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52808A - 수세변기 및 이를 구비한 간호용 베드장치 - Google Patents
수세변기 및 이를 구비한 간호용 베드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52808A KR20000052808A KR1019990703628A KR19997003628A KR20000052808A KR 20000052808 A KR20000052808 A KR 20000052808A KR 1019990703628 A KR1019990703628 A KR 1019990703628A KR 19997003628 A KR19997003628 A KR 19997003628A KR 20000052808 A KR20000052808 A KR 2000005280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oilet
- water
- nursing bed
- valve
- spher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4—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 E03D9/05—Special arrangement or operation of ventilating devices ventilating the bowl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05—Means for bathing bedridden pers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03D11/02—Water-closet bowls ; Bowls with a double odour seal optionally with provisions for a good siphonic action; siphons as part of the bowl
- E03D11/10—Bowls with closure elements provided between bottom or outlet and the outlet pipe; Bowls with pivotally supported inse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urs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로 확실하게 개폐가능하며 또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취변을 구비하며, 부착된 배변 등이 변기본체측에 마주하는 일 없이, 환자 등이 의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배변을 한 경우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수세변기와, 환자 등을 목욕시킬 때에 간호인의 체력적부담을 경감하는 간호용베드장치 등을 제공한다. 변기본체(51)의 하부에 저수조(52)를 마련하여, 저수조(52)에 떠있는 구체(57a)와 변기본체(51)의 하측개구(51a) 근방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구체(57a)와 밀접가능한 환형상의 패킹(57b)에 의해 방취변(57)을 구성한다. 배수관 및 배수변에 의해 66a, 67a, 66b, 67b 저수조(52)의 수위를 내려 방취변(57)의 개변을 행하여, 급수관(64a) 및 급수변(64b)에 의해 저수조(52)의 수위를 올려 방취변(57)의 폐변을 행한다. 화살표(Fa)로 나타낸 바와 같이 악취가 배기되어, 화살표(Fw)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세정수가 구체(57a)로 흘러 내려 배변 등(S)을 세정하고 또한 구체를 회전시킨다.
Description
통상, 수세변기의 분야에 있어서는, 배수관으로부터의 악취 역류를 방지하기 위해서, S자 모양으로 관을 굴곡시킨 배수트랩을 변기와 하수관의 사이에 설치하여, 봉수(封水)를 배수트랩에 저장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배수트랩을 이용하여 배수를 행하기 위해서는 관의 헤드(head)를 이용하여 배수에 속력을 부여해야 하므로, 배수관 전체의 상하방향의 전체 길이가 길어지며, 또한, 먼지 등이 맺히기 쉬운 바람직하지 못한 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배수트랩의 바람직하지 못한 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일본특공소 제 50-11188호 공보 및 일본특개소 제 53-98137호 공보에 기재된 수세변기, 및, 일본특개평 제 3-186265호 공보에 기재된 간호용베드가 제창되고 있다. 첫번째 및 세번째 공보 기재의 발명에서는, 고무튜브 등을 배수관의 도중에 설치하여, 에어펌프 등에 의한 고무튜브 등으로의 급기(給氣)에 의해 배수구를 막고, 고무튜브 등으로부터의 배기에 의해 배수구를 개구하는 방취변을 제창하고 있다. 또한, 두번째 공보 기재의 발명에서는, 푸트페달에 의해 회전운동하는 반구에 의해 구멍을 개폐하는 방취변을 제창하고 있다.
그러나, 전술한 첫번째 및 세번째 공보 기재의 발명에서는, 에어펌프 등이나 공기배관을 설치하지 않으면 안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해지며, 열화의 우려가 높은 고무튜브 등을 가동부에 이용하기 때문에 방취변 주변부의 제작이 곤란하고 유지 보수에도 번거롭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두번째 공보 기재의 발명에서는, 구멍의 개폐부분에 기구가 직접적으로 개재되기 때문에, 동일한 문제가 있게 된다. 더구나, 어떠한 종래기술에 있어서도, 방취변의 상부에 배변이 부착되면, 이 부착측면이 변기본체 측으로 부착되어 불쾌하다.
한편, 상기 세번째 공보와 같은 종래의 간호용베드에서는, 배변시 악취의 확산방지가 불충분하였다. 또한, 상기 세번째 공보와 같은 종래의 간호용베드에서는, 배변 이전에 미리 둔부에 위치하는 고무튜브 등으로부터 배기를 행하여 변좌(便座)를 개구시키지 않으면 안되며, 환자가 의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배변을 한 경우에는 대처할 수 없었다. 또한, 종래의 간호용베드에서는, 환자를 목욕시키기 위해서 베드에서 일단 내려와 별도의 장소로 이동시켜야 하므로, 간호인에게도 큰 부담이었다.
이러한 종래기술의 실상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편리한 구조로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또한 유지보수가 용이한 방취변을 구비한 수세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착된 배변 등이 변기본체 측에 면하지 않는 수세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환자 등이 의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배변을 한 경우에 대처하는 것이 가능한 수세변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베드장치의 목적은, 상술한 배변의 합리적인 처리에 더하여, 환자 등을 욕조에 목욕시킬 때에, 간호인의 체력적부담을 경감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은, 변기본체, 배수부, 그리고 변기본체 및 배수부를 차단하는 방취변을 구비한 수세변기 및 이 수세변기를 구비한 간호용베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한 간호용베드장치의 일부를 파쇄한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의 A-A선단면도이다.
도 3은 수세변기의 구조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방취변을 연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의 대응 도면이다.
도 5는 저수조의 물을 완전하게 배출한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의 대응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제 2배수변을 닫아 제 2급수관에서 급수를 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3의 대응 도면이다.
도 7은 수세변기의 평면도이다.
도 8은 간호용베드장치 전체의 배관도이다.
도 9는 리프트를 이용하여 환자를 욕조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2의 대응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4의 대응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3의 대응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실시형태를 도시하는 도 7의 대응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를 도시하는 휠체어에 수세변기를 장착한 상태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에 관련한 수세변기의 특징은, 변기본체와, 배수부와, 이 변기본체 및 배수부를 차단하는 방취변을 구비한 수세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에 저수조를 마련하여, 저수조에 떠있는 구체와 변기본체의 하측개구 근방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구체와 밀접가능한 환형상의 패킹으로 상기 방취변을 구성하여, 상기 저수조의 수위를 내려 상기 방취변의 개변을 행할 수 있는 배수제어수단과, 상기 저수조의 수위를 올려 상기 방취변의 폐변을 행할 수 있는 급수제어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다.
