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62423A -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 Google Patents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62423A
KR20000062423A KR1019997006061A KR19997006061A KR20000062423A KR 20000062423 A KR20000062423 A KR 20000062423A KR 1019997006061 A KR1019997006061 A KR 1019997006061A KR 19997006061 A KR19997006061 A KR 19997006061A KR 20000062423 A KR20000062423 A KR 200000624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d pattern
sipe
block
shaped
patt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45646B1 (ko
Inventor
아드론랄프
파르켄코프엘마
퀘스터슈테판
잘라인오토
스트로스요한토마스
Original Assignee
피렐리 라이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퍼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렐리 라이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퍼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피렐리 라이펜베르케 게엠베하 운트 컴퍼니 코만디트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00006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56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56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1/00Tyre tread bands; Tread patterns; Anti-skid inserts
    • B60C11/03Tread patterns
    • B60C11/12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 B60C11/1236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 B60C2011/1254Tread pattern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narrow slits or incisions, e.g. sipes with special arrangements in the tread pattern with closed sipe, i.e. not extending to a groov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03Slits in thread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152/00Resilient tires and wheels
    • Y10S152/902Non-directional tread pattern having no circumferential rib and having blocks defined by circumferential grooves and transverse gro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최소 하나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그루브(15),(16),(17)와 패턴내에 블록(22),(23),(24),(25),(26)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종방향 그루브(15),(16), (17)로부터 확산되는 종방향 그루브(18),(19),(20),(21)를 포함하고, 패턴 기초부(26b) 방향으로 패턴 표면(26a)으로부터 연장되는 깊이에 있어 연장되는 트레드 패턴내에 배열되는 사이프(28),(30)로 이루어지는 차량 트레드 패턴(10)이 설명된다. 충분한 강성을 갖는 블록을 형성하기 위해, V-형태로 형성된 최소 하나의 블록(26)내에 배열된 최소 하나의 사이프(30)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Description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TREAD PROFILE FOR VEHICLE TYRES}
이와 같은 패턴 구성의 경우에 있어,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종방향 그루브는 측면 안정성을 규정하고 이와 같은 타이어의 수막 현상에 의한 미끄럼을 장지한다. (축방향으로 연장되는)횡방향 그루브는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그루브에 수직하거나 경사진 방향을 갖는 것에 의해 주행력, 선회력 그리고 제동력을 더 잘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트레드 패턴의 트레드에 부가적으로 제공되는 사이프는 견인 에지(traction edge)의 수를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것이므로 실제적인 접촉에 의해 견인력 및 제동 반응을 향상시키기 위해 필요하다.
타이어 트레드 패턴의 트레드에 통상적인 사이프를 적용하는 것은 많은 단점들에 의해 제약받는다. 트레드 패턴의 블록내에 좁고 긴 절개부로서 형성된 사이프는 그러므로 개개의 블록 강성의 감소를 가져오고, 그 결과로서 각각의 블록은 타이어 조종 및 주행, 특히 건조하고 습기가 있으며 또한 눈덮힌 포장 도로 조건에 있어서 결점을 수반하는 큰 유동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결점을 완화시키는데 있어 지금까지는 사이프의 개수, 배열 그리고 깊이를 특별하게 처리하여 부족한 블록의 강성을 보충하는 것이 필요하였으나, 이것은 어렵고 복잡하며 복잡한 트레드 패턴을 갖게 한다. 마지막으로 언급되지만 가장 중요한 것으로서, 이것은 타이어 생산 비용을 증가되게 한다.
본 발명은 최소 하나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그루브(longitudinal groove)와, 상기 종방향 그루브로부터 확산되고 상기 패턴내에 블록(block)을 형성하는 종방향 그루브와, 트레드내에 배열되어 그 깊이가 패턴 기초부 방향으로 패턴 표면으로부터 확장되는 사이프(sipe)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tread pattern)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패턴의 예시된 실시예의 구성 및 기능이 대략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패턴의 부분 평면도이다.
도 2는 V-형태 사이프가 형성된 패턴내에 있는 블록의 대략도이다.
