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598A -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598A
KR20000068598A KR1019997002383A KR19997002383A KR20000068598A KR 20000068598 A KR20000068598 A KR 20000068598A KR 1019997002383 A KR1019997002383 A KR 1019997002383A KR 19997002383 A KR19997002383 A KR 19997002383A KR 20000068598 A KR20000068598 A KR 200000685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per base
base alloy
phosphide particles
iron
weight perc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4782B1 (ko
Inventor
아쇼크케이.브하가바
Original Assignee
워터베리 롤링 밀즈,인코퍼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워터베리 롤링 밀즈,인코퍼레이티드 filed Critical 워터베리 롤링 밀즈,인코퍼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685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5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47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47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2Alloys based on copper with tin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F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AND NON-FERROUS ALLOYS
    • C22F1/00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 C22F1/08Changing the physical structure of non-ferrous metals or alloys by heat treatment or by hot or cold working of copper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2METALLURGY; FERROUS OR NON-FERROUS ALLOYS; TREATMENT OF ALLOYS OR NON-FERROUS METALS
    • C22CALLOYS
    • C22C9/00Alloys based on copper
    • C22C9/04Alloys based on copper with zinc as the next major constitu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주석 약 0.1 ~ 1.5 중량 %, 인 약 0.01 ~ 0.35 중량 %, 철 약 0.01 ~ 0.8 중량 %, 아연 약 1.0 ~ 15 중량 %, 잔부는 구리를 포함하며, 기질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 인화물을 함유한 구리 베이스 합금에 관한 설명이다. 이 합금은 우수한 물리적 특성들을 가진다. 이 문서에 언급한 구리 베이스 합금은 주조, 확산 가열, 압연, 어닐링 공정, 응력 완화 어닐링 공정에 의하여 생성된다.

Description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의 제조 방법{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본 특허 출원은 1996년 11월 7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08/747,014 호 "구리 베이스 합금과 공정 과정" 과 1996년 12월 26일자로 출원된 미국 특허 출원 번호 제 08/480,116 호 "구리 베이스 합금과 공정 과정" 에 관계된다.
구리 베이스 합금은 그 특성이 컨넥터(connector), 리드 프레임(lead frame), 다른 전기응용 장치에 적합하기 때문에 이들 장치에 많이 이용된다. 이러한 합금들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응력 부식 균열(stress corrosion cracking)이 없고 온도 상승에 따른 응력 완화(relaxation of stress)가 낮으며, R/T 비율이 1이하인 180°배드웨이(badway) 굽힘을 할 수 있어 성형성이 뛰어남과 더불어 80KSI 보다 큰 항복강도(yield strength)가 요구되는 응용장치에 이용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개발이 요구 되어진다. 현재 이용되는 합금은 이러한 요구를 만족 시키지 못하며, 만족시키더라도 시장에서의 경제성이 떨어지거나 중대한 결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을 만족시키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개발이 요구된다.
베릴륨 구리 베이스 합금은 응력 완화성의 뛰어남과 함께 매우 높은 강도와 전도도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이 물질은 성형능력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계는 180°베드웨이 굽힘을 어렵게 한다. 게다가, 이들은 매우 비싸며 원하는 부분의 제조 후에 추가 열 처리가 종종 필요하게 된다. 자연히 이는 가격의 상승을 가져온다.
인청동 물질은 강도가 좋고 성형성이 뛰어나면서 값이 싼 합금이다. 이것은 전기 산업과 원거리 통신 산업에 널리 이용된다. 그러나 매우 높은 온도에서 매우 높은 전류를 흘려 주어야 하는 곳, 예를 들어 후드 하에서 사용되는 장치에서는 사용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향이 있다. 높은 열 응력 완화율 때문에 이 물질이 많은 응용장치에 부적합하게 된다.
구리 성분이 많고, 높은 전도도를 가지는 합금들 또한 많은 바람직한 특성을 가지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여러 응용 장치에 요구되는 기계강도를 가지고 있지는 않다. 이러한 합금의 전형적인 것으로는 구리 베이스 합금 110, 122, 192 와 194 가 있지만, 여기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전술한 선행기술이 기재된 특허로는 미국 특허 제 4,666,667, 4,627,960, 2,062,427, 4,605,532, 4,586,967, 4,822,562 및 4,935,076 호가 있다.
