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1384B1 -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1384B1
KR100241384B1 KR1019950060424A KR19950060424A KR100241384B1 KR 100241384 B1 KR100241384 B1 KR 100241384B1 KR 1019950060424 A KR1019950060424 A KR 1019950060424A KR 19950060424 A KR19950060424 A KR 19950060424A KR 100241384 B1 KR100241384 B1 KR 1002413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switch
roof panel
vehicle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0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930A (ko
Inventor
이강우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50060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384B1/ko
Publication of KR9700369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9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3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38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2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 B60N3/026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hand grips or straps characterised by the fix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자동차 실내손잡이는 예시도면 제1도 내지 제2도와 같이 루프패널 내측에 스크류로 고정되어 있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승차원이 하차시 머리에 부딪혀 다칠 염려가 있는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예시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와 같이 루프패널(1) 내측에 실내손잡이장치를 신설하고 실내손잡이장치는 스위치(30) 및 손잡이(10)로 구성되는 데 스위치(30) 및 손잡이(10) 하단부에는 각각 스프링(24)이 설치되며 손잡이(10)를 스위치(30)의 작동에 의하여 인출할 수 있고 필요하지 않을 때에는 스위치(30)의 상단부를 눌러 루프패널(1) 내측으로 인입할 수 있어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고 승차원이 하차시 머리를 보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제1도는 종래 자동차의 실내손잡이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에서 손잡이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에서 손잡이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손잡이 12 : 바아
14 : 지지부 15 : 걸림구
16 : 잠금부 18 : 잠금구
20 : 돌기부 22 : 걸림턱
24 : 스프링 26 : 잠금턱
28 : 스크류 30 : 스위치
32 : 연결구 34 : 핀
36 : 로드 37 : 수납공간
38 : 축 40 : 바아지지면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통때는 실내의 손잡이를 차량의 내측에 인입하고 급제동할 때나 꾸불꾸불한 도로에서 주행중인 때에는 스위치를 눌러 손잡이를 루프패널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에서 손잡이를 잡을수 있는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예시도면 제1도 내지 제2도는 종래 자동차의 실내손잡이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동차가 주행시 특히 급제동할 때나 꾸불꾸불한 도로를 주행할 때 승차원의 신체가 앞이나 좌우로 쏠리는 경우에 승차원은 자동차의 손잡이(10)를 잡고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였다. 자동차의 손잡이(10)는 손잡이(10)의 양단에 스크류(28)로 루프패널(1)의 일측에 다수개 설치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자동차의 손잡이(10)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어 외관미가 저하되고 승차원의 하차시 머리에 부딪힐 우려가 있는등의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자동차의 손잡이가 지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평상시는 손잡이가 루프패널 내측에 삽입되어 있고 급제동시나 꾸불꾸불한 도로에서 주행중 승차원의 신체가 전후 좌우로 쏠리는 경우에 스위치를 눌러 손잡이를 인출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손잡이를 제공하고자 함에 발명의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 제3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손잡이장치에 있어서, 손잡이(10)의 양쪽 지지부(14) 및 스위치(30)가 루프패널(1) 일측에 삽입될 수 있도록 루프패널(1) 내측에 수납공간(37)이 형성되고, 스위치(30) 및 지지부(14) 하단부에 스프링(24)이 설치되며 지지부(14) 하단부 내측에 잠금부(16)를 설치하되, 잠금부(16)는 잠금구(18)와 스프링(24)으로 구성되고 잠금구(18)는 하단부에 돌기부(20)와 잠금구(18) 중앙부 외주면 주위로 걸림턱(22)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한편 타측 지지부(14) 하단부에 걸림구(15)가 형성되고 스위치(30)의 하단부 일측에 연결구(32)가 형성되며 상기 연결구(32)의 하단부에 핀(34)의 상단부가 축(38)에 의하여 결합되는데 핀(34)의 하단부는 핀(34)의 일부를 수직 상방으로 절곡시켜 로드(36)를 형성시키되 로드(36)에 대응되는 루프패널(1) 접촉면에 잠금턱(26)이 형성되며 바아(12)의 하단부가 접촉되는 루프패널(1)의 상단부에 바아지지면(40)이 형성되고 바아지지면의(40) 양끝단부 하단면에 걸림턱(22)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는 다음과 같다.
