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20707Y1 -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 Google Patents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20707Y1
KR200420707Y1 KR2020060010371U KR20060010371U KR200420707Y1 KR 200420707 Y1 KR200420707 Y1 KR 200420707Y1 KR 2020060010371 U KR2020060010371 U KR 2020060010371U KR 20060010371 U KR20060010371 U KR 20060010371U KR 200420707 Y1 KR200420707 Y1 KR 200420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stirring
filter
discharge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6001037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남월
Original Assignee
백남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남월 filed Critical 백남월
Priority to KR202006001037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2070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20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207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6/00Filter circuits or combinations of filters with other separating devices
    • B01D36/003Filters in combination with devices for the removal of liquids
    • B01D36/008Means to filter or treat the separated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6Catalytic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27/00Means for mixing, agitating or circulating fluids in the vessel
    • C12M27/02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 C12M27/06Stirrer or mobile mixing elements with horizontal or inclined stirrer shaft or axi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MAPPARATUS FOR ENZYMOLOGY OR MICROBIOLOGY; APPARATUS FOR CULTURING MICROORGANISMS FOR PRODUCING BIOMASS, FOR GROWING CELLS OR FOR OBTAINING FERMENTATION OR METABOLIC PRODUCTS, i.e. BIOREACTORS OR FERMENTERS
    • C12M41/00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 C12M41/12Means for regulation, monitoring, measurement or control, e.g. flow regulation of tempera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icro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체(2)내에 구비된 교반통(5) 외측으로 히터(4)와, 내부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6)상에 다수의 교반날개를 설치하되, 상기 교반날개(10)는 음식물의 감김을 방지하도록 "V"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교반통(5)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외기흡입공(11),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15)이 연결된 내기배출공(12)을 형성하여 상기 배출관(15)으로 강제 흡입 배출을 위한 배기팬(20)과, 배출가스내의 악취, 수분제거 및 살균처리를 위한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 은나노필터(23) 및 촉매필터(24)를 다단계로 구비하므로서;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삼나무칩, 미생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며 혼합 교반하면서 산소공급, 적정 수분공급에 의한 미생물 활성화로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소멸처리하되, 교반익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교반처리함은 물론 상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가스 및 수분을 정화하여 배출하므로서 환경 및 대기 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는데 그 특징이 있다.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소멸처리, 미생물, 교반통, 악취제거, 수분제거

Description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Food sweepings annihilating apparatus to use microbe}
도 1은 본 고안의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의 측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의 작동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본체 5: 교반통
10: 교반익 11: 외기흡입공
12: 내기배출공 15: 배출관
20: 배기팬 21: 나노정수필터
22: 숯활성탄 23: 은나노필터
24: 촉매필터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정 온도, 산소공급 및 적정 수분으로 미생물을 활성화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소멸 처리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과를 높이므로 처리효율을 극대화함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가스, 수분제거 및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여 배출하므로 환경 및 대기 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서 발생되는 음식물 쓰레기는 가정이나 음식점, 집단급식소 등에서 배출되는 발생량이 전체의 9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음식물쓰레기중 극히 일부만이 가축사료 및 퇴비 등으로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매립 등에 의한 방식으로 처리되고 있다.
이와 같이 매립처리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침출수 등으로 인해 환경 오염을 유발함은 물론 쓰레기가 분해되면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하고 병원균이 자생하여 인간의 건강 및 위생에 직접 또는 간접적인 악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또한 상수원을 오염시키는 심각한 문제를 유발하였다.
또한, 늘어나는 음식물쓰레기로 인해 쓰레기 매립장의 신설이 요구되고 있고, 이는 비용이나 장소 등의 어려움으로 사회적으로 커다란 이슈가 되고 있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를 위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다수의 형태로 개시된 바 있다.
