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2294A -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2294A
KR20000042294A KR1019980058456A KR19980058456A KR20000042294A KR 20000042294 A KR20000042294 A KR 20000042294A KR 1019980058456 A KR1019980058456 A KR 1019980058456A KR 19980058456 A KR19980058456 A KR 19980058456A KR 20000042294 A KR20000042294 A KR 20000042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te
substrate
insulating film
forming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8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호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반도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584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2294A/ko
Publication of KR20000042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2294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603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constructional design considerations, e.g. for preventing surface leakage, for controlling electric field concentration or for internal isolations regions
    • H01L29/0642Isolation within the component, i.e. internal isolation
    • H01L29/0649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 H01L29/0653Dielectric regions, e.g. SiO2 regions, air gaps adjoining the input or output region of a field-effect device, e.g. the source or drain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산화 막에 의해 반도체 기판과 격리시키므로 누설전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트랜지스터의 공정 마진을 확보하기 위한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 막을 개재한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의 기판 상에 제 1 절연 막 측 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에 제 1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포함한 전면에 제 2 절연 막과 제 1 도전 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 막 측 벽을 포함한 게이트 양측 밑의 기판 측면이 노출된 제 2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도전 체와 제 2 절연 막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내에 제 2 도전 체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절연 막에 의해 상기 기판과 격리된 상기 제 1, 제 2 도전 체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자의 특성 및 고집적화를 향상시키는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도 1a에서와 같이, 반도체 기판(11)표면 내에 이온주입 공정으로 P형 웰(12)을 형성하고, 상기 격리영역의 반도체 기판(11)상에 격리 막(13)을 형성한 후, 상기 트랜지스터의 채널영역의 반도체 기판(11)에 문턱 전압 조절 이온(14)을 주입한다.
이때, 상기 문턱 전압 조절 이온(14)을 서로 다른 에너지로 두 번 주입한다.
그리고, 상기 반도체 기판(11)상에 게이트 산화막(15), 제 1 다결정 실리콘(16), 텅스텐 실리콘(17)과, 제 1 절연 막(18)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절연 막(18)을 HLD와 질화 막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절연 막(18)상에 제 1 감광막을 도포하고, 상기 제 1 감광막을 게이트가 형성될 부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 1 감광막을 마스크로 상기 제 1 절연 막(18), 텅스텐 실리콘(17), 제 1 다결정 실리콘(16)과, 게이트 산화막(1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캡 게이트 절연 막을 구비한 게이트(19)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제 1 감광막을 제거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19)를 마스크로 상기 n형 불순물 이온을 이온 주입하여 상기 게이트(19) 양측의 반도체 기판(11) 표면 내에 소오스/드레인 영역(20)을 형성한다.
도 1c에서와 같이, 상기 게이트(19)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상에 질화 막을 형성하고, 상기 질화 막을 에치 백(Etch Back)하여 상기 게이트(19) 양측의 반도체 기판(11)상에 질화 막 측 벽(21)을 형성한다.
이어, 상기 질화 막 측 벽(21)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상에 층간 절연 막(22)과 제 2 감광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감광막을 커패시터의 하부전극이 형성될 부위에만 제거되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그리고,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 2 감광막을 마스크로 상기 층간 절연 막(22)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감광막을 제거한다.
이어서, 전계 약화를 위해 상기 반도체 기판(11)과 소오스/드레인 영역(20)의 접합부위가 보다 그레이드(Graded)한 접합이 형성되도록 상기 콘택홀을 포함한 전면에 n형인 SC(Storage Node Contact)이온(23)을 주입한다.
도 1d에서와 같이, 상기 콘택홀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11)상에 SC이온(23)이 도핑(Doping)된 제 2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을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하부전극(24)을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의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고집적화에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크기가 작아져 숏 채널(Short Channel) 효과로 인한 트랜지스터의 공정 마진(Margin) 확보가 어렵다.
둘째,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셀(Cell)의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과 소오스/드레인 영역 접합부위에 누설전류가 발생되어 리프레쉬(Refresh) 특성에 악영향이 된다.