제3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에서 손잡이(10)가 인출 및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자동차가 급제동할때나 꾸불꾸불한 도로에서 자동차가 주행할 때 승차원의 신체가 전후 좌우로 쏠리는 경우가 발생하는데 이때 승차원이 스위치(30)를 누르면 손잡이(10)는 루프패널(1) 외측으로 돌출하게 되는 것이다.
손잡이(10)는 전체적으로 “∩”형상으로서 상단부는 손으로 잡을수 있도록 바아(12)가 형성되어 있고 양끝단부는 바아(12)의 양끝을 수직하방으로 절곡시켜 지지부(14)를 형성한다. 바아(12)의 하단면이 접촉되는 루프패널(1) 상단면은 바아지지면(40)으로서 바아(12)의 직경만큼 루프패널(1)에서 하부에 설치된다. 일측 지지부(14)의 하단부 내측에 잠금부(16)가 설치되고, 타측 지지부(14)의 하단부에는 걸림구(15)가 형성되며 잠금부(16)와 걸림구(15)가 차단되도록 바아지지면(40)의 양끝단부 하단면에 걸림턱(22)이 형성된다.
잠금부(16)는 잠금구(18), 걸림턱(22), 스프링(24)으로 구성되는데, 잠금구(18) 하단부 중앙에는 돌기부(20)가 형성되고 돌기부(20) 일측에 스프링(24)이 끼워져 돌기부(20) 주위를 에워감싸서 스프링(24)의 하단부가 지지부(14)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잠금구(18)는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지지부(14)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데 이때 잠금구(18) 일측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턱(22)이 지지부(14) 내측면에 차단되어 잠금구(18)는 지지부(14) 외측으로 완전히 나오지 못한다.
한편 도면의 잠금구(18) 우측 끝단부는 완만한 경사면을 이루고 잠금구(18)가 지지부(14)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는 잠금구(18)의 상단면이 하단면보다 더 넓게 형성되어 스위치(30)의 작동으로 로드(36)의 상단면이 잠금구(18)의 경사면을 밀어 올리고 이때 잠금구(18)는 내측으로 삽입되어진다. 스위치(30)의 하단부 일측에 연결구(32)가 수직하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연결구(32) 하단부와 핀(34)의 일측부가 축(38)에 의하여 결합된다.
핀(34)은 끝단부에 핀(34)의 일부를 수직 상방으로 절곡시켜 로드(36)를 형성하고 핀(34)의 중앙에 축(38)이 끼워질수 있도록 구멍을 형성하여 축(38)을 끼운 다음 축(38)의 양끝단부를 루프패널(1) 내측에 고정시킨다. 도면과 같이 손잡이(10)가 루프패널(1) 내측으로 인입된 상태에서 손잡이(10)를 루프패널(1) 외측으로 돌출시키려면 스위치(30)를 눌러 로드(36)의 상단부가 잠금구(18)의 경사면을 좌측으로 밀어내어 잠금턱(26)의 평면에서 이격시킨후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손잡이(10)는 상방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한편 핀(34)은 지렛대 처럼 핀(34)의 중앙부에 형성된 축(38)을 중심으로 스위치(30)가 눌려져 하강되면 로드(36)는 상승되고 스위치(30)에서 눌른 손을 놓으면 스위치(30) 하단부에 설치된 스프링(24)의 탄성력에 의하여 스위치(30)는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걸림턱(22)과 잠금턱(26) 사이의 루프패널(1) 내측면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제4도와 같이 손잡이(10)가 인입된 상태에서 잠금구(18)가 경사면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되고 걸림턱(22)에 걸릴때에는 잠금구(18)가 완전히 돌출되는 것이다.
