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497A - 유기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7497A
KR20000017497A KR1019990035304A KR19990035304A KR20000017497A KR 20000017497 A KR20000017497 A KR 20000017497A KR 1019990035304 A KR1019990035304 A KR 1019990035304A KR 19990035304 A KR19990035304 A KR 19990035304A KR 20000017497 A KR20000017497 A KR 20000017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treatment tank
exhaust gas
tank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5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28623B1 (ko
Inventor
사카모토켄세이
이시다야스히로
무네즈카다카노리
난죠히로미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17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7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86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86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필터의 탈착이 처리조내로 손을 넣지 않고 용이하게 되며, 또, 필터에 부착하는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등을 자동적으로 제거하여 처리조내로 돌려보낼 수 있는 유기물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처리조 11 과, 이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케이스 10 과, 처리조 11 에서의 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송풍기 60 과, 처리조 11 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 10 의 외측에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 18 을 구비하였다. 또, 처리조 11 측의면에 미끄럼접촉하여, 필터를 들어낼 때에 필터면의 부착물을 긁어서 제거하여 처리조 11 내로 낙하시키는 미끄럼접촉부재(스크레이퍼 18e)를 구비하였다.

Description

유기물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organic materials}
본원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유기물처리장치에 한것으로, 특히 처리조내에서 비산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미분이 배기구에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기구의 개량에 관한 것이다.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유기물처리장치로는, 처리조내에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담체를 수납하고, 처리조내를 미생물의 활성화 온도(예를들면 약 60℃ 전후)로 유지하며 발효시켜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것이나, 미생물은 사용하지 않고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보다 고온으로 가열건조시켜서 분해처리하는 것이 있다.
이들 어느 것에 있어서도,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켜, 수증기를 함유한 배기가스로 외부에 배출하도록 하고 있으나, 이 배기가스에는 유기물의 분해시에 발생하는 악취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의 분해시에 발생하는 악취와 같이, 냄새의 성분이나 양이 일정하지 않으며, 고농도일 경우의 탈취방법으로서는, 냄새를 함유하는 배기가스를 약 300℃ 이상으로 가열하여, 촉매와 접촉시켜, 산화, 분해를 행하는 방법이 유효하다.
종래부터, 상기와 같은 탈취기구로 가열된 배기가스를 유효하게 이용하여, 처리조저부를 가열함과동시에, 처리조내에 공급하는 외기를 가열하여, 처리조내 전체를 미생물의 활성화 온도로 유지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장치가 알려져 있다.
도 23은, 이런 종류의 유기물처리장치로서, 예를들면 편의점 등에서 쓰이는 업무용의 유기물처리장치 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구성도이다.
이 유기물처리장치는,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담체를 수납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미생물 담체와 교반 혼합하면서 분해처리하는 이중저 구조의 처리조 1 과, 이 처리조 1 내에서 필터 1b 를 거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를 히터 2 와 촉매 3 을 이용하여 가열탈취하는 탈취기구 4 와, 이 탈취기구 4 에서의 고온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내통 5a 와 처리조 1 내로 공급하는 외기를 통과시키는 외통 5b 로 되는 이중통구조의 열교환기 5 와, 이 열교환기 5 의 내통 5a 를 거쳐 처리조 1 의 이중저부 1a 로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흡인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 6 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처리조 1 내에서 필터 1b 를 거쳐 배출되는 배기가스가 탈취기구 4 에 공급되어, 히터 2 에 의하여 약 300℃ 이상으로 가열되며, 가열된 배기가스가 촉매 3 을 통과함으로써 탈취된다. 탈취기구 4 를 통과하여 250℃ 전후가 된 고온 배기가스는 이중통구조의 열교환기 5 의 내통 5a 측으로 들어가서, 외통 5b 측을 통하는 외기와 열교환에 의하여 외기를 예열하여 60℃ 전후로 데우고, 데워진 외기가 처리조 1 내로 공급된다. 한편, 열교환기 5 의 내통 5a 측을 통과한 고온배기가스는 150℃ ∼ 200℃ 의 온도를 유지하며 처리조 1 의 이중저부 1a 에 공급되고, 처리조 1을 가열한 후, 송풍기 6 에 의하여 외부에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장치에 있어서는, 필터 1b 가 처리조 1 내에 개구하는 배기구를 덮도록 장착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 필터 1b 에 부착한 음식물 쓰레기 등의 미분을 세정등에 의하여 제거하기 위하여는, 처리조 1 내에 손을 넣어 필터 1b 를 탈착하지 않으면 안 되기 때문에 , 탈착하기가 어려웠다.
