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55105B1 -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 Google Patents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55105B1
KR100955105B1 KR1020080054364A KR20080054364A KR100955105B1 KR 100955105 B1 KR100955105 B1 KR 100955105B1 KR 1020080054364 A KR1020080054364 A KR 1020080054364A KR 20080054364 A KR20080054364 A KR 20080054364A KR 100955105 B1 KR100955105 B1 KR 1009551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toilet
water
water supply
bow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8280A (ko
Inventor
정인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콤슨테크놀러지
Priority to KR10200800543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55105B1/ko
Priority to PCT/KR2009/003129 priority patent/WO2009151283A2/ko
Publication of KR20090128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8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551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551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with toilet conveniences,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with toil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9/00Bed-pans, urinals or other sanitary devices for bed-ridden persons; Cleaning devices therefor, e.g. combined with toilet-urinals
    • A61G9/003Bed-pa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Nursing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는 환자의 침대에 설치되는 용변구에 설치된 배변기와, 상기 배변기와 대소변 흡입호스와 연결되는 배변통과, 상기 배변통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2진공흡입펌프들을 구비한 흡입수단과, 상기 배변기에 소변 또는 대변 시 세척 및 배출을 위한 물공급수단과, 상기 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배변기와 환자의 국부를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다.
Figure R1020080054364
환자, 대변, 소변, 처리, 배변통, 급수통

Description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Automatic Excretion Cleaner}
본 발명은 환자용 배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중증 장애인의 배설물을 침대에서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처리 할 수 있는 환자용 배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침대에서 내려올 수 없는 환자가 배설하고자 할 때에는 간병인이나 간호원의 도움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환자는 심리적으로 부담감이 커지게 되고, 보호자와 간병인 또한 부담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유럽 특허공개 제05580077호에는 환자의 스위치조작으로 시트의 각도가 전환된 상태에서 배설이 가능하도록 된 침대가 제안되었다. 이 구조에 의하면 환자 혼자서 배설작업이 가능한 효과는 있었으나, 그 구조 및 취급이 매우 복잡하여 전문지식이 없는 환자가 혼자서 취급하기 어려우므로 이의 이용을 기피하고 있다.
국내 실용신안 공고번호 제99-121581호(1999.3.20 공고)에는 환자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실용신안 등록 제 20-0222921호에는 변기가 부착된 환자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특허공개 제 2000-0058591호에는 환자용 침대가 개시되어 있으며, 등록특허 제 0168326호에는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리고 특허 등록 제 0168326호에는 환자용 침대에 조립된 배설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배설장치는 환자용 침대에 조립되며, 비 사용시에는 침대의 바닥부분과 거의 동일한 높이로 되고, 배설시에는 변기부를 하측에서 밀어 올려 변기의 사용 가능한 위치까지 상하이동 시키는 승강장치를 구비하며, 상기 변기의 정점에는 침대의 바닥면과 동일한 연결매트를 구비하고, 또한 변기를 덮는 덮개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배설장치는 환자의 거동이 어려운 환자에게는 적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의식 있고 침대에서 움직일 수 없는 환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간단한 조작으로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 할 수 있는 침대 겸용 환자용 배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의식이 없는 치매 환자 이거나 항문 괄약근 약화 등의 신체의 병적인 문제로 등으로 기저귀를 항상 착용 할 경우 기저귀 대신 착용대를 착용 함으로써 자동 센서 감지기기가 자동으로 작동 또는 유무선 리모컨작동으로 대 소변 등 오물을 빨아 들이고, 항문 등 환부를 물로 세척 한 후 항문 등 국부에 마른 공기로 말려 주고 다시 환자의 대,소변 센서를 감지 하는 대기 상태로 돌아 갈 수 있는 침대 겸용 환자용 배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사용이 간편하고,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환자용 배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의식이 없는 환자의 배설물을 처리 할 수 있으며, 오존수 및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하여 소독 및 냄새의 제거가 가능한 환자용 배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환자용 배변장치는 환자의 침대에 설치되는 용변구에 설치된 배변기와, 상기 배변기와 대소변흡입호스와 연결되는 배변통과, 상기 배변통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2진공흡입펌프들을 구비한 흡입수단과, 상기 배변기에 소변 또는 대변 시 세척 및 배출을 위한 물공급수단과, 상기 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 또는 흡입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배변기와 환자의 국부를 소독하는 살균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변기는 환자 침대의 매트리스의 하부 또는 매트리스에 형성된 용변구에 배변기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하며, 배변기의 내측에는 환자의 배변 유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물공급수단은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과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로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와, 상기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기 위한 버블 발생기를 구비한다.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제 1,2진공흡입펌프들의 적어도 일측의 토출구와 급 수관이 연결수단에 의해 연결된 토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관에는 오존 발생기가 설치된다.