상기 특징에 있어서의 「배수제어수단」은, 예컨대 「상기 저수조의 높이방향 중간부에 접속한 배수관 및 밸브」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급수제어수단」은, 예컨대 「급수관, 급수밸브 및 수위센서」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배수부」는 배수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급수제어수단에 의해 저수조의 수위를 올려 둠으로써, 저수조에 떠오르는 구체의 부력에 의해 방취변을 개변할 수 있다. 한편, 배수제어수단에 의해 저수조의 수위를 내림으로써, 구체를 아래쪽으로 변위시켜, 방취변을 개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은, 상기 특징에 더하여, 상기 변기본체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세정수를 흘리는 급수수단을 마련하여, 상기 방취변의 개변시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의 하부개구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구체에 흘러 내리도록 한 것에 있다.
통상, 구체의 표면에 배변 등이 부착되어도, 상기 구체는 저수에 부유하고 있기 때문에, 중력밸런스에 의해, 배변 등의 부착부는 하측으로 반전한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변기본체의 하부개구로부터 세정수가 구체로 흘러 내리기 때문에, 이 구체의 표면에 부착된 배변 등에 세정수의 수류가 닿아, 부착된 배변 등을 씻어 흘려버림과 동시에, 배변등 부착부를 구체의 하측에 위치하도록 구체를 회전시킨다.
그리고, 변기본체의 하측개구에 수위가 도달하기 전에 상기 구체와 패킹이 접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단히 드물기는 하지만, 물보다 비중이 가벼운 배변 등이 부착되어도, 본 특징에 의하면, 배변 등의 부착부는 패킹보다도 하측에 위치한다. 급수완료후 수위가 변기본체의 하측개구보다 아래이면, 변기본체내 상면을 건조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특징에 더하여, 통상시에는 온풍을 내뿜어, 배변중에는 악취를 흡인하는 통기부를 변기본체의 상측 또는 상부에 배치한 것에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배변을 스스로 조절할 수 없는 중증의 와병 환자 등이 둔부 및 하복부를 변기본체측에 노출시키고 있더라도, 온풍에 의해 둔부 등을 따뜻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환자 등은 쾌적히 지낼 수 있다. 그리고, 배변시에는 악취를 흡인하기 때문에 악취가 주위에 확산되지 않고, 변의 냄새 등으로 인하여 불쾌해지는 일도 없다.
이에 더하여, 변기본체의 상측 또는 상부에 배변의 낙하를 검지하는 센서를 배치하여, 이 센서에 의한 배변의 낙하를 검지함에 따라, 상기 배수제어수단에 의해 상기 방취변의 개변을 행하고, 상기 급수수단에 의해 세정수를 흘리며, 동시에 상기 환기부를 통하여 악취를 흡인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중증의 와병환자가 무의식에 갑자기 배변을 하더라도, 자동적으로 배변처리작업 및 악취흡인작업이 행해진다. 이들 특징은 간호용베드에 한하지 않고 항공기 등의 수세변기에서도 유익하다.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배수제어수단이, 상기 저수조의 높이방향 중간부에 접속된 제 1배수관 및 제 1밸브와, 상기 저수조의 저부에 접속된 제 2배수관 및 제 2밸브를 구비하여, 제 1밸브의 개변후에 제 2밸브를 개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밸브의 개변에 의해 방취변을 개변함과 동시에, 구체를 저수에 부유시켜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한다. 그 후, 배변 등이 포함된 저수를 제 2밸브의 개변으로 한 번에 배수하여, 저수조내를 청정하게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센서로서 발광부로부터 수광부에 이르는 광로를 차단함으로써 변기배변의 낙하를 검지하는 광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사용자의 둔부를 향하여 한 방향에서 적어도 온풍을 내뿜는 통기부와 상기 둔부의 세정장치를 변기본체의 상측 또는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통기부와 세정장치를 상기 광로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와 거의 같은 높이의 위치에 배치함으로써, 변기전체의 높이를 낮게 억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베드장치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특징은, 상기 수세변기를 가지는 간호용베드와, 이 간호용베드의 하측에 배치하는 욕조와, 상기 간호용베드를 옆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을 구비한 것에 있다. 상기 특징에 의하면, 욕조를 간호용베드의 아래에 배치함으로써, 욕조의 배치공간을 절약함과 동시에, 환자의 이동거리를 짧게 할 수 있다. 특히, 환자 등을 들어 올리거나 또는 내리는 리프트를 더욱 구비함으로써, 리프트에 의한 환자 등의 들어 올리거나 내리는 작업과 함께 베드를 횡이동시켜, 환자 등을 작은 노력으로 욕조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와 같이, 상기 본 발명에 관한 수세변기의 특징에 의하면, 구체를 수위 조절로써 상하시킨다는 간이한 구조로 확실하게 개폐할 수 있으며, 방취변의 구체와 패킹과의 밀착만 유지가능하면 그 개폐도 확실하기 때문에, 그 유지보수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흘러 내리는 수류나 저수에 부유하는 구체의 밸런스에 의해, 구체에 부착된 배변 등이 변기본체측에 마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배변후 변기가 보기 흉한 사태도 피할 수 있게 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온풍을 상시 내뿜는 것에 의해 환자 등에게 하복부 등을 상시 노출시켜 두어, 환자 등이 의도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배변을 한 경우에, 악취 등을 확산시키지 않고서 배변을 처리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한편, 본 발명에 관한 간호용베드장치의 상기 특징에 의하면, 베드본체의 횡이동에 의해 욕조의 설치공간을 절약하는 동시에, 환자 등을 경작업으로 욕조로 이동시켜, 목욕시키는 것이 가능해졌다. 그 결과, 와병환자노인 등의 환자를 간호할 때의 간호인의 체력적부담이 경감됨과 동시에, 환자의 위생상태나 쾌적성이 현저하게 향상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상세한 것은, 이하에 나타내는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가장 바람직한 형태의 항으로 분명해질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의 범위의 항에 기입한 부호는, 어디까지나 도면과의 대조를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상기 기입에 의해 본 발명은 첨부도면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해서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보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관련한 간호용베드장치(1)는, 간호용베드(2), 욕조(3), 및 간호용베드(2) 위에 누워있는 환자(H) 등을 올리고 내림으로써 욕조(3)까지 이동시키는 리프트(5)를 구비하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욕조(3)를 구성하는 욕조본체(10)는, 앵커프레임(6) 중에서 욕조본체(10)의 바닥의 폭에 가까운 폭을 갖는 종프레임(6a) 위에 놓여있다. 또한, 종프레임(6a) 중간부의 전후방향 2개소에는, 도 2에 도시된 것같이, 종프레임(6a)의 우측 및 특히 좌측을 향하여 횡프레임들(6b, 6b)이 튀어나와 있다. 앵커프레임(6) 중의 종프레임(6a)에는, 측면에서 볼 때 コ자형 지지프레임(7)의 두 하단이 고착되어, 두 개의 횡프레임들(6b) 및 욕조본체(10)에 담겨지는 목욕물의 중량으로, 리프트(5)의 뒤집힘이 방지된다.