또, 이들 종류의 장치에 사용되는 필터 1b 에는, 처리조 1 측의 필터면에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가 부착하기 쉬우나, 이들은 필터 1b 를 들어내어 제거하지 않으면 안되며, 또, 제거된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는 처리조 1 내로 되 보내면 좋으나, 이는 시간이 걸리는 작업이 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은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필터의 탈착이 처리조내에 손을 집어넣지 않고도 용이하게 할수있는 유기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필터에 부착한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를 자동적으로 제거하여 처리조 내로 되돌려 보낼 수 있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도 1 은 본원발명에 의한 유기물처리장치의 1 실시형태의 내부를 배면측에서 본 요부 구성도임.
도 2 는 상기 유기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측면측에서 본 요부구성도.
도 3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중저구조의 처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임.
도 4 는 상기 실시형태의 탈취기구의 구성도로서, (a)는 그 개략 종단도, (b)는 상기 (a)의 A-A단면도, (c) 동 B-B 단면도, (d)는 히터의 사시도, (e)는 촉매의 사시도임.
도 5 는 상기 유기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상면측에서 본 개략구성도임.
도 6 은 상기 유기물 처리장치의 내부를 정면측에서 본 개략구성도
도 7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윗뚜껑을 열고 필터를 들어낸 상태를 정면측에서 본 개략도임.
도 8 은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윗뚜껑을 열고 필터를 들어낸 상태를 측면측에서 본 개략도임.
도 9 는 상기 필터와 스크레이퍼를 나타낸 사시도임.
도 10 은 상기 실시형태의 배출구와 그 개폐구조를 나타낸 도면임.
도 11 은 상기 배출구가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도 12 는 상기 배출구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도 13 은 상기 필터의 장착검지기구를 보이는 도면임.
도 14 는 처리조내의 교반날개와 이송구와 배출구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임.
도 15 는 통상 운전시 및 배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상면도임.
도 16 은 통상 운전시 및 배출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임.
도 17 은 상기 이송구가 이송문으로 폐쇄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임.
도 18 은 이송시의 동작을나타내는 상면도임.
도 19 는 이송시의 동작을 나타내는 측면도임.
도 20 은 상기 이송구의 이송문이 밀어서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임.
도 21 은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중저구조의 처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임.
도 22 는 이송문의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임.
도 23 은 종래예의 기본적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도임.
〈부호의 설명〉
10 : 본체케이스 11 : 처리조(處理槽)
11a : 제 1 조(第 1 槽) 11b : 제 2 조(第 2 槽)
11d : 이중저부(二重底部) 11e, 11f : 전열성 칸막이벽
12 : 칸막이판 12a : 이송구
12b : 이송문 13a : 배출구
13c : 셔터 14 : 투입구
15 : 윗뚜껑 16 : 흡기구
17 : 배기구 18 : 필터
18a : 손잡이 18e : 스크레이퍼
19 : 플렉시블 덕트 19a : 통기로
20 : 히터 23 : 니크롬선
30 : 촉매 40 : 탈취기구
42∼44 : 플렉시블 덕트 44a : 통기로
60 : 송풍기 70a∼70e : 교반 날개
71 : 교반축 75 : 교반용 모터
SW1∼SW4 : 리드 스위치 MG1∼MG4 : 마그네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케이스와,상기 처리조의 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담체를 수납하고,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가열건조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다시, 상기 필터의 처리조측의 면에 미끄럼접촉하여, 필터를 들어낼때에 필터면의 부착물을 긁어 내어 처리조내로 낙하시키는 미끄럼접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상기처리조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뚜껑검지부와, 상기 뚜껑검지부에서 뚜껑의 개방상태가 검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포함한 운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이 폐쇄상태시에는 뚜껑이 장애물이 되어 상기 필터를 들어낼 수 없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 위에, 상기 뚜껑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미장착상태를 검지하는 필터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검지부에서 필터의 미장착상태가 검지되면상기 송풍기를 포함한 운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 필터를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것이다.
또, 상기 필터의 틀을 배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본원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 1 ∼ 도 20 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유기물처리장치는, 예를들면 편의점 등에 있어서 업무용으로 쓰이는 것으로, 본체 케이스 10 의 내측에는, 측단면이 대략 U 자형상으로 저부가 이중저구조로 형성된 처리조 11 이 수납되어 있다. 이 처리조 11 은,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미생물의 담체(통상 톱밥 등의 목질 세편)가 수납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처리하는 용량이 큰 제 1 조 11a 와, 이 제 1 조 11a 로 처리된 처리물이 배출되기 위하여 이송되는 용량이 작은 제 2 조 11b 에 칸막이판 12 에 의하여 칸막이가 되어있다.
