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8106A -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8106A
KR20000068106A KR1019997001122A KR19997001122A KR20000068106A KR 20000068106 A KR20000068106 A KR 20000068106A KR 1019997001122 A KR1019997001122 A KR 1019997001122A KR 19997001122 A KR19997001122 A KR 19997001122A KR 20000068106 A KR20000068106 A KR 20000068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s
oxobutanoic acid
aryl
formula
benz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8430B1 (ko
Inventor
모아네제라르
도아레릴리안
카고아미쉐린
메저레이필리페
메상귀디디에
Original Assignee
플레믹 크리스티안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플레믹 크리스티안, 메르크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플레믹 크리스티안
Publication of KR20000068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81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8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8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3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 C07D317/4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7/4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two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having the hetero atoms in positions 1 and 3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condensed with one six-membered ring
    • C07D317/48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 C07D317/50Methylenedioxybenzenes or hydrogenated methylenedioxybenzenes, unsubstituted on the hetero ring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atoms of the carbocyclic ring
    • C07D317/60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61P3/08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 A61P3/1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for glucose homeostasis for hyperglycaemia, e.g. antidiabetic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59/00Compounds having carboxyl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groups, groups, or groups
    • C07C59/40Unsaturated compounds
    • C07C59/76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 C07C59/84Un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keto groups containing six membered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69/00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or haloformic acids
    • C07C69/66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 C07C69/73Esters of carboxylic acids having esterified carboxylic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and having any of the groups OH, O—metal, —CHO, keto, ether, acyloxy, groups, groups, or in the acid moiety of unsaturated acids
    • C07C69/738Esters of keto-carboxylic acids or aldehydo-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0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30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07/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307/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having no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307/16Radicals substituted by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또는 상기 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 탄소수 6 내지 14의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아릴기;
-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기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방향족기;
-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
-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 테트라히드로푸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딜 및 피롤리디닐기 중에서 선택된 포화 헤테로시클릭기 중에서 선택된다.]

Description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4-OXO-BUTYNIC ACIDS}
본 발명은 특히 당뇨병의 치료에 유용한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유효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또는 상기 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 탄소수 6 내지 14의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아릴기;
-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기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방향족기;
-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
-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 테트라히드로푸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딜 및 피롤리디닐기 중에서 선택된 포화 헤테로시클릭기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A 및 B는 C1-C6알킬기, C1-C6알콕시기, C6-C14아릴기,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아릴기, (C6-C14)아릴(C1-C6)알킬기, (C6-C14)아릴(C1-C6)알킬(C6-C14)아릴기,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시아노, 히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C1-C6)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C1-C6)알킬술포닐, 술포아미노, (C1-C6)알킬술포닐아미노, 술파모일 또는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두 치환체가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A 및 B가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한다.
아릴기의 예로는 페닐, α-나프틸, β-나프틸 및 플루오레닐기를 들 수 있다.
C1-C6알킬기는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으며, 예로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3차-부틸 및 펜틸기를 들 수 있다.
C1-C6알콕시기도 직쇄 또는 측쇄일 수 있으며,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부톡시 및 이소부톡시기를 들 수 있다.
할로겐은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호변체(tautomeric forms),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이성질체 및 에피머 형태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한다.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의 예로는 나트륨염, 칼륨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아민염 및 동일한 유형의 다른 염들(알루미늄, 철, 비스무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 2-벤질-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4-플루오로페닐)-4-옥소부탄산
- 2-시클로헥실메틸-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페닐-4-옥소부탄산
- 2-(β-나프틸메틸)-4-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β-나프틸)-4-옥소부탄산
- 2-[(4-클로로페닐)메틸]-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4-메틸페닐)-4-옥소부탄산
- 4-(4-플루오로페닐)-2-[(4-메톡시페닐)메틸]-4-옥소부탄산
- 2-벤질-4-(3,4-메틸렌디옥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시클로헥실-4-옥소부탄산
- 4-페닐-2-[(2-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4-옥소부탄산
중에서 선택된 화합물, 용매화물 및 이들 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이 공지되어 있다(Bioorg. Chem. 14, 148, 1986; Biochemistry 23, 2083, 1984; J.A.C. S. 100, 7750, 1978; EP-A-310918 및 DE-A-3 839 401).
