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46173B1 -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 Google Patents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46173B1
KR102046173B1 KR1020180054410A KR20180054410A KR102046173B1 KR 102046173 B1 KR102046173 B1 KR 102046173B1 KR 1020180054410 A KR1020180054410 A KR 1020180054410A KR 20180054410 A KR20180054410 A KR 20180054410A KR 102046173 B1 KR102046173 B1 KR 102046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food
main body
microorganisms
exti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봉준
Original Assignee
김봉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봉준 filed Critical 김봉준
Priority to KR1020180054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617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6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6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2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by heating or combustion
    • A61L9/03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84Biological 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34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characterised by the microorganism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Abstract

본 발명은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미생물을 통한 효율적인 음식물의 발효 소멸을 유도하는 일체형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주변의 환경오염 및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정제된 가스가 갖는 열원을 이용하는 환경 조성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에너지의 경제적인 사용을 통한 장치의 용이한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 정화수단과 환경 조성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장치의 대량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장치의 단가 절감을 통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Food waste disposal using microorganisms}
본 발명은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는 동시에 대장균, 살모넬라균을 제거함으로써 주변의 환경오염 및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정제된 가스가 갖는 열원을 이용하는 환경 조성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생물이 음식물을 발효 소멸하기 적합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의 발효 소멸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에너지의 경제적인 사용을 통한 장치의 용이한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단지나 음식점 및 가정 등에서 발생되는 쓰레기 중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은 날로 늘어만 가고 있는 실정에 있고, 상기한 음식물류 폐기물은 근래에 들어서면서 쓰레기 종량제 및 자체 처리기 보급사업의 실시에 따라 그 발생량을 줄여보고자 하는 노력이 확산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서, 아파트단지나 음식점 및 가정 등에서 음식물류 폐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음식물 처리기가 다양하게 제안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건조식, 분쇄식(디스포저), 미생물을 이용한 처리기 등이 있다.
그 중,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는 미생물을 통해 친환경적으로 음식물 쓰레기를 분해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종래의 미생물 음식물 처리기는 미생물에 의해 음식물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나 유해가스 및 음폐수를 정화할 별도의 수단이 없어 주변에 불쾌감과 함께 환경오염 및 하수관로의 막힘과 역류현상을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음식물 처리기는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별도의 수단이 없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의 분해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할 뿐만 아니라, 열악한 환경으로 인해 미생물이 개체수가 점차 감소하면서 음식물의 분해 처리 기능이 대폭 저하되어 미생물을 주기적으로 보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생물의 개체수 감소를 방지하고 미생물의 활발한 활동이 유지되도록 별도의 히팅장치를 구비하여 미생물이 활동하기 좋은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히팅장치를 유지하는데 소모되는 비용이 많아 장치의 관리 운영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가정이나 음식점에서 발생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처리에 적용되는 소형화 기기 외에 정부 및 민간에서 운영하고 있는 처리장에서 요구되는 1톤 이상의 플랜트 설비에서도 기존의 기기와 달리 동일하거나 더 우수한 처리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뿐 아니라 음식물류폐기물외 가축분뇨나 인분,하수슬러지등 대다수의 유기성폐기물을 발효소멸시킬 수 있는 기술입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주변의 환경오염 및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정제된 가스가 갖는 열원을 이용하는 환경 조성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에너지의 경제적인 사용을 통한 장치의 용이한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가스 정화수단과 환경 조성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장치의 대량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장치의 단가 절감을 통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는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기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미생물을 통한 효율적인 음식물의 발효 소멸을 유도하는 일체형 관리 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일체형 관리 시스템은 상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가스 정화수단과,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조성수단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스 정화수단은 상기 본체에 수용된 음식물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유통시키는 흡입브로아와, 상기 흡입브로아를 통해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부와, 상기 본체와 상기 흡입브로아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흡입브로아와 상기 정화부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의 가스가 용이하게 유통되도록 안내하는 유통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화부는 상기 흡입브로아를 통해 유통되는 가스로 고온의 열원을 공급하여 가스 냄새를 제거하는 히터부와, 상기 히터부를 통과한 가스에 잔존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백금필터로 구성되며,
