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558A - 약물복합체 - Google Patents

약물복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558A
KR20000016558A KR1019980710148A KR19980710148A KR20000016558A KR 20000016558 A KR20000016558 A KR 20000016558A KR 1019980710148 A KR1019980710148 A KR 1019980710148A KR 19980710148 A KR19980710148 A KR 19980710148A KR 20000016558 A KR20000016558 A KR 200000165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
polyalcohol
solution
drug complex
compou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10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로 이노우에
히로시 스사키
마사히로 이케다
히로시 구가
에이지 구마자와
아키코 도고
Original Assignee
스즈키 다다시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기타사토 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디.디.에스. 켄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즈키 다다시, 다이이찌 세이야꾸 가부시기가이샤, 기타사토 이치로, 가부시키가이샤 디.디.에스. 켄쿠쇼 filed Critical 스즈키 다다시
Publication of KR20000016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5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6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saccharide or a derivative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Polysaccharides And Polysaccharide Derivati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결합된 2 내지 8 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통하여 실질적으로 완전히 폴리알콜화가 가능한 조건하에서 처리되는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 항종양제 등의 의약화합물의 잔기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종양 부위 선택성이 우수하고, 높은 항종양작용을 발휘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독성의 발현도 경감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약물복합체
폐암이나 소화기암 등의 고형암이나 백혈병 등의 혈액암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는 항종양제는, 정맥 내 투여나 경구 투여 등의 투여경로를 통해 전신으로 투여된 후, 특정 종양부위에 이행되어 암세포의 증식을 저해 혹은 억제함으로써 치료효과를 발휘한다. 그러나, 전신으로 투여된 항종양제는 혈액으로부터 간장ㆍ강내계 장기에 급속히 흡수되거나, 혹은 급속히 요로 배설되기 때문에, 혈중농도가 저하되어 종양부위로의 이행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다. 또한, 통상의 항종양제 자체에서는 종양부위로의 이행선택성(종양선택성)이 낮기 때문에, 항종양제가 전신의 여러 세포나 조직으로 모조리 분포되어 버리고, 정상 세포나 조직에 대해서도 세포독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토, 발열 혹은 탈모 등의 부작용을 매우 높은 비율로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항종양제를 효율적이고 선택적으로 종양부위에 이행시키는 수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단의 하나로서, 다당고분자에 항종양제를 결합시켜, 항종양제의 혈중으로부터의 소실을 지연시키고 또한 암조직으로의 지향성을 높이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특허공고 평 7-84481호 공보에는 카르복시메틸(carboxymethyl)화된 만노글루칸(mannoglucan)유도체에 쉬프(shiff)염기나 산아미드 결합을 통해서 다우노루비신(daunorubicin), 독소루비신(doxorubicin), 마이토마이신 C(mitomycin C), 또는 블레오마이신(bleomycin) 등을 도입한 약물복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이 발명에 있어서 만노글루칸유도체로서는, 카르복시메틸화된 만노글루칸ㆍ폴리알콜(polyalcohol)도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만노글루칸 유도체는 분지가 많아 구조가 복잡하고, 의약품의 제조에 적합한 균일한 품질의 것을 입수하기가 곤란하였다.
또한, 국제공개 WO94/19376호에는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의 카르복실기에 펩타이드(peptide)쇄(아미노산수 1 내지 8)이 결합되어 있고, 게다가 이 펩타이드쇄를 통해서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마이토마이신 C, 또는 블레오마이신 등을 결합시킨 약물복합체가 개시되어 있다.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으로서는, 본래 그 구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예를 들어,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등) 외에, 본래 그 구조 중에 카르복실기를 가지지 않는 다당(예를 들어, 플루란(pullulan), 덱스트란(dextran), 키틴(chitin) 등)의 수산기에 카르복시C1-4알킬기를 도입하거나 혹은 말론산(malonic acid)이나 호박산 등의 다염기성산을 에스테르 결합시켜서 카르복실기를 도입한 다당류 등이 예시되어 있다. 이 약물복합체는 독소루비신 등의 약제와 상기 다당 부분이 스페이서를 통해서 결합하고 있는 구조상의 특징을 가지고 있고, 독소루비신 보다 우수한 항종양 효과가 얻어짐과 동시에 독성ㆍ부작용이 경감된다.
그 외에, 폴리알콜화 다당유도체를 약물의 전달 담체로서 이용한 약물복합체에 관한 기술에 대해서,「다당-펩타이드-독소루비신복합체에 관한 연구ㆍ다당담체의 혈중 안정성과 항종양효과의 관계」(제 10회 일본 DDS학회 강연 요지집, 279, 1994); 「다당-펩타이드-독소루비신복합체에 관한 연구ㆍ체내 동태와 항종양 효과」(제 9회 일본 약물동태학회 연회강연 요지집, 292, 1994); 제 19회 연구개발 동향 세미나(의약품기구 주최)요지집, D-9, 1995; 및 「다당 담체에 의한 종양으로의 약물 전달에 관한 연구」(제 12회 콜로이드ㆍ계면기술 심포지움, 일본 화학회, 강연 요지집, 51, 1995) 등의 보고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과제는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유효 성분을 종양부위 등에 대해서 부위 선택적으로 이행시킬 수 있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부분 구조로서 함유하는 약물복합체이고, 혈액 속에 장시간 체류할 수 있고, 종양부위나 염증부위에 대해 부위 선택적으로 그 의약화합물을 보낼 수 있는 약물복합체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의 특징을 가지는 약물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고자 국제 공개 WO94/19376호에 개시된 약물복합체의 개량을 시도한 결과, 카르복실기를 가지는 다당류 대신에, 덱스트란을 폴리알콜화한 덱스트란유도체를 카르복시C1-4알킬화한 것을 다당부분으로서 이용하면, 투여 후의 의약이 장시간에 걸쳐서 고농도로 유지됨과 동시에, 종양부위나 염증부위에 대해 부위 선택성을 크게 개선시킬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와 같은 화합물로는 항종양 효과 등의 주된 효과가 현저히 증강되고 있는 한편, 독성은 저감되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들 내용을 토대로 완성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통해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 의약화합물의 잔기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으로는, 상기의 약물복합체로 된 의약; 및, 상기의 약물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의약조성물, 예를 들어, 바이알(vial)에 충진된 동결건조품 형태의 주사용 또는 점적용의 제제 등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해, 상기 약물복합체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상기의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구성하는 덱스트란폴리알콜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폴리알콜화가 가능한 조건하에서 덱스트란을 처리하여 얻어진 덱스트란폴리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약물복합체;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인 상기 약물복합체; 의약화합물이 항종양제 또는 항염증제인 상기 약물복합체; 의약화합물이 농도에 의존하여 항종양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보다 높은 농도에서 보다 강한 항종양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농도의존형의 항종양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인 상기 약물복합체; 의약화합물이 시간에 의존하여 항종양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보다 긴 작용시간에서 보다 강한 항종양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시간의존형의 항종양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인 상기 약물복합체; 및, 항종양제가 독소루비신 또는 (1S, 9S)-1-아미노(amino)-9-에틸(ethyl)-5-플루오로(fluoro)-2,3-디히드로(dihydro)-9-히드록시(hydroxy)-4-메틸(methyl)-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indolizino)[1,2-b]퀴놀린-10,13(9H,15H)-디온(dione)인 상기 약물복합체가 제공된다.
또한,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스페이서가 -X-Z-로 표시되는 디펩타이드(-X-Z-는 소수성 아미노산(X)와 친수성 아미노산(Z)가 각각 N말단측 및 C말단측이 되어 펩타이드 결합하여 형성된 디펩타이드의 N말단의 아미노기 및 C말단의 카르복실기에서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를 의미한다)이거나, 또는 그 디펩타이드를 부분펩타이드 배열로서 포함하는 스페이서인 상기 약물복합체; 소수성 아미노산이 페닐알라닌이고, 친수성 아미노산이 글리신인 상기 약물복합체; 스페이서가 (N말단)-Gly-Gly-Phe-Gly-인 상기 약물복합체; 및, 항종양제의 잔기의 도입량이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중량%의 범위인 상기 약물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H2N-Gly-Gly-Phe-Gly-COOH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N말단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에 산아미드 결합되어 있고, 그 디펩타이드의 C말단이 (1S, 9S)-1-아미노(amino)-9-에틸(ethyl)-5-플루오로(fluoro)-2,3-디히드로(dihydro)-9-히드록시(hydroxy)-4-메틸(methyl)-1H,12H-벤조[de]피라노[3',4':6,7] 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의 1-아미노기와 산아미드 결합한 상기 약물복합체; (1S, 9S)-1-아미노(amino)-9-에틸(ethyl)-5-플루오로(fluoro)-2,3-디히드로(dihydro)-9-히드록시(hydroxy)-4-메틸(methyl)-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 잔기의 도입량이 2 내지 10 중량%의 범위인 상기 약물복합체; 및,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 분자량 5,000 내지 500,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450,00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400,000의 범위의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구성 당 잔기 당 0.01 내지 2.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의 범위인 상기 약물복합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의하면,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로 이루어진 약물전달의 담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는,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분자량이 5,000 내지 500,00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 450,00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 400,000의 범위이고, 카르복시C1-4알킬화 정도는 구성 당 잔기 당 0.01 내지 2.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0.5의 범위이다.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이 가장 바람직한 담체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서는, 의약화합물의 잔기와 결합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포함하는 약물복합체의 제조를 위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의약화합물의 잔기와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 스페이서를 통해서 결합한 약물복합체의 제조를 위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사용; 및,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통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 의약화합물의 잔기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의 제조를 위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사용이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의약으로서 유용한 약물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다당유도체인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 항종양제나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을 스페이서를 통하여 결합시킨 약물복합체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8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8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9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9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10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15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15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28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28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29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29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34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34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39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39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41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41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44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44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47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47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55에서 제조된 것)의 GPC 챠트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55에서 제조된 것)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예 15에서 제조된 것)의 체내 동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안에 각 점은 3 예의 평균치를 나타낸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형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통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 의약화합물의 잔기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포함되는 의약화합물의 잔기는, 예를 들어, 항종양제, 항염증제, 항균제 등의 의약으로서 사람을 포함한 포유류의 질병의 치료 및/또는 예방에 이용되는 의약화합물에서 유래하고, 그 부분 구조에 의해 구성된다. 단, 그 잔기가 유래된 의약화합물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의약화합물로서는, 스페이서와의 결합에 관여할 수 있는 1 또는 2 이상의 반응성관능기(예를 들어, 아미노기, 카르복실기, 수산기, 치올(thiol)기, 에스테르기 등)을 가지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이라고 하는 경우에는, 그 자체가 의약작용을 가지는 화합물의 주요구조를 그 부분구조로서 포함하여 생체내에서 그 화합물을 재생할 수 있는 약물전구체(prodrug) 화합물도 포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의 잔기는, 스페이서와 의약화합물 잔기와의 결합이 의약화합물 내의 반응성관능기와 스페이서 내의 반응성관능기와의 반응(예를 들어, 탈수축합 등)에 의해 형성된다고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결합 후의 화합물 중에 존재하는 의약화합물에서 유래하는 부분구조를 의미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의약화합물이 D-NH2, D-COOH, D-COOR, D-OH, D-SH, D-CONH2, D-NH-COOR(R은 저급 알킬기 등)로 표시되는 경우, 의약화합물의 잔기는 각각 D-NH-(D-NH-CO-Q 등), D-CO-(D-CO-NH-Q, D-CO-O-Q, D-CO-S-Q 등), D-CO-(D-CO-NH-Q, D-CO-O-Q, D-CO-S-Q 등), D-O-(D-O-CO-Q, D-O-Q 등), D-S-(D-S-CO-Q, D-S-Q 등), D-CONH-(D-CO-NH-CO-Q 등), D-NH-CO- (D-NH-CO-O-Q, D-NH-CO-NH-Q 등)으로 표시되는(괄호안은 스페이서와 의약화합물 잔기와의 결합을 나타내고, Q는 스페이서에서 반응성관능기를 제외하고 남은 부분구조를 나타낸다). 단, 스페이서와 의약화합물 잔기와의 결합의 종류는 상기의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의약화합물의 잔기는, 스페이서의 N말단 아미노기 또는 C말단 카르복실기 외에,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에 존재하는 반응성관능기에 결합하고 있어도 좋다.
의약화합물의 잔기로서는, 예를 들어, 독소루비신, 다우노루비신, 마이토마이신 C, 블레오마이신, 시클로시티딘(cyclocytidine), 빈크리스틴(vincristine), 빈블라스틴(vinblastine),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백금계항종양제(시스플라틴(cysplatine) 혹은 그 유도체), 탁솔(taxol) 혹은 그 유도체, 캄프토테신(camptothecin) 혹은 그 유도체(특허공개 평 6-87746호 공보에 기재된 항종양제,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에 기재된(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3-디히드로-9-히드록시-4-에틸-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 등) 등의 항종양제의 잔기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호박산히드로콜티손(succinic acid-hydrocortisone), 호박산프레드니솔론(succinic acid-prednisolone) 등의 스테로이드계 항염증제, 또는 메페남산(mefenamic acid), 프루페남산(flufenamic acid), 디클로페낙(diclofenac), 이부프로펜(ibuprofen), 티놀리딘(tinoridine) 등의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증약의 잔기도 적절하다.
