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84875A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84875A
KR20010084875A KR1020000010227A KR20000010227A KR20010084875A KR 20010084875 A KR20010084875 A KR 20010084875A KR 1020000010227 A KR1020000010227 A KR 1020000010227A KR 20000010227 A KR20000010227 A KR 20000010227A KR 20010084875 A KR20010084875 A KR 20010084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on tank
decomposition reaction
food waste
deodorizer
dr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102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용길
Original Assignee
김학응
박준봉
고용길
주식회사 한국미생물공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학응, 박준봉, 고용길, 주식회사 한국미생물공학연구소 filed Critical 김학응
Priority to KR10200000102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0084875A/ko
Publication of KR20010084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84875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3Pressur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덮개(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4a)를 갖는 본체(2)와, 투입구(4a)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 및 짓이기는 파쇄기(100)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복합 호기성 미생물 제제에 의해 분해 및 소멸시키는 분해 반응조(300)와, 파쇄기(1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반응조(300)로 보내는 이송수단(200)과, 분해 반응조(300)에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와 호기성 미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310)과, 분해 반응조(300)내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분해 반응조(300)에 부착 설치된 제 1히터부(400)와, 분해 반응조(300) 내에 습도량을 감지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습도계측센서(604)와, 분해 반응조(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히터부(506)와, 분해 반응조(300)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를 갖는 탈취기(800)와, 백금 촉매(812)로 이송되는 악취가스를 고온의 적합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제 3히터부(810)와, 분해 반응조(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탈취기(800)로 이송되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여과하는 필터(602)와, 분해 반응조(300)와 탈취기(800)를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어 탈취기(800)로 공급되는 악취가스와 탈취기(800)에서 필터링되어 배기되는 배기가스 간의 열을 교환해 주는 열 교환기(700)와, 열 교환기(70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이송되는 관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보내는 배기구(8)와, 장치 및수단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바, 본 발명은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신속하게 소멸 및 감량 처리하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할 때 발생되는 악취 가스를 백금 촉매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여과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A food trash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호기성 및 통성 협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보다 효율적으로 분해시켜 음식물 쓰레기를 소멸 및 감량시키며,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될 때 발생되는 악취 가스를 열 교환기와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를 탑재한 탈취기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국내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1998년의 경우 일일 12,270톤 정도로 추정되고 있으며 이는 발생되는 생활 쓰레기의 26.3%에 해당된다. 그 중 일부분만 사료 또는 비료로의 재활용 및 감량화 처리되고 있고 대부분의 쓰레기는 매립에 의존하고 있어 침출수 등으로 인한 환경 오염의 큰 원인이 되고 있다.
이렇게 버려지는 쓰레기는 분해되면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고 병원균이 자생하여 인간의 건강 및 위생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또한 상수원을 오염시키는 문제가 되고 있다. 또한 늘어나는 쓰레기로 인해 쓰레기 매립장의 신설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나, 이는 비용이나 장소등의 어려움이 따라 사회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간단한 교반기를 이용하여 음식물을 톱밥, 목편 등의 수분 조절재와 혼화 부숙하여 퇴비 및 퇴비의 원료로 재활용하는 방안들이 제시되긴 하였지만, 음식물 자체의 염분 농도가 거의 3%에 이를 만큼 높아 퇴비로 시비하는 경우, 발아 불능 또는 농작물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또한 한국 음식물의 성상이 함수율이 높아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다보니 그 운영 유지비도 상당한 금액에 이르러 경제성 측면에서는 불가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를 사료로 사용되는 방식이 제안되기도 하지만 쓰레기 자체의 분리 수거의 어려움 및 운영 유지비 차원에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최근에 변패된 쓰레기를 활용한 사료에 의해 일부 지역에서는 비육우들이 폐사하는 사례가 있었으며 또한 독극물의 일부 유입으로 인해 많은 비육우들이 집단 폐사한 사례도 보고되고 있다. 이 외에도 쓰레기의 사료화에 의한 염독 등 여러 가지의 질병 또한 상당한 문제가 되고 있으며, 따라서 근간에 이르러는 이러한 병폐를 인지하고 음식물 쓰레기를 순수하게 폐기물로 보고 감량화에 역점을 둔 설비들이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설비들은 감량율 및 유지 운영비 차원에서 상당한 문제를 안고 있으며 악취의 발생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즉, 대부분의 상기 설비들이 미생물의 특성과 설비간의 상충 보완해 주는 역할에 대한 복합적인 전문 지식의 부족 등으로 필요한 장치 환경을 제대로 제어하지 못하고 경쟁적으로 이윤 추구에만 치우치다 보니 사실상 유기물 분해에 의한 감량율은 거의 미미한 수준에 그치고 있으며 단지 외부 가열에 의한 건조 감량만으로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예를 들면, 음식물 쓰레기 내의 유기물의 분해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사용하고자 하는 특정 미생물의 특성에 맞는 공기(산소)의 공급, 미생물의 활동 환경에 적합한 온도 및 습도의 유지, 내부워크·피스(쓰레기)의 자체 교반 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또한 감량의 효율화를 위해서는 반응조 내의 일정 압력의 유지 및 증발에 필요한 유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 유통되고 있는 일반 설비의 경우 이러한 제어 요소들을 무시하고 제작된 것이 대부분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또한, 유기물 분해시 필연적으로 발생되는 악취의 경우에도 설비의 자체에 내장 또는 설비의 외부에 별도로 설치한 독립형의 탈취 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이들 탈취 장치에서 원하는 탈취가 제대로 이루어진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실제적으로는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어 가정, 학교, 공공장소, 병원 등에서는 사용을 기피하고 있으며, 마을과 떨어져 있는 군 부대에서 조차 사용하기에 불만족스러워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실용신안 공개 94-2260호의 탈취 장치에서는 유기물 처리 장치의 상단에 배기구가 설치된 탈취 캐비넷을 탑재하여 미생물 배양수를 담아 처리를 한다고 하나 음식물을 포함한 유기물의 성상 자체가 다양하여 선택적 요인이 강할 수 밖에 없었다. 암모니아성 가스는 배양수의 물과 잘 혼화되어 어느 정도의 탈취 효과는 있으나 배양수 자체가 너무 빨리 포화되어 그 물을 다시 정화하는 시스템을 갖추지 않고서는 불가한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가스 자체도 물의 표면에서는 거의 용해되지 않으며, 이외의 악취 가스는 거의 포착하기 어려운 실정이므로 그 탈취 효과는 미미하다고 해야 할 것이다.