상기 환경 조성수단은 상기 본체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습기와, 상기 본체의 하부를 감싸되, 내부에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히팅박스와, 일단은 상기 백금필터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히팅박스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백금필터를 통과한 정제된 고온의 가스를 상기 히팅박스로 공급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히팅박스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히팅박스로 공급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배출파이프의 끝단에는 활성탄을 이용한 활성탄필터;를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에 의하면,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주변의 환경오염 및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가스 정화수단을 통해 정제된 가스가 갖는 열원을 이용하는 환경 조성수단을 통해 본체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에너지의 경제적인 사용을 통한 장치의 용이한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가스 정화수단과 환경 조성수단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장치의 대량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장치의 단가 절감을 통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후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A-A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사용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후면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측면 사시도를,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A-A 단면도를,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의 사용상태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100)는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기(2)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미생물을 통한 효율적인 음식물의 발효 소멸을 유도하는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본체(1)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가스 정화수단(10)과, 상기 본체(1)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조성수단(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은 상기 본체(1)에 수용된 음식물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유통시키는 흡입브로아(11)와, 상기 흡입브로아(11)를 통해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부(12)와, 상기 본체(1)와 상기 흡입브로아(11)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흡입브로아(11)와 상기 정화부(1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1)의 가스가 용이하게 유통되도록 안내하는 유통파이프(13)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정화부(12)는 상기 흡입브로아(11)를 통해 유통되는 가스로 고온의 열원을 공급하여 가스 냄새를 제거하는 히터부(12a)와, 상기 히터부(12a)를 통과한 가스에 잔존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백금필터(12b)로 구성되며,
상기 환경 조성수단(20)은 상기 본체(1)로 적합한 습도의 공기를 공급하는 제습기(21)와, 상기 본체(1)의 하부를 감싸되, 내부에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히팅박스(22)와, 일단은 상기 백금필터(12b)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히팅박스(22)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백금필터(12b)를 통과한 정제된 고온의 가스를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하는 공급파이프(23)와, 상기 히팅박스(22)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2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100)의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을 통해 상기 본체(1) 내부에서 음식물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와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가스를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의 흡입브로아(11)를 통해 강제 흡입하여 상기 정화부(12)로 유통시키고, 그 유통된 가스는 상기 정화부(12)의 히터부(12a)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고온에 노출되면서 가스에 잔존하는 냄새가 연소되어 가스의 악취가 정화(희석)되며, 그 악취가 정화된 가스는 상기 정화부(12)의 백금필터(12b)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백금의 촉매 작용으로 유해가스의 산화반응을 통한 분해(제거)가 유도되어 가스에 잔존하는 유해가스 및 악취가 제거되면서 정화된다.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이 가스 정화수단(10)을 통과하여 정화된 가스는 상기 환경 조성수단(20)을 통해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의 히터부(12a)를 통과한 가스는 고온으로 데워진 상태이므로 상기 가스가 공급 유통되는 상기 히팅박스(22)는 자연스럽게 고온으로 데워지고, 그 데워진 상기 히팅박스(22)에 감싸진 상기 본체(1)는 상기 히팅박스(22)로부터 열원을 공급받아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온도(대략 40~60℃)로 데워져 유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히팅박스(22)로부터 열원을 공급받는 상기 본체(1)가 미생물이 활동하기 바람직한 온도인 40 내지 60℃로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히터부(12a)의 온도를 적합하게 설계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히터부(12a)의 온도는 최소 250℃보다는 높게 형성하여 상기 히터부(12a)를 통해 가스에 잔존하는 냄새가 효과적으로 연소되는 조건은 유지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경 조성수단(20)의 제습기(21)는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의 흡입브로아(11)를 통해 상기 본체(1)의 가스가 흡입되는 만큼 상기 본체(1)로 공기를 공급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습기(21)는 주변의 습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습도의 공기가 공급되도록 한다.
