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5648Y1 - 낚시용 도래 - Google Patents

낚시용 도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5648Y1
KR200155648Y1 KR2019970001379U KR19970001379U KR200155648Y1 KR 200155648 Y1 KR200155648 Y1 KR 200155648Y1 KR 2019970001379 U KR2019970001379 U KR 2019970001379U KR 19970001379 U KR19970001379 U KR 19970001379U KR 200155648 Y1 KR200155648 Y1 KR 2001556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line
line connecting
jaw
fishing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137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7220U (ko
Inventor
박홍기
Original Assignee
박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홍기 filed Critical 박홍기
Priority to KR201997000137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5648Y1/ko
Publication of KR199800572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72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5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56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7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lin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낚시용 도래에 관한 것으로 낚시줄이 잘 엉키지 않고 구조가 간단하여 저렴한 단가로 대량생산이 가능한 등의 특징을 가진다.
이를 위한 본 고안은, 직선부(11)의 일측에 원호부(12)가 형성되며 절곡부(1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14)는 상기 직선부(1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한 낚시줄연결체(10)의 원호부(12) 반대쪽의 턱(15)과, 통상의 낚시줄연결고리(101)의 턱(102)이 원통타입의 그리퍼(100) 안에서 동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도래이다.

Description

낚시용 도래
제1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
제3도, 제4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응용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 제8도는 종래의 도래를 나타낸 참고도.
제7도는 종래의 스내퍼(Snapper)를 나타낸 참고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300, 500 : 낚시줄연결체 11, 11a : 직선부
12, 12a : 원호부 13, 13a : 절곡부
14, 14a : 끝부 15 : 턱
100, 200 : 그리퍼 101, 201 : 낚시줄 연결고리
102 : 턱 202 : 감아서 체결한 부분
301 : 고정쇠 302 : 고리
303 : 움직이는 끝부 304 : 돌출턱
400 : 낚시줄 연결체 401 : 직선부
402 : 끝부 403 : 절곡부
504 : 끝부 505 : 연결고리
506 : 감아서 체결한 부분 15a : 함몰부
본 고안은 낚시용 도래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의 제품에 비해 사용할 때 낚시줄이 잘 어기지 않으며 구조가 간단하여 자동화를 통한 생산이 가능함으로서 생산단가가 낮아지고 외관이 미려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은 각각 별개로 생산한 후 조립하여 사용하면 통상의 낚시용 도래와 낚시줄연결체를 하나로 구성함으로서 사용하기에 편리함은 물론 구입단가가 낮아 경제적인 이익을 얻을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종래의 낚시용 도래는, 제6도와 같이 타원형 형태의 그리퍼(200) 양측에 낚시줄 연결고리(201)가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고정쇠(301)의 일측에 고리(302)가 형성되도록 하며 그 반대쪽의 움직이는 끝부(303)는 돌출턱(304) 안으로 출입될 수 있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300)의 고리(302)를 상기한 낚시줄 연결고리(201)와 체결되도록 한 타입이 있고, 제7도와 같이 직선부(401) 양쪽에 원호부(402)가 형성되며 절곡부(40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404)는 직선부(40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하되 대칭을 구성되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400)가 있으며, 제8도와 같이 타원형 형태의 그리퍼(200) 양측에 낚시줄 연결고리(201)가 대칭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직선부(501)의 일측은 원형고리부(502)가 형성되면서 절곡부(50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504)는 직선부(50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되도록 하며 그 반대쪽은 감아서 체결한 부분(506)으로 마무리되는 연결고리(505)로 완성되는 낚시줄연결체(500)의 연결고리(505)와 상기한 낚시줄 연결고리(201)를 체결하여서 된 것으로 나눌 수 있다.
이들의 재질은 전부 철 또는 황동으로 선택된다.
제6도와 제8도의 제품은 낚시줄 연결고리(201)의 안쪽 끝부분이 그리퍼(200) 안에 삽입되어 있기는 하나 그리퍼에 완전히 고정되는 것이 아니다.
즉, 그리퍼(200)와 낚시줄 연결고리(201)는 서로 조립된 채 각기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 구성인데 만일 낚시줄 연결고리(201)가 자유롭게 회전되지 않으면 낚시줄이 꼬여 엉키기 때문에 반드시 상기 낚시줄 연결고리는 그리퍼와 별개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제6도에서 볼 때 우측에 있는 낚시줄 연결고리(201)에는 낚시줄이 연결되고 좌측의 낚시줄 연결고리(201)에는 낚시줄 연결체(300) 또는 낚시줄 연결체(500)가 체결되어 있는데, 제6도의 경우는 움직이는 끝부(303)를 손으로 잡고 안쪽으로 힘을 가해서 고정쇠(301)의 돌출턱(304)으로부터 빠져 나오도록 한 다음 낚시줄을 연결시키고 다시 원위치시킨 후 사용을 하게 된다.
이 타입은, 연결된 낚시줄에 큰 하중이 걸리거나 끝 물고기가 낚시에 걸렸을 경우에 움직이는 끝부(303)가 돌출턱(304)으로부터 빠져 나가버리는 구조적인 단점이 있다.
따라서 잡은 물고리를 놓치거나 낚시줄과 낚시바늘을 분실하게 되는 예가 많다
그 때문에 제8도와 같이 상기의 고정쇠(301)를 사용하지 않고 철사 자체를 구부려서 낚시줄을 연결시킬 수 있도록 한 도래가 안출되었는데 이 타입은, 상술한 낚시줄 연결체(300)에서 비롯되는 단점은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2가지 타입은 다음과 같은 또 다른 단점이 있다.