상술한 간호용베드(2)는, 베드본체(20)와 이 베드본체(20)를 횡프레임(6b)을 따라서 횡이동시키기 위한 이동수단(9)을 구비하고 있다. 베드본체(20)는, 전후로 나란한 머리판(20a) 및 발판(20b)의 좌우를 한 쌍의 측판(20c, 20c)으로 연결하여, 그 상부에 도 1에 일부를 도시한 격자(21)를 두고, 또한 매트(22)를 위치시켜 그 기초구조를 구성한다. 또한, 앞서의 격자(21)는, 매트(22)의 상부를 기립기구(30)에 의해 경사상태로 일으켜세워지도록 들어 올린다. 베드본체(20)의 중간부에는, 변기(50)를 부착함과 동시에 변좌(40)를 설치하여, 누운 환자(H)의 둔부가 변기(50)의 개구부에 위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측판(20c)의 상부에는 후술하는 배관계통의 밸브나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조작유닛(60)이 부착되어 있고, 그 하부에 배수조(68a) 등이 부착되어 있다.
상술한 이동수단(9)은, 앞서의 한 쌍의 횡프레임(6b, 6b) 위에 단면이 채널형인 레일(9a)을 각각 위치시키고, 이 채널형상 레일(9a)의 내부에 롤링레일(rolling rail; 9b)을 위치시키고, 그리고, 베드본체(20)의 머리판(20a) 및 발판(20b)의 다리부분(脚部)을 롤링레일(9b, 9b)상에 각각 올려놓게 했다. 각 롤링레일(9b)은, 복수의 롤러를 프레임으로 연결한 것으로, 이 롤링레일(9b)의 롤러의 굴러감에 의해 베드본체(20)전체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채널형상레일(9a)의 깊이는, 롤링레일(9b)의 직경보다도 깊게 되어 있어, 머리판(20a) 및 발판(20b)의 다리부분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이동수단(9)을 이용하여, 욕조본체(10)에서 목욕할 때, 베드본체(20)를 도 2의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앞서의 욕조(3)는, 스테인레스제 욕조본체(10)와, 이 욕조본체(10)내의 목욕물을 순환에 의해 정화함과 동시에 그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도 8에 보인 정화장치(11)를 구비하고 있다. 욕조본체(10)에서 환자의 머리에 해당하는 부분은, 그 하부에 정화장치(11)를 배치할 수 있도록 상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또한, 전술의 이동수단(9)에 의해 횡으로 이동하는 베드본체(20)의 하부에 위치하는 배관(67a) 등은, 후술하는 구성에 의해 상하방향의 간격이 짧아지게 되어, 욕조본체(10) 상부와의 간섭을 피할 수 있을 만큼 높은 위치에 놓여져 있다. 상기 정화장치(11)는, 욕조본체(10)내의 목욕물을 길어 올리는 펌프(12)와, 길어 올려진 펌프(12)로부터의 목욕물내의 불순물이나 암모니아 등을 정화하는 여과유닛(13)과, 목욕물을 일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한 히터(14)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여과유닛(13)에 대해서는, 외부로부터 수동급수밸브(15)를 통하여 수도물을 공급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리프트(5)는, 앞서의 앵커프레임(6)에 부착되는 지지프레임(7)과, 이 지지프레임(7)의 수평부분에 설치된 한 쌍의 전동활차(8, 8)를 구비하고 있다. 각 전동활차(8)는, 사용시에는 지지프레임(7)의 중간부를 향하여 슬라이드되는 것이 가능하며, 평상시에는 수평부의 상하단으로 이동되게 되어, 베드본체(20)에 눕는 환자(H)에게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된다.
