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0285B1 -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 Google Patents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0285B1
KR102010285B1 KR1020180158536A KR20180158536A KR102010285B1 KR 102010285 B1 KR102010285 B1 KR 102010285B1 KR 1020180158536 A KR1020180158536 A KR 1020180158536A KR 20180158536 A KR20180158536 A KR 20180158536A KR 102010285 B1 KR102010285 B1 KR 102010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eatment tank
animal
carrier
supply lin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민인자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 하나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하나환경 filed Critical (주) 하나환경
Priority to KR10201801585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02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0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0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2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5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meat-wastes or from other wastes of animal origin, e.g. skins, hair, hoofs, feathers, blood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05F1/007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from derived products of animal origin or their wastes, e.g. leather, dairy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C05F17/027
    • C05F17/0276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0Fertilizers of biological origin, e.g. guano or fertilizers made from animal corp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40Bio-organic fraction processing; Production of fertilisers from the organic fraction of waste or refuse
    • Y02W30/43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폐사한 어류나 가축 또는 살처분 대상의 동물 등의 사체를 환경오염 없이 빠른시간 내에 분해시킬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동물의 사체 및 담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면서 퇴비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차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미생물을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 상기 공기공급라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처리탱크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는 다공성 산기관; 상기 처리탱크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의 침출수를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출수 배출관; 및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를 배출하는 환기관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DEVICE AND METHOD FOR TREATING ANIMAL CORPSE}
본 발명은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사한 어류나 가축 또는 살처분 대상의 동물 등의 사체를 환경오염 없이 빠른시간 내에 분해시킬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 등과 같은 가축 전염병에 의한 가축 폐사나 녹조나 적조 등에 의한 어류의 폐사가 발생했을 경우나 살처분을 해야할 경우 현행법 상 사체를 이동시켜서는 안되며, 현지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통상적으로 사체를 땅속에 묻어서 매몰하여 처리하고 있다.
그런데 폐사 가축을 매립할 경우 악취는 물론 침출수 발생으로 주변 지하수오염과 토양오염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고, 병원균이 가축이나 사람에게 전염될 수 있는 위험이 높으며, 매립지를 확보 하기도 쉽지 않은 문제가 있다.
한편, 가축의 사체를 땅속에 묻지 않는 처리방법 중, 소각 처리방법은 섭씨 800℃ ~ 1,000℃의 고온 연소에 의해 가축 사체를 직접 열을 가하여 연소 및 산화하는 것으로 부지 소요가 없고 처리기간이 짧다는 장점 대신, 대기오염과 악취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가축의 사체를 땅속에 묻지 않는 처리방법 중, 호기호열 처리방법은 호기호열 미생물을 이용해 가축 사체를 분해 및 발효시켜 퇴비화하는 기술로 이 처리방법은 고상 및 액상의 부산물을 발생시키며 사체 저장소 등 부지가 소요된다. 대기오염이 없고 부산물의 활용이 가능하다는 장점 대신, 가축 사체의 분해에 장시간이 소요되고 퇴비화 등의 어려움이 있다.
또한, 가축의 사체를 땅속에 묻지 않는 처리방법 중, 랜더링 처리방법은 가축 사체를 고온, 고압에서 가열, 멸균처리 후 잔여 부산물을 퇴비로 사용하거나 매립 처리하는 기술로 이 처리방법은 고상 및 액상의 부산물을 생산하고, 이를 처리하기 위한 부지가 소요되며 처리기간이 짧고, 일부 부산물을 활용할 수 있는 장점 대신, 잔여 부산물의 처리와 퇴비화 등 부산물 수요에 한계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331호에 개시된 동물사체 처리장치가 있다.
