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66520Y1 - 자동차용 보조핸들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보조핸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66520Y1
KR200266520Y1 KR2019990011583U KR19990011583U KR200266520Y1 KR 200266520 Y1 KR200266520 Y1 KR 200266520Y1 KR 2019990011583 U KR2019990011583 U KR 2019990011583U KR 19990011583 U KR19990011583 U KR 19990011583U KR 200266520 Y1 KR200266520 Y1 KR 20026652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inge shaft
connector
coupling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5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01216U (ko
Inventor
권태우
Original Assignee
권태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태우 filed Critical 권태우
Priority to KR20199900115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6520Y1/ko
Publication of KR200100012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0121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652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6520Y1/ko

Links

Landscapes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종래에는 상부협지부와 손잡이 사이에 힌지축으로 이루어진 결합부와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가 설치되어 손잡이가 수평 또는 수직으로 가변되는 구조의 보조핸들이 있으나, 파이프에 감싸져 있는 힌지축이 외부에 노출될 정도로 상기 파이프를 이동시키기 위한 조작이 매우 불편하여 사용상의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예시도면 도 1 내지 도 4 에 표현된 바와 같이, 상부협지구(10)와 손잡이(24)를 결합시켜 주고 있는 연결구(16)를 힌지축(13)의 걸림구(22)에 의해 고정되도록 하고, 힌지축(13)에 의해 연결구(16)를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어 수직으로 결합을 이루는 보조핸들의 손잡이(24)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특히 힌지축(13)의 노브(50)를 간단하게 눌러주는 것만으로 손잡이(24)의 회전이 가능하여 주행중 운전자의 안전성과 편의를 보다 확보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보조핸들{Assist-handle for car.}
본 고안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협지구와 손잡이를 힌지축으로 결합시키고, 필요에 따라 손잡이를 회전시켜서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눕힐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보조핸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운전석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결정하는 스티어링 휠은 유압식과 기계식으로 구분되어 지며, 유압식일 경우에는 자동차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작은 힘으로도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나, 기계식일 경우에는 별도의 구동력이 없어 스티어링 휠을 운전자의 힘 만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기계식 스티어링 휠은 운전자의 힘으로 회전시켜야 하므로 자동차의 진행방향을 변경하기 위하여 스티어링 휠의 일측에 수직상의 보조핸들을 개발하여 설치 사용해 왔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보조핸들은 협지부와 손잡이가 힌지결합축에 의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손잡이는 협지부와 수직상 일체를 이루고, 상기 협지부는 상부협지부와 하부협지부로 이루어져 있고, 보울트결합에 의해 상·하부협지부는 일체를 이루며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의 보조핸들은 손잡이가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주행중에 도로의 여건에 따라 운전자의 의지와 관계없이 스티어링 휠이 좌·우측으로 회전하는 경우가 발생되며, 이때 보조핸들의 손잡이가 운전자의 손이나 팔에 부딪히게 되어, 경우에 따라 안전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하였으며, 또한 수직으로 고정된 손잡이 부분이 협소한 운전석에 설치됨으로 해서 운전자에게 불편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보다 개선된 보조핸들이 개발되었는데 이를 설명하면 일측에 서로 상응하는 반구형의 삽입홈을 갖춘 상·하 협지부로 이루어진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협지부의 상부에 일체를 이루고 있던 손잡이를 분리시켜서 힌지축으로 결합하고, 이를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로 감싸주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개선된 보조핸들을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보조핸들과 수평을 이루고 있는 손잡이를 상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 만으로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가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손잡이가 수직상태로 유지되어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보조핸들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상부협지부와 