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2216A -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2216A
KR20000022216A KR1019980710636A KR19980710636A KR20000022216A KR 20000022216 A KR20000022216 A KR 20000022216A KR 1019980710636 A KR1019980710636 A KR 1019980710636A KR 19980710636 A KR19980710636 A KR 19980710636A KR 20000022216 A KR20000022216 A KR 200000222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fishing line
needle
kn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프리 윌리암 터너
제임스 오테르 터너
Original Assignee
제프리 윌리암 터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UPO0667A external-priority patent/AUPO066796A0/en
Priority claimed from AUPO1404A external-priority patent/AUPO140496A0/en
Application filed by 제프리 윌리암 터너 filed Critical 제프리 윌리암 터너
Publication of KR20000022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221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늘부(11), 바늘부(11)로부터 연장된 자루부(12), 및 낚시바늘(10)에 낚시줄(17)을 매듭지어 연결시키기 위한 낚시줄 연결부(13)를 포함하는 낚시바늘(10)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연결부(13)는 각각 자유말단(16) 및 일련의 자루부(12)와 연결된 다리(14, 15)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14, 15)는 각각 적어도 낚시줄(17) 지름의 1배 이상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낚시줄 적용부위(33)를 지니고 있는 낚시바늘(10)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낚시바늘(10)을 매듭짓기 위한 매듭과 이러한 매듭을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통상적으로, 낚시바늘은 자루부로부터 연장되어 나온 바늘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자루부는 그 종단부에 바늘을 낚시줄과 연결시키기 위한 구멍을 지니고 있다. 이와 같이, 낚시줄을 통상적인 낚시바늘에 연결시킨다는 것은 상당히 지루하고 시간-낭비적이다. 특히, 날씨가 춥거나 장갑낀 채로 작업을 하는 경우 더욱 그렇다. 더군다나, 통상적인 연결방법으로는 낚시바늘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업적인 낚시줄을 제조하는 경우, 기계적으로 형성된 매듭을 이용하여 낚시바늘을 낚시줄에 연결시키는데, 이러한 경우 기계에 의해 형성된 매듭들에 의해 낚시줄에 과부하가 걸려 낚시줄이 끊어질 수도 있는 문제가 발생한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점을 극복하거나 또는 개선시키는 데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바늘부, 바늘부로부터 연장된 자루부, 및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매듭지어 연결시키기 위한 낚시줄 연결부를 포함하는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연결부는 각각 자유말단 및 일련의 자루부와 연결된 다리를 포함하고, 상기 다리는 각각 적어도 낚시줄 지름의 1배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낚시줄 적용부위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슬롯은 대략 낚시줄 지름의 적어도 5배 길이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자유말단을 지니고 있는 다리는 그 말단부가 다른 다리와는 점차 떨어져 낚시줄이 슬롯내로 유도되도록 하는 말단부위를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낚시바늘이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낚시줄 적용부위 사이의 거리는 낚시줄 지름의 1 내지 2배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한 말단은 낚시줄 연결부와 또 다른 말단은 바늘부와 연결된 자루부를 지니는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연결하는 매듭의 형성방법에 대하여도 추가적으로 개시하고 있는 바, 상기 방법은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 두 개를 함께 위치시키는 단계;
전기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를 이용해 자루부를 감싸서,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로 한 쌍은 낚시바늘의 바늘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고, 또 다른 쌍은 연결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몇 쌍의 회선(convolution)을 형성시키고, 그 중 낚시바늘의 바늘부에 가까운 회선을 이루고 있는 동일 길이의 두 낚시줄을 이용해 루프를 형성시키는 단계;
바늘부에 가까운 회선에 이웃한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가 바늘부에 가까운 회선은 물론, 또 다른 회선과도 교차되도록 상기 루프를 연결부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
바늘부에 가까이 위치한 회선과는 타단에 위치한 회선으로부터 연장된 낚시줄을 자루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선들을 유지수단(retaining means)으로 이동시키고, 유지수단에 가까운 회선으로부터 연장된 낚시줄의 하나 또는 둘 다에 회선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힘을 적용시켜 루프를 형성하는 낚시줄이 회선에 인접해지도록 루프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낚시바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수반되는 도면을 참작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적용시키는 단계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2는 낚시줄이 연결된 도 1의 낚시바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낚시바늘과 낚시줄에 대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낚시바늘에 대한 개략적인 저면도이다.