상기 칸막이판 12 의 한쪽 상부에는, 제 1 조 11a 내의 처리물을 제 2 조 12b 에 이송하기 위한 이송구 12a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이송구 12a 에는, 그 상부에 힌지등에 의해 개폐가 자유롭게 취부된 이송문 12b 가 설치되어 있다. 이 이송문 12b 는, 칸막이판 12 의 제 2 조 11b 측에 설치되어, 도 17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구 12a 보다도 크게 형성되어서, 제 1 조 11a 에서 제 2 조 11b 로 이송시에만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열려서 처리물 D 가 이송되며, 이송된 처리물 D 는 제 1 조 11a 로 되돌아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제 2 조 11b 의 측벽에는, 상기 이송구 12a 와는 반대측 하부에 위치하여, 처리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 13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출구 13a 에는, 도 10 ∼ 도 12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그 양측 가에 형성된 미끄럼운동틀 13b 에 상하동이 자유롭게 셔터를 13c 가 취부되어 있고, 레바 13d 를 조작함으로써 개폐가 가능하게 되어있다.
상기 셔터를 13c 의 측면 쪽 가의 상하에는, 각각 리드스위치 ON / OFF 용의 마그네트 MG1, MG2 가 취부되어 있다. 이에 대응하여, 미끄럼운동틀 13b 에는, 셔터를 13c 폐쇄시에 상측의 마그네트 MG1 과 마주하여 ON 이 되는 리드스위치 SW1 과 , 셔터를 13c 개방시에 하측의 마그네트 MG2 와 대향하여 ON 이 되는 리드스위치 SW2 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을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로 검지함으로써 셔터 13c 의 개폐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한편, 상기 본체 케이스 10 의 상면은, 전부가 등이 낮고 후부가 등이 높은 단차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등이 낮은 전부에는 처리조 11 의 상부개구에 대응하여 개구하고, 미생물 담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을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 14 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 14 에는, 힌지 등으로 개폐가 자유롭게 구성된 윗뚜껑(뚜껑체) 15 가 설치되어 있다.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뚜껑 15 의 둘레의 가장자리의 소정위치에는 윗뚜껑 개폐검지용의 마그네트 MG3 가 취부되어서, 이에 대응하는 본체케이스 10 의 상부에 상기 마그네트 MG3 과 함께 뚜껑 검지부를 구성하는 리드스위치 SW3 이 취부되어 있어서, 이 리드스위치 SW3 의 ON / OFF 를 제어부에서 검지하므로서, 윗뚜껑 15 의 개폐상태를 검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 본체케이스 10 의 하면측 네 귀에는 다리부 10a 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처리조 11 의 한쪽(도 1 에서는 우측)의 상부에는, 외기를 처리조 11 내로 흡기하기 위한 흡기구 16 이 형성됨과 동시에, 또 중앙상부에는, 배기가스를 처리조 11 의 밖으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 17 이 형성되며, 당해 배기구 17 에는 처리조 11 내에서 비산하는 담체나 음식물 쓰레기 등의 미분이 배기구 17 에서 유출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 18 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필터 18 은, 도 2, 도 8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기구 17 의 배기유로의 기단부 17a 로 외측에서 경사방향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윗뚜껑 15 의 폐쇄시에는,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 18 의 손잡이 18a 가 폐쇄된 윗뚜껑 15 의 측벽에 닿아서 들어내지 못하게 되어있다.
또, 이 필터 18 은, 도 9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형상의 틀 18b 의 저면측에 메쉬상의 망 18c 를 붙이고, 그 위에 부직포등을 깔아서 사용하는 것으로, 틀 18b 를 배모양으로 함과 동시에, 가이드 18f 를 설치하므로써, 본체케이스 10 의 상면의 단차가 있는 코너부분에 형성된 삽입구 18d 에 삽입하기 쉽게 되어있다.
또, 배기구 17 에서의 배기유로의 기단부 17a 에 경사방향으로 삽입 배치하는 구성이므로, 배기유로에 대하여 필터 면적을 크게 잡을 수 있어서, 필터 효율을 향상할 수 있고 또, 통풍저항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종래와 같이 처리조 11 내에 손을 넣어 필터 18 을 탈착할 필요가 없어서, 취급이 극히 간단하다.