구체적으로, 선행기술은 동물사체를 파쇄기로 파쇄하고, 고온의 스팀으로 살균하면서 혼합 분해하여 처리하는 기술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은 파쇄기나 스팀장치와 같은 시설이 필요하므로 처리비용이 매우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04331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동물사체를 파쇄하지 않고도 환경오염 없이 빠른 시간 내에 분해하여 퇴비화할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미생물이나 발효 담체와 함께 동물사체를 처리탱크에 투입하여 발효시킴으로써 빠른 시간 내에 퇴비화시킬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동물사체의 퇴비화 처리 후에 처리탱크를 재사용할 수 있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는, 동물의 사체를 분해하여 퇴비화시키는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물의 사체 및 담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면서 퇴비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차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미생물을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 상기 공기공급라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처리탱크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는 다공성 산기관; 상기 처리탱크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의 침출수를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출수 배출관; 및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를 배출하는 환기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연질성을 가지면서 상기 처리탱크의 하단부를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처리탱크의 수용공간에 나선형을 이루면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환기관은, 상기 처리탱크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환기관본체; 상기 환기관본체에 내장되어 악취를 탈취하는 활성탄; 및 상기 환기관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활성탄을 지지하는 거름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은, 상기 처리탱크에 투입되는 담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탱크에 상기 담체를 깔아서 상기 처리탱크의 하부에 통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탱크에 상기 동물의 사체와 함께 상기 담체를 투입하여 상기 통기부의 상부에 사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탱크에 상기 담체를 투입하여 상기 사축부의 상부에 상기 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공기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다공성 산기관에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담체는,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집, 토탄 및 미생물영양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제; 및 상기 베이스제에 혼합되는 미생물활성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에 의하면, 동물사체를 발효 담체와 함께 처리탱크에 투입한 상태로 처리탱크의 하부 통기부에 외부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담체의 발효가 촉진되면서 미생물이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동물 사체가 담체와 함께 발효되면서 신속하게 분해되어 퇴비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은 동물사체의 분해과정에서 고온이 발생하므로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성 병원균이 고온에 의해 사멸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은 분해가 완료된 부산물은 천연 유기질 퇴비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된 처리탱크는 액비 저장조나 빗물저장시설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친환경적인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은 동물사체가 담체의 발효 조건에서 분해되므로 악취발생이 감소되고, 분해과정에서의 고온에 의해 수분이 증발 및 흡수되므로 침술수의 발생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은 공기공급라인을 통해 다공성 산기관에 공기나 미생물을 투입할 수 있으므로 동물사체의 분해 정도에 따라 외부공기 또는 미생물의 투입을 통해 발효 및 분해를 촉진시킬 수 있다.
개시되는 실시예들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개시되는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처리탱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처리탱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처리탱크의 환기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다공성 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사체를 퇴비화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처리탱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처리탱크의 다양한 형태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의 범용적인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 또는 출원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처리탱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처리탱크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처리탱크의 환기관을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중 다공성 산기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동물사체를 퇴비화시키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1)는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 녹조 또는 적조에 의한 동물의 폐사나 살처분이 요구될 경우 동물사체를 친환경적으로 분해시켜 퇴비화함으로써 재사용을 도모하는 기술이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탱크(100), 공기공급라인(200), 다공성 산기관(300), 침출수 배출관(400) 및 환기관(5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처리탱크(100)는 동물사체가 분해되면서 퇴비화될 수 있도록 퇴비화공간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처리탱크(100)는 설정된 부피의 수용공간을 갖는 함체형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지중에 매립되거나 지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측에 형성되는 개구부가 덮개(110)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차폐됨으로써 동물사체가 담체와 함께 투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처리탱크(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수직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수평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처리탱크(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의 함체형 또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면서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될 수 있다.
예컨대, 처리탱크(100)는 FRP, HDPE, PE, STS, 스틸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의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처리탱크(1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의 수용공간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면서 개구부 및 덮개(110)가 다양한 크기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처리탱크(1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의 수용공간을 갖는 형태로 제작되면서 개구부 및 덮개(100)가 다양한 크기 및 개수로 제작될 수 있다.
여기서, 처리탱크(100)에 투입되는 담체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 전용 미생물을 활착시키거나 토탄(이탄)과 함께 활착시켜 동물사체를 분해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담체는 예컨대 베이스제 및 미생물활성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제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 전용 미생물의 활착과 증식을 위한 발효환경을 제공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베이스제는 예컨대,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집, 토탄 및 미생물영양제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의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적어도 2종 이상의 혼합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여기서, 연화왕겨는 왕겨의 규산질 코팅을 파괴하여 연화시킨 것으로, 수분흡수율이 기존 왕겨의 125%에서 205%로 향상됨으로써 유기성 폐기물 분해전용미생물의 활착과 증식에 매우 효과적인 베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화왕겨는 왕겨 특유의 규산질 성분으로 인해 작물생장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토지개량, 연작장해 및 염류집적장해의 예방에 효과가 있다.