일 예로, 주변의 습도를 기준으로 습도가 50% 미만이면 상기 제습기(21)는 주변의 공기를 그대로 상기 본체(1)로 공급하고, 주변의 습도가 50% 이상이면 공기를 제습하여 공기의 습도를 50% 미만으로 낮춰 공급함으로 상기 본체(1) 내부가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의 유통파이프(13)와 히팅박스(22)와 공급 및 배출파이프(23,24)는 외부로 열원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통상의 단열커버(미도시)로 감싸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파이프(24)의 끝단에는 활성탄을 이용한 활성탄필터(30);를 더 형성되도록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파이프(24)로 배출되는 가스가 상기 활성탄필터(30)를 통과하면서 가스의 악취가 흡착 제거되도록 유도하여 상기 배출파이프(24)로 배출되는 가스가 더욱 정밀하게 정화 배출되도록 유도한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히팅박스(22)의 내부 공간에는 구 형상을 갖는 금속의 흡열구(40);가 다수 충진되며, 그 충진된 상기 흡열구(40)가 서로 접촉되도록 한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을 통과한 고온의 가스는 상기 공급파이프(23)를 통해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되는데, 이때 상기 히팅박스(22)에 충진된 다수의 상기 흡열구(40)로 인해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 유통되는 가스가 골고루 분산 유통되면서 상기 흡열구(40)와 효율적인 열교환이 유도되고, 그 열교환된 상기 흡열구(40)는 상기 히팅박스(22)로 열원을 공급하여 상기 히팅박스(22)가 신속하고 골고루 데워지도록 유도한다.
또한, 상기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의 고장, 수리 등의 이유로 인해 작동이 중지되더라도 데워진 상기 흡열구(40)가 일정시간 동안 열을 머금을 수 있어 상기 흡열구(40)의 열원을 통해 상기 히팅박스(22)의 온도를 일정시간 동안 따뜻하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안정적인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100)는 가스 정화수단(10)을 통해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정화하여 주변의 환경오염 및 불쾌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을 통해 정제된 가스가 갖는 열원을 이용하는 상기 환경 조성수단(20)을 통해 본체(1) 내부의 온도 및 습도를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와 습도로 유지할 수 있어 미생물을 통한 음식물 분해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시에 에너지의 경제적인 사용을 통한 장치의 용이한 운영 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가스 정화수단(10)과 환경 조성수단(20)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를 가짐으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러한 장치의 제작편의성을 장치의 대량생산을 유도할 수 있어 장치의 단가 절감을 통한 장치의 사용범용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용이한 운영관리를 유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100)는 다음과 같이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동시에 본체(1)의 온도를 적합하게 유지한다.
먼저,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분해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가스 정화수단(10)을 통해 흡입하여 가스에 잔존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제거하여 정화하고,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정화된 가스는 환경 조성수단(20)을 통해 본체(1)를 감싸는 히팅박스(22)로 공급되어 가스가 갖는 열원을 본체로 전달하여 본체(1)의 온도가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로 유지되게 한다.
이때,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환경 조성수단(20)의 제습기(22)를 통해 주변의 습도를 고려하여 적합한 습도의 공기를 상기 본체(1)로 공급하여 상기 본체(1) 내부가 미생물이 활동하기 적합한 온도 및 습도로 유지되게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본체 2. 교반기
10. 가스 정화수단 11. 흡입브로아
12. 정화부 12a. 히터부
12b. 백금필터 13. 유통파이프
20. 환경 조성수단 21. 제습기
22. 히팅박스 23. 공급파이프
24. 배출파이프 30. 활성탄필터
40. 흡열구
100.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Claims (5)

  1. 내부에 미생물과 함께 음식물 쓰레기가 수용되는 공간을 가지는 본체(1)와, 상기 본체(1) 내부에 수용된 음식물을 교반하는 교반기(2)를 포함하는 미생물을 이용한 음식물 처리기에 있어서,
    상기 본체(1)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악취 및 유해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고, 상기 본체에 수용된 미생물이 활발하게 활동하도록 환경을 조성하여 미생물을 통한 효율적인 음식물의 발효 소멸을 유도하는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일체형 관리 시스템(110)은 상기 본체(1)에 수용된 음식물이 미생물에 의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정화하는 가스 정화수단(10)과, 상기 본체(1)에 수용된 미생물이 효과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환경 조성수단(2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가스 정화수단(10)은 상기 본체(1)에 수용된 음식물이 발효 소멸되면서 발생되는 가스를 흡입하여 유통시키는 흡입브로아(11)와, 상기 흡입브로아(11)를 통해 흡입된 가스를 정화하는 정화부(12)와, 상기 본체(1)와 상기 흡입브로아(11)를 상호 연결하고, 상기 흡입브로아(11)와 상기 정화부(12)를 상호 연결하여 상기 본체(1)의 가스가 용이하게 유통되도록 안내하는 유통파이프(13)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정화부(12)는 상기 흡입브로아(11)를 통해 유통되는 가스로 고온의 열원을 공급하여 가스 냄새를 제거하는 히터부(12a)와, 상기 히터부(12a)를 통과한 가스에 잔존하는 유해가스를 제거하는 백금필터(12b)로 구성되며,
