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2563A - 탈취장치 - Google Patents

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2563A
KR20200112563A KR1020190038928A KR20190038928A KR20200112563A KR 20200112563 A KR20200112563 A KR 20200112563A KR 1020190038928 A KR1020190038928 A KR 1020190038928A KR 20190038928 A KR20190038928 A KR 20190038928A KR 20200112563 A KR20200112563 A KR 20200112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gas
heat exchange
heater
heat exchanger
exchang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38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15896B1 (ko
Inventor
권상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호환경
권상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호환경, 권상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호환경
Priority to PCT/KR2020/003620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0197143A1/ko
Publication of KR20200112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25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5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5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5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heat trea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wetting, e.g. using surfaces covered with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축산, 농축산물 가공, 오폐수 처리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높은 에너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폐가스가 상기 히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폐가스 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와, 상기 용기의 타측에 형성된 폐가스 배출구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연장되게 배치되는 1 이상의 관형상의 열교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히터의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관의 일단은 상기 히터의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은 상기 열교환관의 타단 또는 상기 폐가스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폐가스는, 폐가스 유동수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폐가스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폐가스 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폐가스 배출구로 배출된 폐가스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진 후,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탈취장치 {DEORDORIZ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물 쓰레기 처리, 축산, 농축산물 가공, 오폐수처리 등의 과정에서 발생하는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악취를 높은 에너지 효율로 제거할 수 있는 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수산 부산물과 같은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하기 위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음식물 쓰레기를 소각하거나, 화학적 방식으로 처리하거나, 생물학적 방식 등으로 처리하고 있다. 이중, 생물학적 방식을 이용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미생물을 이용하여 발효, 분해하도록 구성된다. 즉, 음식물 쓰레기와 호기성 미생물을 접종한 바이오칩의 혼합물을 교반기에 투입하고 전기나 가스 등을 이용하는 가열수단으로 공기와 같은 유체를 가열하여 열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지속적으로 교반(혼합) 함으로써 호기성 미생물들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가 교반기 내부에서 분해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나 오폐수 처리 장치 등을 통해서는 유기물의 분해과정에서 다량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가 발생하며, 이러한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한 많은 노력이 이루어지고 있다.
폐가스에 포함된 유기성 악취 성분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나, 악취 성분의 발생원, 즉 음식물 쓰레기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의 종류, 축산 폐기물의 경우 가축의 종류 등에 따라 악취 성분의 제거효율에 차이가 있으므로, 최근에는 열분해법을 사용하는 것이 다양한 악취 성분의 제거에 매우 효과적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열분해법을 사용할 경우, 그 자체로 에너지 소모량이 많을 뿐 아니라, 환경 기준을 맞추기 위하여 가열된 폐가스의 배출 온도를 낮추기 위하여 급수 처리를 수행하게 됨으로써, 에너지 사용량이 매우 많아, 탈취 처리 비용이 현저하게 증가하여, 탈취에 열분해법의 사용을 막는 주요한 장애 요인이 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30833호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악취 발생원에서 발생한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하면서도 에너지 효율성을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향상시킨 탈취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폐가스가 상기 히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폐가스 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와, 상기 용기의 타측에 형성된 폐가스 배출구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연장되게 배치되는 1 이상의 관형상의 열교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폐가스 배출구는 상기 히터의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관의 일단은 상기 히터의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은 상기 열교환관의 타단 또는 상기 폐가스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폐가스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폐가스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폐가스 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폐가스 배출구로 배출된 폐가스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진 후,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는 탈취장치를 제공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은, 상기 열교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폐가스 유동수단과, 상기 폐가스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2 폐가스 유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폐가스 유입구에는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2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하나의 열교환기에 형성된 각 열교환관의 일단은 다른 열교환기에 형성된 각 열교환관과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폐가스 열교환부와 외기 열교환부의 2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2개의 구분된 공간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폐가스 유입구와 상기 폐가스 배출구는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기 열교환부는 일측에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유입된 외기를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가열한 후 배출하는 외기 배출로가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진 후,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상기 배출된 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습식탈취조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기 배출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타 일측에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장치는, 히터를 통해 열분해된 폐가스가 배출되는 과정에 히터로 유입되는 폐가스의 온도를 높이는 방식으로 열교환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폐가스의 열분해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장치는, 열분해후 배출되는 폐가스의 온도를 환경기준에서 정하는 온도보다 낮게 유지할 수 있어, 폐가스의 온도를 낮추기 위한 별도의 장치 비용과 이의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장치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연결될 경우, 상기 열분해된 폐가스에 포함된 열을 이용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를 가열할 수 있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가동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상세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실시형태에 따른 탈취장치를 사용할 때의 폐가스의 이동 경로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에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사용할 때의 폐가스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사용할 때의 폐가스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사용할 때의 폐가스의 이동 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탈취장치를 사용할 때의 폐가스 및 외기의 이동경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서, 하기의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반복적인 설명은 생략하며, 아울러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것은 고유의 통용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함을 명시한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 1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탈취장치(100)는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는 히터(110)와, 상기 히터(110)의 일 측에 배치된 열교환기(120)와, 상기 열교환기(120)의 일 측에 배치된 폐가스 유동수단(130)으로 대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히터(heater)(110)는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저항선 등에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열을 직접 이용하는 전열기 또는 저항로, 전기난로 전기풍로 등과 같은 전기적인 히터, 가스를 이용하는 가스히터, 온수를 이용하는 온수히터 등 다양한 히터를 이용할 수 있다.
