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131B1 -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 Google Patents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131B1
KR101984131B1 KR1020170161043A KR20170161043A KR101984131B1 KR 101984131 B1 KR101984131 B1 KR 101984131B1 KR 1020170161043 A KR1020170161043 A KR 1020170161043A KR 20170161043 A KR20170161043 A KR 20170161043A KR 101984131 B1 KR101984131 B1 KR 1019841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ilting
handle body
handle
tilt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10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영
이상훈
Original Assignee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10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13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1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1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43Hand wheels with a device allowing single-hand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11Hand wheel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arrangements, e.g. by being yieldable or collaps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지가능하게 제작되면서 내부에 설정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와 일측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구비된 틸팅유닛; 및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축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차량용 핸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는 탄성의 장력유지수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본체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장력을 유지하면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틸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차량용 핸들에 운전자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된 손잡이 본체가 신체와 접촉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기울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손잡이 본체와의 접촉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AUXILIARY DEVICE FOR HANDLE CONTROL OF VEHICLES WITH IMPROVED SAFETY}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에 운전자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된 보조손잡이가 신체와 접촉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기울어지도록 구성하여 보조손잡이와의 접촉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핸들 손잡이는 자동차의 핸들 일측부에 장착하여 자동차의 커브 또는 주차 시와 같이, 핸들의 조작이 많을 경우에 운전자가 용이하게 핸들을 조작할 수 있도록 형성된 일종의 보조기구이다.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자동차 핸들 손잡이의 구성은 크게 상부로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지하여 사용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몸체 내측으로는 체결부가 구비되는 파지구와, 상기 파지구의 하측으로 위치되며, 자동차 핸들을 외부에서 감싸는 형상으로 핸들과 고정되며, 몸체 일측부는 고정홈이 형성되는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고정홈과 파지구의 체결부에 삽입되어 몸체부를 고정밴드에 고정시키는 체결부재로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차 핸들 손잡이는 통상 파지구가 자동차 핸들의 일측부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설치되므로, 차량의 충돌사고 시, 운전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치명상을 유발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차량의 충돌사고 시에 운전자의 신체가 핸들외부로 돌출되게 설치된 손잡이와 먼저 접촉되면서, 그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이 손잡이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와 우선적으로 접촉되므로, 운전자에게는 치명상을 입힐 수 있는 위험이 있다.
예컨대, 운전자가 주행방향 등을 제어할 수 있는 저속주행 시 충돌사고에 대해서는 손잡이가 돌출되어 있어도 손잡이와 접촉되어 발생되는 사고를 어느 정도 방지할 수 있으나, 고속도로에서와 같이 고속주행 중 발생되는 사고에 대해서는 경미한 충돌사고 시에도 운전자가 큰 충격을 입을 수 있는 폐단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31720호(발명의 명칭: 자동차 핸들 조작용 안전 스프링 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차량용 핸들에 운전자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된 보조손잡이가 신체와 접촉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기울어지도록 구성하여 보조손잡이와의 접촉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부방향을 향하는 보조손잡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구성을 통해 보조손잡이가 신체접촉이 이루어지지지 않는 평상시에도 의도치 않게 기울어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보조손잡이에 순간적으로 부피가 팽창하는 소형의 에어백 모듈을 내장하고, 보조손잡이의 틸팅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시에만 에어백 모듈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구성을 통해 사고방지차원에서 보다 높은 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는, 파지가능하게 제작되면서 내부에 설정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와 일측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구비된 틸팅유닛; 및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축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차량용 핸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는 탄성의 장력유지수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본체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장력을 유지하면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팅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상기 회전축과의 