대안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환자용 배변장치는 환자가 착용하는 배변착용대와, 상기 배변착용대와 대소변흡입호스와 연결되는 배변통과, 상기 배변통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2진공흡입펌프들을 구비한 흡입수단과, 상기 배변착용대에 소변 또는 배변 시 세척 및 배출을 위한 물공급수단과, 상기 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 또는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배변착용대와 환자의 국부를 소독하는 살균수단을 구비하여 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배변착용대에는 물공급수단의 급수관과 연결되어 물을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노즐들과, 배변 착용대에 소변 또는 대변의 유입여부를 감지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배변장치는 고령화 사회가 되면서, 배뇨, 배변처리에 장애를 가진 환자 즉, 치매, 와상장애인, 중증환자들이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어 간병인의 고통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사용이 간편하고 실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배변착용대를 이용한 배변처리장치는 일회용 기저귀의 사용으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있으며, 특히 환자들의 수치심과 환자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자들의 사회적 경제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어 상품적 가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배뇨 배변의 장애를 가진 노인, 장애인(치매, 와상장애인, 중증환자) 중환자 등의 소변과 대변을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환자용 배변장치(10)는 환자의 침대(200)에 설치되는 용변구(201)에 설치된 배변기(20)와, 상기 배변기(20)와 대소변흡입호스(21)와 연결되는 배변통(30)과, 상기 배변통(30)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2진공흡입펌프(41)(42)들을 구비한 흡입수단(40)과, 상기 배변기(20)에 소변 또는 배변 시 세척 및 배출을 위한 물공급수단(50)과, 상기 물공급수단에 의해 배변기와 환자의 국부를 공급되는 물을 이용하여 소독하기 위한 살균수단(60)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환자용 배변장치(10)를 구성요소별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침대(200)는 2단 또는 3단 접이 침대의 매트리스(202) 중앙부위에 용변구(201)가 형성되고, 이 용변구(201)의 하부측에 뚜껑(20a)을 구비한 배변기(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용변구(201)는 별도의 매트커버(미도시)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침대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환자가 눕거나 앉아 소변과 대변을 볼 수 있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나 가능하다. 상기 배변기(20)는 침대(200)의 매트리스 하부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분할된 매트리스의 일부가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배변기(20)가 노출되거나 감추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침대의 매트리스에는 살균을 위하여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여기되는 광촉매가 코팅 되거나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배변기(20)는 상기 침대(200)의 프레임에 설치되거나 매트리스(202)의 하부에 설치되어 환자들로부터 소변과 대변을 받아 낼 수 있는 것으로, 소변과 대변을 받을 수 있는 내부공간부(22)와 내부 공간부(22)와 연통되는 배출구(24)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20)에는 후술하는 급수관이 연결되어 내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노즐 즉, 물의 배출구(24)와 환자의 항문등의 국부를 세척하기 위한 세척노즐(25)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배변기(20)의 내주면과 피부와 접촉되는 좌대측에는 변 또는 소변의 세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별도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살균을 위하여 상기 자외선 또는 적외선에 의해 여기되는 광촉매가 코팅될 수 있다. 특히 배변기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경우 사출 시 은 나노 분말이 혼합사출시킴으로써 살균력을 가질 수 있도록 제작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20)의 내부에는 소변 또는 대변의 유입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검출수단(26)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검출수단(26)은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배변기(20)에 소정간격 이격되게 설치되는 단자들의 쇼트여부를 감지하여 센싱할 수 있는 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배변기(20)는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침대의 형상, 환자의 상태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작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배변기(20)에는 환자의 피부와 직접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종이 또는 천으로 이루어진 시트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흡입수단(40)은 케이스(11)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배변기(20)의 내부 공간부(22)로 유입되는 소변과 대변을 상기 배출구(24)와 대소변흡입호스(21)와 연결된 배변통(30)에 진공흡입력을 제공하여 상기 배변기(20)의 내부 공간부(22)로 유입되는 대변과 소변을 상기 배변통(30)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흡입수단(40)은 배변통(30)의 상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커버부재(31)에 설치되는 제1필터 유니트(32)와, 상기 제 1필터 유니트(32)가 설치된 커버부재(31)와 제1연결관(33)에 의해 연결되는 제 2필터유니트(34)를 구비한다. 