의약화합물의 잔기와 결합하는 스페이서로서는,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서는 1개 아미노산의 잔기(아미노산의 아미노기 및 카르복실기에서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를 의미한다) 또는 펩타이드 결합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올리고펩타이드의 잔기(N말단의 아미노기 및 C말단의 카르복실기에서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를 의미한다)의 형태를 가지고 있다.
바람직한 스페이서는 2 내지 6개의 아미노산으로 된 올리고펩타이드의 잔기이다.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으나, 예를 들어, L- 또는 D-아미노산, 바람직하게는 L-아미노산을 이용할 수 있고, α-아미노산 외에 β-알라닌(alanine), ε-아미노카프론산(aminocaproic acid), γ-아미노젖산 등을 이용해도 좋다. 이와 같은 α-아미노산 이외의 아미노산은 다당유도체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의 결합방향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에 스페이서의 N말단을 산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하고, 의약화합물의 아미노기에 스페이서의 C말단을 결합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펩타이드 스페이서의 구성단위로서 리딘 잔기를 포함하고 있고, 리딘 잔기의 α-아미노기 및 ε-아미노기를 각각 다른 아미노산의 카르복실기와 산아미드 결합시키면, 펩타이드 스페이서의 양말단이 N말단이 되기 때문에, 의약화합물의 카르복실기를 결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스페이서 중에 1개 또는 2개 이상의 디아민 화합물 또는 디카르본산 화합물의 잔기(예를 들어, 에틸렌디아민 등의 디아민의 잔기나 호박산 등의 디카르본산의 잔기 등)을 구성단위로서 포함하고 있고, 각각 양말단이 N말단의 스페이서 및 양말단이 C말단의 스페이서를 이용해도 된다.
스페이서의 아미노산 배열은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스페이서가 -X-Z-로 표시되는 디펩타이드의 잔기(X는 소수성 아미노산의 잔기를 나타내고, Z는 친수성 아미노산의 잔기를 나타내고, -X-Z-는 소수성 아미노산(X)과 친수성 아미노산(Z)가 각각 N말단측 및 C말단측이 되어 펩타이드 결합한 디펩타이드의 N말단의 아미노기 및 C말단의 카르복실기에서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거한 잔기를 의미한다)이거나, 또는 그 디펩타이드의 잔기를 부분 펩타이드 배열로서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소수성 이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티로신(tyrosine), 루이신 등을 이용할 수 있고, 친수성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글리신(glycine), 알라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가 이와 같은 디펩타이드 잔기의 반복 배열(예를 들어, -X-Z-X-Z-, -X-Z-X-Z-X-Z- 등)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은 디펩타이드 구조를 포함한 스페이서를 이용하면, 스페이서가 펩티다제(peptidase)가 풍부하다고 생각되어지는 종양부위나 염증부위에서 가수분해되어, 해당 부위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이 고농도로 유리된다. 상기 디펩타이드를 함유하는 스페이서와 의약화합물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부분구조는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바람직한 부분구조이다. 의약화합물의 잔기로서, 예를 들어, 농도의존형의 항종양제(예를 들어, 독소루비신)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X-Z-로 나타낸 상기의 디펩타이드 잔기로 된 스페이서 또는 그 디펩타이드 잔기를 부분 펩타이드 배열로서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의약화합물의 잔기로서, 일정 농도 이상에서 작용시간의 지속을 필요로 하는 시간의존형의 항종양제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상기의 스페이서를 이용함으로써 높은 항종양 효과를 달성할 수 있는 경우가 있고, 예를 들어, 특허공개 평6-87746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항종양제,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2에 기재된 항종양제를 들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상기의 스페이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항종양제의 작용기작, 체내 동태나 독성발현의 특징, 체내에서의 항종양제의 유리성 등의 관점에서 바람직한 스페이서를 선택할 필요가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증식이 빠른 암종에 대해서는 단시간에 고농도의 의약화합물을 유리할 수 있는 상기의 스페이서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페이서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의 표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에 이용되는 스페이서는 이하의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의약화합물의 적절한 유리 속도를 부여하도록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 가능하다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표 중에서, 펩타이드 배열은 좌측이 N말단이고, C말단측에 의약화합물의 잔기가 결합한다. D-Phe는 D-페닐알라닌 잔기를 나타내고, 그 외의 아미노산은 L-아미노산을 나타낸다. 또한, 유리 속도의 대소는 독소루비신을 결합한 약물복합체의 Walker 256 암에 걸린 랫트(rat)에 대한 약효발현의 정도, 또는 Walker 256 암에 걸린 랫트의 종양부위에 있어서 유리 독소루비신의 농도에 의해 판정할 것이다. 이들 스페이서 중에서, 독소루비신에 대해서는 (N말단)-Gly-Gly-Phe-Gly- 등의 단시간에 고농도의 의약화합물을 유리할 수 있는 스페이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유리속도가 큰 스페이서
-Leu-Gly--Tyr-Gly--Phe-Gly--Gly-Phe-Gly--Gly-Gly-Phe-Gly--Gly-Phe-Gly-Gly--Phe-Gly-Gly-Gly--Phe-Phe-Gly-Gly--Gly-Gly-Gly-Phe-Gly-
(b) 유리속도가 비교적 큰 스페이서
-Gly-Gly-Phe-Phe--Gly-Gly-Gly-Gly-Gly-Gly-
(c) 유리속도가 비교적 작은 스페이서
-Phe-Phe--Ala-Gly--Pro-Gly--Gly-Gly-Gly-Phe-
(d) 유리속도가 작은 스페이서
-Gly--D-Phe-Gly--Gly-Phe--Ser-Gly--Gly-Gly--Gly-Gly-Gly--Gly-Gly-Gly-Gly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다당유도체 부분을 구성하는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폴리알콜화정도는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구성하는 덱스트란폴리알콜이 실질적으로 완전히 폴리알콜화 가능한 조건하에서 덱스트란을 처리하여 얻어진 덱스트란폴리알콜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덱스트란에 과잉의 과요오드산나트륨과 수소화붕소나트륨을 순차적으로 작용시켜 덱스트란을 실질적으로 완전히 폴리알콜화한 덱스트란폴리알콜을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원료화합물로서 적절히 이용할 수 있다. 단, 덱스트란을 폴리알콜화하는 방법은 상기의 것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당업자에 이용가능한 것이라면, 어떠한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덱스트란의 종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α-D-1,6-결합을 임의의 비율로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예를 들어, α-D-1,6-결합의 비율이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의 덱스트란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덱스트란의 분자량은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10,000 정도에서 2,000,000 정도의 것, 바람직하게는 50,000 정도에서 800,000 정도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C1-4알킬기를 구성하는 C1-4알킬로서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C1-4알킬, 구체적으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propyl)기, 이소프로필(isopropyl)기, n-부틸(butyl)기, sec-부틸기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메틸기를 이용할 수 있다. 카르복시C1-4알킬화는, 예를 들어, 덱스트란폴리알콜의 수산기에 대해서, 염화초산, 브롬초산, α-염화프로피온산, α-메틸-α-염화프로피온산, β-염화프로피온산, α-메틸-β-염화프로피온산, α-염화젖산, β-염화젖산, γ-염화젖산 등의 할로겐화C1-4알킬카르본산, 바람직하게는, 염화초산을 반응시켜서 수산기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카르복시C1-4알킬화시킴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덱스트란폴리알콜을 반응에 관여하지 않는 불활성용매(예를 들어, 물, N,N-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 디메틸술폭시드(dimethylsulfoxide) 등)에 용해시켜, 염기(예를 들어, 수산화나트륨이나 수산화칼륨 등)의 존재하에서 할로겐화C1-4알킬카르본산 또는 그의 염을 첨가하여, 빙냉하 내지는 100℃ 정도의 온도범위에서 몇분간 내지는 몇일간 반응시키면 된다. 카르복시C1-4알킬기의 도입 정도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C1-4알킬화의 반응온도나 시약으로서 사용하는 할로겐화C1-4알킬카르본산 및 염기의 양을 적절히 선택하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절 가능하고, 그와 같은 수단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사실이다. 덱스트란폴리알콜의 수산기에 대한 카르복시C1-4알킬화의 정도는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구성 당 잔기당 0.01 내지는 2.0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는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는 0.5의 범위이다.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분자량은 겔여과법으로 측정한 경우에 5,000 내지는 500,000정도, 바람직하게는 50,000 내지는 450,000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000 내지는 400,000정도이다.
상기의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은 약물 전달의 담체로서 이용한다. 의약화합물과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결합시킨 약물복합체는, 예를 들어, 종양선택성 등의 우수한 선택성을 가지고 있고, 또한 높은 혈중농도를 장시간 유지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의약화합물과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의 결합으로서는, 예를 들어, 에스테르 직접 결합 등으로 양자를 결합시키는 방법, 상기에 설명한 스페이서 등과 같이 적절한 스페이서를 통해서 양자를 결합시키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스페이서를 통해 결합하는 약물복합체에 관하여는 상기와 같이 얻어지는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에 대해서, 의약화합물의 잔기와 결합시킨 스페이서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를 제조할 수 있다. 스페이서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와의 결합은, 일반적으로 스페이서의 N말단 아미노기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를 산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단, 스페이서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와의 결합은 상기의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다른 화학결합이나 1 또는 2 이상의 스페이서를 이용한 결합이어도 좋다. 예를 들어, 스페이서의 C말단 카르복실기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에 의해 산무수물을 형성시켜도 좋고, 또한, 에틸렌디아민 등의 디아민화합물을 스페이서로서 이용하여 각각의 카르복실기를 디아민의 각 아미노기에 산아미드 결합시켜도 좋다.
스페이서의 N말단 아미노기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를 산아미드 결합에 의해 결합시킨 경우에는, 펩타이드쇄의 합성에 이용하는 통상의 탈수축합제, 예를 들어,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DCC)와 같은 N,N'-디시클로알킬카르보디이미드(dicycloalkylcarbodiimide)류,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카르보디이미드(EDAPC) 등의 카르보디이미드유도체,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HOBT)과 같은 벤조트리아졸(benzotriazole) 유도체 외에, 1-에톡시카르보닐(ethoxycarbonyl)-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EEDQ)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스테르법이나 산하라이드법(acid halide) 등에 의해 반응을 시행해도 좋다.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에 도입시킨 의약화합물 잔기의 양은 특히 한정되어 있지 않지만, 의약화합물 잔기의 물리화학적 성질, 및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체내동태, 약효, 및 독성 등의 관점에서 적절히 선택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는, 0.1 내지 3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 중량% 정도의 범위를 선택할 수 있다.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에 도입된 의약화합물 잔기의 비율은, 예를 들어, 흡광도 분석 등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제조방법의 하나의 예로서, 특허공개 평6-87746호 공보의 청구항 2에 기재된 항종양제인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도입하는 경우에 대해서, 제조 방법을 이하의 개략도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 및 그 제조방법은 이 개략도에 나타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 개략도에서 의약화합물 잔기의 도입량은, 예를 들어, 1 내지 15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 중량% 정도이다. 또는, 하기 개략도 중에는, 폴리알콜류의 구성단위 중에 1개 또는 2개의 카르복시메틸기가 도입된 구성단위만을 예시적으로 기재하지만,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다당유도체 부분은 상기 구성단위의 반복에 의해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기의 의약화합물은, 산성수성매체 내(예를 들어 pH 3 정도)에서는 락톤환을 형성한 화합물(폐환체)로 평형이 기울고, 한편, 염기성수성매체 내(예를 들어 pH 10 정도)에서는 락톤환이 개환된 화합물(개환체)로 평형이 기우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와 같은 폐환체 및 개환체에 대응하는 잔기를 도입한 약물복합체는 동등의 항종양효과를 가지고 있고,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반응계 내에서 락톤환이 개환한 반응종이 존재하면, 락톤환에서 유래하는 카르복실기와 스페이서 유래의 아미노기와의 사이에서 축합반응이 진행되어, 현저하게 반응수율이 저하하는 것 뿐만 아니라, 목적으로 하는 균일한 약물복합체가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부반응은, 반응종으로서 선택적으로 폐환체을 이용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즉,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을 트리에틸암모니움염으로 변환한 후, 비수용성계(물을 함유하지 않은 유기용매내)에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에 대해서, 상기의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결합시킨 스페이서의 N말단 아미노기를 축합시킴으로써 부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효율적으로 목적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유기용매에 용해가 가능한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염으로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이나 트리메틸암모니움염 등의 트리알킬암모니움염 외에, N-메틸피롤리딘(pyrrolidine), N-메틸몰포린(morpholine), 디메틸아미노피리딘(DMAP) 등의 유기염기의 염을 이용할 수 있다. 유기용매로서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술폭시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의약화합물의 잔기의 종류(예를 들어, 항종양제 또는 항염증제 등의 의약화합물의 잔기)에 따라서, 원하는 의약활성을 종양부위나 염증부위 등의 국소에서 특이적으로 발현시킬 수가 있고, 또한, 의약화합물 자체가 가지는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진다. 어떠한 특정의 이론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다당유도체 부분(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은 극히 우수한 혈중체류성 및 종양ㆍ염증부위로의 집적성을 가지고 있어 약물전달의 담체로서 유용하고,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종양성택성 및 염증부위 선택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종양부위나 염증부위에서는 프로테아제(펩티다제)가 발현되고 있는 것으로 여겨지므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스페이서는 용이하게 가수분해되어, 유리된 의약화합물이 약효를 발휘한다.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를 함유하는 의약은, 통상 동결건조품 등의 형태로 바이알(vial) 등에 충진할 수 있고, 사용시 즉시 용해 가능한 주사용 또는 점적용 제제 등의 비경구 투여용 제제로서 임상적으로 제공되지만, 본 발명의 의약의 제제형태는 상기 태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제의 제조에는, 예를 들어, 용해보조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등 당업계에서 이용가능한 제제용 첨가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의약의 투여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통상은 의약화합물 잔기를 구성하는 의약화합물의 투여량, 본 발명의 약물복합물체 내에 도입된 의약화합물의 잔기량, 환자의 상태나 질환의 종류 등을 감안하여 결정하여야만 한다. 예를 들어, 특허공개 평6-87746호 공보의 청구항 2에 기재되어 있는 항종양제의 잔기가 약 6중량% 정도의 비율로 도입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를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하루에 체표면적 1㎡당 약 1 내지 5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00 ㎎의 범위로 일회 투여하고, 3 내지 4주 마다 반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는 하기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중, 「A-NH-」는, 특허공개 평6-87746호 공보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의약화합물(실시예 중에서 「DX-8951」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과 같은 락톤환을 가지는 의약화합물에서, 락톤환이 폐환한 의약화합물을 A-NH2로 나타낸 경우의 의약화합물 잔기를 나타내고, 그 하나의 예로는, 상기의 개략도 중에서 A-NH-로 나타낸 기(락톤환을 형성한 것)이다. 또한, A'-NH-는 A-NH-로 표시되는 의약화합물 잔기 중의 락톤환이 폐환형 혹은 개환형 중 어느 하나 또는 이들의 혼합형태임을 나타낸다. -DXR은 독소루비신 유래의 잔기를 나타내고, -D51-7059는 예 55에 나타낸 탁솔유도체 유래의 잔기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중, 특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에는,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시메틸화 정도(구성 당 잔기 당의 카르복시메틸기의 치환도)는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을 유리산형으로 변환한 후, 0.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용해하여 0.1N 염산으로 적정하는 것에 의해 구하였다.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의 수용액을 Bio-Rad AG50W-x 2(H+형) 칼럼에 주입하고, 통과액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서 이용하였다. 이 시료를 소정 과잉량의 0.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서 0.1N 염산으로 적정하였다. 시료의 채취량을 s(㎎), 0.1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소정과잉량을 a(㎖), 0.1N 염산의 적정량을 b(㎖)로 하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를 13.4(a-b)/[s-5.8(a-b)]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또한, 약물의 도입량(중량%)는, 약물의 흡수 특성을 이용한 흡광도 분석(362㎚ 부근)으로부터 구했다. 아울러, 겔여과법은 다음의 조건에 따라 시행하였다(칼럼: TSK gel G4000 PWXL, 용리액: 0.1M NaCl, 유속: 0.8 ㎖/min, 칼럼온도: 40℃).