또, 상기 히터(110)는 일 측에 폐가스 유입부(111)가 형성되고 타 일측에는 폐가스 배출부(11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히터(110)는 상기 열교환기(12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유입되는 폐가스의 온도 변화에 따라 동작시간을 달리 하도록 온도 센서(temperature sensor)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상기 폐가스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기 위한 히터(110)의 가열온도가 300℃ 이고, 상기 열교환기(120)를 통해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로 유입되는 폐가스의 온도가 온도 센서에 의해 200℃ 로 감지된 경우, 상기 히터(110)는 폐가스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열분해하기 위한 가열 온도를 300℃가 아닌 100℃만 더 높이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히터(110)의 동작시간을 줄이고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기 위한 가열온도를 종래에 비해 조금만 높이면 되므로 열분해에 필요한 에너지 소모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기 때문에 비용도 현저하게 절감할 수 있다.
또, 상기 히터(110)의 동작시간과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기 위한 가열온도는 배출되는 폐가스의 종류와 악취 성분에 따라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로 유입되어 높은 온도로 열분해된 폐가스는 폐가스 배출부(112)를 통과하여 상기 열교환기(12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져 배출된다.
상기 열교환기(120)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용기(121)와 상기 용기(121)의 일 측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122)와, 상기 용기(121)의 타측에 형성된 폐가스 배출구(123)와, 상기 용기(121)의 내부에 연장되게 배치되는 1 이상의 관형상의 열교환관(124)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에는 유입되는 폐가스의 흐름을 전체로 고르게 유도하여 원활한 열교환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격벽(125)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폐가스 유입구(122)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와 연결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 발생하는 폐가스를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도록 한다. 이때 유입된 폐가스는 상기 열교환관(124)와는 차단된 상태로, 용기(121) 내를 유동하면서 열교환관(124)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폐가스 유입구(122)와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 사이에는 필터(122a)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필터(122a)를 형성함에 따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를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에 포함된 미세한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함으로써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을 오염시키지 않고 폐가스의 원활한 흐름을 이룰 수 있다.
상기 폐가스 배출구(123)는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관(124)의 일단은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배출부(112)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과 연결된다.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은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기(fan)로서 상기 열교환기(120)의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를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키기 위해 흡입로(131)와 배기로(132)를 구비한다.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흡입로(131)는 열교환관(124)과 연결되고, 배기로(132)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습식탈취조(1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00)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인 송풍기가 동작하게 되면 상기 열교환관(124)의 일단과 연결된 흡입로(131)에 의해 폐가스가 빨려들게 된다.
즉, 상기 열교환관(124)의 일단과 연결된 흡입로(13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부터 발생된 폐가스가 폐가스 유입구(122)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때,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배출되는 폐가스의 온도는 약 50℃∼60℃ 정도이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폐가스는 각 격판(125)을 거쳐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와 연결되는 폐가스 배출구(123)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폐가스는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는 폐가스의 온도는 약 150℃∼200℃까지 가열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폐가스 배출구(123)와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를 통해 히터(110)로 유입된 폐가스는 가열되는 히터(110)에 의해 악취 성분이 열분해된다.
이때, 상기 히터(110)는 설정된 온도, 예컨대 약 300℃ 정도로 폐가스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킨다.