도 3a-도 3f는 트레드 패턴내에서 V-형태 사이프를 포함하는 블록의 다양하고 개략적인 배열 변형을 보여준다.
본 발명은 선행 기술에서 언급된 결점들이 제거되도록 전술된 종류의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를 수정하고자 하는 목적에 기초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사이프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패턴중의 개개 블록의 충분하게 높은 강성을 보장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을 형성한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해, 최소 하나의 블록에 배치되고 V-형태로 형성된 최소 하나의 사이프가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된다.
이러한 사이프의 구성으로 인해 트레드 패턴은 양호한 견인력과 제동 응답을 특징으로 갖게되고, 부가적으로 타이어의 조종과 주행에 있어 선행 기술과 관련되는 결점이 제거되도록 횡방향 힘에 의해 응력을 받을 때 개개 블록의 부족한 강성을 보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이프의 형성은 견인 또는 제동시에 발생하는 종방향 힘에 의해 응력을 받을 때 일반적으로 사이프가 개방되게 하고, 그 결과로서 견인 에지의 숫자가 증가한다. 예를 들어 선회시에 발생하는 횡방향 힘에 의해 하중을 받을 때, 사이프는 폐쇄되고, 그러므로 패턴 기초부의 강화를 가져온다. 이러한 강화는 사이프의 V-형태 구성으로 인해, V-형태 사이프에 의해 분리되는 블록 개개의 웨지 형태부(wedge-shaped portion)가 상호 지지 가능하다는 사실로부터 구체화된다. 통상적인 단선 사이프의 경우에서 가능한 블록들 개개의 부분의 상호 미끄러짐은 본 발명에 따른 사이프 구성에 의해 제거되고, 그 결과로서 특별히 횡방향 힘이 존재시에 블록들은 예를 들어, 건조하고 습기가 있거나 또한 눈덮힌 포장 도로 조건에서의 향상된 주행을 가져오는 충분한 강성을 갖는 패턴내에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공되는 트레드 패턴의 경우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사이프가 V-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하나의 블록당 몇몇개의 V-형태 사이프가 또한 제공되는 것이 가능하고, 블록의 길이가 다를 때는 각각의 블록내에 상이한 갯수의 V-형태 사이프를 제공하는 것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용한 구성에 있어, V-형태 사이프의 다리부는 길이에 있어 동일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교차점은 V-형태 사이프가 형성되는 블록의 측면 영역과 맞닿는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교차점은 사이프 선(web)을 통해 블록의 측면 영역과 연결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실시예에 따라 블록의 측면 영역과 접촉하지 않는 블록에 배치된 V-형태 사이프가 제공된다. 패턴에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V-형태 사이프의 개개의 배열 변형은 패턴의 블록 또는 블록들내에서 조합되기도 한다.
V-형태 사이프가 사이프 선을 경유하여 블록의 측면 영역과 접촉하고 있는 곳에서, 블록의 측면 영역이 사이프 선과 연결된 일부분에 있는 절개부로 이루어지는 이점이 제공될 수 있다.
사이프의 깊이가 블록의 전체 깊이와 전체 깊이 1/4사이에 존재하는 것이 유용하다.
본 발명의 하나의 유용한 측면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로 이루어진 최소 하나의 블록이 트레드 패턴의 외부 어깨부(outer shoulder) 및/또는 내부 어깨부(inner shoulder)에서 형성된다. 본 발명의 후속 실시예에 따라 몇몇개의 블록이 제공되고, 그 각각은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블록이 고정 또는 임의 배열로 트레드 패턴의 표면 전체에 걸쳐 본 발명에 따라 배치된다.
본 발명의 후속 측면에 있어,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자유단은 트레드 패턴의 중앙선을 향하게 된다.