또 실용신안 공개 94-24803호에는 오존을 활용하여 악취를 제거한다고 기재되어 있으나 오존에 의한 악취 제거 역시 일반 온도에서 산화되기 어려운 악취성 가스에는 전혀 영향을 끼치지 못할 뿐 아니라 오히려 발생되는 발생기의 산소 때문에 분해 미생물 자체를 사멸시킬 우려가 있고 배기 가스의 잔류 오존에 의한 대기 오염 문제로 재환원 시키는 시스템을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른 설치 및 운영 유지비가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실용신안 공개 94-24805호에서는 자연 대류에 의한 탈취를 주장하고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장치 내부에서는 어느 정도 탈취가 이루어지지만 장치 외부로 스며 나오는 악취성 가스가 조금이라도 누설되면 사람이 취기를 느낄 수 있다는 관점에서 볼 때 탈취식 장치라고 보기에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 외에도 각 종 필터를 활용하거나 활성탄을 이용한 필터링 방식을 제안하기도 하지만, 이 역시 선택적 요인 및 포화 기간이 짧아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있으며, 적외선 탈취 또한 어느 정도의 가능성은 있으나 적외선 자체의 성질상 침투력이 강해 분해 미생물까지 사멸시킬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방법들 외에도 근래에는 귀금속을 이용한 탈취 방식도 제안되었으나, 상온에서 처리되는 바나듐 촉매 처리 방식은 운영 유지비 차원에서는 유리하지만 그 효과는 미미하다고 알려져 있고, 백금 촉매 등의 중 고온 귀금속 탈취의 경우에도 촉매 자체에 필요한 팩터들을 제대로 만족시키지 못해 그 효과가 반감되고 있는 실정이다. 실제적으로 백금 촉매를 채택하고 있는 대기업이나 그룹사의 경우, 어느 정도의 암모니아성 가스 처리는 성공하였으나 분해 또는 발효 과정에서 발생하는 유기산에 의한 악취는 거의 처리하지 못해 별도의 각종 필터 등과 함께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 역시 확실한 탈취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분해 반응조 내에 인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복합 제제의 호기성 미생물을 이용하여 단 시간에 효율적으로 처리하고, 또한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될 때 발생되는 악취 가스를 열교환기와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를 탑재한 탈취기를 이용하여 완벽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합 제제의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도록 음식물 쓰레기를 적당하게 절단 및 파쇄하고, 분해 반응조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합하게 유지하며, 분해 반응조내에 적절한 양의 산소를 공급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의 탈취 조건이 최상의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덮개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를 갖는 본체와, 투입구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 및 짓이기는 파쇄기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복합 호기성 미생물 제제에 의해 분해 및 소멸시키는 분해 반응조와, 파쇄기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반응조로 보내는 이송수단과, 분해 반응조에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와 호기성 미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과, 분해 반응조내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분해 반응조에 부착 설치된 제 1히터부와, 분해 반응조 내에 습도량을 감지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습도계측센서와, 분해 반응조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히터부와, 분해 반응조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를 갖는 탈취기와, 백금 촉매로 이송되는 악취가스를 고온의 적합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제 3히터부와, 분해 반응조의 일측에 설치되어 탈취기로 이송되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여과하는 필터와, 분해 반응조와 탈취기를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어 탈취기로 공급되는 악취가스와 탈취기에서 필터링되어 배기되는 배기가스 간의 열을 교환해 주는 열 교환기와, 열 교환기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이송되는 관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보내는 배기구와, 장치 및 수단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부분 절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연동관계를 나타낸 개략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서 파쇄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및 평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분해 반응조 및 이송수단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필터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히이박스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열 교환기 및 탈취기의 구성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서 열 교환기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서 탈취기의 부분 절개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 본체 4: 덮개
4a: 투입구 6: 배기관
8: 배기구 10: 콘트롤부
100: 파쇄기 110: 케이싱
110a: 안내부 110b: 배출공
112: 구동축 114: 종동축
116: 구동기어 118: 종동기어
112a,114a: 파쇄용 산형 기어
112b,114b: 절단용 스프로켓 111: 스크래퍼
120: 구동수단 122: 구동모터
124: 제 1구동 스프로켓 126: 제 1종동 스프로켓
127: 아이들 스프로켓 128: 체인
200: 이송수단 210: 연결관
212: 이송 스크류 300: 분해 반응조
310: 교반수단 312: 중심축
314: 제 2구동모터 326: 제 2구동 스프로켓
328: 제 2종동 스프로켓 320: 체인
322: 교반용 아암 324: 날개편
326: 분산부재 400: 제 1히터부
500: 히터박스 502: 공기 유입공
504: 차단판 506: 제 2히터부
508: 온도계측센서 510: 연장관
512: 밸브 600: 필터박스
602: 필터 604: 습도계측센서
608: 이송관 700: 열 교환기
702: 원통 케이싱 703: 분배관
704: 배송관 706: 방열편
800: 탈취기 802: 유도통
804: 탈취통 806: 방열 측사판
808: 유도로 810: 제 3히터부
812: 백금 촉매 814: 과열방지센서
816: 고정판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같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상부 일측에 덮개(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4a)가 형성된 본체(2)를 가지고, 본체(2)의 일측에는 본 발명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0)가 설치되며, 이 콘트롤부(10)는 본체(2)의 상부 일측에 마련된 조작 버튼부(9)에 의해 조작된다.
