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874A -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874A
KR20000022874A KR1019990037099A KR19990037099A KR20000022874A KR 20000022874 A KR20000022874 A KR 20000022874A KR 1019990037099 A KR1019990037099 A KR 1019990037099A KR 19990037099 A KR19990037099 A KR 19990037099A KR 20000022874 A KR20000022874 A KR 20000022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eans
control
image
similarity
scre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59320B1 (ko
Inventor
사노시게유키
마츠야마히로유키
무라야마유조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20000022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04N5/45Picture in picture, e.g. displaying simultaneously another television channel in a region of the scree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9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dedicated keyboard keys or combinations thereof
    • G06F3/0489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cursor position based on codes indicative of cursor displacements from one discrete location to another, e.g. using cursor control keys associated to different directions or using the tab ke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04N21/4316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for displaying supplemental content in a region of the screen, e.g. an advertisement in a separate window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8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screen layout parameters, e.g. fonts, size of the wind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12Overlay of images, i.e. displayed pixel being the result of switching between the corresponding input pix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모화면의 영상신호가 입력단자(1)에서 전환스위치(2)와 RGB드라이브회로(3)와를 통해서 수상관(4)에 공급된다. 또 자화면의 영상신호는 입력단자에서 자화면신호의 형성제어회로(6)에 공급되고, 임의의 사이즈로 압축되고, 임의의 위치의 타이밍으로 취출되어서 자화면의 영상신호가 형성된다. 또한 지령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가 입력단자(8)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9)에 공급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9)에서는 상술의 지령신호가 중앙처리장치(CPU)(10)에 공급되어서 상술의 자화면의 표시위치등을 정하는 제어신호가 형성되는 동시에, 이 처리의 일부에 조작버튼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이 판정되고, 제어의 반응시간이 결정되어서 조작이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한다.

Description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Screen control device and method}
본 발명은 예를들면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으로서의 모화면과 동시에 제 2화상으로서의 자화면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바람직한 제어장치 및 영상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예를들면 상술의 제 2화상에 있어서는 그 표시장치의 제어등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를들면 기기의 제어를 키조작에 의해 행하는 경우에, 동일 키가 연속하여 조작된때에는 제어에 의한 변화의 속도가 가속되도록 하여 소망의 제어가 원활하게 행하여지도록 한 제어장치가 실현되고 있다. 즉 이 제어장치에 있어서는 키를 단속하여 조작함으로써 제어가 약간씩 변화하는 동시에, 동일 키가 연속하여 조작된때에는 변화가 가속됨으로써 미조정과 원활한 제어의 어느것도 행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장치에 있어서, 제어방향이 2차원이상의 경우에는 예를들면 2개의 키를 이용해서 제어를 행하는 것이 고려된다. 그 경우에 2개의 키를 상호 조작하면 그 키조작은 연속은 아니고 단속한 것으로 되고, 제어의 변화가 약간씩의 것으로 되어 버린다. 이 때문에 소망의 제어를 행하기까지에 긴 시간이 걸리는 등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리는 것이다.
그런데 예를들면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으로서의 모화면과 동시에 제 2화상으로서의 자화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도록 한 영상기기가 실현되고 있다. 이와같은 영상기기에 있어서, 종래의 기기에서는 자화면은 예를들면 표시화면의 네모서리의 어느것이 일개소에 표시되는 것이고, 자화면의 표시위치는 한정되어 있는 것 이었다. 따라서 종래의 기기에서는 자화면을 어떤 위치에 표시하여도 모화면의 필요한 부분이 숨어버리는 등의 문제를 생기게 할 우려가 있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제 1수단은 복수의 지령수단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고, 지령수단이 서로 조작된 경우라도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반응시간을 감소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것에 의하면 제어방향이 2차원이상의 경우에도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 2수단은 임의의 지령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제 2화상을 표시화면중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하도록 한 것으로서, 이것에 의하면 자화면의 표시에 의해 모화면의 필요한 부분이 숨어버리는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 영상기기 및 제어방법을 적용한 예를들면 텔레비전수상기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그 복수의 지령수단으로서의 조작버튼 및 조이스틱의 구성도이다.
