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0577B1 -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 Google Patents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0577B1
KR100320577B1 KR1019990021849A KR19990021849A KR100320577B1 KR 100320577 B1 KR100320577 B1 KR 100320577B1 KR 1019990021849 A KR1019990021849 A KR 1019990021849A KR 19990021849 A KR19990021849 A KR 19990021849A KR 100320577 B1 KR100320577 B1 KR 1003205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bundle
fishing line
needle
e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1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2177A (ko
Inventor
정좌용
Original Assignee
정좌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좌용 filed Critical 정좌용
Priority to KR1019990021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20577B1/ko
Publication of KR20010002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2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05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05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1/00Lines
    • A01K91/03Connecting devices
    • A01K91/04Connecting devices for connecting lines to hooks or lur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와 관련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에 관한 것인 바,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낚싯줄(4)이 묶음, 연결되는 낚시바늘(1)에 있어서,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묶음된 묶음부(7)로부터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보강낚싯줄(6)이 소정 길이로 형성되게 낚싯줄(4)을 묶음한 낚시바늘과,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낚싯줄(4)을 묶음, 연결하는 낚시바늘(1)의 묶음법에 있어서,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묶음된 묶음부(7)로부터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소정 길이의 보강낚싯줄(6)이 형성되게 낚싯줄(1)을 묶음토록 한 낚시바늘의 묶음방법을 제공하여 미끼끼움작업의 용이성으로 낚시의 재미와 효율성 등을 향상시킨 것이다.

Description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A fish-hook and its binding method}
본 발명은 낚시와 관련하는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은 귀부분에 낚싯줄을 묶어서 낚시를 행하게 되는 것인 바, 이러한 낚시바늘의 낚싯줄 묶음법은 도 1a~도 1d에서 도시한 예 등과 같이 다양한 묶음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도 1a~도 1d의 낚시바늘 묶음법에 의한 낚시바늘은 도 3과 같이 목줄(이하 낚싯줄이라 함)을 묶음하게 되면 낚시바늘(103)의 몸통부분(104)으로 자투리(102)가 생기게 되고 자투리(102)가 다소 긴 경우에는 이를 소정 길이만 남기고 절단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절단된 자투리(102)가 낚시바늘(103)의 몸통부분(104) 외측으로 돌출되어 미끼를 끼움할 시에 미끼끼움작업의 장애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3에서와 같이 주로 통지렁이 등의 미끼를 낚시바늘(103)에 끼움할 시에는 이를 낚시바늘(103)의 귀부분(105)을 지나 낚싯줄(100)의 소정 높이 위치까지 미끼를 끼워주게 되는 바, 이와 같이 미끼를 낚시바늘(103)의 몸통부분(104)으로부터 귀부분(105)의 묶음부(101)로 끼움하게 되는 경우 몸통부분(104)으로 돌출되어 나온 자투리(102)가 미끼의 끼움작업에 장애가 되어 미끼끼움작업이 관란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한 문제해결을 위하여 자투리(102) 부분을 상당히 짧게 남기는 경우에 있어서는 낚싯줄(100)이 견인 시 등에 상당한 인장력을 받게 되면 최대한계강도(낚싯줄이 끊어지는 강도)에 이르기 전에 낚싯줄이 묶음된 부분이 이로 인해 당겨지면서 매우 짧게 남겨둔 자투리(102)가 묶음부(101)에서 밀려들어가 낚싯줄(100)의 묶음부(101)가 풀려지게 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하여 자투리(102)를 소정 길이(대략 5mm내외) 이상으로 남기고 묶음작업하는 것이 일반적인 것이다.
이와 같이 낚시바늘(103)에 묶음한 묶음부(101)의 자투리(102)를 일정 길이이상으로 남겨두어야 하므로 전술한 문제가 필연적으로 따르게 되는 것이다.
한편, 낚싯줄(100)은 낚시바늘(103)의 귀부분(105)으로부터 단일 줄로 연결되어 묶음됨으로서 견인시 등에 최대한계강도가 작용하는 경우 등에 이 부분이 쉽게 끊어질 우려가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즉 쉽게 끊어지지 않도록 낚싯줄(100)의 결정강도(연결강도)를 강화시켜 줄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되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낚시바늘(103)과 묶음되는 낚싯줄(100)을 이중 줄로서 묶음, 연결함으로서 낚싯줄(100)의 결정강도를 보강한 이중목줄묶음법(도 2 참조)이 알려져 있으나 이 역시 낚시바늘(100)의 몸통부분(104)측으로 자투리(102)가 남게 되어 전술한 문제점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것이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일소하는 한편 이중목줄 낚시바늘이 가지는 장점을 함께 취할 수 있는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인 바, 비교적 간편하고 손쉬운 묶음방법을 제공하면서도 낚시바늘에 묶음되는 낚싯줄(낚싯줄)이 이중 줄로서 묶음 연결되도록 함과 동시에 묶음부에 자투리가 전혀 발생되지 않게 함으로서 이중 낚싯줄에 의한 강도를 강화할 수 있는 장점 및 자투리의 미발생으로 미끼끼움작업 등의 용이성과 이로부터 낚시의 재미와 효율성을 배가할 수 있는 잇점과 효과를 도모코자 한다.
