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746A -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 - Google Patents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746A
KR20000047746A KR1019990053236A KR19990053236A KR20000047746A KR 20000047746 A KR20000047746 A KR 20000047746A KR 1019990053236 A KR1019990053236 A KR 1019990053236A KR 19990053236 A KR19990053236 A KR 19990053236A KR 20000047746 A KR20000047746 A KR 200000477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element
bar
knitting machine
longitudinal groove
warp kn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2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3658B1 (ko
Inventor
크레시미르미스타
Original Assignee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칼 마이어 텍스틸마쉰넨파브릭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마이어 프리츠 페. ; 마이어 울리히
Publication of KR200000477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7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36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36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37/00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 D04B37/06Auxiliary apparatus or devices for use with knitting machines with warp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7/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arp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27/06Needle bars; Sinker b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편기의 바(6)에 활성 요소(18)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6)는, 그 각각이 활성 요소(18)의 가이드 섹션(25)을 수용하기 위한 횡방향 채널(24)과 활성 요소(18)의 홀딩 섹션(21)을 수용하기 위한 종방향 홈(20)을 지닌다. 상기 종방향 홈(20)은 덮히지 않은 삽입 개구 영역을 지닌다. 상기 횡방향 채널(24)은 상기 종방향 홈에 인접하게 정렬된다. 홀딩 섹션(21)은 스프링(22)의 힘에 의해 종방향 홈(20)내로 쐐기고정된다. 상기 활성 요소(18)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29)는 작동 핸들(31)에 의해 지지되고, 활성 요소(18)상의 제1의 스토퍼(35)에 끼워져 종방향 홈(20)으로부터 홀딩 섹션을 인출하는 작용을 하는 제1의 드라이버(34)를 지닌다. 이에따라, 활성 요소들이 유극(play)없이 정확한 위치에 최소의 하중으로 바에 보지되는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 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DEVICE FOR FASTENING ACTIVE COMPONENTS TO THE BAR OF A WARP KNITTING MACHINE AND ACCOMPANYING TOOL FOR REMOVING AND INSTALLING THE ACTIVE COMPONENTS}
본 발명은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바는, 그 각각이 활성 요소의 가이드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횡방향 채널과 활성 요소의 홀딩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종방향 홈을 지니며, 본 발명은 또한 활성 요소들을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활성 요소들은 편성침, 슬라이더, 노킹-오버 싱커, 스티치 콤 싱커, 가이드 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고정장치는 독일 특허 제813 741호에 공지되어 있다. 상기 특허에서 활성 요소의 가이드 섹션은 횡방향 채널에 배치되며, 상기 횡방향 채널의 후방 측부는 좁은 종방향 홈을 통과하며, 그 홈내로 짧은 돌출부들이 홀딩 부분으로서 맞물린다. 활성 요소들은 압력 플레이트에 의해 부분적으로 덮이며, 상기 압력 플레이트는 스크류로 바에 대하여 조립되는 방식으로 활성 요소를 쐐기 고정한다. 여기서 활성요소들을 체결하기 위한 일반적인 표준 리드는 생략되었다. 그러나, 압력 플레이트는 스크류와 함께 바의 하중을 증가시킴으로써, 경편기의 작동 속도를 제한한다.
미국 특허 제3,952,551호에는, 갈고리 모양의 니들에 대하여 정렬된 슬라이드 싱커상에 돌출부를 제공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돌출부는 그것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종방향 홈으로부터 시작된다. 이렇게 하여, 복합 니들(compound needle)의 위치는 그 자체를 정확한 위치로 자동적으로 조절해야 한다. 종방향 홈의 측부들은 형상화되며, 그 형상은 돌출부의 형상에 상응한다. 이렇게 하여, 슬라이드 싱커는 이탈이 방지된다. 그러나, 동시에, 슬라이드 싱커를 교체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활성 요소들이 유극(play)없이 정확한 위치에 최소의 하중으로 바에 보지되고, 또한 활성 요소들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설치될 수 있는, 상기한 종류의 고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1은 경편기의 작업 영역의 단면도이다.