도 5는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적용시키는 단계에 대한 일련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이전의 구현예와는 다른 변형된 낚시바늘에 대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낚시바늘 중 교환가능한 바늘부에 대한 4 종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의 낚시바늘의 각 부위에 대한 3개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10)은 수반되는 도면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낚시바늘(10)은 자루부(12)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는 바늘부(11)를 지니고 있다. 자루부(12)는 낚시줄 연결부(13)에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 낚시줄 연결부(13)는 본 구현예에서 "U" 형상을 하고 있어 서로 떨어져 위치한 한쌍의 다리(14, 15)가 가능하게끔 한다. 이때, 한 다리(15)는 자루부(12)의 연속선상에 있는 반면, 또 다른 다리(14)는 상기 다리(15)와 대응하여 벌어져 있는 말단부분(16)을 지니고 있다.
낚시줄(17)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해 낚시바늘(10)에 연결된다.
바늘부(11)를 손바닥에 가까운 방향으로 하여 낚시바늘을 엄지와 손가락 사이로 잡는다. 이때, 도 1(A)에서와 같이 연결부가 노출되어진다.
그런 다음, 도 1(C)에서와 같이, 낚시줄을 잡고 자루 주위를 3 내지 4회 감싼다. 그 후, 낚시줄(17)의 회선(convolution)을 도 1(D)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잡는다. 이때, 자루부(12)를 감싸고 있는 낚시줄의 방향이 시계 방향이든 또는 반시계 방향이든 관계없다.
낚시줄의 자유말단을 놓고, 자루부(12) 쪽에 위치한 낚시줄의 다른 부위를 잡아 당겨 코일(18)이 슬롯(19) 방향으로 끌려오도록 한다. 최종 조립품은 도 2 내지 도 4에 가장 잘 나타내져 있다.
바람직하기로는, 다리(14, 15)는 적어도 낚시줄(17) 지름의 1배 이상 떨어져 위치한 낚시줄 적용부위(33)를 지니고 있다. 만일, 낚시바늘(10)이 플라스틱재로 만드는 경우라면, 낚시줄 적용부위(33)는 낚시줄(17) 지름의 1 내지 2배 정도 사이만큼 떨어져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군다나, 낚시줄 적용부위(33) 사이로 정의되는 슬롯(19)은 대략 낚시줄(17) 지름의 5배 정도의 길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슬롯(19)은 말단결합부(20) 방향으로 점점 감소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18)을 바늘부(11) 방향인 자루부(12) 아래로 이동시키면 낚시줄(17)을 제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람직한 구현예는 낚시줄(17)을 낚시바늘(10)에 쉽게 연결시킬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즉, 슬롯(19)을 이용함으로써, 낚시바늘의 구멍을 통해 낚시줄을 연결시켜야 하는 통상적인 지루한 방법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도 1 내지 도 4의 구현예에 응용될 수 있는 또 다른 매듭(32)을 나타내고 있다. 이 구현예에서는, 우선 낚시줄(17)을 잡아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20, 21)를 얻는다. 다음으로, 도 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기 부위(20, 21)를 이용해 자루부(11)를 감싸 적어도 2 세트의 회선(convolution; 22, 23)을 형성시킨다. 여기서, 각각의 회선 세트(22, 23)는 한쌍의 24 및 25 및 26 및 27 회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한 회선 세트(22)는 낚시바늘(10)의 바늘부에 가장 가깝게 위치해 있는 반면, 또 다른 회선 세트(23)는 연결부(13)에 가장 가깝게 위치해 있다. 그 후, 회선 세트(22)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루프(28)를 연결부(13) 방향으로 구부려 동일 길이를 지니는 낚시줄의 한 부위(20)는 자루부(11)상에 위치시켜 보일 수 있도록 하고, 동일 길이를 지니는 낚시줄의 다른 부위(21)는 자루부(11) 반대편에 위치시킨다. 그런 다음, 루프(28)를 도 5(D)에서 나타낸 위치에 위치시킨다. 그 후, 동일 길이를 지니는 낚시줄 부위(21)를 잡아당겨 루프(28)를 형성시키는 동일 재료로부터 도 5(E)에 나타낸 형상과 같은 추가적인 루프(29)를 형성시킨다. 그런 다음, 전기에서 형성시킨 회선을 도 5(F)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연결부(13)를 지니고 있는 적용부위로 이동시킨다. 그런 다음, 동일 길이를 지니는 낚시줄 부위 중 하나 또는 둘 다를 잡아당겨 루프(29)의 크기를 감소시켜 매듭을 형성시킨다. 도 5(H)는 매듭(32)에 대한 평면도이며, 도 5(G)는 매듭(32)에 대한 저면도이다.