상기 제 1,2필터 유니트(32)(34)는 각각 상기 배변통(30)으로부터 공기의 흡입 시 악취를 제거하기 위한 오존분해필터, 활성탄필터, 백금촉매필터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진다. 특히 상기 제 2필터 유니트(34)에는 냄새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냄새 제거수단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이 냄새제거수단은 오존을 이용하여 분해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필터 유니트(34)는 분기관(35)들에 의해 연결되는 제 1,2진공흡입펌프(41)(42)들을 구비한다. 상기 제 1,2진공흡입펌프(41)(42)는 시로코팬 이나 임펠러를 이용한 송풍팬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디퓨전 펌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배변통(30)은 제 1필터 유니트(32)가 설치된 커버부재(31)에 의해 개구가 밀폐된 밀폐용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밀폐용기에는 대소변 흡입호스(21)가 내부와 연통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배변통(30)에는 대소변의 유입으로 인한 레벨을 측정하기 위한 수위 측정센서(36)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수위 측정센서(36)는 적외선 센서, 근접센서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변통(30)에는 대소변의 수위를 감지하기 위한 사이트 글라스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배출을 위한 적정수위에 도달하였을 경우 수위측정센서로부터 전달되는 신호을 감지한 후 제어부(300)에 의해 별도의 인식수단(미도시)을 구동시킬 수 있다. 상기 인식수단은 점멸램프 또는 알람발생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물공급수단(50)은 상기 대소변이 유입된 배변기(20)에 대변과 소변을 배변통(30)으로 배출함과 아울러 배변기(20)의 내부공간부(22)를 세척 및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51)과, 상기 급수통(51)과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20)로 물을 공급하기 위해 배변기와 연결되는 급수관(52)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급수관(52)에는 급수통(51)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53)과, 물을 펌핑하기 위한 펌프(54)와, 상기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기 위한 버블 발생기(55)가 설치된다.
상기 급수통(51)에는 물의 저장량을 감지하기 위한 별도의 수위감지센서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수단(53)은 상기 급수통(51)으로부터 배출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것으로, 챔버(53a)와, 상기 챔버(53a)에 설치되는 히터(53b)와, 상기 히터(53b)에 의해 가열된 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감지센서(53c)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단(60)은 제 1진공흡입펌프(42)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가열함과 아울러 오존을 포함시켜 배변기(20)를 살균 및 소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 1,2진공흡입펌프(41)(42)들의 적어도 일측의 토출구와 상기 배변기(20)와 연결된 급수관(52)을 연결하는 토출관(61)과, 상기 토출관(61)에 설치되는 오존 발생기(6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관(61)은 상기 가열수단(53)의 챔버(53a) 내부의 물과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챔버의 내부를 경유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며, 토출관(61)에는 급수관으로부터 오존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첵크밸브(63)를 설치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관(61)과 상기 급수관은 연결수단(64)에 의해 연결되는데, 이 연결수단(64)은 쓰리웨이 밸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토출관(6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수관(52)과 연결되지 않고 직접적으로 배변기(2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살균수단(60)은 상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상기 급수통(51)에 저장된 물에 별도의 약품 즉, 염소등을 공급할 수 있는 수단을 더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배변통(30), 흡입수단(40), 물공급수단(50), 살균수단(60)이 설치된 케이스(11)에는 음이온 발생수단(70)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배변장치를 컨트롤하기 위한 제어부(300)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각각의 수단의 조작을 개별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리모트 콘트롤러(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였다. 여기에서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가리킨다.