도2는 슬라이드 바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3은 활성 요소들로부터의 세그먼트의 측면도이다.
도4는 도3의 수평 돌출부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5는 도3의 세그먼트를 합체된 상태로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6은 도5의 수평 돌출부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7은 도5의 세그먼트를 밀어낸 상태로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8은 밀어내고 끌어들이기 위한 공구를 지니는 슬라이드 바의 변형된 형태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9는 밀어내고 끌어들이기 위한 공구의 측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공구의 수평 돌출부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11은 세그먼트를 밀어내는중 도9 및 도10의 공구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도12는 세그먼트를 끌어들이는중 도9 및 도10의 공구를 제시하는 도면이다.
이러한 목적은, 종방향 홈이 덮히지 않은 삽입 개구 영역을 지니며, 그 삽입 개구 영역에 인접하게 횡방향 채널들이 정렬되며, 홀딩 섹션들이 탄성력에 의해 종방향 홈내로 쐐기고정되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하여, 활성 요소를 종방향 홈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활성 요소들은 스프링 클램프에 의해 종방향 홈에 체결된다. 가이드 섹션이 횡방향 채널과 정렬될 때에만 삽입이 이루어지므로, 결과적으로 발생된 위치는 유극이 없고 정확하다. 압력 플레이트와 스크류 같은 부가적인 고정 수단이 필요하지 않으므로, 하중이 최소로 된다. 여러가지 경우에 있어서, 특히 활성 요소가 삽입 개구 영역에 교차하여 장전되는 경우에, 비교적 낮은 탄성력이면 충분하다. 그러나, 뒤의 로드가 삽입 개구 영역에 평행하게 작용할 때 조차, 활성 요소를 바에 확실히 보지하기 위한 다른 조치는 전혀 또는 거의 필요없다.
활성 요소들은 싱커로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요소들이 플레이트-류로 되는 이러한 구조적 형태는 신뢰성이 있으며, 또한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치수는, 탄성력이 작용하기 전에 가이드 섹션이 적절한 횡방향 채널내로 삽입되며, 홀딩 섹션은 종방향 홈내로 밀어넣어지도록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치수는, 가이드 섹션이 그 정확한 위치를 잡을 때까지 활성 요소가 종방향 홈내로 절대로 밀어넣어지지 않도록 한다. 적절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각각의 활성 요소에 대하여 전개되는 스프링 브리지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하는 수단이 제공된다. 이러한 종류의 스프링 브리지는 구멍 절삭기에 의해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다. 특히, 종방향 홈이 대략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지니며, 종방향 홈의 측판과 결합하는 스프링 브리지가, 응력을 받지않는 상태에서의 종방향 홈의 나비에 관하여 홀딩 섹션의 나비가 약간 중첩되도록 작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예를들면, 100분의 5 밀리미터와 같은 약간의 중첩이면, 종방향 홈에 홀딩 섹션을 확실히 고정하기에 충분하다. 유사하게 바람직한 변형예는, 활성 요소에 의해 또한 종방향 홈의 측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가적으로 제공된 스프링에 의해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구성된다. 이것은 보다 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설계를 제공한다. 예를들면, 다수의 활성 요소에 대하여 하나의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구조를 이루는 매우 유리한 방식에 따르면, 복합 스프링이 하나의 측부상에서 활성 요소의 채널내로 끼워지며, 다른 측부상에서는 종방향 홈의 측부의 쐐기형 표면상에 놓이도록 구성되며, 가이드 섹션이 횡방향 채널의 베이스에 대하여 밀리며, 홀딩 섹션이 종방향 홈의 코너내로 밀어넣어지는 방식으로 활성 요소에 힘과 토르크를 가한다.
또한, 정지 스프링이 바의 외측상에 정렬되고, 그것이 가이드 섹션의 덮히지 않은 측부상에 적용되는 것이 적합하다. 이 정지 스프링은, 삽입방향으로 큰 부하가 작용할 때에도 활성 요소가 그것의 안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한다.
