3)에 왔는지를 확인한다. 요청이 오지 않으면 단계(S31)으로 이행하고, 요청이 오면 단계(S33)으로 이행한다. 단계(S33)에서는 요청에 의해 요구된 악곡을 악곡 서버(14)로부터 검색하여, 추출한다. 단계(S34)에서는 추출된 악곡 데이터를 선택 전환기(13)를 통해, 요구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압축 인코더(12)를 선택하고, 요구된 압축 방식으로 추출된 악곡 신호를 압축한다. 단계(S35)에서는 이와 같이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디지털 위성 방송 설비(1)를 통해 요구가 있는 가라오케 장치에 대하여 배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방송국측에 설치되어 있는 악곡 서버(2)만을 또는 원래의 악곡 서버(14)만을 설명하였지만, 악곡 서버(2)와 원래의 악곡 서버(14)의 양쪽을 조합하여 방송국측에 설치할 수 있다. 이 때의 동작의 한 예로서,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악곡의 요구가 있는 경우, 우선 악곡 서버(2)를 검색하고, 요구된 압축 방식의 악곡 데이터가 있는 경우, 그 악곡 데이터를 요구가 있는 가라오케 장치에 배정한다. 또한, 악곡 서버(2)에 요구된 압축 방식의 악곡 데이터가 없는 경우, 악곡 서버(14)로부터 악곡을 검색하고, 추출하여 요구된 압축 방식에 따른 데이터 압축 인코더(12)를 선택하여 압축한 후, 그 악곡 데이터를 요구가 있는 가라오케 장치에 배정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가라오케 장치측에서 배정 센터로 악곡의 요구를 했을 때에, 공중 회선을 사용하고 있지만, 단말기로서 텔레비젼 수상기를 이용하여, 공중 회선망을 통해 정보 센터에 접속함으로써 이용자의 요구에 의해 문자·도형 등의 화상정보를 제공하는 회화형 화상 정보 시스템(CAPTAIN: Character And Pattern Telephone Access Information Netwrork)이고, 통신형 가라오케 시스템의 요금 부과에 사용되는 비디오텍스(Videl Tex)망을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가라오케 장치로부터 요구된 압축 방식마다 공중 회선의 번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조작자가 가라오케 장치에 입력하는 악곡의 번호도 압축 방식마다 다르기 때문에, 그 압축 방식에 따라서 공중 회선의 번호를 설정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원래의 악곡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간단하게 가라오케용 악곡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악곡의 분위기가 손상되지 않고, 원래의 악곡으로 노래 부르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MIDI 데이터를 만들 때와 같은 입력 작업이 없어지고, 데이터의 입력 미스를 막을 수 있다. 즉, 전문의 기술을 가진 사람이 아니더라도 악곡 데이터를 만들 수 있다. 또한, 채보나 원래의 악곡과 분위기가 같은지의 여부 등의 확인 작업이 필요없기 때문에, 데이터를 작성하는 기간을 단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라오케 장치측의 MIDI 음원의 기능, 능력에 관계없이 균일하게 악곡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압축 방식이나 MIDI 등의 데이터 포맷이 지정된 형식으로 배정되기 때문에 가라오케 장치측의 기능에 적절히 대응하는 데이터를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19)

  1. 원격 수신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악곡 식별 정보와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을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한 악곡 데이터를 송출하는 송신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2.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원격의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요구하고,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악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는 악곡 식별 정보와, 악곡이 배정되었을 때의 압축 방식을 식별하는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생성 수단,
    상기 생성된 요구 신호를 상기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전송하는 전송 수단,
    상기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과,
    상기 압축 방식 식별 정보로 지정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압축 복호 방식에 의해 상기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디코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3. 원격 수신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악곡 식별 정보와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수신기
    로부터의 요구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이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송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곡 배정 방법.
  4.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를 원격의 악곡 배정 장치에 대하여 요구하고,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악곡 수신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는 악곡 식별 정보와, 악곡이 배정되었을 때의 압축 방식을 식별하는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요구 신호를 상기 악곡 배정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악곡 배정 장치로부터 배정된 악곡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압축 방식 식별 정보로 지정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압축 복호 방식에 의해 수신한 악곡 데이터를 복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악곡 수신 방법.