본 발명의 후속 실시예에 따라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교차점은 트레드 패턴의 중앙선을 향하게 된다. 그러나, 사이프가 제공되고 상기 인용된 것처럼 두가지의 방향성을 다 가지는 트레드 패턴을 형성하는 것이 또한 구상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하나의 측면에 있어서, 몇몇개의 블록이 제공되고, 그 각각은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개개의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자유단과 개개의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교차점은 트레드 패턴의 중앙선을 향한다. 더욱이, 근접 및/또는 대향하는 블록의 V-형태 사이프의 방향은 한방향(unidirectional) 및/또는 반대 방향 및/또는 서로 번갈아가며 바뀌는 교번 방향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패턴의 블록내에 배치된 V-형태 사이프로 인해, 트래드 패턴은 간단하고 비용에 있어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고, 종방향 힘과 횡방향 힘 둘 다에 의해 응력을 받을 때 신뢰성 있는 타이어의 조종과 주행을 보장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블록당 하나 또는 그 이상의 V-형태 사이프의 사용과, 블록내부에 있는 V-형태 사이프의 특별한 배열과, 블록내부에서의 사이프 방향 설정과, V-형태 사이프 다리부의 길이 변화뿐만 아니라 트레드 패턴 내부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V-형태 사이프의 배열에 의해서, 타이어에 제기되는 폭넓게 다양한 요구 사항들이 고려되며, 이것이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패턴이 건조하고 습기가 있으며 또한 눈덮힌 포장 도로 조건에 모두 사용될 수 있는 이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패턴은 바람직하게는 겨울용 타이어에서 적용할 수 있으나, 또한 여름용 및 사계절용 타이어에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 패턴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보여지는 평면도를 참조하면, 종방향 그루브(15),(16)를 갖는 트레드 패턴(10)이 도시된다. 더욱이, 종방향 그루브(17)는 트레드 패턴(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약간 경사지는 방향으로 제공된다. 종방향 그루브(16)는 트레드 패턴(10)에 대해 연속적으로 연장되지 않고, 대신에 패턴내에서 블록(26)의 일부분에 의해 분할된다.
개개의 종방향 그루브(15),(16),(17)는 횡방향 그루브(18),(19),(20),(21)에 의해 분할된다. 이러한 횡방향 그루브들은 종방향 그루브(15),(16),(17)에 대해 수직하거나 약간 경사진 방향을 갖는다. 종방향 그루브(15),(16),(17)와 횡방향 그루브(18),(19),(20),(21)는 패턴내에서 블록(22),(23),(24),(25)를 형성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 트레드 패턴(10)의 중앙부에 있는 블록(23),(24)가 더 작은 반면, 트레드 패턴(10)의 내부 어깨부(11)과 외부 어깨부(12)상에 형성된 블록(22),(26)이 더 크다. 마찬가지로 외부 어깨부(12)의 영역내에 배치된 블록(25)은 블록(26)에 부합된다.
더욱더, 블록(22),(23),(24),(25),(26)은 트레드 패턴의 축방향으로 연장되거나 트레드 패턴(1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진 사이프(28),(30)로 이루어지고, 사이프의 영역내에 있는 블록들은 절단부(29),(35)로 이루어진다.
트레드 패턴(10)은 각각 내부 어깨부(11)과 외부 어깨부(12)의 종단부를 동시에 형성하는 내부단(13)과 외부단(14)에 의해 폭의 범위가 제한된다.
도 1로부터 더욱더 분명한 것처럼, 블록(26)은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진다. 본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 블록(28)은 트레드 패턴(10)의 외부 어깨부(12)내에 배치된다. 블록(26)은 실질적으로 H-형태 구성을 특징으로 하고, 트레드 패턴(10)의 외부단(14)에 의해 외부 측면상에 형성된다. 블록(26)은 횡방향 그루브(18),(21)뿐만 아니라 종방향 그루브(15),(16)에 의해서 더욱 형성된다. 블록(26)은 그 폭이 상이하다. 더 넓은 블록(26)에 3 개의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되는 반면, 더 좁은 블록(26)에는 2 개의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된다. V-형태 사이프(30)의 자유단(도 2에 도시되는 것처럼)은 외부단(14)의 방향으로 향하게 된다.