계속해서,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후 배출되는 폐가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폐가스의 온도를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약 60℃∼80℃ 를 유지하게 된다.
다음, 상기 열교환기(120)를 빠져나오는 폐가스는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 폐가스는 습식탈취조(140)에 의해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됨과 동시에 폐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대기로 배출되는 폐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과 동시에 폐가스의 배출시 발생하는 수분을 별도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실시예 2]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을 폐가스 유입구(122) 쪽에 배치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히터(110)와 열교환기(120)를 거쳐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은 제2 폐가스 유동수단(130b)으로서 송풍기 또는 통풍기라고도 하는 팬(fan)으로 구성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히터(110)와 열교환기(120)를 거쳐 외부로 원활하게 배기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은 원심형 팬, 축류(軸流)형 팬, 용적(容積)형 팬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교환기(120)의 열교환관(124) 배기측은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습식탈취조(140)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00)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이 동작하게 되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부터 발생된 폐가스가 송풍되어 폐가스 유입구(122)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폐가스는 각 격판(125)을 거쳐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와 연결되는 폐가스 배출구(123)로 배출된다.
상기 폐가스 배출구(123)로 배출된 폐가스는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를 통해 히터(110)로 유입되어 가열되는 히터(110)에 의해 악취 성분이 열분해된다.
계속해서,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후 배출되는 폐가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열교환기(120)를 빠져나가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 폐가스는 습식탈취조(140)에 의해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됨과 동시에 폐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실시예 3]
한편,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을 제1 폐가스 유동수단(130a)과 제2 폐가스 유동수단(130b)으로 구성하고, 상기 제1 폐가스 유동수단(130a)의 흡입로(131)는 열교환관(124)과 연결하고, 배기로(132)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습식탈취조(140)와 연결한다.
그리고, 상기 제2 폐가스 유동수단(130b)은 폐가스 유입구(122)에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히터(110)와 열교환기(120)로 송풍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실시예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을 제1 폐가스 유동수단(130a)과 제2 폐가스 유동수단(130b) 2개 모두 형성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하는 폐가스의 유동을 더욱더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100)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인 제1 폐가스 유동수단(130a)과 제2 폐가스 유동수단(130b)이 동작하게 되면 상기 열교환관(124)의 일단과 연결된 제1 폐가스 유동수단(130a)의 흡입로(131)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부터 발생된 폐가스가 폐가스 유입구(122)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폐가스 유동수단(130b)에 의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부터 발생된 폐가스가 송풍되어 폐가스 유입구(122)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폐가스는 각 격판(125)을 거쳐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와 연결되는 폐가스 배출구(123)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폐가스는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폐가스 배출구(123)와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를 통해 히터(110)로 유입된 폐가스는 가열되는 히터(110)에 의해 악취 성분이 열분해된다.
계속해서,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후 배출되는 폐가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를 통해 열교환기(120)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다음, 상기 열교환기(120)를 빠져나오는 폐가스는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 폐가스는 습식탈취조(140)에 의해 포함된 미세먼지가 제거됨과 동시에 폐가스에 포함된 수분이 제거된다.
따라서, 대기로 배출되는 폐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과 동시에 폐가스의 배출시 발생하는 수분을 별도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실시예 4]
한편,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제4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열교환기(120)를 2개 이상 형성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는 제1 열교환기(120)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제2 열교환기(120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열교환기(120)는 용기(121)의 일 측에 폐가스 유입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용기(121)의 타측에는 폐가스 배출구(123)가 형성된다.
상기 폐가스 배출구(123)는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열교환기(120)를 구성하는 열교환관(124)의 일단은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배출부(112)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2 열교환기(120A)를 구성하는 열교환관(124A)의 일단과 연결된다.
즉, 상기 열교환기(120)는 2개 이상으로 형성될 경우, 제1 열교환기(120)에 형성된 각 열교환관(124)의 일단은 제2 열교환기(120A)에 형성된 각 열교환관(124A)과 상호 연결된다.
