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51986A -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 Google Patents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51986A
KR20220051986A KR1020200135770A KR20200135770A KR20220051986A KR 20220051986 A KR20220051986 A KR 20220051986A KR 1020200135770 A KR1020200135770 A KR 1020200135770A KR 20200135770 A KR20200135770 A KR 20200135770A KR 20220051986 A KR20220051986 A KR 202200519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al insulation
main body
supply
insulation space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5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제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제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제이엔텍
Priority to KR1020200135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51986A/ko
Publication of KR202200519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5198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helices or scre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10Maintenance of mixers
    • B01F35/12Maintenance of mixers using mechanical means
    • B01F35/123Maintenance of mixers using mechanical means using scrapers for cleaning mix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1Heating or cooling systems using gas or liquid injected into the material, e.g. using liquefied carbon dioxide or st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1/00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 C12M1/02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with agitation means; with heat exchange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2035/99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Vir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폐기물 원료가 함께 사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 스크류와, 상기 본체 내부로 폐기물 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기와,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 정화하는 것으로,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히터와,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정화 배기부와, 상기 교반 스크류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환경 설정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 내부로 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 미생물을 통한 폐기물 원료의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개체수를 장기간 확보 유지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및 편리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서 발생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열원을 이용하여 본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본체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를 매우 경제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High efficiency waste raw material extinguisher}
본 발명은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경 설정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 내부로 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 미생물을 통한 폐기물 원료의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개체수를 장기간 확보 유지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및 편리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음식물 쓰레기, 하수 슬러지 및 돈 분뇨 등을 포함한 유기성 폐기물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처리방법에 대한 규제도 매년 달라지고 있다.
2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5년 음식물 쓰레기의 육상 직매립금지가 시행된 이후, 하수 슬러지(2012년), 가축분뇨(2012), 음식물 쓰레기(2013년), 음폐수(2013년), 폐수 슬러지(2016년)가 연차적으로 해양 투기가 금지됨에 따라 유기성 폐기물의 효율적 처리는 난제로 작용하고 있는 상태에서 음식물쓰레기 처리 방법은 매립, 소각, 해양투기, 자원화 등 종래에는 여러 가지가 있었으나, 음식물 쓰레기의 직매립 금지(2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5년)와 해양투기 금지됨(2013년)에 따라 이를 대체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이 시도되었는데 그 중, 소각은 우리나라 음식문화 특성상 높은 수분함량으로 인한 불완전 연소, 각종 유해물질의 배출로 소각로 건설이 쉽지 않은 상태이고 자원화에는 사료화, 퇴비화, 에너지화 등이 있는데 사료화는 불규칙한 발생량, 다양한 이물질, 가축 질병의 발생으로 등으로 인해 사료화가 쉽지 않다. 퇴비화는 고염류의 토양집적, 다른 성분의 흡수장애, 작물의 영양분의 결핍 등으로 인하여 제조된 퇴비제품의 소비가 활발하지 않은 상태이다.
마지막으로 에너지화는 음식물 쓰레기에 의한 바이오 가스의 함량 및 질적 문제로 많은 애로상황과 직면하고 있다. 한편, 하수 슬러지 처리의 종래기술로서는 건조, 고화, 소각, 용융, 탄화, 퇴비화, 연료화, 매립, 지렁이 사육토로서의 활용 등이 있으나, 탈수 후의 수분이 83% 수준의 고함수율로 인하여 수분을 제거하는데 에너지 비용과다, 공정악취가 극심하고 시설이 복잡하여 경제성이 있는 효율적인 함수율 저감기술이 절실한 상태이다.
따라서 음식물 쓰레기 및 하수 슬러지 등의 유기성 폐기물(이하, "폐기물 원료"라 함)을 처리함에 있어서 사회적 방향은 어떻게 친환경적으로 경제성을 담보하면서 처리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 사항이며, 기술적으로는 유기성 폐기물의 탈수, 건조, 충분한 공기공급 및 소멸기술이 핵심 사항이다.