도 6은 낚시바늘(40)에 대한 측면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낚시바늘(40)은 낚시바늘이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몰딩이 바람직하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이전의 구현예와 유사하다. 낚시바늘(40)은 자루부(42)에 이르는 바늘부(41)를 지니고 있다. 여기서, 자루부(42)는 연결부(43)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배열은 이전의 구현예와 기본적으로 동일하다. 그러나, 연결부는 도 8(A)에 나타낸 바와 같은 확대부(44)나, 도 8(B)에 나타낸 바와 같은 가로로 확장된 돌출부(45)를 지닌 말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자루부(42)는 "T" 형상의 가로단면을 지니며, 베이스(47)로부터 세로 방향으로 뻗어나온 릿지(ridge; 46)로 이루어져 있다. 릿지(46)는 역시 바늘부(41)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도 7(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없는 일직선 모양이거나, 또는 도 7(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굴곡 경로 모양이다. 또한, 릿지(46)는 도 7(C)와 도 7(D)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추가적으로 가시 모양을 지니고 있기도 하다. 또한, 바늘부(41)는 추가적으로 도 8(C)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다 작은 가시부위(49)를 지니는 가시말단(48)을 지닐 수도 있다. 릿지(46)는 바늘부(41)상에 미끼를 장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시 모양을 지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바늘부(41)에 릿지(46)를 적용할 수도 있다.
단면(50)에 의해 보여지듯이, 바늘부(41)는 삼각형 모양의 횡단면을 지닐 수 있다.

Claims (11)

  1. 바늘부, 바늘부로부터 연장된 자루부, 및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매듭지어 연결시키기 위한 낚시줄 연결부를 포함하는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줄 연결부는 각각 자유말단 및 일련의 자루부와 연결된 한 쌍의 다리를 포함하고, 전기 다리는 각각 적어도 낚시줄 지름의 1배 이상의 거리만큼 떨어져 위치한 낚시줄 적용부위를 포함하는 낚시바늘.
  2. 제 1항에 있어서,
    낚시줄 적용부위는 상기 결합부위 방향으로 점점 수렴하는 것을 특징 으로 하는
    낚시바늘.
  3. 제 2항에 있어서,
    슬롯은 상기 낚시줄 적용부위 사이로 정의되며, 대략 낚시줄 지름의 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4.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는 극점으로부터 다른 다리를 향해 수렴하는 말단 부위를 지니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5. 제 1항에 있어서,
    낚시바늘이 플라스틱 재질인 경우, 낚시줄 적용부위가 낚시줄 지름의 1 내지 2배 사이의 거리만큼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6. 한 말단은 낚시줄 연결부와 또 다른 말단은 바늘부와 연결된 자루부를 지니는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연결하는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매듭의 형성방법: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 두 개를 함께 위치시키는 단계;
    전기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를 이용해 자루부를 감싸서,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로 한 쌍은 낚시바늘의 바늘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고, 또 다른 쌍은 연결부에 가깝게 위치하도록 하는 몇 쌍의 회선(convolution)을 형성시키고, 그 중 낚시바늘의 바늘부에 가까운 회선을 이루고 있는 동일 길이의 두 낚시줄을 이용해 루프를 형성시키는 단계;
    바늘부에 가까운 회선에 이웃한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가 바늘부에 가까운 회선은 물론, 또 다른 회선과도 교차되도록 상기 루프를 연결부 방향으로 구부리는 단계;
    바늘부에 가까이 위치한 회선과는 타단에 위치한 회선으로부터 연장된 낚시줄을 자루부로부터 멀리 이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회선들을 유지수단(retaining means)으로 이동시키고, 유지수단에 가까운 회선으로부터 연장된 낚시줄의 하나 또는 둘 다에 회선으로부터 먼 방향으로 힘을 적용시켜 루프를 형성하는 낚시줄이 회선에 인접해지도록 루프의 크기를 감소시키는 단계.