도 1에 보여지는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V-형태 사이프(3)의 두 개의 배열 변형이 도시된다. H-형태 블록(26)의 다리부내에 배열된 V-형태 사이프(30)는 사이프 선(34)에 의해 블록(26)의 측면 영역(27)에 연결된다. 부가적으로, 블록(26)의 측면 영역(27)은 사이프 선(34)와 연결된 일부분에서 절단부(35)로 이루어진다. H-형태 블록(26)의 안장부(saddle)내에 배치된 V-형태 사이프(30)는 V-형태 사이프(30)의 다리부(31),(32)(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의 교차점(33)이 블록(26)의 측면 영역(27)과 맞닿도록 배열된다.
이제 도 2를 참조하면, V-형태 사이프(30)가 형성된 상당히 단순화된 블록(26)이 도시된다. 이러한 경우에 V-형태 사이프(30)는 블록(26)의 측면 영역(27)과 접촉하지 않는다. V-형태 사이프(30)는 그 길이가 같고 교차점(33)에서 합쳐지는 2 개의 다리부(31),(32)로 이루어진다. 교차점(33)에 대해 서로 대향하는 다리부(31),(32)의 자유단(31a),(32a)은 측면 영역(27)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갖는다. 도 1과 관련하여 명확한 것처럼 이와 같은 사이프(30)의 배열은 V-형태 사이프(30)의 다리부(31),(32)의 자유단(31a),(32a)이 트레드 패턴(10)의 외부단(14)의 방향으로 향하게 한다. V-형태 사이프(30)의 깊이는, 도 2에 관한 예시된 실시예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트레드 패턴의 표면(26a)로부터 아래로 트레드 패턴의 바닥(26b)까지 연장되고 그러므로 사이프(30)의 깊이는 블록(26)의 전체 깊이와 일치한다. 그러나, V-형태 사이프의 깊이를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제 V-형태 사이프(30)의 기능을 설명함에 있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트레드 패턴(10)의 방향을 향하는 사이프(30)를 참고한다. 도 2로부터 명확한 것과 같이 V-형태 사이프(30)는 주로 종방향 힘(L)과 횡방향 힘(Q)에 의해 응력을 받는다. 종방향 힘(L)은, 예를 들어, 견인력이나 제동 작용으로 인해 발생한다. 횡방향 힘(Q)는, 예를 들어, 선회시에 생성된다. V-형태 사이프(30)가 종방향 힘(L)에 의해 응력을 받을 때에는 사이프(3)의 다리부가 개방되고, 그 결과로서 견인 에지의 개수가 증가되므로 견인력과 제동 응답이 향상되는 반면, 횡방향 힘(Q)에 의해 응력을 받을 때 사이프(30)은 폐쇄되고, 그 결과로서 블록(26)의 강화가 구현된다. 이러한 강화는 V-형태 사이프(30) 다리부(31),(32)에 의해 서로 분리된 블록(26)의 2 개 부분이 서로 상호 지지할 수 있음으로해서 발생된다. 트레드 패턴(10)의 외부단(14)에 직선적인 방향을 갖는, 통상적인 사이프인 경우에 발생하는 서로 스치는 개개의 블록부들 사이의 미끄럼은 사이프(30)의 V-형태 구성에 의해 방지된다. 그러므로, 통상적인 사이프와 비교했을 때, 충분히 강화된 블록(26)은 횡방향 힘(Q)에 의해 응력을 받을 때라도 사이프(30)의 V-형태 구성으로 인해 구체화된다. 이것은 건조하고 습기가 있을 뿐만 아니라 눈덮힌 포장 도로 조건에서 트레드 패턴(10)이 제공된 타이어의 조종 및 주행에 특별히 유용하다.
이제 도 3a-도 3f를 참조하면, 트레드 패턴(10)상에 블록(26)을 형성하고 블록(26)내에 V-형태 사이프(30)를 배열하는데 대한 다양한 변형들이 도시된다. 더 나은 이해를 위해 도면은 상당히 단순화되고 단지 개략적으로 표현되었다. 단지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가 단순화 하기위해 사각형으로 표현된 각각의 블록(26)내에 도시되고, 여기서 V-형태 사이프(30)는 V-형태 사이프(30)가 어떤 방향을 가지고 있는지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상당히 확대되어 도시된다. 더욱이, 단지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가 하나의 블록(26)당 명시되나, 물론, 크기와 배열에서 상이한 몇몇개의 V-형태 사이프(30)가 각각의 블록(26)내에 제공되기도 한다는 것은 이해 가능하다.