도 3은 그 제 1실시예의 형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그 제 1실시의 형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플로차트이다.
도 5는 그 제 2실시의 형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그 제 2실시의 형태의 동작의 설명을 위한 플로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입력단자 2. 전환스위치
3. RGB드라이브회로 4. 수상관
5. 입력단자 6. 형성제어회로
7. 분리회로 8. 입력단자
9. 마이크로컴퓨터 10. 중앙처리장치(CPU)
즉 본 발명의 제 1실시의 형태는, 복수의 지령수단이 설치되고,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으로서,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수단 또는 스텝과,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대한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수단 또는 스텝과를 설치하고,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반응시간을 가감하여 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는,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과 동시에 제 2화상의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영상기기 및 제어방법으로서,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임의로 제어하는 수단 또는 스텝을 가지며, 임의의 지령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제 2화상을 표시화면중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하여 되는 것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어장치 및 영상기기를 적용한 예를들면 텔레비전수상기의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또한 이 예에서는 예를들면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으로서의 모화면과 제 2화상으로서의 자화면의 표시를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이 자화면의 표시위치를 임의로 제어하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도 1에 있어서, 예를들면 표시화면상에 표시되는 제 1화상으로서의 모화면의 영상신호가 입력단자(1)에 공급된다. 이 모화면의 영상신호는 전환스위치(2)에 공급되어서 후술하는 자화면의 영상신호로 전환된다. 그리고 이 전환스위치(2)로부터의 영상신호가 RGB드라이브회로(3)를 통해서 상술의 표시화면을 영출하는 수상관(4)에 공급된다.
또 제 2화상으로서의 자화면의 영상신호는 입력단자(5)에서 자화면신호의 형성제어회로(6)에 공급된다. 이 형성공급제어회로(6)에는 예를들면 모화면의 영상신호로부터 분리회로(7)에서 분리된 동기신호가 공급된다. 이것과 형성제어회로(6)의 내부에서의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속도의 변환에 의해 자화면의 영상신호가 임의의 사이즈로 압축되고, 상술의 표시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의 타이밍으로 취출되어서 자화면의 영상신호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형성된 자화면의 영상신호가 전환스위치(2)에 공급된다. 또한 형성제어회로(6)에서는 상술의 표시화면상의 임의의 위치의 타이밍에 상당하는 전환신호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술의 전환스위치(2)가 이 전환신호에 따라서 전환되는 것, 및 형성제어회로(6)의 내부에서의 메모리로부터의 독출속도의 변화에 의해 모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사이즈의 자화면이 합성된다.
또한 예를들면 키스캔이나 리모트컨트롤의 적외선(IR)등의 임의의 지령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가 입력단자(9)를 통해서 마이크로컴퓨터(9)에 공급된다. 이 마이크로컴퓨터(9)에서는 상술의 지령신호가 중앙처리장치(CPU)(10)에 공급되어서 상술의 자화면의 표시위치등을 정하는 제어신호가 형성된다. 그리고 형성된 제어신호가 상술의 자화면신호의 형성제어회로(6)에 공급되어서 자화면의 표시위치등이 제어된다.
여기서 입력단자(8)에는 예를들면 도 2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복수의 지령수단으로부터의 지령신호가 공급된다. 즉, 도 2a에서는 상하좌우의 4개의 조작버튼으로부터의 각각의 방향을 나타내는 지령신호가 공급된다. 또 도 2b에서는 소위 조이스틱에 의해 화살표로 나타내는 8방향의 지령신호가 공급된다. 또한 이들의 조작버튼 혹은 조이스틱은 기기본체 혹은 원격조작장치에 설치된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도 3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자화면이 모화면의 우하에 표시되어 있는 상태에서 도 3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좌방향의 조작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자화면을 좌로 이동시키고, 또한 상방향의 조작버튼을 누르는 것으로 화면을 위로 이동시켜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자화면을 모화면의 좌상에 표시시킬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자화면을 모화면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경우에 예를들면 좌방향의 조작버튼을 누른때에는 최초는 천천히 한 이동에서 동일 조작버튼을 계속 누르는 것으로 이동속도가 서서히 가속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미조정과 원활한 제어를 동시에 양호하게 행하기때문이다. 그러나 종래의 장치에서는 다음에 상방향의 조작버튼을 누른때에는 재차 천천히 한이동으로 되어 버리고, 이것에서는 조작이 침체되어서 원활하게 행할 수 없다.