간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외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설정된 홀딩구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의해 형성된 홀딩구간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딩 볼;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동하고, 상기 걸림턱 중 하나를 지나 상기 홀딩 볼과 가압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홀딩 볼을 통과하여 상기 홀딩구간에 홀딩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잡이 본체 및 상기 틸팅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정도와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손잡이 본체 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이상을 판단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손잡이 본체 내 수용공간에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이상이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상기 손잡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충격흡수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일 수 있고, 상기 손잡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테어라인; 상기 손잡이 본체 내 수용공간에 설정된 형태로 폴딩되어 수납되는 에어쿠션; 및 상기 에어쿠션과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에어쿠션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에어쿠션이 상기 테어라인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피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는, 차량용 핸들에 운전자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된 손잡이 본체가 신체와 접촉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기울어지도록 틸팅유닛을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와의 접촉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방향을 향하는 손잡이 본체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통해 손잡이 본체가 신체접촉이 이루어지지지 않는 평상시에도 의도치 않게 기울어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소형의 에어백 모듈이 적용되어 순간적으로 부피가 팽창하면서 손잡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충격흡수유닛을 손잡이 본체에 내장하고, 틸팅유닛에 의한 손잡이 본체의 틸팅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시에만 이를 감지하여 충격흡수유닛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센서유닛 및 컨트롤러를 통해 사고방지차원에서 보다 높은 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틸팅유닛과 지지유닛 간 결합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
도 3은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동작 및 그에 따른 고정유닛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충격흡수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틸팅유닛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도 6은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충격흡수유닛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틸팅유닛과 지지유닛 간 결합부분을 나타낸 부분확대도이며, 도 3은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동작 및 그에 따른 고정유닛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충격흡수유닛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틸팅유닛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고, 도 6은 상기 핸들조작 보조장치의 충격흡수유닛이 사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용예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100)는 손잡이 본체(110), 틸팅유닛(120), 지지유닛(130), 고정유닛(140), 센서유닛(150), 컨트롤러(160) 및 충격흡수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 본체(110)는 운전자가 용이하게 파지가능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설정된 수용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된 하우징(111)과, 상기 하우징(111)의 개방된 상부를 덮는 커버(11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손잡이 본체(110)의 형태는 운전자가 한 손으로 움켜쥐면서 파지할 수 있는 정도의 사이즈가 바람직하며, 본 발명의 도면에서 구의 형태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공지의 핸들보조손잡이의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틸팅유닛(120)은 상술한 손잡이 본체(110)와 일체가 되어 외력에 의해 후술되는 지지유닛(130)으로부터 틸팅동작하면서 상기 손잡이 본체(110)를 함께 유동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손잡이 본체(110)에 일측이 결합될 수 있고, 다른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121)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틸팅유닛(120)의 회전축(121)은 상기 지지유닛(130)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회전축(121)의 회전에 따라 상기 틸팅유닛(120)의 몸체부(부호 미표시)가 기울어지게 된다.
한편, 상기 틸팅유닛(120)은 손잡이 본체(110)와 운전자 신체 간에 접촉이 이루어지지 않는 평상시(예컨대, 핸들조작이 필요한 경우, 별도의 핸들조작 없이 운전자가 차량 내 위치해 있는 경우 등)에도 자체 하중으로 인해 의도치 않게 기울어질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탄성의 장력유지수단(122)을 더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장력유지수단(122)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회전축(121)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130)과 연결될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일단이 상기 회전축(121) 일부분에 결합되면서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유닛(130)에 연결되는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상기 틸팅유닛(120)은 전술한 장력유지수단(122)의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손잡이 본체(110)가 상부방향(차량용 핸들과 수직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장력을 유지하면서도 운전자 신체와의 접촉으로 인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신체 움직임에 대응하여 상기 회전축(121)을 기준으로 틸팅될 수 있다.