본 발명은 또한 B가 불포화 페닐기이고, A가 페닐, 4-메톡시페닐, 4-클로로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외한, 화학식 I의 신규한 화합물, 즉,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용매화물 및 이들 산과 염기와의 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 탄소수 6 내지 14의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아릴기;
-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기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방향족기;
-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
-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 테트라히드로푸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딜 및 피롤리디닐기 중에서 선택된 포화 헤테로시클릭기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A 및 B는 C1-C6알킬기, C1-C6알콕시기, C6-C14아릴기,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아릴기, (C6-C14)아릴(C1-C6)알킬기, (C6-C14)아릴(C1-C6)알킬(C6-C14)아릴기,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시아노, 히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C1-C6)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C1-C6)알킬술포닐, 술포아미노, (C1-C6)알킬술포닐아미노, 술파모일 또는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두 치환체가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신규 화합물은 상기 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확인, 정제 또는 분리하는 데 제공될 수 있는 다른 염기와의 염을 포함한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을 하기 화학식 III의 말론 유도체와 알칼리 금속 하이드리드 또는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의 존재하에 반응시킨 후,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알칼리 히드록시드, 물, 테트라히드로퓨란 및/또는 에탄올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화학식 IV의 화합물을 비누화반응시킨 후,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얻기 위하여 화학식 V의 화합물을 특히 가열 건조시켜 탈카르복실화하는 말론 합성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 X는 상기한 할로겐이고, A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식에서, R 및 R'은 C1-C6알킬기이고, B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 식에서, A, B, R 및 R'은 상기한 바와 같다.)
화학식 I의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는,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이소프로판올 등의 용매 중의 광학 활성 염기를 사용하여 화학식 I의 산의 염을 연속적으로 재결정한 후, 표준방법에 따라 염으로부터의 광학 활성산을 무기산 또는 유기산으로 치환하여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혈당저하 효과가 있으며, 활성량으로 사용시 독성이 없어, 당뇨병의 치료, 특히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제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경구, 직장, 퍼뮤코스(permucous) 또는 경피 투여를 위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조성물은 다회-투여량 병 또는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으며, 플레인 정제, 제피정, 당의정, 웨이퍼 캅셀제, 젤라틴 캅셀제, 환제, 카세제, 산제, 좌약, 직장 캅셀제, 퍼뮤코스 투여 또는 극성용매 중에서 경피투여에 사용하기 위한 용액 또는 현탁액의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투여에 적합한 부형제로는, 고체 형태를 위해서는, 셀룰로오즈 유도체 또는 미정질 셀룰로오즈, 알칼리토금속 카보네이트, 마그네슘 포스페이트, 녹말, 변성 녹말 및 락토오즈 등이 있다.
직장용으로는, 코코아 버터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스테아레이트가 부형제로 바람직하다.
비경구용으로는, 물, 수용액, 생리식염수 및 등장액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부형제이다.
투여량은 환자의 연령 및 체중 뿐아니라, 치료적 징후 및 투여경로에 따라 광범위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하기 실시예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제조를 나타낸다.
실시예 1
2-벤질-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생성물 No. 2)
A - 디에틸 2-벤질-2-[2-(4-메톡시페닐)-2-옥소에틸]프로판디오에이트의 제조
디에틸 2-벤질말로네이트 24ml, 오일 중의 80% 나트륨 하이드리드(미리 석유 에테르로 세척) 3g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150ml의 혼합물을 7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2-브로모-4'-메톡시-아세토페논 24g을 테트라히드로퓨란 50ml에 용해시킨 용액을 +5℃에서 1시간에 걸쳐 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지난 후, 반응 혼합물을 물 400ml에 부었다.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한 후, 유기용액을 염수로 세척하고, 마그네슘 설파이트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결정화하는 황색 오일 40g을 얻었다.
m.p. = 67℃(헥산)
I.R. (KBr) : ν CO (케톤) = 1671cm-1; ν CO (에스테르) = 1735cm-1
1H NMR (DMSO/TMS)
1.2 (6H, t, 2CH3); 3.35(4H, d, 2CH2); 3.8(3H, s, OCH3); 4.1 (4H, q, 2OCH2); 7.1 (7H, m, 방향족성 H); 7.85 (2H, d, 방향족성 H).