그리고, 본체(2)의 투입구(4a)를 통해 인입된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기(100)를 통해 분쇄된다.
도 3a와 도 3b를 참조하면, 파쇄기(100)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안내하는 안내부(110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110b)가 형성된 케이싱(110)을 가지며, 이 케이싱(110)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서로 나란하게 구동축(112) 및 종동축(114)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구동축(112)은 구동수단(120)에 의해 회전하게 되는데, 구동수단(120)은 케이싱(110)과 인접한 부분에 설치된 구동모터(112)와, 이 모터의 모터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1구동 스프로켓(124)과, 상기 구동축(112)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 1종동 스프로켓(126)과, 제 1구동 스프로켓(124)의 회전력을 제 1종동 스프로켓(126)으로 전달하는 체인(128)과, 체인(128)의 텐션을 조절하는 아이들 스프로켓(127)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구동축(112)의 회전속도는 분당 약 40∼70회 정도가 바람직하다.
이처럼, 구동수단(120)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112)의 타단부에는 구동기어(116)가 고정적으로 결합되고, 종동축(114)의 단부에는 구동기어(116)와 맞물리는 종동기어(118)가 고정적으로 결합되어 종동축(114)을 회전시키게 된다.여기에서 구동기어(116)과 종동기어(118)은 이빨 수를 다르게 하여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이 서로 다른 속도로 회전하도록 함으로서 투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짓이기면서 분쇄하게 된다. 이 때 구동기어와 종동기어의 이빨 수는 1.2∼1.5 : 1 정도가 가장 적합하며, 모두율은 2정도가 최적이다.
또한,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다수의 파쇄용 산형 기어(112a,114a : 이하, 파쇄용 기어라고 함.)와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이 교호 방식으로 사이사이에 형성되되, 구동축(112)의 절단용 스프로켓(112b)은 종동축(114)의 파쇄용 기어(114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회전하고, 구동축(112)의 파쇄용 기어(112a)는 종동축(114)의 절단용 스프로켓(114b)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마주보며 회전하므로서 소정의 간격 사이로 투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파쇄, 절단 및 짓이기게 된다. 여기에서, 스프로켓을 사용하는 이유는 스프로켓 이빨 사이의 둥근 부분을 이용하여 야채나 과일처럼 가볍고 둥근 물체들을 잘 인입시키기 위해서이며, 무청과 같이 질기고 긴 쓰레기의 절단을 위해 일반 체인 스프로켓의 체인 안착부를 가공전 상태에서 이빨의 단부를 야 1.5∼2.5mm 정도로 날세움을 한 스프로켓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 밥이나 떡처럼 전분질이 많은 음식물 쓰레기가 과다하게 투입되는 경우에 파쇄용 기어(112a,114a)와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의 날에 음식물이 끼이는 현상이 발생되어 성능 저하 및 잦은 청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케이싱(110)의 내측면에는 스크래퍼(111)를 설치하여 파쇄와 동시에 파쇄용 기어(112a,114a)와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의 날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스크래퍼(111)는 날이 손상된 경우에 손쉬운 수선을 위해 동일 몸체로 제작하지 않고, 각각이 분리될 수 있도록 재작하며, 재질은 단단한 뼈나 금속류 등을 고려하여 브뤼넬 경도 130 이상의 탄소강이나 공구강을 이용하여 표면 열처리를 통해 브뤼넬 경도 250 이상으로 사용한다.
하지만, 뼈와 같은 단단한 물질이 인입되는 경우에는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과 파쇄용 기어(112a,114a)의 사이에 끼어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의 회전을 정지시키게 되고, 구동모터(112)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어 구동모터(112)가 소손될 위험이 있으며, 따라서 효율적인 파쇄 작용 등을 위해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커런트 트랜스포머와 같은 전류 검출 수단을 콘트롤부 내에 내장하여 이를 해결함이 바람직하다. 즉,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과 파쇄용 기어(112a,114a)의 사이에 단단한 물질이 끼어 구동모터(112)에 일정 전류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게 되는 경우, 일단 구동모터(112)를 정지시키고 짧은 시간 동안 역회전 및 정회전을 반복시킴으로서 끼어있는 물체의 완전 파쇄 및 구동모터(122)의 보호를 하도록 한다.
또한, 많은 음식물쓰레기가 한꺼번에 인입되거나 단단한 물질이 스프로켓(112b, 114b)과 파쇄용 기어(112a,114a) 사이에 너무 끼어 역회전도 불가한 상황이 일어나는 경우의 대비를 위해 파쇄부(100)에 사용되는 베어링(129)을 트러스트 베어링을 사용하여 역회전할 때, 또는 쓰레기가 한꺼번에 인입되어 심하게 끼인 경우에도 트러스트 베어링(129)의 특성상, 갖고 있는 유격만큼을 이용하여 축(112, 114)이 자동적으로 옆으로 벌어지면서 처리될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파쇄된 쓰레기는 이송수단(200)에 의해 미생물 분해 반응조(300)로 이동하게 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이송수단(200)은 탈취기(800)의 배출구(110b)와 분해 반응조(300)를 연통시키는 연결관(210)과, 이 연결관(2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212)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이송 스크류(212)는 후술하는 분해 반응조(300)의 중심축(312)과 연결되어 함께 회전한다.
여기에서 이송 스크류(212)와 분해 반응조(300)가 만나는 지점은 분해 반응조(300) 내부의 내용물과 부딪혀 상당한 간섭 및 저항이 발생하게 되어 연결관(210)이 막히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보완하기 위해 이송 스크류(212)는 분해 반응조(300) 내로 스크류의 1/2∼3/4 피치 정도를 인입시켜 저항의 발생 지점을 분해 반응조(300)의 내부로 이동시킨다.
이송 스크류(212)에 의해 분해 반응조(300)로 인입되는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는 교반수단(310)에 의해 개발되어 있는 복합 제제의 호기성 미생물과 섞이게 된다.