앞서의 기립기구(3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나사결합하는 수나사축(31) 및 암나사축(32)을 통형상의 슬리브(sleeve, 33)에 수납하여, 구동용 모터(34) 및 자재이음(universal coupling, 35)을 통하여 암나사축(32)을 회전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슬리브(33) 및 모터(34)는, 각각 슬리브추축(33a) 및 모터추축(34a)에 의해 베드본체(20)에 축지지되어 있다. 또한, 격자(21)의 상부는, 격자추축(21a)에 의해 베드본체(20)에 축지지되어 있고, 더욱이, 격자(21)의 하부로 연장되는 아암(21b)과 수나사축(31)의 선단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34)의 구동으로, 암나사축(32)을 수나사축(31)에 대하여 상대회전시켜, 수나사축(31)의 선단 및 슬리브추축(33a)이 서로 가까와지게 함으로써, 아암(21b)을 통하여 베드본체(20)를 경사상태로 매트(22)와 함께 일으켜세워, 도 1의 쇄선으로 보인 것처럼 배변을 용이하게 하는 환자(H)의 등받이 등으로 되게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매트(22)의 중앙부를 도려낸 부분에 끼워 맞추어진 변좌(40)는, 도 3에 도시한 것같이 공기에 의해 팽창하는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튜브로 이루어진 상하 한 쌍의 변좌(41, 42)를 포개어 구성되어 있다. 상변좌(41)는 환형상이지만, 하변좌(42)는 말굽형으로 되어 있으며, 상변좌(41)의 아랫면 및 하변좌(42)의 절단면으로 둘러싸이는 공동부에, 둔부세정용 세정장치(45)가 수납되어 있다. 변좌(40)의 상부로부터는, 환자(H)의 국부를 덮는 고무제 또는 합성수지제의 덮개(43)가 달려 있어, 이 덮개(43)의 선단부 2개소에 취부된 끈들(44, 44)을, 동일하게 변좌(40)의 머리측에서 아래측을 향해 이어지는 끈 또는 베드의 미도시된 난간 등에 연결하여, 덮개(43)로 환자(H)의 국부를 덮는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8을 참조하면서, 간호용베드장치(1)의 배관계통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들 배관의 각 밸브나 모터는, 상술한 조작유닛(60)에 수납되는 제어장치(61)에 의해 제어된다. 후술하는 통기부(55)에 대한 통기는, 통기관(62a)을 통하여 행해지며, 온풍의 통풍은 송풍블로어(62b) 및 송풍히터(62d)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통기부(55)를 통한 배기는 통기관(62a) 및 흡기블로어(62c)에 의해 이루어진다. 배변시의 세정수는, 제 1급수관(63a) 및 제 1급수펌프(63b)를 통하여 욕조본체(10)내의 목욕물로부터 공급된다. 또한, 방취변(57)을 폐변할 저수조(52)내의 수위를 강제적으로 상승시키는 급수는, 정수에 접속되는 제 2 급수관(64a) 및 전자밸브로 구성된 급수밸브(64b)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변기(50)에서의 저수조(52)의 수위를 하강시키기 위한 배수제어수단은, 제 1, 제 2배수관(66a, 67a) 및 제 1, 제 2배수밸브(66b, 67b)로 구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배수는, 배수조(68a)에 받아들여진 후에 배수펌프(68b)에 의해 제 3배수관(68c)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배수조(68a)내의 고형상의 오물은, 배수펌프(68b)의 임펠러(impeller)의 회전으로 분쇄되어,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세정장치(45)는, 욕조본체(10)의 목욕물을 길어 올리기 위한 급수튜브(45a)와 제 2급수펌프(45b) 및 이 목욕물을 적당한 온도로 상승시키는 온수히터(45c)를 구비하고 있다. 이 길어 올려져 온도 조절된 목욕물은, 신축되는 세정노즐(46)의 선단으로부터 환자(H)의 국부를 향해 분출되어, 환자(H)의 국부가 세정되게 된다. 급수튜브(45a)는 제 2급수관(64a)과 마찬가지로 수도 등의 정수에 접속되어도 좋다.
도 3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50)는, 유발(乳鉢)형상의 변기본체(bowl; 51)와, 그 외부를 덮는 대략 원통형 저수조(52)와, 저수조(52)의 상부에 위치하는 센서환(54), 통기부(55) 및 급수환(56)과, 변기본체(51)의 하측 개구를 막기 위한 방취변(57)을 구비하고 있다. 이 센서환, 통기부 및 급수환(54∼56)은, 환형상으로 형성된 상하의 스테인레스판에 대하여 가늘고 긴 판형상의 스테인레스판을 만곡시켜 용착하는 것으로, 내부를 공동형상으로 형성하고 있다.
맨 위인 센서환(54)의 상부 표면은, 변좌(40)를 놓기 위한 대좌(53)로 되어 있다. 이 대좌(53)는, 상측개구(53a)를 갖는 환형상의 대좌판(53b)을 착탈가능하게 접시머리나사로 고착하여 구성된다. 센서환(54)의 내부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광부(54b)와 수광부(54c)를 갖는 광센서인 낙하검지센서(5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측개구(53a)의 좌우로 거리를 두고 발광부(54b)와 수광부(54c)를 복수개 대면되게 나란히 배열함으로써, 발광부(54b)에서 수광부(54c)로 이르는 광로(B)가 변기(50)의 개구부에 가로질러져 있다. 이러한 배치의 낙하검지센서(54a)에 의하면, 상측개구(53a)에서 변기본체(51)를 향하여 한 방울이라도 배설물이 낙하되면, 마주보는 발광부(54b) 및 수광부(54c)의 사이를 통과하는 광의 어느 것을 차단하여, 후술하는 세정수의 급수나 배기를 개시시키는 트리거로서 기능한다.
통기부(55)의 내면에는, 복수개의 관통홀들(55a)이 형성되어 있다. 통기관(62a)을 통해 공급되는 온풍이 화살표(Fa)와 같이 중앙을 향하여 내뿜어지며, 또한, 배변시에는 이 관통홀들(55a)을 통하여 탈취를 위한 배기가 행해진다.
최하단의 급수환(56)은 그 안쪽에서 상하방향으로 위치된 판의 하부를 아래쪽으로 조금 길게 내밀고 있으며, 아래쪽 환형상 판과의 사이에 슬릿(56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슬릿(56a)으로부터 제 1급수관(63a)을 통하여 공급되는 온수를 변기본체(51)의 원추면을 따라 세정수로서 흐르게 구성되어 있다.
변기본체(51)의 하측개구(51a) 근방의 외면에는, 고무제의 환형상 패킹(57b)이 부착되어 있다. 또한, 이 패킹(57b)에 밀접하며, 패킹(57b)과 함께 방취변(57)의 기능을 다하는 구체인 스테인레스제 중공(中空)볼(57a)이, 저수조(52)내의 저수(W)에 띄워져 있다. 이 볼(57a)의 외경은, 패킹(57b)의 내경보다도 작게 되어 있고, 또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킹(57b)과의 비접촉시에는, 저수(W)로부터 그 2/3정도가 수면위로 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위센서(59)는, 광섬유를 이용한 비접촉 수위센서이며, 저수(W)가 패킹(57b)의 하부에 도달한 정도의 시점에, 제 2급수관(64a)으로부터의 급수를 정지시키는 위치에 부착되어 있다.
