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17328A - 유기물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유기물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17328A
KR20030017328A KR1020020047064A KR20020047064A KR20030017328A KR 20030017328 A KR20030017328 A KR 20030017328A KR 1020020047064 A KR1020020047064 A KR 1020020047064A KR 20020047064 A KR20020047064 A KR 20020047064A KR 20030017328 A KR20030017328 A KR 20030017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processing
treatment tank
organic matter
trea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470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시다야스히로
사카모토켄세이
난죠히로미
무네즈카타카노리
Original Assignee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30017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17328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04Garbag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78Recycling of wood or furniture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음식물 쓰레기등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내를 수직칸막이판에 의해 평면에 복수로 구획된 처리조로 분할하고, 이 칸막이판의 상단부에 조내에 수용되는 처리물이 대략 최대높이까지 노치(notch)된 절결부를 설치하여, 처리조내의 처리물의 최대표시를 사용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항상 명확하게 유지하면서 만일 처리물이 너무 많아진 경우에도 지장없이 또한, 효율있는 운전을 계속할 수 있도록 한 유기물처리장치 기술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기물처리장치{organic article disposed apparatus}
본 발명은 음식쓰레기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유기물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처리조내에 수용되는 처리물의 최대 표시에 관한 것이다.
음식쓰레기등의 유기물을 처리하는 유기물처리장치로서는 처리조내에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담체(예를들면, 톱밥등의 목질파편)를 수납하고, 처리조내를 교반하면서 조내를 미생물의 활성화온도(예를들면, 60℃전후)로 유지하고, 유기물을 분해하는 것과, 미생물을 이용하지 않고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면서 더욱 고온으로 가열건조시켜서 처리하는 것등이 있다.
또한, 예를들면 슈퍼등에서 업무용으로 이용되는 대형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처리조내를 칸막이판에 의해 복수 조로 구획하고, 음식쓰레기와 미생물담체의 처리조내로의 투입을 구획된 각 조별로 차례로 실행하도록 하여(예를들면, 2조로 분할되어 있는 경우는 교대로, 또한, 3조 이상의 경우는 투입을 한쪽 끝에서순번대로 행하도록 하여)음식쓰레기를 처리하는 방식이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조내에 수용되는 처리물(즉, 투입된 미생물담체와 미분해의 음식쓰레기등의 혼합물)이 일정량을 넘으면 조내에 장비되어 있는 교반체에 큰 부하가 작용하고, 교반용 모터의 수명이 짧아지고, 교반축이 꺽여 파손하는 등의 사고가 발생하거나, 교반체에 의한 교반작용이 전체에 전해지지 않고 상방에 있는 처리물이 그대로 남겨져 처리능력이 저하하는 등의 문제를 발생한다. 이로 인하여, 상기 기술한 일정량을 처리물의 최대목표량으로 하여 그 위치를 작업자에 알릴 필요가 있다. 이 수단으로서 처리조의 내벽측에 최대표시선을 써놓거나 최대표시가 되는 실을 붙이거나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유가물처리장치의 경우, 최대표시가 사용시간의 경과와 함께 처리물로 더럽혀져 알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작업자는 조내처리물이 최대로 되어 있는 것을 알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너무 많이 넣은 것을 알아도 처리물을 빼내는 것이 귀찮아서 그대로 운전을 계속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은 부적합함이나 처리능력의 저하를 일으키기 쉬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이고 처리조내의 처리물의 최대표시를 사용시간의 경과에 관계없이 항상 명확하게 유지하는 동시에, 만일 처리물이 너무 많아진 경우에도 지장없이 또한 효율있게 운전을 지속하도록 한 유기물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칸막이에 의해 복수의 조로 구획된 음식쓰레기등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를 구비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단부에 조내에 수용되는 처리물의 대략 최대높이 위치까지 노치(notch)한 절결부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절결부의 하단면을 최대표시로 하여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와같이 절결부의 하단면을 최대표시로 하므로 사용시간의 경과와 함께 최대표시가 불명료해지는 경우는 없다. 또한, 만일 최대이상으로 처리물이 투입될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절결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조에 처리물이 흘러들어가므로, 최대이상으로 처리물이 존재하는 상태로 장시간 운전이 계속되는 경우는 없다. 따라서, 교반용 모터가 연소되거나 교반축이 꺽여 파손되는 등의 손해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각조내의 처리물이 최대 이하의 상태로 교반되기 때문에 충분한 교반작용이 실행되어 처리능력의 저하를 일으키는 경우도 없다.