B - 2-벤질-2-[2-(4-메톡시페닐)-2-옥소에틸]프로판디산의 제조
디에틸 2-벤질-2-[2-(4-메톡시페닐)-2-옥소-에틸]프로판디오에이트 30g, 2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80ml 및 테트라히드로퓨란 250ml를 결렬히 교반시켜 함께 혼합하였다.
실온에서 5일 후에,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 1리터에 부었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ml로 2회 세척한 후, 차가운 채로 3N 염산 수용액 60ml로 산성화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200ml로 3회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중성수 100ml, 염수 100ml로 세척한 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하고, 최종적으로 감압하에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기름기 있는 황색 고체를 아세토니트릴로 재결정하였다. 백색 고체 18g을 얻었다.
m.p. = 175℃, 분해
I.R. (KBr) : ν CO (케톤) = 1660cm-1; ν CO (산) = 1749cm-1
1H NMR (DMSO/TMS)
3.1 (4H, s, 2CH2); 3.8(3H, s, OCH3); 7 (7H, m, 방향족성 H); 7.8 (2H, d, 방향족성 H); 13.7(m, OH).
C - 2-벤질-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2-벤질-2-[2-(4-메톡시페닐)-2-옥소에틸]프로판디산 17g을 녹을 때까지 교반하면서 가열하였다. 가스 방출이 멈출때, 가열을 중지하고, 물질을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황색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로 재결정하였다. 백색 고체 12g을 얻었다.
m.p. = 131℃
I.R. (KBr) : ν CO (케톤) = 1664cm-1; ν CO (산) = 1729cm-1
1H NMR (DMSO/TMS)
3.1 (5H, m, CH 및 2CH2); 3.8(3H, s, OCH3); 7.1 (7H, m, 방향족성 H); 7.9 (2H, d, 방향족성 H); 13.5 (m,OH).
실시예 2
(-)-2-벤질-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생성물 No. 3)
실시예 1에서 얻은 산 20g을 따뜻한 아세톤 200ml 중에 용해시켰다. 아세톤 40ml 중에 용해시킨 S-(-)-α-메틸벤질아민 8.12g을 가하였다. 혼합물을 냉각하고, 백색고체를 여과하고, 배수하였다. 염의 광학 편차가 안정해질 때까지 이소프로판올로부터 연속적으로 재결정한 후, 염 7.3g을 얻어, 생성물을 격렬히 교반하면서 2N 염산 100ml 및 에틸 에테르 50ml로 처리하였다. 침전이 생긴 후에 혼합물을 분리하고, 산성 수상을 에틸 에테르 50ml로 다시 추출하였다. 혼합된 에테르 용액을 중성수로 1회 세척한 후, 염수로 1회 세척하였다. 그리고 나서, 유기용액을 마그네슘 설페이트로 건조시키고, 실온에서 감압하에 건조시켜 농축하였다. 잔류 오일을 펜탄으로 결정화하였다. 백색 고체 5.1g을 얻었다.
m.p. = 94℃
HPLC 순도 〉 95%;
[α]22 D= -18°1(c = 5, EtOAc).
실시예 3
(+)-2-벤질-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생성물 No. 4)
R-(+)-α-메틸벤질아민을 사용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 산을 분리할 때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백색 고체를 얻었다.
m.p. = 93℃;
HPLC = 98%;
[α]19 D= +17°6 (c = 5, EtOAc).
실시예 4
2-벤질-4-(4-플루오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생성물 No. 5)
A - 에틸 2-벤질-2-[2-(4-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프로판디오에이트의 제조
실시예 1, A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구리빛-황색 오일을 얻었다.
I.R. (필름) : ν CO (케톤) = 1687cm-1; ν CO (에스테르) = 1735cm-1
1H NMR (DMSO/TMS) = 1.25 (6H, t, 2CH3); 3.5(4H, d, 2CH2); 4.2 (4H, q, 2OCH2); 6.8-8 (9H, m, 방향족성 H).
B - 2-벤질-2-[2-(4-플루오로페닐)-2-옥소에틸]프로판디산의 제조
실시예 1, B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백색 고체를 얻었다.
m.p. = 185-90℃(아세토니트릴)
I.R. (KBr) : ν CO (케톤) = 1675cm-1; ν CO (산) = 1747cm-1
1H NMR (DMSO/TMS) : 3.3 (4H, d, 2CH2); 6.7-8 (9H, m, 방향족성 H); 13 (m, OH).