도 1a~1d는 기존의 낚시바늘 묶음법의 여러 종류와 요령을 보인 예시도
도 2는 기존의 이중목줄 낚시바늘 묶음법의 예시도
도 3은 기존의 낚시바늘 묶음법에 의한 사용표시도
도 4a~4d는 본 발명의 낚시바늘 묶음법을 보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의 낚시바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낚시채비의 전체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낚시바늘 2;귀부분
3;몸통부분 4;낚싯줄
5;기둥줄 6;보강낚싯줄
7;묶음부 8;보강부재
9;낚싯줄보호용 매듭 10;좁쌀봉돌
100;낚싯줄 101;묶음부
102;자투리 103;낚시바늘
104;몸통부분 105;귀부분
도 4a~도 4d는 본 발명의 낚시바늘 묶음방법을 보인 실시예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묶음이 완료된 낚시바늘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은 낚싯줄(4)을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묶음되는 묶음부(7)의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가). 낚싯줄(4) 일단의 기둥줄(5)을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걸쳐놓은 상태에서 타단을 낚시바늘(1)의 귀부분(2)측에서 2겹으로 겹치도록 하여 도 4a와 같이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서 3겹으로 배치되게 한다.
(나). 상기에서 2겹으로 겹친 끝단은 낚시바늘(1)의 귀부분(2)으로부터 대략 5cm이상 정도로 남겨서 보강낚싯줄(6)을 형성하고 그 나머지로서 귀부분(2)으로부터 몸통부분(3)으로 가면서 겹친부분 전체를 감아준다.(도 4b, 도 4c 참조)
물론, 이때는 당연히 감는 줄 내측으로 기둥줄(5)과 보강낚싯줄(6)이 위치된 상태에서 묶어준다.
(3). 귀부분(2)으로부터 몸통부분(3)으로 적정의 길이로 수회 감은 다음에 묶음부(7)를 손으로 잡아 고정시킨 상태에서 기둥줄(5)을 잡아 당겨 몸통부분(3)의 감고 남은 나머지를 조여준다.(도 4c, 4d 참조)
(4).낚시바늘(1)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보강낚싯줄(6)의 길이를 조절한다.
즉, 보강낚싯줄(6)이 다소 길게 형성된 경우에는 적정 길이만을 남기고 나머지는 절단한다.
상기한 과정으로 묶음된 낚시바늘(1)은 도 5와 같이 묶음부(1)에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고, 보강낚싯줄(6)이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형성되어 흡사 이중목줄과 같은 강도강화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은 본 발명이 적용된 낚시채비의 전체 사시도로서, 묶음작업시 묶음부(7)에 보강부재(8)를 함께 묶음하여 보강부재(8)가 보강낚싯줄(6)과 같은 강도강화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 보강부재(8)는 스테인레스 선재나 와이어 등과 같은 철선 등으로 실시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낚싯줄(4)상에는 낚싯줄보호용 매듭(9)을 형성하여 여기에 좁쌀봉돌(10)을 결합함으로서 좁쌀봉돌(10)의 결합으로 인한 낚싯줄(4;목줄)의 훼손을 방지하고, 좁쌀봉돌(10)을 낚싯줄(4)로부터 결합위치를 조절할 시에 좁쌀봉돌(10)을 낚싯줄(4)로부터 분리하지 않고서도 좁쌀봉돌(10)이 낚싯줄(4)상에 결합된 상태에서 이를 슬라이드이동시켜 조절,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참고로, 낚시바늘(1)을 묶음, 연결하는 낚싯줄(4)상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조류의 빠르기 등에 따라 적정 중량의 좁쌀봉돌(10)을 결합하는 바, 기존에는 낚싯줄(4)상에 좁쌀봉돌(10)을 직접 결합하게 되어 이의 결합부분이 조류 등에 쓸리어훼손됨으로서 쉽게 끊어지는 등의 우려가 많은 것이었으며, 좁쌀봉돌(10)의 결합위치를 조류흐름속도 등에 따라 적정 위치로 조절하여 결합할 시에도 좁쌀봉돌(10)의 위치조절작업이 용이치 않은 것이었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낚싯줄(4)을 낚시바늘(1)에 묶음할 시에 기존과 같이 몸통부분(3)으로 자투리가 전혀 발생되지 않으므로 통지렁이 등의 미끼를 끼움할 시에 미끼가 묶음부(7)를 통해 용이하게 끼움할 수 있게 됨으로서 미끼끼움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며, 이와 더불어서 낚싯줄(4)이 연결되는 낚시바늘(1)의 묶음부(7)로부터 보강낚싯줄(6)이 형성되어 이중목줄로 묶음한 경우와 같이 강도강화기능 등이 제공되는 것으로서, 이하 본 발명의 매듭과정 등과 작용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묶음방법에 대하여 살펴보면; 도 4a~4d와 같이 낚싯줄(4)의 기둥줄(5)과, 기둥줄(5) 일단을 2겹으로 접어서 보강낚싯줄(6)을 소정 길이만큼 남긴 상태에서 보강낚싯줄(6)과 함께 2겹으로 접혀진 나머지 부분으로 낚시바늘(1)의 귀부분(2)으로부터 몸통부분(3)으로 가면서 수회 감는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충분히 감은 후에는 기둥줄(5)을 잡아당겨 감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묶음부(7)측으로 조여줌으로서 묶음작업을 완료하게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비교적 손쉬운 묶음방법으로 낚싯줄(4)의 낚시바늘(1)묶음작업이 가능하게 되어 전문 낚시인이 아닌 일반인들도 직접 손쉽게 낚시바늘(1) 묶어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기존과 같이 몸통부분(3)으로 묶음부(7)의 자투리가 전혀 발생되지 않아 통지렁이 등의 미끼끼움작업 용이성도 함께 제공되는 것이다.
