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89201A - 자동 세정 배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 세정 배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89201A
KR20200089201A KR1020190006248A KR20190006248A KR20200089201A KR 20200089201 A KR20200089201 A KR 20200089201A KR 1020190006248 A KR1020190006248 A KR 1020190006248A KR 20190006248 A KR20190006248 A KR 20190006248A KR 20200089201 A KR20200089201 A KR 202000892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cleaning
defecation
washing water
automatic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0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원강
Original Assignee
백원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원강 filed Critical 백원강
Priority to KR102019000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89201A/ko
Publication of KR20200089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892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2Automatic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62Accessories for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7/00Wheeled lavat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05Devices adding disinfecting or deodorising agents to the bow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와, 상기 본체 상면의 개구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 형태의 배변기(10)와, 상기 배변기의 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구비한 자동 세정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변기를 세정 위치로 이동한 다음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배변기가 세정위치에 도착될 때, 상기 배변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오물이 배출되게 하면서 배변기 표면을 세정 및 건조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된 세정건조수단 및 세전 및 건조된 배변기 내면을 살균시키도록 본체 바닥에 제공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됨으로써, 본체 저면에 바퀴를 달아서 환자의 침대 밑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의자 밑으로 이동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로 하여금 배변, 배뇨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므로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게 된다. 또한, 배변기의 배변 및 배뇨를 세정수 분사 및 열풍처리가 배변장치 본체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외부에서는 전혀 볼 수 없어서 미관을 저해시키거나 환자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 세정 배변장치{Automatic Cleaning-Type Evacuation Apparatus}
본 발명은 자동세정 배변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침대나 의자 밑으로 이동 배치되어 이용자가 볼일을 본 다음 배변기가 이동되어 세정과 건조가 자동으로 수행되도록 개선된 구조의 자동 세정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중풍환자나 신체 마비 환자나 신체장애인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환자는 스스로 배변 또는 배뇨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간병인이나 보호자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그런데, 이런 환자의 배변, 배뇨에 의한 배설물의 뒷처리는 악취와 불쾌감을 줄 뿐만 아니라 세균 오염 및 전염의 문제가 있고, 최근에는 간병인의 인건비가 상승하여 보호자에게 상당한 경제적 부담을 지우게 되므로 환자의 배변과 배뇨 처리에 대한 개선책이 요망되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로서 한국 등록특허 제226079호(1999년07월23일 등록)에는, 침대에 누워서 배변, 배뇨를 가능하게 하도록 인체에 착탈 가능한 인체장착변기를 구비하는 인체장착변기부 팬티와 상기 팬티부에 연결되는 배설물을 외부로 배출 및 수집하여 일괄처리하고 용변 부위를 세정 및 건조시키는 처리 유니트로 구성된 인체장착 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에서는 환자가 인체장착변기부 팬티를 하루 종일 입고 있어야 하기 때문에 변기로 인한 이물감으로 불편을 초래하고 냄새 또는 습기로 인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6303호(2007년01월11일 공개)에는 배변기 장착을 위해 매트리스로부터 분리되는 배변기 대체부와 경사가 조절되는 등받이 부분을 구비하는 매트리스부, 상기 배변기 대체부 대신에 매트리스에 착탈가능하게 고정되는 착탈식 배변기, 다수의 관에 의해 상기 