C - 2-벤질-4-(4-플루오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실시예 1, C 단계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황색 고체를 얻어, 아세토니트릴로 재결정하였다. 이렇게 하여 얻은 백색 고체는 상기 산에 상응하였다.
m.p. = 140℃
I.R. (KBr) : ν CO (케톤) = 1683cm-1; ν CO (산) = 1708cm-1
1H NMR (DMSO/TMS) : 3 (5H, m, CH 및 2CH2); 7-8.1 (9H, m, 방향족성 H); 12.2 (s, OH).
실시예 5
(+)-2-벤질-4-(4-플루오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생성물 No. 6)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백색 고체를 얻었다.
m.p. = 88℃;
HPLC = 99.8%;
[α]22 D= +9°9(c = 5, EtOAc).
실시예 6
(-)-2-벤질-4-(4-플루오로페닐)-4-옥소부탄산의 제조 (생성물 No. 7)
실시예 3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백색 고체를 얻었다.
m.p. = 89℃;
HPLC = 98.5%;
[α]22 D= +8°9(c = 10, EtOAc).
화학식 I의 화합물들의 특성을 하기 표 I에 함께 나타내었다.
약학 연구 결과를 하기에 나타내었다.
1 - nOSTZ 래트에서의 항당뇨병 활성의 연구
스트랩토조신에 의해 래트에 유도된 인슐린-의존성 당뇨병의 실험모델에 있어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항당뇨병 활성을 경구적으로 결정하였다.
인슐린-의존성 당뇨병 모델은 래트에 스트렙토조신을 신생아 주사(출생일에)하여 얻었다.
사용된 당뇨병 래트는 8주령이었다.
동물우리의 온도를 21 내지 22℃로 조절하고, 명(7.00시간 내지 19.00시간) 및 암(19.00시간 내지 7.00시간)의 주기를 고정하여, 동물을 생후 실험할때까지 안정시켰다. 먹이가 제거되는, 시험 전 2-시간의 단식 기간(흡수후 상태)을 제외하고는, 먹이 공급은 일정한 식이로 구성되었으며; 물 및 먹이가 "임의로" 제공되었다.
시험물을 사용하여 래트를 하루 동안 경구적으로 처치하였다. 시험물 최종 투여 2시간 후 및 펜토바르비탈 소디움(Nembutal(R))으로 동물을 마취시킨지 30분 후에, 꼬리 단부에서 혈액 시료 300㎕를 취하였다.
얻어진 결과를 표 II에 함께 나타내었다.
이들 결과는 당뇨병 동물에 있어서, 혈당증의 감소에 대한 화학식 I의 화합물의 효능을 나타낸다.
화학식 I의 특정 화합물은 또한 단기간의 조숙 인슐린-분비 효과를 가진다.
2 - 비-당뇨병 래트에 대한 연구
실험일에, 비-당뇨병 래트를 시험물을 사용하여 경구적으로 처치하였다. 시험물을 투여한지 최초 30분 후에, 래트의 꼬리 단부에서 혈액 시료 300㎕를 취하였다.
실시예에 따라, 생성물 No.5(200mg/kg p.o.)를 사용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투여후 경과시간 (분) 5 10 15 20 30
% 혈당증 -4 -11 -25 -31 -35
% 인슐린증 102 94 57 55 52
인슐린 수치의 현저한 증가가 나타나지 않고, 오히려 수치가 감소되면서, 혈당증 감소가 관찰되었다.
3 - 독성 시험
생성물 No.5 및 6을 200mg/kg의 투여량으로 경구투여한 결과, 독성에 대한 어떤 징후도 유도되지 않았다.
4 - 글루카곤 분비에 대한 작용
포도당 부재하에, 침출 매질중에서, 또한 아르기닌 존재하에 글루카곤의 분비가 화학식 I의 화합물에 의해 자극된다는 것을 나타내는, Assan 등(Nature 239: 125, 1972)에 의해 변형된 Sussman 등(Diabetes 15: 466, 1966)의 방법에 따라 분리된, 비-당뇨병 래트로부터의 침출된 췌장에서 in vitro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조건 하에서, 술포닐우레아는 명백한 억제 효과를 가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농도의 포도당 존재하에, 화학식 I의 화합물은 포도당에 의한 글루카곤 분비의 억제를 변형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화학식 I의 화합물로 치료하는 동안은 술포닐우레아로 치료할 때 수반되는 저혈당증의 위험을 피할 수 있다.