따라서, 많은 응용 장치에 우수하게 적용할 수 있는 특성의 조성을 가지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개발이 요구되어 진다.
본 발명은 전기 응용장치에 이용되는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것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술한 목적이 쉽게 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구리 베이스 합금은 주석 약 0.1 ~ 1.5%, 바람직하게는 0.4 ~ 0.9%, 인 약 0.01 ~ 0.35%, 바람직하게는 0.01 ~ 0.1%, 철 약 0.01 ~ 0.8%, 바람직하게는 0.05 ~ 0.25%, 아연 약 1.0 ~ 15%, 바람직하게는 6.0 ~ 12.0% 그리고 잔부는 구리로 구성된다. 특히 니켈 및/또는 코발트를 각각 약 0.5% 까지, 바람직하게는 각각 약 0.001% ~ 0.5%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합금은 또한 알루미늄, 은, 붕소, 베릴륨, 칼슘, 크롬, 인듐, 리튬, 마그네슘, 망간, 납, 실리콘, 안티몬, 티타늄 및 지르코늄을 각각 0.1% 까지 포함 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퍼센트는 중량 퍼센트 이다.
본 발명 합금에서는 철 및/또는 니켈 및/또는 마그네슘 및/또는 이것들의 조합의 인화물 입자를 기질(matrix)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시키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이들 입자가 합금의 강도, 전도도, 응력 완화성을 증가시키기 때문이다. 인화물 입자는 입자크기가 50Å 에서 약 0.5㎛ 이며 미세한 조성과 굵은 조성을 가질 수 있다. 미세 조성은 입자크기가 약 50 에서 250Å, 바람직하게는 50 에서 200Å 정도이다. 굵은 조성은 입자크기가 일반적으로 0.075 에서 0.5㎛, 바람직하게는 0.075 에서 0.125㎛ 정도이다.
본 발명의 합금은 컨넥터, 리드 프레임, 스프링 그리고 전기 응용장치에 이용하기 적합한 여러가지 우수한 특성을 갖고 있다. 이 합금은 기계적 강도, 성형성, 열 혹은 전기 전도도와 응력 완화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의 공정은 하기와 같이 구성된다 : 상기한 조성을 갖는 구리 베이스 합금을 주조하는 단계; 약 1000 에서 1450。F 온도 에서 적어도 한시간 동안 최소 한 번 확산 가열(homogenization) 하는 단계; 650 에서 1200。F 온도 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최소 한 번 어닐링 작업을 포함하여 최종 게이지로 압연하는 단계; 및 300 에서 600。F 온도에서 최소 한시간 동안 응력 완화 어닐링(stress relief anneal) 하는 단계에 의해 인화물 입자가 기질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 구리 합금을 얻는 과정. 상기한 합금에는 니켈 및/또는 코발트도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 합금은 구리-주석-아연 합금을 개조(modified)한 것이다. 이것은 개조되지 않은 합금에 비해 높은 강도, 우수한 성형성, 높은 전도도, 그리고 상당히 향상된 응력 완화성에 의해 특징 지어진다.
본 발명의 합금은 주석 약 0.1 ~ 1.5%, 바람직하게는 0.4 ~ 0.9%, 인 약 0.01 ~ 0.35%, 바람직하게는 0.01 ~ 0.1%, 철 약 0.01 ~ 0.8%, 바람직하게는 0.05 ~ 0.25%, 아연 약 1.0 ~ 15%, 바람직하게는 6.0 ~ 12.0% 그리고 잔부는 구리인 구리 베이스 합금이다. 본 발명의 합금은 일반적으로 기질에 일정하게 분포된 인화물 입자를 가진다.
