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84993A -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 Google Patents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84993A
KR20220084993A KR1020210082809A KR20210082809A KR20220084993A KR 20220084993 A KR20220084993 A KR 20220084993A KR 1020210082809 A KR1020210082809 A KR 1020210082809A KR 20210082809 A KR20210082809 A KR 20210082809A KR 20220084993 A KR20220084993 A KR 20220084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washing water
guide
filth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28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20869B1 (ko
Inventor
김종규
김진회
Original Assignee
김종규
김진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규, 김진회 filed Critical 김종규
Priority to KR10202100828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0869B1/ko
Publication of KR20220084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49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0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0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2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1/00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refu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2Cleaning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9/00Cleaning hollow articles by 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to 
    • B08B9/08Cleaning containers, e.g. tanks
    • B08B9/093Cleaning containers, e.g. tanks by the force of jets or spr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0075Disposal of medical was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측으로 오물을 유도하는 가이드(110)가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수 분사부(200); 상기 가이드(110) 하측과 결합하여,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00); 를 포함하는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이다.

Description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Apparatus for disposal patient’s excreta and the disposal method using the apparatus}
본 발명은 병원, 요양원과 같은 의료 시설에서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와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001은 외부공압에 의해서 진공력을 발생시키는 공압식 진공발생부; 진공력을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오물을 흡입하는 오물흡입부; 오물을 수거하는 오물 수거부; 오물흡입부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세척수공급부; 외부공압과 전원을 분배 및 제어하는 제어부; 각부를 수용 및 지지하는 케이스; 를 포함하여, 거동이 불편한 노인이나 의식이 없는 환자의 배설물이나 구토물 등 오물을 공압방식으로 흡입하여 보다 편리하고 위생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환자 오물 처리용 흡입장치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2는 배설물 입력관과 연결되어 배설물이 유입되는 제1 룸; 제1 룸의 하부에 제1 룸과 통하도록 마련되며, 배설물이 낙하하여 수용되는 제2 룸; 제2 룸의 상부에 제2 룸과 통하도록 마련되며,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공기 배출관과 연결되는 제3 룸; 을 포함하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3은 환자가 착용하는 컵부, 컵부로부터 오물을 흡입하여 저장하고, 세정수와 건조용 공기를 분사하는 본체, 본체의 케이스와 착탈이 이루어지는 오물통을 포함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착탈구조에 있어서, 오물통에 고정되고, 본체와의 연결을 위한 제1 연결부; 본체의 케이스에 고정되고, 제1 연결부의 하단에 배치되며, 오물통의 제1 연결부와의 결합을 위한 제2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수직구조로 배치되어서 오물통이 상하부로 착탈될 때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는 자동으로 결합과 분리가 이루어지고, 제1 연결부와 제2 연결부를 통하여 오물과 악취가 오물통과 본체로 흡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착탈구조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특허문헌 004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싱; 케이싱의 측면에 형성되어 관로가 삽입되어 결합하는 관로 소켓; 케이싱 내부 일측에 위치하는 오물 저장부; 케잇이 내부 상단에 위치하는 세정수 저장부; 세정수 저장부의 측면에 위치하는 소독수 저장부; 오물 저장부의 측면 세정부 저장부와 소독서 저장부의 하면에 위치하는 작동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작동부는 오물 저장부에 진공을 공급하고, 세정수 저장부의 세정수를 가열 및 가압하여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소독수 저장부의 소독수를 가압하여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고, 공기를 가압하여 관로 소켓으로 공급하는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에 관한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KR 10-2011-0101681 A (2011년09월16일) KR 10- 2014-0133309 A (2014년11월19일) KR 10-2018-0126985 A (2018년11월28일) KR 10-1733445 B1 (2017년04월28일)
본 발명은 병원, 요양원과 같은 의료 시설에서 오물을 처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오물 투하 시에 발생되는 비산물에 의해 사용자의 손, 피부, 의류 등이 오염되는 상황을 하우징 내측에 배치되는 가이드에 의해 방지하여, 세척 및 의류 환복에 드는 시간적인 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구성을 내부에 배치하는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구성을 추가하여, 오물 처리장치가 설치되는 공간에 대한 제약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법규 변경 및 기타 요구사항으로 오염물 처리실 구조가 변경될 때에도 이동 설치가 용이하다.