손잡이를 결합시켜 주는 힌지축이 외부에 노출될 정도로 파이프를 손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손잡이는 스티어링 휠과 수평을 이루는 상태로 회전할 수 있게 되므로 손잡이로 인해 주행중 발생할 수 있는 운전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의 개선된 보조핸들은 상부협지부와 손잡이 사이에 힌지축이 설치되어 결합부와 스프링이 탄지된 파이프에 의해 손잡이가 수평 또는 수직을 이루게 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나, 구조상 파이프에 감싸져 있는 힌지축이 외부에 노출될 정도로 상기 파이프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조작이 매우 불편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 종래의 보조핸들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협지부와 손잡이를 횡방향의 힌지축으로 결합시키고, 상기 힌지축상에 걸림부를 형성하여 필요에 따라 손잡이가 회전되거나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간단하게 손잡이를 수직으로 세우거나 수평으로 ??힐 수 있는 자동차용 보조핸들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일측에 결합홈을 갖춘 상부협지구와 하단부가 곡면을 이루며 상단부에 손잡이가 결합되는 연결구와 상부협지부에 연결구를 결합시켜 주는 힌지축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상부협지구의 결합홈에는 결합홈과 직각을 이루는 결합홀을 형성하며, 힌지축의 일측에 걸림부를 형성하고, 타측에는 노부를 결합시켜 일체를 이루게 하며, 스프링를 걸림부측에 삽입시키고 무드보울트를 결합시켜서 힌지축을 결합홀에 탄지하며, 상기 연결구는 하측에 횡방향의 회전홈과 그 일측에 걸림홈을 형성하여 힌지축의 걸림부가 끼워져 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와 손잡이를 결합시켜 주고 있는 연결구의 걸림홈에 힌지축의 걸림부 일부분이 끼워져 고정된 상태에서 힌지축의 타단에 결합되어 돌출된 노브를 눌러주는 간단한 동작만으로 힌지축의 걸림부가 연결구의 걸림홈으로부터 벗어나게 되어 연결구는 힌지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사용상태 측면도,
도 4 의 (가)와 (나)는 본 고안에 따른 요부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상부협지구, 12 - 결합홈,
13 - 힌지축, 14 - 결합홀,
16 - 연결구, 18 - 곡면,
20 - 걸림홈, 22 - 걸림부,
24 - 손잡이,
26 - 스프링, 28 - 무드보울트,
30 - 회전홀.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따라 그 구성과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본 고안은 상·하부협지구가 보울트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협지부와 손잡이로 구성된 보조핸들에 있어서, 상기 상부협지구(10)는 일측에 결합홈(12)을 갖추게 하고, 하단부가 곡면(18)을 이루며 걸림홈(20)을 갖춘 연결구(16)를 이용하여 손잡이(24)를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상부협지구(10)의 결합홈(12)에는 횡방향의 결합홀(14)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14)에 사각봉형상의 걸림부(22)를 갖춘 힌지축(13)을 끼워넣되, 상기 결합홀(14)과 연결구(16)가 접하는 일측에 걸림홈(20)을 형성하여 힌지축(13)의 걸림부(22)가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22)측에 스프링(26)을 삽입시키고 무드보울트(28)를 결합시켜서 스프링(26)을 탄지하며, 상기 연결구(16)의 걸림홈(20)에 힌지축(13)의 걸림부(22)가 끼워지면서 힌지축(13)의 타단에 결합된 노브(50)가 돌출되도록 결합을 이루는 자동차용 보조핸들이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40은 하부협지구이고, 42는 상·하부협지구(10)(40)의 일측을 결합시켜 주는 결합핀, 44는 상·하부협지구(10)(40)의 반구형을 이루는 내면에 부착된 고무재질의 패드, 46은 상·하부협지구(10)(40)를 일체화하게 하는 결합보울트, 48은 상·하부협지구(10)(40)가 결합핀(42)과 결합보울트(46)에 의해 일체를 이루는 협지구 이다.
예시도면 도 1 은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요부를 나타내기 위해 일부를 절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 와 도 3은 자동차용 보조핸들의 사시도와 사용상태도로서, 상·하부협지구(10)(40)로 이루어진 협지구(48)와 하단부가곡면(18)을 이루는 연결구(16)와 구형체의 손잡이(24)로 보조핸들이 구성되어 지되, 상기 상부협지구(10)는 그 일측에 밑면이 곡면을 이루는 결합홈(12)이 형성되고, 횡방향의 결합홀(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구(16)는 하단부가 곡면(18)을 이루고, 회전홈(30)의 일측에 걸림홈(2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결합홀(14)에는 일측에 걸림구(22)를 갖춘 힌지축(13)이 삽입되어 연결구(16)의 걸림홈(20)에 걸림부(22)가 끼워지고, 이어서 스프링(26)과 무드보울트(28)가 결합되어 스프링(26)에 의해 힌지축(13)이 탄지된 상태를 이루게 되며, 상기 힌지축(13)의 타측단부에는 연질의 수지재로 성형된 노브(50)가 결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10)에 손잡이(24)가 연결구(16)에 의해 일체를 이루게 되며, 상기 연결구(16)는 힌지축(13)에 의해 일정각도에서 자유로이 회전하도록 결합되어 있고, 힌지축(13)에 의해 연결구(16)는 수직상태에서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이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도 4 의 (가)와 (나)에 표현된 바와 같이 연결구(16)의 회전홈(30)의 일측에 형성된 걸림홈(20)에 힌지축(13)의 걸림부(22)가 끼워져있게 되어 연결구(16)는 상부협지구(10)와 직각을 이루는 상태로 고정이 되고, 특히 힌지축(13)은 스프링(26)이 일측에 탄지되어 있어 스프링(26)의 탄발력에 의해 걸림홈(20)측 방향으로 이동되어 매우 견고하게 결합을 되어 있다.
