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644U - 자동차용 보조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644U
KR20000017644U KR2019990003155U KR19990003155U KR20000017644U KR 20000017644 U KR20000017644 U KR 20000017644U KR 2019990003155 U KR2019990003155 U KR 2019990003155U KR 19990003155 U KR19990003155 U KR 19990003155U KR 20000017644 U KR20000017644 U KR 2000001764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coupling
fixed shaft
connecto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31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23335Y1 (ko
Inventor
채상규
Original Assignee
채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상규 filed Critical 채상규
Priority to KR20199900031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23335Y1/ko
Publication of KR2000001764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64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2333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23335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보조핸들은 상부협지부와 손잡이 사이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을 이루는 결합부와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에 의해 손잡이가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구조상 파이프에 감싸져 있는 힌지축이 외부에 노출될 정도록 상기 파이프를 이동시켜야 하는 등 그 조작이 매우 불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5 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10)와 손잡이(30)를 결합시켜 주고 있는 연결구(20)를 고정축(26)의 걸림환(2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힌지축(13)에 의해 연결구(20)를 회전가능 하도록 함으로서, 수평상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결합을 이루는 보조핸들의 손잡이(30)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축(26)의 노브(50)를 간단하게 눌러주는 것 만으로 손잡이(30)의 회전이 가능하여 주행중 운전자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핸들{Assist-handle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협지구와 손잡이를 힌지축으로 결합시키고, 그 일측에 고정축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손잡이를 회전시켜서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눕힐 수 있도록한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스티어링 휠은 유압식 스티어링 휠과 기계식 스티어링 휠로 구분되어 있으며, 자동차에 설치된 스티어링 휠이 유압식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구동력으로 회전가능하여 운전자의 작은 힘으로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기계식일 경우에는 운전자의 힘만으로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되어있다.
상기, 기계식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의 힘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키느데 있어 운전자가 매우 힘이 드는 문제점이 있어 수직상의 보조핸들을 개발하여 설치해 사용해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핸들은 힌지결합축에 의해 일측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을 이루는 수직상의 손잡이가 일체를 이루는 상부협지부와 하부협지부로 이루어져 있고, 상·하부협지부의 다른 일측은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보조핸들은 손잡이가 수직으로 고정되어 있어 자동차가 주행중(특히 고속주행일 경우)에 도로의 여건에 따라 스티어링 휠이 좌·우측으로 회전하면서 운전자의 손이나 팔에 부딪히게 되어 경우에 따라 운전자가 다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개선된 보조핸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를 설명하면 일측에 서로 상응하는 반구형의 삽입홈을 갖춘 상·하부협지부로 이루어진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협지부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있던 손잡이를 분리시켜서 힌지축으로 결합하고, 이를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로 감싸주도록 이우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개선된 보조핸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핸들과 수평을 이루고 있는 손잡이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으로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동게 되어 손잡이가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사용하고 있던 보조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협지부와 손잡이를 결합시켜 주는 힌지축이 외부에 노출될 정도로 파이프를 손으로 이동시키고 손잡이를 회전시켜서 스티어링 휠과 수평을 이루게 되어 손잡이로 인해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개선된 보조핸들은 상부협지부와 손잡이 사이에 힌지축에 의해 결합을 이루는 결합부와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에 