이러한 종래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주로 음식물을 파쇄하고 톱밥 등의 수분조절재와 함게 교반하면서 탈수, 건조 등에 의해 처리하므로서 그 배출량을 줄임은 물론 음식물쓰레기의 재활용을 더욱 확대할 수 있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단순히 탈수, 건조 처리하는 방식으로는 음식물쓰레기의 량을 극감시킬 수 없으며, 이와 같이 1차 처리된 음식물쓰레기는 음식물 자체의 염분 농도가 높아 일부만 재활용되고 나머지는 다시 종래와 같이 매립처리하므로 근본적인 문제 해결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개시된 바와 있는데, 이는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통내에 미생물, 목재칩과 함께 투입하여 적정 온도에서 교반, 숙성을 반복하면서 활성화 처리하므로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량을 극감되게 소멸 처리하도록 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 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의 효과적인 교반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에 미생물의 활성화가 저하되는 효과적인 처리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 종래의 교반수단은 단순히 봉형태나 판형로만 되어 있어 음식물쓰레기가 상기 교반수단에 엉키면서 효과적인 교반을 이룰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종래 장치는 음식물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가스나 수분의 처리가 미흡하고, 이를 그대로 외부로 배출하기 때문에 부가적인 환경오염을 유발함은 물론 상기 처리장치의 설치장소에 큰 제약을 갖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기한 문제로 인해 처리장치를 가정이나 아파트, 학교와 같은 공공장소에서의 설치가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 로서, 적정온도, 산소공급 및 적정 수분으로 미생물을 활성화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효과적으로 소멸 처리하되, 상기 음식물 쓰레기의 교반효과를 높이므로 처리효율을 극대화함과, 음식물 쓰레기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가스, 수분제거 및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여 배출하므로 환경 및 대기 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목적은,
본체내에 구비된 교반통 외측으로 히터와, 내부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상에 다수의 교반날개를 설치하되,
상기 교반날개는 음식물의 감김을 방지하도록 "V"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교반통에는 공기 유입을 위한 외기흡입공,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관이 연결된 내기배출공을 형성하여 상기 배출관으로 강제 흡입 배출을 위한 배기팬과, 배출가스내의 악취, 수분제거 및 살균처리를 위한 나노정수필터, 숯활성탄, 은나노필터 및 촉매필터를 다단계로 구비한 것에 의해 달성된다.
이하 상기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즉,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교반통(5)을 구비하고, 그 외측으로 히터(4)와 내부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6)상에 다수의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교반통(5)내에서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을 반복 교반하면서 활성화하여 분해, 소멸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5)내의 교반날개(10)는 음식물의 감김을 방지하도록 "V"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교반통(5)에는 일측에 공기 유입을 위한 외기흡입공(11), 타측에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내기배출공(12)을 형성하여 상기 내기배출공(12)에 연결되는 배출관(15)으로 강제 흡입 배출을 위한 배기팬(20)과, 배출가스내의 악취, 수분제거 및 살균처리를 위한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 은나노필터(23) 및 촉매필터(24)를 다단계로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에서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걸러진 수분은 회수라인(25)을 통해 다시 교반통(5)내의 적정 수분 유지를 위해 재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배출관(15)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기흡입공(11)에 다시 연결 형성하여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 은나노필터(23) 및 촉매필터(24)에 의해 다단계로 정화 처리된 배출가스를 재 순환 공급하도록 변형되게 구성할 수도 있게 된다.
미설명부호로서, 3은 본체(2)의 개폐도어를 나타내는 것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체(2)의 상부 개폐도어(3)를 개방한 상태로 내부 교반통(5)내에 삼나무칩과 함께 미생물을 투입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교반통(5) 외측의 히터(4)가 작동하여 교반통 내부 온도를 30℃ 정도로 자동 유지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교반통(5)내에 처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쓰레기를 투입하면, 상기 음식물쓰레기내에 포함된 수분이 삼나무칩에 흡수되면서 미생물을 활동의 촉진시키게 된다.
이와 함께 상기 교반통(5)내의 회전축(6)을 회전구동하므로서 다수의 교반날개(10)가 음식물쓰레기를 삼나무칩, 미생물과 함께 혼합 교반하게 되는데, 이 과정을 20분 교반작동- 40분 정지- 다시 20분 교반작동 하는 형태로 반복적으로 행하면서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 처리과정중에 상기 교반통(5)은 일측의 외기흡입공(11)을 통해 외부공기가 공급되면서 미생물에 산소를 공급하므로 미생물 활성화에 따른 음식물쓰레기의 처리효율을 높이게 되고, 또한 상기 교반통(5)내의 배출가스는 내기배출공(12)을 통해 배출관(15)으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15)에 연결된 배기팬(20)에 의해 배출가스의 배출을 촉진하므로 상기 교반통(5)내의 산소공급을 원활히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배출관(15)으로 배출되는 배출가스는 악취와 각종 세균 및 수분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는 1차로 나노정수필터(21), 2차로 숯활성탄(22), 3차로 은나노필터(23) 및 4차로 촉매필터(24)를 통과하면서 악취, 수분제거는 물론 각종 세균을 살균처리하여 배출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에서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걸러진 수분은 회수라인(25)을 통해 다시 교반통(5)내의 적정 수분 유지를 위해 재 공 급되므로 상기 교반통내의 수분을 60~70% 정도로 적정하게 유지하므로 음식물쓰레기의 미생물을 활동의 촉진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통(5)내에서 반복 교반하면서 미생물에 의해 활성화 처리하되, 계속적인 산소공급과 적정한 온도, 수분공급으로 미생물에 의해 효과적으로 분해 소멸처리되면서 음식물쓰레기의 