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5210A - 낚시바늘 - Google Patents

낚시바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5210A
KR20180095210A KR1020170021406A KR20170021406A KR20180095210A KR 20180095210 A KR20180095210 A KR 20180095210A KR 1020170021406 A KR1020170021406 A KR 1020170021406A KR 20170021406 A KR20170021406 A KR 20170021406A KR 20180095210 A KR20180095210 A KR 201800952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fishing line
needle
line
fish h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1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6441B1 (ko
Inventor
김윤혁
Original Assignee
김윤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혁 filed Critical 김윤혁
Priority to KR1020170021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441B1/ko
Publication of KR201800952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52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3/00Fish-hoo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낚시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성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고정하는 제조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를 통해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월등히 높혀주게 되며, 이러한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낚시바늘과 낚시줄 및 도래가 구성된 낚시채비의 제조단가를 떨어뜨려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일단에 바늘코가 형성되고 타단에 낚시줄이 고정되는 귀부분으로 구분되는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1)이 용이하게 삽입시킨 후 압착수단을 통해 압착됨에 따라 낚시줄(1)이 고정되도록 하는 수용부(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낚시바늘{fishing hook}
본 발명은 낚시바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성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고정하는 제조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를 통해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월등히 높혀주게 되며, 이러한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낚시바늘과 낚시줄 및 도래가 구성된 낚시채비의 제조단가를 떨어뜨려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낚시바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낚시는 수십, 수백미터에 이른 하나의 본줄에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낚시바늘이 달린 목줄을 매단 것이다.
또한, 낚시바늘은 귀부분에 낚싯줄을 묶고, 끝단부에 도래를 묶은 후 상기 본줄에 묶어서 사용된다.
또한, 낚시바늘에 낚싯줄을 묶는 방법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낚싯줄을 수회 감은 후 묶음하게 되면, 낚시바늘의 귀부분으로 낚싯줄의 자투리가 생기게 되고, 이를 소정길이만 남기고 절단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방식의 낚싯줄 묶음방식은 취미생활을 영위하는 사람들에게는 단순한 일에 불과하지만, 어업에 종사하는 어부들의 경우 수작업에 의해 비능률적이고, 단위시간당 생산량도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8758호(1996.07.03. 공고)의 주낚시 제조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바늘을 정렬시켜 낱개씩 묵음장치(B)에 공급하는 낚시바늘 공급장치(A)와, 낱개로 공급된 낚시바늘에 목줄(L1)을 공급하여 그 상단을 묶어주고 이 목줄(L1)의 하단은 본줄(L2)에 묶어주는 묶음장치(B)와, 낚시바늘(F)에 대한 목줄(L1)의 묶음 및 본줄(L2)에 묶인 목줄(L1)의 묶음작업이 완료된 후에 낚시바늘(F)을 인수하여 본줄(L2)에 묶인 목줄(L1)을 피치단위로 이송하는 본줄 이송장치(C)로 구성된 것이다.
이에 따라, 목줄에 낚시바늘을 묶는 일과 낚시바늘이 묶인 목줄을 본줄에 묶는 주낚시 제조작업을 완전 자동화한 것으로, 능률적인 작업성을 가진다.
그러나, 종래의 낚시바늘은 귀부분에 낚싯줄을 수회 감음으로써, 낚시바늘과 낚싯줄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 경우,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고정하는 공정이 수잡업에 의해서만 이루어져 단위 시간당 생산량이 저하된다.
또한,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연결하는 공정에 대한 자동화 설비를 구축할 수 없음으로써,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낚시줄이 묶여지고 타측에 도래가 구성된 낚시채비에 대한 제조단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1996-8758호(1996.07.03. 공고) 대한민국 특허 제320577호(2002.01.16.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477222호(2015.05.19. 공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성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고정하는 제조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를 통해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월등히 높혀주게 되며, 이러한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낚시바늘과 낚시줄 및 도래가 구성된 낚시채비의 제조단가를 떨어뜨려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낚시바늘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단에 바늘코가 형성되고 타단에 낚시줄이 고정되는 귀부분으로 구분되는 낚시바늘에 있어서,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이 용이하게 삽입시킨 후 압착수단을 통해 압착됨에 따라 낚시줄이 고정되도록 하는 수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부는, 낚시바늘을 제조할 때 귀부분을 나선형태로 꼬아서 일체화되게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부는, 상기 낚시바늘의 귀부분을 압착시켜 넓은 면적의 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판상을 오므려 내측에 낚시줄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후 압착수단에 의한 압착으로 낚시줄이 고정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부는, 상기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내측에 낚시줄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이프 또는 터미널 단자형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부를 구성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용이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고정하는 제조가 원활하게 수행되고, 이를 통해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월등히 높혀주게 되며, 이러한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낚시바늘과 낚시줄 및 도래가 구성된 낚시채비의 제조단가를 떨어뜨려 제품 경쟁력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낚시바늘에 낚시줄을 묶는 방법의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낚시채비를 제조하는 제조장치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의 개략적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낚시바늘의 수용부에 낚시줄이 고정되는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낚시바늘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낚시바늘의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낚시바늘(10)은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귀부분에 낚시줄(1)을 삽입시킨 후, 압착과정을 통해 낚시바늘(10)에 낚시줄(1)이 용이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수용부(12)를 포함한다.
상기 수용부(12)는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형성되고, 낚시줄(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12)는 낚시바늘(1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일체화로 형성된다.
즉, 상기 수용부(12)는 낚시바늘(10)을 제조할 때, 일단에 바늘코(14)를 형성하고, 타단에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를 나선형으로 꼬아서 내측에 낚시줄(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를 프레싱하여 부피를 넓힌 후 양단을 말아서 내측에 낚시줄(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내측에 공간이 형성된 파이프형상을 고정시키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물론,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파이프를 대체하여 터미널단자 형태와 같은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결국,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내측으로 낚시줄(1)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구조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낚시바늘의 작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낚시바늘(10)을 제조할 때,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를 나선형태로 꼬아서 수용부(12)를 낚시바늘(10)과 일체형으로 형성한다.
이후, 상기 낚시바늘(10)의 수용부(12)에 낚시줄(1)을 삽입한다.
이어서, 상기 낚시줄(1)이 삽입된 수용부(12)를 프레스 등과 같은 압착수단을 통해 압착시키면, 낚시바늘(10)의 일단에 낚시줄(1)이 용이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낚시바늘(10)에 낚시줄(1)을 용이하게 고정하는 공정은 자동화시스템을 구축하여 낚시바늘(10)에 낚시줄(1)을 고정하는 제조가 원활하게 수행됨으로써, 결국 단위 시간당 생산량을 월등히 높혀주게 되고, 이러한 생산량의 증가로 인해 낚시바늘(10)과 낚시줄(1) 및 도래가 구성된 낚시채비의 제조단가를 떨어뜨려, 제품 경쟁력을 강화한다.
즉, 종래에는 수작업으로 낚시바늘의 귀부분에 낚시줄을 묶는 과정을 통해 상기 낚시줄을 고정시킴으로써, 수작업에 의해 단위시간당 생산량이 저조하고, 이러한 생산량의 한계로 인해 제조단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낚시바늘을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에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경실시가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낚시줄 10: 낚시바늘
12: 수용부 14: 바늘코

