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399B1 -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 Google Patents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399B1
KR100469399B1 KR10-2003-0003696A KR20030003696A KR100469399B1 KR 100469399 B1 KR100469399 B1 KR 100469399B1 KR 20030003696 A KR20030003696 A KR 20030003696A KR 100469399 B1 KR100469399 B1 KR 100469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input source
window
output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036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66586A (ko
Inventor
박정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036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99B1/ko
Publication of KR20040066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65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16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organic material, e.g. synthetic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29Filter cartridg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06Filter cloth, e.g. knitted, woven non-woven; self-supported material
    • B01D2239/0604Arrangement of the fibres in the filtering material
    • B01D2239/0618Non-wo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39/00Aspects relating to 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2239/10Filtering material manufacturing

Abstract

본 발명은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에서 사용자가 주(Main)로 보고자 하는 입력소스에 대한 음성 입출력 경로 설정을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스프리트 윈도우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 크기를 설정함과 아울러 좌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설정하는 제1 과정과; 현재 음성 출력모드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자동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의 변경 크기에 따라, 좌/우 윈도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재설정하여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 과정과; 수동 모드이면, 리모콘키의 유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하는 제4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SOUND OUTPUT METHOD FOR DIGITAL TV IN USING SPLIT WINDOWS}
본 발명은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에서 보다 효과적인 음성을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한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에관한 것이다.
기존의 멀티미디어 산업이 디지털 시대를 맞이하면서, 보다 깨끗하고 선명한 영상, 보다 생동감 넘치는 충분한 음향효과를 느끼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가 함께 증가하고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산업의 활성화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영상 및 음성 포맷을 가진 미디어들 또한 증가하게 되었으며 이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 또한 증가하게 되었다.
이러한 추세 속에 현재 보급되고 있는 티브이 제품군들의 경우를 살펴보면, 기존의 아날로그 티브이 신호는 물론 디지탈 티브이 신호, DVD, DVI, VCR 및 기타 여러 가지 다양한 입력을 모두 대응할 수 있도록 그 기능이 커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다양한 입력들에 대응하는 티브이 제품군들을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경우 한꺼번에 한 가지 이상의 입력을 동시에 보고 싶어하는 요구 또한 증가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대표적인 것으로, 피아이피(PIP)나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방식이 있는데, 상기 피아이피(PIP)나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방식은 한번에 2가지의 방송 및 미디어 입력을 사용자들에게 출력시켜줌으로써 사용자들로 하여금 보다 손쉬운 방송이나 미디어의 입력을 선택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피아이피(PIP)나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방식은 영상출력은 2가지를 한번에 보여줄 수 있으나 음성출력은 한번에 한 가지만 출력시켜 주어야만 한다.
즉, 상기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방식은 2개의 입력 소스를 동시에 보여주는 방식인데, 이 때, 일반적으로 2개의 입력 소스를 좌, 우에 배치하여 보여주는 방식을 취하고, 각각의 윈도우 크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절된다.
그러나, 2개의 입력 소스를 좌,우 윈도우에 동시에 보여 주어도 음성출력은 한가지 입력 소스에 대해서만 출력해 주어야만 하고, 이에 따라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상에서 2가지 입력 소스중 어떤 소스의 음성을 최종 출력으로 선택하여 내보내줄 것인지를 선택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즉, 상기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나, 또는 PIP기능을 가진 디지탈 티브이에서, 영상신호는 부화면을 통해 다수개를 출력할 수 있지만 음성신호는 하나만 출력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효과적인 음성출력을 위하여 일일이 경로를 설정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에서 사용자가 주(Main)로 보고자 하는 입력소스에 대한 음성 입출력 경로 설정을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본 발명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
도2는 도1에 있어서, 좌/우 음성 선택 메뉴를 보인 개략도.
도3은 도1에 있어서, 스프리트 윈도우 크기가 동일한 경우의 음성출력을 보인 개략도.
도4는 도1에 있어서, 스프리트 윈도우 크기가 다른 경우의 음성출력을 보인 개략도.
도5는 본 발명 스프리트 윈도우 발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프리트 윈도우 모드이면,좌/우 윈도우 크기를 설정함과 아울러 좌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설정하는 제1 과정과; 현재 음성 출력모드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자동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의 변경 크기에 따라, 좌/우 윈도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재설정하여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 과정과; 수동 모드이면, 리모콘키의 유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하는 제4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에 대한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5는 본 발명 스프리트 윈도우 발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이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좌우 윈도우 소스 설정부(400)는, 최초 스프리트 윈도우 모드가 시작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좌/우 윈도우 소스를 설정하고, 그 좌/우 윈도우 사이즈를 동일하게 설정한다.