Claims (4)

  1. 유효성분으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또는 상기 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 탄소수 6 내지 14의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아릴기;
    -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기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방향족기;
    -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
    -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 테트라히드로푸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딜 및 피롤리디닐기 중에서 선택된 포화 헤테로시클릭기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A 및 B는 C1-C6알킬기, C1-C6알콕시기, C6-C14아릴기,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아릴기, (C6-C14)아릴(C1-C6)알킬기, (C6-C14)아릴(C1-C6)알킬(C6-C14)아릴기,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시아노, 히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C1-C6)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C1-C6)알킬술포닐, 술포아미노, (C1-C6)알킬술포닐아미노, 술파모일 또는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두 치환체가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A 및 B가 아릴기 중에서 선택되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 하기 화합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및 이들 산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기와의 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 2-벤질-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4-플루오로페닐)-4-옥소부탄산
    - 2-시클로헥실메틸-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페닐-4-옥소부탄산
    - 2-(β-나프틸메틸)-4-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β-나프틸)-4-옥소부탄산
    - 2-[(4-클로로페닐)메틸]-4-(4-메톡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4-메틸페닐)-4-옥소부탄산
    - 4-(4-플루오로페닐)-2-[(4-메톡시페닐)메틸]-4-옥소부탄산
    - 2-벤질-4-(3,4-메틸렌디옥시페닐)-4-옥소부탄산
    - 2-벤질-4-시클로헥실-4-옥소부탄산
    - 4-페닐-2-[(2-테트라히드로푸릴)메틸]-4-옥소부탄산
  4.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이의 용매화물 및 이들 산과 염기와의 염.
    화학식 I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상호 독립적으로
    - 탄소수 6 내지 14의 모노-, 비- 또는 트리-시클릭아릴기;
    -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기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방향족기;
    - 탄소수 1 내지 14의 알킬기;
    - 탄소수 5 내지 8의 시클로알킬기;
    - 테트라히드로푸릴,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피페리딜 및 피롤리디닐기 중에서 선택된 포화 헤테로시클릭기 중에서 선택되며;
    여기서, A 및 B는 C1-C6알킬기, C1-C6알콕시기, C6-C14아릴기, 피리딜, 피리미딜, 피롤릴, 푸릴 및 티에닐 중에서 선택된 헤테로아릴기, (C6-C14)아릴(C1-C6)알킬기, (C6-C14)아릴(C1-C6)알킬(C6-C14)아릴기, 할로겐, 트리플루오로메틸, 트리플루오로메톡시, 시아노, 히드록실, 니트로, 아미노, 카르복실, (C1-C6)알콕시카르보닐, 카르바모일, (C1-C6)알킬술포닐, 술포아미노, (C1-C6)알킬술포닐아미노, 술파모일 또는 (C1-C6)알킬카르보닐아미노기 중에서 선택된 1 내지 3개의 치환체를 가질 수 있으며,
    또는 두 치환체가 메틸렌디옥시기를 형성할 수 있으나,
    B가 비치환페닐이고, A가 페닐, 4-메톡시페닐, 4-클로로페닐 또는 시클로헥실기인 화학식 I의 화합물은 제외된다.]