본 발명의 합금은 또한 니켈 및/또는 코발트 각각 약 0.5% 까지, 바람직하게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약 0.001% ~ 0.5%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합금은 알루미늄, 은, 붕소, 베릴륨, 칼슘, 크롬, 인듐, 리튬, 마그네슘, 망간, 납, 실리콘, 안티몬, 티타늄 및 지르코늄과 같은 원소들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조성으로 가진다. 이 물질들은 일반적으로 각각 0.001 보다는 많이, 0.1% 보다는 적게 포함 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들의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은 응력 완화성과 같은 기계적 특성을 향상시키지만 많은 양의 사용은 전도도 및 성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전술한 인의 한계 세트(limit sets) 내에서 인의 첨가는 금속을 탈산소화된 상태로 존재하게 하여 합금의 열처리와 함께 견고한 금속의 주조를 가능하게 해 준다. 이는 인이 철 및/또는 철과 니켈 및/또는 철과 마그네슘 및/또는 이들 원소의 조합물과 함께 인화물을 형성하게 되고, 만약 인화물이 존재한다면 상기 물질들이 기질내에 완전히 고용되어 있을 경우 야기될 수 있는 전도도의 손실을 상당히 줄일 수 있다. 철 인화물 입자를 기질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 시키는 것이 특히 중요한데, 이는 전위(dislocation)가 이동하는 것을 막아줌으로 인해 응력 완화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약 0.01 ~ 0.8%, 특히 약 0.05 ~ 0.25% 의 철은 합금의 강도를 증가시키며, 그레인(grain) 성장을 억제시켜 미세한 그레인 구조가 되도록 하며, 이 범위내의 인과 조합되어 전기전도도와 열 전도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지 않고 응력 완화성을 향상시킨다.
각각 약 0.001 ~ 0.5% 의 니켈 및/또는 코발트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전도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침과 더불어 기질내에 전체적으로 분포되어 그레인의 조질화(refining)에 의해서 응력 완화성과 강도를 향상 시킨다.
본 발명의 공정은 전술한 조성을 가지는 합금을 주조하는 것을 포함한다. 수평 연속 주조(horizontal continuous casting) 같은 기존의 적당한 주조 기술이 약 0.500 ~ 0.750 인치 범위내의 두께를 가지는 스트립(strip)을 만드는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공정은 1000 ~ 1450。F 의 온도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 시간에서 24 시간동안, 최소 한 번의 확산 가열을 포함한다. 압연 단계 후에 적어도 한번의 확산가열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확산 가열 작업 후에 스트립은 한 두번 밀링하여 면으로 부터 0.020 ~ 0.100 인치 정도의 물질이 제거된다.
다음에는 650 ~ 1200。F 온도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1 ~ 24 시간 동안 최소 한 번 어닐링한 다음 시간당 20 ~ 200。F 의 속도로 대기중에서 서냉하는 공정을 포함하여 최종 게이지로 압연된다.
이 물질은 300 ~ 600。F 온도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바람직하게는 약 1 ~ 20 시간 동안 최종 게이지로 응력 완화를 위해 어닐링 되는데 이는 성형성과 응력 완화성을 향상시킨다.
열 처리는 본 발명의 합금에 철 및/또는 니켈 및/또는 마그네슘 또는 이들의 조합물의 인화물을 기질전체에 균일하게 분포시켜주어 합금을 바람직하고 우수하게 만들어 준다. 인화물 입자는 합금의 강도, 전도도, 그리고 응력 완화성을 증가시켜준다. 인화물 입자는 입자크기가 50Å 에서 약 0.5㎛ 이며 미세한 조성과 굵은 조성을 포함 할 수 있다. 미세한 조성은 입자크기가 약 50 에서 250Å, 바람직하게는 50 에서 200Å 정도이다. 굵은 조성은 입자크기가 일반적으로 0.075 에서 0.5㎛, 바람직하게는 0.075 에서 0.125㎛ 정도이다.