예1: 3'-N-(Boc-Gly-Gly-Phe-Gly)-NH-A(A-NH2=DX-8951)
Boc-Gly-Gly-Phe-Gly(600㎎)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hydroxysuccinimide)(160㎎)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dimethylformamide)(20㎖)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280㎎)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특허공개 평6-87746호 공보의 청구항 2에 기재된 의약화합물의 메탄술폰산(methanesulfonic acid)염(600 ㎎: 상기 공보의 실시예 50에 기재된 화합물)과 트리에틸아민(0.16㎖)을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용액을 가하여, 차광하에서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하에서 건고하고,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chromatography)(용출액: 0.5% 초산을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 : 메탄올 = 10 : 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1의 화합물(1.0 g)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40(d, 1H, J= 8.3 Hz), 8.10-8.17(m, 2H), 7.91-8.01(m, 1H), 7.78(d, 1H, J= 10.75 Hz), 7.32(s, 1H), 6.94-6.96(m, 1H), 6.50(s, 1H), 5.57(t, 1H, J= 4.5 Hz), 5.43(s, 2H), 5.23(s, 2H), 3.77(dd, 2H, J= 5.85 Hz, J= 8.80 Hz), 3.70(d, 2H, J= 4.40 Hz), 3.65(d, 2H, J= 5.35 Hz), 3.56(d, 2H, J= 5.85 Hz), 3.15-3.25(m, 2H), 2.40(s, 3H), 2.05-2.25(m, 1H), 1.86(m, 2H), 1.35(s, 9H), 0.88(t, 3H, J= 7.35).
Mass(FAB); m/e 854(M+1)
예2 : 3'-N-(Boc-Gly-Gly-Gly-Phe)-NH-A(A-NH2=DX-8951)의 합성
Boc-Gly-Gly-Gly-Phe(600㎎)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160㎎)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280㎎)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DX-8951의 메탄술폰산염(600㎎)과 트리에틸아민(0.16㎖)을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용액을 가하고, 차광하에서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하고,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0.5% 초산을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10: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2의 화합물(7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8.57(d, 1H, J= 7.8 Hz), 8.19(d, 1H), 8.05-8.07(m, 2H), 7.79(d, 1H, J= 11.2 Hz), 7.32(s, 1H), 7.10(d, 2H, J= 7.8 Hz), 6.93-7.03(m, 4H), 6.51(s, 1H), 5.52-5.55(m, 1H), 5.44(s, 2H), 5.18(d, 1H, J=18.5 Hz), 4.84(d, 1H, J= 18.5 Hz), 4.57-4.59(m, 1H), 3.57-3.71(m, 6H), 3.15-3.25(m, 2H), 3.00-3.02(m, 1H), 2.80-2.90(m, 1H), 2.40(s, 3H), 2.05-2.25(m, 1H), 1.86(m, 2H), 1.35(s, 9H), 0.88(t, 3H, J= 7.35 Hz).
Mass(FAB); m/e 854(M+1)
예3 : 3'-N-(Boc-Gly-Gly-Gly-Gly)-NH-A(A-NH2=DX-8951)의 합성
Boc-Gly-Gly-Gly-Gly(120mg)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39㎎)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70㎎)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DX-8951의 메탄술폰산염(150㎎)과 트리에틸아민(0.039㎖)을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용액을 가하고, 차광하에서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하고,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0.5% 초산을 함유하는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10: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3의 화합물(1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8.40(d, 1H, J= 8.3 Hz), 8.10-8.17(m, 2H), 7.91-8.01(m, 1H), 7.78(d, 1H, J= 10.75 Hz), 7.32(s, 1H), 6.94-6.96(m, 1H), 6.50(s, 1H), 5.57(t, 1H, J= 4.5 Hz), 5.43(s, 2H), 5.23(s, 2H), 3.77(dd, 2H, J= 5.85 Hz, J= 8.80 hz), 3.70(d, 2H, J= 4.40 Hz), 3.65(d, 2H, J= 5.35 Hz), 3.56(d, 2H, J= 5.85 Hz), 3.15-3.25(m, 2H), 2.40(s, 3H), 2.05-2.25(m, 1H), 1.86(m, 2H), 1.35(s, 9H), 0.88(t, 3H, J= 7.35 Hz).
Mass(FAB); m/e 764(M+1)
예 4 : 3'-N-(Gly-Gly-Gly-Gly)-NH-A(A-NH2=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의 합성
3'-N-(Boc-Gly-Gly-Gly-Gly)-NH-A(A-NH2= DX-8951)(79 ㎎)을 트리플루오로초산(3 ㎖)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하였다.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하여, 예 4의 화합물(8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59-8.61(m, 1H), 8.50(d, 1H, J= 8.3 Hz), 8.21-8.27(m, 2H), 7.91-8.01(br, 3H), 7.81(d, 1H, J= 11.2 Hz), 7.32(s, 1H), 6.50-6.52(br, 1H), 5.57-5.59(m, 1H), 5.43(s, 2H), 5.23(s, 2H), 3.80-3.82(m, 3H), 3.70-3.75(m, 3H), 3.15-3.25(m, 2H), 2.41(s, 3H), 2.05-2.25 (m, 1H), 1.86-1.88(m, 2H), 0.88 (t, 3H, J= 7.35 Hz).
예5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T2000(10 g, Pharmacia사 제품, 평균 분자량 2,000,000)을 0.1M 초산완충액(pH 5.5, 1,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33.0 g)의 수용액(1000㎖)을 부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7.0 ㎖)을 가하고,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정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14 g)을 부가하여 용해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고,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Millipore사 제품)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으로 저분자 분획을 제거하였다. 고분자 분획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을 얻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을 pH 3.0에서 1시간 처리한 후, 바이오맥스-50막으로 저분자 분획을 제거한 다음, 고분자 분획을 바이오맥스-100막으로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정제 덱스트란폴리알콜(2.0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법, 덱스트란 표준)은 220 K이었다.
이 정제 덱스트란폴리알콜(1.8 g)을, 수산화나트륨(10.5 g)을 물(45㎖)에 녹여서 얻은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15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20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1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으로 저분자 분획을 제거하였다. 고분자 분획을 동결건조하고,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8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덱스트란 표준)은 330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8 이었다.
상기의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300 ㎎)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1.5 X 8.6 ㎝)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0.5 ㎖)를 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380 ㎎)을 얻었다.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각 300 ㎎)을 상기와 같은 칼럼에 처리하고,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380㎎, 400 ㎎)을 얻었다.
예6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의 합성
상기 예 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0.15 g)을, 수산화나트륨(1.05 g)을 물(4.5 ml)에 녹여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1.5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절하고, 90㎖ 메탄올에 떨어뜨린 후, 3M 염화나트륨 수용액(0.15 ㎖)를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물(5 ml)에 용해하고,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0.15 ㎖)를 가하였다. 이 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45 ㎛m)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35 ㎖의 에탄올에 적하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투석막(Spectrapore 1, 한외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하여 투석하였다.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에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0.18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당잔기 당의 카르복시메틸화 정도(알카리 적정법)는 1.2이었다.
예 7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의 합성
예 5에서 얻은 정제 덱스트란폴리알콜(0.2 g)을, 수산화나트륨(0.84 g)을 물(6 ㎖)에 녹여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1.2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절하고, 120 ㎖의 메탄올에 떨어뜨린 후,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0.2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메탄올로 세척한 후, 물(5 ㎖)에 용해하고,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0.2 ㎖)을 부가하였다. 이 수용액을 밀리포아필터(0.45 ㎛)로 여과하고, 여과액을 35 ㎖의 에탄올에 떨어뜨리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투석막(Spectrapore 1, 한외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해 투석하였다.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0.20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당잔기 당의 카르복시메틸화 정도(알카리 적정법)은 0.4이었다.
예 8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Gly-Phe-NH-A'(A-NH2
=DX-8951)의 합성
예 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380 ㎎, 카르복시메틸화 정도 0.8)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3'-N-(Gly-Gly-Gly-Phe)-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49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용액, 트리에틸아민(0.017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380 ㎎)을 순차적으로 부가해,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1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0으로 조절한 후, 25 ㎖의 에탄올에 5 ㎖씩 떨어뜨렸다. 이 혼합물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 ㎖), 디에틸에테르(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물에 용해하고, 투석막(Spetrapore 1, 한외 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해 투석하고,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물(30 ㎖)에 용해하고,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고, 37℃로 1시간 처리하였다. 이 처리액을 상기와 동일하게 투석한 후,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하고, 동결건조하여 예 8의 화합물을 289 ㎎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Tosoh)사 제품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25 ㎎/㎖)을 각각 도 1 및 도 2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완충액(pH 9.0) 내에서의 362 nm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3%(w/w)이었다.
예 9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951)합성
3'-N-(Boc-Gly-Gly-Phe-Gly)-NH-A(A-NH2=DX-8951)(50 ㎎)로부터 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탈 Boc화하여 얻어진 3'-N-(Gly-Gly-Phe-Gly)-NH-A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을 예8과 같은 방법에 따라, 예 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380 ㎎)에 도입하여 예 9의 화합물(300 ㎎)을 합성하였다. 본 화합물은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Tosoh)사 제품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19 ㎎/㎖)을 각각 도 3 및 도 4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3%(w/w)이었다.
예 10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Gly-Gly-NH-A'(A-NH2
=DX-8951)의 합성
3'-N-(Boc-Gly-Gly-Gly-Gly)-NH-A(A-NH2=DX-8951)(41 ㎎)으로부터 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탈 Boc화하여 얻어진 3'-N-(Gly-Gly-Gly-Gly)-NH-A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을 예 8과 같은 방법에 따라, 예 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380 ㎎)에 도입하여 예 10의 화합물(190 ㎎)을 합성하였다.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34 ㎎/㎖)을 도 5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3%(w/w)이었다.