여기에서 교반수단(310)은 분해 반응조(300)의 일측에 형성된 구동모터(314)에 의해 회전하고 분해 반응조(3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이송 스크류(212)와 연결되는 중심축(312)과, 이 중심축(312)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고정적으로 결합된 다수의 교반용 아암(322)과, 교반용 아암(32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된 다수의 날개편(324)으로 이루진다. 여기에서, 날개편(324)의 각도는 쓰레기의 성상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이송 스크류가 분해 반응조 내로 1/2피치 정도 인입된 경우에는 약 20∼25°정도가 적당하다. 또한, 각 날개편(324)은 서로 간에 각도와 크기를 달리하여 분해 반응조(300) 내의 상,하부에 있는 내용물이 마치 수증기가 대류되는 현상처럼 서로 간에 긴밀한 작용을 하면서 회전하도록 하고, 날개편(324)과 분해 반응조(300)의 내벽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을 둘 수 있는 크기로 부착하되, 내벽 사이에 낀 쓰레기를 중심축의 회전에 따라 측면으로 쉽게 밀어줄 수 있는 각도를 갖도록 한다.
중심축(312)의 회전은 구동모터(314)와, 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제 2구동 스프로켓(326)과, 중심축(312)의 일단부에 결합된 제 2종동 스프로켓(328)과, 제 2구동 스프로켓(326)의 회전력을 제 2종동 스프로켓(328)으로 전달하는 체인(320)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중심축(312)에서 음식물 쓰레기가 유입되는 부분에는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는 원통형상의 분산부재(326)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분산시키게 된다. 즉, 분산부재(326)의 역할은 이송 스크류(212)로 압착되어 이동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중심축(312)에 부착되어 있는 교반용 아암(322)과 그에 부착되어 있는 날개편(324)에 의해 분해 반응조(300)내의 내용물이 회전할 때 생기는 빈 공간으로 저항을 최소화하여 분산 산개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분산부재(326)는 분해 반응조(300)내의 내용물과 투입되어지는 쓰레기의 성분에 따라 약간의 차이가 있기는 하였지만, 부착 위치는 대체적으로 이송 스크류(212)와 근접한 부분 즉 피치의 1/4∼1/2 정도 앞에 부착하고, 크기는 이송 스크류(212) 직경의 1/4∼1/2 의 직경을 갖도록 함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렇게 이동된 음식물 쓰레기는 분해 반응조(300) 내에서 개발되어져 있는 복합 제제의 호기성 미생물에 의해 빠른 시간 내에 분해된다. 이 때,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을 위해 분해 반응조(300)는 적당한 온도를 유지함이 필요하며, 따라서 분해 반응조(300)의 하부에는 분해 반응조(300)내의 온도를 적당하게 유지시키기 위해 분해 반응조(300)를 선택적으로 가열하는 제 1히터부(400)가 부착 설치된다. 여기에서, 분해 반응조(300)내의 온도는 55∼60℃로 설정함이 바람직하다.
실제적으로 미생물에 의한 유기물의 분해열이 음식물 성상에 따라 일부 차이는 보이지만 유기물 1g 분해에 약 2.5∼14.5㎉ 정도의 열량이 발생되어 정상적인 분해 도중에는 제 1히터부(400)가 동작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만, 동절기 또는 차가운 쓰레기가 인입되어 분해 반응조(300) 내부의 온도가 급격히 하강하는 경우에는 제 1히터부(400)가 필요한 것이다.
또한, 외부의 긴온이 급하강하는 동절기에는 투입되는 외부 온기의 온도에 의해 분해 반응조(300) 내의 미생물의 활동에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분해 반응조(300)의 상부 일측에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유입하여 적당한 온도로 가열시켜 분해 반응조(300)내로 공급하는 히터박스(500)가 설치된다.
도 5을 참조하면, 히터박스(500)내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는 제 2히터부(506)가 설치되어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고, 그 상부에는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는 다수의 차단판(504)이 형성되어 공기의 흐름을 안내하고 있으며, 일측에는 온도계측센서(508)가 설치되어 히터박스(500)내의 공기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게 된다. 즉, 온도계측센서(508)는 분해 반응조(300)내의 온도보다 히터박스(500)내의 공기의 온도가 낮은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제 2히터부(506)를 작동시키게 되는데, 여기에서 제 2히터부(506)는 차단판(504)을 가열하게 되므로 공기 유입로 자체는 열 교환기와 같은 효과를 얻게 된다.
그리고, 히터박스(500)의 하부에는 분해 반응조(300)내로 수용되는 연장관(510)이 형성되고, 연장관(510)의 단부에는 공기를 분해 반응조(300)로 공급하는 배기구멍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512)가 설치된다. 여기에서, 밸브(512)는 압력에 의해 작동되는 릴리이프 밸브를 개조하여 소정의 작은 압력에서 가동이 가능하도록 조치하였으나, 전기 밸브나 작은 압력에서 작동 가능한 댐퍼 스위치 및 체크 밸브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분해 반응조(300) 내에서 미생물의 왕성한 분해 활동을 위해서는 온도 외에도 적당한 습도 및 산소 량의 공급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는 습도 유지를 위해 미생물의 생육에 필요한 환경 조건을 항상 유지하도록 습도 계측 센서(604)를 부착하여 증발에 필요한 에어 공급량을 조절하고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분해 반응조(300)의 상부 일측에는 분해 반응조(300)내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가 배기되는 악취가스 배기공(300a)이 형성되고, 그 상면에는 필터박스(600)가 설치된다. 필터박스(600)내에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 위한 필터(602)가 설치된다. 이 필터(602)는 악취가스의 포함된 분진을 최소화하여 후술하는 고온의 탈취기(800) 내에서 연소되며 연기를 발생시키거나 탈취기(800)에 심각한 손상을 입히거나 배기라인 내에서 적체되어 부패성 악취를 발생시키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여기에서, 필터(602)는 주로 반영구적인 사용을 위해 금속재 필터를 사용하였으나, 세라믹이나 수지 종류 및 화성한 필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필터박스(600)의 내측 상부에는 습도계측센서(604)가 설치되어 악취가스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술한 밸브(51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또한, 필터박스(600)의 일측에는 탈취기(800)와 연통되는 이송관(608)이 부착 설치되며, 필터(602)를 통과한 악취가스는 이송관(608)을 통해 열 교환기(700)를 거쳐 탈취기(800)로 이송되어 탈취기(800)에서 악취가 제거되어 신선한 상태로 대기 중으로 배기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열 교환기(700)는 탈취기(800)로 공급되는 악취가스와 탈취기(800)에서 배기되는 배기가스 간의 열을 교환해 주는 것으로, 필터박스(600)에서 연장된 이송관(608)과 연통되어 악취가스가 통과하는 중공의 원통형 케이싱(110)와, 원통형 케이싱(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탈취기(800)에서 여과된 배기가스가 이송되는 다수의 배송관(704)과, 배송관(704)의 외면에 배송관(704)의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방열편(706)과, 다수의 배송관(704)로 동일 유량 및 압력의 배기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분배관(703)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배송관(704)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이 핀 튜브 형태의 3개의 배송관(704)이 삼각형의 형태로 설치되어 서로 엇갈리게 장착되며, 원통형 케이스(702)와의 간극을 최소화하여 최대한으로 열 효율을 높였다.