배변기에 연결되어 용변을 흡출해내고, 배변/배뇨후 인체를 세정 및 건조하는 배변 처리기 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기술의 배변기는 배변기의 오물이 연결관을 통해 배변조로 이동하게 되고, 연결관이 늘어져 외부에 노출되어 미관상 좋지 않으며, 그 연결관에는 오물이 잔류되어 냄새가 역류할 수도 있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비용이 증가되어 사용자의 비용부담이 큰 문제가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226079호(1999년07월23일 등록)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06303호(2007년01월11일 공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 배변기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배변기가 체인에 연결되어 배변 위치와 세정 위치로 이동가능하고, 배변기의 오물 배출을 위해 배변기가 경사진 상태에서 세정수에 의해 세정되면서 오물이 저수조로 배출됨과 함께 배변기가 건조된 다음 배변 위치로 자동으로 복귀되고, 배변기에서 배출된 오물이 수용된 저수조는 별도 배출, 처리를 위해 탈착가능하도록 개선된 자동 세정 배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세정 배변장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상면의 개구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 형태의 배변기와, 상기 배변기의 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구비한 자동 세정 배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를 세정 위치로 이동한 다음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배변기가 세정위치에 도착될 때, 상기 배변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오물이 배출되게 하면서 배변기 표면을 세정 및 건조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된 세정건조수단 및 세전 및 건조된 배변기 내면을 살균시키도록 본체 바닥에 제공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일측의 구동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에 의해 순환구동되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변기의 저면이 상기 전동수단에 제공된 연결축에 고정되어 전동수단과 함께 순환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변기가 고정된 전동수단은 구동스프로켓과 종동 스프로켓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과 벨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건조수단은 배변기내의 오물을 씻어 내리기 위한 복수개의 세정수 분사노즐과, 세정수 탱크로 부터 세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로의 세정수 공급을 위한 펌프,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저장조, 세정된 배변기를 건조하기 위한 복수개의 열풍 노즐과, 상기 노즐로의 열풍 공급을 위한 히터와 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본체의 측벽에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오물 배출을 위한 배변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가 제공되며, 상기 센서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펌프가 구동되어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이어서 히터와 팬이 작동하여 열풍이 세정된 배변기를 향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배변기에는 하측의 일측부에 내부에 용변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가 장착되고, 상기 센서에 의해 배변기내에 용변이 존재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모터에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스프로켓을 회전시켜서 배변기가 세정수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배변장치는 본체 저면에 바퀴를 달아서 환자의 침대 밑으로 이동하거나 혹은 의자 밑으로 이동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로 하여금 배변, 배뇨를 간편하고, 위생적으로 볼 수 있게 되어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구성을 단순화하여 제조비용이 절감되므로 사용자의 비용부담을 경감시키게 된다. 또한, 배변기의 배변 및 배뇨를 세정수 분사 및 열풍 처리가 배변장치 본체 내에서 이루어지므로 외부에서는 전혀 볼 수 없어서 미관을 저해시키거나 환자의 자존심을 상하게 하지 않게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세정 배변장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변장치에서 사용자가 용변을 본 사용상태 단면도.