자동차의 실내손잡이장치는 양끝단부를 루프패널(1)에 스크류(28)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실내손잡이(10)를 루프패널(1)에서 인입 및 인출이 가능하므로 손잡이(10)가 필요하지 않을때는 루프패널(1) 내측에 삽입하여 승차원이 하차시 머리를 보호할 수 있고 필요할 때에는 스위치(30)를 누르면 즉시 손잡이(10)가 인출되므로 곧바로 사용할 수 있으며 외관미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자동차의 루프패널(1) 내측에 스크류(28)에 의해 체결되는 실내 손잡이 장치가 스위치(30) 및 “∩”형상의 손잡이(10)로 구성되며, 상기한 스위치(30) 및 손잡이(10) 하단부에는 스프링(24)이 설치되고 스위치(30) 하단부 일측에 연결구(32)가 형성되며 연결구(32) 하단부에는 핀(34)의 상단부가 축(38)에 의하여 결합되고 핀(34)의 중앙부 구멍에 축(3)이 삽입되어 루프패널(1) 내측에 고정되며 핀(34)의 일단부는 로드(36)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한 손잡이(10)는 바아(12)와 두 개의 지지부(14)로 구성되며 상기한 지지부(14) 일측에는 걸림구(15)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잠금부(16)가 형성되며 상기한 잠금부(16)는 잠금구(18)와 스프링(24)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구(18)는 걸림턱(22)과 돌기부(20)로 구성되며 상기한 돌기부(20)는 잠금구(18) 하단부에 잠금구(18)의 일부가 외측으로 돌출되어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한 돌기부(20) 일측에는 스프링(24)의 일단부가 끼워져 상기한 돌기부(20) 주위를 에워감싸 스프링(24)의 일단부가 지지부(14) 내측면에 고정되며 상기한 걸림턱(22)은 잠금부(16) 중앙부 외주면 주위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실내 손잡이 장치.
KR1019950060424A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KR1002413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424A KR100241384B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0424A KR100241384B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930A KR970036930A (ko) 1997-07-22
KR100241384B1 true KR100241384B1 (ko) 2000-03-02

Family

ID=194455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0424A KR100241384B1 (ko) 1995-12-28 1995-12-28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3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23B1 (ko) * 2012-10-12 2014-08-13 (주)제우스 매립형 손잡이가 형성된 자동차 완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23488A1 (de) * 2017-10-10 2019-04-11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Türverkleidung für ein Kraftfahrzeu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2123B1 (ko) * 2012-10-12 2014-08-13 (주)제우스 매립형 손잡이가 형성된 자동차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930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41384B1 (ko) 자동차의 실내손잡이 장치
KR100392295B1 (ko) 자동차용 핸드브레이크
KR200145079Y1 (ko) 자동차용 옷걸이구조
JPH0427731Y2 (ko)
KR970000228Y1 (ko) 자동차 시트 헤드레스트에 부착된 보조손잡이
KR200155011Y1 (ko) 자동차용 주차 브레이크 레버
KR200261194Y1 (ko) 자동차용 핸드브레이크
KR0131035Y1 (ko) 자동차의 컵홀더
JPS6230517Y2 (ko)
KR0160036B1 (ko) 자동차의 측면도아 외측핸들의 복귀스프링 장착구조
KR0122156Y1 (ko) 주차브레이크용 브레이크슈우레버 오버리턴 방지구조
KR200141092Y1 (ko) 와이퍼 블레이드의 장금장치
KR960004714Y1 (ko) 자동차용 푸트레스트(Foot Rest)
JPH06234357A (ja) ハンドブレーキ
JPS6321657Y2 (ko)
KR200149299Y1 (ko) 자동차용 팬토그라프잭의 보관구조
KR200171908Y1 (ko) 스페어 타이어 고정장치
KR200150891Y1 (ko) 풀림식 파킹 브레이크 레버
KR0136395Y1 (ko) 버스용 안전바
KR0120056Y1 (ko) 자동차용 주차브레이크
KR200287826Y1 (ko) 차량용 보조핸들 구조
JPS6116203Y2 (ko)
JPH0142174Y2 (ko)
KR940002957Y1 (ko) 자동차 트렁크에 외장패널을 고정시키는 구조
KR200155423Y1 (ko) 조향 핸들용 삽입식 어시스트 레버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