이와 관련하여 "스크류 회전 교반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등록번호:제10-0605789호)"가 개발 제안되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의 경우에는 처리장치의 하부에 4군데서 공기를 공급하고 있으나, 대용량의 처리 시에는 폐기물 원료 하중으로 인한 압밀현상으로 인하여 공극이 없어서 공기공급이 제대로 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의 처리장치는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미생물을 통한 폐기물 원료의 분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미생물이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면서 폐기물 원료의 분해 처리 기능이 대폭 저하되어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문헌 0001]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605789호 (2006.07.20)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환경 설정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 내부로 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 미생물을 통한 폐기물 원료의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개체수를 장기간 확보 유지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및 편리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체에서 발생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열원을 이용하여 본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본체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를 매우 경제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는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폐기물 원료가 함께 사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 스크류와, 상기 본체 내부로 폐기물 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기와,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 정화하는 것으로,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히터와,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정화 배기부와, 상기 교반 스크류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설정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설정수단은 상기 본체의 외면을 감싸 폐쇄하되, 내부에 밀폐된 보온공간을 형성하는 보온 케이스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보온 케이스의 보온공간으로 안내하는 공급배관과, 상기 공급배관 상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으로 공급하는 공급브로아와, 상기 보온 케이스의 보온공간과 상기 본체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 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보온 케이스의 보온공간으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본체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구와, 상기 공급브로아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공급브로아를 통해 상기 보온 케이스의 내부 공간으로 따뜻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열히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교반 스크류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교반 스크류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 내주면에 들러붙은 폐기물 원료를 분리 이탈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온 케이스의 보온공간을 상부 보온공간과 하부 보온공간으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판과, 상기 공급브로아를 통해 흡입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하부 보온공간을 지그재그로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보온공간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판과, 상기 상하 구획판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부 보온공간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 보온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연통구멍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급브로아는 상기 하부 보온공간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공급브로아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격판으로 인해 상기 하부 보온공간을 지그재그로 유통되면서 상기 하부 보온공간을 모두 유통된 후에 상기 연통구멍을 통해 상기 상부 보온공간으로 유통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상부 보온공간에 위치된 상기 본체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공급브로아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하부 보온공간 전체를 유통한 후에 상기 연통구멍을 통해 상기 상부 보온공간으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구를 통해 상기 본체의 내부로 유통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일단은 상기 공급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화 배기부의 배출구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공급배관에 연결되는 상기 공급브로아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으로 안내하는 흡입덕트;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의하면, 환경 설정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 내부로 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 미생물을 통한 폐기물 원료의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개체수를 장기간 확보 유지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및 편리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체에서 발생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배기부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열원을 이용하여 본체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본체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를 매우 경제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A-A 단면도를,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시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용상태도를, 도 5는 도 3에 도시된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100)는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폐기물 원료가 함께 사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 스크류(2)와, 상기 본체(1) 내부로 폐기물 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기(3)와, 상기 본체(1)에 수용된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 정화하는 것으로,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히터(4a)와,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4b)를 포함하는 정화 배기부(4)와, 상기 교반 스크류(2)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설정수단(1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설정수단(10)은 상기 본체(1)의 외면을 감싸 폐쇄하되, 내부에 밀폐된 보온공간(11a)을 형성하는 보온 케이스(11)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으로 안내하는 공급배관(12)과, 상기 공급배관(12) 상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12)으로 공급하는 공급브로아(13)와,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과 상기 본체(1)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 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으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본체(1)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구(14)와,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내부 공간으로 따뜻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열히터(15)를 포함하여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 및 번식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적합한 온도와 안정적인 산소 공급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경 설정수단(10)은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으로 공급하고, 그 공급된 공기는 상기 본체(1) 상에 형성되는 상기 공급구(14)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공급되어 상기 본체(1) 내부의 미생물이 원활하게 활동(생존)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이때,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지속적으로 공기가 공급되게 하여 미생물의 안정적인 활동 및 번식을 확보함은 물론이다.
동시에, 상기 가열히터(15)는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흡입 공급되는 공기를 고온으로 가열하여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으로 따뜻한 공기가 공급되게 함으로, 상기 보온 케이스(11)에 감싸지는 상기 본체(1) 내부가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가 유지되게 한다.