KR10-1999-7001122A 1996-08-16 1997-08-05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KR10048843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610254A FR2752422B1 (fr) 1996-08-16 1996-08-16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ntenant des acides 4-oxo-butanoiques
FR96/10254 1996-08-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8106A true KR20000068106A (ko) 2000-11-25
KR100488430B1 KR100488430B1 (ko) 2005-05-10

Family

ID=9495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22A KR100488430B1 (ko) 1996-08-16 1997-08-05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30)

Country Link
US (1) US6143787A (ko)
EP (1) EP0925273B1 (ko)
JP (1) JP3105545B2 (ko)
KR (1) KR100488430B1 (ko)
CN (1) CN1082370C (ko)
AR (1) AR009251A1 (ko)
AT (1) ATE208364T1 (ko)
AU (1) AU725440B2 (ko)
BR (1) BR9711315A (ko)
CA (1) CA2263348C (ko)
CY (1) CY2298B1 (ko)
CZ (1) CZ294165B6 (ko)
DE (1) DE69708130T2 (ko)
DK (1) DK0925273T3 (ko)
ES (1) ES2166098T3 (ko)
FR (1) FR2752422B1 (ko)
HK (1) HK1021728A1 (ko)
HU (1) HUP0004223A3 (ko)
ID (1) ID17875A (ko)
NO (1) NO312290B1 (ko)
PL (1) PL187371B1 (ko)
PT (1) PT925273E (ko)
RU (1) RU2175966C2 (ko)
SI (1) SI0925273T1 (ko)
SK (1) SK283055B6 (ko)
TR (1) TR199900329T2 (ko)
TW (1) TW438764B (ko)
UA (1) UA57031C2 (ko)
WO (1) WO1998007681A1 (ko)
ZA (1) ZA9773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8852A (ja) * 1991-04-18 1992-11-10 Fujitsu Ltd レジスト・パターン形成方法
CN100344616C (zh) 2001-06-12 2007-10-24 维尔斯达医疗公司 用于治疗代谢失调的化合物
FR2832633B1 (fr) * 2001-11-28 2004-09-24 Lipha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renant une association metformine et un acide 4-oxo-butanoique et son utilisation pour traiter le diabete
FR2832925B1 (fr) * 2001-12-03 2006-07-14 Lipha Utilisation de derives de l'acide 4-oxobutanoique dans le traitement de l'inflammation
FR2834214B1 (fr) * 2001-12-28 2004-09-24 Lipha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renant un inhibiteur d'alpha-glucosidase et un acide 4-oxo-butanoique et son utilisation pour traiter le diabete
FR2834640B1 (fr) * 2002-01-11 2004-09-24 Lipha Composition pharmaceutique comprenant une glitazone et un acide 4-oxobutanoique et son utilisation pour traiter le diabete
EP1556085A4 (en) * 2002-11-01 2012-08-22 Wellstat Therapeutics Corp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METABOLIC DISORDERS
EP1575575B1 (en) * 2002-11-08 2010-05-19 High Point Pharmaceuticals, LLC Safe chemical uncouplers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FR2849599B1 (fr) * 2003-01-07 2006-12-29 Merck Sante Sas Utilisation d'inhibiteurs de la kynurenine-3-hydroxylase pour le traitement du diabete
FR2849598B1 (fr) * 2003-01-07 2006-09-22 Merck Sante Sas Utilisation d'inhibiteurs de la kynurenine-3-hydroxylase pour le traitement du diabete, par augmentation du nombre de cellules des ilots de langerhans
CN101912380A (zh) * 2003-04-15 2010-12-15 维尔斯达医疗公司 用于治疗代谢紊乱的化合物
WO2009071161A1 (en) 2007-12-03 2009-06-11 Merck Patent Gmbh Use of 4-oxobutanoic acid derivatives in the treatment of pathologies associated with immunological disorder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523288A (da) * 1987-10-06 1989-04-07 Hoffmann La Roche Aminosyrederivater
US5250517A (en) * 1987-10-06 1993-10-05 Hoffmann-La Roche Inc. Renin inhibiting compounds
CA1329680C (en) * 1987-11-23 1994-05-17 Harold Norris Weller, Iii N-heterocyclic alcohol derivatives
US5055466A (en) * 1987-11-23 1991-10-08 E. R. Squibb & Sons, Inc. N-morpholino derivatives and their use as anti-hypertensive agent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21728A1 (en) 2000-06-30
FR2752422A1 (fr) 1998-02-20
ATE208364T1 (de) 2001-11-15
PT925273E (pt) 2002-04-29
CN1227538A (zh) 1999-09-01
EP0925273A1 (fr) 1999-06-30