여기에서, 도 9를 참조하면서, 리프트(5)를 이용하여 환자(H)를 상하 이동시키기 위한 담가(70)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담가(70)는, 좌우 한 쌍의 지지봉(71, 71)과, 이것들 사이에 걸쳐지는 네트(72)와, 지지봉(71,71)끼리를 연결하는 동시에 전동활차(8)로 감아 올리기 위한 전후 한 쌍의 수하(垂下)끈(73)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환자(H)를 욕조본체(10)로 이동시키는 데는, 우선 베드 위의 환자(H)를 네트(72) 위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전동활차(8)를 회전구동시켜 담가(70)에 의해 환자(H)를 들어 올린다. 그 후,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드본체(20)를 동 도면의 좌측까지 이동수단(9)으로 이동시켜, 수하끈(73)을 신장시켜 욕조본체(10)로 환자(H)를 이동시킨다. 목욕 후에는 반대 순서로 환자를 베드 위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서, 앞서의 도 8에서의 제어장치(61)에 의한 제어순서를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보인 보통의 상태에서는, 통기공(55a)으로부터 온풍이 내뿜어지고, 급수밸브(64b), 제 1배수밸브(66b), 제 2배수밸브(67b)는 모두 닫혀져 있다. 또한, 볼(57a)은, 그 부력에 의해 수면위로 그 상부를 노출하면서 패킹(57b)에 접하여, 방취변(57)이 닫혀진 상태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변 또는 대변 등의 배변이 조금이라도 변기본체(51)를 향하여 낙하되면, 상술과 같이 복수의 발광부(54b)에서 수광부(54c)를 향하는 적어도 일부의 광이 차단되어, 이하에 설명하는 제어순서에 따라 장치가 제어된다.
최초로, 제 1배수밸브(66b)가 개변되어, 저수(W)는 제 1배수관(66a)의 하부의 개구부까지 저하되어, 볼(57a) 및 패킹(57b)의 밀접이 이탈하며 방취변(57)이 개변상태가 된다. 동시에, 통기홀(55a)로부터의 온풍의 분출은 정지됨과 동시에, 통기홀(55a), 통기관(62a) 및 앞서의 흡기블로어(62c)를 통하여 배변중의 악취가 흡인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앞서의 기립기구(30)에 의해 베드의 상측부분이 일으켜세워진다. 또한, 상기 제 1급수펌프(63b)의 구동에 의해, 제 1급수관(63a) 및 세정수용슬릿(56a)을 통하여, 변기본체(51)의 원추면의 전체 표면을 따라 세정수가 화살표(Fw)로 보인 것 같이 흐른다. 저수(W)에 부유하는 볼(57a)에는 흘러 내리는 세정수가 변기본체(51)의 하측개구(51a)를 통하여 폭포와 같이 흘러 내려, 볼(57a)에 조금이라도 부착된 배변 등은, 이 세정수에 의해 씻겨진다. 더욱이, 부착된 배변에 가해지는 세정수의 힘으로 볼(57a)이 전체로 회전운동하여, 그 결과로 배변 등의 부착부는 아래쪽에 위치하게 된다. 또, 흘러 내리는 수류를 볼(57a)에 닿게 하기 위해서는, 볼(57a) 직경의 배수보다 저수조(52)의 내경을 작게 하면 된다.
도 5에 도시한 상태는, 도 4에 도시하는 센서(54a)에 의한 배변의 검지후, 제어장치(61)내의 타이머로 설정된 소정 시간후의 상태이다. 이 타이머에 의해 설정되는 소정 시간은 약 3분정도이며, 환자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가능하지만, 최초의 배변검출에서 배변종료까지 예상되는 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세정수용슬릿(56a)으로부터의 세정수의 흘러내림 및 통기홀(55a)을 통한 악취의 흡인은 계속 실행되며, 제 2배수밸브(67b)가 더욱 개변됨으로써 저수조(52)의 저수는 제 2배수관(67a)을 통해 모두 외부로 배출된다. 또한, 적당한 간격을 두고서, 세정노즐(46)이 세정장치(45)로부터 환자(H)의 국부를 향하여 신장되어, 위쪽을 향하여 세정수를 일정시간 내뿜어 국부의 세정을 한다.
더욱이, 국부세정의 종료후에 세정노즐(46)은 수평방향으로 축소되고, 제 1배수밸브(66b) 및 제 2배수밸브(67b)는 양쪽 모두 닫혀지고, 급수밸브(64b)가 개변되어, 외부의 수도물이 제 2급수관(64a)에서 저수조(52)내로 공급되어, 저수(W)의 수위는 서서히 상승한다. 이 상태에서 세정수용슬릿(56a)으로부터의 세정수 공급은 없고, 또한, 통기홀(55a)로부터의 온풍의 분출이 개시된다. 그리고, 수위센서(59)에 의해 수위가 검지된 시점에서 급수밸브(64b)가 닫혀져, 최초의 도 3의 상태로 되돌아 가게 된다. 급수제어수단으로서의 제 2급수관(64a)은 제 1급수관(63a)과는 별개로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방취변(57)의 폐변후에도 패킹(57b)에 대한 볼(57a)의 접하는 압력을 높일 수 있다. 이러한 일련의 동작들의 종료후에, 다시 기립기구(30)를 역동작시켜 베드의 상부를 다시 평탄하게 복귀시킨다.
그런데, 볼(57a)의 표면에 약간이라도 배변 등이 부착되면, 부유하는 볼(57a)의 중력밸런스 및 상기 변기본체(51a) 하부에서 흘러내리는 물에 의해, 배변 등이 부착된 부분은 수중측에 위치한다. 또한, 물보다도 비중이 가벼운 배변이 만약 볼(57a)에 부착되어도, 배변부착부분은 패킹(57b)의 아래쪽에 항상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하측개구(51a)에서 변기본체(57)의 상부측에 노출되는 볼(57a)의 상면에는, 항상 정화된 볼(57a)의 곡면이 노출되게 된다. 또한, 볼(57a)에 부착된 배변 등은, 방취변(57)이 닫혀져 악취가 새는 것을 막는 상태로 저수(W)에 잠기게 되어 충분히 흡수ㆍ연화(軟化)되어, 다음 수세시에는 더 세정되기 쉽게 된다.