  5. 원격 수신기로부터의 요구에 의해 악곡 배정 장치가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에서는,
    적어도 상기 선택된 악곡을 식별하는 악곡 식별 정보와, 악곡이 배정되었을 때의 압축 방식을 식별하는 압축 방식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악곡 배정 장치에 상기 생성된 요구 신호를 전송하며,
    상기 악곡 배정 장치에서는,
    상기 수신기로부터 전송된 요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이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송신하는 악곡 배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구 신호에는 수신기를 식별하는 수신기 식별 정보가 더 포함되어 있고, 상기 수신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수신기에 상기 악곡 데이터를 배정하는 악곡 배정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압축 방식으로 미리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복수의 악곡 부분만큼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과,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와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를 상기 제 1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제 1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 1 추출 수단에 의해 추출된 악곡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악곡 신호를 기억하는 제 2 기억 수단,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 신호를 상기 제 2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제 2 추출 수단과,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상기 추출된 악곡 신호를 압축하는 압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압축 수단에 의해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악곡 부분만큼 악곡의 부가 정보를 기억하는 제 3 기억 수단과,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의 부가 정보를 상기 제 3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제 3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악곡 데이터와 함께 추출된 부가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악곡 부분만큼 악곡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기억하는 제 4 기억 수단과,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의 영상 정보를 상기 제 4 기억 수단으로부터 추출하는 제 4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악곡 데이터와 함께 추출된 영상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정보는 소정의 압축 방식으로 압축된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압축 방식으로 미리 압축된 악곡 데이터를 복수의 악곡 부분만을 기억하는 제 1 기억 수단,
    복수의 악곡 신호를 기억하는 제 2 기억 수단,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악곡 식별 정보 및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악곡 데이터가 상기 제 1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1 검출 수단,
    상기 검출 결과, 제 1 기억 수단에 요구된 악곡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1 기억 수단으로부터 요구된 악곡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5 추출 수단,
    상기 검출 결과, 제 1 기억 수단에 요구된 악곡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제 2 기억 수단으로부터 요구된 악곡 신호를 추출하는 제 6 추출 수단과,
    상기 제 6 추출 수단에 의해서 추출된 악곡 신호를 상기 수신한 요구 신호에 포함된 압축 방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압축 방식으로 압축하는 압축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송신 수단은 상기 제 5 추출 수단 또는 상기 압축 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악곡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배정 장치.
  1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 수단은 수신기를 식별하는 수신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요구 신호를 더 생성하고,
    상기 수신 수단은 상기 신호가 상기 수신기 자신에 송신되는 경우에 송신된 신호만을 수신하는 악곡 수신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된 악곡 데이터를 기억하는 제 5 기억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악곡의 악곡 데이터가 상기 제 5 기억 수단에 기억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출하는 제 2 검출 수단과,
    상기 검출의 결과, 제 5 기억 수단에 선택된 악곡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제 5 기억 수단으로부터 선택된 악곡 데이터를 추출하는 제 7 추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검출의 결과, 제 5 기억 수단에 선택된 악곡 데이터가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생성 수단에 의해 상기 요구 신호가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1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송신된 악곡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1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수단은 송신된 악곡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상 정보를 더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5 기억 수단은 악곡 데이터와 함께 송신된 부가 정보와 영상 정보를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19. 제 2 항에 있어서, 서로 다른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복수의 디코더로 구성된 복호화 수단과,
    상기 복수의 디코더로부터 상기 요구 신호에 의해 지정된 압축 방식에 대응하는 디코더를 선택하는 선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배정되는 악곡 데이터를 선택된 디코더에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곡 수신 장치.