여러개의 활성 요소들이 하나의 세그먼트로 통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세그먼트는 하나의 유닛으로 조립되고 제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세그먼트의 활성 요소들은, 바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암 핀(female pin)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이 적합하다. 각각의 활성 요소의 위치는 연결용 암 핀에 의해 보다 확실하게 된다. 각각의 세그먼트에 2개 또는 그 이상의 핀들이 사용될 경우, 세그먼트는 하중은 적지만 매우 안정적으로 된다. 암 핀에 의한 연결부를 갖는 그러한 세그먼트의 구조로 인하여, 본 출원인은 이미 독일 특허 출원 제197 53 590.9호를 출원하였다.
활성 요소를 제거하고 설치하기 위한 공구는 본 발명에 따라, 작동 핸들에 의해 지지되고, 활성 요소상의 제1의 스토퍼에 끼워져 종방향 홈으로부터 홀딩 부분을 인출하는 작용을 하는 제1의 드라이버를 특징으로 한다. 제1의 스토퍼에 제1의 드라이버를 적용하면, 활성 요소 또는 세그먼트가 종방향 홈으로부터 용이하게 인출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작동 핸들에 의해 지지되고, 활성 요소상의 제2의 스토퍼에 끼워져 종방향 홈내로 홀딩 섹션을 밀어넣는 작용을 하는 제2의 드라이버가 제공되는 것이 유리한다. 제2의 스토퍼에 제2의 드라이버를 적용하면, 활성 요소와 세그먼트가 종방향 홈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
작용을 위해, 제1의 드라이버는, 종방향 홈에 인접한 지지표면상에 지지되는 선단 에지에 인접하게 정렬된다. 그 후, 드라이버는 짧은 레버 아암의 단부에 배치되며, 작동 핸들이 긴 레버 아암에 부착된다. 작동 핸들이 조금만 이동하여도, 활성 요소 또는 세그먼트는 종방향 홈을 벗어나도록 밀린다.
또한, 드라이버들은,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암 핀에 끼워지는 것이 유리하다. 스토퍼로서 암 핀을 사용하면, 상기 세그먼트의 모든 활성 요소에 균일한 분포의 인출력을 가할 수 있다.
그 외에, 드라이버들은, 그것들의 덮히지 않은 단부에 경사 표면이 제공된 활성 요소의 싱커들을 가로질러 밀릴 수 있는 서로 인접하게 정렬된 2개의 박판 금속 스트립상에 전개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것은 다음의 동작이 일어날 때까지 종방향 홈으로부터 해제되는 활성 요소 또는 세그먼트를 체결하는 일종의 니들 노즈 플라이어(needle nose plier)를 발생시킨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도면을 참조로 실시예 방식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도1은 여러개의 활성 요소, 다시말하면, 화살표(4)의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니들 바(3)상의 갈고리 모양의 니들(2), 화살표(7)의 방향으로 상하로 이동하는 슬라이딩 바(6)상의 슬라이더(5), 화살표(10)의 방향으로 대략 수평으로 전후로 이동하는 싱커 바(9)상의 홀딩-다운 및 노킹-오버 싱커(8) 및 화살표(17)의 방향으로 전후로 이동하며 돌출부의 평면과 수직하게 오프셋된 가이드 바(14, 15 및 16)상의 가이드 니들(11, 12 및 13)들이 결합하는 경편기의 작업 영역(1)을 제시한다. 갈고리 모양의 니들(2)과 가이드 니들(11, 12 및 13)은 종래의 방식으로 그들의 바에 고정된다. 슬라이더로서 설계된 활성 요소(18)와 홀딩-다운 및 노킹-오버 싱커로서 설계된 활성 요소(19)가 본 발명에 상당한다.