상기한 조성을 가지며 본 발명의 공정으로 생성된 합금은 그 두께의 10배까지의 넓이에서 두께와 같은 반지름에서의 굽힘 능력(bending ability) 즉 배드웨이와 더불어 80 ~ 100 ksi범위의 항복 강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35% IACS 나 그 이상으로 전기 전도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야금 구조는 합금이 높은 응력 보유력(stress retention)을 가지게 하는데, 예를 들어 압연 방향에 수평으로 절단된 샘플에 항복 강도의 75%에 해당하는 응력을 가하면 1000시간 이후에 150℃ 에서 60% 이상의 응력을 가진다. 그리고 이러한 성질은 이 합금을 높은 응력 보유력을 요하는 여러 응용장치에 매우 적합하게 한다. 더우기 본 합금은 스템퍼에 의한 추가 처리를 요하지 않는다.

Claims (20)

  1. 주석 약 0.1 ~ 1.5% 중량 퍼센트, 인 약 0.01 ~ 0.35% 중량 퍼센트, 철 약 0.01 ~ 0.8% 중량 퍼센트, 주석 약 1.0 ~ 15% 중량 퍼센트, 및 잔부는 구리를 포함하며, 기질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 50 ~ 250Å의 미세 조성 인화물 입자와 0.075 ~ 0.5㎛의 굵은 조성 인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함량은 0.4 ~ 0.9 중량 % 인 구리 베이스 합금
  3. 제 1항에 있어서, 니켈, 코발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 물질을 0.001 ~ 0.5 중량 % 를 포함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합금은 마그네슘을 0.1 중량 % 까지 포함하며, 철-니켈 인화물 입자, 철-마그네슘 인화물 입자, 철 인화물 입자, 마그네슘-니켈 인화물 입자, 마그네슘 인화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연 약 6.0 ~ 12.0 중량 % 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6. 제 1항에 있어서, 납을 0.1 중량 % 더 포함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7. 제 1항에 있어서, 알루미늄, 은, 붕소, 베릴륨, 칼슘, 크롬, 인듐, 리튬, 마그네슘, 망간, 납, 실리콘, 안티몬, 티타늄 및 지르코늄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각각 0.1% 까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 함량이 약 0.01 ~ 0.10 중량 % 인 구리 베이스 합금.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 함량이 약 0.05 ~ 0.25 중량 % 인 구리 베이스 합금.
  10. 제 1항에 있어서, 미세 조성 인화물 입자는 50 ~ 200Å의 크기를 가지며 굵은 조성 인화물 입자는 0.075 ~ 0.125㎛의 크기를 가지는 구리 베이스 합금.
  11. 다음을 포함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 공정 과정: 주석 약 0.1 ~ 1.5 중량 %, 인 약 0.01 ~ 0.35 중량 %, 철 약 0.01 ~ 0.8 중량 %, 아연 약 1.0 ~ 15 중량 %, 및 잔부 구리인 구리 베이스 합금을 주조하는 단계; 1000 ~ 1450。F 의 온도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최소 한 번 확산 가열하는 단계; 650 ~ 1200。F 에서 적어도 한 시간 동안 최소 한번의 어닐링을 포함하여 최종 페이지로 압연한 다음 서냉하는 단계; 및 300 ~ 600。F 에서 적어도 한시간 동안 최종 게이지에서 응력 완화 어닐링을 하는 단계에 의해 기질 전체에 균일하게 분포된 인화물 입자를 포함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을 얻는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된 구리 베이스 합금은 니켈, 코발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물질을 0.001 ~ 0.5 중량 %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된 구리 베이스 합금은 마그네슘을 포함하며, 상기 인화물 입자는 철-니켈 인화물 입자, 철-마그네슘 인화물 입자, 철 인화물 입자, 마그네슘-니켈 인화물 입자, 마그네슘 인화물 입자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인화물 입자는 그 크기가 50Å 에서 0.5㎛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5. 제 11항에 있어서, 최소 한번의 확산 가열 단계가 압연 단계 후에 있으며, 각각의 확산 가열 과정은 2 ~ 24 시간 이루어지는, 두번의 확산 가열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6.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어닐링 과정은 1시간에서 24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7. 제 11항에 있어서, 응력 완화 어닐링 과정은 1시간에서 20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8.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단계는 두께 0.500 ~ 0.750 인치를 가지는 스트립을 제조하며, 상기 과정은 적어도 한 번의 확산 가열 단계후에 상기 스트립을 밀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19.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 단계는 시간당 20 ~ 200。F 의 속도로 행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20.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조 단계는 주석 약 0.4 ~ 0.9 중량 %, 아연 약 6.0 ~ 12.0 중량 %, 인 약 0.01 ~ 0.2 중량 %, 철 약 0.01 ~ 0.8 중량 %, 니켈, 코발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물질 0.001 ~ 0.5 중량 % 및 잔부 구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리 베이스 합금의 제조 방법.