    상기 환경 조성수단(20)은 상기 본체(1)로 공기를 공급하는 제습기(21)와, 상기 본체(1)의 하부를 감싸되, 내부에는 공기가 유통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히팅박스(22)와, 일단은 상기 백금필터(12b)와 연통되게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히팅박스(22)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백금필터(12b)를 통과한 정제된 고온의 가스를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하는 공급파이프(23)와, 상기 히팅박스(22) 내부와 연통되게 연결되어 상기 히팅박스(22)로 공급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24)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파이프(24)의 끝단에는 활성탄을 이용한 활성탄필터(30);를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팅박스(22)의 내부 공간에는 구 형상을 갖는 금속의 흡열구(40);가 다수 충진되며, 그 충진된 상기 흡열구(40)가 서로 접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KR1020180054410A 2018-05-11 2018-05-11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KR1020461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10A KR102046173B1 (ko) 2018-05-11 2018-05-11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410A KR102046173B1 (ko) 2018-05-11 2018-05-11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6173B1 true KR102046173B1 (ko) 2019-11-19

Family

ID=68771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410A KR102046173B1 (ko) 2018-05-11 2018-05-11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61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866A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미프렉시블 대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13185061A (zh) * 2021-05-11 2021-07-30 吴泽熙 一种带微生物发酵预处理的一体化养殖污水处理装置
CN114432824A (zh) * 2020-10-16 2022-05-06 仪征常众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配件切割加工用万向吸尘处理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05B1 (ko) * 2012-07-13 2013-02-28 주식회사 에코파 에너지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20180002383A (ko) * 2016-06-29 2018-01-08 화성레이져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8305B1 (ko) * 2012-07-13 2013-02-28 주식회사 에코파 에너지 음식물 쓰레기 소멸기
KR20180002383A (ko) * 2016-06-29 2018-01-08 화성레이져테크 주식회사 음식물쓰레기 발효 처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4866A (ko) 2019-12-30 2021-07-08 주식회사 한미프렉시블 대용량 음식물 쓰레기 처리기
CN114432824A (zh) * 2020-10-16 2022-05-06 仪征常众汽车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配件切割加工用万向吸尘处理装置
CN113185061A (zh) * 2021-05-11 2021-07-30 吴泽熙 一种带微生物发酵预处理的一体化养殖污水处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6173B1 (ko) 악취제거 및 음식물의 효율적인 분해 소멸을 유도하는 음식물류 폐기물 발효 소멸처리기
US6698383B1 (en) Method for disposal of excrements of animals kept in a stable and device for implementing said method
OA100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osal and treatment ofwaste
JP2006341249A (ja) 除塵・脱臭システム、除塵・脱臭方法、並びに畜舎
KR101919594B1 (ko) 질병에 감염되어 도살 또는 폐사된 동물의 사체에 대한 무공해 처리방법
WO2020184159A1 (ja) 微生物脱臭装置及び脱臭処理システム
KR200174353Y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30035435A (ko) 악취제거장치
CN111233287A (zh) 一种排泄物处理系统
KR20170025210A (ko) 유기성 폐기물로부터 발생된 악취 제거제와 이를 이용한 악취의 제거방법
JP3696218B2 (ja) 糞尿分解処理剤及び微生物の活性化による糞尿の分解処理方法
KR101308156B1 (ko) 음식물처리기의 탈취장치
KR101383917B1 (ko) 나무 칩을 이용한 탈취 시스템
KR200156952Y1 (ko) 활성부식질을 이용한 탈취장치
KR101146831B1 (ko) 다단 적층 구조형 멀티 팩타워
KR200229825Y1 (ko) 바이오세라믹 담체 및 토착 미생물을 이용한 탈취장치
CN210315857U (zh) 一种移动公厕除臭设备及移动公厕
KR102010285B1 (ko) 동물사체 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동물사체의 친환경 퇴비화방법
JP7450914B2 (ja) 脱臭処理システム
CN214914643U (zh) 一种排气净化式环保公厕
KR102619398B1 (ko) 열교환 및 오존 처리기
CN212633817U (zh) 一种食物垃圾处理器
CN211896576U (zh) 一种排泄物处理系统
JP2605769Y2 (ja) 生物脱臭装置
KR101800616B1 (ko) 배기구 여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