의해 손잡이가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게 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나 구조상 파이프에 감싸져 있는 힌지축이 외부에 노출될 정도록 상기 파이프를 이동시켜야 하는 등 그 조작이 매우 불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보조핸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고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협지구와 손잡이를 힌지축으로 결합시키고, 그 일측에 걸림환을 갖춘 고정축을 설치하여 필요에 따라 간단하게 손잡이를 회전시켜서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눕힐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핸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 결합홈을 갖춘 상부협지구와 하단부가 곡면을 이루며 일측에 걸림홈을 갖춘 연결구로 손잡이를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상부협지구의 결합홈에는 결합홈과 직각을 이루는 결합홀과 고정홀을 형성하며, 고정홀의 일측을 단차지게 하여 고정홈을 형성하고, 일측 단부에 걸림환을 갖춘 고정축과, 스프링 및 무드보울트를 결합시켜서 고정축을 탄지하며, 상기 연결구는 하단면이 곡면을 이루며 그 일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고정축의 걸림환이 끼워져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와 손잡이를 결합시켜 주고 있는 연결구는 고정축의 걸림환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고정축의 일단을 이루고 있는 돌출된 노브를 눌러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고정축의 걸림환이 열결구의 걸림홈으로 부터 벗어나게 되어 연결구는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작용 상태도,
도 4 의 (가)와 (나)는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사용상태 전·후의 종단면도,
도 5 의 (가)와 (나)는 본 고안의 요부인 회동축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확대 종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협지구, 12 - 결합홈,
13 - 힌지축, 14 - 결합홀,
16 - 고정홀, 18 - 고정홈,
20 - 연결구, 22 - 곡면,
24 - 걸림홈, 26 - 고정축,
28 - 걸림환, 30 - 손잡이,
32 - 스프링, 34 - 무드보울트.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상·하부협지구가 핀결합과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협지구와 손잡이로 구성된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협지구(10)는 일측에 결합홈(12)을 갖추게 하고, 하단부가 곡면(22)을 이루며 일측에 걸림홈(24)을 갖춘 연결구(20)를 이용하여 손잡이(30)를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상부협지구(10)의 결합홈(12)에는 힌지축(13)과 고정축(26)이 끼워지는 횡방향의 결합홀(14)과 고정홀(16)을 형성하며, 고정홀(16)의 일측에 고정홈(18)을 형성하여 일측 단부에 걸림환(28)을 갖춘 고정축(26)을 삽입시키고, 스프링(32) 및 무드보울트(34)를 결합시켜서 고정축(28)을 탄지하여 상기 연결구(20)의 걸림홈(24)에 고정축(28)의 걸림환(26)이 끼워져 결합을 이루도록 한 자동차용 보조핸들 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하부협지구 이고, 42는 상·하부협지구(10)(40)의 일측을 결합시켜 주는 결합핀, 44는 상·하부협지구(10)(40)의 반구형을 이루는 내면에 부착된 고무재질의 패드, 46은 상·하부협지구(10)(40)를 일체를 이루게 하는 결합보울트, 48은 상·하부협지구(10)(40)가 결합핀(42)과 결합보울트(46)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협지구, 50은 고정축(28)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연질의 수지재로 성형된 노브 이다.
예시도면 도 1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와 도 3 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사시도와 사용 상태도로서, 상·하부협지구(10)(40)로 이루어진 협지구(48)와 하단부가 곡면(22)을 이루는 연결구(20)와 구형체의 손잡이(30)로 구성되어 지되, 상기 상부협지구(10)는 그 일측에 밑면이 곡면을 이루는 결합홈(12)이 형성되고, 횡방향의 결합홀(14)과 고정홈(18)을 갖춘 단차형의 고정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20)는 하단부가 곡면(22)을 이루고, 일측에 걸림홈(24)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홀(16)에는 일측 단부에 걸림환(28)을 갖춘 고정축(26)이 삽입되어 고정홈(18)에 걸림환(26)이 끼워지고, 이어서 스프링(32)과 무드보울트(34)가 결합되어 고정축(26)이 탄지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고정축(26)의 타측 단부에는 연질의 수지재로 성형된 노브(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10)에 손잡이(30)가 연결구(20)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상기 연결구(20)는 힌지축(13)에 의해 일정각도에서 자유로이 회전하고록 결합되어 있고, 고정축(26)에 의해 연결구(20)는 수직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의 (가)와 (나)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연결구(20)의 하부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18)에 고정축(20)의 걸림환(28)이 끼워져 있게 되어 연결구(20)는 상부협지구(10)와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고정이 되고, 특히 고정축(26)은 스프링(32)이 일측에 탄지되어 있어 상기 걸림환(28)은 스프링(32)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홈(18)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매우 견고하게 결합을 이루고 있다.