또, 상기 배기구 17 의 상부 앞 벽에는 , 상기 필터 18 의 저면의 메쉬상의 망 18c 에 미끄럼접촉하는 스크레이퍼(미끄럼접촉부재) 18e 가 취부되어 있어서, 필터 18 을 들어낼 때 필터 18 의 저면측의 메쉬상의 망 18c 에 부착한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등을 손을 대지 않고 자동적으로 처리조 11 내로 긁어 떨어뜨릴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도 1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필터 18 의 손잡이 18a 의 일부에는, 리드스위치 ON / OFF 용의 마그네트 MG4 가 취부되어있고, 윗뚜껑 15 에 대응하는 부위에는 상기 마그네트 MG4 와 함께 필터 검지부를 구성하는 리드스위치 SW4 가 취부되어있다. 이리하여, 윗뚜껑 15 의 폐쇄상태하에서는 필터 18 의 미장착을 제어부에서 검지할 수 있게 되어있으며, 필터 18 의 미장착상태인체로의 운전개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윗뚜껑 15 를 열지 않으면 기계적으로 필터 18 을 들어낼 수 없는 구조이며, 윗뚜껑 15 를 열면 장치의 운전이 정지하고, 송풍도 멎게 되므로, 송풍이 멎어야 필터 18 을 들어낼 수 있으므로, 처리조 11 내의 미분이 후술하는 탈취기구에 유입하여, 그 히터에 의하여 연소될 우려나, 촉매의 구멍이 막히는 등의 나쁜상태를 방지할 수 있게 되어있다.
상기 배기구 17 의 기단부 17a 에는, 스테인레스 등의 전열성 배관으로 된 주름진 플렉시블 덕트 19 가 접속되어, 이 덕트 19 는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를 통하여 탈취기구 40 에 접속되어있다.
상기 탈취기구 40 은, 배기가스 유입구측에 히터 20 이 배치되고, 이 히터 20 의 하류측에 촉매 30 이 배치된 구성으로 되어 있어서, 유입하는 배기가스가 히터 20 에 의하여 가열되고, 가열된 배기가스가 촉매 30 을 통함으로써 촉매 30 도 가열되어, 배기가스에 함유된 악취성분의 분해반응이 촉진되도록 되어있다.
상기 히터 20 은,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석영이나 세라믹제의 직방체 21 에 복수의 통기공 22 를 형성하고, 그속에 니크롬선 23 을 통하게 한 것으로, 단열재 24 를 개재하여 탈취기구 40 의 케이스 41 내에 수납되어있다. 또, 촉매 30 은, 벌집형상의 미세한 통기공 31 이 형성된 원주상의 것으로, 단열재 32 를 개재하여 케이스 41 내에 수납되어 있다.
또, 상기 탈취기구 40 의 출구측은 플렉시블 덕트 42 를 개재하여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의 한쪽에 접속되고, 탈취기구 40 의 고온 배기가스가,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로 통하여 처리조 11 에서의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상기 플렉시블 덕트 19 에 직접 맞닿도록 구성되어있다. 그리하여, 이중저부 11d 의 다른쪽 배출구에는 플렉시블 덕트 43 을 개재하여 본체 케이스 10 의 후측상부에 배치된 송풍기 60 에 접속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되어있다.
한편, 처리조 11 의 흡기구 16 에는 스테인레스등의 전열성 배관으로된 주름진 플렉시블 덕트 44 가 접속되어, 이 덕트 44 는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를 통하여 외기를 흡인하게 되어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를 통과한 상기 플렉시블 덕트 44 를 거쳐 처리조 11 내로 공급되는 외기와 탈취기구 40 에서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에 공급되는 고온배기가스가 열교환하여, 처리조내 11 에 공급되는 외기가 60℃ 전후로 가열되므로(1 차 예열),종래와 같은 이중통구조의 열교환기가 불필요하게 되어, 부품 개수를 삭감하여 저가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종래와 같은 독립한 열교환기를 배치하는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그만큼, 장치의 소형화를 꾀할 수가 있다. 다시, 탈취기구 40 에서 고온배기가스가 열교환기를 거치지않고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에 직접 들어가므로, 열효율이 좋게 된다.
한편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를 통한 상기 플렉시블 덕트 19 를 거쳐 탈취기구 40 에 공급되는 처리조 11 에서의 배기가스(60℃ 전후)와 탈취기구 40에서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에 공급되는 고온배기가스(250℃ 전후)가 열교환하여, 탈취기구 40 에 공급되는 배기가스가 150℃ 전후로 가열되므로(2차 예열), 탈취기구 40 에 있어서 히터 20 의 통전율이 내려가서, 전기료가 싸게 되어, 운전비를 줄일 수 있게된다. 그 위에, 탈취기구 40 에서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에 공급되는 고온배기가스가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로 통한 상기 플렉시블 덕트 19 에 직접 구성 되어 있어서, 탈취기구 40 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보다 상승하기 쉽게 하고 있다.
또, 탈취기구 40 에서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에 공급되는 고온배기가스(250℃ 전후)의 온도가 상술한 열교환에 의하여 내려가므로, 처리조 11 을 과도하게 가열하는 것이 억제된다.
이들은, 종래에는, 헛되게 배출되었던 배열을 유효하게 이용하므로써 가능하게 되었다.