또,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소정길이의 보강낚싯줄(6)이 함께 형성되므로 낚시바늘(1)의 귀부분(2)과 낚싯줄(4)이 견고하게 연결되어 견인시 등에 쉽게 끊어지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강도강화기능을 제공케 되는 것이다.
또한, 묶음작업시 철선 등으로 이루어진 보강부재(8)를 함께 묶음작업하게 되면 전술한 보강낚싯줄(6)과 같이 보강부재(8)로 인해 낚싯줄(4)의 결정강도를 강화할 수 있는 잇점 등이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낚싯줄(4)상에는 낚싯줄보호용 매듭(9)이 형성되어 여기에 조류흐름속도 등에 따라 좁쌀봉돌(10)을 결합하게 되면 좁쌀봉돌(10)이 낚싯줄(4)상에 직접 결합됨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낚싯줄 훼손문제 등을 예방하게 되고, 특히 좁쌀봉돌(10)이 낚싯줄보호용 매듭(9)에 의해 간접적으로 결합되어 있어 좁쌀봉돌(10)의 위치를 변경하고자 할 시에 좁쌀봉돌(10)을 손으로 잡고 상하 어느 일방으로 이동시켜 주게 되면 좁쌀봉돌(10)이 낚싯줄보호용 매듭(9)에 의해 낚싯줄(4)상에서 부드럽게 안내되어 원하는 위치로 간편히 이동시켜 결합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되며 낚싯줄보호용 매듭(9)에 의해 낚싯줄(4)이 훼손될 염려가 없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낚싯줄(4;목줄)을 낚시바늘(1)에 묶어 연결하는 낚시바늘 묶음법에 있어서, 낚시바늘(1)의 몸통부분(2)으로 묶음부(7)의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음으로서 통지렁이 등의 미끼끼움작업 용이성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며, 이와 함께 귀부분(2)으로부터는 보강낚싯줄(6)이 형성되어 낚싯줄(4)을이중으로 연결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하게 되어 낚싯줄(4)의 결정강도강화 등의 잇점을 얻게 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한 바 외에도 일반인들도 손쉽게 묶음할 수 있는 낚시바늘 묶음법의 제공으로 낚시의 재미와 효율성을 배가시킬 수 있는 등의 많은 잇점과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Claims (5)

  1.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낚싯줄(4)이 묶음, 연결되는 낚시바늘(1)에 있어서,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묶음된 묶음부(7)로부터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고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보강낚싯줄(6)이 소정 길이로 형성되게 낚싯줄(4)을 묶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2.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낚싯줄(4)을 묶음, 연결하는 낚시바늘(1)의 묶음법에 있어서,
    낚시바늘(1)의 귀부분(2)에 묶음된 묶음부(7)로부터 자투리가 발생되지 않게 하고 귀부분(2)의 묶음부(7)로부터 소정 길이의 보강낚싯줄(6)이 형성되게 낚싯줄(1)을 묶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묶음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낚싯줄(4) 일단의 기둥줄(5)을 귀부분(2)에 두고 기둥줄(5) 끝단을 귀부분(2)으로부터 소정 길이만큼 인출하여 보강낚싯줄(6)이 형성되게 2겹으로 접고, 2겹으로 겹친 부분을 기둥줄(5)과 함께 귀부분(2) 위시시킨 상태에서 2겹으로 겹친 나머지 부분으로 기둥줄과 2겹의 접힌 부분이 내측으로 가도록 귀부분(2)에서 몸통부분(3)으로 수회 감은 다음 기둥줄(5)을 당겨서 감고, 남은 나머지 부분을 조여 묶음부(7)를 형성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의 묶음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묶음부(7)에 낚시바늘(1)의 귀부분(2) 상측으로 소정 길이의 보강부재(8)를 함께 묶음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1)과 묶음, 연결한 낚싯줄(4) 상에 낚싯줄보호용 매듭(9)을 형성하여 여기에 좁쌀봉돌(10)을 결합,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KR1019990021849A 1999-06-08 1999-06-08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KR1003205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849A KR100320577B1 (ko) 1999-06-08 1999-06-08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21849A KR100320577B1 (ko) 1999-06-08 1999-06-08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77A KR20010002177A (ko) 2001-01-05