도 3a에 표현된 배열 변형은 실질적으로 도 1에 보여지는 배열과 일치한다. 도 3a으로부터 명확한 것처럼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된 블록(26)은 트레드 패턴(10)의 외부 어깨부(12)상에 배치된다. V-형태 사이프(30) 다리부의 교차점은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36)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이제 도 3b를 참조하면,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된 블록(26)이 외부 어깨부(12)와 내부 어깨부(11) 둘 다에 배치된 것이 명확하고, 외부 어깨부(12)상에 있는 V-형태 사이프(30)의 방향은 도 3a에 표현된 것과 일치한다. 트레드 패턴(10)의 내부 어깨부(11)상에 있는 V-형태 사이프(30)는 또한 이들 다리부의 교차점이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36)의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 설정되고, 그 결과로서 블록(26)이 중앙선(36)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고, 각각 반대 방향을 갖는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지는 배열이 구체화된다.
도 3c에 보여지는 실시예에서 다시 V-형태 사이프(30)를 갖는 블록(26)은 트레드 패턴(10)의 내부 어깨부(11)과 외부 어깨부(12) 둘 다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트레드 패턴(10)의 외부 어깨부(12)상에 있는 V-형태 사이프(30)는 V-형태 사이프(30) 다리부의 자유단이 트레드 패턴의 중앙선(36)의 방향을 향하도록 방향 설정된다. 트레드 패턴(10)의 내부 어깨부(11)상에 있는 V-형태 사이프(30)의 방향은 도 3b에 보여지는 내부 어깨부(11)상에 있는 V-형태 사이프(30)의 방향과 일치한다. 이러한 방향성과 배열로 인해 트레드 패턴은 중앙선(36)에 대해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블록(26)이 한 방향을 향하는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지도록 형성된다.
도 3d에 보여지는 실시예에 있어서 트레드 패턴(10)은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된 블록(26)이 트레드 패턴(10)의 내부 어깨부(11)과 외부 어깨부(12) 둘다에 배열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이러한 배열에 있어서 트레드 패턴(10)의 내부 어깨부(11) 또는 외부 어깨부(12)상에 나란히 배열된 블록(26)은 각각 번갈아가며 반대 방향을 향하는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진다. 동시에 중앙선(36)에 대해 마주보도록 위치하는 블록(26)에는 마찬가지로 서로에 대해 반대 방향을 향하는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된다.
도 3e에서 본 발명에 따른 이전의 실시예와는 다른 이러한 예시된 실시예에 있어 중앙선(36)에 대해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 블록(26)이 각각 서로에 대해 한 방향을 향하는 V-형태 사이프로 이루어지는 점을 제외하고는, 도 3d에 보여지는 배열과 실질적으로 일치하는 트레드 패턴(10)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결론적으로, 도 3f를 참조하면, 블록(26)에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도시된다. 이러한 배열의 몇몇 블록(26)에 있어서, V-형태 사이프 다리부(31),(32)의 자유단(31a),(32a)은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의 방향을 향하고, 반면 다른 블록(26)에서는 V-형태 사이프(30) 다리부(31),(32)(도 2로부터 명확한)의 교차점(33)이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36)의 방향을 향하게 된다. 트레드 패턴(10)상에 있는 블록(26)은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36)에 대해 우측 및 죄측 일부분에 지그재그 배열로 배치되도록 배열된다. 트레드 패턴(10)의 좌측 및 우측 일부에 중앙선(36)에 대해 동일 높이로 위치하는 블록(26)이 한 방향을 향하는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지는 반면에 각각의 인접한 V-형태 사이프(30)가 반대 방향으로 번갈아가며 배치되어, 따라서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블록(26)의 방향이 한 방향인 반면에 인접한 V-형태 사이프의 방향이 각 경우에 대해 방향에 있어 반대가 되는 트레드 패턴(10)을 갖도록, 트레드 패턴의 좌측 및 우측 일부분에 V-형태 사이프의 배치가 선정된다.