즉, 낚시줄 연결고리(201)를 양측으로 가지는 그리퍼(200)에서 일측의 낚시줄 연결고리(201)와 상기 낚시줄 연결체들이 조립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먼저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특히 수작업에 의해 조립을 하여야 하는 이유로서 상샌단가가 높은 반면 생산성이 저조한 문제가 있으며, 구조가 다관절 타입인 관계로 낚시줄이 쉽게 엉겨 감기는 폐단과 함께 물 속의 해초더미나 그물 또는 이미 끊어져서 방치된 낚시줄, 바위틈, 해초뿌리, 조개껍질 등에 쉽게 걸리는 단점이 있어 좋지 못하였다.
제7도의 경우는, 낚시줄과 낚시줄 사이를 단순히 연결시켜 주는 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제품이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도래로서의 사용가치는 없다.
그 이유는 도래로서의 기능을 가지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리퍼(200)와는 별도로 회전할 수 있는 낚시줄 연결고리가 있어야만 하는 것이다.
그러나 정상적인 도래와 같이 회전기능은 없지만 낚시줄을 묶어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간혹 도래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이에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도래로부터 비롯되는 단점과 폐단을 해소키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구성을 참부한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직선부(1)의 일측에 원호부(12)가 형성되며 절곡부(1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14)는 상기 직선부(1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10)의 원호부(12) 반대쪽의 턱(15)이 원통타입의 그리퍼(100) 안에 걸려 탈출되지 못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제시한다.
[실시예]
제2도는 본 고안의 단면도로서, 원통타입의 그리퍼(100) 안에 낚시줄 연결체(10)의 턱(15)과 낚시줄 연결고리(101)의 턱(102)이 동시에 삽입되어 있다.
원통타입의 그리퍼(100)의 원래의 모양은, 좌우에 경사면이 없는 단순한 원통의 형태인데 제2도의 상태는 성형된 후의 상태이다.
즉, 그리퍼 성형용 금형 안에 성형전의 원통형의 그리퍼를 자동으로 공급시켜 위치시킨 후 낚시줄 연결체(10)의 턱(15)과 낚시줄 연결고리(101)의 턱(102)이 자동공급장치에 의해 그리퍼의 안으로 약간 삽입되게 한 다음, 금형을 작동시켜 그리퍼의 양측면이 가공되어 경사면과 측면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서 상기한 턱(15), (102)이 그리퍼의 안쪽면에 걸려서 빠져나오지 못하도록 하는 것인데 상기한 제작 방법은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리고, 낚시줄 연결체(10), (10a)를 자동으로 제작하는 기술도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자동으로 완성품의 제작이 가능하며 종래의 도래처럼 완성품 조립에 수작업이 가해지지 않는다.
동일한 요령에 의해 제3도, 제4도, 제5도의 응용실시품을 제작할 수 있는데 제3도의 경우는, 그리퍼(200)의 형태가 타원형으로 된 것을 사용하면서 낚시줄 연결고리(201)는 감아서 체결한 부분(202)이 있는 타입을 사용하는 것이고, 제4의 경우는, 그리퍼(200)의 형태가 타원형으로 된 것을 사용하면서 낚시줄 연결체(10)가 대칭으로 구성된 것이며, 제5도의 경우는, 제3도의 경우에서 낚시줄연결체(10a)의 원호부(12a)의 지름이 더 크고 원호부(12a) 바로 밑에 함몰부(15a)가 형성되도록 한 차이 뿐이다.
이들 제3도, 제4도의 경우도 전부 자동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수작업에 의한 조립은 없다.
본 고안은 제1도의 경우는 물론 그 응용실시예인 제3도, 제4도의 경우도 전부 자동으로 제작이 가능하며 특히 수작업이 가해지지 않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생산성이 월등하여짐은 물론 생산단가가 낮아지는 장점이 있고 종래와 같이 다관절 형태가 아닌 즉, 그리퍼(200)에 조립되어 낚시줄 연결고리(201)에 상기 낚시줄 연결체들의 고리(302)와 연결고리(505)를 2중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아니고 그리퍼(100), (200)에 낚시줄연결고리(10), (10a)를 직접적으로 연결시키는 단순한 구조를 채택함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품으로부터 비롯된 다수의 단점과 폐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직선부(11)의 일측에 원호부(12)가 형성되며 절곡부(1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14)는 상기 직선부(1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10)의 원호부(12) 반대쪽의 턱(15)과, 통상의 낚시줄 연결고리(101)의 턱(102)이 원통타입의 그리퍼(100) 안에서 동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도래.
  2. 직선부(11)의 일측에 원호부(12)가 형성되며 절곡부(1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14)는 상기 직선부(1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10)의 원호부(12) 반대쪽의 턱(15)과, 통상의 낚시줄 연결고리(101)의 턱(102)의 타원형타입의 그리퍼(200) 안에서 동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도래.
  3. 직선부(11)의 일측에 원호부(12)가 형성되며 절곡부(13)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14)는 상기 직선부(11)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10)들의 원호부(12) 반대쪽의 턱(15)들이 타원형타입의 그리퍼(200) 안에서 2개 1조로 대향토록 동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도래.
  4. 직선부(11a)의 일측에 원호부(12a)가 형성되며 절곡부(13a)를 통해 90∼100도 정도로 꺽인 나머지 부분의 끝부(14a)는 상기 직선부(11a)의 원주거리 절반을 감아서 교차하도록 한 낚시줄 연결체(10a)의 원호부(12a) 반대쪽의 턱과, 통상의 낚시줄 연결고리(201)의 턱이 타원형 타입의 그리퍼(200) 안에서 동시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용 도래.
KR2019970001379U 1997-01-27 1997-01-27 낚시용 도래 KR200155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79U KR200155648Y1 (ko) 1997-01-27 1997-01-27 낚시용 도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1379U KR200155648Y1 (ko) 1997-01-27 1997-01-27 낚시용 도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20U KR19980057220U (ko) 1998-10-15
KR200155648Y1 true KR200155648Y1 (ko) 1999-10-01