이러한 연화왕겨는 발효된 연화발효왕겨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톱밥은 발효된 발효톱밥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베이스제를 구성하는 토탄은 악취저감 효과와 미생물 증식효과가 있어서 비료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예컨대, 토탄 1kg은 수분 9~18kg과 암모니아 가스 15~30g을 흡수할 수 있고, 가축분퇴비 기준 100배, 토양기준 2000배까지 미생물 증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미생물활성제는 유기물 분해와 함께 악취제거 및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미생물활성제는 방선균군과 같이 종속영양 미생물군을 포함함으로써 동물사체, 음식물, 축분, 인분, 슬러지 등과 같은 유기물을 발효, 분해, 건조 및 소멸화시킬 수 있다.
또한, 미생물활성제는 로터박터균과 같은 원시세균이나 독립영양미생물군을 포함함으로써 악취물질인 질소화합물, 황화합물 또는 탄소화합물을 분해 및 제거할 수 있고, 오염된 수질 또는 토양을 정화시킬 수 있다.
또한, 미생물활성제는 각종 효소 및 천연유기산을 포함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착과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베이스제에는 미생물 영양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미생물 영양제는 전술한 미생물활성제에 비하여 기온 등의 외부환경에 영향을 덜 받기 때문에 계절이나 장소에 구애없이 사용함으로써 미생물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는 구성요소이다.
예컨대, 미생물 영양제는 미강과 미분을 포함함으로써 유기물 공급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유기물공급으로 빠른 미생물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영양제는 흑운모를 포함함으로써 미생물의 활착을 촉진시킬 수 있다.
또한, 미생물 영양제는 미생물이 지속적으로 증식할 수 있도록 폐기물의 독성을 중화시킬 수 있으며, 미생물에게 지속적인 영양 공급을 통해 공기나 폐기물 중에 존재하는 유익 미생물의 활성 및 증식을 촉진시킬 수 있다.
한편, 담체에는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 관련 가축 사체, 하수오니, 산업 슬러지, 축산분뇨, 음식물 쓰레기 등과 같은 유기성 폐기물을 혼합함으로써 담체를 통해 유기성 폐기물을 처리할 수도 있다.
예컨대, 담체와 유기성 폐기물은 0.1 : 1 내지 2 : 1 범위 내의 비율로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형성된 담체는 가축 축사의 바닥에 깔아서 사용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담체를 축사의 바닥에 소정의 두께를 깔아서 사용함으로써 악취 발생 없이 가축의 분뇨를 빠른 시간 내에 퇴비화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공기공급라인(200)은 처리탱크(100)의 외부에서 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미생물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공기공급라인(200)은 처리탱크(100)의 상단부에서 하단부로 연장되어 후술되는 다공성 산기관(300)에 연결될 수 있으며, 미도시된 공기공급장치에 연결되어 외부공기나 미생물을 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예컨대, 공기공급라인(200)은 동물사체의 담체의 발효에 의한 분해를 촉진시킬 경우에는 산소와 함께 호기성을 갖는 유기성 폐기물 분해 전용 미생물을 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기공급라인(200)은 동물의 살처분이 요구될 경우에는 처리탱크(100)의 내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함으로써 처리탱크(100) 내부에 투입된 동물들을 안락사시킬 수 있다.
상기 다공성 산기관(300)은 공기공급라인(200)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나 호기성 미생물을 처리탱크(100)의 내부로 균일하게 공급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다공성 산기관(300)은 공기공급라인(200)에 연결된 상태로 처리탱크(100)의 내부공간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길이방향을 따라 다공이 형성됨으로써 공기공급라인(200)에서 공급된 외부공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을 다공으로 배출할 수 있다.
이러한 다공성 산기관(300)은 연질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탱크(100)의 하단부를 따라 연장되면서 배치될 수 있다.