KR100320577B1 true KR100320577B1 (ko) 2002-01-16

Family

ID=19591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1849A KR100320577B1 (ko) 1999-06-08 1999-06-08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2057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18A (ko) 2015-07-15 2017-01-25 김윤혁 낚시채비
KR20170009019A (ko) 2015-07-15 2017-01-25 김윤혁 낚시채비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채비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낚시채비
KR20180095210A (ko) 2017-02-17 2018-08-27 김윤혁 낚시바늘
KR20220106593A (ko) 2021-01-22 2022-07-29 박종필 낚시바늘 채비와 그 매듭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13958A (zh) * 2018-04-16 2018-09-11 张秀括 鱼线子线绑鱼钩的方法以及鱼线主线绑鱼竿处线圈的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2482U (ko) * 1974-10-17 1976-05-17
US5279067A (en) * 1991-08-01 1994-01-18 Tollison Bruce O Easy tie fish hook or the like
US5313736A (en) * 1992-10-19 1994-05-24 Howard Rosenberg Flexible line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00022216A (ko) * 1996-06-25 2000-04-25 제프리 윌리암 터너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62482U (ko) * 1974-10-17 1976-05-17
US5279067A (en) * 1991-08-01 1994-01-18 Tollison Bruce O Easy tie fish hook or the like
US5313736A (en) * 1992-10-19 1994-05-24 Howard Rosenberg Flexible line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KR20000022216A (ko) * 1996-06-25 2000-04-25 제프리 윌리암 터너 낚시바늘 및 낚시바늘용 매듭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9018A (ko) 2015-07-15 2017-01-25 김윤혁 낚시채비
KR20170009019A (ko) 2015-07-15 2017-01-25 김윤혁 낚시채비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채비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낚시채비
KR20180095210A (ko) 2017-02-17 2018-08-27 김윤혁 낚시바늘
KR20220106593A (ko) 2021-01-22 2022-07-29 박종필 낚시바늘 채비와 그 매듭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2177A (ko) 2001-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1447A (en) Fisherman's knot tying device
US4905403A (en) Loop fastening method and device
US3066372A (en) Securing means for monofilament lines and the like
US3988852A (en) Hook connector
US6334273B2 (en) Fish hook and knot therefor
US4703579A (en) Fishing lure
GB2030032A (en) Fishing line connecting device
KR100320577B1 (ko)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US5009025A (en) Quick tie device
US20090056731A1 (en) Low Stress Attachment of Hair Extensions
US4536986A (en) Method of construction of skirt for fishing lures
US5809687A (en) Flexible line coupling method and apparatus
US2618881A (en) Fishhook
CN210580592U (zh) 一种鱼线防断线用无结连接装置
AU772051B2 (en) Pigtail fastener
KR20100007629U (ko) 과수나무의 가지 처짐 방지용 견인줄고정구
US3082563A (en) Fish hooks
KR200174166Y1 (ko) 낚시바늘일체형낚시줄
JPH0711586Y2 (ja) 竿先と道糸との接続具
US8826586B1 (en) Fishing rig
EP4162791A1 (en) Cover for cultivations and process for joining together two protection sheets of a cover for cultivations
KR200366990Y1 (ko) 스프링 낚싯대
JP3262774B2 (ja) 釣針付き仕掛け
KR200312499Y1 (ko) 낚시용 쌍바늘 채비
KR200200555Y1 (ko) 낚시대부착용 스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