  7. 다른 다리에 이르기까지 연장되어 있고, 그 다리를 감싸 결합부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상기 낚시줄 부위로부터 연장된 복수개의 회선을 얻을 수 있는 낚시줄의 첫 번째 부위; 및, 상기 결합부위와 낚시줄의 첫 번째 부위 사이를 통과하기 위해 회선 뒤로 지나쳐 결합부위를 통과한 회선들로부터 연장되어 있는 추가적인 낚시줄 부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 1항 또는 제 5항의 낚시바늘 연결용 매듭.
  8. 상기 다른 다리를 감싸고, 루프와 결합부위 사이를 통과하는 낚시줄 부위와 함께 결합부위에 인접한 두 다리 사이에 형성된 루프에 까지 연장되어 있는 한 쌍의 일반적으로 나란한 동일 길이의 낚시줄 부위를 포함하는 제 1항 또는 제 5항의 낚시바늘 연결용 매듭.
  9.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낚시바늘 연결용 매듭.
  10.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낚시바늘 연결용 매듭.
  11. 첨부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낚시바늘 연결용매듭.
KR1019980710636A 1996-06-25 1997-06-13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KR2000002221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O0667 1996-06-25
AUPO0667A AUPO066796A0 (en) 1996-06-25 1996-06-25 A fish hook
AUPO1404A AUPO140496A0 (en) 1996-08-02 1996-08-02 A fish hook and knot therefor
AUPO1404 1996-08-0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2216A true KR20000022216A (ko) 2000-04-25

Family

ID=256452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636A KR20000022216A (ko) 1996-06-25 1997-06-13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6334273B2 (ko)
EP (1) EP0987940A4 (ko)
JP (1) JP2000512152A (ko)
KR (1) KR20000022216A (ko)
BR (1) BR9709979A (ko)
CA (1) CA2257915A1 (ko)
IL (1) IL127573A0 (ko)
NO (1) NO985504L (ko)
NZ (1) NZ333272A (ko)
WO (1) WO199704928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77B1 (ko) * 1999-06-08 2002-01-16 정좌용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44944A1 (de) * 1999-09-20 2001-04-05 Nik Niklas Angel-Einzelhaken
DE19944945A1 (de) * 1999-09-20 2001-04-05 Nik Niklas Angel-Doppelhaken
US6560916B1 (en) * 2001-02-23 2003-05-13 Maxim John G Torsion fishing hook apparatus with quick, harmless extraction and safe latching features
US20070119092A1 (en) * 2005-11-29 2007-05-31 Gruber Jeff A Fishing hook and method for attaching a snell to a fishing hook
US8365459B2 (en) * 2007-02-15 2013-02-05 Gary Bennis Stem guide and replaceable cartridges
JP3135264U (ja) * 2007-06-28 2007-09-06 株式会社土肥富 釣針
US7735256B2 (en) * 2008-09-05 2010-06-15 Marcus Craig Hatfield Fish lure break away system
US7950180B2 (en) * 2009-05-22 2011-05-31 Marcus Craig Hatfield Fish lure break away system
US8186096B2 (en) * 2010-08-05 2012-05-29 Raymond Albert Rubin Fishing lure with line attachment structure
US8707613B2 (en) 2011-05-17 2014-04-29 Wright & Mcgill Co. Fish hook with multiple convex facets
US9032662B2 (en) 2011-05-17 2015-05-19 Wright & Mcgill Co. Fish hook with multiple convex facets
US20150020434A1 (en) * 2013-07-17 2015-01-22 Scott Kooistra Fish hook for the visually impaired
USD746941S1 (en) 2014-04-17 2016-01-05 Wright & Mcgill Co. Fish hook with a curved point
US20150327525A1 (en) * 2014-05-13 2015-11-19 Charles J. Noack, JR. Valley Hook
US10136626B1 (en) * 2014-07-03 2018-11-27 David Rider Hook clasps for fishing lures