도 3a-도 3f에 도시되는 트레드 패턴(10)상에 있는 본 발명에 따른 V-형태 사이프(30)가 제공된 블록(26)의 배열 가능성뿐만 아니라 사이프의 방향도 본질적으로 순수하게 예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고 하고 확정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이해되서는 않된다는 사실이 이해 가능할 것이다. 다른 배열 가능성은 예를 들어, 블록이 트레드 패턴상에서 임의적으로 배열되기도 하고, V-형태 사이프의 방향도 또한 임의적으로 선정된다는 점에서 구상 가능하다. 더욱이, V-형태 사이프를 갖는 블록의 다른 어떤 형태나 일반적인 배열뿐만 아니라 이들의 방향도 구상 가능하므로 다음의 청구항에 의해 부여되는 보호 범위에 의해 포함된다.
상기 내용에 포함되어 있음.

Claims (13)

  1. 최소 하나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종방향 그루브(15),(16),(17)와, 상기 종방향 그루브(15),(16),(17)로부터 확산되고 패턴내에 블록(22),(23),(24),(25), (26)을 형성하는 종방향 그루브(18),(19),(20),(21)와, 트레드내에 배열되어 그 깊이가 패턴 기초부(26b) 방향으로 패턴 표면(26a)으로부터 연장되는 사이프(28), (30)를 포함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상기 블록(26)내에 배치된 최소 하나의 상기 사이프(30)가 V-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가 동일한 길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의 교차점(33)이 상기 블록(26)의 상기 측면 영역(27)과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의 교차점(33)이 사이프 선(34)에 의해 상기 블록(26)의 상기 측면 영역(27)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6)의 상기 측면 영역(27)이 상기 사이프 선(34)에 연결된 일부부분에 있는 절개부(3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6. 상기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26)의 상이한 길이에 대해 상이한 개수의 V-형태 사이프(30)가 각각의 상기 블록(26)내에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7. 상기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프(30)의 깊이가 상기 블록(26)의 전체 깊이와 전체 깊이의 1/4 사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8. 상기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지는 최소 상기 하나의 블록(26)이 상기 트레드 패턴(10)의 외부 어깨부(12) 및/또는 내부 어깨부(11)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9. 제 1 항 내지 제 7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몇몇개의 블록(26)이 제공되고 각각의 블록이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지는 것과, 상기 블록(26)이 상기 트레드 패턴(10)의 전체 표면 영역에 걸쳐 분포되도록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10. 상기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의 자유단(31a),(32a)이 상기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36)의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레드용 트레드 패턴.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최소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의 교차점(33)이 상기 트레드 패턴(10)의 중앙선(36)의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레드용 트레드 패턴.