그래서 상술의 구성에서는 마이크로컴퓨터(9)에서의 처리의 일부에 조작버튼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수단(11)과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수단(12)을 설치하고, 이들의 수단에 의해 상술과 같은 조작에 대하여도 조작이 원활히 행하여지도록 하고 있다. 즉 도 4에서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컴퓨터(9)에서의 키입력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 도 4에 있어서 처리가 스타트되면 먼저 스텝(S1)에서 상술의 조작버튼 혹은 조이스틱으로부터의 키입력이 검출되고, 스텝(S2)에서 키입력데이터가 판별된다. 또한 스텝(S3)에서 판별된 데이터에서 키입력의 동일입력이 판별되고, 스텝(S4)에서 키입력의 동종입력이 판별된다. 그리고 스텝(S5)에서 키입력의 실효속도가 조정되고, 스텝(S6)에서 키입력의 실효처리가 행하여져서 키입력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이 처리에 있어서 스텝(S3)에서 키입력의 동일입력이 판별된때는 스텝(S5)에서 키입력의 실효속도가 서서히 가속하는 조정이 행하여진다. 또 스텝(S4)에서 키입력의 동종입력이 판별된때도 스텝(S5)에서 키입력의 실효속도를 서서히 가속하는 조정이 행하여진다. 이것에 대하여 스텝(S3, S4)에서 키입력의 동일입력도 동종입력이 판별되지 않은때는 스텝(S5)에서 키입력의 실효속도를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조정이 행하여진다.
즉 상술의 조작버튼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수단(11)에서 조작버튼의 유사성이 판정된때는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수단(12)에서 동일의 조작버튼이 조작된 것으로서 반응시간을 가감한다. 이것에 의해 예를들면 상술의 좌방향의 조작버튼으로 계속해서 상방향의 조작버튼을 누른때에도 이동이 가속된채로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의 조작버튼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은, 예를들면 리드온메모리(ROM)(13)에 기억된 유사성의 조합의 테이블등에 의거해서 입력된 키의 데이터와 예를들면 랜덤엑세스메모리(RAM)(14)에 기억된 직전의 키입력의 데이터와를 판정수단(11)에서 비교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이 장치 또는 기기에 있어서 복수의 지령수단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고,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도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반응시간을 가감함으로써 제어방향이 2차원 이상의 경우에도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종래의 장치 또는 기기에서는 제어방향이 2차원 이상의 경우에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없게 되어 버릴 우려가 있던 것을, 본 발명에 의하면 이들의 문제점을 용이하게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술의 장치 또는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대상은 모화면중의 자화면의 표시장치에 한정하지 않고, 커서나 포인터의 장치의 제어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또 표시화면을 수반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4채널음향기기에서의 청취위치의 설정이나 색상과 포화등의 2차원이상의 제어를 행하는 경우에 적용되는 것이다.
또 상술의 장치 또는 기기에 있어서는 상술의 조작버튼 혹은 조이스틱을 이용함으로써 예를들면 도 5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자화면을 표시화면의 임의의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도 6에는 예를들면 마이크로컴퓨터(9)에서의 자화면위치설정처리의 흐름을 나타낸다.