즉, 다공성 산기관(300)은 처리탱크(100)의 하단부에 배치된 상태로 외부공기나 호기성 미생물을 상부쪽으로 공급함으로써 외부공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이 처리탱크(100)의 상부로 이동하면서 담체에 전체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다공성 산기관(30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리탱크(100)의 수용공간에 나선형을 이루면서 연장되어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다공성 산기관(300)은 일단부가 전술한 공기공급라인(200)에 연결된 상태로 나선형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컨대, 나선형의 다공성 산기관(300)은 처리탱크(100)의 수용공간에 수직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달리 수평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여기서, 다공성 산기관(300)이 나선형으로 연장될 경우에는 공기공급라인(200)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 또는 미생물이 나선형을 따라 회전함으로써 와류를 일으키면서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다공성 산기관(300)은 직선형으로 형성되면서 복수로 구성될 수 있으며, 공기공급라인(200)에서 분기되는 형태로 연결되어 처리탱크(100)의 바닥면 전체에 외부공기나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할 수도 있다.
상기 침출수 배출관(400)은 처리탱크(100)의 내부에 발생하는 침출수를 처리탱크(1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침출수 배출관(4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가 처리탱크(100)의 바깥쪽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처리탱크(100)의 하단부를 향해 수직상태로 연장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달리 수평상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침출수 배출관(400)은 처리탱크(100)의 하부로 연장되면서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될 수도 있다.
침출수 배출관(400)은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흡입공이 형성되어 흡입공을 통해 침출수를 흡입할 수 있으며, 처리탱크(100)의 외부에서 미도시된 배출펌프가 연결됨으로써 배출펌프의 작동을 통해 침출수를 강제로 배출시킬 수 있다.
한편, 처리탱크(100)에는 내부를 점검하기 위한 점검구(450)가 구비될 수 있다.
점검구(450)는 관리자에 의한 육안 점검이 가능하도록 개폐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미도시된 조명등이 구비되어 내부의 점검시 관리자에 의해 제어되면서 처리탱크(100)의 내부에 조명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환기구(500)는 처리탱크(10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를 처리탱크(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환기구(5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기관본체(510), 활성탄(520) 및 거름망(5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기관본체(510)는 처리탱크(100)에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면서 처리탱크(100)의 외부로 연장되어 처리냉크(100) 내부의 악취나 가스의 배출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환기관본체(510)에는 미도시된 송풍팬이 설치되어 처리탱크(100)의 내부공기를 강제로 배기시킬 수도 있다.
활성탄(520)은 환기관본체(510)의 일부분에 내장됨으로써 환기관본체(510)로 배출되는 가스의 악취나 습기를 흡수하여 제거할 수 있다.
거름망(530)은 환기관본체(510)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거름망(530)은 환기관본체(510)의 하단부에 고정됨으로써 이물질이 환기관본체(510)로 유입되는 것을 필터링하는 동시에 활성탄(520)을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1)를 이용하여 동물사체를 친환경적으로 퇴비화시키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처리탱크(100)에 동출사체와 함께 투입하기 위한 담체를 형성한다(S100).
이때, 사용자는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집, 토탄 및 미생물영양제 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제와, 유기물 분해와 악취제가 및 미생물의 증식 기능을 갖는 미생물활성제를 혼합하여 담체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베이스제에 미생물 영양제를 더 혼합하여 담체를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형성된 담체를 처리탱크(100)의 하단부에 깔면서 처리탱크(100)의 하부에 통기부(10)를 형성한다(S200).
이때, 사용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다공성 산기관(300)이 덮이도록 담체를 깔아서 통기부(1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150cm의 높이로 통기부(10)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폐사한 동물사체나 살처분 대상의 동물을 담체를 함께 처리탱크(100)에 투입함으로써 통기부(10)의 상부에 사축부(20)를 형성한다(S300).
사축부(20)의 형성이 완료된 후, 사용자는 처리탱크(100)에 다시 담체만을 투입함으로써 사축부(20)의 상부에 상층부(30)를 형성한다(S400).
이때, 사용자는 사축부(20)의 상부에 담체를 깔면서 처리탱크(100)의 입구에 인접할 때까지 상층부(30)를 형성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0~150cm의 높이로 상층부(3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담체와 동물사체의 투입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처리탱크(100)의 덮개(110)를 폐쇄한 후, 전술한 공기공급라인(200)을 통해 다공성 산기관(300)에 외부공기를 강제로 공급함으로써 담체의 통기부로 공기를 공급한다(S500).