KR1019997002383A 1997-09-16 1998-06-24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의 제조 방법 KR1003447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931,696 US5893953A (en) 1997-09-16 1997-09-16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8/931,696 1997-09-16
US08/931,696 1997-09-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598A true KR20000068598A (ko) 2000-11-25
KR100344782B1 KR100344782B1 (ko) 2002-07-20

Family

ID=25461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383A KR100344782B1 (ko) 1997-09-16 1998-06-24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5893953A (ko)
EP (1) EP0908526B1 (ko)
JP (1) JPH11106851A (ko)
KR (1) KR100344782B1 (ko)
CN (1) CN1080768C (ko)
CA (1) CA2270627C (ko)
DE (1) DE69819104T2 (ko)
HK (1) HK1024028A1 (ko)
HU (1) HUP9801474A3 (ko)
PL (1) PL189342B1 (ko)
TW (1) TW474998B (ko)
WO (1) WO19990143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47B1 (ko) * 2001-06-04 2008-01-28 빌란트-베르케악티엔게젤샤프트 구리-아연-알루미늄-합금 재료 및 이 재료로 이루어진 베어링 부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695934B1 (en) * 1997-09-16 2004-02-24 Waterbury Rolling Mills, Inc.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6679956B2 (en) * 1997-09-16 2004-01-20 Waterbury Rolling Mills, Inc. Process for making copper-tin-zinc alloys
US6471792B1 (en) 1998-11-16 2002-10-29 Olin Corporation Stress relaxation resistant brass
US6436206B1 (en) 1999-04-01 2002-08-20 Waterbury Rolling Mills, Inc.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6241831B1 (en) * 1999-06-07 2001-06-05 Waterbury Rolling Mills, Inc. Copper alloy
US6264764B1 (en) 2000-05-09 2001-07-24 Outokumpu Oyj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making same
DE10139953A1 (de) * 2001-08-21 2003-03-27 Stolberger Metallwerke Gmbh Werkstoff für ein Metallband
WO2004024964A2 (en) * 2002-09-13 2004-03-25 Olin Corporation Age-hardening copper-base alloy and processing
JP4041803B2 (ja) * 2004-01-23 2008-02-06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高導電率銅合金
JP4441467B2 (ja) * 2004-12-24 2010-03-31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曲げ加工性及び耐応力緩和特性を備えた銅合金
JP4684787B2 (ja) * 2005-07-28 2011-05-1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銅合金
CN100387739C (zh) * 2006-01-13 2008-05-14 菏泽广源铜带股份有限公司 耐腐蚀合金黄铜h80及其铜带的制作方法
CN100389217C (zh) * 2006-01-13 2008-05-21 菏泽广源铜带股份有限公司 耐腐蚀合金黄铜h70及其铜带的制作方法
KR100640273B1 (ko) * 2006-04-11 2006-11-01 (주) 케이 이엔씨 윤활성 동합금
KR20110042365A (ko) * 2008-09-10 2011-04-26 다이호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b 프리 Cu-Bi계 소결 재료제 슬라이딩 부품
US20110123643A1 (en) * 2009-11-24 2011-05-26 Biersteker Robert A Copper alloy enclosures
ES2721877T3 (es) * 2009-11-25 2019-08-06 Virtus Prec Tube Llc Aleaciones de cobre y tubos de intercambiadores de calor
JP5468423B2 (ja) * 2010-03-10 2014-04-0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高強度高耐熱性銅合金材