한편, 도 5 , 도 6 등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처리조 11 내에는, 양측 벽사이에, 복수의 교반날개 70a ∼ 70e ( 여기서는 제 1 조 11a 내의 4 개 ,제 2 조 11b 내의 1개)를 구비한 교반축 71 이 정역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있다. 이 교반축 71 은 양단측이 처리조 11 의 측벽의 베어링 72 에 의하여 지지되어있고, 또, 한쪽 축단에 취부된 대치차 73 이 체인 74 를 개재하여 교반용 모터 75 의 소치차 76 에 연결되어, 교반용모터의 회전이 감속 전달되며, 회전구동하게 되어있다.
상기 교반용 모터 75 는, 예를들면, 처리조 11 내에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어 윗뚜껑 15 가 닫혔을때나, 통상 운전 모드시의 4 분간마다 1 회, 각각 약 2 분간정도씩 간헐적으로 회전구동된다(정회전). 또, 처리물의 제 1 조 11a 에서 제 2 조 11b 로 이송시에는, 도 18,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교반날개 70a ∼ 70d 로 처리물 D 를 이송구 12a 로 향해서 긁어 올리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역회전), 처리물의 배출시 및 상기 통상운전시에는, 도 15 ,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조 11b 에 있어서는 교반날개 70e 로 처리물 D 를 배출구 13a 로 향하여 긁어 올리는 방향임과 동시에, 제 1 조 11a 에 있어서는 교반날개 70a ∼ 70d 로 피처리물 D 를 이송구 12a 에서 멀리하는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정회전).
일반적으로, 이런 종류의 교반날개는 교반축상에 등간격으로 구비되는 것이나,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제 1 조 11a 내의 처리물의 제 2 조 11b 로 의 이송시의 이송효율을 향상하기 위하여, 이송구 12a 로 향하여 점점 간격을 좁게 되도록 되어있다.(도 15 에서, A〉 B〉 C 로 된다).
또, 제 1 조 11a 의 각 교반날개 70a ∼ 70d 는, 교반축 71 에 나선상으로 세워서 설치되어있다.
그 비틀림 방향은, 통상운전시와 배출시의 정회전시에는 피처리물 D 가 이송구 12a 와는 반대쪽(안쪽)으로 이동하고, 제 1 조 11a 에서 제 2 조 11b 로 이송하는 역전시에는 처리물 D 가 이송구 12a 쪽으로 이동하는 것같은 방향이다.
그런데, 이상의 구성에 잇어서, 본장치의 사용 개시시에는, 미리 일정량의 미생물담체를 처리조 11 의 제 1 조 11a 내에 투입해 둔다. 그리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시에는, 윗뚜껑 15 를 열어서 투입구 14 에서 처리조 11 의 제 1 조 11a 내로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고, 도시하지 않은 운전 스위치를 ON 으로 하고 윗뚜껑 15 를 닫는다. 윗뚜껑 15 를 닫으면, 이를 리드스위치 SW3 으로 검지하여, 그 출력과, 배기구 13a 의 셔터를 13c 가 닫혀있는 것을 나타내는 리드스위치 SW1 의 ON 출력, 및 배기구 17 에 필터 18 이 장착되어있음을 표시하는 리드스위치 SW4 의 ON 출력에 근거하여, 제어부가 탈취기구용히터 20 , 배기용 송풍기 60 , 교반용 모터 75 에 통전한다.
교반용 모터 75 로의 통전에 의하여, 복수의 교반날개 70a ∼ 70e 가 세워설치된 교반축 71 이 간헐적으로 정회전하여 제 1 조 11a 에 투입된 담체와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 혼합한다. 이 정회전시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교반날개 70a ∼ 70d 가 도 16 의 화살표로 나타낸방향(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담체와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혼합된 제 1 조 11a 내의 처리물 D 는, 동도나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구 12a 에서는 멀어지는 방향에 있으므로, 미처리의 처리물 D 가 제 2 조 11b 로 이송되는 일은 없다.
또, 배기용 송풍기 60 로의 통전에 의하여, 처리조 11 내의 수증기 및 악취를 함유한 공기(배기가스)를 배기구 17 , 필터 18 ,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로 통과시킨 플렉시블 덕트 19 , 탈취기구 40 ,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및 송풍기 60 을 거쳐서 외부에 배출하고, 처리조 11 내가 고습도 상태로 되는 것을 방지하고 또 처리조 11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함에따라, 처리조 11 의 한쪽상부에 형성한 흡기구 16 에서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를 통한 플렉시블 덕트 44 를 거쳐서 신선한 공기를 끌어들여, 처리조 11 내에 미생물의 활성화에 필요한 산소를 공급한다.