또한 기존에 설치되었던 배관을 사용하여, 높은 호환성을 보유함과 동시에 사이펀 작용(Siphonage)에 의해 오염물이 비산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오물 처리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2는 오물 처리장치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제어부와 전원부를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제2 세척수 분사부에 대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전원부에 대한 복수의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오물 처리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7은 오물 처리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제2 세척수 분사부에 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도 9는 오물을 처리하는 공정에 대한 실시예를 나타낸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에서 인용하는 번호는 인용대상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모든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구성과 동일한 목적 및 효과를 발휘하는 대상은 균등한 치환대상에 해당된다. 실시예에서 제시한 상위개념은 기재하지 않은 하위개념 대상을 포함한다.
(실시예 1-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물 수용부(10)에서 투하되는 오물을 하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110)가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수 분사부(200); 상기 가이드(110) 하측과 결합하여,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00); 를 포함한다.
침대에 누워 생활하는 중환자, 신체장애자, 노인, 지체 부자유자 등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대소변과 같은 생리현상을 해결하는데 있어서 다수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환자의 인체와 접하거나 인체로부터 연장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수용부에 오물을 일시적으로 저장한 후, 폐기시에는 간병인이 수용부를 기존 구조로부터 이탈시켜 변기와 같은 별도의 폐기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이송하여 처리한다.
이 때, 종래의 폐기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사용되는 양변기는 도기로 형성된 보올(Bowl) 내측에 물이 항상 수용되는 구조가 일반적이며, 오물 처리시에 위치에너지를 갖는 높이에서 투하되는 오물이 물과 접촉하여 상측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상측으로 비산되는 물질은 환자의 질병에 따라 다양한 바이러스가 포함되었을 수 있으며, 병원, 요양원과 같은 의료 기관 내에서 물질에 포함된 바이러스의 2차 감염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물을 하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110)에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세척수 분사부(200)에 의해, 오물이 투하될 시에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1-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하측에 배치되어, 상기 하우징(100)을 지면으로부터 수평 이동시키는 이동부(120); 를 포함한다.
하우징(100) 하측에 배치되는 이동부(120)는 본 발명의 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 때, 이동부(120)는 하우징(100)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차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하우징(100)에 이동성을 부여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이동부(120)의 구조 또는 형상을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3)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의 일단은 상수도와 결합되어, 상기 가이드(110)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세척수 분사부(200)는 투입되는 오물을 하측으로 유도하는 가이드(110)에 세척수를 선택적으로 분사하는 구성이다.
이 때, 가이드(110)는 간병인과 같은 사용자가 오물을 투하할 시에 시각적, 후각적으로 감지할 수 있는 구성이므로, 항시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가이드(110)를 향하여 분사되는 유체는 수처리가 완료된 상태의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1-4)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300)의 일단은 하수도와 결합되어, 오물과 세척수의 혼합물을 배수하는 구조로 형성된다.
배수부(300)는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부에 배치되는 구성되어, 상측의 가이드(110)로부터 전달된 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구성이다.
이 때, 배수부(300)로 낙하되는 물질은 사용자가 가이드(110)로 투하한 오물과 세척수 분사부(200)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혼합물로, 환자의 바이러스 또는 인체에 해로운 균이 포함되는 물질로 형성된다. 따라서, 의료 시설 내의 정화조를 통과하는 하수도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2-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는 상단과 하단이 상호 연통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측의 개구부 단면적이 하측의 개구부 단면적보다 큰 값으로 형성된다.
가이드(110)는 하우징(100) 내에서 사용자가 투하하는 오물을 배출부(300)로 유도한다.
이 때, 가이드(110)의 상측 개구부는 사용자가 오물을 투입시키는 구성이며,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부는 투입된 오물을 배출부(300)로 낙하시키는 구성이다. 즉, 가이드(110)의 복수의 개구부는 상기한 기능을 원활하게 실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가이드(110)의 상측 개구부의 단면적이 작은 값으로 형성된다면, 사용자는 오물 수용부(10)의 개구부를 가이드(110)의 상측 개구부로 정밀하게 조준한 상태에서 오물을 낙하시켜야 한다. 다시 말하면, 잘못된 이동 또는 조준에 의해, 가이드(110)의 상측 개구부 외측으로 오물이 투하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부의 단면적이 지나치게 큰 값으로 형성된다면, 일정한 배수 용량을 갖는 배수부(300)에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부와 배수부(300) 사이에 평평한 구조의 단차가 형성됨에 따라, 배수부(300)로 배출되지 않는 오물이 가이드(110) 하측 개구부 주위에 잔존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 내에 배치되는 가이드(110)는 상광하협(上?下狹) 구조로 형성되어, 오물의 배출 용이성을 확보한다.