여기서는 도1 내지 도6을 참고하여 활성 요소(18)에 관하여 설명한다. 슬라이더 바(6)는 대략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종방향 홈(20)을 지니며, 그것은 외측에서 개방된다, 다시말하면, 덮히지않은 삽입 개구 영역을 지닌다. 활성 요소(18)의 홀딩 섹션(21)은 종방향 홈내로 밀어넣어지며, 상기 홀딩 섹션은, 한 측부상에, 구멍(23)의 천공에 의해 형성된 스프링 브리지(22)를 지닌다. 그 스프링 브리지(22)는 종방향 홈(20)의 나비에 관한 중첩부(A)를 지니며, 상기 중첩부는 예를들면, 100분의 5 밀리미터로 된다. 활성 요소(18)가 그들의 가이드 섹션과 정확한 간격으로 보지되는 횡방향 채널(24)이 삽입 개구 영역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스프링 브리지(22)가 유효하게 되기 바로전에, 활성 요소(18)들은 이미 횡방향 채널(24)에서 그들의 가이드 섹션(25)과 함께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그것들은, 단지 활성 요소(18)들을 종방향 홈(20)내로 밀어넣음으로써, 정확한 위치에 체결된다. 도2는 최종 위치로 밀어넣기 바로전의 상태를 제시하는데, 그 최종 위치는 도1에 도시되어 있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같이, 싱커들로서 설계된 여러개의 활성 요소(18)들은 각각의 경우 하나의 세그먼트로 통합된다. 그 통합은, 활성 요소(18)들의 구멍을 통하여 가이드되어 예를들면 팽창에 의해 외측 원주상에서 활성 요소에 연결되는 암 핀(27, 28)의 도움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세그먼트는 고도의 신뢰성을 지니지만, 단지 적은 하중을 지닌다.
도5는 도1에 따른 고정 포인트에 상당하며, 도6과 관련하여, 각각의 인접한 암 핀(27, 28)들 사이에서 각각 간격(B)로 지지되는 여러개의 세그먼트(26)들이 슬라이더 바(6)의 종방향 홈(20)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도7은 작동 핸들(31)로부터 선단 에지(32)에 이르는 평탄하게 감겨진 강철 스트립(30) 형태의 공구(29)를 제시하는데, 상기 에지에는 그것의 덮히지 않은 단부상에 드라이버(34)를 갖는 짧은 레버 아암(33)이 연결된다. 작동 핸들(31)상에 지렛대 운동이 가해질때, 드라이버(34)는 활성 요소(18)의 스토퍼(25)상에 놓이며, 선단 에지(32)는 슬라이더 바(6)의 지지 표면(36)상에 놓인다. 이 때, 활성 요소(18) 또는 세그먼트(26)는 매우 큰 힘으로 종방향 홈(20)을 벗어나 도7에 도시된 위치로 밀어진다.
도8에 따른 실시방법에 있어서는,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부품에 상응하는 부품에 대하여 100을 더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근본적인 차이점은, 클램핑 력이 부가적으로 사용된 복합 스프링(122)에 의해 발생된다는 것이다. 스프링의 일단부가 활성 요소(118)의 슬롯(137)내로 끼워지며, 그것은 타단부에서 종방향 홈(120)의 쐐기형 표면(138)상에 지지된다. 또한, 종방향 홈은 90°이하의 각도를 형성하는 라운드가공된 코너(139)를 지닌다. 복합 스프링(122)은, 쐐기형 표면(138)에 의해, 활성 요소(118)의 홀딩 섹션(121)을 코너(139)내로 가압하는 힘과, 종방향 홈(120)의 베이스에 대하여 홀딩 섹션(121)을 가압하고 또한 적절한 횡방향 채널내로 가이드 섹션(125)을 가압하는 토르크를 발생시킨다.
공구(129)는, 작동 핸들(131)과 관련하여, 드라이버(134)를 지닌다. 만일 상기 드라이버가 암 핀(127)과 복합 스프링(122) 사이에 밀어넣어질 경우, 세그먼트(126)는 어느정도 상향으로 밀릴 수 있다. 이에따라, 홀딩 섹션(121)이 코너(139)로부터 해제되며, 세그먼트(126)는 종방향 홈(120)으로부터 인출될 수 있다. 밀어넣기가 실행되는중, 상황은 역전된다. 드라이버(134)는 다시 암 핀(127)과 복합 스프링(122) 사이에 배치되고, 세그먼트(126)가 상승되며, 또한 충분한 변위가 일어나면, 세그먼트(126)는 우측으로 약간 요동하는데, 여기서 홀딩 섹션(121)은 후방으로 이동하여 코너(139)와 접촉한다.