여기서, 통상 미생물은 40 내지 60℃의 온도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는 특성상, 상기 본체(1)의 내부가 적합한 온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가열히터(15)를 통해 공기가 적합하게 가열될 수 있도록 설계됨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교반 스크류(2)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교반 스크류(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 내주면에 들러붙은 폐기물 원료를 분리 이탈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 투입된 폐기물 원료는 상기 교반 스크류(2)를 통해 혼합되면서 미생물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해 소멸되도록 유도하는데, 이때 상기 교반 스크류(2)를 통해 혼합되는 과정에서 일부의 폐기물 원료가 상기 본체(1)의 내주면에 들러붙으면서 폐기물의 원활한 분해를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래퍼(20)를 통해 상기 본체(1) 내주면을 연속적으로 긁어 상기 본체(1) 내주면에 들러붙는 일부의 폐기물 원료를 낙하시켜 상기 본체(1)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의 안정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도록 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을 상부 보온공간(11aa)과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판(31)과,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흡입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지그재그로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판(32)과, 상기 상하 구획판(3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연통구멍(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급브로아(13)는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격판(32)으로 인해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지그재그로 유통되면서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모두 유통된 후에 상기 연통구멍(33)을 통해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으로 유통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구(14)는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에 위치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 전체를 유통한 후에 상기 연통구멍(33)을 통해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b)으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구(14)를 통해 상기 본체(1)의 내부로 유통 공급되도록 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유입된 따뜻한 공기는 다수의 상기 격판(32)의 안내를 받아 지그재그로 유통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전체를 지나가게 됨으로, 상기 보온 케이스(11)에 감싸지는 상기 본체(1)의 내부가 전체적으로 골고루 균일하게 적합한 온도로 유지 형성될 수 있어 상기 본체(1)에 형성되는 미생물의 활동성 및 번식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 전체를 유통할 수 있도록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위치와 상기 연통구멍(33)의 위치를 바람직하게 설정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공급구(14)가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에 위치되면서 자연스럽게 상기 본체(1)의 상부에 위치되므로 상기 공급구(14)가 상기 본체(1)에 수용되는 폐기물 원료에 의해 막혀 폐쇄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여 상기 본체(1) 내부로 안정적인 공기의 공급을 보장할 수 있어 상기 본체(1)에 수용되는 미생물의 원활한 활동성 및 번식을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은 상기 공급배관(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화 배기부(4)의 배출구(4b)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공급배관(12)에 연결되는 상기 공급브로아(13)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4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12)으로 안내하는 흡입덕트(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본체(1) 내부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가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에는 고유의 악취가 발생함으로 고온의 상기 히터(4a)의 열원을 통해 냄새를 연소하는 방식으로 가스의 악취를 정화(희석)하게 되며, 이러한 이유로 인해 상기 배출구(4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는 고온으로 배출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공급브로아(13)의 흡입력을 통해 상기 흡입덕트(40)가 상기 배출구(4b)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가스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12)으로 공급함으로, 상기 공급배관(12)으로 유통되는 공기의 온도가 자연스럽게 높아질 수 있어 상기 공급배관(12)으로 유통되는 유체(공기, 가스)를 적합한 온도로 데우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하여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100)는 환경 설정수단(10)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하는 동시에, 본체(1) 내부로 미생물이 살아갈 수 있는 충분한 공기를 공급함으로, 미생물을 통한 폐기물 원료의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미생물의 개체수를 장기간 확보 유지할 수 있어 장치의 경제적인 운영 및 편리한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본체(1)에서 발생 배출되는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 배기부(4)를 통해 배출되는 가스의 열원을 이용하여 본체(1)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어 본체(1)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는데 소요되는 에너지를 대폭 절감할 수 있어 장치를 매우 경제적으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100)는 다음과 같이 효과적으로 폐기물 원료를 분해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료 공급기(3)를 통해 본체(1)로 투입되는 폐기물 원료는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면서 서서히 소멸되는데, 이때 환경 설정수단(10)의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상기 본체(1) 내부로 충분한 산소(공기)가 공급되어 미생물의 안정적인 식생을 확보하는 동시에,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가 가열히터(15)를 통해 소정의 온도를 가열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1)를 감싸는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을 거쳐 유통되므로 상기 본체(1)의 내부의 온도를 미생물이 용이하게 활동할 수 있는 온도로 유지할 수 있어 미생물을 통한 효과적인 폐기물 원료의 분해를 유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배관(12) 상에 에어 드라이(미도시)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배관(12)을 통해 상기 본체(1)로 건조된 공기가 공급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본체(1) 내부의 습한 환경을 개선하여 상기 본체(1) 내부의 폐기물이 미생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해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에 투입된 폐기물 원료는 상기 교반 스크류(2)를 통해 혼합되면서 미생물을 통해 효과적으로 분해 소멸되도록 유도하는데, 이때 상기 교반 스크류(2)와 함께 회전하는 스크래퍼(20)를 통해 상기 본체(1) 내주면에 들러붙는 일부의 폐기물 원료를 낙하시켜 상기 본체(1)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의 안정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게 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본체 2. 교반 스크류