(실시예 2-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2-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는 하면과 측면이 소정 각도로 테이퍼진 형상으로 형성된다.
사용자에 의해 투하되는 오물은 하방으로 유도하는 가이드(110)와 충돌할 시에 일부가 상측으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가이드(110)의 상측에서 투하되는 오물의 높이에 의한 위치 에너지가 충격력으로 전환되어, 이에 대한 결과 값이 상측으로의 이동거리로 실현된다.
다시 말하면, 투하되는 오물의 위상과 가이드(110)와 충돌하는 위상의 차이 값에 따라 비산되는 높이 값이 비례하여 증감한다.
따라서, 일정한 경사로 테이퍼진 구조는 사용자가 오물을 투하하는 지점의 수평 변위에 의해 가이드(110)와 충돌하는 위상 값의 차이가 가변됨에 따라, 종래의 장치에서 오물을 투하했을 시에 발생했던 비산 방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3-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가이드(110)와 배수관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310); 를 포함한다.
배수부(300)는 가이드(110)에서 혼합된 오물과 세척수를 정화조가 연결된 하수도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이 때, 하수도로 오물을 배출하는 배수관은 외력에 의해 형상이 용이하게 가변되는 유연한 재질의 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일정한 직경 값을 갖는 원통형 형상의 배수관은 가이드(110)로부터 공급받는 오물 입자에 의해 유로가 차단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필터(310)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구성으로, 배수관 내부의 유로를 의도치 않게 폐쇄시킬 수 있는 오물 입자의 투입을 차단한다.
(실시예 3-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3-1에 있어서, 상기 필터(310)는 복수의 일정한 메시를 갖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복수의 메시를 갖는 망 구조로 형성되는 필터(310)는 필터(310)의 메시보다 큰 직경 값으로 이루어지는 오물 입자가 배수관으로 유입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따라서, 배수관의 유로 내에 비교적 큰 직경 값의 오물 입자가 축적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함에 따라, 배수부(300)의 배출 효율을 상승시킴과 동시에 배수부(300)에 대한 향상된 내구성을 확보할 수 있다.
(실시예 4-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1-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110)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분사시키는 제어부(400); 를 포함한다.
세척수 분사부(200)는 가이드(110) 측으로 유체를 분사하는 구성이다. 이 때, 가이드(110)는 상측 개구부에 의해 외부와 연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사용하지 않을 시에도 청결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때, 위생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세척수 분사부(200)가 가이드(110) 측으로 유체를 항시 분사하는 구조로 형성된다면, 세척수 분사부(200)에서 사용되는 전력과 분사되는 세척수가 과도하게 소비된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따라서, 세척수 분사부(200)는 분사되는 유체를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제어부(400)와 연동되어, 전력과 세척수로 사용되는 유체의 유량이 과소비되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4-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의 세척수 분사 여부를 판단하는 처리부(420); 상기 처리부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의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개폐부(4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4-3)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2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410)는 상수도와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 사이에 배치되는 밸브로 형성된다.
개폐부(410)는 상수도로부터 유체가 공급되는 제1 공급관(401)과 세척수 분사부(200)와 결합된 제2 공급관(402) 사이에 개재되는 구성이다. 즉, 제1 공급관(401)과 제2 공급관(402) 사이에서 유체가 흐르는 유로를 개방시키거나 차단하여, 세척수 분사부(200)의 세척수 분사 여부를 결정한다.
이 때, 개폐부(410)의 유로 개폐 여부는 처리부(420)에서 결정한다. 즉, 처리부(420)는 가이드(110)에 오물의 투하 여부를 판단하여, 개폐부(410)에 해당 명령을 하달한다.
이 때, 개폐부(410)는 복수의 공급관(401,402) 사이에서 유로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밸브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처리부(420)가 하달하는 명령에 의해 제1 공급관(401)과 제2 공급관(402) 사이에서 유체의 유로의 개폐 여부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 또는 형상이라면, 개폐부(410)의 구조를 별도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5-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0)와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4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부(500); 를 포함한다.
전원부(500)는 오물 투하 여부에 대한 데이터를 처리부(420)로 전송하는 구성이다. 즉, 전원부(500)에서 전달하는 데이터에 의해 처리부(420)는 가이드(110)의 오물 수용 여부를 판단한다.