도9 및 도10은 도1 내지 도7에 따른 활성 요소들을 제거하고 설치하기에 적합한 공구(229)를 제시한다. 동일한 부품에 대하여 동일한 참조번호가 부여되며, 도1 내지 도7에 제시된 상응하는 부품에 대하여 200을 더한 참조번호가 사용된다. 그 공구는 작동 핸들(231)과 서로 맞대어진 2개의 박판 금속 스트립(230, 230')을 지닌다. 이것들은 제1의 드라이버(234)와 선단 에지(232)를 형성한다. 단면 Ⅹ-Ⅹ가 제시하는 바와같이, 2개의 박판 금속 스트립(230, 230')은 각각 그것들의 덮히지 않은 단부에 경사 표면(240, 241)을 지닌다. 따라서, 활성 요소(18)을 가로질러 그것들을 미는것과, 도11에 제시된 바와같이 암 핀(27)에 의해 형성된, 스토퍼상에 그것들이 놓일때까지 이동시키는 것이 매우 용이하며, 이때, 세그먼트(26)는 이미종방향 홈(20)으로부터 상당히 인출된다. 삽입을 실행하기 위하여, 도12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구(229)의 후방 에지를 드라이버(242)로서 이용할 수 있는데, 여기서, 상기 드라이버는 활성 요소(18)상의 스토퍼(243)와 결합한다.
지금까지 설명된 부분은 전진방향에 교차하여 장전되는 활성 요소(18)에 관한 것이지만, 도1에 도시된 활성 요소(19)는 삽입 방향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싱커에 관련된다. 종방향 홈과 횡방향 채널에 활성 요소(19)의 고정은 활성 요소(18)의 고정에 상당한다. 바(9)의 외측을 따라 연장하는 스프링(44)에 의한 단지 하나의 부가적인 안전 장치가 제공되는데, 상기 스프링의 일단부(45)는 바(9)의 홈내로 삽입되며, 타단부(46)는 활성 요소(19)의 가이드 섹션과 중첩된다. 이러한 부가적인 안전 장치는 화살표(10)의 방향으로 매우 강한 힘일지라도 연결부가 해제되지 않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활성 요소들이 유극(play)없이 정확한 위치에 최소의 하중으로 바에 보지되고, 또한 활성 요소들이 용이하게 제거되고 설치될 수 있는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Claims (15)

  1. 그 각각이 활성 요소의 가이드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횡방향 채널과 활성 요소의 홀딩 섹션을 수용하기 위한 종방향 홈을 지니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홈(20; 120)이 덮히지 않은 삽입 개구 영역을 지니며, 그 삽입 개구 영역에 인접하게 횡방향 채널(24)들이 정렬되며, 상기 홀딩 섹션(21; 121)들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종방향 홈(20; 120)내로 쐐기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성 요소(18, 19; 118)는 싱커로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탄성력이 작용하기 전에 상기 가이드 섹션(25; 125)이 적절한 횡방향 채널(24)내로 삽입되며, 상기 홀딩 섹션(21; 121)은 종방향 홈(20; 120)내로 밀어넣어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은 각각의 활성 요소(18; 118)에 대하여 전개되는 스프링 브리지(22; 122)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종방향 홈(20; 120)은 대략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지니며, 상기 종방향 홈의 측판과 결합하는 스프링 브리지(22; 122)는, 응력을 받지않는 상태에서의 종방향 홈(20; 120)의 나비에 관하여 상기 홀딩 섹션(21; 121)의 나비가 약간 중첩(A)되도록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은 상기 활성 요소(118)에 의해 또한 상기 종방향 홈(120)의 측부에 의해 지지되는 부가적으로 제공된 스프링(122)에 의해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복합 스프링(122)이 상기 활성 요소(118)의 채널(137)내로 끼워지며, 상기 종방향 홈(120)의 측부의 쐐기형 영역(138)상에 놓이며, 가이드 섹션(125)이 횡방향 채널의 베이스에 대하여 밀리며, 홀딩 섹션(121)이 종방향 홈(120)의 코너(139)내로 밀어넣어지는 방식으로 활성 요소(118)에 힘과 토르크를 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정지 스프링(44)이 바(6)의 외측상에 정렬되고, 그것이 가이드 섹션(25)의 덮히지 않은 측부상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여러개의 활성 요소(18)들이 하나의 세그먼트(26)로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세그먼트(26; 126)의 활성 요소(18; 118)들은, 바(6; 106)에 평행한 적어도 하나의 암 핀(27, 28; 12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11. 작동 핸들(31; 131; 231)에 의해 지지되고, 활성 요소상의 제1의 스토퍼(35)에 끼워져 종방향 홈(20; 120)으로부터 홀딩 섹션(21; 121)을 인출하는 작용을 하는 제1의 드라이버(34; 134; 234)를 특징으로 하는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항에 따른 활성 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