또한,상기 절결부를 상기 칸막이의 대략 전체 폭에 걸친 길이를 갖는 것으로 하면, 처리조내의 처리물이 최대 이상이 된 경우에 있어서 인접조로 처리물의 이동을 순조롭게 실행할수 있고 교반기에 작용하는 과부하의 상태를 신속하게 회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시스템 기본구성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배출슈트의 선단부를 외장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조 부분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배출슈트의 선단부를 외장케이스에서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낸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기기배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기기배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기기배치를 설명하는 측면도이다.
* 주요 부위를 나타내는 도면부호의 설명 *
1 : 처리조7 : 배출슈트
10 : 교반체11 : 교반축
12 : 교반날개14 : 교반용 모터
15 : 배출구17 : 배출셔터
20 : 칸막이판21 : 좌측조
22 : 우측조23 : 절결부(切缺部)
23a: 하단면61 : 투입구
63 : 투입덮개
이하, 본 발명을 유기물처리장치로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시스템 기본구성도이고,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처리조 부분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배출슈트의 선단부를 외장케이스내에 수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처리조 부분의 개략 측단면도이고, 배출슈트의 선단부를 외장케이스로부터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기기배치를 설명하는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기기배치를 설명하는 정면도이고,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처리장치의 처리조 이외의 기기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유기물처리장치는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처리하는 처리조(1)와, 처리조(1)에서의 분해처리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탈취기(3)와, 처리조(1)내에 외기를 공급하고, 처리조(1)내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송풍장치(5)와, 처리조(1)로부터 탈취기(3)로 배기가스안의 부유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사이클론 집진기를 기본적 구성기기로 하고 있다.
처리조(1)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측단면이 약 U자형을 이루고,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으로 긴 형태를 이루고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는 도 2 및 도 3에 있어서 좌측을 정면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우의 정면은 음식쓰레기의 투입작업과, 장치의 메인터넌스(maintenance)작업을 실행하는 경우의 서비스측면을 의미한다. 따라서, 도 2 및 도 3에 있어서의 좌측을 전면, 우측을 후면, 도의 지면(紙面)과 직각의 방향을 좌우방향으로 한다.
상기 형태의 처리조(1)는 도 4 및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방향을 긴방향으로 하는 대략 장방형의 외장케이스(6)내에 수용되어 있다. 그리고, 외장케이스(6)의 상면에는 음식쓰레기와 미생물담체등을 처리조(1)내에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61)가 형성되고, 이 투입구(61)와 대응하도록 처리조(1)의 상면부에 개구부(1a)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투입구(61)에는 경첩(62)등에 의해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 된 투입덮개(63)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처리조(1)내에 투입되는 미생물담체로서는 예를들면 톱밥 등의 목질파편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외장케이스(6)의 하면측으로는 다리부(64)와 미도시의 캐스터가 장착되어 있다.
처리조(1)내에는 도 2 ∼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좌우의 측벽 사이로 횡측 가설 된 교반축(11)에 복수의 교반날개(12)가 세워 설치된 교반체(10)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교반축(11)은 양끝이 처리조(1)의 측벽에 설치된 축베어링(10a)(도 4 빛 도 5 참조)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또한, 교반축(11)의 한쪽의 축단이 스프로켓(sprocket) 및 벨트로 이루어지는 감속전달기구(13)를 매개로 하여 교반용모터(14)에 연결되어 정기적으로 정회전 역회전으로 구동되는 동시에, 음식쓰레기 투입직후와 처리물 배출시에 회전구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처리조(1)의 전면측의 측벽에는 처리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15)(도 2, 도 3 및 도 5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배출구(15)는 높이방향에 비하여 좌우방향의 수치가 큰 장방형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이 배출구(15)에는 배출셔터(17)가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배출셔터(17)는 개폐레버(18)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상하이동시켜 개폐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닫혀진 배출셔터(17)의 점검을 확실하게 하기 위하여 전면에서 조작 가능하게 고정나사(미도시)가 설치되어 있다.