BR9711315A (pt) 1999-08-17
US6143787A (en) 2000-11-07
RU2175966C2 (ru) 2001-11-20
ES2166098T3 (es) 2002-04-01
ID17875A (id) 1998-02-05
HUP0004223A2 (hu) 2001-04-28
CN1082370C (zh) 2002-04-10
SI0925273T1 (en) 2002-04-30
DE69708130T2 (de) 2002-06-20
KR100488430B1 (ko) 2005-05-10
CZ49899A3 (cs) 1999-05-12
SK283055B6 (sk) 2003-02-04
EP0925273B1 (fr) 2001-11-07
SK18099A3 (en) 2000-03-13
ZA977327B (en) 1998-03-30
FR2752422B1 (fr) 1998-11-06
CA2263348C (en) 2008-05-13
NO312290B1 (no) 2002-04-22
JP2000506543A (ja) 2000-05-30
NO990707D0 (no) 1999-02-15
UA57031C2 (uk) 2003-06-16
PL331645A1 (en) 1999-08-02
PL187371B1 (pl) 2004-06-30
WO1998007681A1 (fr) 1998-02-26
CZ294165B6 (cs) 2004-10-13
TW438764B (en) 2001-06-07
AU3942297A (en) 1998-03-06
TR199900329T2 (xx) 1999-04-21
DE69708130D1 (de) 2001-12-13
AU725440B2 (en) 2000-10-12
AR009251A1 (es) 2000-04-12
DK0925273T3 (da) 2002-02-18
JP3105545B2 (ja) 2000-11-06
HUP0004223A3 (en) 2001-12-28
NO990707L (no) 1999-02-15
CY2298B1 (en) 2003-07-04
CA2263348A1 (fr) 1998-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88430B1 (ko) 4-옥소부탄산을 함유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US4714762A (en) Antiarteriosclerotic substituted benzimidazol-2-yl-and 3H-imidazo[4,5-b]pyridin-2-yl-phenoxy-alkanoic acids and salts and esters thereof
DK164158B (da) 1,4-dihydropyridincarboxylsyreestere
EA007959B1 (ru) Новые соединения, обладающие гиполипидемической, гипохолестеринемической активностью,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и содержащие их композиции
JPH0227326B2 (ko)
US4134991A (en) Derivatives of 2-(3-phenyl-2-aminopropionyloxy)-acetic acid
US4483861A (en) Antihypertensive sulfur-containing compounds
DK159435B (da) Analogifremgangsmaade til fremstilling af 2-hydroxy-5-(1-hydroxy-2-piperazinylethyl)benzoesyrederivater eller et farmaceutisk acceptabelt syreadditionssalt deraf
GB2171997A (en) 4-Amino-6,7-dimethoxy-2-Piperazin-1-ylquinazoline derivatives
FR2864535A1 (fr) Derives acides de quinoline et leurs applications en therapeutique
EP0017578B1 (fr) Acides 5-(2-hydroxy-3-thiopropoxy)chromone-2-carboxyliques, leurs sels et esters, procédé de préparation et médicaments
US3969368A (en) 2-Substituted benzodioxoles
US4914111A (en) 4-Benzylthiophene (or furan)-2-sulfonamides as antiglaucoma agents
MXPA99001482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ntaining 4-oxo-butynic acids
US4316899A (en) Chromanone derivatives, a process for their preparation and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20000069544A (ko) 신규 4-(1-피페라진일)벤조산 유도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이용한 치료
WO2008111794A1 (en) 4-methylimidazol-5-ylcarbonylguanidine derivatives,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thereof, preparation method,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he ischemic heart diseases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FR2862645A1 (fr) Composes antidiabetiques contenant des derives benzofuranes, benzothiophenes
LU86706A1 (fr) Nouveaux derives du benzo(4,5)cyclohepta(1,2-b)thiophene,leur prepara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medicaments
CA2107818A1 (en) Arylalkoxythiocoumarins, the preparation thereof and therapeutic composions containing these
RU2198881C2 (ru) α-(1-ПИПЕРАЗИНИЛ)АЦЕТАМИДОПРОИЗВОДНЫЕ АРЕНКАРБОНОВОЙ КИСЛОТЫ, СПОСОБ ИХ ПОЛУЧЕНИ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ИЕ КОМПОЗИЦИИ, СПОСОБЫ ЛЕЧЕНИЯ
WO2018166504A1 (zh) 苯乙酮类化合物、其制备方法及其在调血脂方面的应用
JPH0323526B2 (ko)
FR2482101A1 (fr) 2-methanol a-aminomethyl benzo (1,4) dioxines, leur procede de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JP2000119245A (ja) ニトロメチル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糖尿病合併症予防・治療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