다시 말하면, 전원부(500)는 전력의 세척수 분사부(200)의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데이터를 취득하여, 처리부(420)로 전달한다.
(실시예 5-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500)는 주변을 감지하는 센서부(510); 를 포함한다.
(실시예 5-3)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510)는 하우징(100)의 전면에 배치되며,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라이다(LIDAR) 센서 중 하나의 센서로 형성된다.
전원부(500)는 처리부에 취득 데이터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하우징(100) 주위에서 사용자의 존재 유무를 판단하여 처리부(420)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다.
이 때, 전원부(500)는 사용자가 오물 투하 위치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감지하는 센서부(510)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500)가 센서부(510)로 형성됨에 따라, 사용자가 별도로 전원부(500)에 특정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개폐부(410)에 의해 복수의 공급관(401,402)으로 형성된 세척수 분사 유로를 개방시킬 수 있다.
센서부(5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동작 감지 센서, 사용자의 인체 내에서 발생하는 열량을 감지하는 열 감지 센서, 펄스 레이저가 사용자의 인체에 방출하여 되돌아오는 반사파의 시간과 강도를 측정하는 라이다 센서와 같은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5-4)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2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5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센서부(510)가 하우징(100)의 전면과 동일한 면방향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한다면, 하우징(100) 주변에 대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가 상대적으로 넓어진다. 즉, 본 발명의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세척수 분사 유로가 의도치 않게 개방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기 위해 접근하는 사용자의 움직임만 감지할 수 있도록,센서부(510)는 하우징(100) 전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5-5)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4-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500)는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스위치(520); 를 포함한다.
전원부(500)는 사용자가 기계적 또는 전기적으로 처리부에 신호를 입력하는 스위치(520)로 형성될 수 있다. 전원부(500)가 스위치(520)로 형성됨에 따라, 세척수 분사부(200)가 활성화되는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510)로 이루어지는 전원부(500)는 사용자가 하우징(100) 주변에 위치하지 않은 상태에서 센서의 오작동으로 세척수 분사부(200)가 활성화될 수 있다. 이는 사용자가 아닌 다른 사람이 하우징(100) 주변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스위치(520)로 이루어지는 전원부(500)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따라, 세척수 분사부(200)의 오작동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6-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5-1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는 상기 가이드(110)의 내면을 따라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세척수 분사부(210); 상기 가이드(110)의 외측에서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 를 포함한다.
세척수 분사부(200)는 오물 수용부(10)에서 낙하하는 오물과 물리적으로 접하는 구성에 유체를 분사하여 세척을 실시하는 구성이다.
제1 세척수 분사부(210)는 가이드(110)의 상측에서 내면을 따라 유체를 분사하여, 사용자가 가이드(110)로 투하하는 오물이 하우징(100) 내에 잔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가이드(110)의 외측에서 유체를 분사하는 구성으로, 사용자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의 선단부에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을 위치시킨다. 즉,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가이드(110)로의 오물 투하가 완료된 오물 수용부(10)에 잔존하는 이물질을 제거하여, 사용자에게 세척이 완료된 오물 수용부(10)를 제공한다.
(실시예 6-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전원부(500)는 상기 제1 세척수 분사부(210)로 분사 신호를 전달하는 제1 전원부;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로 분사 신호를 전달하는 제2 전원부; 를 포함한다.
(실시예 6-3)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2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원부는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센서로 형성된다.
가이드(110)의 내면을 따라 유체를 분사하는 제1 세척수 분사부(210)와 오물 수용부(10)를 세척하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전원부(500)에서 취득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활성화된다.
따라서, 전원부(500)는 복수의 세척수 분사부(210,220)를 각각 활성화시키는 복수의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을 세척하는 구조적인 특성상, 세척 시에 사용자는 오물 수용부(10)를 제2 세척수 분사부(220) 주변에 위치시킨다.
따라서, 제2 세척수 분사부(220)에 대한 활성화 데이터를 취득하는 제2 전원부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의 선단부에 배치되는 센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6-1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110) 상측에 배치되어, 오물 수용부(10)의 위치를 고정하여 상하 반전시키는 파지부(600); 를 포함한다.
파지부(600)는 오물 수용부(10)의 외주부를 파지하여 상하 반전시키는 구성이다. 즉, 고정된 오물 수용부(10)를 상하 반전시켜, 오물 수용부(10) 내측에 수용된 오물을 가이드(110)로 낙하시킨다.