  12.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몇몇개의 블록(26)이 제공되고, 각각의 블록이 최소한 하나의 V-형태 사이프(30)로 이루어지는 것과, 단일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의 상기 자유단(31a),(32a) 및 단일 V-형태 사이프(30)의 상기 다리부(31),(32)의 상기 교차점(33)이 상기 트레드 패턴(10)의 상기 중앙선의 방향을 향하게 되는 것과, 인접 및/또는 대향하는 블록의 V-형태 사이프 방향은 한 방향 및/또는 반대 방향 및/또는 서로 번갈아가며 변하는 교번 방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13. 상기 선행 청구항들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겨울용 타이어에 사용되는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KR1019997006061A 1997-01-03 1998-01-02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KR1003456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700101.7 1997-01-03
DE19700101A DE19700101A1 (de) 1997-01-03 1997-01-03 Laufflächenprofil für einen Fahrzeugreif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2423A true KR20000062423A (ko) 2000-10-25
KR100345646B1 KR100345646B1 (ko) 2002-07-27

Family

ID=7816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061A KR100345646B1 (ko) 1997-01-03 1998-01-02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6341633B1 (ko)
EP (1) EP0949998B1 (ko)
JP (1) JP3364497B2 (ko)
KR (1) KR100345646B1 (ko)
CN (1) CN1094841C (ko)
AR (1) AR011348A1 (ko)
AT (1) ATE203955T1 (ko)
BR (1) BR9806833A (ko)
DE (2) DE19700101A1 (ko)
NO (1) NO307920B1 (ko)
TW (1) TW503190B (ko)
WO (1) WO19980292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63416B2 (ja) * 1999-12-21 2003-01-0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US7347238B2 (en) * 2002-11-06 2008-03-25 Bridgestone Corporation Pneumatic tire with tread including chamfer portions
EP2095976B9 (en) 2002-12-19 2013-01-09 Pirelli Tyre S.P.A. Tread pattern for winter tires
ATE546304T1 (de) * 2003-09-29 2012-03-15 Yokohama Rubber Co Ltd Luftreifen
KR100621846B1 (ko) 2004-11-30 2006-09-19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경량 트럭용 공기입 타이어
US7779876B2 (en) * 2005-10-19 2010-08-24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Reinforced blade for use in a vulcanization mold to form a sipe in a tire
CN101505976B (zh) * 2006-08-29 2011-03-09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JP4732379B2 (ja) * 2007-02-14 2011-07-27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01618664B (zh) * 2008-07-02 2012-08-29 青岛黄海橡胶股份有限公司 载重汽车轮胎胎面
JP5425707B2 (ja) * 2010-05-26 2014-02-2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R2964601B1 (fr) * 2010-09-10 2012-09-07 Michelin Soc Tech Bande de roulement pour pneumatique
JP4826681B1 (ja) * 2010-11-17 2011-11-30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WO2013147748A2 (en) * 2012-03-27 2013-10-03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Improved wet and snow traction design for a tire thread and solution for pull under torque therefor
RU2667710C2 (ru) * 2013-02-28 2018-09-24 Пирелли Тайр С.П.А. Зимняя шина
EP3078507B1 (en) 2013-12-20 2019-05-22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Pneumatic tire
JP6420547B2 (ja) * 2014-01-27 2018-11-0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572941B2 (ja) * 2017-05-29 2019-09-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DE102017215426A1 (de) * 2017-09-04 2019-03-07 Continental Reifen Deutschland Gmbh Laufstreifenprofil eines Fahrzeugreifens
JP6958327B2 (ja) * 2017-12-19 2021-11-0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不整地走行用の自動二輪車用タイヤ
JP7074588B2 (ja) * 2018-06-29 2022-05-24 Toyo Tire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07365A (en) * 1954-04-13 1959-10-06 Us Rubber Co Nonskid tire tread and method and means for making same
US2850066A (en) 1954-06-18 1958-09-02 Lee Rubber & Tire Corp Vehicle tire construction
DE1968005U (de) * 1967-04-25 1967-09-07 Veith Pirelli Ag Lkw-m + s-reifen.