메인/서브 AV소스 설정부(600)는,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자동모드에서는 좌/우 윈도우의 크기를 비교하여 크기가 더 큰 윈도우의 소스를 메인 AV소스로,작은 크기의 윈도우의 소스를 서브 AV소스로 설정하고, 좌/우 윈도우의 크기가 동일한 경우에는 좌측 윈도우의 소스를 메인 AV소스로, 우측 윈도우의 소스를 스브 AV소스로 설정한다.
최종 영상 출력설정부(700)와 최종 음성 출력설정부(800)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소스와 메인 AV소스로 설정된 소스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에는 재설정하고, 같은 경우에는 이전의 상태를 유지시킨다.
상기 최종 음성 출력설정부(800)는, 사용자에 의해 리모컨의 '좌우음성선택키'를 사용해 수동모드로 음성출력을 전환하는 경우에는, 그 좌우음성선택기의 키신호에 의해 최종 음성 출력을 바꾸어준다.
그리고, 도1은 본 발명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에 대한 동작흐름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프리트 윈도우 (SPLIT WINDOWS)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 크기를 설정함과 아울러 좌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설정하는 제1 과정과; 현재 음성 출력모드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자동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의 변경 크기에 따라, 좌/우 윈도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재설정하여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 과정과; 수동 모드이면, 리모콘키의 유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하는 제4 과정과; 사용자에 의해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모드가 종료되면, 현재 입력소스의 음성출력을 메인으로 설정하여 최종 출력하면서 스프리트 윈도루를 종료하는 제5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과정은, 좌/우 윈도우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좌측 입력소스를 메인, 우측 입력소스를 서브로 설정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3 과정은, 좌/우 윈도우 크기 변경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좌/우 윈도우 크기가 변경되지 않으면 좌측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좌/우 윈도우 크기가 변경되면, 좌/우 윈도우 크기를 비교하는 제3 단계와; 윈도우 크기가 큰 입력소스를 메인으로 설정한후, 그 메인 입력소스의 윈도우 크기와 현재 입력소스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의 판단결과,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입력소스를 메인으로 재설정하여 음성을 최종 출력하고,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면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5 단계와; 사용자가 리모콘의 좌/우 음성선택키를 눌러 음성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소스의 음성을 출력하는 제6 단계로 이루어진다.
제4 과정은, 리모콘키의 입력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리모콘키의 입력이 있으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리모콘키의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가 티브이에 부착된 조정키를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입력소스를 선택하고, 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지며, 이와같은 본 발명의 동작을 도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1,제2 튜너를 통해 입력되는 좌우 입력소스를 A/V디코더(300)에서 디코딩한다.
이때,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모드이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상기 A/V디코더(300)에서 출력되는 좌우 입력소스를 좌우 윈도우 소스설정부 (400)에서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또한 상기 A/V디코더(300)에서 출력되는 좌우 입력소스를 메인/서브 AV설정부(600)에서 메인과 서브로 설정한다.
즉,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 크기를 설정함과 아울러 좌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설정하는데, 즉 도3과 같이 좌/우 윈도우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고, 좌측 입력소스를 메인, 우측 입력소스를 서브로 설정한다.
이렇게 설정함으로써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를 선택하여 화면이 좌우로 구분되는 시점에서 사용자의 혼란을 최소로 줄이며 입력소스 선택의 일관성을 유지시킬 수 있게 한다.
그 다음, 현재 음성 출력모드를 판단하는데, 도2와 같은 좌우음성 선택메뉴에서 자동선택 또는 수동선택을 결정한다.
상기 판단결과, 현재 음성 출력모드가 자동 모드이면, 제어부(100)는 좌/우 윈도우의 변경 크기에 따라, 메인/서브 AV소스 설정부(600)에서 좌/우 윈도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재설정하여, 제어부(100)의 제어신호에 의해 메인 윈도우 소스의 영상신호를 최종 영상출력설정부(700)를 통해 디스플레이되고, 메인 윈도우 소스의 음성신호를 최종 음성출력설정부(800)를 통해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데, 좌/우 윈도우 크기 변경유무를 판단하여, 좌/우 윈도우 크기가 변경되지 않으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최종 음성 출력 설정부(800)에서 메인 오디오 소스인 좌측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한다.