Claims (4)

  1. 일단에 바늘코가 형성되고 하단에 낚시줄이 고정되는 귀부분으로 구분되는 낚시바늘에 있어서,
    상기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위에 낚시줄(1)이 용이하게 삽입시킨 후 압착수단을 통해 압착됨에 따라 낚시줄(1)이 고정되도록 하는 수용부(12);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낚시바늘(10)을 제조할 때 귀부분을 나선형태로 꼬아서 일체화;
    되게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낚시바늘(10)의 귀부분을 압착시켜 넓은 면적의 판상으로 형성하고;
    상기 판상을 오므려 내측에 낚시줄(1)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한 후 압착수단에 의한 압착으로 낚시줄(1)이 고정;
    되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12)는,
    상기 낚시바늘(10)의 귀부분에 해당하는 부분에 내측에 낚시줄(1)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을 가지는 파이프 또는 터미널단자 형상;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바늘.
KR1020170021406A 2017-02-17 2017-02-17 낚시바늘 KR101956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06A KR101956441B1 (ko) 2017-02-17 2017-02-17 낚시바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1406A KR101956441B1 (ko) 2017-02-17 2017-02-17 낚시바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5210A true KR20180095210A (ko) 2018-08-27
KR101956441B1 KR101956441B1 (ko) 2019-03-08

Family

ID=63454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1406A KR101956441B1 (ko) 2017-02-17 2017-02-17 낚시바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441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55U (ja) * 1993-11-01 1995-05-30 株式会社がまかつ 釣り針
KR960008758A (ko) 1994-08-23 1996-03-22 김광호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KR200221749Y1 (ko) * 2000-08-30 2001-04-16 전재풍 묶지않는 낚시바늘
KR100320577B1 (ko) 1999-06-08 2002-01-16 정좌용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KR100477222B1 (ko) 2000-09-01 2005-03-18 호코스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의 주축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8355U (ja) * 1993-11-01 1995-05-30 株式会社がまかつ 釣り針
KR960008758A (ko) 1994-08-23 1996-03-22 김광호 테이프의 주행 제어방법
KR100320577B1 (ko) 1999-06-08 2002-01-16 정좌용 낚시바늘과 그 묶음방법
KR200221749Y1 (ko) * 2000-08-30 2001-04-16 전재풍 묶지않는 낚시바늘
KR100477222B1 (ko) 2000-09-01 2005-03-18 호코스 가부시키가이샤 공작기계의 주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441B1 (ko) 2019-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00636771A (en) Multilayer coil, winding method of same, and winding apparatus of same
KR101956441B1 (ko) 낚시바늘
CN106013929A (zh) 多功能铁丝绑扎器
KR101753375B1 (ko) 낚시채비 제조장치와 이를 이용한 낚시채비 제조방법 및 이들에 의해 제조된 낚시채비
CN207135974U (zh) 稻田小龙虾养殖饲喂网
CN105084096A (zh) 一体化集成自动绕扎线机
CN204168913U (zh) 一种带系鱼钩收纳装置
KR20170009018A (ko) 낚시채비
CN203761150U (zh) 复合式双线定子
KR20120060543A (ko) 낚시용 도래의 연결구조
CN202635379U (zh) 鱼竿和鱼线的连接装置
CN207103683U (zh) 拉线成型模具
CN203302190U (zh) 一种捕鱼装置
CN210001295U (zh) 一种立式放线装置
CN202414875U (zh) 缠地线工具
CN205413976U (zh) 一种细线伸线机供丝盘装置
CN205413974U (zh) 一种自导向细线伸线机供丝盘装置
CN203709084U (zh) 一种鱼钩
CN202390024U (zh) 简易绕线器
CN206165547U (zh) 一种鱼钩
CN101658158B (zh) 自挂式鱼钩及其钩组
CN204918893U (zh) 一种捻线机渔网丝防滑落装置
US20160189855A1 (en) Network transformer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CN109179071A (zh) 一种防尘绕线器纺织设备
CN211152500U (zh) 线材固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