다시, 탈취기구 40 의 히터 20 로의 통전제어에 의하여, 상기와 같이 하여 배기구 17 에서 배출된 배기가스가 300℃ 이상의 촉매반응온도로 가열되어 촉매 30 에 공급된다. 촉매 30 내에 공급된 고온의 배기가스는 , 촉매 30 을 같은 온도로 가열하여, 그촉매작용에 의하여 촉진된 악취의 산화분해반응에 의하여 탈취화되어가며, 촉매 30 을 통과하는 사이에 거의 완전하게 무취화 된다. 무취화된 고온배기가스는 250℃ 전후의 온도를 가지고 처리조 이중저부 11d 에 도입되어, 처리조 11 및 처리조 11 에 공급하는 외기를 통과시키는 플렉시블 덕트 44 와 탈취기구 40 에 공급하는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플렉시블 덕트 19 를 가열하고, 그 후, 본체케이스 10 의 후측상부에 설치된 송풍기 60 을 거쳐 외부에 배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처리조 11 에 공급하는 외기를 통과시키는 플렉시블 덕트 44 는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로를 통하여 있으므로, 상기 히터 20 로의 통전제어에 의하여 가열된 탈취기구 40 에서의 고온배기가스와 외기가 열교환하여(1 차 예열), 약 60℃ 전후로 데워진 외기가 처리조 11 내에 공급된다. 또, 탈취기구 40 에 공급되는 배기가스를 통과시킨 플렉시블 덕트 19 도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로 통하므로, 상기 히터 20 로의 통전제어에 의하여 가열된 탈취기구 40 에서의 고온배기가스와 처리조 11 에서의 배기가스가 열교환하여(2 차 예열), 약 150℃전후로 데워진 배기가스가 탈취기구 40 내로 공급된다.
이와같이, 탈취기구 40 의 히터 20 에 들어간 공기가 2 단으로 예열됨으로써, 히터 20 에 의한 온도상승은 설계상, 약 300℃ - 약 150℃ = 약 150℃ 로 억제할 수 있으며, 종래의 약 300℃ - 60℃ = 약 240℃ 에 비하여 약 90℃ 적어지게 되므로, 그 만큼 히터 20 의 통전율을 낮출 수 있으며, 전기료가 낮게 되어, 운전비용을 낮게 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제어함으로써, 처리조 11 내 전체의 온도를 미생물의 활성화에 최적의 범위(약 60℃ 전후)로 유지하여 발효시켜, 담체에 배양된 미생물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이산화 탄소와 물로 분해하여 퇴비화 한다.
상기와 같은 처리를 예를들면 18 시간 이상 시행하여, 처리물D의 퇴비화가 거의 종료하면, 제어부는 교반용 모터 75 를 역회전구동한다. 이 역회전시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제 1 조 11a 내의 교반날개 70a ∼ 70d 가 도 19 에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 1 조 11a 내에서 퇴비화한 처리물 D 는, 동도나 도 1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구 12a 로 향하여 긁어 올려지며, 도 20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처리물 D 가 이송문 12b 를 밀어 열어서 제 2 조 11b 에 이송된다.
본 실시형태로는, 이송구 12a 로 향하여 교반날개 70a ∼ 70d 의 간격이 서서히 좁게 되어있으므로, 제 1 조 11a 내의 처리물 D 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제 2 조 11b 로 이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퇴비화하여 제 2 조 11b 에 이송된 처리물 D 를 빼낼 때에는, 배출구 13a 의 셔터를 13c 를 레버 13d 로 조작함에 의하여, 도 1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한다. 셔터를 13c 가 도 12 와 같이 개방하면, 리드 스위치 SW2 가 ON 으로 되므로, 이것을 제어부가 검지하여, 교반용 모터 75 를 정회전 구동한다. 이 정회전시에는, 상기 통상운전시와 마찬가지로 교반날개 70a ∼ 70e 가 도 1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하므로, 제 2 조 11b 로 이송된 처리물 D 가 배출구 13a 로 향하여 긁어올려져, 효율적으로 배출구 13a 에서 외부로 빼내어진다. 빼낸 처리물 D 는 유기비료로써, 유효하게 이용된다. 더욱, 배출시에 제 1 조 11a 내에 있는 처리물 D 는, 상술한 통상운전시와 마찬가지로 도 1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구 12a 에서 멀어지는 방향이므로, 미처리의 처리물 D 가 제 2 조 11b 에 이송되는 일은 없다.