  12. 제11항에 있어서, 작동 핸들(31; 131; 231)에 의해 지지되고, 활성 요소(18)상의 제2의 스토퍼(243)에 끼워져 종방향 홈(20)내로 홀딩 섹션(21)을 밀어넣는 작용을 하는 제2의 드라이버(242)를 특징으로 하는 활성 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드라이버(34; 134; 234)는, 종방향 홈에 인접한 지지표면(36)상에 지지되는 선단 에지(32; 132; 232)에 인접하게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
  14.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34; 134)들은, 스토퍼로서 사용되는 암 핀(27; 127)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
  15.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들은, 그것들의 덮히지 않은 단부에 경사 표면(240; 241)이 제공된 활성 요소(18)의 싱커들을 가로질러 밀릴 수 있는 서로 인접하게 정렬된 2개의 박판 금속 스트립(230)상에 정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 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공구.
KR1019990053236A 1998-12-03 1999-11-27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 KR1003236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5711.6 1998-12-03
DE19855711A DE19855711C2 (de) 1998-12-03 1998-12-03 Vorrichtung zur Befestigung von Wirkelementen an der 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746A true KR20000047746A (ko) 2000-07-25
KR100323658B1 KR100323658B1 (ko) 2002-02-07

Family

ID=7889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236A KR100323658B1 (ko) 1998-12-03 1999-11-27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151929A (ko)
JP (1) JP3103075B2 (ko)
KR (1) KR100323658B1 (ko)
CN (1) CN1138884C (ko)
DE (1) DE19855711C2 (ko)
GB (1) GB2344357A (ko)
IT (1) IT1310760B1 (ko)
TW (1) TW4343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25841B2 (en) * 2003-06-26 2005-08-09 Chima, Inc. Closing element assembly for compound needles used in knitting machines
DE502004006772D1 (de) * 2004-05-27 2008-05-21 Mayer Textilmaschf Wirkwerkzeug-Barre
EP1813703B1 (de) * 2006-01-25 2009-05-13 Groz-Beckert KG Wirknadel und Barre für diese
EP2048271A1 (de) 2007-10-13 2009-04-15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anordnung und Wirkwerkzeugverbund
KR101671832B1 (ko) * 2009-11-27 2016-11-03 보르그워너 인코퍼레이티드 터보차저의 가이드 장치
EP2570541B1 (de) * 2011-09-16 2014-03-26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EP3354782B1 (de) 2017-01-25 2019-08-07 Karl Mayer Textilmaschinenfabrik GmbH Wirkwerkzeugbarre und verfahren zum montieren von wirkwerkzeugen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3741C (de) * 1949-09-02 1951-09-17 Arthur G Scholte Hochleistungskettenwirkmaschine
US2682163A (en) * 1949-11-17 1954-06-29 Aaron S Staff Trick plate
GB714087A (en) * 1950-12-05 1954-08-25 Liselotte Sailer Improvements in warp knitting machines
US2962883A (en) * 1956-02-27 1960-12-06 Dolinsky Stanley Warp knitting gyuide
DE1853697U (de) * 1961-05-09 1962-06-20 Saxonia G M B H Fadenfuehrer fuer raschel- und kettenstuehle od. dgl.