예11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마우스 선유육종 Meth A 세포 1 X 106개를 BALB/c 계의 웅성 마우스(7 주령)의 우측 혜부피하에 이식하여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였다(1군당 7마리). 7일 째에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한 예 9의 약물복합체를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의 꼬리 정맥 내에 4일 마다 4회 투여하였다. 이식 후 21일째에 종양을 적출하여 중량을 측정하고, 종양증식억제율을 다음 식 : 종양증식억제율(%) = [1-(검체투여군의 평균 종양중량/대조군의 평균 종양중량)] X 100에 의해 산출하였다. 그 결과, 예 9에서 얻어진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독성(체중감소)를 발현하지 않고, 상기 의약화합물 자체(스페이서 및 다당유도체가 없음)에 비교하여 항종양효과가 큰폭으로 증강되어 있었다. 다당유도체 자체(예 5) 및 스페이서만을 도입한 의약화합물 잔기(예 1의 화합물에서 예 4의 방법에 따라 탈 BOC화하여 얻어진 H2N-Gly-Gly-Phe-Gly-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은 효과가 없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 억제율(%)
의약화합물 자체 7.5 × 4 76
1.875 × 4 46
0.9375 × 4 36
예 9의 화합물 1.41)× 4 94
0.71)× 4 59
0.351)× 4 41
1)의약화합물환산량
예12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예 11과 같은 방법에 의해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고(1군당 6마리), 7일째에 예 8 및 예 9의 약물복합체를 1회 투여한 경우의 항종양작용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항종양작용의 정도는 (다당유도체)-Gly-Gly-Phe-Gly-NH-A' 〉(다당유도체)-Gly-Gly-Gly-Phe-NH-A' 〉 의약화합물 자체이었다. 스페이서를 통하지 않고 의약화합물 잔기를 예 5의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에 직접 결합한 화합물(의약화합물 잔기의 도입량 : 6.2 중량 %)는 효과가 없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 억제율(%)
의약화합물 자체 60 77
20 59
예 8의 화합물 101) 85
51) 76
예 9의 화합물 51) 98
2.51) 87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13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 T500(10 g, Pharmacia사 제품, 분자량 500K)을 0.1 초산완충액(pH 5.5, 1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33 g)의 수용액(1000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7.0 ㎖)을 부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14 g)을 부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로 1시간 교반한 후,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7.5로 조절하여 용액 1을 얻었다. 별도로, 덱스트란 T500(10 g, Pharmacia사 제품, 분자량 500K)에 대해서, 상기의 일련의 조작을 시행하여, 용액 2를 얻었다. 아울러, 덱스트란 T250(각 10g, Pharmacia사 제품, 분자량 250 K)에 대해서, 상기의 일련의 조작을 시행하여, 용액 3과 용액 4를 얻었다. 이들 용액 1 내지 4를 합하고,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저분자 분획의 제거를 시행하였다. 고분자 분획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25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표준)은 163 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11g)을, 수산화나트륨(46.2 g)을 물(330 ml)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66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9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3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 여과, 플루란 표준)은 228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4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600 ㎎)을 물에 용해하고, Bod-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직경 44㎜, 길이 210㎜)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0.93 ㎖)을 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13의 화합물(690 ㎎)을 얻었다.
예 14 : 3'-N-(Gly-Gly-Phe-Gly)-NH-A(A-NH2=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의 합성
예 1에서 얻은 3'-N-(Boc-Gly-Gly-Phe-Gly)-NH-A(A-NH2=DX-8951)(79 ㎎)을 트리플루오로초산(3 ㎖)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하여, 예 14의 화합물(8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8.53(d, 1H, J= 8.3 Hz), 8.40-8.48(m, 2H), 8.28(d, 1H, J= 8.3 Hz), 7.95-8.07(br, 3H), 7.81(d, 1H, J= 10.2 Hz), 7.30-7.37(m, 2H), 7.15-7.30(m, 5H), 6.50-6.55(br, 1H), 5.50-5.57(m, 1H), 5.41(d, 2H, J= 7.82 Hz), 5.25(s, 2H), 4.55-4.62(m, 1H), 3.55-3.92(m, 6H), 3.15-3.25(br, 2H), 2.98-3.03(m, 1H), 2.73-2.82(m, 1H), 2.40(s, 3H), 2.05-2.25(m, 1H), 1.84-1.92(m, 2H), 0.88(t, 3H, J= 7.35 Hz).
예 15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9851)의 합성
예 13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400 ㎎)을 트리에틸암모니움염(470 ㎎)으로 변환시키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14에서 얻은 3'-N-(Gly-Gly-Phe-Gly)-NH-A (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62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 트리에틸아민(0.02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470 ㎎)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한 후, 투석막(Spectrapore 1, 한외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해서 투석하였다.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15의 화합물(60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Tosoh)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1 ㎎/㎖)을 각각 도 6 및 도 7 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8 %(w/w)이었다.
예 16 : 3'-N-(Gly-Gly-Gly-Phe)-NH-A (A-NH2 =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 의 합성
예 2에서 얻은 3'-N-(Boc-Gly-Gly-Gly-Phe)-NH-A(A-NH2=DX-8951)(79 mg)을 트리플루오로초산(3 ml)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30 ml)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30 ml)을 가하여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하여, 예 16의 화합물(80 mg)을 얻었다.
1H-NMR(DMSO-d6) δ:8.62-8.66(m, 2H), 8.23(d, 1H, J= 8.3 Hz), 8.18-8.20(m, 1H), 7.98-8.10(br, 2H), 7.79(d, 1H, J= 10.7 Hz), 7.32(s, 1H), 7.09(d, 2H, J= 7.3 Hz), 6.93-7.03(m, 4H), 6.50-6.60(br, 1H), 5.52-5.55(m, 1H), 5.44(s, 2H), 5.18(d, 1H, J= 18.5 Hz), 4.80(d, 1H, J= 18.5 Hz), 4.57-4.59(m, 1H), 3.57-3.71(m, 6H), 3.15-3.25(m, 2H), 3.00-3.02(m, 1H), 2.80-2.90(m, 1H), 2.50(s, 3H), 2.05-2.25(m, 1H), 1.86-2.00(m, 2H), 0.88(t, 3H, J= 7.35 Hz).
예 17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Gly-Phe-NH-A'(A-NH2
=DX-9851)의 합성
예 13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0 g)을 트리에틸암모니움염(1.2 g)으로 변환시키고, N,N-디메틸포름아미드(90 ml)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16에서 얻은 3'-N-(Gly-Gly-Gly-Phe)-NH-A (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158 mg)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5 ml) 용액, 트리에틸이민(0.05 ml),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2 g)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ml씩을 각 10 ml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ml), 디에틸에테르(20 ml)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한 후, 투석막(Spectrapore 1, 한외 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해서 투석하였다.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17의 화합물(1.4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nm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측정한 바, 5.2%(w/w)이었다.
예 18 : Boc-Gly-Phe-Leu-OH의 합성
H-Gly-Phe-Leu-OH(3.0 g)을 50% 디옥산 수용액(48 ml)에 가하여 빙냉하였다. 이 용액에 1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9.45 ml)와 (Boc)2O(2.27 g)을 함유한 디옥산(24ml) 용액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1N 염산(9.45ml)을 가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 메탄올 = 5: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18의 화합물(2.5 g)을 얻었다.
예 19 : Boc-Gly-Phe-Leu-Gly-OBzl의 합성
예 18에서 얻은 Boc-Gly-Phe-Leu-OH(2.4 g)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656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50 ml)에 용해하고, 4℃에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1.17 g)을 첨가하고 2시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H-Gly-OBzl의 토실산염(1.9 g)과 트리에틸아민(0.79 ml)을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40 ml) 용액을 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시켜,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50 : 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19의 화합물(2.0 g)을 얻었다.
1H-NMR(DMSO-d6) δ:8.20-8.30(m, 1H), 8.12(d, 1H, J= 8.3 Hz), 7.83(d, 1H, J= 8.3 Hz), 7.32-7.37(m, 5H), 6.89-6.95(m, 1H), 5.12(s, 1H), 4.52-4.59(br, 1H), 4.34(dd, 1H, J= 7.3 Hz, J= 15.1 Hz), 3.93(dd, 1H, J= 5.5 Hz, J= 17.2 Hz), 3.84(dd, 1H, J= 5.5 Hz, J= 17.2 Hz), 3.54(dd, 1H, J= 5.9 Hz, J= 16.7Hz), 3.42(dd, J= 5.9 Hz, J= 16.7 Hz), 3.00(dd, 1H, J= 4.4 Hz, 13.7 Hz), 2.78(dd, 1H, J= 8.8 Hz, J= 13.2 Hz), 1.50-1.65(m, 1H), 1.45(t, 2H, J= 7.3 Hz), 1.36(s, 9H), 0.86(d, 3H, J= 6.4 Hz), 0.82(d, 3H, J= 6.4 Hz).
예 20 : Boc-Gly-Phe-Leu-Gly-OH의 합성
예 19에서 얻은 Boc-Gly-Phe-Leu-OBzl(1.7 g)을 초산에틸(30 ㎖)와 메탄올(30 ㎖)의 혼합용액에 용해시킨 후, 5% Pd-C(1.5 g)을 가하고, 접촉 환원을 시행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건고시켜, 예 20의 화합물(1.15 g)을 얻었다.
예 21 : 3'-N-(Boc-Gly-Phe-Leu-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20에서 얻은 Boc-Gly-Phe-Leu-Gly-OH(200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58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5 ㎖)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104 ㎎)을 부가하여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DX-8951의 메탄술폰산염(224 ㎎)과 트리에틸아민(0.059 ㎖)을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을 가하고,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압력을 줄이면서 건고시켜,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0.5 % 초산을 함유한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10 : 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21의 화합물(2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8.35(d, 1H, J= 7.8 Hz), 8.08-8.18(m, 2H), 7.75-7.85(m, 2H), 7.32(s, 1H), 7.10(d, 2H, J= 6.8 Hz), 7.08-7.13(m, 3H), 6.85-6.95(br, 1H), 6.40-6.65(br, 1H), 5.52- 5.55(m,, 1H), 5.46(d, 1H, J= 18.5 Hz), 5.37(d, 1H, J= 18.5 Hz), 5.24(s, 2H), 4.44-4.52(m, 1H), 4.15-4.25(m, 1H), 3.68-3.72(m, 2H), 3.40-3.52(m, 2H), 3.15-3.25(br, 2H), 2.85-2.95(m, 1H), 2.65-2.75(m, 1H), 2.40(s, 3H), 2.05-2.25(m, 1H), 1.80-1.91(m, 2H), 1.50-1.65(m, 1H), 1.45(t, 2H, J= 7.3 Hz), 1.35(s, 9H), 0.88(t, 3H, J= 7.4 Hz), 0.86(d, 3H, J= 6.4 Hz), 0.82(d, 3H, J= 6.4Hz).
예 22 : 3'-N-(Gly-Phe-Leu-Gly)-NH-A (A-NH2 =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
의 합성
예 21에서 얻은 3'-N-(Boc-Gly-Phe-Leu-Gly)-NH-A(A-NH2=DX-8951)(97 ㎎)을 트리플루오로초산(3 ㎖)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하여, 예 22의 화합물(95 ㎎)을 얻었다.
1H-NMR(DMSO-d6) δ:8.57(d, 1H, J= 8.3 Hz), 8.47(d, 1H, J= 8.3 Hz), 8.32(d, 1H, J= 7.8 Hz), 8.17(t, 1H, J= 5.5 Hz), 7.81-7.91(br, 3H), 7.79(d, 1H, J= 10.7 Hz), 7.32(s, 1H), 7.21-7.23(m, 5H), 7.12-7.17(m, 1H), 6.45-6.55(br, 1H), 5.57(q, 1H, J= 4.4 Hz), 5.43(d, 1H, J= 16.1 Hz), 5.34(d, 1H, J= 16.1 Hz), 5.23(s, 2H), 4.67(dt, 1H, J= 4.0 Hz, J= 9.0Hz), 4.31(dd, 1H, J= 8.5 Hz, J= 15.0 Hz), 4.0-4.4(br, 1H), 3.74-3.76(m, 2H), 3.56(dd, 1H, J= 6.0 Hz J= 16.0 Hz), 3.41(dd, 1H, J= 6.0 Hz, J= 16.0 Hz), 3.17-3.19(br, 2H), 3.02(dd, 1H, J= 4.0 Hz, J= 14.0 Hz), 2.70(dd, 1H, J= 10.0 Hz, J= 14.0 Hz), 2.40(s, 3H), 2.05-2.15(m, 1H), 1.85(dt, 2H, J= 7.0 Hz, J= 14.0 Hz), 1.50-1.55(m, 1H), 1.45(t, 2H, J= 6.0 Hz), 1.35(s, 9H), 0.88(t, 3H, J= 7.4), 0.85(d, 3H, J= 6.4 Hz), 0.80(d, 3H, J= 6.4 Hz).
예 23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Phe-Leu-Gly-NH-A'(A-NH2
=DX-9851)의 합성
예 13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69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5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22에서 얻은 3'-N-(Gly-Phe-Leu-Gly)-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95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 용액, 트리에틸아민(0.03 ㎖), 1-에톡시카르보닐-2- 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690 ㎎)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한 후, 투석막(Spetrapore 1, 한외 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해서 투석하였다.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여과액을 동결건조하여 예 23의 화합물(60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 )내에서의 362㎚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4.8%(w/w)이었다.
예 24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 T500(50 g, Pharmacia사 제품, 분자량 500K)을 0.1 M 초산 완충액(pH 5.5, 5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165.0 g)의 수용액(5000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35.0 ㎖)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70 g)을 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 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으로 저분자 분획의 제거를 시행하였다. 고분자 분획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27.1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140 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5 g)을, 수산화나트륨(21 g)을 물(150 ㎖)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30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5.6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 여과, 플루란 표준)은 263 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4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0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직경 44 ㎜, 길이 210 ㎜)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4 ㎖)을 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24의 화합물(2.2 g)을 얻었다.