도 3은 도 2에 이어서 배변기가 세정위치로 이동하여 세정 및 건조과정을 수행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4는 세정 및 건조된 배변기를 살균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세정 및 건조된 배변기를 살균한 다음 초기 배변 위치로 복귀하는 것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2에 있어서, 본 발명에 의한 자동 세정 배변장치는 본체(1)의 상면의 개구부(2)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 형태의 배변기(10)와, 상기 배변기를 세정 위치로 이동한 다음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세정 위치에서 상기 배변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오물이 배출되게 하면서 배변기 표면을 세정 및 건조하는 세정건조수단, 상기 세정위치에서의 세정시 세정수와 함께 배출되는 오물을 수용하는 오물 저장조 및 상기 세정건조수단으로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저수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자동 세정 배변장치는 도 2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를 침대 시트(5) 또는 의자 시트에 형성된 개구부의 하측으로 이동하여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이동수단은 일측의 구동스프로켓(20)과 종동 스프로켓(21)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전동수단으로서 두개의 이격된 체인(25)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변기(10)의 저면이 상기 체인(25)들에 연결축(26)에 고정되어 구동되는 체인과 함께, 도 2에서 우측으로 이동된다. 상기 구동스프로켓(20)은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모터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배변기(10)는 깔때기 형태로 상부가 확장되고 하부는 상대적으로 좁게 되며, 상기 본체(1)의 개구부에는 상기 배변기의 상단부의 직경 보다 작은 직경으로 하단이 배변기 보다 위에, 그러나 오물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게 가능한 배변기 상단에 근접하게 된 부분적인 깔때기 형상의 가이드부(1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세정건조수단은 복수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3개의 세정수 분사노즐(30)과 상기 분사노즐로의 세정수 공급을 위한 펌프(33),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저장조(35) 및 복수개,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2개의 열풍 노즐(36)로 세정된 배변기를 건조하기 위한 열풍 공급을 위한 히터(37)와 팬(3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세정수 분사노즐(30)들과 열풍 노즐(36)들은 상기한 이동수단으로서의 일측 구동스프로켓(20)의 측방에 배치되어서, 체인에 연결된 배변기가 일측의 구동 스프로켓(20) 측부를 지나는 동안에 경사지게 배치되고, 펌프(33)에 의해 세정수 저장조(35)로 부터 세정수가 호스(34)를 통해 공급되어 분사노즐(30)로 부터 경사지게 배치된 배변기 내면으로 분사공급되어서 세정수와 함께 오물이 함께 씻겨 내려갈 수 있게 된다. 이때 배변기에서 씻겨 내려가는 오물을 수용하기 위하여 경사진 배변기의 하측에 오물 저장조(40)가 본체(1)의 양측부에서 슬라이드가능하게 배치되어서 저장조(40)를 인출하여 별도 화장실에서 오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 분사노즐(30)의 작동후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히터(37)와 팬(38)이 작동하여 열풍 노즐(36)을 통해 열풍이 공급되어 세정된 배변기 내면을 건조시킨다.
상기 이동수단으로서의 체인(25) 하측의 본체 바닥에는 살균램프(50)가 상방으로 향해 설치되어서 체인에 의해 배변기가 내면이 하방으로 향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이동하는 배변기 내면을 살균한다.
도 2 내지 5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10)에는 하측의 일측부에 내부에 용변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11)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센서(11)에 의해 배변기내에 용변이 존재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모터에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스프로켓(20)을 회전시켜서 배변기가 세정수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측벽에도 센서(60)가 제공되어서 배변기가 세정위치로 이동한 것을 감지하여 출력된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세정수를 분사하기 위한 펌프(33)가 구동됨으로써 세정수 탱크(45)로 부터 세정수가 펌핑되어 경사지게 배치된 배변기에 분사되어 세정수에 의해 오물이 저장조(40)로 배출된 다음, 히터(37)와 팬(38)이 순차적으로 구동되어 열풍이 열풍 노즐을 통해 공급되어 세정수에 의해 세정된 배변기의 내측면을 건조시킨다.
그런 다음, 계속하여 이동되는 배변기는 도 4와 같이 뒤집혀진 상태로 이동하는 동안 살균램프(50)가 미리 설정된 시간 동안 작동하여 세정된 배변기 내측면을 살균처리한 다음, 도 2의 초기 위치로 복귀된다.
변형적으로, 상기 배변기에 제공된 센서 대신에, 수동 조작 버튼이 제공되어서 용변이 완료된 후에, 사용자 또는 간병인이 버튼을 눌러서 모터를 작동시켜 구동스프로켓의 회전에 의해 상기한 바와 같이 배변기가 이동하게 하고, 센서(60)에 의해 배변기의 위치가 확인될 때, 세정수 펌프, 히터와 팬 및 살균기가 순차적으로 제어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스프로켓에 의해 순환구동되는 전동수단으로서 실시예에서는 체인으로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벨트로도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환자 침대 밑이나 의자 밑에 이동 배치시켜 환자의 배변, 배뇨를 간편하게 볼 수 있도록 하고 자동 처리하는 자동 배변장치에 이용될 수 있다.