US3286333A (en) * 1964-03-31 1966-11-22 Dolinsky Stanley Hand tool for use in connection with thread guides
GB1419229A (en) * 1974-01-15 1975-12-24 Mayer Textilmaschf Warp knitting machines with sliding tongue needles
DE3509214A1 (de) * 1985-03-14 1986-09-25 Liba Maschinenfabrik Gmbh, 8674 Naila Nadelbarre einer kettenwirkmaschine
IT207414Z2 (it) * 1986-03-07 1988-01-18 Comez Spa Barra porta tubetti per telai per galloni ad uncinetto.
DD289068A5 (de) * 1989-11-17 1991-04-18 Veb Textimaforschung Malimo,De Wirkwerkzeughalterung, insbesondere fuer schiebernadeln, an kettenwirkmaschinen, speziell naehwirkmaschinen
DE9407273U1 (de) * 1994-05-02 1994-07-07 Kern & Liebers Halter für Fadenführungselemente
DE4421388C2 (de) * 1994-06-18 1996-04-18 Mayer Textilmaschf Nadelbefestigungsvorrichtung für Wirkmaschinen
DE19753590C1 (de) * 1997-12-03 1999-05-12 Mayer Textilmaschf Wirkelemente tragendes Segment für Kettenwirkmaschin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855711A1 (de) 2000-06-08
CN1256330A (zh) 2000-06-14
US6151929A (en) 2000-11-28
IT1310760B1 (it) 2002-02-22
JP2000170065A (ja) 2000-06-20
ITTO991061A1 (it) 2001-06-02
GB9927041D0 (en) 2000-01-12
TW434339B (en) 2001-05-16
KR100323658B1 (ko) 2002-02-07
DE19855711C2 (de) 2003-08-28
ITTO991061A0 (it) 1999-12-02
JP3103075B2 (ja) 2000-10-23
CN1138884C (zh) 2004-02-18
GB2344357A (en) 200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424258T3 (de) Spannvorrichtung für einen Schneideinsatz
US6463631B2 (en) Binding tool
KR100323658B1 (ko) 경편기의 바에 활성 요소를 고정하기 위한 장치 및 활성요소를 제거 및 설치하기 위한 부속의 공구
RU2404874C2 (ru) Устройство крепления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клинового механизма
IL263974B2 (en) Spring device and connecting device
KR960013906B1 (ko) 경편기용 니이들 장착 장치
IE64167B1 (en) A frame of bar members releasably coupled together by a connector
US4839472A (en) Closure system for a longitudinally divided cable sleeve
JPH0541792B2 (ko)
HU213790B (en) Locking device for door or window
DE59005503D1 (de) Trägerstreifen für pulverkraftbetriebene Setzgeräte.
CZ264993A3 (en) Device for drainage channel covering
CZ292511B6 (cs) Upínací zařízení
EP2684720A1 (de) Mehrteilige Fahrzeugaußenblende
JP2007002400A (ja) 自己引き締めロックを持ったそうこう枠
KR100476496B1 (ko) 시스템 부품
NO317523B1 (no) Anordning for montering av en hetteskinne
KR200152196Y1 (ko) 케이블 고정용 클램프
CZ392692A3 (en) Fastening device for a building wall lining
KR102126973B1 (ko) 웨지 설치장치
JP2865912B2 (ja) 直動転がり案内ユニットのストッパ
JPH01131757A (ja) 型枠パネルの縁ウエブを結合するための固定クリツプ
GB2435300A (en) Grating fastener with spring element
JPH09142077A (ja) 書類綴じ具の取付構造
US4179014A (en) Mechanism for locking a plate which is movable on a table along guide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