이어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의 가능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변기(50)에서의 저수조(52)의 수위를 하강시키기 위한 배수제어수단은, 저수조의 상하방향중간부에 연결되어 통하는 제 1배수관(66a), 저수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통하는 제 2배수관(67a) 및 제 1, 제 2배수밸브(66b, 67b)로 구성하였다. 그러나, 도 10에 도시한 제 2실시형태와 같이, 배수제어수단을, 상기 저수조의 하부에 연결되어 통하는 제 2배수관(67a) 및 제 2배수밸브(67b)와, 저수조의 상하방향중간부에 설치한 배수수위센서(59a)로 구성해도 좋다. 즉, 상기 수위센서(59)와 같은 배수수위센서(59a)에 의해 저수(W)의 수면을 검지한 시점에서 제 2배수밸브(67b)를 일단 닫아, 방취변(57)을 개변하면서 저수(W)내에서의 볼(57a)의 부유에 따른 회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1, 도 12에 도시하는 제 3실시형태에서는, 대좌(80) 및 통기부(90)의 형상, 통기홀(54a) 및 세정장치(45)의 형상 및 배치 등이 상기 제 1실시형태와 다르다. 변좌(40)를 올려 놓는 대좌(80)는, 단면으로 볼 때 플랜지가 짧은 채널형상의 강재를 네모난 모양으로 조합하여 이루어진다. 그 하부에 원형의 상측개공(81a)을 갖는 개공원반(81)이 설치되고, 더욱이 이 개공원반(81)의 외주 및 급수환(56)의 외주 사이에 밀폐부재(82)가 설치되어 이들 사이가 밀폐되어 있다.
이 실시형태에서, 대좌(81)의 아래 표면에서의 상측개공(81a)의 좌우에 낙하검지센서(54a)의 발광부(54b)와 수광부(54c)를 복수개 각각 마주보게 배치함으로써, 발광부(54b)로부터 수광부(54c)에 이르는 복수의 광로(B)를, 베드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베드횡방향을 따라 배열하는 상태로, 변기(50)의 개구부 전체에 대하여 가로질러져 있다. 발광부(54b) 및 수광부(54c)는 각각 발광측신호선(54b'), 수광측신호선(54c')을 가지고 있다. 이 신호선들의 두께(分)만큼 인접하는 발광부(54b)끼리 또는 수광부(54c)끼리를 어긋나게 하여, 복수의 발광부(54b) 또는 수광부(54c)를 광로(B)에 대하여 사선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더욱이, 발광부(54b)의 열과 수광부(54c)의 열을 변기(50)의 중심축에 대하여 평면으로 볼 때 거의 점대칭으로 배치함으로써, 서로 대향하는 발광부(54b) 및 수광부(54c)의 광로(B)의 길이를 낙하검지센서(54a)의 열 전체에 있어서 거의 균일화하여, 낙하검지센서(54a) 열 전체의 감도를 안정시키고 있다.
세정장치(45)는 앞서의 실시형태와 동일하지만, 이 세정장치(45)를 개공원반(81)의 아래쪽에서 베드에 눕는 환자의 머리쪽에 설치하고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통기부(90)는, 환상으로 구성된 앞서의 실시형태와는 다르며, 환자의 둔부로 향하여 온풍을 한 쪽으로부터 화살표(Fa)와 같이 내뿜는 온풍부(90a)와, 밀폐부재(82)내의 악취를 한방향으로 흡인하는 흡기부(90b)를 구비한 것이다. 온풍부(90a)와 흡기부(90b)는 경계(90c)를 사이에 끼고 인접하고 있다. 온풍부(90a)에는 상기 송풍블로어(62b)와 송풍히터(62d)를, 그리고, 흡기부(90b)에는 상기 흡기블로어(62c)를 내장 또는 접속하고 있다. 이 통기부(90)는 개공원반(81)의 아래쪽에서 베드에 눕는 환자의 발쪽에 설치하여, 한 방향으로부터 둔부에 집중적으로 온풍을 맞게 하는 것으로, 제 1실시형태보다도 건조효율을 향상시키고 있다. 도면으로 이해되는 바와 같이, 이 세정장치(45) 및 환기부(90)는 상술한 광로(B)와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배치됨과 동시에 낙하검지센서(54a)와 거의 동일 위치에 배치하고, 이에 따라, 변기(50) 전체의 높이가 제 1실시형태보다도 낮게 억제되어 있다.
밀폐부재(82)는 세정장치(45), 통기부(90)의 수납부분만 잘려 없어지고, 밀폐부재(82)내는 외부와 적절하게 격리되어 있다. 따라서, 흡기부(90b)에 의한 악취의 흡인과 함께, 변기(50)내의 악취는 지극히 외부로 새기 어렵다. 또한, 온풍부(90a)와 흡기부(90b)를 상측개공(81a)의 전후에 걸치던가 흡기부(90b)를 제 1 실시형태와 같이 환상으로 구성하여, 온풍부(90a)에 의해 온풍이 내뿜어질 때에 흡기부(90b)에 의한 흡인을 동시에 실행함으로써, 온풍의 외부에 대한 누설도 막을 수 있다. 또, 공간상의 제약이 없으면, 세정장치(45)와 환기부(90)를 동일 측에 배치되어도 좋다.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실시형태는, 상기 제 3실시형태에 관한 변기(50)를 휠체어(200)에 설치한 것이다. 변좌(40)의 덮개(43)는 휠체어(200)에 걸터앉는 환자(H)에 대하여도 장착가능하고, 환자(H)의 이동 때에 있어서도 상술한 처리가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급수제어수단을, 제 2급수관(64a), 급수물밸브(64 b) 및 수위센서(59)에 의해 구성하였다. 그러나, 수위센서(59)를 생략하고, 그 대 신 급수시간을 재는 타이머수단이나 급수량을 계량하는 수량계를 설치하여 급수제어수단을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방취변(57)의 변체인 구체(57a)를 스테인레스제의 중공볼에 의해 구성하였다. 그러나, 이 구체(57a)는, 물보다 비중이 가볍고 표면에 부착된 배변 등이 떨어지기 쉽게 가공된 것이면 좋고, 예를 들면, 발포스티롤옥에 금속을 증착 등으로 하여 작성해도 좋다. 또한, 합성수지나 금속성의 중공구 표면에 테플론수지가공 등의 더러워짐을 떨어지기 쉽게 하는 가공을 하여도 좋다. 발명자의 실험에 의하면, 제작의 용이성, 내구성, 배변 등의 떨어지기 쉬운 점에서 스테인레스의 중공볼이 최적이었다.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세정수 등에 의해 낙하검지센서(54a), 세정장치(45) 및 통기부(55, 90)가 가능한 젖지 않도록, 이들을 변기본체(51)의 「상측」에 설치하였다. 세정수대책이 가능하면, 이들 각 구성요소를 변기본체(51)자체의「상부」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수세변기는, 간호용베드나 휠체어에 쓸 수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에 의한 이러한 수세변기는, 항공기나 철도등의 수세변기로서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Claims (10)
- 변기본체(51)와, 배수부(66a, 67a)와, 이들 변기본체(51) 및 배수부(66a, 67a)를 차단하는 방취변(57)을 구비한 수세변기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51)의 하부에 저수조(52)를 설치하여, 저수조(52)에 떠있는 구체(57a)와 변기본체(51)의 하측개구(51a) 근방에 위치하며 또한 상기 구체(57a)와 밀접가능한 환형상의 패킹(57b)으로 상기 방취변(57)을 구성하고, 상기 저수조(52)의 수위를 내려 상기 방취변(57)의 개변을 행할 수 있는 배수제어수단(66a, 67a, 66b, 67b, 59a)과, 상기 저수조의 수위를 올려 상기 방취변(57)의 폐변을 행할 수 있는 급수제어수단(64a, 64b, 59)를 구비한 수세변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기본체(51)의 상부에서 하부를 향하여 세정수를 흘리는 급수수단(56, 63a, 63b)을 설치하여, 상기 방취변(57)의 개변시에 상기 변기본체(51)의 하측개구(51a)로부터 세정수가 상기 구체(57a)에 흘러 내리는 수세변기.