또, 상기 제2 열교환기(120A)는 용기(121A)를 폐가스 열교환부(121a)와 외기 열교환부(121b)로 2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폐가스의 열교환과 외기의 열교환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열교환기(120A)는 용기(121A) 내부에 차단벽(W)이 형성되고, 상기 차단벽(W)을 기준으로 폐가스 열교환부(121a) 및 외기 열교환부(121b)가 2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120),(120A)의 내부 공간에는 유입되는 폐가스의 흐름을 전체로 고르게 유도하여 원활한 열교환을 이루도록 복수 개의 격벽(125),(125A)이 지그재그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 열교환기(120A)는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일 측에 폐가스 유입구(122A)가 형성되고, 외기 열교환부(121b)에는 외부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공기공급팬(126)과 외기 유입로(127) 및 외기 배출로(128)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열교환기(120)의 폐가스 유입구(122A)는 상기 제2 열교환기(120A)의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타측과 연결된다.
또, 상기 제2 열교환기(120A)를 구성하는 열교환관(124A)의 타단은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흡입로(13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배기로(132)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습식탈취조(14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외기 배출로(128)는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외기(외부 공기)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탈취장치(100)의 설치 공간이 좁다고 하더라도 쉽게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 열교환기(120)와 제2 열교환기(120A)에 의해 열교환 면적을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부터 발생되어 제1 열교환기(120)와 제2 열교환기(120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에 포함된 악취 성분을 효율적으로 제거시킬 수 있고, 외기(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열교환으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에 적합한 온도를 갖도록 한 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 공급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탈취장치(100)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인 송풍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폐가스가 제1 열교환기(120)와 제2 열교환기(120A)의 열교환관(124),(124A)을 통해 흡입로(131)로 유입된 후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140)로 이동된다.
이에 연동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되는 폐가스는 상기 제2 열교환기(120A)의 폐가스 열교환부(121a)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122A)를 통해 유입되어 폐가스 열교환부(121a)를 거치면서 1차 열교환이 이루어지고 제1 열교환기(120)의 폐가스 유입구(122)를 통해 제1 열교환기(120)의 용기(121)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1 열교환기(120)의 용기(121)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폐가스는 지그재그로 형성된 격벽(125)을 통과하면서 상기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고온의 폐가스와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2차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높은 온도로 상승된 폐가스는 제1 열교환기(120)에 형성된 폐가스 배출구(123)를 통해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로 유입된다.
상기 폐가스 유입부(111)로 유입된 폐가스는 히터(110)로 유입되어 가열되는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되어 악취 성분이 제거된다.
계속해서,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후 폐가스는 다시 제1 열교환기(120)와 제2 열교환기(120A)의 열교환관(124),(124A)을 통해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흡입로(131)로 유입된 후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140)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되어 열교환관(124),(124A)을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되어 열교환기(120),(120A)의 용기(121),(121A)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폐가스의 온도를 환경기준에서 정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면서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wet filter)(1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탈취조(140)는 유입된 폐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폐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따라서, 대기로 배출되는 폐가스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하거나 최소화함과 동시에 폐가스의 배출시 발생하는 수분을 별도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 향상을 이룰 수 있다.
[실시예 5]
한편,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제5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이는 상기 열교환기(120)의 용기(121)를 폐가스 열교환부(121a)와 외기 열교환부(121b)로 2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형성함으로써, 폐가스의 열교환과 외기의 열교환을 다른 공간에서 동시에 이룰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일 측으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부터 발생되는 폐가스를 유입하기 위한 폐가스 유입구(122)가 형성되고,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타 일측에는 폐가스 배출구(123)가 형성된다.
또,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의 일 측으로는 외부 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한 공기공급팬(126)과 외기 유입로(127)가 형성되고,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의 타일측에는 유입후 열교환된 외부 공기(외기)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 공급하기 위한 외기 배출로(128)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20)를 구성하는 열교환관(124)은 폐가스 열교환부(121a)와 외기 열교환부(121b)로 2개의 구분된 공간을 관통하여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를 통해 열교환되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 공급되는 외기의 온도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에 요구되는 온도보다 높은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늘여 적합한 온도로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대로, 상기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 공급되는 외기의 온도가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에 요구되는 온도보다 낮은 경우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량을 줄여 발효, 분해에 적합한 온도로 맞추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타 일측에 형성된 폐가스 배출구(123)는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와 연결되고,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에 형성된 열교환관(124)의 일단은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배출부(1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121a)에 형성된 열교환관(124)의 일단은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흡입로(131)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배기로(132)는 미세먼지 제거를 위한 별도의 습식탈취조(14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외기 배출로(128)는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로 유입되어 열교환된 외기(외부 공기)를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탈취장치(100)의 동작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130)인 송풍기를 동작시키면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폐가스가 폐가스 열교환부(121a)와 외기 열교환부(121b)에 형성된 열교환관(124)을 통해 흡입로(131)로 유입된 후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140)로 이동된다.