도면을 참조하면, 중환자이거나 환자가 대변과 소변을 전혀 가리지 못하는 경우 기저귀와 같이 착용할 수 있는 배변착용대(90)를 구비한다. 상기 배변착용대(90)는 배변통(30)과 연결된 대소변흡입호스(21)와 연결됨과 아울러 급수관(52) 및 토출관(61)과 연결되는 구조를 가진다. 상기 토출관 환자의 또는 배변착용대의 배변통을 건조시킬 수 있도록 노즐들이 설치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배변착용대(90)는 여성용과 남성용으로 분리될 수 있다, 남성용의 경우 소변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비산방지커버(9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변착용대(90)는 환자에게 착용할 수 있도록 힙안치부(92)를 더 구비하며 배변기와 같이 대소변을 받아내기 위한 내부공간부(93)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공간부(93)는 상기 대소변 흡입호스와 연결되어 대소변을 배출할 수 있으며, 급수관(52)과 연결되어 소변 또는 배변을 배출함과 아울러 환자의 항문과 힙 및 국부를 세척할 수 있도록 물을 분사하기 위한 세척노즐(95)이 더 구비된다. 상기 배변착용대(90)에는 소변 또는 대변의 유입여부를 감지하는 검출수단(26)을 구비한다. 상기 배변착용대(9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토출관이 배변착용대와 급수관과 별도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환자가 착용하는 배변 착용대 부분의 피부와 맞닿는 부분에서 피부 발진 등을 유발 케 하는 부분을 방지 하기 위해서 배변 착용대 안쪽 부위에 밴드 형 종이 테이프(미도시)더 구비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변착용대는 환자의 피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의료용 실리콘, 은사섬유에 의해 직조된 천, 또는 은이 도포된 종이 등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변 착용대와 연결된 급수관 또는 토출관에는 오존의 공급을 주기적으로 단속하기 위한 별도의 컨트롤 밸브(66)와 타이머(미도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컨트롤 밸브(66)는 배변 착용대의 직접적 접촉 부위를 피하게 하고 환자의 대, 소변 등을 감지하기 위해 대기 상태에서 센서로 작동 할 경우, 배변 착용대에 설치되며 토출관과 연결된 노즐을 통하여 안쪽에서 밖으로 오존이 첨가 된 공기를 2~3초 간격으로 분사될 수 있도록 오존이 포함된 공기의 단속을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환자용 배변장치가 환자의 방에 설치된 경우 음이온 발생수단(70)을 이용하여 실내에 음이온을 공급함으로써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이 상태에서 대변과 소변을 가리는 환자가 대변 또는 소변을 보기 위해서는 침대(200)의 용변구를 열거나 매트리스의 일부를 슬라이딩시켜 배변기(20)를 노출시킨다. 그리고 환자는 노출된 상기 배변기(20)를 이용하여 소변 또는 대변을 배설한다.
배변이 완료되고, 배변기(20)의 내부 공간부로 소변 대변의 유입이 검출수단(26)에 의해 감지되면 흡입수단(40)의 제 1,2진공흡입펌프(41)(42)가 구동됨과 아울러 상기 물공급수단(50)의 물펌프(54)가 구동되고, 펌핑된 물과 버블발생기(55)로부터 발생되는 버블과 오존발생기(62)로부터 발생된 오존이 혼합되어 급수관(52)을 통하여 배변기(20)를 공급된다.