상기 지지유닛(130)은 차량용 핸들(H)에 결합되어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가 지지되도록 하는 것으로, 일측에 상기 틸팅유닛(120)의 회전축(121)을 삽입시키기 위한 회동홈(부호 미표시)이 형성되어 상기 틸팅유닛(120)과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지지유닛(130)의 다른 일측은 차량용 핸들(H)과 탈착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는 다양한 공지의 탈착수단, 체결수단, 결합수단 등을 별도로 구성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즉, 상기 차량용 핸들(H)로부터 자유로운 분리가 가능한 상기 지지유닛(130)에 의해 본 발명의 핸들조작 보조장치(100)는 용이한 교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고정유닛(140)은 상부방향을 향하는 손잡이 본체(11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상기 틸팅유닛(120)의 틸팅동작을 홀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틸팅유닛(120)과 지지유닛(13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110)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121)을 가압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좀 더 구체적으로, 가이드 홈(141), 걸림턱(142), 홀딩 볼(143) 및 가압돌기(14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홈(141)은 후술될 가압돌기(144)의 이동경로를 안내하는 홈으로서, 상기 회전축(121)이 결합되는 상기 지지유닛(130)의 회동홈에 상기 회전축(121)과의 간극(G)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축(121)의 둘레방향을 따라 음각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턱(142)은 후술될 홀딩 볼(141)의 유동범위를 한정시키고, 상기 홀딩 볼(141)과의 틈에 상기 가압돌기(144)를 홀딩시키기 위한 한 쌍의 격벽으로, 상기 가이드 홈(141)으로부터 회전축(121) 외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설정된 홀딩구간(S)을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걸림턱(142)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가이드 홈(141)으로부터 상기 가압돌기(144)가 통과가능한 길이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턱(142) 중 다른 하나는 상기 가이드 홈(141)으로부터 상기 가압돌기(144)가 통과불가능한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홀딩 볼(143)은 가압돌기(144)와의 가압작용으로 상기 가압돌기(144)를 홀딩구간(S)에 홀딩시키는 구성으로, 상기 걸림턱(142)에 의해 형성된 홀딩구간(S)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가압돌기(144)와 접촉할 경우에 가압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가압돌기(144)와 상대위치가 바뀌게 되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아 상기 가압돌기(144)를 통과시켰던 상기 걸림턱(142) 중 어느 하나의 개방통로를 폐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가압돌기(144)는 상기 회전축(121)의 회전이 정지되기 위해 전술한 홀딩구간(S)에 홀딩되는 구성으로, 상기 회전축(121)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141)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회전축(121)을 따라 일체로 회동하고, 상기 걸림턱(142) 중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은 하나를 지나 상기 홀딩 볼(143)과 가압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홀딩 볼(143)을 통과하여 상기 홀딩구간(S)에 홀딩된다.
이러한 상기 가압돌기(144)는 본 발명의 도면에서 탄성력이 작용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단순히 강제가압구조가 적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센서유닛(150)은 손잡이 본체(110) 및 상기 틸팅유닛(120)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정도와 상기 틸팅유닛(120)의 틸팅정도를 감지하는 구성으로, 바람직하게는, 제1 센서(151)와 제2 센서(152)로 구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센서(151)는 손잡이 본체(110)에 가해지는 충격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다양한 공지의 압력센서가 취급될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손잡이 본체(110) 상부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2 센서(152)는 틸팅유닛(120)이 틸팅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센서로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축(121)에 설치되어 적외선, 레이저, 광섬유 등 빛의 반사작용을 통해 그 회전량을 측정해내는 다양한 공지의 회전량 센서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장력유지수단(122)에 설치되어 상기 장력유지수단(122)에 가해지는 압력변화량, 즉, 상기 장력유지수단(122)의 장력변화량을 측정해내는 다양한 공지의 압력센서가 취급될 수도 있다.
상기 컨트롤러(160)는 센서유닛(150)의 센싱값을 이용하여 상기 틸팅유닛(120)의 동작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며, 상기 모니터링 결과에 따라 후술되는 충격흡수유닛(17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모듈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 본체(110) 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유닛(150)과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센서유닛(150)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틸팅유닛(120)의 틸팅이상을 판단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러(160)는 제1 센서(151)에서 감지되는 값과 상기 제2 센서(152)에서 감지되는 값이 설정된 범위로 비례하면, 상기 틸팅유닛(120)이 정상적으로 틸팅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반면, 상기 제1,2 센서(151, 152)의 각 값에 대한 비례율이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틸팅유닛(120)에 외력이 가해짐에도 불구하고, 상기 틸팅유닛(120)의 틸팅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틸팅유닛(120)의 틸팅이상은 상기 장력유지수단(122)의 파손 및 부식, 상기 간극(G)에 침입되는 이물질 등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유닛(170)은 틸팅유닛(120)의 틸팅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을 비상시에 상기 손잡이 본체(110)로부터 신체에 가해질 충격에 대비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손잡이 본체(110) 내 수용공간에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160)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컨트롤러(160)에서 상기 틸팅유닛(120)의 틸팅이상이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상기 손잡이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상기 충격흡수유닛(170)은 소형의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로 구성될 수 있고, 좀 더 구체적으로, 테어라인(171), 에어쿠션(172) 및 인플레이터(17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어라인(171)은 후술될 에어쿠션(172)의 전개 시에 찢어질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 본체(110)의 상부에 형성되는 라인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손잡이 본체(110)의 상부는 천과 같은 원단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고무, 실리콘 수지, 에폭시 수지 등 다양한 공지의 유연성(flexible)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에어쿠션(172)은 운전자의 신체와 직접적으로 접촉하여 그 충격을 흡수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손잡이 본체(110) 내 수용공간에 수축된 상태에서 설정된 형태로 폴딩되어 수납된다.