배출셔터(17)의 전면에는 배출구(15)로부터 배출되는 처리물을 외장케이스(6) 외부에 배출하기 위한 배출슈트(7)가 설치되어있다. 이 배출슈트(7)는 도 2, 3 및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일단이 배출구(15)에 접속되는 기부(基部)(71)와, 일단이 외장케이스(6)의 전면측 외부로 연통되는 선단부(72)로 분할되어 있다. 기부(71)는 좌우방향으로 긴 단면형태가 대략 장방형의 닥트이다. 선단부(72)는 측방향의 슬라이드식 가이드(75)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여 외장케이스(6)내에 수납시킨 상태(도 2의 상태) 또는 외부로 돌출시킨 상태(도 3의 상태로, 처리물배출시는 이 상태로 한다)를 선택하여 유지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처리조(1)내는 중앙부에 형성된 칸막이판(20)에 의해 좌우로 구분되고, 정면에서 볼 때 좌측조(21)와 우측조(22)로 구획되어 있고, 매일 발생하는 음식쓰레기를 좌측조(21)와 우측조(22)에 교대로 투입하여,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기술한 투입구(61), 처리조(1) 상면의 개구부(1a), 투입덮개(63) 및 배출슈트(7)는 공통이지만, 배출구(15), 배출셔터(17), 개폐레버(18) 및 배출셔터 고정나사(미도시)는 각조 각각에 동일한 것이 개별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배출슈트(7)의 단면형태는 좌측조(21)의 배출구(15) 및 우측조(22)의 배출구(15)의 쌍방에 대응하여 구한 단면수치로 되어있다.
처리조(1)내의 전면측 개구부(1a) 근방에는 처리조(1)내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를 사이클론 집진기(9) 및 탈취기(3)를 매개하여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기구(24)가 설치되고, 그 입구부에는 배기가스안의 비교적 큰 부유먼지를 수집하기 위한 배기가스용 필터(25)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배기구(24)에 있어서의 처리조(1)내측의 개구수치는 좌측조(21) 및 우측조(22)의 쌍방과 연통하도록 좌우방향의 수치를 크게 하고 있다(도 5참조).
또한, 처리조(1)의 개구부(1a) 근방의 후면측에는 처리조(1)내에 외기를 흡수하기 위한 외기도입로(27)가 개구되어 있다.
칸막이판(20)의 상단부에는 칸막이판(20)의 대략 전체 폭에 걸치는 길이의 절결부(2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23)의 하단면(23a)의 아래쪽으로부터의 높이위치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각조(21, 22)에 있어서 처리물의 최대위치로 설정되어 있고, 이 하단면(23a)이 음식쓰레기 및 미생물담체 투입시의 최대표시로서 기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탈취기(3)는 처리조(1)내에서 음식쓰레기를 호기성(aerobic)처리를 하는 것에 의해, 연속적으로 또는 대량으로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히드, 유화수소,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등의 악취를 제거하는 것이다. 또한, 이 탈취기(3)는 처리조(1)내로부터 배출되는 약 60도의 배기가스를 200∼300도로 가열하는 히터(31)와, 가열한 배기가스를 탈취하는 산화촉매(32)로 이루어진다. 또한, 산화촉매(32)로서는 예를들면, 백금계 산화촉매를 다공성(porous) 형태의 담체로 담지시킨 것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탈취기(3)는 배관(33)에 의해 처리조(1)의 전면측 개구부(1a) 근방으로 설치된 배기구(24)에 연통되어 있다.
사이클론 집진기(9)는 배기가스용 필터(25)에 의해 비교적 큰 부유먼지가 제거된 후의 배기가스안의 작은 부유먼지를 또한 제거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 이와 같이 처리조(1)의 배기가스안에 먼지가 부유하는 것은 미생물담체로서 이용되는 톱밥등의 목질파편이 부유먼지로서 처리조(1)내에 날아 올라가고 있기 때문이다.
송풍장치(5)는 처리조(1)내에 외기를 도입하고, 처리조(1)내의 배기가스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처리조(1), 사이클론집진기(9), 탈취기(3)의 순서로 접속된 배기가스 경로가 송풍장치(5)의 흡입측으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교반용모터(14), 사이클론 집진기(9), 탈취기(3) 및 송풍장치(5)는 외장케이스(6)내에 있어서의 처리조(1)의 좌측 스페이스에 배치되어 있다(도 4∼도 6참조). 또한, 송풍장치(5)의 흡출측배관(51)은 도 4 및 도 6에서 알수 있듯이, 외장케이스(6)의 아래쪽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고, 그 선단에는 후랜지(52)가 장착되어 있고, 후랜지(52)를 매개하여 외부배관(53)을 장착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따라서, 후랜지(52)의 수평방향의 장착각도를 90도씩 변경하는 것에 의해, 외부배관(53)선단의 방향을 90도씩 자유롭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관한 유기물 처리장치의 작용에 대해서 설명한다.