KR1019997002618A 1997-07-29 1998-07-28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악곡 수신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 KR2000006864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02867 1997-07-29
JP20286797 1997-07-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642A true KR20000068642A (ko) 2000-11-25

Family

ID=16464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618A KR20000068642A (ko) 1997-07-29 1998-07-28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악곡 수신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71455B1 (ko)
EP (1) EP0953965B1 (ko)
JP (1) JP4068667B2 (ko)
KR (1) KR20000068642A (ko)
DE (1) DE69826241T2 (ko)
WO (1) WO1999006991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634B1 (ko) * 2000-10-18 2006-02-08 닛본 빅타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터 압축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893797B1 (ko) * 2000-12-07 2009-04-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7366B1 (ko) * 1997-11-24 2001-04-16 윤순조 엠피이지 방식을 이용한 휴대용 음향 재생장치 및 방법
US6610917B2 (en) * 1998-05-15 2003-08-26 Lester F. Ludwig Activity indication, external source, and processing loop provisions for driven vibrating-element environments
JP4269409B2 (ja) * 1999-05-19 2009-05-27 ソニー株式会社 受信装置および方法
CN1237743C (zh) 1999-05-19 2006-01-18 索尼公司 广播装置及方法、接收装置及方法、以及媒体
WO2001052523A1 (en) 2000-01-12 2001-07-19 Advanced Communication Design, Inc. Compression and remote storage apparatus for data, music and video
US7320025B1 (en) 2002-03-18 2008-01-15 Music Choice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broadcast entertainment service and an on-demand entertainment service
US7068596B1 (en) * 2000-07-07 2006-06-27 Nevco Technology, Inc. Interactive data transmission system having staged servers
JP2002149166A (ja) * 2000-11-09 2002-05-24 Yamaha Corp 楽曲情報配信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US20020157034A1 (en) * 2001-02-21 2002-10-2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ata streaming system substituting local content for unicasts
US8036641B2 (en) * 2001-02-23 2011-10-11 Harman Becker Automotive Systems Gmbh Method for operating a playback unit in a vehicle, for playing back data stored on a data medium
JP2002259256A (ja) * 2001-02-27 2002-09-13 Matsushita Commun Ind Co Ltd 情報送受信方法
JP2002351473A (ja) * 2001-05-24 2002-12-06 Mitsubishi Electric Corp 音楽配信システム
US7284069B2 (en) 2002-01-11 2007-10-16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document viewing
JP3852348B2 (ja) * 2002-03-06 2006-11-29 ヤマハ株式会社 再生及び送信切替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070115815A1 (en) * 2003-06-11 2007-05-24 Nec Corporation Receiver, transmitter and transmission/reception system for media signal
KR20070080396A (ko) * 2006-02-07 2007-08-10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네트워크와 ieee 1394 네트워크 간의 a/v스트림 중계 시스템 및 방법
US20080026355A1 (en) * 2006-07-27 2008-01-31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Song lyrics download for karaoke applications
JP4927141B2 (ja) * 2009-09-14 2012-05-0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情報送受信方法および情報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送信装置と受信装置
US9197937B1 (en) 2012-04-26 2015-11-24 Music Choice Automatic on-demand navigation based on meta-data broadcast with media content
US10219027B1 (en) 2014-10-24 2019-02-26 Music Choice System for providing music content to a user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39540A (en) * 1990-11-27 1993-08-24 Scientific-Atlant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receiving and communicating digital data signals with corresponding program data signals which describe the digital data signals
JPH05114959A (ja) * 1991-07-31 1993-05-07 Shin Nippon Tsushin Kk Av通信システム
JPH05347636A (ja) * 1992-06-12 1993-12-27 Nec Eng Ltd データ伝送方式
US5464946A (en) * 1993-02-11 1995-11-07 Multimedia Systems Corpor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interactive multimedia entertainment
JP3206619B2 (ja) * 1993-04-23 2001-09-10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US6002694A (en) * 1994-02-17 1999-12-14 Hitachi, Ltd. Interactive chargeable communication system with billing system therefor