셋째, 반도체 기판과 소오스/드레인 영역 접합부위에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도록 전계를 약화시키기 위하여 문턱 전압 조절용 이온 주입 공정을 두 번 실시하고 SC이온을 주입하지만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산화 막에 의해 반도체 기판과 격리시키므로 누설전류의 발생을 방지하고 트랜지스터의 공정 마진을 확보하는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a 내지 도 1d는 종래 기술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1: 반도체 기판 32: P형 웰
33: 격리 막 34: 문턱 전압 조절 이온
35: 게이트 산화막 36: 제 1 다결정 실리콘
37: 텅스텐 실리콘 38: 제 1 절연 막
39: 게이트 40: 제 2 질화 막 측 벽
41: 산화 막 42: 제 2 다결정 실리콘
43: 제 3 다결정 실리콘 44: 층간 절연 막
45: 하부전극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 막을 개재한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의 기판 상에 제 1 절연 막 측 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에 제 1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포함한 전면에 제 2 절연 막과 제 1 도전 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 막 측 벽을 포함한 게이트 양측 밑의 기판 측면이 노출된 제 2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도전 체와 제 2 절연 막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트렌치내에 제 2 도전 체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절연 막에 의해 상기 기판과 격리된 상기 제 1, 제 2 도전 체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 내지 도 2e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도 2a에서와 같이, 반도체 기판(31)표면 내에 이온주입 공정으로 P형 웰(32)을 형성하고, 상기 격리영역의 반도체 기판(31)상에 격리 막(33)을 형성한 후, 상기 트랜지스터의 채널영역의 반도체 기판(31)에 문턱 전압 조절 이온(34)을 주입한다.
도 2b에서와 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31)상에 게이트 산화막(35), 제 1 다결정 실리콘(36), 텅스텐 실리콘(37)과, 제 1 절연 막(38)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제 1 절연 막(38)을 HLD와 질화 막을 적층하여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절연 막(38)상에 제 1 감광막을 도포하고, 상기 제 1 감광막을 게이트가 형성될 부위에만 남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 후,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 1 감광막을 마스크로 상기 제 1 절연 막(38), 텅스텐 실리콘(37), 제 1 다결정 실리콘(36)과, 게이트 산화막(35)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캡 게이트 절연막을 구비한 게이트(39)를 형성한 다음, 상기 제 1 감광막을 제거한다.
이어, 상기 게이트(39)를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상에 제 2 질화 막(40a)을 형성한다.
도 2c에서와 같이, 상기 제 2 질화 막(40a)을 에치 백하여 상기 게이트(39) 양측의 반도체 기판(31)상에 제 2 질화 막 측 벽(40)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격리 막(33)과 제 2 질화 막 측 벽(40) 그리고 캡 게이트 절연 막을 마스크로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의 반도체 기판(31)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제 1 트렌치(Trench)를 형성한다.
이어, 상기 제 1 트렌치를 포함한 전면에 산화 막(41)과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 2 다결정 실리콘(42)을 형성한다.
도 2d에서와 같이, 상기 반도체 기판(31)을 스톱퍼(Stopper)로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42)과 산화 막(41)을 에치 백한다.
이때, 상기 제 2 다결정 실리콘(42)과 산화 막(41)의 에치 백으로 상기 제 2 질화 막 측 벽(40)을 포함한 게이트(39) 양측 밑의 반도체 기판(31) 측면이 노출된 제 2 트렌치가 형성된다.
도 2e에서와 같이, 상기 노출된 반도체 기판(31)을 포함하여 전면에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제 3 다결정 실리콘(43)을 형성하고, 상기 격리 막(33)을 스톱퍼로 상기 제 3 다결정 실리콘(43)을 에치 백하여 상기 게이트(39) 양측의 반도체 기판(31)상에 상기 제 2, 제 3 다결정 실리콘(42,43)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게이트(39)를 포함한 전면에 층간 절연 막(44)과 제 2 감광막을 형성하고, 상기 제 2 감광막을 커패시터의 하부전극이 형성될 부위에만 제거되도록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한다.