상기와 같은 처리를 반복하여 행하면, 필터 18 의 구멍이 막혀 배기와 흡기의 효율이 저하하므로, 필터 18 의 세정 등의 보수가 필요하게 된다. 특히, 이런 종류의 유기물 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처리의 진행에 수반하여 처리조 11 내가 건조해오면, 음식물 쓰레기와 담체의 미분이 다량으로 비산하여,필터 18 의 눈막힘이 쉬우므로, 필터 18 의 세정등의 보수를 빈번히 하지않으면 아니되므로, 본장치에 있어서는, 필터 18 의 탈착이 처리조 11 내에 손을 넣지 않고 외측에서 용이하게 할 수 있기때문에, 취급이 극히 간단하다.
또, 상기와 같이 필터 18 을 외측에서 들어낼 수 있게 하여 장치의 운전중에 잘못하여 필터 18 이 빠져나와서, 처리조 11 내의 미분이 탈취기구 40 에 유입하여, 이 히터 20 에 의하여 연소될 염려나, 촉매 30 의 구멍이 막히는 등의 나쁜현상이 생길 것이라고 생각되지만,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윗뚜껑 15 가 폐쇄상태시에는 필터 18 을 들어낼 수없게 구성되어 있어서, 상기와 같은 불편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필터 18 을 들어낼 때, 필터 18 의 저면측의 메쉬상의 망 18c 에 부착한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는, 스크레이퍼 18e 에 의해 자동적으로 긁어 내어 처리조 11 에 떨어지므로, 종래와 같은 시간이 걸리지 않게 된다.
다시, 필터 18 의 보수후에, 필터 18 의 장착을 잊어버리고 장치를 운전하려 해도, 운전이 되지 않으므로, 위와 같이, 필터 18 의 미장착에 의하여 처리조 11 내의 미분이 탈취기구 40 에 유입하여, 그 히터 20 에 의해 연소될 염려나, 촉매 30 의 구멍이 막히는 등의 나쁜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21 은 다른 실시형태를 나타낸 요부 구성도이며, 상기 실시형태의 도 3 과 대응하여, 그것과 동일부호는, 동일 또는 상당부분을 표시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내의 전후 각부를 스테인레스 등으로 되는 전열성 칸막이벽 11e , 11f 로 구획하고, 처리조 11 에서 탈취기구 40 에 공급하는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통기로 19a 와, 처리조 11 내에 공급하는 외기를 통과시키는 통기로 44a 를 형성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여도,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고 동시에, 덕트보다도 유로면적을 크게 취할 수 있어서, 외기나 배기가스를 일시적으로 체류시킬 수 있어서, 열교환효율을 향상할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도, 탈취기구 40 에서 플렉시블 덕트 42 를 거쳐서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d 에 공급되는 고온배기가스가, 처리조 11 내에서의 배기가스를 통과시키는 통기로 19a 를 형성하는 전열성 칸막이벽 11e 에 직접 닿도록 구성하면, 탈취기구 40 에 공급되는 배기가스의 온도를 보다 상승하기 쉽게 할 수 있다.
더욱,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처리조 11 내에 공급하는 외기와 처리조 11 에서 탈취기구 40 에 공급하는 배기가스의 양방 모두, 처리조 11 의 이중저부 11a 내에 덕트를 통하게 하거나, 또는 전열성 칸막이벽에 의한 통기로를 형성하던가 하였지만, 어느 한쪽을 덕트를 통하게하고, 다른 쪽을 전열성 격벽에 의하여 통기로를 형성하도록 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서는, 이송구 12a 의 이송문 12b 가 그 상부를 힌지 등으로 취부된 것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도 2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가 힌지 등으로 취부되고, 스프링 등에 의하여 이송구 12a 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도록 구성해도 좋다.
또, 상기 각 실시형태에는, 주로 업무용으로 쓰이는 대용량의 유기물 처리장치에 본원발명을 적용한 것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가정용의 소용량의 것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또, 미생물을 사용하지 않고 가열건조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것에도 적용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원 발명에 의하면,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처리조와, 이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처리조의 배기가스를 외부에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 탈착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를 구비하였으므로, 필터의 탈착이 처리조내에 손을 넣지 않고도 용이하게 되며, 취급이 간단하게 된다.
상기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담체에 생식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분해처리하는것에 적용하면 보다 효과적이나, 미생물을 이용하지 않고 가열건조에 의하여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데 적용하여도 상기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더욱, 상기 필터의 처리조측의 면에 미끄럼접촉하여, 필터를 들어낼 때에 필터면의 부착물을 긁어내어 처리조내로 떨어뜨리는 미끄럼접촉부재를 구비함으로써, 필터에 부착한 비교적 큰 먼지나 쓰레기를 자동적으로 제거하여 처리조내로 되돌릴 수 있어서, 종래와 같은 시간이 걸리는 일이 없어지게 된다.