상기 고정축(26)을 도 5 의 (가)와 (나)에 표현된 바와 같이 고정축(26)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노브(50)에 인의적인 힘(스프링의 장력보다 강한 힘)으로 눌러주게 되면 고정축(26)의 걸림환(28)이 스프링(32)을 압축시키면서 연결구(20)의 걸림홈(18)으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30)을 잡고 시계방향(상부협지구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30)는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상부협지구(10)와 수평을 이루게 되어 주행중 보조핸들의 손잡이(30)에 의한 운전자의 부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30)가 상부협지구(10)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손잡이(30)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손잡이(30)를 잡고 시계반대방향(상부협지구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연결구(20)의 걸림홈(24)이 고정축(26)와 일치하는 위치까지 회전이 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32)의 탄발력에 의해 고정축(26)이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24)에 걸림환(28)이 견고하게 끼워지게 되므로 손잡이(30)는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10)와 손잡이(30)를 결합시켜 주고 있는 연결구(20)를 고정축(26)의 걸림환(28)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힌지축(13)에 의해 연결구(20)를 회전가능 하도록 함으로서, 수평상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결합을 이루는 보조핸들의 손잡이(30)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고정축(26)의 노브(50)를 간단하게 눌러주는 것 만으로 손잡이(30)의 회전이 가능하여 주행중 운전자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하부협지구가 핀결합과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협지구와 손잡이로 구성된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협지구(10)는 일측에 결합홈(12)을 갖추게 하고, 하단부가 곡면(22)을 이루며 일측에 걸림홈(24)을 갖춘 연결구(20)를 이용하여 손잡이(30)를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상부협지구(10)의 결합홈(12)에는 힌지축(13)과 고정축(26)이 끼워지는 횡방향의 결합홀(14)과 고정홀(16)을 형성하며, 고정홀(16)의 일측에 고정홈(18)을 형성하여 일측 단부에 걸림환(28)을 갖춘 고정축(26)을 삽입시키고, 스프링(32) 및 무드보울트(34)를 결합시켜서 고정축(28)을 탄지하여 상기 연결구(20)의 걸림홈(24)에 고정축(28)의 걸림환(26)이 끼워져 결합을 이루도록 한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19990003155U 1999-03-02 1999-03-02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022333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55U KR200223335Y1 (ko) 1999-03-02 1999-03-02 자동차용 보조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3155U KR200223335Y1 (ko) 1999-03-02 1999-03-02 자동차용 보조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644U true KR20000017644U (ko) 2000-10-05
KR200223335Y1 KR200223335Y1 (ko) 2001-05-15

Family

ID=5475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3155U KR200223335Y1 (ko) 1999-03-02 1999-03-02 자동차용 보조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2333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1B1 (ko) * 2017-11-28 2019-05-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5104B1 (ko) 2004-11-17 2011-08-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스티어링 휠 봉 위치가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4131B1 (ko) * 2017-11-28 2019-05-30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23335Y1 (ko) 2001-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23335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JP2003191766A (ja) 自動変速機操作装置のシフトロック機構
KR200266520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KR0126805Y1 (ko) 보조 핸들이 내장된 핸들
JP3158865B2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KR0125539Y1 (ko) 자동차 핸들 조작용 레버
JPH0443421Y2 (ko)
JPH0367778A (ja) チルト式ステアリング装置
JPS6014342Y2 (ja) 農林機器のハンドル装置におけるグリップ取付構造
JPH068216Y2 (ja) 自動車用傾倒キ−
KR100241384B1 (ko)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KR100351358B1 (ko) 자동차의 틸트 스티어링
KR100746682B1 (ko) 차량용 스티어링컬럼의 틸팅장치
JPS6358736B2 (ko)
KR100546511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틸트 칼럼 어셈브리
JP4002668B2 (ja) 方向指示レバーのキャンセル機構
KR0143154B1 (ko) 자동차의 핸들 각도 조정장치
JPS5941894Y2 (ja) 車輌用ハンドル装置
KR970007732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컬럼의 틸트(Tilt)장치
KR970004329Y1 (ko) 차량용 보조핸들
KR0173891B1 (ko) 자동차용 스티어링 장치의 틸팅구조
KR920007170Y1 (ko) 역회전 소켓렌치
KR100783364B1 (ko) 조향핸들 커버 일체형 선회장치
KR200414498Y1 (ko) 대형차량용 주차브레이크
JP2001026273A (ja) ロール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