예 25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메틸암모니움염의 합성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0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Me3N H+형) 칼럼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을 동결건조하여 예 25의 화합물(950 ㎎)을 얻었다.
예 26 : 3'-N-(Gly-Gly-Phe-Gly)-NH-A (A-NH2=DX-8951)염산염의 합성
예 14와 같은 방법으로 3'-N-(Boc-Gly-Gly-Phe-Gly)-NH-A(A-NH2=DX-8951)(400 ㎎)로부터 얻은 3'-N-(Gly-Gly-Phe-Gly)-NH-A 트리플루오로초산염을 물-MeOH(1:4)에 용해하고, Bio-Rad AG 1-X8(200 내지 400 메쉬, Cl-형) 칼럼(1.5 cm X 8.6 cm)에 주입하여, 상기 용매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을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26의 화합물(31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8.53(d, 1H, J= 8.5 Hz), 8.46-8.48(m, 1H), 8.37-8.39(m, 1H), 7.95(d, 1H, J= 8.0 Hz), 7.80(s, 3H), 7.78(d, 1H, J= 11.1 Hz), 7.34(s, 1H), 7.14-7.24(m, 5H), 6.50(s, 1H), 5.56-5.60(m, 1H), 5.35-5.40(m, 2H), 5.24(s, 2H), 4.51-4.56(m, 1H), 3.86(dd, J= 4.8, 13.5 Hz, 1H), 3.68-3.79 (m, 3H), 3.54 (s, 2H), 3.15-3.22(m, 2H), 3.01(dd, J= 5.6, 13.5 Hz, 1H), 2.78(dd, J= 9.6, 3.5 Hz, 1H), 2.41(s, 3H), 2.12-2.23(m, 2H), 1.81-1.89(m, 2H), 0.88(t, 3H, J= 7.2 Hz).
Mass(FAB); m/e 753(M+1)
예 27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9851)의 합성
예 2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메틸암모니움염(0.1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26에서 얻은 3'-N-(Gly-Gly-Phe-Gly)-NH-A(A-NH2=DX-8951)의 염산염(24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 용액, 트리에틸아민(5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0.1 g)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 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27의 화합물(9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11 %(w/w)이었다.
예 28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2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메틸암모니움염(0.1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26에서 얻은 3'-N-(Gly-Gly-Phe-Gly)-NH-A(A-NH2=DX-8951)의 염산염(36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 용액, 트리에틸아민(8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0.1 g)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 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2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28의 화합물(8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Tosoh)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36 ㎍/㎖)을 각각 도 8 및 도 9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15 %(w/w)이었다.
예 29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Gly-Phe-NH-A'(A-NH2
=DX-8951)의 합성
덱스트란 T250(20 g, EXTRASYNTHESE사 제품, 평균 분자량 250K)을 0.1 M 초산 완충액(pH 5.5, 2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66.0 g)의 수용액(2000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 ㎖)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 g)을 가하여 용해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으로 저분자 분획의 제거하여,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 1을 얻었다. 별도로, 덱스트란 T250(50 g, EXTRASYNTHESE사 제품, 평균분자량 250 K)를 0.1 M 초산 완충액(pH 5.5, 5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165 g)의 수용액(5000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35.0 ㎖)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나트륨붕소나트륨(70 g)을 부가하여 용해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고,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8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저분자 분획을 제거하고,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 2를 얻었다. 잔유용액 1과 잔유용액 2를 합하여, 한외여과법에 의해 바이오맥스-50막을 통과하는 분획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하여 저분자 분획을 제거하고,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25.7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47 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5 g)을, 수산화 나트륨(35 g)을 물(150 ㎖)에 녹여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 초산(50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고,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7.2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127 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8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2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직경 44 ㎜, 길이 210 ㎜)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4㎖)을 부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69 g)을 얻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67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0 ㎖)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3'-N-(Boc-Gly-Gly-Gly-Phe)-NH-A(A-NH2=DX-8951)(350 ㎎)으로부터 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탈 Boc화하여 얻어진 3'-N-(Gly-Gly-Gly-Phe)-NH-A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과 트리에틸아민(0.116 ㎖)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녹여서 얻어진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2.67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녹여 얻어진 용액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00 ㎖)를 가하여, 8㎖ 씩을 각 3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 ㎖), 디에틸에테르(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0 ㎖)를 부가한 후,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고, 37℃에서 1시간 처리하였다. 이 처리액을 바이오맥스-1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29의 화합물(2.30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20 ㎎/㎖을 각각 도 10 및 도 11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8 %(w/w)이었다.
예 30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 T10(20 g, Pharmacia사 제품, 평균 분자량 10K)의 0.1 M 초산 완충액(pH 5.5) 용액(2000 ㎖)에, 과요오드산나트륨(66.0 g)의 수용액(2000 ㎖)을 부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 ㎖)을 부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 g)을 부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 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막(밀리포아사 제품)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을 의해 저분자 분획을 제거하고,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을 통과시켰다. 얻어진 통과액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8.0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13 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3.7 g)을, 수산화나트륨(25.9 g)을 물(111 ㎖)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37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20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6.2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 여과, 플루란 표준)은 37 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9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6.0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9.3 ㎖)을 부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30의 화합물(7.2 g)을 얻었다.
예 31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예 30에서 얻은 덱스트란폴리알콜(3.9 g)을, 수산화 나트륨(16.3 g)을 물(117 ㎖)에 녹여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 초산(23.4 g)을 부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고,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5.0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28 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5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4.8 g)을 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리에틸암모니움염으로 변환하고, 예 31의 화합물(5.6 g)을 얻었다.
예 32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 4(20 g, 후나코시사 제품, 평균 분자량 4K 내지 6K)의 0.1 M 초산 완충액(pH 5.5) 용액(2000 ㎖)에, 과요오드산나트륨(66.0 g)의 수용액(2000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 ㎖)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 g)을 가하여 용해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막(밀리포아사 제품)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을 의해 저분자 분획을 제거하였다. 얻어진 통과액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6.0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9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2.7 g)을, 수산화나트륨(18.9 g)을 물(81 ㎖)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27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20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4.2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 여과, 플루란 표준)은 20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9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4.0 g)을 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리에틸암모니움염으로 변환하여, 예 32의 화합물(4.8 g)을 얻었다.
예 33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예 32에서 얻은 덱스트란폴리알콜(2.7 g)을, 수산화 나트륨(11.3 g)을 물(81 ㎖)에 녹여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 초산(16.2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고,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7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16 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5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7 g)을 예 30과 동일한 방법으로 트리에틸암모니움염으로 변환하고, 예 33의 화합물(3.1 g)을 얻었다.
예 34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30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5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9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7 ㎖)와 3'-N-(Gly-Gly-Phe-Gly)-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210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40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5 g)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34의 화합물(1.3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65 ㎍/㎖)을 각각 도 12및 도 13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6.4 %(w/w)이었다.
예 35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31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2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90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56 ㎖)과3'-N-(Gly-Gly-Phe-Gly)-NH-A(A-NH2= 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168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2 g)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35의 화합물(1.0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4.8 %(w/w)이었다.
예 36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32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2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90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56 ㎖)과3'-N-(Gly-Gly-Phe-Gly)-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168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2 g)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36의 화합물(1.0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9 %(w/w)이었다.
예 37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33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5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9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0.07㎖)과 3'-N-(Gly-Gly-Phe-Gly)-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210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40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5 g)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37의 화합물(1.3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4.6 %(w/w)이었다.
예 38 : Boc-Gly-Gly-Phe-Gly-NH-A(A-NH2= DW-8286)의 합성
Boc-Gly-Gly-Phe-Gly(42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12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 ㎖)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22 ㎎)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s, 9s)-1-아미노-5-클로로-9-에틸-2,3-디히드로-9-히드록시-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 DW-8286]의 염산염(50 mg)과 트리에틸아민(0.01 ㎖)를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6 ㎖) 용액을 가하고, 빛을 피해 실온에서 16시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시켜,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0.5 % 초산을 함유한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10: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38의 화합물(27 ㎎)을 얻었다.
1H-NMR(CDC13) δ: 8.10-8.20(br, 1H), 7.95-8.05(br, 1H), 7.70-7.80(br, 2H), 7.50-7.60(br, 1H), 7.40-7.50(br, 1H), 7.10-7.25(m, 5H), 7.05-7.15(br, 1H), 5.85-5.95(br, 1H), 5.50-5.60(br, 1H), 5.40-5.50(m, 1H), 5.25-5.35(m, 1H), 5.05-5.15(m, 1H), 4.90-5.00(m, 1H), 4.70-4.80(br, 1H), 4.10-4.25(br, 2H), 3.60-3.90(m, 4H), 3.10-3.40(m, 3H), 2.95-3.05(br, 1H), 2.15-2.30(br, 1H), 1.75-1.90(br, 2H), 1.39(s, 9H), 0.80-1.00(m,3H).
예 39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X-8286)의 합성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75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38에서 얻은 3'-N-(Boc-Gly-Gly-Phe-Gly)-NH-A(A-NH2=DW-8286)(27 ㎎)으로부터 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탈 Boc화하여 얻어진 3'-N-(Gly-Gly-Phe-Gly)-NH-A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29 ㎎)과 트리에틸아민(9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75 g)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39의 화합물(135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99 ㎍/ml)을 각각 도 14 및 도 15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6.1 %(w/w)이었다.
예 40 : 3'-N-(Boc-Gly-Gly-Phe-Gly)-NH-A(A-NH2=DW-8089)의 합성
Boc-Gly-Gly-Phe-Gly(163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45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79 ㎎을 첨가하였다. 이 용액에 하기 식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s, 9s)-1-아미노-9-에틸-2,3-디히드로-9-히드록시-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DW-8089]의 토실산염(170 ㎎)과 트리에틸아민(0.054 ㎖)를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30 ㎖) 용액을 가하고, 빛을 피해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시켜,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0.5 % 초산을 함유한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94:6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40의 화합물(1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51(d, 1H, J= 8.5 Hz), 8.41(t, 1H, J= 5.6 Hz), 8.29(s, 1H), 8.17(d, 1H, J= 8.0 Hz), 8.03(d, 1H, J= 8.0 Hz), 7.90(dd, 1H, J= 4.8, 5.6 Hz), 7.79(t, 1H, J= 5.6 Hz), 7.53(d, 1H, J= 7.2 Hz), 7.36(s, 1H), 7.13-7.25(m, 5H), 6.94-6.95(m, 1H), 5.60-5.63(m, 1H), 5.36-5.47(m, 2H), 5.21-5.30(m, 2H), 4.42-4.47(m, 1H), 3.63-3.96(m, 3H), 3.51-3.59(m, 3H), 3.31-3.40(m, 1H), 3.09-3.21(m, 1H), 3.02(dd, 1H, J=4.8, 13.5 Hz), 2.76-2.81(m, 1H), 2.13-2.17(m, 2H), 1.85-1.90(m, 2H), 1.37(s, 9H), 0.89(t, 3H, J= 8.0 Hz).
Mass(FAB) ; m/e 822(M+1)
예 41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NH-A'(A-NH2
=DW-8089의 합성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6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40에서 얻은 3'-N-(Boc-Gly-Gly-Phe-Gly)-NH-A(A-NH2=DW-8089)(200 ㎎)으로부터 예 4와 같은 방법으로 탈 Boc화하여 얻어진 3'-N-(Gly-Gly-Phe-Gly)-NH-A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과 트리에틸아민(0.07 ㎖)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20 ㎖)에 녹여 얻은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6 g)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2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0 ㎖)를 가하고,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이 용액을 바이오맥스-1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41의 화합물(1.20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26 ㎍/㎖)을 각각 도 16 및 도 17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0 %(w/w)이었다.
예 42 : Trt-Gly-Gly-Phe-Gly-OH의 합성
Trt-Gly-Gly-Phe-Gly-OBzl(670 ㎎), 10% Pd-C(100 ㎎) 및 개미산암모니움(ammonium formate)(200 ㎎)을 DMF(5 ㎖)에 가하여, 3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여과하고, 여과액을 감압 건고한 후,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8:1 용액)으로 정제하여 예 42의 화합물(300 ㎎)을 얻었다.
1H-NMR(CD3OD) δ: 7.16-7.45(m, 20 H), 4.66 (dd, 1H, J= 9.8, 5.4 Hz), 3.93(d, 1H, J=16.6 Hz), 3.80(d, 1H, J= 17.6 Hz), 3.87(d, 1H, J= 16.6 Hz), 3.68(d, 1H, J= 17.1 Hz), 3.23(dd, 1H, J= 14.2, 5.4 Hz), 2.90(d, 1H, J=13.7 Hz), 2.90 (s, 1H).
예 43 : 3'-N-(Gly-Gly-Phe-Gly)-DXR 염산염의 합성
Trt-Gly-Gly-Phe-Gly-OH(100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22 ㎎)을 DMF(4 ㎖)에 녹이고, 빙냉하에서 N,N-디시클로헥시카르보디이미드(40 ㎎)을 가하여 4℃에서 2시간 교반하였다. 이 용액에 N-메틸몰포린(0.019 ㎖)와 독소루비신(DXR) 염산염(92 ㎎)을 용해한 DMF(20 ㎖)용액을 가하여, 4℃에서 16시간 교반하였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하고,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20:1 용액)으로 정제하였다. 얻은 화합물을 75% 초산 1㎖에 용해하고, 1시간 교반하였다. 물(20 ㎖)을 가햐여 석출한 고체를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과액을 동결건조하여 얻은 분말을 물(5 ㎖)에 녹였다. 이 용액을 AG-1X8(C1-형) 칼럼을 통해 물로 용출한 후,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하고, 수층을 동결건조하여 예 43의 화합물(40 ㎎)을 얻었다.