처리량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상기 교반통(5)내에는 음식물쓰레기를 계속 반복하여 투입하여 주기만 하면 음식물스레기가 소멸처리되기 때문에 매우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정화처리된 배출가스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정화처리된 배출가스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배출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교반통(5)의 외기흡입공(11)으로 재 순환공급하도록 하므로서 내부 공기의 외부 배출을 차단하므로 본 고안의 장치가 설치된 주변의 환경을 더욱 쾌적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변형 실시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 때문에 본 고안의 처리장치는 가정, 아파트 및 학교와 같은 공공장소에서도 효과적으로 적용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음식물쓰레기의 소멸처리장치는 음식물쓰레기와 함께 삼나무칩, 미생물을 적정 온도로 가열하며 혼합 교반하면서 산소 공급, 적정 수분공급에 의한 미생물 활성화로 효과적으로 음식물쓰레기를 분해, 소멸처리하되, 교반익의 구조를 개선하여 음식물쓰레기를 효과적으로 교반처리함은 물론 상기 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악취 가스 및 수분을 정화하여 배출하므로서 환경 및 대기 오염의 문제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3)

  1. 본체(2)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한 교반통(5)을 구비하고, 그 외측으로 히터(4)와 내부로 구동모터(M)에 의해 회전구동하는 회전축(6)상에 다수의 교반날개를 설치하여 교반통(5)내에서 음식물쓰레기와 미생물을 반복 교반하면서 활성화하여 분해, 소멸 처리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교반통(5)내의 교반날개(10)는 음식물의 감김을 방지하도록 "V"형 단면으로 형성하고,
    상기 교반통(5)에는 일측에 공기 유입을 위한 외기흡입공(11), 타측에 배출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내기배출공(12)을 형성하여 상기 내기배출공(12)에 연결되는 배출관(15)으로 강제 흡입 배출을 위한 배기팬(20)과, 배출가스내의 악취, 수분제거 및 살균처리를 위한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 은나노필터(23) 및 촉매필터(24)를 다단계로 구비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에서 배출가스에 포함되어 걸러진 수분은 회수라인(25)을 통해 다시 교반통(5)내의 적정 수분 유지를 위해 재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관(15)은 외기흡입공(11)에 다시 연결 형성하여 나노정수필터(21), 숯활성탄(22), 은나노필터(23) 및 촉매필터(24)에 의해 다단계로 정화 처리된 배출가스를 재 순환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20060010371U 2006-04-18 2006-04-18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420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71U KR200420707Y1 (ko) 2006-04-18 2006-04-18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60010371U KR200420707Y1 (ko) 2006-04-18 2006-04-18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20707Y1 true KR200420707Y1 (ko) 2006-07-06

Family

ID=41769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60010371U KR200420707Y1 (ko) 2006-04-18 2006-04-18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20707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480B1 (ko) 2006-12-01 2007-03-29 박병열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0784786B1 (ko) 2006-09-12 2007-12-14 윤봉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7554B1 (ko) * 2013-12-30 2014-12-02 송지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529460A (zh) * 2018-11-16 2019-03-29 浙江树人大学 一种室温下气体催化剂的保护方法及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4786B1 (ko) 2006-09-12 2007-12-14 윤봉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01480B1 (ko) 2006-12-01 2007-03-29 박병열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467554B1 (ko) * 2013-12-30 2014-12-02 송지훈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109529460A (zh) * 2018-11-16 2019-03-29 浙江树人大学 一种室温下气体催化剂的保护方法及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148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060741B1 (ko) 전염병 확산방지를 위한 도살처분 방법 및 도살처분 장치, 이를 이용한 사체 유기물의 퇴비화방법
KR200450798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966707B1 (ko) 음식물쓰레기 사료 및 퇴비 자원화 장치
KR200420707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장치
JP4516556B2 (ja) 生物系廃棄物の処理装置
KR100229597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쓰레기 소멸처리방법 및 그 장치
JP3657841B2 (ja) 有機廃棄物処理装置における脱臭装置
KR100263270B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17435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919595B1 (ko) 가축 및 동물의 살처분된 원료를 이용한 자원 재활용시스템
KR200386065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KR200346843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2915903B1 (ja) ゴミ処理装置
JPH11244830A (ja) 有機性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KR20070002404A (ko) 음식물쓰레기 소멸기
KR200169856Y1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 폐기물 분해, 소멸기
JP2971775B2 (ja) 廃棄物処理装置
KR20010076581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소멸식 처리장치
KR20060091924A (ko)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쓰레기 소멸처리장치 및 방법
KR100715271B1 (ko) 응축수 처리용 평막이 장착된 유기성 폐기물 분해장치
KR20160069940A (ko) 음식물 쓰레기 발효 소멸장치
KR980009206A (ko) 유기물 퇴비화 장치
JP4009012B2 (ja) 多孔性無機質分解媒体材を使用した、ディスポーザー付き生ごみ分解消滅機
JPH08117725A (ja) 生ゴミ等処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