그리고 도 7과 도 9를 참조하면, 탈취기(800)는 상기 열 교환기(700)의 원통형 케이싱(110)와 연통되되 일측이 개방된 중공의 유도통(802)과 유도통(802)의 내부에 설치된 중공의 탈취통(804)으로 구분되며, 탈취통(804)의 외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40∼50mm 간격으로 외측이 상부로 10∼25°정도 기울어지게 부착된 다수의 방열 측사판(806)이 형성된다. 이 방열 측사판(806)은 유도통(802)과 탈취통(804)의 사이에 형성된 유도로(808)를 따라 악취가스가 안내될 때, 방열 측사판(806)에 부딪히면서 내부 와류를 일으켜 통과되는 악취가스의 지체 시간을 연장하고, 아울러 탈취통(804)으로 인입되기 전의 공기 가스층을 분산시켜 가능한 균질의 압력을 갖도록 함으로 후술하는 탈취통 내부에 장차되는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의 사용 조건에 최대한 부합시키기 위한 것이다. 또한, 필터(602)를 통과한 3 미크론 이하 크기의 극소량의 분진을 방열 측사판(806)에서 발생되는 와류에 의해 떨어뜨리고, 그 분진을 방열측사판(806)에 형성되어 있는 분진 유도로(809)를 통해 제 3히터부(810)의 하부로 유도하여 내부 온도에 의해 자연스럽게 완전 소각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탈취통(804)의 내부에는 인입된 악취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하도록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가 장착되되, 백금 도포량은 사용 공기의 유량에 의거하여 적정한 백금 도포량 만큼의 백금 촉매(812)의 수량을 적층하여 사용하였으며, 적층된 촉매의 사이로 악취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카 알루미나와 같은 고온성 특수재료를 사용하여 마감한다.
그리고, 백금 촉매(812)보다 하부에는 제 3히터부(810)가 설치되며, 이 제 3히터부(810)은 비교적 수명이 긴 파이프 히터를 달팽이 형태로 말아서 사용 에너지용량에 맞는 달팽이 형태의 전기 히터를 3개의 층으로 적층하여 설치되되, 그 간극은 가능한 최소화하고, 하부에 고정판(816)을 부착하여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고르게 열받을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 3히터부(810)와 백금 촉매(812)는 수리할 때 편리하도록 탈착이 가능한 볼팅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제 3히터부(810)의 상부에는 안전을 위해 과열방지센서(814)가 설치되고, 백금 촉매(812)의 하부에는 백금 촉매에 가해지는 온도를 감지하여 제어하기 위한 온도제어센서(815)가 설치된다.
그리고, 백금 촉매(812)에서 여과된 배기가스를 이송시키는 배송관(704)은 열 교환기(700)를 통과하여 본 장치의 외부로 연장된 배기관(6)과 연통되고, 배기관(6)의 단부에 형성된 배기구(8)를 통해 대기로 배기된다. 그리고, 배기구(8)에는 필터(602)가 설치된다.
한편, 투입도어(4)를 열 때 내부의 악취가스가 바깥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투입도어(4)의 일측에 별도의 센서를 부착하여 투입도어(4)의 개방과 동시에 본 장치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송풍 팬이 작동하여 주위의 공기를 투입도어(4)를 통해 흡입함으로서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할 때 누설되는 악취가스를 미연에 방지하였고, 장기간 본 장치에서 내용물이 들어있는 채로 가동하지 않고 세워둔 경우나 간헐적 구동에 의해 송풍 팬이 정지된 경우에는 역류 방지용 밸브(512)에 의해 히터박스(500)의 공기유입공(502)을 통해 악취가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작용 및 작동관계를 설명한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본체(2)의 외부에 형성된 덮개(4)를 열고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구(4a)에 붇는다. 그러면 음식물 쓰레기는 파쇄기(100)의 케이싱(110)에 형성된 안내부(110a)를 따라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의 사이로 인입된다. 이 때 조작 버튼부(9)를 눌르면, 구동수단(120)에 의해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은 회전하게 되고,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에 형성되어 서로 회전하면서 접촉하는 파쇄용 기어(112a,114a)와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에 의해 음식물은 분쇄 및 파쇄되어 배출구(110b)로 배출된다.
여기에서, 파쇄용 기어(112a,114a)와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의 날에 끼는 이물질은 케이싱(110)의 내측에 설치된 스크래퍼(111)에 의해 커팅되어 제거된다.