상기 급수관(52)을 통하여 공급된 물은 세척노즐과 배출구를 통하여 공급되고, 소변 및 대변을 편승시킨 후 대소변 흡입호스(21)를 통하여 배변통(30)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배변기(20)에 설치된 세척노즐(25)은 환자의 국부를 세척하게 되는데, 물은 상기 가열수단(53)에 의해 가열된 상태이므로 세척 시 환자의 기분이 상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물에는 다수의 버블과 토출관으로부터 토출되는 오존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국부와 배변기(20)를 소독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상기 연결수단인 쓰리웨이 밸브(64)를 이용하여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별도로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환자와 대변과 소변을 가리지 못하는 경우 상기 배변착용대(90)를 착용하게 되는데, 이 경우 환자가 무의식 중에 소변 또는 배변을 본다하여도 상술한 검출수단(26)에 의해 이를 감지하고, 상술한 바와 같이 대변 또는 소변의 배출함과 아울러 세척노즐(95)을 이용하여 환자의 국부를 세척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배배변착용대(90)의 경우 피부와 접촉되는 부위에 의료용 실리콘, 은사섬유에 의해 직조된 천, 또는 은이 도포된 종이 등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환자의 피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컨트롤 밸브(66)을 이용하여 주기적(2 내지 3초간격)으로 오존이 포함된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으므로 환자 피부의 발진방지 및 냄새 탈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자용 배변장치는 움직일 수 없는 환자의 보호자나 거동이 불편한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 등의 뒷일처리를 위생적으로 처리를 할 수 있으며, 환자 자신이 대변 및 소변을 스스로 처리하거나 무의식 중인 환자의 배변을 처리할 수 있으므로 환자의 보호자에게 환자의 간병 중 제일 곤란한 환자의 오물처리에 대한 부담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용변구와 결합된 커버는 변기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커버가 용변구의 하부로 처지는 것 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환자용 배변장치는 대변 또는 소변을 가리기 어려운 장애인, 중환자, 치매환자, 중풍환자 등에 널리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의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와 배변기의 결합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써 배변착용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환자용 배변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배변착용대가 적용된 상태를 나타내 도면,
도 6은 배변착용대를 개략적으로 나타내 보인 단면도.

Claims (12)

  1. 환자의 침대에 설치되는 용변구에 설치된 배변기와, 상기 배변기와 대소변흡입호스와 연결되는 배변통과, 상기 배변통에 흡입력을 제공하기 위한 복수개의 제1,2진공흡입펌프들을 구비한 흡입수단과, 상기 배변기에 소변 또는 대변 시 세척 및 배출을 위한 물을 공급하는 물공급수단과, 상기 물공급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물 또는 흡입수단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를 이용하여 배변기와 환자의 국부를 소독하는 살균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배변기는 침대의 용변구에 설치되는 것으로, 배변기를 덮을 수 있는 커버를 구비하고, 배변기의 내측에는 환자의 배변 유입 여부를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물공급수단은 물이 저장되는 급수통과, 상기 급수통과 연결되며 상기 배변기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관과,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는 것으로, 급수통으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수단과, 물을 펌핑하기 위한 물펌프와, 상기 물에 마이크로 버블을 공급하기 위한 버블 발생기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을 하는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수단은 배변통 상부의 개구를 밀폐하는 커버부재에 설치되는 제1필터 유니트와, 상기 제 1필터 유니트와 제1연결관 의해 연결되는 제 2필터유니트와, 상기 제 2필터 유니트와 분기관에 의해 연결되는 상기 제 1,2진공흡입펌프들을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균수단은 상기 제 1,2진공 흡입펌프들의 토출구와 상기 급수관을 연결하는 토출관을 구비하며, 상기 토출관에는 오존 발생기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토출관을 통과하는 공기는 상기 물을 가열하는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될 수 있도록 토출관의 일부가 가열수단의 히터에 감기며, 상기 토출관에는 급수관으로부터 물이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첵크밸브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필터 유니트는 배변기와 연결된 배변통으로부터 