이에 따라, 처리탱크(100)에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은 담체 내부로의 공기공급에 의해 활성화되면서 동물사체를 분해할 수 있다.
이때, 미생물의 분해과정에서는 섭씨 50℃ ~ 80℃의 고온이 발생함에 따라 구제역,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성이 강한 병원균 및 각종 유해 세균이 사멸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점검구(450)를 통해 처리탱크(100)의 내부를 점검하면서 침출수가 발생한 경우, 침출수 배출관(400)을 통해 침출수를 처리탱크(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때, 처리탱크(100)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는 환기관(500)을 통해 배기되면서 활성탄에 의해 흡착되면서 제거될 수 있다.
동물사체의 분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분해된 부산물을 처리탱크(100)에서 배출시켜서 천연 유기질 퇴비로 사용할 수 있으며, 처리탱크(100)는 액비 저장조나 빗물저장시설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은, 동물사체를 발효 담체와 함께 처리탱크(100)에 투입한 상태로 처리탱크(100)의 하부 통기부(10)에 외부공기를 공급함에 따라 담체의 발효가 촉진되면서 미생물이 활성화될 수 있으므로 동물 사체가 담체와 함께 발효되면서 신속하게 분해되어 퇴비화될 수 있고, 동물사체의 분해과정에서 고온이 발생하므로 구제역이나 조류인플루엔자와 같은 전염성 병원균이 고온에 의해 사멸될 수 있다. 특히 분해가 완료된 부산물은 천연 유기질 퇴비로 사용할 수 있고, 사용된 처리탱크는 액비 저장조나 빗물저장시설 등으로 재사용할 수 있으므로 더욱 친환경적이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 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동물사체 처리장치
100 : 처리탱크
110 : 덮개
200 : 공기공급라인
300 : 다공성 산기관
400 : 침출수 배출관
450 : 점검구
500 : 환기관
510 : 환기관본체
520 : 활성탄
530 : 거름망
10 : 통기부
20 : 사축부
30 : 상층부

Claims (5)

  1. 동물의 사체를 분해하여 퇴비화시키는 동물사체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동물의 사체 및 담체가 투입되어 분해되면서 퇴비화 공간을 제공하며, 일측에 개구부가 형성되어 덮개에 의해 개폐가능하게 차폐되는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로 외부공기나 미생물을 공급하고, 동물의 살처분이 요구될 경우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로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라인;
    상기 공기공급라인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처리탱크의 수용공간으로 연장되고, 길이방향을 따라 다공이 형성되어 상기 공기공급라인에서 공급되는 외부공기 또는 호기성 미생물을 공급하는 다공성 산기관;
    상기 처리탱크에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의 침출수를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침출수 배출관;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어 상기 처리탱크 내부에서 발생하는 악취나 가스를 배출하는 환기관; 및
    상기 처리탱크에 설치되고, 조명등이 구비되어 상기 처리탱크의 내부 점검을 허용하는 점검구를 포함하며,
    상기 다공성 산기관은,
    연질성을 가지면서 상기 처리탱크의 하단부를 따라 연장되거나, 상기 처리탱크의 수용공간에 나선형을 이루면서 연장되고,
    상기 환기관은,
    상기 처리탱크에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상태로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로 연장되는 환기관본체;
    상기 환기관본체에 내장되어 악취를 탈취하는 활성탄; 및
    상기 환기관본체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활성탄을 지지하는 거름망을 포함하는 동물사체 처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의 동물사체 처리장치를 이용하여 폐사 동물을 퇴비화시키는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에 있어서,
    상기 처리탱크에 투입되는 담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담체를 형성하는 단계에 의해 형성된 상기 담체에 하수오니, 산업슬러지, 축산분뇨 및 음식물쓰레기 중 어느 하나의 유기성 폐기물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처리탱크에 상기 담체를 깔아서 상기 처리탱크의 하부에 통기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탱크에 상기 동물의 사체와 함께 상기 담체를 투입하여 상기 통기부의 상부에 사축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처리탱크에 상기 담체를 투입하여 상기 사축부의 상부에 상층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공기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다공성 산기관에 상기 처리탱크의 외부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및
    동물의 살처분이 요구될 경우 상기 공기공급라인에 이산화탄소를 공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담체는,