상기 인플레이터(173)는 에어쿠션(172)에 가스(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성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에어쿠션(172)과 컨트롤러(160)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160)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에어쿠션(172)으로 고압의 전개가스를 분출시켜 상기 에어쿠션(172)의 부피가 팽창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상기 폴딩되어 있던 에어쿠션(172)이 전개되어 상기 테어라인(171)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상기 인플레이터(173)는 통상적으로 게재된 일반적인 공지의 기술이므로, 다양한 공지의 가스공급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충격흡수유닛(170)은 에어쿠션(172) 및 상기 인플레이터(173) 사이에 구비되면서 상기 에어쿠션(172)이 손잡이 본체(110)의 상부방향으로만 팽창되도록 지지하는 마운팅 플레이트(17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74)에는 인플레이터(173)의 분출부(부호 미표시)가 끼워질 수 있도록 끼움홀(174a)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쿠션(172)의 하부에는 리테이너 링(172a)이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리테이너 링(172a)의 하부에는 상기 마운팅 플레이트(174)와 인플레이터(173)의 일부분을 관통시키기 위한 스터드(172b)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터드(172b)에는 에어쿠션(172), 마운팅 플레이트(174), 인플레이터(173)가 순서대로 밀착된 상태로 스터드 너트(172b')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충격흡수유닛(170)의 구성 간 결합구조는 일반적인 공지기술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통상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경 설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100)는, 차량용 핸들(H)에 운전자 방향을 향해 돌출 설치된 손잡이 본체(110)가 신체와 접촉될 경우, 신체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자유롭게 기울어지도록 틸팅유닛(120)을 구성하여 손잡이 본체(110)와의 접촉에 의해 신체에 가해지는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부방향을 향하는 손잡이 본체(110)를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키는 고정유닛(140)을 통해 손잡이 본체(110)가 신체접촉이 이루어지지지 않는 평상시에도 의도치 않게 기울어질 우려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형의 에어백 모듈이 적용되어 순간적으로 부피가 팽창하면서 손잡이 본체(110) 외부로 노출되는 충격흡수유닛(170)을 손잡이 본체(110)에 내장하고, 틸팅유닛(120)에 의한 손잡이 본체(110)의 틸팅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 비상시에만 이를 감지하여 충격흡수유닛(170)이 작동하도록 제어하는 센서유닛(150) 및 컨트롤러(160)를 통해 사고방지차원에서 보다 높은 신뢰도를 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핸들조작 보조장치 110 : 손잡이 본체
111 : 하우징 112 : 커버
120 : 틸팅유닛 121 : 회전축
122 : 장력유지수단 130 : 지지유닛
140 : 고정유닛 141 : 가이드 홈
142 : 걸림턱 143 : 홀딩 볼
144 : 가압돌기 150 : 센서유닛
151 : 제1 센서 152 : 제2 센서
160 : 컨트롤러 170 : 충격흡수유닛
171 : 테어라인 172 : 에어쿠션
173 : 인플레이터 G : 간극
H : 차량용 핸들 S : 홀딩구간

Claims (6)

  1. 파지가능하게 제작되면서 내부에 설정된 수용공간이 마련된 손잡이 본체;
    상기 손잡이 본체와 일측이 결합되고, 다른 일측에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이 구비된 틸팅유닛;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축과 일측이 힌지 결합되고, 다른 일측은 차량용 핸들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유닛; 및
    상기 틸팅유닛과 상기 지지유닛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회전축을 가압 고정시키는 고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되는 탄성의 장력유지수단을 통해 상기 손잡이 본체가 상부방향을 향하도록 장력을 유지하면서 외력이 가해질 경우, 상기 회전축을 기준으로 틸팅되며,
    상기 고정유닛은,
    상기 지지유닛에 상기 회전축과의 간극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회전축의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가이드 홈;
    상기 가이드 홈으로부터 상기 회전축 외면을 향해 돌출되면서 상호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설정된 홀딩구간을 형성하는 한 쌍의 걸림턱;
    상기 걸림턱에 의해 형성된 홀딩구간에 유동가능하게 구비되는 홀딩 볼; 및
    상기 회전축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가이드 홈에 의해 안내되면서 상기 회전축을 따라 회동하고, 상기 걸림턱 중 하나를 지나 상기 홀딩 볼과 가압작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홀딩 볼을 통과하여 상기 홀딩구간에 홀딩되는 가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유지수단은,