1H-NMR(CD3OD) δ: 7.95(d, 1H, J= 7.3Hz), 7.82(t, 1H, J= 7.8 Hz), 7.54(d, 1H, J= 8.3 Hz), 7.16-7.26(m, 5H), 5.43(d, 1H, J=3.4 Hz), 5.14(br, 1H), 4.72(s, 2H), 4.42(dd, 1H, J= 8.3, 6.8 Hz), 4.30(q, 1H, J= 6.8Hz), 4.14-4.18(m, 1H), 4.03(d, 1H, J= 16.6 Hz), 4.02(s, 3H), 3.86(d, 1H, J= 18.5 Hz), 3.83(d, 1H, J= 17.1 Hz), 3.75(d, 1H, J= 16.1 Hz), 3.73(d, 1H, J= 16.1 Hz), 3.83(d, 1H, J= 17.1 Hz), 3.75(d, 1H, J= 16.1 Hz), 3.73(d, 1H, J= 16.1 Hz), 3.62(br, 1H), 3.58(d, 1H, J= 16.6 Hz), 3.10-3.15(m, 2H), 3.00(d, 1H, J= 18.6 Hz), 2.94(dd, 1H, J= 14.2, 8.8 Hz), 2.38(d, 1H, J= 14.2 Hz), 2.18(dd, 1H, J= 14.2, 4.4 Hz), 1.94-2.00(m, 1H), 1.71(dd, 1H, J= 12.7, 4.4 Hz), 1.28(d, 3H, J=6.3 Hz).
예 44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DXR의 합성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1.5 g)을 예 25와 동일한 방법으로 트리메틸암모니움염(1.2 g)을 변환시킨 후, 이 40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24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3'-N-(Gly-Gly-Phe-Gly)-DXR의 염산염(76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24 ㎖) 용액, 트리에틸아민(24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400 ㎎)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5 ㎖), 디에틸에테르(20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 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바이오맥스-3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44의 화합물(4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Tosoh)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7.4, 36 ㎍/㎖)을 각각 도 18 및 도 19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은 PBS(pH 7.4)내에서의 480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6.0 %(w/w)이었다.
예 45 : 카르복실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 T150(20 g, Pharmacia사제품, 평균분자량 150K)을 0.1 M 초산 완충액(pH 5.5, 2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66.0 g)의 수용액(2000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14.0 ㎖)을 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5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28 g)을 가하여 용해한 후,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빙냉하에서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막(밀리포아사 제품)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을 의해 500 ㎖까지 농축하여 용액 1을 얻었다. 별도로, 덱스트란 T110(20 g)에 대해서 상기 일련의 조작을 시행하여, 용액 2를 얻었다. 용액1과 용액2를 혼합하여, 혼합용액의 pH를 3.0으로 하고, 40 ℃에서 4시간 방치한 후, pH를 7로 조절하여 저분자화된 덱스트란폴리알콜을 함유하는 용액을 얻었다. 바이오맥스-30막을 통과시킨 다음에 바이오맥스-5막을 이용하여 탈염한 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4.6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법, 플루란 표준)은 17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2.5 g)을, 수산화나트륨(17.5 g)을 물(75 ㎖)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25 g)을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20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9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4.0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 여과, 플루란 표준)은 45 K이고, CM화 정도는 0.9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3.7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에 주입하여, 물로 용해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5.8 ㎖)을 부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45의 화합물(4.4 g)을 얻었다.
예 46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Gly-Phe-NH-A'(A-NH2
=DX-8951)의 합성
예 45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4.4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30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트리에틸아민염(0.19 ㎖)과 3'-N-(Gly-Gly-Gly-Phe)-NH-A (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580 ㎎)을 함유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45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4.4 g)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빛을 피해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0으로 조절한 후, 5 ㎖ 씩을 각 25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 ㎖), 디에틸에테르(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물에 용해하고, 투석막(Spectrapore 1, 한외분자량 6000 내지 8000)을 이용하여, 정제수에 대해서 투석하고, 투석내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46의 화합물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4.6 %(w/w)이었다.
예 47 : α-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Gly-Phe-NH-A'(A-NH2 =DX-8951)의 합성
예 45에서 얻은 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2 g)을, 수산화나트륨(14 g)을 물(60 ㎖)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가하고,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α-브로모프로피온산(bromopropionic acid)(19 ㎖)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18시간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는 잔유용액을 동결 건조하고, α-메틸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95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45 K이었다. 당잔기 당 α-메틸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경우에 준하여 이하와 같이 구하였다. α-메틸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의 수용액을 Bio-Rad AG 50 W-X2(H+형) 칼럼에 주입하여, 통과액을 동결건조하여 시료로서 이용하였다. 이 시료를 소정 과잉량의 0.1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하고, 페놀프탈레인을 지시약으로 하여 0.1 N 염산으로 적정하였다. 시료의 채취량을 s ㎎, 0.1 N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의 소정 과잉량을 a(㎖), 0.1N 염산의 적정량을 b(㎖)으로 하고, α-메틸카르복시메틸화 정도를 13.4(a-b)/[s-7.2(a-b)]의 식에 의해 구하였다. 그 결과 α-메틸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8이었다.
이 α-메틸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2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직경 44 ㎜, 길이 210 ㎜)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4 ㎖)를 부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α-메틸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69 g)을 얻었다.
이 α-메틸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68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60 ㎖)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예 16와 동일한 방법으로 합성한 3'-N-(Boc-Gly-Gly-Gly-Phe)-NH-A(A-NH2= DX-8951)(350 ㎎)으로부터 예 16과 같은 방법으로 탈 Boc화하여 얻어진 3'-N-(Gly-Gly-Gly-Phe)-NH-A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과 트리에틸아민(0.116 ㎖)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녹여 얻어진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2.68 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녹여서 얻어진 용액을 순차적으로 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40 ㎖)를 가하여, 6 ㎖ 씩을 각 30 ml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각각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 ㎖), 디에틸에테르(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아세톤으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10 ㎖)를 가하여,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고, 37℃에서 1시간 처리하였다. 이 처리액을 바이오맥스-1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44의 화합물(2.5 g)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 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0.1 M 트리스 완충액, pH 9.0, 0.21 ㎎/㎖)을 각각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9 %(w/w)이었다.
예 48 : 3'-N-(Gly-Phe-Gly)-NH-A (A-NH2= 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의 합성
Phe-Gly-OBzl의 p-톨루엔술폰산염(3.06 g), Boc-Gly-OH(1.10 g), N-히드록시숙신이미드(941 ㎎), N-메틸몰폴린(methylmorpholine)(0.725 ㎖), N,N-디메틸포름아미드(40 ㎖)의 혼합물을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1.56 g)을 부가하였다.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킨 후, 반응액을 압력을 줄이면서 건고하였다.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98:2 용액)으로 정제하여 Boc-Gly-Phe-Gly-OBzl(1.93 g)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52(dd, 1H, J= 5.6, 6.4 Hz), 7.97(d, 1H, J= 8.8 Hz), 7.30-7.39(m, 5H), 7.15-7.26(m, 5H), 6.83(t, 1H, J= 5.6 Hz), 5.14(s, 1H), 4.52-4.57(m, 1H), 3.87-3.96(m, 2H), 3.57(dd, 1H, J= 5.6, 16.7 Hz), 3.43(dd, 1H, J= 5.6, 16.7 Hz), 3.01(dd, 1H, J= 4.8, 14.3 Hz), 2.77(dd, 1H, J= 5.6, 14.3 Hz), 1.37(s, 9H).
얻어진 Boc-Gly-Phe-Gly-OBzl(1.78 g)을 초산에틸(60 ㎖)에 용해하고, 5%-Pd-C(1.8 g) 존재하에서, 24시간 접촉 환원시켰다. 촉매를 여과 제거하고, 여과액을 감압 농축하여, Boc-Gly-Phe-Gly-OH(1.41 g)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35(t, 1H, J= 5.6 Hz), 7.94(d, 1H, J= 8.8 Hz), 7.15-7.26(m, 5H), 6.85(dd, 1H, J= 5.6, 6.4 Hz), 4.52-4.58(m, 1H), 3.76(d, 2H, J= 5.6 Hz), 3.56(dd, 1H, J= 6.4, 16.7 Hz), 3.43(dd, 1H, J= 5.6, 16.7 Hz), 3.03(dd, 1H, J= 5.0, 13.5 Hz), 2.79(dd, 1H, J= 9.5, 13.5 Hz), 1.37(s, 9H).
위에서 얻은 Boc-Gly-Phe-Gly-OH(500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161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DX-8951의 메탄술폰산염(530 ㎎)과 트리에틸아민(0.146 ㎖)를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50 ㎖) 용액을 가하고,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268 ㎎)을 가하고, 빛을 차단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시켜,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96:4 용액)으로 정제하여 3'-N-(Boc-Gly-Phe-Gly)-NH-A (A-NH2=DX-8951)(1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39(d, 1H, J= 8.0 Hz), 8.34(t, 1H, J= 5.6 Hz), 7.98(d, 1H, J= 7.2 Hz), 7.78(d, 1H, J= 10.3 Hz), 7.33(s, 1H), 7.13-7.24(m, 5H), 6.80(dd, 1H, J= 5.6, 6.4 Hz), 5.55-5.61(m, 1H), 5.44(d, 1H, J= 16.0 Hz), 5.41(d, 1H, J= 16.0 Hz), 5.25(s, 2H), 4.43-4.46(m, 1H), 3.69-3.79(m, 2H), 3.50(dd, 1H, J= 5.6, 16.7 Hz), 3.41(dd, 1H, J= 5.6, 16.7 Hz), 3.16-3.19(m, 2H), 2.98(dd, 1H, J= 4.8, 14.3 Hz), 2.79(dd, 1H, J= 9.5, 14.3 Hz), 2.41(s, 3H), 2.19-2.25(m, 1H), 2.10-2.15(m,1H), 1.82-1.90(m, 2H), 1.35(s, 9H), 0.88(t, 3H, J= 8.0 Hz).
Mass(FAB) ; m/e 797(M+1)
얻어진 3'-N-(Boc-Gly-Phe-Gly)-NH-A (A-NH2= DX-8951)(100 ㎎)을 트리플루오로초산(3 ㎖)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3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탄올로 세척하여, 예 48의 화합물(8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52-8.62(m,1H), 7.94(s, 3H), 7.79(t, 1H, J= 11.1Hz), 7.34(s, 1H), 7.15-7.27(m, 5H), 6.52(s, 1H), 5.57-5.61(m, 1H), 5.36-5.46(m, 2H), 5.24(s, 2H), 4.66-4.70(m, 1H), 3.69-3.81(m, 2H), 3.61-3.68(m, 1H), 3.40-3.47(m, 1H), 3.15-3.23(m, 1H), 3.01(dd, 1H, J= 4.0, 13.5 Hz), 2.77(dd, 1H, J= 9.5, 13.5 Hz), 2.12-2.23(m, 2H), 1.81-1.91(m, 2H), 0.89(t, 3H, J= 7.2 Hz).
Mass(FAB) ; m/e 697(M+1)
예 49 : 3'-N-(Phe-Gly)-NH-A(A-NH2= 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의 합성
Boc-Phe-Gly(771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30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ml)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에 DX-8951의 메탄술폰산염(1058 ㎎)과 트리에틸아민(0.293 ㎖)를 용해한 N,N-디메틸포름아미드(50 ㎖) 용액을 가하고, 4℃에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494 ㎎)을 가하고, 빛을 차단하면서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시켜,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98:2 용액)으로 정제하여 3'-N-(Boc-Phe-Gly)-NH-A(A-NH2=DX-8951)(1.20 g)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29(d, 1H, J= 8.0 Hz), 8.21(t, 1H, J= 4.8 Hz), 7.76(d, 1H, J= 10.3 Hz), 7.32(s, 1H), 7.13-7.25(m, 5H), 6.92(d, 1H, J= 7.2 Hz), 6.49(s, 1H), 5.56-5.61(m, 1H), 5.44(d, 1H, J= 15.9 Hz), 5.38(d, 1H, J= 15.9 Hz), 5.25(s, 2H), 4.08-4.12(m, 1H), 3.78(d, 1H, J= 4.8 Hz), 3.16-3.25(m, 2H), 2.99(dd, 1H, J= 4.0, 13.5 Hz), 2.72(dd, 1H, J= 10.3, 13.5 Hz), 2.40(s, 3H), 2.09-2.35(m, 2H), 1.80-1.91(m, 2H), 1.16(s, 9H), 0.88(t, 3H, J= 8.0 Hz).