JP5120477B2 (ja) * 2011-04-07 2013-01-16 日立化成工業株式会社 電極用ペースト組成物及び太陽電池
AT511196B1 (de) * 2011-06-14 2012-10-15 Miba Gleitlager Gmbh Mehrschichtlagerschale
TWI591192B (zh) * 2011-08-13 2017-07-11 Wieland-Werke Ag Copper alloy
DE102012002450A1 (de) * 2011-08-13 2013-02-14 Wieland-Werke Ag Verwendung einer Kupferlegierung
JP5303678B1 (ja) 2012-01-06 2013-10-02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および端子
JP6029296B2 (ja) * 2012-03-08 2016-11-24 Jx金属株式会社 電気電子機器用Cu−Zn−Sn−Ca合金
CN103060792B (zh) * 2012-11-23 2014-11-05 金星铜集团有限公司 一种使乌铜作品具有乌金效果的表面处理方法
JP5572754B2 (ja) 2012-12-28 2014-08-13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電子・電気機器用銅合金薄板、電子・電気機器用導電部品及び端子
WO2014115307A1 (ja) 2013-01-25 2014-07-31 三菱伸銅株式会社 端子・コネクタ材用銅合金板及び端子・コネクタ材用銅合金板の製造方法
DE102013012288A1 (de) * 2013-07-24 2015-01-29 Wieland-Werke Ag Korngefeinte Kupfer-Gusslegierung
CN104818407A (zh) * 2015-05-12 2015-08-05 苏州列治埃盟新材料技术转移有限公司 新型多组分环保无铅合金新材料合金管及其制备方法
CN104831114A (zh) * 2015-05-12 2015-08-12 苏州列治埃盟新材料技术转移有限公司 新型多组分环保无铅合金新材料合金棒及其制备方法
CN105063418B (zh) * 2015-07-24 2017-04-26 宁波金田铜业(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低合金化铜带的制备方法
CN105316520B (zh) * 2015-11-26 2017-11-14 山西春雷铜材有限责任公司 一种Cu‑Ni‑Sn铜合金板带的制备方法
CN107245600B (zh) * 2017-06-07 2018-11-20 安徽师范大学 一种锡磷锌铜合金及其制备方法
KR101829711B1 (ko) 2017-08-31 2018-02-19 박동한 치과보철용 동 합금
CN107974574B (zh) * 2017-12-08 2020-05-26 宁波兴业盛泰集团有限公司 一种耐应力松弛的复杂黄铜合金及其制备方法
CN110004322B (zh) * 2018-01-05 2021-05-14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铜基微晶合金及其制备方法和一种电子产品
CN108517439A (zh) * 2018-05-30 2018-09-11 苏州金仓合金新材料有限公司 一种机车零部件用青铜合金材料及其制备方法
CN109338151B (zh) * 2018-12-14 2021-07-20 宁波博威合金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电子电气设备用铜合金及用途
US11427891B2 (en) 2019-07-24 2022-08-30 Nibco Inc. Low silicon copper alloy piping components and articles
CN115896536A (zh) * 2022-12-26 2023-04-04 江西科美格新材料有限公司 一种锡锌铜合金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62427A (en) * 1936-08-26 1936-12-01 American Brass Co Copper-tin-phosphorus-zinc alloy
US3923558A (en) * 1974-02-25 1975-12-02 Olin Corp Copper base alloy
US4586967A (en) * 1984-04-02 1986-05-06 Olin Corporation Copper-tin alloys having improved wear properties
JPS60245753A (ja) * 1984-05-22 1985-12-05 Nippon Mining Co Ltd 高力高導電銅合金
US4605532A (en) * 1984-08-31 1986-08-12 Olin Corporation Copper alloys having an improved combination of strength and conductivity
DE3561621D1 (en) * 1985-02-08 1988-03-24 Mitsubishi Electric Corp Copper-based alloy and lead frame made of it
US4822562A (en) * 1985-11-13 1989-04-18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Copper alloy excellent in migration resistance
JPS62116745A (ja) * 1985-11-13 1987-05-28 Kobe Steel Ltd 耐マイグレ−シヨン性に優れたりん青銅
JPS62182240A (ja) * 1986-02-06 1987-08-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導電性高力銅合金