Family

ID=1949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1379U KR200155648Y1 (ko) 1997-01-27 1997-01-27 낚시용 도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5648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5914A (ko) * 2002-02-06 2002-04-04 김진천 낚시용 크래인도래의 제조 및 조립방법
KR20020025919A (ko) * 2002-02-16 2002-04-04 김진천 낚시용 크래인도래의 제조 및 사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7220U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2216A (ko)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KR200155648Y1 (ko) 낚시용 도래
US20090199344A1 (en) Fishing tool for crimping ferrules
KR20120060543A (ko)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KR100878501B1 (ko) 삼중낚시바늘
KR200166846Y1 (ko) 낚시용 도래.
JP3152562U (ja) 釣り用仕掛けの連結具
KR200333527Y1 (ko) 낚시바늘
JP2604762Y2 (ja) 釣竿及びその屈折用連結具
JP3087126U (ja) 釣り針及びその釣り針を備えたルアー
JPS6242223Y2 (ko)
KR200251184Y1 (ko) 낚싯줄 삽입형 낚싯바늘
KR200313575Y1 (ko) 낚싯바늘
JP2595001Y2 (ja) 棒線材の収束治具
KR100476332B1 (ko) 낚싯바늘
JP3046323U (ja) ツーリング束子
JPH11146749A (ja) 釣糸締付用スリーブ
JP3025524U (ja) かんざし状鉄筋結束線
JP4555067B2 (ja) イカ釣り針
JPH0238705Y2 (ko)
JP3001808U (ja) 延縄用釣紐
JP2516915Y2 (ja) 胴突き仕掛け
JPH0323082Y2 (ko)
JPH03228635A (ja) 釣針と釣糸の結合方法並びに釣糸付き釣針
JPH0786A (ja) さるかんの製造法と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6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