우선, 소정량의 톱밥등의 미생물담체를 미리 처리조(1)내에 투입해 둔다. 그리고, 발생한 음식쓰레기를 처리조(1)내에 투입한다. 이 투입은, 음식쓰레기의 처리를 효율있게 실행하기 위하여, 좌측조(21) 및 우측조(22)에 대해서 교대로 실행한다. 또한, 처리조(1)내의 미분해의 음식쓰레기등의 처리물이 최대로 되어 있을 때에는, 교반날개(12)를 도 2 및 도 3의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배출구(15)측으로 긁어올린다. 그리고, 좌측조(21) 또는 우측조(22)의 배출셔터(17)를 개방하는 동시에, 배출슈트(7)의 선단부를 도 3의 상태 위치로 끌어내어 배출슈트(7)를 매개하여 처리조(1)내의 처리물을 외부로 방출한다.
이 처리조(1)내의 처리물이 최대로 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단은 칸막이판(20)의 절결부(23)의 하단면(23a)을 최대표시로 하여 실행한다. 이 경우, 종래와 같이 처리조(1)내의 측벽으로 적정한 방법으로 기재된 또는 부착된 마크의 경우는 사용시간의 경과와 함께 알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절결부(23)의 하단면(23a)을 표시로 하고 있으므로 그와 같은 염려는 없다. 또한, 만일 음식쓰레기를 투입하는 것에 의해 처리조(1)내의 처리물량이 최대량을 초과한 경우는 처리물이 절결부(23)를 넘어 인접하는 처리조내로 자동적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처리물을 과하게 투입한 것에 의해 교반체(10)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문제와 교반효과가 저하하는 문제를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처리조(1)내에 투입된 음식쓰레기는 미생물담체와 처리물 자체에 포함된 호기성균에 의해 분해되고, 이산화탄소, 물을 발생하는 동시에, 아세트알데히드, 산화수소, 트리메틸아민, 암모니아등의 악취가스를 발생한다. 또한, 처리조(1)내에서는 미생물담체가 부유먼지로서 처리조(1)안에 부유(浮遊)하고 있다. 따라서, 처리조(1)내의 배기가스는 악취를 수반하는 동시에 부유먼지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처리조(1)내의 배기가스는 송풍장치(5)의 흡입작용에 의해 배기가스용의 필터(25) 및 사이클론 집진기(9)를 매개하여 탈취기(3)에 보내진다. 또한, 이 배기가스의 배출에 수반하여 외기도입로(27)를 매개하여 처리조(1)내로 외기가 도입된다.
탈취기(3)에 보내진 배기가스는 배기가스용 필터(25)에 의해 비교적 큰 부유먼지가 제거되고, 사이클론 집진기(9)에서 또한 작은 부유먼지가 제거된다. 상기에 의해 탈취기(3)의 막힘이 방지된다.
탈취기(3)에 보내진 배기가스는 히터(31)에 의해 200∼300℃로 가열되고 산화촉매(32)에 의해 탈취되고, 외부배관(53)으로부터 유기물처리장치의 아래쪽에 있어서 옆방향을 향하여 배출된다.