공기의 흡입 시 악취를 제거하기 오존분해필터, 활성탄필터, 백금촉매필터 중 선택된 하나로 이루어지며 냄새제거수단을 더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변통에는 수위 감지센서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KR1020080054364A 2008-06-10 2008-06-10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KR1009551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64A KR100955105B1 (ko) 2008-06-10 2008-06-10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PCT/KR2009/003129 WO2009151283A2 (ko) 2008-06-10 2009-06-10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4364A KR100955105B1 (ko) 2008-06-10 2008-06-10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2426A Division KR101018887B1 (ko) 2010-01-11 2010-01-11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8280A KR20090128280A (ko) 2009-12-15
KR100955105B1 true KR100955105B1 (ko) 2010-04-28

Family

ID=41417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364A KR100955105B1 (ko) 2008-06-10 2008-06-10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55105B1 (ko)
WO (1) WO200915128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2024B1 (ko) * 2010-06-21 2011-07-27 육근용 대소변 배출기
KR102236558B1 (ko) * 2013-05-15 2021-04-27 한메딕스 주식회사 자동 집뇨장치
WO2014208814A1 (ko) * 2013-06-26 2014-12-31 주식회사 엔젤윙즈 자동 배변 처리장치
CN103989563B (zh) * 2014-04-04 2017-02-15 苏州欧圣电气工业有限公司 一种中央集成护理机
KR102259715B1 (ko) * 2019-06-14 2021-06-02 주식회사 우리소프트 석션 기능에 의해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의 소변 배출 욕구를 안전하게 처리할 수 있는 상시착용형 스마트 소변 처리 장치 및 그 이용 방법
CN214713205U (zh) * 2021-03-03 2021-11-16 朴哲勇 手提便携排便器的大便接收装置
CN114617730B (zh) * 2022-03-09 2022-09-23 江南大学附属医院 一种可安装拆卸式冲洗引流装置的多功能床上用便盆
KR102484895B1 (ko) * 2022-05-02 2023-01-04 장종호 환자용 침대의 배변 처리 시스템
CN115006134B (zh) * 2022-06-14 2023-06-09 南通大学附属医院 一种便于老年患者如厕的病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917A (ko) * 2006-05-19 2007-11-22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00266B1 (ko) * 2006-10-23 2008-02-04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111917A (ko) * 2006-05-19 2007-11-22 주식회사 산요테크 자동 배변 처리장치
KR100800266B1 (ko) * 2006-10-23 2008-02-04 이응재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9151283A2 (ko) 2009-12-17
KR20090128280A (ko) 2009-12-15
WO2009151283A3 (ko)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55105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TWI558389B (zh) Waste disposal device and method thereof
JP3572036B2 (ja) ビデ付き集尿装置
JP2016523170A (ja) 自動排便処理装置
JP2016022371A (ja) 自動排泄物処理装置を装着した電動ベッド(autobedwithapparatusforevacuation)
KR20140135111A (ko) 자동 집뇨장치
KR102047781B1 (ko) 환자용 배변처리기 및 그 이용방법
JPH09313549A (ja) 人体装着便器付排便排尿自動処理パンツ
US20070032765A1 (en) Excrement treating apparatus
KR20030058926A (ko) 환자의 배설물 즉시처리장치
KR20070006303A (ko) 배변기를 구비하는 환자용 매트리스 시스템
KR101713547B1 (ko) 와상환자를 위한 전자동 배변처리기
KR101072842B1 (ko) 거동불편 환자용 자동 대소변 처리장치
KR200453814Y1 (ko) 자동배변처리장치가 구비된 매트리스
KR200348639Y1 (ko) 환자용 이동식 배변기
KR101018887B1 (ko) 환자용 침대 겸용 배변장치
CN102125496A (zh) 医用康复护理床、护理椅马桶用智能冲洗肛门多功能装置
WO2015183209A1 (en) A cleaning device for bedridden patients
KR100374235B1 (ko) 개인용 집뇨 및 비데장치
KR102459924B1 (ko) 이동식 샤워장치
JP3401482B2 (ja) 身体に装着される排泄物回収装置
JPS6219179B2 (ko)
KR101292812B1 (ko) 자동 배변 처리장치
JP2008035969A (ja) 介護用洗髪装置
JP2005270590A (ja) 排泄物回収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3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