이어, 상기 선택적으로 노광 및 현상된 제 2 감광막을 마스크로 상기 층간 절연 막(44)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콘택홀을 형성한 후, 상기 제 2 감광막을 제거한다.
그리고, 상기 콘택홀을 포함한 반도체 기판(31)상에 제 4 다결정 실리콘을 형성한 후, 상기 제 4 다결정 실리콘을 평탄화 공정을 실시하여 하부전극(45)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기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 2 질화 막 측 벽(40)을 형성하기 전에 저농도 n형 불순물을 이온 주입하여 상기 게이트(39) 양측의 반도체 기판(31) 표면내에 LDD(Lightly Doped Drain) 영역을 형성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은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절연막으로 반도체 기판과 격리시키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숏 채널 효과를 방지하여 트랜지스터의 공정 마진 확보가 용이하여 소자의 고집적화를 향상시킨다.
둘째, DRAM 셀의 트랜지스터인 경우에는 반도체 기판과 소오스/드레인 영역 접합부위에 누설전류가 발생되지 않아 리프레쉬 특성이 개선되어 소자의 특성을 향상시키고 그 접합부위의 커패시터가 감소하여 전류 구동 능력을 향상시키며 또한 문턱 전압 조절용 이온 주입 공정을 두 번 실시하거나 그레이드한 접합을 형성하기 위하여 SC1이온을 주입하는 공정이 필요 없으므로 소자의 공정이 단순화 된다.

Claims (1)

  1. 기판 상에 게이트 절연 막을 개재한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의 기판 상에 제 1 절연 막 측 벽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게이트 양측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이 형성될 부위에 제 1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상기 기판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
    상기 트렌치를 포함한 전면에 제 2 절연 막과 제 1 도전 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 1 절연 막 측 벽을 포함한 게이트 양측 밑의 기판 측면이 노출된 제 2 트렌치가 형성되도록 상기 제 1 도전 체와 제 2 절연 막을 선택 식각하는 단계;
    상기 제 2 트렌치내에 제 2 도전 체를 형성하여 상기 제 2 절연 막에 의해 상기 기판과 격리된 상기 제 1, 제 2 도전 체의 소오스/드레인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1019980058456A 1998-12-24 1998-12-24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KR200000422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456A KR20000042294A (ko) 1998-12-24 1998-12-24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8456A KR20000042294A (ko) 1998-12-24 1998-12-24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2294A true KR20000042294A (ko) 2000-07-15

Family

ID=1956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8456A KR20000042294A (ko) 1998-12-24 1998-12-24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22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75B1 (ko) * 2009-07-03 2011-09-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8575B1 (ko) * 2009-07-03 2011-09-30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8283658B2 (en) 2009-07-03 2012-10-09 Hynix Semiconductor Inc.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45327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ifferent gate insulating films with different amount of carbon
KR100712989B1 (ko) 리세스 채널 및 비대칭접합 구조를 갖는 반도체 소자의제조방법
US6444548B2 (en) Bitline diffusion with halo for improved array threshold voltage control
JP2002043439A (ja) チャンネルイオン注入用のマスクパターンを用いた半導体メモリ素子の製造方法
US20010002058A1 (en) Semiconducto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0321088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000042294A (ko)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JP2005026661A (ja) リフレッシュタイムを改善させた半導体素子の製造方法
KR100712978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0334968B1 (ko) 매몰 채널 pmos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100200750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72509B1 (ko) 트랜지스터및그제조방법
KR100263464B1 (ko) 반도체 소자 격리방법
KR960013502B1 (ko) 반도체소자의 소자분리막 제조방법
KR20030002243A (ko) 에스램(sram)의 제조 방법
KR100537272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20071214A (ko) 보더리스 콘택을 구비한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00045470A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20040002229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020056638A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20000045670A (ko) 디램의 메모리셀 제조방법
KR20020050513A (ko) 반도체 소자 및 그의 제조 방법
KR980012236A (ko) 디램의 시모스(cmos) 제조 방법
KR20010061038A (ko) 격리막 형성 방법
KR20040008496A (ko)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