또, 처리조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뚜껑검지부와, 이뚜껑검지부에서 뚜껑의 개방상태가 검지되면 송풍기를 포함한 운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뚜껑이 폐쇄상태시에는 뚜껑이 장애물이되어 필터를 들어낼 수 없게 구성되어있어서, 상기와 같이 필터를 외측에서 들어낼 수 있게함으로써 장치의 운전중에 잘 못하여 필터가 빠져나와서 생기는 나쁜상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뚜껑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필터의 미장착상태를 검지하는 필터 검지부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필터 검지부에서 필터의 미장착상태가 검지되면 송풍기를 포함한 운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도록 하여, 필터 미장착상태로 운전을 개시함을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전기 필터를 처리조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장착하도록 구성하여서, 배기유로에 대한 필터 면적을 크게 잡을 수 있어서, 필터효율을 향상할 수 있으며, 또한 통풍저항을 줄일 수 있다.
또, 전기한 필터의 틀을 배형상으로 형성하여서, 필터를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 장착하기 쉽게 되어 있다.

Claims (8)

  1.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2.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의 담체를 수납하고,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케이스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3.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 등의 유기물을 가열건조 처리하는 처리조와, 상기 처리조를 수납하는 본체 케이스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송풍기와,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상기 본체케이스의 외측에서 탈착이 가능하게 장착되는 필터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4. 상기 필터의 처리조측의 면에 미끄럼접촉하고, 필터를 들어낼 때 필터면의 부착물을 긁어내어 처리조내로 낙하시키는 미끄럼접촉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한항에 기재된 유기물 처리장치.
  5. 상기 처리조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의 개폐상태를 검지하는 뚜껑 검지부와, 상기 뚜껑검지부에서 뚜껑의 개방상태가 검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운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뚜껑이 폐쇄상태시에는 뚜껑이 장애물이 되어 상기 필터를 들어내지 못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의 어느한항에 기재된 유기물 처리장치.
  6. 상기 뚜껑의 폐쇄상태에 있어서 상기 필터의 미장착상태를 검지하는 필터검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필터 검지부에서 필터의 미장착상태가 검지되면 상기 송풍기를 포함하는 운전을 정지상태로 제어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5 에 기재된 유기물처리장치.
  7. 상기 필터를 상기 처리조에서의 배기가스의 배출유로에 대하여 경사방향으로 장착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의 어느한항에 기재된 유기물 처리장치.
  8. 상기 필터의 틀을 배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의 어느한항에 기재한 유기물처리장치.
KR1019990035304A 1998-08-24 1999-08-24 유기물처리장치 KR1003286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701898A JP3982919B2 (ja) 1998-08-24 1998-08-24 有機物処理装置
JP1998-237018 1998-08-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7497A true KR20000017497A (ko) 2000-03-25
KR100328623B1 KR100328623B1 (ko) 2002-03-14

Family

ID=170091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5304A KR100328623B1 (ko) 1998-08-24 1999-08-24 유기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3982919B2 (ko)
KR (1) KR100328623B1 (ko)
CN (1) CN1120760C (ko)
TW (1) TW55845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3078B2 (ja) * 2001-08-21 2007-09-26 三洋電機株式会社 有機物処理装置
CN102274850B (zh) * 2011-08-04 2014-04-09 徐学恩 一种有机垃圾生物消纳设备及方法
DE102017223828A1 (de) * 2017-12-27 2019-06-27 Wilhelm Bruckbauer Dunstabzugsvorrichtung zum Abzug von Kochdünsten nach unt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982919B2 (ja) 2007-09-26
CN1253046A (zh) 2000-05-17
JP2000061436A (ja) 2000-02-29
KR100328623B1 (ko) 2002-03-14
TW558456B (en) 2003-10-21
CN1120760C (zh) 2003-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8623B1 (ko) 유기물처리장치
KR100317344B1 (ko) 유기물처리장치
KR102356383B1 (ko) 사이클론이 포함된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KR101855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00017496A (ko) 유기물처리장치
JP3475187B2 (ja) 有機物処理装置
KR10191805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20041753A (ko) 음식쓰레기 처리장치
JP2000061429A (ja) 有機物処理装置
KR20030075557A (ko) 발효 건조 장치
KR102194977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051986A (ko)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KR2010003252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0216207B1 (ko) 투입보관 건조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842930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6223998A (ja) 廃棄物処理装置
JP4610457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2000061434A (ja) 有機物処理装置
JPH07136628A (ja) 生ごみ処理機
JP3620262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30017328A (ko) 유기물처리장치
JPH07275832A (ja) 生ごみ処理装置
JP2000233166A (ja) 生ゴミ等用処理装置
JPH08290154A (ja) 廃棄物処理装置
JP4610456B2 (ja) 有機物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