이 도 6에 있어서 처리가 스타트되면 먼저 스텝(S7)에서 키입력데이터의 디코드처리가 행하여지고, 예를들면 상술의 반응시간마다 입력된 키의 데이터가 취출된다. 그리고 스텝(S8)에서는 예를들면 키의 데이터가 방향마다 가산되어서 자화면의 위치가 산출된다. 그리고 스텝(S9)에서 산출된 위치에 자화면의 위치가 설정되어서 자화면위치설정처리가 종료된다.
따라서 이 장치 또는 기기에 있어서 임의의 지령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제 2화상을 표시화면중 임의의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자화면의 표시에 의해 모화면의 필요한 부분이 숨어버리는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이 자화면의 위치를 이동할때에는 상술과 같이 조작버튼의 유사성을 판정하는 것으로 조작을 원활히 행할 수 있다.
또 상술의 장치 또는 기기에 있어서 자화면의 표시위치는 예를들면 도 5a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모화면 중 뿐만아니라, 도 5b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표시화면의 유효화면외에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이들의 표시위치의 설정정보를 예를들면 랜덤액세스메모리(RAM)(14)에 기록유지시킴으로써, 예를들면 장치 또는 기기의 사용을 일단 정지한 후에도 사용의 재개시에는 전회의 표시위치에 자화면등을 표시시킬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 2화상으로서의 자화면에는 상술과 같은 방송등의 영상신호뿐만아니라, 장치 또는 기기의 설정등을 행하기 위한 메뉴화면등을 표시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 자화면은 복수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하여 본 발명의 제 1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복수의 지령수단이 설치되고,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으로서,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수단 또는 스텝과,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대한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수단 또는 스텝과를 설치하고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반응시간을 가감함으로써 제어방향이 2차원 이상의 경우에도 조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제 2실시의 형태에 의하면,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과 동시에 제 2화상의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제어방치 및 제어방법으로서,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임의로 제어하는 수단 또는 스텝을 가지며, 임의의 지령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제 2화상을 표시화면중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함으로써, 자화면의 표시에 의해 모화면의 필요한 부분이 숨어버리는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술의 설명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는 것 없이 여러종류의 변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Claims (16)

  1. 복수의 지령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장치로서,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대한 상기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수단과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상기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제어는 영상기기의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과 동시에 제 2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상기 제 2화상의 제어로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제어는 커서의 제어로서,
    상기 커서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 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제어는 포인터의 제어로서,
    상기 포인터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장치.
  5.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과 동시에 제 2화상의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영상기기로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임의로 제어하는 수단을 가지며,
    임의의 지령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2화상을 상기 표시화면중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수단은 복수의 지령수단으로 되고,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수단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대한 상기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수단을 설치하고,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상기 표시화면의 유효화면외에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8. 제 5항 또는 제 7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의 설정정보를 기록유지하는 수단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
  9. 복수의 지령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기기의 제어를 행하는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대한 상기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스텝과를 설치하고,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상기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제어는 영상기기의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과 동시에 제 2화상의 표시를 행하는 경우의 상기 제 2화상의 제어로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제어는 커서의 제어로서,
    상기 커서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 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의 제어는 포인터의 제어로서,
    상기 포인터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13. 표시화면상에 제 1화상과 동시에 제 2화상의 표시를 행할 수 있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임의로 제어하는 스텝을 가지며,
    임의의 지령수단의 조작에 따라서 상기 제 2화상을 상기 표시화면중의 임의의 위치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지령수단은 복수의 지령수단으로 되고,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의 유사성 및/또는 비유사성을 판정하는 스텝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대한 상기 제어의 반응시간을 결정하는 스텝을 설치하고,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의 각각의 조작에 따라서 제어하는 경우에,
    상기 복수의 지령수단이 교체하여 조작된 경우에 조작의 유사성이 판단된때는 상기 반응시간을 가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를 상기 표시화면의 유효화면외에도 설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16. 제 13항 또는 제 15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제 2화상의 표시위치의 설정정보를 기록유지하는 스텝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기기의 제어방법.