JP3183374B2 (ja) * 1994-09-05 2001-07-09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データ配信装置および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H0884382A (ja) * 1994-09-13 1996-03-26 Canon Inc 情報蓄積・配信システム
JPH08149091A (ja) * 1994-11-18 1996-06-0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データ圧縮方法を利用したデータ通信方法
JPH08221084A (ja) * 1995-02-10 1996-08-30 Taito Corp 衛星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3087602B2 (ja) * 1995-05-02 2000-09-11 ヤマハ株式会社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H0923339A (ja) * 1995-07-07 1997-01-21 Kokusai Electric Co Ltd 画像通信方法及び画像通信装置
JP3329629B2 (ja) * 1995-09-19 2002-09-30 株式会社東芝 郵便物処理システムと郵便物処理方法
JP3463778B2 (ja) * 1995-11-06 2003-11-05 ヤマハ株式会社 通信カラオケ装置のダウンロード管理方法および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H09149399A (ja) 1995-11-21 1997-06-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データ伝送システム
JPH09160572A (ja) * 1995-12-05 1997-06-20 Ekushingu:Kk 情報出力装置
JPH09160772A (ja) * 1995-12-08 1997-06-20 Fujitsu Ltd マイクロコードのダウンロード方式
JPH09204327A (ja) * 1996-01-26 1997-08-05 Ekushingu:Kk 情報提供端末及び通信式情報提供システム
US5974387A (en) * 1996-06-19 1999-10-26 Yamaha Corporation Audio recompression from higher rates for karaoke, video games, and other applications
JP3622365B2 (ja) * 1996-09-26 2005-02-23 ヤマハ株式会社 音声符号化伝送方式
JP3678869B2 (ja) * 1997-03-27 2005-08-03 株式会社エクシング 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US6021136A (en) * 1997-07-30 2000-02-01 At&T Corp. Telecommunication network that reduces tandeming of compressed voice packet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49634B1 (ko) * 2000-10-18 2006-02-08 닛본 빅타 가부시끼가이샤 데이터 압축 방법, 데이터 전송 방법 및 데이터 재생 방법
KR100893797B1 (ko) * 2000-12-07 2009-04-20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콘텐츠 검색 장치 및 방법과 통신 시스템 및 방법
US7908338B2 (en) 2000-12-07 2011-03-15 Sony Corporation Content retrieval method and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9006991A1 (fr) 1999-02-11
EP0953965B1 (en) 2004-09-15
US6271455B1 (en) 2001-08-07
DE69826241T2 (de) 2005-10-13
DE69826241D1 (de) 2004-10-21
JP4068667B2 (ja) 2008-03-26
EP0953965A4 (en) 2000-12-13
EP0953965A1 (en) 1999-1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68642A (ko) 악곡 배정 장치, 악곡 수신 장치, 악곡 배정 방법, 악곡 수신 방법 및 악곡 배정 시스템
CN100380937C (zh) 接收系统和数字广播系统
US6668158B1 (en) Control method, control apparatus, data receiving and recording method, data receiver and receiving method
KR100568890B1 (ko) 송신 장치 및 방법, 정보 편집 장치 및 방법, 수신 장치 및 방법, 정보 축적 장치 및 방법, 및 방송 시스템
US6062868A (en) Sing-along data transmitting method and a sing-along data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KR20000011787A (ko) 데이터송신장치및방법,데이터수신장치및방법및데이터송수신시스템및방법
JP2005515669A (ja) ディジタルオーディオ信号識別方法及び装置
JP2000036795A (ja) データ送信装置および方法、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方法ならびにデータ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2004320394A (ja) デジタル放送送信システム,デジタル放送の受信装置,デジタル放送再生方法
JP4046818B2 (ja) カラオケ演奏休止期間にデジタル放送の音楽番組を再生するとともに再生中の楽曲の演奏予約を受け付けるカラオケ装置
JP4006829B2 (ja) 情報送信装置および方法、情報受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放送システム
JP346983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の階調変調音声自動切換装置
JP2004135170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送信装置、受信装置、放送コンテンツ送信方法、伝送路切換方法
JP4108786B2 (ja) デジタル多チャンネル放送の音楽番組をカラオケ装置で受信再生するとともに音楽に同期して色変わりする歌詞字幕を表示する方法
EP1098315A1 (en) Electronic device, method of signal processing, method of input signal switching, and download system
JP2023145144A (ja) 放送システム、受信機、受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0840583B1 (ko)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한 데이터 업그레이드 방법
JP2003348032A (ja) デジタル放送システム
KR20100107194A (ko) 디지털 방송 수신 장치 및 그 영상 데이터 재생 방법
JP2000201317A (ja) 受信方法、受信装置、記憶装置及び記憶媒体
JP200130926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H09181720A (ja) Isdb用送信装置およびその受信装置
JP200123781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機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インターフェー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