3. 원료 공급기 4. 정화 배기부
4a. 히터 4b. 배출구
5. 구동부
100. 환경 설정수단 11. 보온 케이스
11a. 보온공간 11aa. 상부 보온공간
11ab. 하부 보온공간 12. 공급배관
13. 공급브로아 14. 공급구
15. 가열히터 20. 스크래퍼
31. 상하 구획판 32. 격판
33. 연통구멍 40. 흡입덕트
100.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Claims (4)

  1.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폐기물 원료가 함께 사용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중심에 수직으로 직립되게 형성되어 상기 본체(1)에 수용된 폐기물 원료를 혼합하는 교반 스크류(2)와, 상기 본체(1) 내부로 폐기물 원료를 자동으로 공급하는 원료 공급기(3)와, 상기 본체(1)에 수용된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 정화하는 것으로, 고온의 열원을 이용하여 악취를 제거하는 히터(4a)와,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구(4b)를 포함하는 정화 배기부(4)와, 상기 교반 스크류(2)로 회전력을 공급하는 구동부(5)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폐기물 원료 소멸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도록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설정수단(10);을 더 포함하되,
    상기 환경 설정수단(10)은,
    상기 본체(1)의 외면을 감싸 폐쇄하되, 내부에 밀폐된 보온공간(11a)을 형성하는 보온 케이스(11)와,
    외부의 공기를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으로 안내하는 공급배관(12)과,
    상기 공급배관(12) 상에 형성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12)으로 공급하는 공급브로아(13)와,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과 상기 본체(1)의 내부가 연통되도록 상기 본체(1) 상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으로 공급된 공기가 상기 본체(1) 내부로 공급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공급구(14)와,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내부 공간으로 따뜻한 공기가 공급되도록 하는 가열히터(1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교반 스크류(2)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본체(1)의 내주면에 접촉되어 상기 교반 스크류(2)와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본체(1) 내주면에 들러붙은 폐기물 원료를 분리 이탈시키는 하나 이상의 스크래퍼(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온 케이스(11)의 보온공간(11a)을 상부 보온공간(11aa)과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구획하는 상하 구획판(31)과,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흡입 공급되는 공기가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지그재그로 유통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에 형성되는 다수의 격판(32)과,
    상기 상하 구획판(31)에 관통 형성되어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유입된 공기가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연통구멍(33)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공급브로아(13)는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으로 공기를 공급하도록 설치되되,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격판(32)으로 인해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지그재그로 유통되면서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을 모두 유통된 후에 상기 연통구멍(33)을 통해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으로 유통되도록 하며,
    상기 공급구(14)는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a)에 위치된 상기 본체(1)의 상부에 형성되므로 상기 공급브로아(13)를 통해 공급된 공기는 상기 하부 보온공간(11ab) 전체를 유통한 후에 상기 연통구멍(33)을 통해 상기 상부 보온공간(11ab)으로 공급되어 상기 공급구(14)를 통해 상기 본체(1)의 내부로 유통 공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일단은 상기 공급배관(12)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정화 배기부(4)의 배출구(4b)에 근접 위치되어, 상기 공급배관(12)에 연결되는 상기 공급브로아(13)의 흡입력을 이용하여 상기 배출구(4b)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가스의 일부를 흡입하여 상기 공급배관(12)으로 안내하는 흡입덕트(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KR1020200135770A 2020-10-20 2020-10-20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KR202200519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70A KR20220051986A (ko) 2020-10-20 2020-10-20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5770A KR20220051986A (ko) 2020-10-20 2020-10-20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51986A true KR20220051986A (ko) 2022-04-27

Family

ID=813908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5770A KR20220051986A (ko) 2020-10-20 2020-10-20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5198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789B1 (ko) 2004-01-27 2006-08-02 권상학 스크류 회전 교반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5789B1 (ko) 2004-01-27 2006-08-02 권상학 스크류 회전 교반기능을 가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303B1 (ko) 친환경 폐기물 발효 건조장치
WO2016043656A1 (en) Apparatus for treating food waste
KR101799893B1 (ko)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 및 이를 이용한 발효방법
KR102046173B1 (ko)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KR1018556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20051986A (ko) 고효율 폐기물 원료 소멸기
KR20017435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8487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WO2022255580A1 (ko) 고온의 연소가스를 이용한 축산 분뇨 멸균 건조 시스템 및 멸균 건조 방법
KR20110061321A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JP2006142298A (ja) 食べ物残り生ゴミの発酵分解消滅化処理方法および装置
JP2004113911A (ja) 有機廃棄物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JP3729088B2 (ja) 生ゴミ処理機
KR101918056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100328623B1 (ko) 유기물처리장치
JP2978099B2 (ja) 有機廃棄物をバクテリアで分解して消失する方法
JP2004098038A (ja) 有機廃棄物分解処理装置及び方法
CN217058251U (zh) 一种高效杀菌除臭的有机肥烘干机
KR970003027Y1 (ko) 음식물 쓰레기의 사료 및 퇴비화 장치
JP7120682B1 (ja) 乾燥糞の製造方法及び製造システム
JP2009082800A (ja) ごみ処理方法及びごみ処理システム
KR101973099B1 (ko) 속효성 유기물 발효장치의 소형 송풍장치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0203924B1 (ko) 하수.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