JPH0676630B2 (ja) * 1986-12-23 1994-09-28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配線接続具用銅合金
JPH0674466B2 (ja) * 1988-05-11 1994-09-21 三井金属鉱業株式会社 熱交換器のタンク,プレート又はチューブ用銅合金
JPH0285330A (ja) * 1988-09-20 1990-03-26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プレス折り曲げ性の良い銅合金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32341A (ja) * 1989-05-26 1991-01-08 Dowa Mining Co Ltd 高強度高導電性銅合金
JPH0776397B2 (ja) * 1989-07-25 1995-08-16 三菱伸銅株式会社 Cu合金製電気機器用コネクタ
JPH0499837A (ja) * 1990-08-14 1992-03-31 Nikko Kyodo Co Ltd 通電材料
JP3002341B2 (ja) 1992-10-23 2000-01-24 シャープ株式会社 ロジックアナライザ
US5508001A (en) * 1992-11-13 1996-04-16 Mitsubishi Sindoh Co., Ltd. Copper based alloy for electrical and electronic parts excellent in hot workability and blankability
JPH06184678A (ja) * 1992-12-18 1994-07-0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気部品用銅合金
JPH06184679A (ja) * 1992-12-18 1994-07-05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電気部品用銅合金
JPH06220594A (ja) * 1993-01-21 1994-08-09 Mitsui Mining & Smelting Co Ltd 加工性の良い電気部品用銅合金の製造方法
JPH06299275A (ja) * 1993-04-12 1994-10-25 Mitsubishi Shindoh Co Ltd 高強度を有する電気電子機器の構造部材用Cu合金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8747B1 (ko) * 2001-06-04 2008-01-28 빌란트-베르케악티엔게젤샤프트 구리-아연-알루미늄-합금 재료 및 이 재료로 이루어진 베어링 부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44782B1 (ko) 2002-07-20
CN1237212A (zh) 1999-12-01
HUP9801474A3 (en) 1999-08-30
EP0908526B1 (en) 2003-10-22
CA2270627A1 (en) 1999-03-25
DE69819104D1 (de) 2003-11-27
DE69819104T2 (de) 2004-06-17
WO1999014388A1 (en) 1999-03-25
US5893953A (en) 1999-04-13
US6099663A (en) 2000-08-08
PL189342B1 (pl) 2005-07-29
PL327272A1 (en) 1999-03-29
EP0908526A1 (en) 1999-04-14
CN1080768C (zh) 2002-03-13
HUP9801474A2 (hu) 1999-07-28
JPH11106851A (ja) 1999-04-20
HU9801474D0 (en) 1998-09-28
CA2270627C (en) 2003-05-13
TW474998B (en) 2002-02-01
HK1024028A1 (en) 2000-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4782B1 (ko) 구리 베이스 합금과 그의 제조 방법
US5916386A (en)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EP1520054B1 (en) Copper alloy containing cobalt, nickel, and silicon
US4599119A (en) Age-hardening copper titanium alloy
US20010001400A1 (en) Grain refined tin brass
US5882442A (en) Iron modified phosphor-bronze
US5853505A (en) Iron modified tin brass
US6679956B2 (en) Process for making copper-tin-zinc alloys
EP2907884A1 (en) Plate-like conductor for bus bar, and bus bar comprising same
US5865910A (en)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US6695934B1 (en) Copper alloy and process for obtaining same
KR101810925B1 (ko) 내열성 및 방열성이 우수한 구리 합금 판재
JP2001515960A (ja) 析出硬化および固溶体硬化を特長とする銅基合金
JP2017071811A (ja) 電子部品用Cu−Co−Ni−Si合金
JP6246174B2 (ja) 電子部品用Cu−Co−Ni−Si合金
JP2019203202A (ja) 電子部品用Cu−Ni−Co−Si合金
JP2019194361A (ja) 電子部品用Cu−Ni−Co−Si合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