US9538735B1 (en) * 2014-07-03 2017-01-10 David Rider Hook clasps for fishing lures and jig heads
USD873955S1 (en) 2015-05-13 2020-01-28 Valley Hook, LLC Fish hook
USD873953S1 (en) 2015-05-13 2020-01-28 Valley Hook, LLC Line coupler
US10694726B2 (en) * 2017-06-28 2020-06-30 Thomas Lin Easy-tie fishing hook
US20190021298A1 (en) * 2017-07-19 2019-01-24 Hency Anthony Bunner Open Eye Hook
CN110742030A (zh) * 2019-10-30 2020-02-04 珠海市爱能电子有限公司 一种绑线装置及绑线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961378A (en) * 1932-03-21 1934-06-05 Mitchell Merlin Fishhook
US2825174A (en) 1956-02-01 1958-03-04 Leinonen August Fishhook with live bait holder
US2938296A (en) * 1956-12-14 1960-05-31 Carl M Kracht Fishhook
US3626629A (en) * 1970-07-20 1971-12-14 William H Lowery Weed-proof fishhook
US3834060A (en) * 1973-02-21 1974-09-10 L Wagenknecht Fish hook
US4107866A (en) 1977-03-21 1978-08-22 Manno Joseph T Knotless minnow rig
US4209933A (en) 1977-03-21 1980-07-01 Manno Joseph T Fishing rig assembly
US4294031A (en) 1978-08-14 1981-10-13 Manno Joseph T Hook-strand connecting
JPS5545351A (en) * 1978-09-27 1980-03-31 Daiwa Seiko Co Line connecting tool
US4819366A (en) 1987-12-22 1989-04-11 Manno Joseph T Lead-headed jig
US4905403A (en) 1987-12-22 1990-03-06 Manno Joseph T Loop fastening method and device
US5237772A (en) 1990-08-03 1993-08-24 Classic Manufacturing Co., Inc. Double barbed fishhook improvement
US5279067A (en) * 1991-08-01 1994-01-18 Tollison Bruce O Easy tie fish hook or the lik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77B1 (ko) * 1999-06-08 2002-01-16 정좌용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L127573A0 (en) 1999-10-28
NO985504L (no) 1999-01-26
WO1997049280A1 (en) 1997-12-31
JP2000512152A (ja) 2000-09-19
US20010029693A1 (en) 2001-10-18
BR9709979A (pt) 2000-01-25
CA2257915A1 (en) 1997-12-31
NO985504D0 (no) 1998-11-25
EP0987940A1 (en) 2000-03-29
NZ333272A (en) 2000-08-25
US6334273B2 (en) 2002-01-01
EP0987940A4 (en) 200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216A (ko)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US4905403A (en) Loop fastening method and device
US3106417A (en) Knot tying device
US4173793A (en) Knot retaining implement for necktie or scarf
US5689911A (en) Easy tie fish hook
US20070089354A1 (en) Device to be detachably attached to a line and a method for its attachment and detachment
EP0845940B1 (en) Fish hook
JP2601415B2 (ja) 増毛方法
US20180021123A1 (en) Wrapping Clip for Securing a Flexible Line to Another Ojbect
JP3044045U (ja) 釣り糸接続具
JPS62126926A (ja) 上下に針先を有する釣針
AU725059B2 (en) A fish hook and knot therefor
JPS6040144Y2 (ja) ハリス止め金具
KR200155648Y1 (ko) 낚시용 도래
JPH0715418Y2 (ja) ハリス止
JP3477065B2 (ja) 玉網及びその製造方法
JPS62138121A (ja) ビニ−ルハウス等のシ−ト押えバンド誘導金具とその使用方法
JPH07327564A (ja) 幹糸に枝素を連結するための連結具
KR200202805Y1 (ko) 낚시바늘
JPH09256288A (ja) 製紐糸
JPH062291A (ja) ワイヤロープの端末処理装置
JPH08131024A (ja) 逆さ鈎
CA2089586A1 (en) Knotless fishing line connector
JPH06237674A (ja) 釣糸通し具
JPH0837999A (ja) 鮎釣り用掛針及びその連結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