- 제 1 항에 있어서, 변기본체(51)의 하측개구(51a)에 수위가 도달하기 전에 상기 구체(57a)와 패킹(57b)이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변기.
- 제 1 항에 있어서, 통상시에는 온풍을 내뿜고, 배변 중에는 악취를 흡인하는 통기부(55, 90)를 변기본체(51)의 상측 또는 상부에 배치되게 하는 수세변기.
- 제 4 항에 있어서, 변기본체(51)의 상측 또는 상부에 배변의 낙하를 검지하는 센서(54a)를 배치하여, 이 센서(54a)에 의해 배변의 낙하를 검지함으로써, 상기 배수제어수단(66a, 67a, 66b, 67b, 59a)에 의해 상기 방취변(57)의 개변를 행하여, 상기 급수수단(56, 63a, 63b)에 의해 세정수를 흘리며, 또한, 상기 통기부(55, 90)를 통하여 악취를 흡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변기.
- 제 1항에 있어서, 발광부(54b)로부터 수광부(54c)에 이르는 광로(B)를 차단함으로써 변기배변의 낙하를 검지하는 광센서(54a)를 본체(51)의 상측 또는 상부에 배치하여, 이 센서(54a)에 의해 배변의 낙하를 검지함으로써, 상기 배수제어수단(66a, 67a, 66b, 67b, 59a)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변기.
- 제 6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둔부를 향하여 한 방향에서 적어도 온풍을 내뿜는 통기부(90)와 상기 둔부의 세정장치(45)를 변기본체(51)의 상측 또는 상부에 설치하여, 상기 통기부(90)와 세정장치(45)를 상기 광로(B)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치함과 동시에 상기 센서(54a)와 거의 같은 높이 위치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변기.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제어수단(66a, 67a, 66b, 67b)이, 상기 저수조(52)의 높이방향 중간부에 접속된 제 1배수관(66a) 및 제 1밸브(66b)와, 상기 저수조(52)의 저부에 접속된 제 2배수관(67a) 및 제 2밸브(67b)를 구비하여, 제 1밸브(66b)의 개변후에 제 2밸브(67b)를 개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세변기.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세변기를 갖는 간호용베드(2)와, 이 간호용베드(2)의 하측에 재치하는 욕조(3)와, 상기 간호용베드(2)를 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9)을 구비한 간호용베드장치.
- 제 1항 내지 제 7항 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수세변기를 가지는 간호용베드(2)와, 이 간호용베드(2)의 하측에 재치하는 욕조(3)와, 상기 간호용베드(2)를 횡으로 이동시키는 이동수단(9)과, 환자를 들어 올리거나 또는 내리는 리프트(5)를 구비한 간호용베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8-305765 | 1996-10-30 | ||
JP30576596 | 1996-10-30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52808A true KR20000052808A (ko) | 2000-08-25 |
Family
ID=179490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703628A KR20000052808A (ko) | 1996-10-30 | 1997-10-29 | 수세변기 및 이를 구비한 간호용 베드장치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6128788A (ko) |
EP (1) | EP0953689A4 (ko) |
JP (1) | JP3080659B2 (ko) |
KR (1) | KR20000052808A (ko) |
WO (1) | WO1998019020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336435A1 (de) * | 2003-08-08 | 2005-03-03 | Braun Gmbh | Schaltungsanordnung zum induktiven Übertragen elektrischer Energie |
US20060260041A1 (en) * | 2005-05-17 | 2006-11-23 | Ohad Paz | Massage and bathing chair |
JP4520511B2 (ja) * | 2008-02-05 | 2010-08-04 | 稔 中村 | 人体仰臥用便器の検知システム |
KR100867194B1 (ko) * | 2008-04-08 | 2008-11-06 | 금호환경기계(주) | 욕조를 구비한 침대 |
US9234337B2 (en) * | 2010-10-19 | 2016-01-12 | Wcm Industries, Inc. | Foot-actuated drain stopper |
US8813272B2 (en) | 2010-10-19 | 2014-08-26 | Wcm Industries, Inc. | Device and method for concealing a flange of a waste water strainer |
US20180036473A1 (en) * | 2015-08-06 | 2018-02-08 | Whole Bath, LLC. | Remote-Controlled Medicine Delivery System |
US11253114B2 (en) | 2016-05-06 | 2022-02-22 | Whole Bath, Llc |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
WO2017193114A1 (en) | 2016-05-06 | 2017-11-09 | Whole Bath, Llc | A medicine delivery, wash, clean and air dry system |
WO2017193113A1 (en) | 2016-05-06 | 2017-11-09 | Whole Bath, Llc | A seat and cover system with medicine units |
US10563390B2 (en) | 2017-12-19 | 2020-02-18 | Whole Bath, Llc | Wash and clean apparatus |
US10869583B2 (en) | 2016-07-16 | 2020-12-22 | Whole Bath, Llc | Wash, clean and dry system with removable spray canister device |
US11458260B2 (en) | 2016-07-16 | 2022-10-04 | Bemis Manufacturing Company | Spray canister device with removable sleeved cover |
WO2017193112A1 (en) | 2016-05-06 | 2017-11-09 | Whole Bath, Llc | Dynamic drying mechanism for a wash and clean system |