KR1019990037099A 1998-09-04 1999-09-02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6593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133298A JP4158238B2 (ja) 1998-09-04 1998-09-04 制御装置及び制御方法
JP98-251332 1998-09-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874A true KR20000022874A (ko) 2000-04-25
KR100659320B1 KR100659320B1 (ko) 2006-12-18

Family

ID=1722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99A KR100659320B1 (ko) 1998-09-04 1999-09-02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970180B1 (ko)
EP (1) EP0984350B1 (ko)
JP (1) JP4158238B2 (ko)
KR (1) KR100659320B1 (ko)
DE (1) DE69919468T2 (ko)
TW (1) TW446907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82B1 (ko) * 2002-05-03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Pip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69262B1 (ko) * 2002-06-03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18521B1 (ko) * 2005-01-31 2007-05-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47475A (ja) * 2001-02-14 2002-08-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映像表示装置
WO2005062605A1 (ja) * 2003-12-18 2005-07-07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画像表示制御装置及び画像表示システム
TWI749305B (zh) * 2019-03-20 2021-12-11 緯創資通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及其運作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17376A (ja) * 1983-11-29 1985-06-24 Yokogawa Medical Syst Ltd コンピュ−タ断層撮像装置用画像表示装置
US5091785A (en) 1989-04-20 1992-02-25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Picture-in-picture circuitry using field rate synchronization
US5189403A (en) 1989-09-26 1993-02-23 Home Row, Inc. Integrated keyboard and pointing device system with automatic mode change
JPH05183833A (ja) 1992-01-07 1993-07-23 Sony Corp 表示装置
EP0631223B1 (en) 1993-06-14 2000-09-0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peed adaptive positioning of cursor in CD-I
FR2744551B1 (fr) 1996-02-02 1998-03-06 Sagem Dispositif de commande de defilement de donnees sur un ecran de visualisation
CA2191632A1 (en) 1996-02-13 1997-08-14 James Lee Combs Video processor for processing two analog composite video signal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1182B1 (ko) * 2002-05-03 2004-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Pip처리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469262B1 (ko) * 2002-06-03 2005-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제어장치 및 방법
KR100718521B1 (ko) * 2005-01-31 2007-05-16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영상 출력 시스템 및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기록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84350B1 (en) 2004-08-18
JP4158238B2 (ja) 2008-10-01
EP0984350A1 (en) 2000-03-08
DE69919468T2 (de) 2005-09-08
US6970180B1 (en) 2005-11-29
JP2000083202A (ja) 2000-03-21
DE69919468D1 (de) 2004-09-23
KR100659320B1 (ko) 2006-12-18
TW446907B (en) 2001-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07691B1 (ko) 티브이의 스크린 상의 pip 표시장치 및 방법
US5751373A (en) Television function selection method, television receiver and remote commander for television receiver
JP2850037B2 (ja) テレビジョン受信機
US5610664A (en) Teletext receiver
JPH0638128A (ja) 映像表示装置
JP2781117B2 (ja) メニュー方式のマルチチャンネル編集装置
JPH05103281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KR100659320B1 (ko) 영상기기 제어장치 및 방법
KR100301024B1 (ko) 디지털 텔레비전수상기에서 원화면의 부분별 확대장치
US20060109382A1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H04126479A (ja) Tv付きパーソナルコンピュータ
KR10032046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JPH05165443A (ja) 音響機器及びその操作表示方法
KR100503469B1 (ko) 영상확대장치 및 방법
JP2000188792A (ja) キ―共有方法及び同一機能共有方法
KR20000074837A (ko) 티브이의 퍼즐게임 구현장치 및 방법
JPH05336461A (ja) 映像信号出力装置
JPH0767049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2004038403A (ja) 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KR19990056558A (ko) 텔레비젼의 화면편집방법
JPH0259795A (ja) マルチ映像システム
KR100469399B1 (ko)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KR970029377A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윈도우 줌재생 방법 및 장치
JPH10149150A (ja) 画像表示制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H05249940A (ja) 電子機器におけるカーソル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