따라서, 파지부(600)는 하우징(100) 내부에서 가이드(110) 상측에 위치하여, 상기한 오물 투하 기능을 실현함과 동시에 사용자가 직접 오물을 가이드(110)로 투하하는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실시예 7-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600)는 오물 수용부(10)의 외주부에 밀착되는 거치대(610); 상기 거치대(610)를 180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620); 를 포함한다.
거치대(610)는 오물 수용부(10)의 외주부를 파지하는 구성이다. 즉, 오물 수용부(10)의 위치를 가이드(110) 상측 개구부 공간의 일점에 고정시킨다. 거치대(610)에 고정된 오물 수용부(10)는 회전 수단(620)에 의해 상하 반전되어, 내측에 수용되었던 오물을 가이드(110)로 낙하시킨다.
즉, 사용자는 거치대(610) 내측에 오물 수용부(10)를 파지시키는 과정만을 수행함에 따라, 오물의 비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실시예 7-3)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2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상기 가이드(110) 하측에 배치되며,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110) 하측 개구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된다.
가이드(110)로 오물 투하가 완료된 오물 수용부(10)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진다.
상하가 반전된 오물 수용부(10)는 기존에 수용되었던 오물이 가이드(110)의 내면을 타고 배수부(300)로 투입된다.
이 때,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가이드(110)와 배수부(300) 사이에서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물이 가이드(110)의 내면을 따라 배수부(300)로 투하될 시에는 도 7과 같이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부 외측에 배치된다. 즉, 오물이 배수부(300)로 투하되는 경로와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배치된다.
오물이 배수부(300)로 투하된 후에는 도 8과 같이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가이드(110)의 하측 개구부로 돌출되어, 가이드(110) 상측에 배치된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을 세척한다.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선택적으로 돌출되는 구조는 일단에 직선 왕복운동을 수행하는 액추에이터에 의해 실현될 수 있으나, 상기한 기능을 수행하는 범위 내에서 별도의 구조 또는 형상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7-4)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221); 상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222); 를 포함한다.
환자의 오물을 내측에 수용하는 오물 수용부(10)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에 의해 내부가 세척된다. 이는 가이드(110)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221)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이 때, 살균부(222)는 복수의 노즐(221)이 세척수를 분사하는 방향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따라서, 오물 수용부(10)의 내벽은 복수의 노즐(221)에 의해 세척이 수행됨과 동시에 살균부(222)에 의해 잔존하는 미생물을 사멸시킬 수 있다.
살균부(222)가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대는 별도로 한정하지 않으나, 상대적으로 살균력이 높은 250 내지 260 나노미터(nm) 대역의 자외선을 조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 7-5)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3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0)은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덮개(130); 를 포함한다.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을 세척하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구조적인 특성상, 가이드(110)의 상측 개구부를 통하여 세척수가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100)의 상측에는 내부에 배치되는 가이드(110), 세척수 분사부(200), 파지부(600)를 외부에 노출시키지 않는 별도의 덮개(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덮개(130)는 하우징(100)의 상면 내에 배치되는 임의의 선을 기준으로 힌지 결합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 8-1)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7-1에 있어서, 사용자가 오물 수용부(10)를 상기 파지부(6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00); 파지부(600)가 오물 수용부(10)를 상하 반전시키는 단계(S200); 상기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300);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400); 오물 수용부(10) 내측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단계(S500); 파지부(600)가 오물 수용부(10)를 재반전시키는 단계(S600); 사용자가 오물 수용부(10)를 상기 파지부(600)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S700); 를 포함한다.
먼저, 사용자가 오물이 저장된 오물 수용부(10)를 투입시키는 단계(S100)가 실시된다. 본 단계에서는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된 파지부(600)에 오물 수용부(10)를 고정시킨다.
이후에 파지부(600)는 오물 수용부(10)를 180도 반전시키는 단계(S200)가 수행된다. 오물 수용부(10)의 외주부를 밀착하여 고정시키는 거치대(610)는 일단에 축결합되는 회전 수단(620)에 의해 오물 수용부(10)를 뒤집는다.
가이드(110)의 내면을 따라 오물이 배수부(300)로 투하된다면,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300)가 실시된다. 가이드(110) 내면에 잔존하는 오물은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분사하는 세척수에 의해 전량이 배수부(300)로 투하된다.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400)에서는 복수의 노즐(221)이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함에 따라, 가이드(110) 상측에 배치되는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을 세척한다.