이에 연동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에서 발생되는 폐가스는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121a)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어 폐가스 열교환부(121a)를 거치면서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폐가스 배출구(123)를 통해 상기 히터(110)의 폐가스 유입부(111)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히터(110)로 유입된 폐가스는 설정된 온도로 가열되는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되어 악취 성분이 제거된다.
계속해서, 상기 히터(110)에 의해 열분해된 폐가스는 폐가스 배출부(112)를 통해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와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내부에 위치하는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를 통해 폐가스 열교환부(121a)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되는 폐가스와 열교환이 이루어지면서 폐가스의 온도를 환경기준에서 정하는 온도보다 낮은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이 이루어져 열교환관(124)을 통해 배출되는 폐가스는 폐가스 유동수단(130)의 배기로(132)를 통해 습식탈취조(wet fiIter)(140)로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습식탈취조(140)는 유입된 폐가스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제거함과 동시에 폐가스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기공급팬(126)과 외기 유입로(127)에 의해 유입되는 외기(외부 공기)는 상기 외기 열교환부(121b)로 유입되어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외기 배출로(128)를 통해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 공급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기(외부 공기)를 유입, 열교환시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에 적합한 온도로 이루게 한 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200)로 공급시킴으로써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 분해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본 실시예에 의하면 외기를 유입, 열교환시킨 후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로 공급함으로써, 상기 열분해된 폐가스에 포함된 열을 이용하여 산소를 포함하는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여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가동에 필요한 온도의 공기를 제공하여 소요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5에 따른 탈취 장치는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가 만들어지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와 연결된 형태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탈취장치는 이에 제한되어 사용되지 않음은 물론이며, 다양한 형태의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가스를 유발하는 장치 또는 장소에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치환,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로의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100 : 탈취장치 110 : 히터
111 : 폐가스 유입부 112 : 폐가스 배출부
113 : 온도 센서 120, 120A : 열교환기
121, 121A : 용기 121a : 폐가스 열교환부
121b : 외기 열교환부 122, 122A : 폐가스 유입구
122a : 필터 123 : 폐가스 배출구
124, 124A : 열교환관 125, 125A : 격벽
126 : 외기공급팬 127 : 외기 유입로
128 : 외기 배출로 130 : 폐가스 유동수단
130a : 제1 폐가스 유동수단 130b : 제2 폐가스 유동수단
131 : 흡입로 132 : 배기로
140 : 습식탈취조 200 :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laims (7)

  1. 악취 성분을 포함하는 폐가스를 가열하여 악취 성분을 열분해시키는 히터와,
    상기 히터의 일측에 배치된 열교환기와,
    상기 폐가스가 상기 히터와 상기 열교환기를 통해 유동되도록 하는 폐가스 유동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열교환기는 내부에 공간을 구비한 용기와, 상기 용기의 일측에 형성된 폐가스 유입구와, 상기 용기의 타측에 형성된 폐가스 배출구와, 상기 용기의 내부에 연장되게 배치되는 1 이상의 관형상의 열교환관을 포함하고,
    상기 폐가스 배출구는 상기 히터의 유입부에 연결되고,
    상기 열교환관의 일단은 상기 히터의 배출부에 연결되고,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은 상기 열교환관의 타단 또는 상기 폐가스 유입구에 연결되고,
    상기 폐가스는,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에 의해 상기 열교환기의 폐가스 유입구로 유입되어 상기 폐가스 배출구로 배출되고,
    상기 폐가스 배출구로 배출된 폐가스는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진 후,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게 되어 있는, 탈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폐가스 유동수단은, 상기 열교환관의 타단에 연결되는 제1 폐가스 유동수단과, 상기 폐가스 유입구에 연결되는 제2 폐가스 유동수단을 포함하는 탈취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의 폐가스 유입구에는 필터가 구비되는 탈취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2개 이상 구비되어 있고,
    하나의 열교환기에 형성된 각 열교환관의 일단은 다른 열교환기에 형성된 각 열교환관과 상호 연결된, 탈취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는 폐가스 열교환부와 외기 열교환부의 2개의 구분된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열교환관은 상기 2개의 구분된 공간을 관통하여 배치되며,
    상기 폐가스 유입구와 상기 폐가스 배출구는 상기 폐가스 열교환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외기 열교환부는 일측에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 유입로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 유입된 외기를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가열한 후 배출하는 외기 배출로가 형성되어 있는, 탈취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열분해가 이루어진 후, 상기 열교환관을 통해 배출된 폐가스에 포함된 분진을 제거할 수 있는 습식탈취조를 추가로 포함하는, 탈취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기 배출로는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의 타 일측에 연결된, 탈취장치.