또한, 이상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유기물처리장치는 처리조(1)내에 유기물을 분해하는 미생물담체(예를들면, 톱밥등의 목질파편)를 수납하고, 처리조(1)내를 교반하면서 처리조(1)내를 미생물의 활성화온도로 유지하고, 유기물을 미생물에 의해 분해처리하는 방식의 유기물처리장치에 대해서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생물을 이용하지 않고, 처리조내의 유기물을 교반하면서 보다 고온으로 가열건조시켜서 처리하는 방식의 유기물처리장치에도 응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처리조(1)를 좌우 2조(21, 22)로 구획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2조로 구획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3조이상의 복수조로 구획하는 것으로 응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칸막이판(2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절결부(23)는 칸막이판(20)의대략 전체폭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하고 있지만,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칸막이판(20)의 폭방향의 일부만 절결부(23)를 설치한 것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칸막이판(20)의 대략 전체폭에 걸쳐서 절결부(23)를 설치하는편이 최대량을 넘어서 처리물이 투입된 경우 인접하는 조로 이동이 용이해지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칸막이판에 의해 복수의 조로 구획된 음식쓰레기등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를 구비한 유기처리물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단부에 조내로 수용되는 처리물의 대략 최대높이 위치까지 노치(notchi)한 절결부를 가지므로 처리조의 최대표시가 사용시간의 경과와 함께 불명료해져 버리는 경우가 없다. 또한, 만일 최대이상으로 처리물이 투입되는 경우가 있어도 처리물이 절결부를 통하여 인접하는 조에 유입하므로 교반체에 과부하가 작용하는 경우 없이, 교반용 모터의 연소, 교반축이 꺽여 파손되는 등의 손해와 처리조의 처리능력의 저하를 초래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절결부를 칸막이판의 대략 전체폭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는 것으로 하면 처리조내의 처리물이 최대이상으로 되는 경우에 있어서 인접조로 처리물의 이동을 원만하게 실행시킬 수 있고, 교반기에 작용하는 과부하의 상태를 신속하게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2)

  1. 칸막이판에 의해 복수의 조로 구획된 음식쓰레기등의 유기물을 처리하기 위한 처리조를 구비한 유기물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판은 상단부에 조내에 수용되는 처리물의 대략 최대높이 위치까지 노치한 절결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결부는 상기 칸막이판의 대략 전체폭에 걸치는 길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물처리장치.
KR1020020047064A 2001-08-21 2002-08-09 유기물처리장치 KR2003001732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1-00250529 2001-08-21
JP2001250529A JP2003053301A (ja) 2001-08-21 2001-08-21 有機物処理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17328A true KR20030017328A (ko) 2003-03-03

Family

ID=19079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47064A KR20030017328A (ko) 2001-08-21 2002-08-09 유기물처리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3053301A (ko)
KR (1) KR20030017328A (ko)
CN (1) CN1228149C (ko)
TW (1) TW553035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20A (ja) * 1997-07-15 1999-02-0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物処理装置
JPH11244828A (ja) * 1998-03-06 1999-09-14 Shizuoka Seiki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0202403A (ja) * 1999-01-14 2000-07-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生ゴミ処理機の排出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33520A (ja) * 1997-07-15 1999-02-09 Sanyo Electric Co Ltd 有機物処理装置
JPH11244828A (ja) * 1998-03-06 1999-09-14 Shizuoka Seiki Co Ltd 生ゴミ処理装置
JP2000202403A (ja) * 1999-01-14 2000-07-25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生ゴミ処理機の排出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3053301A (ja) 2003-02-25
CN1401596A (zh) 2003-03-12
CN1228149C (zh) 2005-11-23
TW553035U (en) 200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0017328A (ko) 유기물처리장치
JP2007313440A (ja) 廃棄物処理方法及び廃棄物処理装置
KR20000017495A (ko) 유기물처리장치
KR100328623B1 (ko) 유기물처리장치
JP3607109B2 (ja) 生ゴミ等用処理装置
KR20100032524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 장치 및 방법
JP3475187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4721253B2 (ja) 廃棄物処理装置
JP3620262B2 (ja) 生ごみ処理装置
JP3991113B2 (ja) 生ゴミ処理装置
KR100466103B1 (ko)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의 탈취기호퍼
JP2023006047A (ja) 有機物ごみ処理装置
KR20020033510A (ko) 유기물 처리장치
JP2000061429A (ja) 有機物処理装置
JP4610457B2 (ja) 有機物処理装置
KR100448978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JPH1024280A (ja) 有機ごみ処理装置
JP2005218926A (ja) 廃棄物処理装置
JP3842930B2 (ja) 有機物処理装置
JPH08290154A (ja) 廃棄物処理装置
JP2005058877A (ja) 廃棄物処理装置および廃棄物処理方法
JPH11309435A (ja) 生ゴミ処理装置
KR19980062100U (ko) 분말탈취제 투입방식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2000317429A (ja) 生ゴミ処理装置
JPH10328642A (ja) 厨芥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