Mass(FAB) ; m/e 741(M+1)
상기에서 얻어진 3'-N-(Boc-Phe-Gly)-NH-A(170 ㎎)을 트리플루오로초산(4 ㎖)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1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1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탄올로 세척하여, 예 49의 화합물(1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88(t, 1H, J= 4.8 Hz), 8.68(d, 1H, J= 8.7 Hz), 8.05-8.15(m, 3H), 7.79(d, 1H, J= 11.1 Hz), 7.26-7.36(m, 5H), 6.52(d, 1H, J= 7.2 Hz), 5.57-5.62(m, 1H), 5.43(d, 1H, J= 15.9 Hz), 5.38(d, 1H, J= 15.9 Hz), 5.19-5.28(m, 1H), 4.10-4.18(m, 1H), 3.93(dd, 1H, J= 4.8, 16.7 Hz), 3.82(dd, 1H, J= 4.8, 16.7 Hz), 3.17-3.24(m, 2H), 3.14(dd, 1H, J= 4.8, 13.5 Hz), 2.95(dd, 1H, J= 8.0, 13.5 Hz), 2.42(s, 3H), 2.14-2.25(m, 2H), 1.83-1.91(m, 2H), 0.89(t, 3H, J= 8.0 Hz).
Mass(FAB) ; m/e 640(M+1)
예 50 : 3'-N-Gly-NH-A(A-NH2= DX-8951)트리플루오로초산염의 합성
DX-8951의 메탄술폰산염(530 ㎎)과 트리에틸아민(0.28 ㎖)를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용해하고, 4℃로 냉각한 후, Boc-Gly의 N-히드록시숙신이미드에스테르(327 ㎎)을 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하여,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 : 메탄올 = 98:2 용액)으로 정제하여 3'-N-(Boc-Gly)-NH-A(A-NH2= DX-8951)(50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38(d, 1H, J= 8.3 Hz), 7.77(d, 1H, J= 10.7 Hz), 7.31(s, 1H), 6.89-6.91(m, 1H), 6.49(s, 1H), 5.55-5.59(m, 1H), 5.45(d, 1H, J= 16.1 Hz), 5.38(d, 1H, J= 16.1 Hz), 5.27(d, 1H, J= 19.0 Hz), 5.18(d, 1H, J= 19.0 Hz), 3.50-3.62(m, 2H), 3.15-3.19(m, 2H), 2.41(s, 3H), 2.18-2.24(m, 1H), 2.08-2.12(m, 1H), 1.81-1.91(m, 2H), 1.31(s, 9H), 0.87(t, 3H, J= 8.0 Hz).
Mass(FAB) ; m/e 593(M+1)
상기에서 얻어진 3'-N-(Boc-Gly)-NH-A(100 ㎎)을 트리플루오로초산(2 ㎖)에 녹이고, 1시간 방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1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1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하여, 예 50의 화합물(70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88(d, 1H, J= 8.8 Hz), 8.08(s, 3H), 7.81(d, 1H, J= 11.2 Hz), 7.34(s, 1H), 6.52(s, 1H), 5.63-5.67(m, 1H), 5.45(d, 1H, J= 16.7 Hz), 5.40(d, 1H, J= 16.7 Hz), 5.36(d, 1H, J= 19.1 Hz), 5.25(d, 1H, J= 19.1 Hz), 3.56(s, 2H), 3.11-3.19(m, 2H), 2.43(s, 3H), 2.23-2.28(m, 1H), 2.11-2.19(m, 1H), 1.81-1.91(m, 2H), 0.88(t, 3H, J= 8.0 Hz).
Mass(FAB) ; m/e 493(M+1)
예 51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메틸암모니움염의 합성
덱스트란 T500(50 g, Pharmacia사 제품, 분자량 500K)을 0.1 M 초산 완충액(pH 5.5, 5000 ㎖)에 용해하고, 과요오드산나트륨(165.0 g)의 수용액(5000 ㎖)을 부가하였다. 빛을 차단하면서 4℃에서 10일간 교반한 후, 에틸렌글리콜(35.0 ㎖)을 부가하여,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를 7로 조절하였다. 수소화붕소나트륨(70 g)을 부가하여 용해한 후, 하룻밤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빙냉하여, 초산으로 pH 5.5로 조절하여 4℃에서 1시간 교반한 후, 8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을 이용하여 pH 7.5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을 시행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덱스트란폴리알콜(20.2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여과, 플루란 표준)은 159K이었다.
이 덱스트란폴리알콜(7.5 g)을, 수산화나트륨(31.5 g)을 물(225 ㎖)에 녹여서 얻어진 수용액에 부가하여, 실온에서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빙냉하에서 모노클로로초산(45 g)을 부가하여 용해시킨 후, 실온에서 하룻밤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초산으로 pH를 8로 조절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8.5 g)을 얻었다. 이 물질의 분자량(겔 여과, 플루란 표준)은 274 K이고, 카르복시메틸화 정도는 0.4이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0 g)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H+형) 칼럼(직경 44 ㎜, 길이 210 ㎜)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에 트리에틸아민(4 ㎖)을 부가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51의 화합물(2.2 g)을 얻었다.
예 52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Phe-Gly-NH-A'(A-NH2
=DX-8951)의 합성
예 51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0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7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48에서 얻은3'-N-(Gly-Phe-Gly)-NH-A (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41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 트리에틸아민(0.014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00 ㎎)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0 ㎖), 디에틸에테르(2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52의 화합물(19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4.5 %(w/w)이었다.
예 53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Phe-Gly-NH-A'(A-NH2=DX-8951)의 합 성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나트륨염(2.5 g)을 물에 용해시키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Et3N H+형) 칼럼에 주입하여, 물로 용출하였다. 이 용출액을 동결건조하여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5 g)을 얻었다.
이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20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2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49에서 얻은 3'-N-(Phe-Gly)-NH-A (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42 ㎎)과 트리에틸아민(0.016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5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200 ㎎)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빛을 차단하면서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에 물(300 ㎖)을 부가하여 한외여과막 10K(필트론사 제품)을 이용하여 한외여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0.1 N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10으로 조절하고, 여과막(0.16 ㎛, 필트론사 제품)을 통과시켰다. 통과한 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한 다음,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53의 화합물(18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6.1 %(w/w)이었다.
예 54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NH-A'(A-NH2=DX-8951)의 합성
예 51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tm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37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0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50에서 얻은3'-N-Gly-NH-A(A-NH2=DX-8951)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57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3 ㎖) 용액, 트리에틸아민(0.027 ㎖),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85 ㎎)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5 ㎖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0 ㎖), 디에틸에테르(2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0.5 M 식염수에 용해하고, 빙냉하에서 0.1 M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pH 9로 조절하였다. 얻어진 수용액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51의 화합물(290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0.1 M 트리스 완충액(pH 9.0)내에서의 362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0.5 %(w/w)이었다.
예 55 :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Gly-Gly-Phe-Gly-D51-7059의 합성
Boc-Gly-Gly-Phe-Gly-OH(200 ㎎)을 트리플루오로초산(4 ㎖)에 녹이고, 1.5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제거하고, 메탄올(10 ㎖)을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에탄올(10 ㎖)를 가하여 함께 끓이는 과정을 2회 시행한 후, 잔사를 에테르로 세척하여, Gly-Gly-Phe-Gly-OH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225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43(dd, 1H, J= 5.6, 5.6 Hz), 8.59 (dd, 1H, J= 5.6, 6.4 Hz), 8.29(d, 1H, J= 4.8 Hz), 7.23-7.26(m, 4H), 7.16-7.20(m, 1H), 4.58(ddd, 1H, J= 4.8, 4.8, 10.4 Hz), 3.89(dd, 1H, J= 5.6, 16.7 Hz), 3.76-3.79(m, 2H), 3.67(dd, 1H, J= 5.6, 16.7 Hz), 3.56(s, 2H).
위에서 얻은 Gly-Gly-Phe-Gly-OH의 트리플루오로초산염(200 ㎎)을 물(10 ㎖)에 용해하고, 트리에틸아민을 가하여 pH 9.0로 조정한 후, 9-플레오레닐메틸(freorenylmethyl)N-히드록시숙신이미딜카르보네이트(hydroxysuccinimidylcarbonate)(200 ㎎)의 아세토니트릴(acetonitrile)(5 ㎖) 용액을 가한 후, 트리에틸아민을 이용하여 pH 8.0 내지 8.5로 유지하면서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하였다. 반응액에 1.5 N 염산(50 ㎖)를 가하여, 석출한 침전물을 여과하여 물로 세척한 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4:1 용액)으로 정제하여 Fmoc-Gly-Gly-Phe-Gly-OH(151 ㎎)을 얻었다.
1H-NMR(DMSO-d6) δ: 8.28-8.32(m, 1H), 8.08-8.12(m, 1H), 7.85-7.89(m, 2H), 7.68-7.72(m, 2H), 7.57-7.65(m, 1H), 7.38-7.43(m, 2H), 7.29-7.34(m, 2H), 7.20-7.25(m, 4H), 7.14-7.17(m, 1H), 4.45-4.52(m, 1H), 4.26-4.30(m, 2H), 4.19-4.24 (m, 1H), 3.77(dd, 1H, J= 5.6, 16.7 Hz), 3.58-3.69(m, 4H), 3.42-3.52(m, 1H), 3.06(dd, 1H, J=4.0,13.5 Hz), 2.78(dd, 1H, J= 4.0, 13.5 Hz).
상기에서 얻어진 Fmoc-Gly-Gly-Phe-Gly-OH (24 ㎎), 하기식:
으로 표시되는 탁솔 유도체(D51-7059:9,10-0-(2-아미노에틸리덴(aminoethylidene))-13-0-[3-(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butoxycarbonylamino)-2-히드록시-3-페닐]-프로파노일(propanoyl)-10-데아세칠(deacethyl)-9-디히드로바카틴(dihydrobaccatin) III)(20 ㎎) 및 N-히드록시숙신이미드(7 mg)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1 ㎖)에 용해하였다. 이 용액을 4℃로 냉각한 후, N,N'-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9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여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감압 건고하고, 잔사를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96:4 용액)으로 정제하여 Fmoc-Gly-Gly-Phe-Gly-D51-7059(21 ㎎)을 얻었다.
1H-NMR(CDCl-d6) δ: 8.06(d, 2H, J= 8.1 Hz), 7.75(d, 2H, J=8.1 Hz), 7.18-7.61(m, 23H), 7.62(dd, 1H,J= 7.2, 8.0 Hz), 6.07(dd, 1H, J= 7.9, 8.8 Hz), 5.98 (d, 1H, J= 4.8 Hz), 5.63(d, 1H, J= 8.8 Hz), 5.00-5.40(m, 4H), 4.92(s, 1H), 4.60-4.69(m, 2H), 4.41(d, 2H, J= 6.4 Hz), 4.35(d, 1H, J= 8.0 Hz), 4.21(t, 1H,J= 7.5 Hz), 3.96-4.07(m, 3H), 3.73-3.86(m, 4H), 3.37-3.41(m, 1H), 3.19-3.23(m, 1H), 3.00(dd, 1H, J= 8.0, 13.5 Hz), 2.85-2.89(m, 3H), 2.29(s, 3H), 2.05-2.40(m, 4H), 1.57(s, 3H), 1.56 (s, 3H). 1.53(s, 3H), 1.40(s, 9H), 1.22(s, 3H).
Mass (FAB); m/e 1413(M+Na)
상기에서 얻어진 Fmoc-Gly-Gly-Phe-Gly-D51-7059(21 ㎎)을 디클로로메탄(1.8㎖)에 용해시켜 피페라진(piperazine)(0.2 ㎖)을 가한 후, 실온에서 1시간 방치시켰다. 이 반응액을 실리카겔칼럼크로마토그래피(용출액 : 디클로로메탄:메탄올 = 94:6 용액)으로 정제하여 Gly-Gly-Phe-Gly-D51-7059(16 ㎎)을 얻었다.
1H-NMR(CDCl-d6) δ: 8.10 (d, 2H, J=8.1 Hz), 7.89-7.94(m, 1H), 7.62(dd, 1H, J= 7.2, 8.0 Hz), 7.45-7.50(m, 2H), 7.17-7.42(m, 12H), 7.10-7.16(m, 1H), 6.97(dd, 1H, J= 5.6, 6.4 Hz), 6.08(dd, 1H, J= 8.0, 8.7 Hz), 6.02(d, 1H, J= 4.8 Hz), 5.62(d, 1H, J= 11.1 Hz), 5.23-5.30(m, 1H), 5.23(d, 1H, J= 7.2 Hz), 5.10(s, 1H), 4.98-5.00(m, 1H), 4.60-4.63(m, 1H), 4.38(d, 1H, J= 8.8 Hz), 4.33(d, 1H, J= 8.8 Hz), 4.13(s, 1H), 4.04(dd, 1H, J= 5.6, 16.7 Hz), 3.93(dd, 1H, J= 5.6, 16.7 Hz), 3.82(d, 1H J= 7.2 Hz), 3.73-3.82(m, 2H), 3.43-3.49(m, 1H), 3.30-3.38(m, 2H), 3.24 (dd, 1H, J= 6.4, 14.3 Hz), 3.04 (dd, 1H, J= 8.0, 14.3 Hz), 2.89-3.07(m, 3H), 2.30(s, 3H), 2.01-2.50(m, 4H), 1.70(s, 3H), 1.62(s, 3H), 1.61(s, 3H), 1.40(s, 9H), 1.26(s, 3H).