    연화왕겨, 톱밥, 미강, 퇴비, 축산분뇨, 깔짚, 볏집, 토탄 및 미생물영양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적어도 2종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베이스제; 및
    상기 베이스제에 혼합되는 미생물활성제를 포함하는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5. 삭제
KR1020180158536A 2018-12-10 2018-12-10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2010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36A KR102010285B1 (ko) 2018-12-10 2018-12-10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536A KR102010285B1 (ko) 2018-12-10 2018-12-10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0285B1 true KR102010285B1 (ko) 2019-08-13

Family

ID=676245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536A KR102010285B1 (ko) 2018-12-10 2018-12-10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0285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340B1 (ko) * 2011-02-24 2012-04-04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원위치 지중 열탄화에 의한 가축 매립지의 안정화 처리시스템
KR20120098411A (ko) * 2011-02-25 2012-09-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 매몰지의 악취 및/또는 온실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26460B1 (ko) * 2014-02-11 2014-08-05 이선영 가축사체 처리장치
KR20160150520A (ko) * 2015-06-22 2016-12-30 이희범 산화제를 배제한 가금류 사체 처리 시스템
KR101796168B1 (ko) * 2017-08-04 2017-11-16 중원환경(주) 동물 사체 비료화 방법
KR101904331B1 (ko) 2018-04-05 2018-10-04 신호철 동물사체 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1340B1 (ko) * 2011-02-24 2012-04-04 아름다운 환경건설(주) 원위치 지중 열탄화에 의한 가축 매립지의 안정화 처리시스템
KR20120098411A (ko) * 2011-02-25 2012-09-05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가축 매몰지의 악취 및/또는 온실가스 처리 시스템
KR101426460B1 (ko) * 2014-02-11 2014-08-05 이선영 가축사체 처리장치
KR20160150520A (ko) * 2015-06-22 2016-12-30 이희범 산화제를 배제한 가금류 사체 처리 시스템
KR101796168B1 (ko) * 2017-08-04 2017-11-16 중원환경(주) 동물 사체 비료화 방법
KR101904331B1 (ko) 2018-04-05 2018-10-04 신호철 동물사체 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00475B1 (en) Method of converting organic waste by thermophilic fermentation
KR101766277B1 (ko) 살처분 매몰지의 환원 방법, 이를 이용한 유기 비료 제조방법
JPH07124538A (ja) 固形有機廃棄物の処理装置
KR101737414B1 (ko) 고온 호기발효가 촉진되는 매몰형 사축 소멸장치
KR100792166B1 (ko) 유기물을 함유한 폐기물 및 배설물 처리방법
KR101112429B1 (ko) 슬러지 처리 시설 및 방법
KR101870797B1 (ko) 고온 호기성 미생물을 활용한 생물학적 건조와 악취를 제거하는 하수슬러지 처리방법
KR101825588B1 (ko) 살처분 가축 처리 장치
KR101391065B1 (ko) 미생물제를 이용한 유기성폐기물 자원화방법
CN104496586A (zh) 一种基于牲畜尸体的堆垛式堆肥方法
JP3657841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装置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JP3706097B2 (ja) 有機廃棄物発酵処理システム
KR102010284B1 (ko) 담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KR102091168B1 (ko) 미생물을 활용한 살처분 폐사가축 통합처리장치
KR10127023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동물의 친환경 살처분 방법
JPH0769765A (ja) し尿または家畜の糞尿の再生処理方法と、し尿または家畜の糞尿処理施設
KR101595184B1 (ko) 유기성 폐기물의 퇴비화방법
JPH11228270A (ja) 有機質物のコンポスト製造施設と有機質物をコンポストに製造する方法
KR100607700B1 (ko) 친환경 축사 구조
KR102435039B1 (ko) 미생물 군집 부토 배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 사체 처리방법
KR100473174B1 (ko) 시앤비 시스템을 이용한 축산폐수의 처리방법
KR102150919B1 (ko) 전염병으로 인해 살처분된 동물사체의 비매몰 방식 처리를 실현하기 위한 고속퇴비화 장치
JP3256691B2 (ja) 有機性廃棄物の発酵分解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3599289B2 (ja) 高密度微生物の連続散布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