    일단이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축에 결합되고, 다른 일단은 상기 지지유닛과 연결된 토션 스프링(torsion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 본체 및 상기 틸팅유닛에 설치되어 상기 손잡이 본체에 가해지는 충격정도와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정도를 감지하는 센서유닛;
    상기 손잡이 본체 내 수용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센서유닛과 연결되고, 상기 센서유닛에서 감지되는 각각의 값을 비교 분석하여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이상을 판단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손잡이 본체 내 수용공간에 부피가 축소된 상태로 설치되어 상기 컨트롤러와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에서 상기 틸팅유닛의 틸팅이상이 판단되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부피가 팽창되면서 상기 손잡이 본체 외부로 노출되는 충격흡수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에어백 모듈(air bag module)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손잡이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는 테어라인;
    상기 손잡이 본체 내 수용공간에 설정된 형태로 폴딩되어 수납되는 에어쿠션; 및
    상기 에어쿠션과 상기 컨트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러의 제어에 의해 상기 에어쿠션에 가스를 공급하면서 상기 에어쿠션이 상기 테어라인을 뚫고 외부로 노출되도록 부피를 팽창시키는 인플레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KR1020170161043A 2017-11-28 2017-11-28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KR1019841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43A KR101984131B1 (ko) 2017-11-28 2017-11-28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1043A KR101984131B1 (ko) 2017-11-28 2017-11-28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4131B1 true KR101984131B1 (ko) 2019-05-30

Family

ID=666758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1043A KR101984131B1 (ko) 2017-11-28 2017-11-28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13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644U (ko) * 1999-03-02 2000-10-05 채상규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0331720Y1 (ko) 2003-03-11 2003-11-01 은희열 자동차 핸들 조작용 안전 스프링 장치
KR20060006521A (ko) * 2004-07-16 2006-01-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핸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644U (ko) * 1999-03-02 2000-10-05 채상규 자동차용 보조핸들
KR200331720Y1 (ko) 2003-03-11 2003-11-01 은희열 자동차 핸들 조작용 안전 스프링 장치
KR20060006521A (ko) * 2004-07-16 2006-01-19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보조핸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22594B2 (en) Airbag apparatus
US7740271B2 (en) Air belt apparatus for motor vehicle
KR20080101564A (ko) 안전벨트 리트랙터
JPH09142311A (ja) エアバッグを備えたステアリング装置
US20090079175A1 (en) Actuator which has an operating pin
US4772045A (en) Gas bag apparatus for vehicle
JP7404986B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641639B2 (ja) ハンドル
US20090127811A1 (en) Steering assembly
KR101984131B1 (ko) 안전성을 향상시킨 차량용 핸들조작 보조장치
JP4676435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5242193A (en) Portable air bag
US20050151354A1 (en) Steering device and airbag system
US6282942B1 (en) Crash sensor with magnetic field sensor
KR20170034249A (ko) 파노라마 루프용 에어백 장치
JP3876570B2 (ja) エアバッグ装置
US20220097643A1 (en) Airbag module for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comprising such an airbag module
JP6051908B2 (ja) エアバッグ装置
JP2003040072A (ja) 膝保護用エアバッグ装置
JP5029827B2 (ja) 車両用ステアリング装置
KR100693629B1 (ko) 차량의 전방 범퍼 고정 구조
KR101451126B1 (ko) 에어백모듈의 장착구조
JP2556529Y2 (ja) エアバッグ作動用の補助装置
KR200148277Y1 (ko) 자동차용 에어백 제어장치
KR200148525Y1 (ko) 조수석 에어백 도어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