DE3146362A1 (de) * 1981-02-23 1982-09-02 The General Tire & Rubber Co., 44329 Akron, Ohio Reifen mit verbesserter laufflaeche
US4364426A (en) 1981-03-26 1982-12-21 Dunlop Tire & Rubber Corporation Motorcycle tire tread
DE3531047A1 (de) * 1985-08-30 1987-03-05 Uniroyal Englebert Gmbh Fahrzeugluftreifen
JP2672495B2 (ja) 1986-04-14 1997-11-05 オーツタイヤ 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トレッド部の構造
US4779656A (en) * 1986-09-02 1988-10-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JP2545099B2 (ja) 1987-10-12 1996-10-16 株式会社 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JPH0253608A (ja) * 1988-08-12 1990-02-2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US5160385A (en) * 1989-08-08 1992-11-03 Bridgestone Corporation Heavy duty pneumatic tires
JPH03159804A (ja) * 1989-11-16 1991-07-09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のトレッドパターン
JPH03182814A (ja) 1989-12-11 1991-08-08 Sumitomo Rubber Ind Ltd スノータイヤ
JPH03243403A (ja) 1990-02-22 1991-10-30 Sumitomo Rubber Ind Ltd 自動車用ラジアルタイヤ
CA2054838C (en) 1991-03-20 2001-02-20 Daniel Edward Schuster Tread for a ribbed pneumatic tire having high density siping zones located in the rib regions
CA2054426A1 (en) 1991-03-20 1992-09-21 Daniel Edward Schuster Tread for a pneumatic tire having high density siping zones located in the shoulder regions
JPH04310406A (ja) 1991-04-08 1992-11-02 Yokohama Rubber Co Ltd:The 重荷重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H0576218A (ja) 1991-09-18 1993-03-30 Kubota Corp 田植機の昇降制御装置
DE4138688C2 (de) 1991-11-25 1995-09-14 Pirelli Reifenwerke Laufflächenprofil für einen Fahrzeugreifen
JP3145762B2 (ja) 1991-12-26 2001-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0632117A (ja) * 1992-07-10 1994-02-08 Bridgestone Corp 空気入りタイヤ
JP2898832B2 (ja) * 1992-09-30 1999-06-0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
IT1265035B1 (it) * 1993-05-31 1996-10-28 Pirelli Pneumatico per ruote di veicoli con battistrada a bassa rumorosita' di rotolamento
US5964267A (en) * 1994-05-10 1999-10-12 Uniroyal Englebert Reifen Gmbh Tread configuration
US5824169A (en) * 1995-01-20 1998-10-20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Pneumatic tire having improved wear properties
US6408911B1 (en) * 1995-06-08 2002-06-25 Bridgestone Corporation Studless pneumatic tire including block-shaped island portions each having sip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49998A1 (de) 1999-10-20
US6341633B1 (en) 2002-01-29
NO307920B1 (no) 2000-06-19
NO993303D0 (no) 1999-07-02
DE19700101A1 (de) 1998-07-09
ATE203955T1 (de) 2001-08-15
EP0949998B1 (de) 2001-08-08
CN1094841C (zh) 2002-11-27
JP3364497B2 (ja) 2003-01-08
JP2000509675A (ja) 2000-08-02
NO993303L (no) 1999-09-02
BR9806833A (pt) 2000-05-02
KR100345646B1 (ko) 2002-07-27
DE59801163D1 (de) 2001-09-13
AR011348A1 (es) 2000-08-16
TW503190B (en) 2002-09-21
CN1243477A (zh) 2000-02-02
WO1998029268A1 (de) 199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5646B1 (ko) 차량 타이어용 트레드 패턴
KR100846166B1 (ko) 특히 눈 덮인 지면용의 차량용 광폭 트레드 타이어
CA2083627C (en) Tread pattern for vehicle tire
KR970026017A (ko) 눈이 덮힌 도로면을 주행하기에 특히 적합한 트레드 패턴을 갖는 자동차 공기 타이어
GB2096071A (en) Tread for a two wheeled vehicle tyre
DE60125276D1 (de) Reifenlauffläche mit Feineinschnitten in den Profilblöcken
JPS5824282B2 (ja) シヤリヨウヨウクウキタイヤノタメノ トレツドプロフイル
JP4925798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741777B2 (ja) スタッドレス空気入りタイヤ
JPH02197402A (ja) 自動車用タイヤのトレッド構造
JPH1010061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531902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061601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H1120413A (ja) オール・シーズン乗用車用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EP0638446B1 (en) Tread for pneumatic vehicle tyres
RU2471641C2 (ru) Пневматическая шина транспортного средства
JP200129402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S62241710A (ja) 空気入りタイヤのトレツド部の構造
KR100262118B1 (ko) 사이프가 형성된 3/6 리브패턴 타이어의 트래드
JPH03157209A (ja) 氷雪路用空気入りタイヤ
JP2672495B2 (ja) 空気入りタイヤのトレッド部の構造
JP200021901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3138832B2 (ja) スタッドレスタイヤ
JPH01254407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0608292B1 (ko) 타이어 트레드의 블록 커프 패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