KR1020190038928A 2019-03-22 2019-04-03 탈취장치 KR1022158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0/003620 WO2020197143A1 (ko) 2019-03-22 2020-03-17 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32974 2019-03-22
KR20190032974 2019-03-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2563A true KR20200112563A (ko) 2020-10-05
KR102215896B1 KR102215896B1 (ko) 2021-02-16

Family

ID=72809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38928A KR102215896B1 (ko) 2019-03-22 2019-04-03 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589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96A (ko) * 2021-03-29 2022-10-06 이덕우 악취 제거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804B1 (ko) * 2021-08-03 2023-11-23 주식회사 에스티글로벌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146A (ko) * 1997-03-12 1998-11-05 김희용 음식찌꺼기 처리기의 악취발생 제거방법 및 그 탈취장치
KR20010084875A (ko) * 2000-02-29 2001-09-06 김학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27058A (ko) * 2006-09-22 2008-03-26 권상동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KR20110000081A (ko) * 2009-06-26 2011-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101926983B1 (ko) * 2017-06-19 2018-12-07 박원근 식품가공설비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KR20180130833A (ko) 2017-05-30 2018-12-10 유한회사 에코인더스트리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73146A (ko) * 1997-03-12 1998-11-05 김희용 음식찌꺼기 처리기의 악취발생 제거방법 및 그 탈취장치
KR20010084875A (ko) * 2000-02-29 2001-09-06 김학응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27058A (ko) * 2006-09-22 2008-03-26 권상동 폐열 활용가능한 냄새 탈취장치
KR20110000081A (ko) * 2009-06-26 2011-01-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열교환기를 포함하는 음식물 처리기
KR20180130833A (ko) 2017-05-30 2018-12-10 유한회사 에코인더스트리 음식물처리기용 탈취장치
KR101926983B1 (ko) * 2017-06-19 2018-12-07 박원근 식품가공설비용 배기가스 처리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996A (ko) * 2021-03-29 2022-10-06 이덕우 악취 제거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5896B1 (ko) 2021-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251438A1 (en) Apparatus for fermenting and drying at high speed
KR100290027B1 (ko) 음식물 쓰레기의 소멸화장치
KR102215896B1 (ko) 탈취장치
CN104289497B (zh) 一种多段式半连续有机垃圾生物反应装置及方法
KR101864067B1 (ko) 분뇨 건조식 화장실
CN104819521A (zh) 一种智能化手术室用节能型空气处理系统
CN108036337B (zh) 室内浓缩燃烧器
KR20130107101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CN210980565U (zh) 一种纸托烘房的废水回收系统
KR100844915B1 (ko) 제 처리의 병행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 쓰레기의 발효분해 소멸화 처리장치
CN211926614U (zh) 余热回收装置及粪便发酵处理设备
CN208627010U (zh) 一种用于小型焚烧炉的烟气处理系统
JP2006142298A (ja) 食べ物残り生ゴミの発酵分解消滅化処理方法および装置
CN214223130U (zh) 一种voc高效处理设备
CN212640249U (zh) 污泥脱水干化处理废气利用设备
CN212492363U (zh) 一种环保的热量回收设备
CN205443186U (zh) 一种垃圾热解装置
CN212640259U (zh) 污泥深度脱水及干化处理设备
CN209926369U (zh) 垃圾仓除臭系统
JP2006336940A (ja) 脱臭装置及び脱臭装置を備えた生ゴミ処理機
CN111039535A (zh) 污泥深度脱水及干化处理系统
CN108704471A (zh) 一种用于小型焚烧炉的烟气处理系统及烟气处理方法
CN221923513U (zh) 一种可循环处理废气的废气焚烧设备
WO2020197143A1 (ko) 탈취장치
CN210386905U (zh) 一种可净化有机废气的实验室通风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