또한, 음식물 쓰레기로 쉽게 분쇄되지 않는 딱딱한 음식물이 유입되어 구동축(112)과 중심축(312)의 회전이 멈추면, 이를 커런트 트랜스포머와 같은 전류 검출 수단이 감지하여 구동모터(112)를 일단 정지시키고 짧은 시간 동안 역회전 및 정회전을 반복시킴으로 끼어있는 물체를 완전하게 파쇄시키게 된다. 이로 인해, 구동모터(112)가 과전류에 의해 소손되는 것을 보호하게 된다.
이와 같이 파쇄기(100)의 배출구(110b)로 배출된 음식물 쓰레기는 구동모터(314)에 연동되어 회전하는 이송 스크류(212)에 의해 분해 반응조(300)로 이송된다. 그리고, 이송 스크류(212)와 연결되는 중심축(312)에 결합된 교반용 아암(322)은 중심축(312)과 함께 회전하면서 날개편(324)을 통해 유입된 음식물 쓰레기를 교반시키게 된다. 이 때, 음식물 쓰레기와 호기성 미생물은 섞이게 되고, 따라서 분해작용이 신속히 이루어진다.
그리고, 중심축(312)에는 이송 스크류(212)와 인접한 부분에 분산부재(326)가 부착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분해 반응조(300)로 인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유입되면서 산개되어 교반용 아암(322)의 회전을 원활하게 한다.
또한, 교반된 음식물 쓰레기가 잘 분해될 수 있도록 분해 반응조(300)는 호기성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적정 온도를 유지함이 중요하며, 따라서 분해 반응조(300)의 온도가 내려가면 제 1히터부(400)는 이를 감지하여 분해 반응조(300)를 가열시키게 된다.
음식물 쓰레기가 분해될 때 발생되는 가스에는 악취가 수반되기 마련인데, 이 악취가스는 필터박스(600)로 흡입되어 필터박스(600)에 마련된 필터(602)를 거쳐 이송관(608)을 통해 탈취기(800)로 이송된다. 여기에서, 필터(602)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이물질 또는 분진을 여과하여 순수한 악취가스만을 탈취기(800)로 보내게 된다.
이때, 필터박스(600)내에 설치된 습도계측센서(604)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습도를 감지하여 히터박스(500)의 저면에 설치된 밸브(5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게 된다.
즉, 히터박스(500)의 일측면 상부에 형성된 공기 유입공(502)을 통해 유입된 공기는 온도계측센서(508)가 온도를 감지하여 설정치에 미달하면 제 2히터부(506)를 작동시켜 분해 반응조(300)로 인입되기에 적당한 온도를 유지시킨다. 그리고 이렇게 가열된 공기는 연장관(510)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장관(510)의 단부에 설치된 밸브(512)가 습도계측센서(604)에서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선택적으로 연장관(510)을 개폐하여 연장관(510)내에 충진된 공기를 분해 반응조(300)로 공급하게 된다. 이처럼 공기에 포함된 습기와 산소에 의해 분해 반응조(300)는 항상 적절한 습도 유지 및 산소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송관(608)을 통해 탈취기(800)로 이송되는 악취가스는 백금 촉매를 통과할 때 산화 치환이 용이하도록 열 교환기(700)를 거치면서 예열된다. 즉, 이송되는 악취가스는 열 교환기(700)의 원통 케이싱(702)을 통과하여 탈취기(800)로 유입되고 탈취기(800)에서 배출되는 고온의 배기가스는 하이핀 튜브 형태로 된 배송관(704)을 따라 이송된다. 이 때, 배기가스에 포함된 열은 배송관(704)의 벽체를 거쳐 배송관(704)의 외면에 형성된 스크류 형상의 방열편(706)을 통해 방사되고, 원통 케이싱(702)로 유입되는 악취가스는 스크류 형상의 방열편(706)을 따라 흐르면서 방사되는 열을 받아 열 교환이 일어나게 된다. 여기에서 방열편(706)의 피치, 수량 그리고 방열편(706)과 원통 케이싱(702)간의 간격 및 유량의 조절에 따라 열 교환율은 변하게 되며, 최상의 열 교환율이 발생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예열된 악취가스는 이중 구조로 되어 있는 탈취기(800)로 이송되어 먼저 유도통(802)과 탈취통(804)의 사이에 마련된 유도로(808)를 따라 흐르게 된다. 이 때, 탈취통(804)의 외면에는 방열 측사판(806)이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개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유입된 악취가스는 방열 측사판(806)에 의해 와류를 일으켜 탈취통(804)으로 유입되는 시간이 연장된다. 또한, 방열 측사판(806)은 탈취통(804)으로 인입 되기 전의 가스층을 분산시켜 가능한 균질 압력을 갖도록 도와 준다. 또한, 제 3히터부(810)의 열로 인해 방열 측사판(806)은 일정한 열을 가지게 되고, 따라서 방열 측사판(806)을 통과하는 악취가스는 또 한번 예열된다.