CA3061241C (en) | 2016-05-06 | 2022-06-07 | Whole Bath, Llc | Spraying nozzle apparatus |
EP3496583B8 (en) | 2016-08-11 | 2022-09-07 | Bemis Manufacturing Company | A method and a wash system with a built-in cleanser assembly |
CN110236825B (zh) * | 2019-06-14 | 2021-06-15 | 吉林大学 | 一种失禁病人用医疗护理床 |
JP6765644B1 (ja) * | 2019-06-14 | 2020-10-07 | Toto株式会社 | 衛生洗浄装置 |
CN110464570B (zh) * | 2019-07-26 | 2024-10-01 | 南京云部智能科技有限公司 | 护理床用马桶、护理床及使用方法 |
US11857475B1 (en) | 2022-08-24 | 2024-01-02 | Diana M. Carrano | Detachable commode |
US12042102B1 (en) * | 2024-04-22 | 2024-07-23 | Burt H Shulman | Versatile commode chair apparatus enabling upright-to-lateral transition for sanitary care |
Family Cites Families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89495A (en) * | 1883-12-04 | Joseph bemfob | ||
GB191023540A (en) * | 1910-10-11 | 1910-12-08 | George Robbens |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Water Closets more especially applicable to those used on Shipboard. |
DK145808C (da) * | 1973-05-28 | 1983-08-22 | Glunz Og Jensen A S | Filmfremkaldelsesapparat |
JPS5022634U (ko) * | 1973-06-20 | 1975-03-13 | ||
JPS5367937A (en) * | 1976-11-29 | 1978-06-16 | Wataru Adachi | Selffsuction siphon toilet |
JPS5924479A (ja) * | 1982-08-02 | 1984-02-08 | Fuji Photo Film Co Ltd | 磁気デイスクカ−トリツジ |
JPS5924479U (ja) * | 1982-08-05 | 1984-02-15 | 玉崎 三衛 | ロ−ラ−付便器 |
JPH02104356A (ja) * | 1988-10-13 | 1990-04-17 | Tsuneo Yamamoto | 寝たきり病人用などの自動身辺介護装置 |
JPH0319077A (ja) * | 1989-06-16 | 1991-01-28 | Nec Corp | 薬剤受入方式 |
JPH0334357A (ja) * | 1989-06-29 | 1991-02-14 | Ibiden Co Ltd | 半導体搭載装置 |
US5077845A (en) * | 1989-10-20 | 1992-01-07 | Sanyo Electric Co., Ltd. | Bed with built-in commode |
JPH04210059A (ja) * | 1990-12-07 | 1992-07-31 | Aprica Kassai Inc | 介護設備 |
JP3019077U (ja) * | 1995-06-07 | 1995-12-05 | 三協フロンテア株式会社 | 介護設備システム |
JP3034357U (ja) * | 1996-03-07 | 1997-02-18 | 小堺産業株式会社 | 全自動水洗トイレ付介護ベッド |
-
1997
- 1997-10-29 WO PCT/JP1997/003938 patent/WO1998019020A1/ja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0-29 EP EP97909682A patent/EP0953689A4/en not_active Withdrawn
- 1997-10-29 US US09/297,023 patent/US6128788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97-10-29 KR KR1019990703628A patent/KR20000052808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7-10-29 JP JP10520297A patent/JP308065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3080659B2 (ja) | 2000-08-28 |
EP0953689A1 (en) | 1999-11-03 |
US6128788A (en) | 2000-10-10 |
EP0953689A4 (en) | 2000-03-01 |
WO1998019020A1 (fr) | 1998-05-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00052808A (ko) | 수세변기 및 이를 구비한 간호용 베드장치 | |
JP3329802B1 (ja) | 介護用ベッド | |
CN105832477B (zh) | 护理用排泄物处理装置 | |
KR100800266B1 (ko) |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 |
KR20210066409A (ko) | 반려동물용 배변판 | |
CN111067732A (zh) | 智能护理床 | |
KR20070006303A (ko) |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 |
JP2009045151A (ja) | 介護用ベッド装置 | |
KR200192559Y1 (ko) | 욕조 겸용 침대 | |
JP2001258956A (ja) | 万能介護ベッド | |
US6948201B2 (en) | Care bed used commonly for bathing and toileting | |
CN109464248B (zh) | 与病床结合为一体的医用便盆 | |
KR200370142Y1 (ko) | 환자용 침대의 좌변기 결합구조 | |
JP2006055589A (ja) | 電動、床ずれ予防ベットと全自動、水洗・排尿・排便・処理装置。 | |
JP2002121804A (ja) | 水洗トイレ及びこれを備えた介護用ベッド | |
KR200447310Y1 (ko) | 악취 제거 기능을 갖는 비데 | |
KR20200089201A (ko) | 자동 세정 배변장치 | |
KR20200002062A (ko) | 비데를 구비한 환자용 침대 | |
CN217593254U (zh) | 一种可翻转隐藏的护理机器人集便器工作头 | |
KR100307722B1 (ko) | 수세식변기가부착된피간호인용침대 | |
CN212308259U (zh) | 智能床机一体失能照护装置 | |
JPH10234788A (ja) | 介護用ベッド | |
JP3230279U (ja) | 排泄物処理装置 | |
TWM612306U (zh) | 免穿尿布之自動沖水洗澡床 | |
CN211214035U (zh) | 一种卧式护理床用大便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