1 : 본체 10 : 배변기
11, 60 : 센서 20 : 구동스프로켓
21 : 종동 스프로켓 25 : 체인
30 : 분사노즐 33 : 펌프
33 : 저장조 36 : 열풍 노즐
37 : 히터 38 : 팬
40 : (오물) 저장조 45 : 세정수 탱크

Claims (6)

  1. 본체(1)와, 상기 본체 상면의 개구부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볼 형태의 배변기(10)와, 상기 배변기의 오물을 세정하는 세정수단을 구비한 자동 세정 배변장치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를 세정 위치로 이동한 다음 초기 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상기 배변기가 세정위치에 도착될 때, 상기 배변기에 세정수를 분사하여 오물이 배출되게 하면서 배변기 표면을 세정 및 건조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제공된 세정건조수단 및 세전 및 건조된 배변기 내면을 살균시키도록 본체 바닥에 제공된 살균램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배변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은 일측의 구동스프로켓(20)과 종동 스프로켓(21)에 의해 순환 구동되는 전동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배변기(10)의 저면이 상기 전동수단에 제공된 연결축(26)에 고정되어 전동수단과 함께 순환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배변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10)가 고정된 전동수단은 구동스프로켓(20)과 종동 스프로켓(21)에 의해 구동되는 체인과 벨트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배변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건조수단은 배변기내의 오물을 씻어 내리기 위한 복수개의 세정수 분사노즐(30)과, 세정수 탱크(45)로 부터 세정수를 펌핑하여 상기 분사노즐로의 세정수 공급을 위한 펌프(33), 세정수를 저장하는 세정수 저장조(35), 세정된 배변기를 건조하기 위한 복수개의 열풍 노즐(36)과, 상기 노즐로의 열풍 공급을 위한 히터(37)와 팬(3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배변장치.
  5. 제 1항 또는 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측벽에는 상기 이동수단에 의해 오물 배출을 위한 배변기의 이동을 감지하는 센서(60)가 제공되며, 상기 센서(60)의 출력신호에 응답하여 상기펌프(33)가 구동되어 분사노즐(30)을 통해 세정수가 분사되고, 이어서 히터(37)와 팬(38)이 작동하여 열풍이 세정된 배변기를 향해 공급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배변장치.
  6.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10)에는 하측의 일측부에 내부에 용변이 존재하는지를 감지하는 센서(11)가 장착되고, 상기 센서(11)에 의해 배변기내에 용변이 존재할 때, 미리 설정된 시간 경과후, 모터에 신호를 출력하여 구동스프로켓(20)을 회전시켜서 배변기가 세정수단을 향해 이동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세정 배변장치.
KR1020190006248A 2019-01-16 2019-01-16 자동 세정 배변장치 KR202000892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248A KR20200089201A (ko) 2019-01-16 2019-01-16 자동 세정 배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06248A KR20200089201A (ko) 2019-01-16 2019-01-16 자동 세정 배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89201A true KR20200089201A (ko) 2020-07-24

Family

ID=71892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06248A KR20200089201A (ko) 2019-01-16 2019-01-16 자동 세정 배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892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93A (ko) * 2020-12-14 2022-06-21 김종규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079B1 (ko) 1996-05-27 1999-10-15 가와모토데쯔쇼우 인체장착 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
KR20070006303A (ko) 2005-07-08 2007-01-11 이응재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26079B1 (ko) 1996-05-27 1999-10-15 가와모토데쯔쇼우 인체장착 변기부 배변, 배뇨 자동처리 팬티
KR20070006303A (ko) 2005-07-08 2007-01-11 이응재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4993A (ko) * 2020-12-14 2022-06-21 김종규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9889B1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컵유닛 분사노즐
KR100800266B1 (ko)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WO2018139424A1 (ja) 排泄物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00052808A (ko) 수세변기 및 이를 구비한 간호용 베드장치
KR20070006303A (ko)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20090029405A (ko) 와병 환자용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JPWO2005041829A1 (ja) 排泄物処理装置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20200089201A (ko) 자동 세정 배변장치
CN212166041U (zh) 一种多用于老人护理服务的护理床
KR20160097533A (ko) 자동배변 처리장치의 모드제어방법
KR101919769B1 (ko) 변좌 클린 장치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20100003849U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160097531A (ko) 전후이동가능한 연결배관을 구비한 자동배변 처리장치
JP4137313B2 (ja) 介護用ベッド装置
JP2014030511A (ja) 洗浄装置
JP6472071B2 (ja) 洗浄装置
JP5669368B2 (ja) 身体洗浄装置
JP2003319975A (ja) 車椅子型介護用トイレ
JPH08289906A (ja) 寝たきり用のベッドおよび看護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