이와 같이 탈취통(804)으로 인입되는 악취가스는 균질의 압력과 일정한 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를 통과하면서 완벽하게 여과되어 악취가 제거된다. 이 때, 탈취통(804)의 하부에서 3개의 층으로 형성된 제 3히터부(810)는 백금 촉매(812)가 여과기능을 잘 수행할 수 있도록 백금 촉매(812)를 일정 온도로 가열한다. 여기에서 백금 촉매(812)는 약 340℃ 이상으로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제 3히터부(810)의 온도는 과열방지센서(814)에 의해 감지 및 제어되고, 백금 촉매(812)는 온도제어센서(815)에 의해 일정온도 이상으로 과열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실험해 본 결과, 열 교환부(700)로 인입되는 악취가스의 온도는 약 45℃이고, 열 교환부 (700)를 통과하여 탈취부(800)로 인입되는 가스의 온도는 약 182℃이며, 제 3히터부(810)에 의해 가열되고 귀금속 촉매에 의해 탈취된 고온의 가스가 열 교환부(700)로 인입되는 가스의 온도는 약 346℃이고, 열 교환부(700)에서 열 교환 후 배출되는 배기 가스의 온도는 약 220℃를 얻을 수 있었다. 이로서 열 교환부(700)의 효율은 약 70% 정도가 되며, 탈취부(800)의 백금 촉매(812)에 의한 발열 반응을 제외하더라도 약 56% 이상의 효율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여과된 배기가스는 배송관(704)을 통해 배기관(6)으로 이송되고, 배기관(6)의 단부에 형성된 배기구(8)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배기된다. 이 때, 배기구(8)에 마련된 필터(602)에 의해 배기가스는 한번 더 여과되므로 완벽한 여과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복합제제의 미생물을 이용하여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및 소멸시켜 처리하는데 있어서 파쇄기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를 적당한 크기로 절단 및 파쇄시키고, 분해 반응조내의 온도 및 습도를 적합하게 유지 및 적절한 산소를 공급해 주어 복합 제제의 호기성 미생물의 활동을 활발하게 유지시켜 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분해 작용이 활발하게 일어나게 되며, 따라서 음식물의 소멸 또는 감량처리가 신속하고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장치는 탈취기를 통해 음식물을 분해할 때 발생되는 악취가스에서 악취를 완벽하게 제거하므로 대기 오염을 방지하고, 열 교환기를 사용하여 배기가스의 폐열을 최대한 활용함으로 에너지 효율을 높여 유지관리비 차원에서 경쟁성을 향상시킨 이점이 있다.

Claims (12)

  1. 덮개(4)에 의해 선택적으로 개폐되는 투입구(4a)를 갖는 본체(2)와;
    상기 투입구(4a)로 공급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절단, 분쇄 및 짓이기는 파쇄기(100)와;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수용하여 복합 호기성 미생물 제제에 의해 분해 및 소멸시키는 분해 반응조(300)와;
    상기 파쇄기(100)에서 분쇄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반응조(300)로 보내는 이송수단(200)과;
    상기 분해 반응조(300)에 공급된 음식물 쓰레기와 호기성 미생물을 교반시키는 교반수단(310)과;
    상기 분해 반응조(300)내의 온도를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할 수 있는 적정 온도로 유지하기 위해 상기 분해 반응조(300)에 부착 설치된 제 1히터부(400)와;
    상기 분해 반응조(300) 내에 습도량을 감지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습도계측센서(604)와;
    상기 분해 반응조(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는 제 2히터부(506)와;
    상기 분해 반응조(300)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의 악취를 제거할 수 있도록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를 갖는 탈취기(800)와;
    상기 백금 촉매(812)로 이송되는 악취가스를 고온의 적합한 온도로 가열시키는 제 3히터부(810)와;
    상기 분해 반응조(300)의 일측에 설치되어 탈취기(800)로 이송되는 악취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여과하는 필터(602)와;
    상기 분해 반응조(300)와 탈취기(800)를 연결하는 라인에 설치되어 탈취기(800)로 공급되는 악취가스와 탈취기(800)에서 필터링되어 배기되는 배기가스 간의 열을 교환해 주는 열 교환기(700)와;
    상기 열 교환기(700)를 통과한 배기가스가 이송되는 관과 연통되어 배기가스를 대기 중으로 보내는 배기구(8)와;
    상기 장치 및 수단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콘트롤부(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쇄기(100)는 상부에 음식물 쓰레기를 안내하는 안내부(110a)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배출구(110b)가 형성된 케이싱(110)와,
    상기 케이싱(11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구동축(112) 및 종동축(114)과,
    상기 구동축(112)을 회전시키는 구동수단(120)과;
    구동축(112)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구동기어(116)와,
    종동축(114)의 일단부에 결합되어 구동기어(116)와 맞물리는 종동기어(118)와,
    상기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에 각각 교호로 형성된 다수의 파쇄용 산형기어(112a,114a) 및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과,
    상기 파쇄용 산형 기어(112a,114a)와 절단용 스프로켓(112b,114b)의 날에 이물질이 끼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케이싱(110)의 내측에 탈착가능하도록 장착된 스크래퍼(111)로 구성되되,
    상기 구동축(112)의 파쇄용 산형 기어(112a)는 상기 종동축(114)의 절단용 스프로켓(114b)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하고, 상기 구동축(112)의 절단용 스프로켓(112b)은 상기 종동축(114)의 파쇄용 산형 기어(114a)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축(112)과 종동축(114)의 회전 속도를 1.2∼1.5 : 1 정도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수단(120)은 구동모터(112)와, 구동모터(112)의 모터축에 결합된 제 1구동 스프로켓(124)과, 상기 구동축(1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체인(128)에 의해 제 1구동 스프로켓(124)과 연동되는 제 1종동 스프로켓(126)과, 체인(128)의 텐션을 조절하는 아이들 스프로켓(127)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수단(310)은 분해 반응조(300)의 내부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중심축(312)과, 상기 분해 반응조(300)의 일측에 설치된 구동모터(314)와, 구동모터(314)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 2구동 스프로켓(326)과, 상기 중심축(312)의 단부에 결합되어 체인(320)에 의해 제 2구동 스프로켓(326)과 연동되는 제 2종동 스프로켓(328)과, 상기 중심축(312)상에 소정의 간격을 두고 결합된 다수의 교반용 아암(322)과, 교반용 아암(322)에 형성된 다수의 날개편(324)으로 이루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축(312)에서 상기 이송 스크류(212)와 근접한 부분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벌어지는 원통형상의 분산부재(326)가 형성되어 유입되는 음식물 쓰레기를 산개시키는 것을 특징을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수단(200)은 상기 탈취기(800)의 배출구(110b)와 분해 반응조(300)를 연통시키는 연결관(210)과, 상기 중심축(312)과 연결되어 연결관(210)의 내부에서 회전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이송시키는 이송 스크류(21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반응조(300)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분해 반응조(300)의 상부 일측에 상기 제 2히터부(506)를 수용하는 히터박스(500)가 부착 설치되되, 이 히터박스(500)의 일측면 상부에는 공기 유입공(502)이 형성되고, 히터박스(500)의 저면에는 상기 분해 반응조(300)로 수용되는 연장관(510)이 설치되며, 이 연장관(510)의 단부에는 연장관(510)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밸브(512)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해 반응조(300)의 배기라인 상에 설치되어 배기되는 가스의 습도를 감지하여 상기 밸브(512)를 선택적으로 개폐시키는 습도감지센서(604)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 교환기(700)는 악취가스가 상기 탈취기(800)로 이송될 때 통과하는 중공의 원통 케이싱(702)와, 원통 케이싱(702)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탈취기(800)에서 여과된 배기가스가 이송되는 하이핀 튜브형태의 배송관(704)과, 이 배송관(704)의 입구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가스의 압력과 유향을 균일하게 분배하는 분배관(703)과, 배송관(704)의 외면에 형성되어 배송관(704)의 열을 방출시키는 스크류 형상의 방열편(706)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취기(800)는 상기 열 교환기(700)의 원통 케이싱(702)과 연통되도록 설치된 유도통(802)과,