오물 수용부 내측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단계(S500)에서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의 살균부(222)가 상측으로 특정 파장대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오물 수용부(10) 내측에 대한 살균이 실시된다.
상기한 공정이 완료되었다면, 파지부(600)가 오물 수용부(10)를 재반전시키는 단계(S600)가 수행된다. 본 단계에서는 회전 수단(620)에 의해 상하 반전된 오물 수용부(10)를 재반전시켜, 사용자가 투입했던 위치로 복귀한다.
사용자는 오물 수용부를 하우징(100)에서 이탈시키는 단계(S700)를 실시함에 따라, 오물 처리 공정을 마무리한다.
(실시예 8-2)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300)는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세척수를 1차 분사하는 단계(S310);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세척수를 2차 분사하는 단계(S320); 를 포함한다.
가이드(110)의 내면을 따라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세척수 분사부(210)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400)의 이전과 이후에 모두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이는 오물 수용부(10)가 상하 반전됨에 따라 가이드(110)의 내면에 잔존하는 오물이 제1 세척수 분사부(210)에 의해 배수부(300)로 투하되었더라도, 제2 세척수 분사부(220)에서 분사하는 세척수에 의해 오물 수용부(10) 내측의 오물이 가이드(110) 내면으로 재차 투하될 수 있는 경우를 대비하기 위함이다.
(실시예 8-3) 본 발명은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를 이용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며, 실시예 8-1에 있어서, 상기 오물 수용부(10)를 상기 파지부(6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00) 이후에는 상기 하우징(100)의 내측이 밀폐되었는지 판단하는 단계(S800); 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의 내측이 외부로부터 완벽하게 차단되지 않았을 시에는 파지부(600)가 오물 수용부(10)를 회전시키지 않는 구조로 형성됨에 따라, 가이드(110) 상측 개구부를 통하여 오물이 외부로 비산되는 현상을 방지한다.
100 : 하우징
110 : 가이드 120 : 이동부
130 : 덮개
200 : 세척수 분사부
210 : 제1 세척수 분사부 220 : 제2 세척수 분사부
221 : 노즐 222 : 살균부
300 : 배수부
400 : 제어부 401 : 제1 공급관
402 : 제2 공급관 410 : 개폐부
420 : 처리부
500 : 전원부
510 : 전방 감지 센서 520 : 스위치
600 : 파지부 610 : 거치대
620 : 회전수단

Claims (3)

  1. 오물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고, 오물 수용부(10)에서 투하되는 오물을 유도하는 가이드(110)가 내측에 배치되는 하우징(100);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가이드(110)에 유체를 공급하는 세척수 분사부(200);
    상기 가이드(110) 하측과 결합하여, 오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300);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와 연동되어, 상기 가이드(110)에 선택적으로 유체를 분사시키는 제어부(400);
    상기 제어부(400)와 연동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400)에 신호를 전달하는 전원부(500);
    상기 하우징(100) 내측에 배치되어, 오물 수용부(10)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파지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100)은
    내측을 선택적으로 개방하는 덮개(130);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500)는 주변을 감지하는 센서부(510);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부(400)를 활성화시키는 스위치(520);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부(510)는 상기 하우징(100)의 전면에서 하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110)는
    상단과 하단이 상호 연통된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100)의 내면과 소정 각도로 테이퍼진 구조로 형성되어, 상측의 개구부 단면적이 하측의 개구부 단면적보다 큰 값으로 형성되고,
    상기 세척수 분사부(200)는
    상기 가이드(110)의 내면을 따라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1 세척수 분사부(210);
    상기 가이드(110)의 하단부 외측에서 상측을 향하여 세척수를 분사하는 제2 세척수 분사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파지부(600)는
    오물 수용부(10)의 외주부에 밀착되는 거치대(610);
    상기 거치대(610)를 180도 회전시키는 회전 수단(620);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는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복수의 노즐(221);
    상측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살균부(222);를 포함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가이드(110)의 하단 개구부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는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수부(300)는,
    상기 가이드(110)와 배수관 사이에 개재되는 필터(310); 를 포함하는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오물을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오물 수용부(10)를 상기 파지부(600)에 고정시키는 단계(S100);
    상기 파지부(600)가 상기 오물 수용부(10)를 상하 반전시키는 단계(S200);
    상기 제1 세척수 분사부(210)가 상기 가이드(110)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300);
    상기 제2 세척수 분사부(220)가 상기 오물 수용부(10)의 내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단계(S400);
    상기 오물 수용부(10) 내측에 자외선이 조사되는 단계(S500);
    상기 파지부(600)가 상기 오물 수용부(10)를 재반전시키는 단계(S600);
    사용자가 상기 오물 수용부(10)를 상기 파지부(600)로부터 이탈시키는 단계(S700); 를 포함하는 오물 처리방법.