만약, 좌/우 윈도우 크기가 변경되면, 제어부(100)는 좌/우 윈도우 크기를 비교하여, 메인/서브 윈도우 설정부(600)에서 윈도우 크기가 큰 입력소스를 메인으로 설정하고, 그 메인 입력소스의 윈도우 크기와 현재 입력소스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판단결과,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최종 음성출력설정부(800)에서 현재 입력소스를 메인으로 재설정하여 음성을 최종 출력하고,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면, 제어부(100)의 제어에 의해, 최종 음성출력설정부(800)에서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한다.
즉, 특정 윈도우의 사이즈를 변경하고 있는 중에는 현재 출력되고 있는 입력 소스의 음성출력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가, 윈도우의 사이즈를 조절하는 키신호가 종료되는 순간, 도4와 같이 좌/우 윈도우중 더 큰 윈도우에 대한 대한 입력 소스의 음성출력을 선택 출력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자동모드에서, 만약, 사용자가 리모콘의 좌/우 음성선택키를 눌러 음성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소스의 음성을 출력하는데, 사용자가 리모콘키의 좌우음성선택키를 누를때마다, 제어부 (100)는 좌우 음성선택키의 입력을 확인하여, 토글방식으로 최종 음성출력설정부 (800)를 제어하여, 현재 선택되어 있는 입력소스의 음성에서 다른 입력소스의 음성을 출력을 변경한다.
만약, 현재 음성 출력모드가 수동 모드이면, 제어부(100)는 리모콘키의 유무에 따라, 최종 음성 출력설정부(800)를 제어하여,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 즉 메인 오디오 소스 또는 서브 오디오 소스를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한다.
즉, 리모콘키의 입력유무를 판단하여, 리모콘키의 입력이 있으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고, 리모콘키의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가 티브이에 부착된 조정키를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입력소스를 선택하고, 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한다.
이때, 현재 출력되고 있는 입력소스에 대한 정보와 다시 선택되어 출력될 입력 소스에 대한 정보를 음성 출력이 변경될 때마다,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하여 두고, 그 정보를 사용자 인터페이스(UI)에서 화면에 표시해 줌으로써, 현재 선택되어 출력되고 있는 입력 소스가 어떤 것인지를 사용자로 하여금 명확히 알 수 있도록 해주며 일관성 있는 음성출력 선택 및 변경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따라, 최초 전원이 투입되는 경우 혹은, 자동선택(AUTO MODE)에서 수동선택(MANUAL MODE)으로 전환을 할 경우, 제어부(100)가 데이터 베이스(200)에 저장된 데이터를 읽어들여, 항상 이전의 상태를 Check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전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여 일관성 있는 음성출력 선택을 유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만약 사용자에 의해, 현재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모드가 종료되면, 현재 입력소스의 음성출력을 메인으로 설정하여 최종 출력하면서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를 종료시킨다.
다시 말해서,본 발명은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기능이 있는 티브이 제품군에서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에 대한 음성 출력 선택을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로 구분하여 구현함으로써 자동모드의 경우에는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의 크기를 기준으로, 크기가 큰 윈도우를 메인 오디오로 출력하도록 선택하도록 하고, 수동모드의 경우에는 자동모드의 최종 설정값을 기준으로 리모콘 키를 입력 받아 메인과 서브를 토글시켜 최종 음성 출력을 선택한다.