    유도통(802)의 내부에 연통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분배관(703)과 연통되는 중공의 탈취통(804)과,
    탈취통(804)의 외부에 외측이 상부로 10∼25°정도 기울어지게 부착된 다수의 방열 측사판(806)과,
    탈취통(804)의 내부에 설치되어 인입된 악취가스에서 악취를 제거하는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와,
    백금 촉매(812)보다 하부에 내구성이 강한 파이프 히터를 달팽이 형태로 말아서 다수의 층으로 적층하여 설치되되, 고정판(816)으로 고정하여 통과하는 악취가스가 고르게 열 받을 수 있도록 한 제 3히터부(8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금속형 백금 촉매(812)의 사이로 악취가스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카 알루미나와 같은 고온성 특수재료를 사용하여 실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0000010227A 2000-02-29 2000-02-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100848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227A KR20010084875A (ko) 2000-02-29 2000-02-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10227A KR20010084875A (ko) 2000-02-29 2000-02-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84875A true KR20010084875A (ko) 2001-09-06

Family

ID=19651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10227A KR20010084875A (ko) 2000-02-29 2000-02-29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0084875A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89A (ko) * 2002-05-03 2003-11-07 (주)유성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악취를 소거하는 장치를 장착한소멸 처리 장치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8818B1 (ko) * 2006-10-02 2008-01-28 (주)더블유알이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제조장치.
KR100813342B1 (ko) * 2006-12-15 2008-03-12 강준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03676B1 (ko) * 2007-03-15 2009-06-18 최영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KR101125143B1 (ko) * 2009-07-10 2012-03-19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폐기물 및 오폐수슬럿지의 소멸처리장치
KR101124743B1 (ko) * 2009-09-18 2012-03-23 양재식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KR200465495Y1 (ko) * 2007-12-31 2013-02-28 주식회사 동양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10756292A (zh) * 2019-10-18 2020-02-07 上海市机电设计研究院有限公司 楔形体伸缩式垃圾贮仓渗滤液导流装置
WO2020197143A1 (ko)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금호환경 탈취장치
KR20200112563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금호환경 탈취장치
KR20220021113A (ko) * 2020-08-13 2022-02-22 정도테크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6189A (ko) * 2002-05-03 2003-11-07 (주)유성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악취를 소거하는 장치를 장착한소멸 처리 장치
KR100737942B1 (ko) * 2006-09-06 2007-07-13 (주)나노테크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98818B1 (ko) * 2006-10-02 2008-01-28 (주)더블유알이 가축분뇨를 이용한 퇴비제조장치.
KR100813342B1 (ko) * 2006-12-15 2008-03-12 강준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03676B1 (ko) * 2007-03-15 2009-06-18 최영철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용 탈취필터
KR200465495Y1 (ko) * 2007-12-31 2013-02-28 주식회사 동양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KR101125143B1 (ko) * 2009-07-10 2012-03-19 주식회사 한국한신테크노 폐기물 및 오폐수슬럿지의 소멸처리장치
KR101124743B1 (ko) * 2009-09-18 2012-03-23 양재식 음식물 쓰레기를 포함하는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WO2020197143A1 (ko) * 2019-03-22 2020-10-01 주식회사 금호환경 탈취장치
KR20200112563A (ko) * 2019-03-22 2020-10-05 주식회사 금호환경 탈취장치
CN110756292A (zh) * 2019-10-18 2020-02-07 上海市机电设计研究院有限公司 楔形体伸缩式垃圾贮仓渗滤液导流装置
KR20220021113A (ko) * 2020-08-13 2022-02-22 정도테크주식회사 유기성 폐기물 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10084875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3561878B (zh) 有机性废弃物处理装置
ES2242071T3 (es) Procedimiento para el tratamiento de residuos e instalacion de tratamiento.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JP2002096047A (ja) 生ゴミ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並びに該処理方法によって得られた有機肥料及び該生ゴミ処理方法に使用される醗酵助材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CN1953826A (zh) 垃圾处理装置
JP3303892B2 (ja) 生ゴミの高速発酵処理装置
KR100289070B1 (ko) 유기성 폐기물 건조차량
KR20017435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2619391B1 (ko) 유기성 폐기물 소멸 처리장치
KR20060057501A (ko) 제 처리의 병행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소멸화 처리방법 및 장치
KR100470686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및 방법
JP4045316B2 (ja) 使用済み紙おむつ処理装置及び発酵処理装置
KR10026327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40111238A (ko) 음식물 쓰레기 소멸화 장치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N212864589U (zh) 一种餐厨垃圾降解设备
KR102303974B1 (ko) 발효·분해작용을 활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002079224A (ja) 生ごみ処理装置
KR20020083850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52279B1 (ko) 쓰레기 처리 장치
KR19980077019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203924B1 (ko) 하수.분뇨 슬럿지의 퇴비화장치
KR200289676Y1 (ko) 음식물 쓰레기 파쇄 및 악취를 소거하는 장치를 장착한소멸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