KR1020210082809A 2020-12-14 2021-06-25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KR102520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2809A KR102520869B1 (ko) 2020-12-14 2021-06-25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4179 2020-12-14
KR1020210082809A KR102520869B1 (ko) 2020-12-14 2021-06-25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4179 Division 2020-12-14 2020-12-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4993A true KR20220084993A (ko) 2022-06-21
KR102520869B1 KR102520869B1 (ko) 2023-04-11

Family

ID=82221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2809A KR102520869B1 (ko) 2020-12-14 2021-06-25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2086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81A (ko) 2010-03-09 2011-09-16 도래미정밀 (주) 환자 오물 처리용 흡입장치
KR20140133309A (ko) 2013-05-10 2014-11-19 주식회사 큐라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
KR101733445B1 (ko) 2015-09-29 2017-05-10 (주)우경메디텍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KR20180126985A (ko) 2017-05-19 2018-11-28 (주)우경메디텍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용 오물통 착탈구조
CN208464740U (zh) * 2018-01-23 2019-02-05 日照市中医医院 一种检验科尿液样本快速处理装置
CN210331167U (zh) * 2019-05-08 2020-04-17 张霞 一种消化系统护理用呕吐收集装置
KR102121271B1 (ko) * 2019-08-22 2020-06-10 (주)바이오제네시스 변기에 설치되는 소변 검사 장치 및 소변 검사용 변기 시트
KR20200089201A (ko) * 2019-01-16 2020-07-24 백원강 자동 세정 배변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1681A (ko) 2010-03-09 2011-09-16 도래미정밀 (주) 환자 오물 처리용 흡입장치
KR20140133309A (ko) 2013-05-10 2014-11-19 주식회사 큐라코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
KR101733445B1 (ko) 2015-09-29 2017-05-10 (주)우경메디텍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KR20180126985A (ko) 2017-05-19 2018-11-28 (주)우경메디텍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용 오물통 착탈구조
CN208464740U (zh) * 2018-01-23 2019-02-05 日照市中医医院 一种检验科尿液样本快速处理装置
KR20200089201A (ko) * 2019-01-16 2020-07-24 백원강 자동 세정 배변장치
CN210331167U (zh) * 2019-05-08 2020-04-17 张霞 一种消化系统护理用呕吐收集装置
KR102121271B1 (ko) * 2019-08-22 2020-06-10 (주)바이오제네시스 변기에 설치되는 소변 검사 장치 및 소변 검사용 변기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20869B1 (ko) 2023-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260140A1 (en) Self-cleansing portable urine collection device
CN103945873A (zh) 用于处理用于人类排泄物的容器的清洁和消毒设备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KR101947797B1 (ko) 배설물 자동 처리장치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100496439B1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100893733B1 (ko) 안전장치를 구비한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KR102075301B1 (ko) 환자용 배설물 용변기 및 용변기의 배설물 처리장치
CN112932980B (zh) 一种消化内科患者呕吐用呕吐物处理装置
KR102520869B1 (ko) 의료용 오물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오물 처리방법
CN114521138A (zh) 排泄物自动处理装置
WO2015183209A1 (en) A cleaning device for bedridden patients
KR100924812B1 (ko) 배설물 처리장치 및 처리방법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20140133309A (ko) 자동 배설물 처리장치용 오물통
JP6481001B2 (ja) 医療・介護用容器の処理装置
KR100963234B1 (ko) 환자 배설물 자동처리장치의 오물통 위치 고정장치
KR102047780B1 (ko) 오염물의 세정 및 배출장치
JP2019058273A (ja) 医療・介護用容器の処理装置
KR20110101681A (ko) 환자 오물 처리용 흡입장치
KR101733445B1 (ko) 배설물 자동 처리 장치용 본체 모듈
KR200485598Y1 (ko) 대소변 처리장치의 세척기
KR102475031B1 (ko) 내장형(Built in) 스마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KR20190092186A (ko) 자동 대소변 채집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