상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행해진 구체적인 실시 양태 또는 실시예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명확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이러한 구체적 실시예에 한정해서 협의로 해석해서는 안되며, 본 발명의 정신과 다음에 기재된 특허 청구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변경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한 번에 두 가지의 AV입력을 동시에 보기 위한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에서 사용자가 주(Main)로 보고자 하는 입력에 대한 음성 출력을 사용자로 하여금 보다 손쉽고 이해하기 쉽도록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스프리트 윈도우(SPLIT WINDOWS) 상에서 음성 입출력 경로(Path) 설정을 보다 효과적으로 구성하여 사용자의 편의성을 극대화 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스프리트 윈도우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 크기를 설정함과 아울러 좌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설정하는 제1 과정과;
    현재 음성 출력모드를 판단하는 제2 과정과;
    자동 모드이면, 좌/우 윈도우의 변경 크기에 따라, 좌/우 윈도우 입력소스를 메인과 서브로 재설정하여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3 과정과;
    수동 모드이면, 리모콘키의 유무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하는 제4 과정으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제1 과정은,
    좌/우 윈도우 크기를 동일하게 설정하는 제1 단계와;
    좌측 입력소스를 메인, 우측 입력소스를 서브로 설정하는 제2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제3 과정은,
    좌/우 윈도우 크기 변경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좌/우 윈도우 크기가 변경되지 않으면 좌측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좌/우 윈도우 크기가 변경되면, 좌/우 윈도우 크기를 비교하는 제3 단계와;
    윈도우 크기가 큰 입력소스를 메인으로 설정한후, 그 메인 입력소스의 윈도우 크기와 현재 입력소스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와;
    상기 제4 단계의 판단결과,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지 않으면, 현재 입력소스를 메인으로 재설정하여 음성을 최종 출력하고,
    윈도우 크기가 일치하면 메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5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콘의 좌/우 음성선택키를 눌러 음성을 선택하면, 자동으로 수동모드로 전환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입력소스의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5. 제3 항에 있어서, 제2 단계는,
    사용자가 리모콘키의 좌우음성선택키를 누를때마다, 토글방식으로 현재 선택되어 있는 입력소스의 음성 대신에, 다른 입력소스의 음성을 선택하여 변경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6. 제3 항에 있어서, 출력되는 입력소스의 정보를 저장하여, 음성출력이 변경될 때마다 입력소스의 정보를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제4 과정은,
    리모콘키의 입력유무를 판단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리모콘키의 입력이 있으면, 선택된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판단결과, 리모콘키의 입력이 없으면, 사용자가 티브이에 부착된 조정키를 이용하여 출력하고자 하는 입력소스를 선택하고, 그 입력소스의 음성을 최종 음성으로 변경 출력하는 제3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스프리트 모드가 종료되면, 현재 입력소스의 음성출력을 메인으로 설정하여 최종 출력하면서 스프리트 윈도루를 종료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 음성출력방법.
KR10-2003-0003696A 2003-01-20 2003-01-20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KR100469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696A KR100469399B1 (ko) 2003-01-20 2003-01-20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03696A KR100469399B1 (ko) 2003-01-20 2003-01-20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586A KR20040066586A (ko) 2004-07-27
KR100469399B1 true KR100469399B1 (ko) 2005-02-02

Family

ID=3735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03696A KR100469399B1 (ko) 2003-01-20 2003-01-20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7842B1 (ko) * 2005-05-06 2007-08-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장치에서 화면 크기 변경에 따른 음성 선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6586A (ko) 200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9537B1 (ko) 입력 레이블링 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 레이블링 방법
EP1641134A2 (en) Integrated remote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multiple devices
JP4999649B2 (ja) 表示装置
KR20000061224A (ko) 영상기기의 메뉴화면 표시방법
JP5264193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10074574A (ja) 電子機器及び音声調整方法
KR20080103980A (ko) 표시 제어 장치, 표시 제어 방법 및 표시 제어 프로그램
US742801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screen
KR20050058571A (ko) 화질개선 기능을 갖는 영상표시기기 및 그 제어방법
JP2008005268A (ja) 入力切換時の音量調整方法
KR20020022719A (ko) 텔레비젼 세트의 동작을 개성화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2077834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100469399B1 (ko) 스프리트 윈도우 방식을 이용하는 디지탈 티브이의음성출력방법
US20020063730A1 (en) Method for displaying manual of video apparatus and apparatus therefor
US20080284913A1 (en) Audio-visual system, reproducing apparatus, and display device
US8122382B2 (en) Television broadcast receiver
KR100386274B1 (ko) 텔레비전의 외부입력 편집방법
KR100607264B1 (ko) 영상표시기기 및 그 화면비 설정방법
KR100839845B1 (ko) 티브이의 음성 및 영상 속성값 설정 방법
JP4162603B2 (ja) 映像表示装置
JP2022178820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KR20100072681A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동영상 재생 장치 및 방법
KR100731357B1 (ko) 화질 조정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영상처리장치
KR20040059307A (ko) 영상 신호 수신 장치의 채널 속성 설정 방법
KR20060099786A (ko) 디지털 tv 동작 환경 설정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4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4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