상기 힌지축(13)의 일단에 결합되어 있는 노브(30)에 인위적인 힘(스프링의 장력보다 강한 힘)으로 눌러주게 되면 힌지축(13)의 걸림부(22)가 스프링(26)을 압축시키면서 연결구(16)의 걸림홈(20)으로부터 이탈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손잡이(24)를 잡고 시계방향(상부협지구와 수평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손잡이(24)는 자연스럽게 회전되어 상부협지구(10)와 수평을 이루게 되어 주행중 보조핸들의 손잡이(24)에 의한 장애 및 부상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손잡이(24)가 상부협지구(10)와 수평을 이룬 상태에서 손잡이(24)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는 돌출된 노브(50)을 눌러주면서 손잡이(24)를 시계반대방향(상부협지구와 수직을 이루는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되면, 연결구(16)의 걸림홈(20)에 끼워져 있던 힌지축(13)의 걸림부(22)가 스프링(26)을 압축시키면서 이탈되어 회전이 된다.
이때 손잡이(24)가 일정 위치까지 회전되면, 압축되어 있던 스프링(26)의 탄발력에 의해 힌지축(13)이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20)에 걸림부(22)가 끼워지면서 손잡이(24)는 고정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상부협지구(10)와 손잡이(24)를 결합시켜주고 있는 연결구(16)가 힌지축(13)의 걸림부(22)에 의해 고정되고, 스프링(26)이 탄지된 힌지축(13)의 일단인 노브(50)를 눌러주는 것으로 고정된 연결구(16)를 회전가능하게 되므로, 스티어링 휠에 결합되는 보조핸들의 손잡이(24)를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임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특히 주행중 힌지축(13)의 노브(50)를 간단하게 눌러주는 것만으로 손잡이(24)의 회전이 가능하여 운전자의 안전성과 사용상의 편의를 보다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부협지구(10)는 일측에 결합홈(12)을 갖추고, 하단부가 곡면(18)을 이루며 걸림홈(20)을 갖춘 연결구(16)를 이용하여 손잡이(24)를 결합시키도록 하되, 상기 상부협지구(10)의 결합홈(12)에는 횡방향의 결합홀(14)을 형성하고, 상기 결합홀(14)에 사각봉형상의 걸림부(22)를 갖춘 힌지축(13)을 끼워넣고, 상기 결합홀(14)과 연결구(16)가 접하는 일측에 걸림홈(20)을 형성하여 힌지축(13)의 걸림부(22)가 걸치는 상태로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걸림부(22)측에 스프링(26)을 삽입시키고 무드보울트(28)를 결합시켜서 스프링(26)을 탄지하며, 상기 연결구(16)의 걸림홈(20)에 힌지축(13)의 걸림구(22)가 끼워지면서 힌지축(13)의 타단에 결합된 노브(50)가 돌출되도록 결합을 이루는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19990011583U 1999-06-26 1999-06-26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026652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583U KR200266520Y1 (ko) 1999-06-26 1999-06-26 자동차용 보조핸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583U KR200266520Y1 (ko) 1999-06-26 1999-06-26 자동차용 보조핸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216U KR20010001216U (ko) 2001-01-15
KR200266520Y1 true KR200266520Y1 (ko) 2002-02-28

Family

ID=54764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583U KR200266520Y1 (ko) 1999-06-26 1999-06-26 자동차용 보조핸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652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01216U (ko) 2001-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09297A (en) Arm rest for motor vehicle rear seats
KR100494504B1 (ko) 시동키의 길이 축소를 위한 자동차용 시동키 뭉치
KR200266520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US20020123301A1 (en) Grinding wheel replacement safety structure for handheld grinding wheel device
KR200223335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FR2529140A1 (fr) Dispositif d&#39;attelage de remorque pour vehicules, notamment pour voitures particulieres
EP0829419B1 (en) Spare tire fixing device
KR0126805Y1 (ko) 보조 핸들이 내장된 핸들
ES2325991T3 (es) Conector electrico de enchufe.
KR0138516Y1 (ko) 자동차용 콘솔박스의 암레스트 결합구조
EP1312509A1 (en) Rear view mirror assembly
KR200204575Y1 (ko) 자동차용 보조핸들
KR100241384B1 (ko)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KR100842718B1 (ko) 단자 하우징
JPH068216Y2 (ja) 自動車用傾倒キ−
KR200299055Y1 (ko) 승용물의 핸들구조체
KR200305910Y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100458218B1 (ko) 차량용 조향컬럼의 틸팅장치
KR0125539Y1 (ko) 자동차 핸들 조작용 레버
KR100349250B1 (ko) 자동차 스티어링 칼럼의 틸팅장치용 복원스프링
KR0137774Y1 (ko) 자동차 완구의 기어보호장치
KR200287826Y1 (ko) 차량용 보조핸들 구조
KR100207770B1 (ko) 파킹 브레이크 케이블 연결구조
KR100559583B1 (ko) 공기압을 이용한 자동차용 혼 작동장치
KR200144327Y1 (ko) 자동차의 백미러 스테이 절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