Mass (FAB); m/e 1169(M+1)
이상의 방법으로 합성한 Gly-Gly-Phe-Gly-D51-7059(33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0.5 ㎖)에 용해시켰다. 이 용액에,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180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7 ㎖)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180 ㎎)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 4 ㎖ 씩을 각 10 ㎖의 에탄올에 떨어뜨렸다. 이것에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0 ㎖), 디에틸에테르(25 ㎖)을 가하여,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3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Na+형) 칼럼(직경 15 ㎜, 길이 85 ㎜)에 주입하고, 물로 용출하여, 용출액 1을 얻었다. 별도로, Gly-Gly-Phe-Gly-D51-7059(10 ㎎)을 N,N-디메틸포름아미드(0.5 ㎖)에 용해시킨 후, 예 24에서 얻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트리에틸암모니움염(60 ㎎)의 N,N-디메틸포름아미드 (5 ㎖)용액, 1-에톡시카르보닐-2-에톡시-1,2-디히드록시퀴놀린(60 ㎎)의 N,N-디메틸카르보닐(0.25 ㎖)용액을 순차적으로 부가하여, 실온에서 하룻밤 교반하면서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을 10 ㎖의 에탄올에 적하한 후, 3 M 염화나트륨 수용액(2.0 ㎖), 디에틸에테르(25 ㎖)을 가하고, 석출한 침전물을 원심분리(2500 rpm, 8분)에 의해 모았다. 이 침전물을 에탄올로 세척한 후, 물에 용해하고, Bio-Rad AG 50W-X2(200 내지 400 메쉬, Na+형)칼럼(직경 15 ㎜, 길이 85 ㎜)에 주입하고, 물로 용출하고, 용출액 2을 얻었다. 용출액 1과 용출액 2를 합한 후, 바이오맥스-50막을 이용한 한외여과법에 의해 탈염하였다. 막을 통과하지 않은 잔유용액을 밀리포아필터(0.22 ㎛)로 여과한 후, 동결건조하여 예 55의 화합물(208 ㎎)을 얻었다. 본 화합물을 0.1 M 염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한 후, GPC(칼럼 : 토소 TSK Gel PW-4000XL, 용매 : 0.1 M NaCl, 유속 : 0.8 ㎖/min)으로 분석한 결과, 및 본 화합물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메탄올:물=10:1용액, 1.69 ㎎/㎖)을 각각 도 22 및 도 23에 나타낸다. 본 화합물의 의약화합물 잔기의 함량을 메탄올:물=10:1용액 내에서의 240 ㎚ 흡광도에 근거하여 양을 정한 바, 5.3 %(w/w)이었다.
예 56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여(1군당 6마리), 예 15의 약물복합체에 대해서, 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1회 투여한 경우의 항종양작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 15의 약물복합체는 예 12의 의약화합물 자체에 비하여, 현저한 항종양효과의 증강과 유효용량 영역의 확대를 나타내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1) 억제율(%)
예 15의 화합물 10 100
5 99
2.5 95
1.25 83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57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사람 위암 SC-6의 종양덩어리를 누드 마우스(BALB/c-nu/nu, 웅성)의 우측 경부 피하에 이식하여 SC-6 종양을 가진 누드 마우스를 준비하였다(1군당 5마리). 이식후 24일 째에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한 예 15의 약물복합체를 정맥내에 1회 투여하고, 항종양작용을 의약화합물 자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예 15의 약물복합체는 의약화합물 자체에 비하여, 독성사에 의한 치사를 나타내는 것이 아니라, 높은 항종양효과를 발휘하였다.
피검화합물 투여량(㎎/㎏) 억제율(%) 사망마우수/사용마우스
의약화합물 자체 60 98 2/5
15 61 0/5
예 15의 화합물 81) 100 0/5
21) 71 0/5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58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예 57과 같은 방법에 의해 사람 폐암 QG-90 종양을 가진 누드 마우스를 준비하였다(1군당 5마리). 이식 후 16일 째에 주사용 증류수에 용해한 예 15의 약물복합체를 정맥내에 1회 투여하고, 항종양작용을 의약화합물 자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예 15의 약물복합체는 의약화합물 자체에 비하여, 현저한 항종양효과의 증강과 유효용량 영역의 확대를 나타내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 억제율(%) 사망마우수/사용마우스
의약화합물 자체 50 60 0/5
12.5 51 0/5
예 15의 화합물 71) 98 0/5
1.751) 97 0/5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59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여(1군당 6마리), 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예 41의 약물복합체를 1회 투여한 경우의 항종양작용을 의약화합물 자체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예 41의 약물복합체는 의약화합물 자체에 비하여, 현저한 항종양효과의 증강과 유효용량 영역의 확대를 나타내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 억제율(%)
의약화합물 자체 100 64
50 56
25 34
예 41의 화합물 251) 99
12.51) 95
6.251) 81
3.1251) 61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60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여(1군당 6마리), 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예 29, 예 46 및 예 47의 각 약물복합체를 각각 1회 투여한 경우의 항종양작용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어떤 약물복합체보다 높은 항종양효과와 넓은 유효 용량범위를 나타내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1) 억제율(%)
예 29의 화합물 30 99
20 99
10 89
5 79
예 46의 화합물 100 94
80 92
40 82
20 75
예 47의 화합물 100 96
80 94
40 97
20 75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61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항종양작용
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고(1군당 6마리), 예 44의 약물복합체에 대해서 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1회 투여하여 항종양작용을 의약화합물 자체(독소루비신)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예 44의 약물복합체는 의약화합물 자체에 비하여, 현저한 항종양 효과의 증강과 유효용량 영역의 확대를 나타내었다.
피검화합물 투여량(㎎/㎏) 억제율(%) 사망마우수/사용마우스
의약화합물 자체 20 6/6
10 64 0/6
5 39 0/6
예 44의 화합물 401) 96 0/6
201) 96 0/6
101) 87 0/6
51) 76 0/6
1)의약화합물 환산량
예 62 :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의 체내 동태
예 11과 같은 방법으로 Meth A 종양을 가진 마우스를 준비하고, 예 15의 약물복합체에 대해서 예 12와 같은 방법으로 1회 투여(10 mg/kg : 의약화합물 환산량)하고, 약물복합체의 각 조직내에 있어서의 농도 추이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예 15의 약물복합체는 현저하게 높은 혈중 체류성, 종양 조직으로의 높은 이행성 및 간과 소장에 대한 높은 종양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결과를 도 24에 나타내었다.
예를 들어, 항종양제인 의약화합물의 잔기를 도입한 본 발명의 약물복합체는 종양 부위 선택성이 우수하고, 높은 항종양작용을 발현할 수 있음과 동시에 독성의 발현도 경감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Claims (26)

1개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 결합된 2 내지 8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스페이서를 통하여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과 의약화합물의 잔기가 결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구성하는 덱스트란폴리알콜은 실 질적으로 완전히 폴리알콜화가 가능한 조건하에서 덱스트란을 가하여 얻은 덱스트란폴리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은 항종양제 또는 항염증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4항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은 농도의존형의 항종양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4항에 있어서,
의약화합물은 시간의존형의 항종양작용을 발현하는 항종양제인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4항에 있어서,
항종양제는 독소루비신 또는 (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3- 디히드로-9-히드록시-4-메틸-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 지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5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X-Z-로 표시되는 디펩타이드(이때, -X-Z-는 소수성 아미 노산(X)과 친수성 아미노산(Z)이 각각 N말단측 및 C말단측으로 되어 펩타이드 결합하여 형성된 디펩타이드의 N말단의 아미노기 및 C말단 의 카르복실기로부터, 각각 1개의 수소원자 및 1개의 수산기를 제거 한 잔기를 나타낸다)이거나, 또는 전기 디펩타이드를 부분 펩타이드 배열로서 포함하는 스페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8항에 있어서,
소수성 아미노산은 페닐알라닌이고, 친수성 아미노산은 글리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9항에 있어서,
스페이서는 (N말단)-Gly-Gly-Phe-Gl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의 잔기의 도입량은 1 내지 15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의 잔기의 도입량은 3 내지 10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5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항종양제의 잔기의 도입량은 5 내지 6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항에 있어서,
H2N-Gly-Gly-Phe-Gly-COOH로 표시되는 펩타이드의 N말단은 카르복시메 틸덱스트란폴리알콜의 카르복실기와 산아미드 결합하여 있고, 전기 펩타이드의 C말단은 (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3-디히 드로-9-히드록시-4-메틸-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 노[1,2-b]퀴놀린-10,13(9H,15H)-디온의 1-아미노기와 산아미드 결합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4항에 있어서,
(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3-디히드로-9-히드록시-4-메틸 -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 (9H,15H)-디온 잔기의 도입량은 2 내지 10 중량%의 범위인 것을 특징 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은 분자량 5,000 내지 500,000의 범위인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이고, 카르복시메틸 화정도는 0.01 내지 2.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은 분자량 50,000 내지 450,000의 범위인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이고, 카르복시메틸 화 정도는 0.1 내지 1.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4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은 분자량 200,000 내지 400,000의 범위인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이고, 카르복시메틸 화 정도는 0.3 내지 0.5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제 14항에 있어서,
(1S,9S)-1-아미노-9-에틸-5-플루오로-2,3-디히드로-9-히드록시-4-메틸 -1H,12H-벤조[de]피라노[3',4':6,7]인돌리지노[1,2-b]퀴놀린-10,13 (9H,15H)-디온 잔기의 도입량은 5 내지 6 중량%의 범위이고, 카르복 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분자량은 약 228,000이고, 카르복시메틸 화 정도는 약 0.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복합체.
의약화합물을 결합시키기 위한 약물 전달의 담체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로 이루어진 약물 전달의 담체.
제 20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분자량은 5,000 내지 500,000의 범위이고, 카르복시C1-4알킬화 정도는 0.01 내지 2.0의 범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의 담체.
제 20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분자량은 50,000 내지 450,000의 범위이고, 카르복시C1-4알킬화 정도는 0.1 내지 1.0의 범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의 담체.
제 20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분자량은 200,000 내지 400,000의 범위이고, 카르복시C1-4알킬화 정도는 0.3 내지 0.5의 범위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의 담체.
제 20항 내지 제 2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은 카르복시메틸덱스트란폴리알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물 전달의 담체.
의약화합물의 잔기와 결합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을 함유하는 약물복합체의 제조를 위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용도.
의약화합물의 잔기와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이 스페이서를 통하거나 스페이서를 통하지 않고 결합한 약물복합체의 제조를 위한 카르복시C1-4알킬덱스트란폴리알콜의 용도.
KR1019980710148A 1996-06-06 1997-06-05 약물복합체 KR2000001655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144421 1996-06-06
JP14442196 1996-06-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558A true KR20000016558A (ko) 2000-03-25

Family

ID=15361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10148A KR20000016558A (ko) 1996-06-06 1997-06-05 약물복합체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US (2) US6436912B1 (ko)
EP (1) EP0916348B1 (ko)
JP (1) JP4137183B2 (ko)
KR (1) KR20000016558A (ko)
CN (1) CN1227499A (ko)
AT (1) ATE273715T1 (ko)
AU (1) AU723392B2 (ko)
CA (1) CA2257245A1 (ko)
DE (1) DE69730332T2 (ko)
DK (1) DK0916348T3 (ko)
EA (1) EA001550B1 (ko)
ES (1) ES2229354T3 (ko)
ID (1) ID18298A (ko)
NO (1) NO985666L (ko)
PT (1) PT916348E (ko)
TW (1) TW527183B (ko)
WO (1) WO19970462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8U (ja) * 1993-06-11 1995-01-10 株式会社大井製作所 ドアロック操作用のロッド連結装置
TW409058B (en) 1996-06-06 2000-10-21 Daiichi Seiyaku Co Method for preparation of a drug complex
TW527183B (en) * 1996-06-06 2003-04-11 Daiichi Seiyaku Co Drug complex
US6835807B1 (en) 1998-05-22 2004-12-28 Daiichi Pharmaceuticals Co., Ltd. Drug complex and drug delivery system
US6811996B1 (en) * 1998-10-30 2004-11-02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DS compounds and method for assaying the same
US6677456B2 (en) 1999-10-15 2004-01-13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Pentacyclic taxan compound
MXPA02003797A (es) * 1999-10-15 2002-12-13 Daiichi Seiyaku Co Compuestos de taxano pentaciclico.
CA2412582A1 (en) * 2000-06-29 2002-01-03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ds compound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BR0112417A (pt) * 2000-07-13 2003-07-01 Daiichi Seiyaku Co Composições farmacêuticas contendo composto dds
US20030092608A1 (en) * 2001-08-21 2003-05-15 Takayuki Kawaguchi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metastasis or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malignant tumor
TWI313609B (en) * 2001-08-21 2009-08-21 Mitsubishi Tanabe Pharma Corp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inhibiting the metastasis or preventing the recurrence of malignant tumor
TW200306314A (en) * 2002-04-16 2003-11-16 Tanabe Seiyaku Co Liquid preparation comprising camptothecin derivative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producible by lyophilizing the preparation
WO2004054622A1 (en) * 2002-12-13 2004-07-01 Immunomedics, Inc. Immunoconjugates with an intracellularly-cleavable linkage
BR122018071808B8 (pt) * 2003-11-06 2020-06-30 Seattle Genetics Inc conjugado
US20090202619A1 (en) * 2005-02-18 2009-08-13 The University Of Tokushima Polyoxyalkylene chain-containing lipid derivative and lipid film structure containing such derivative
CN100516067C (zh) 2006-01-10 2009-07-22 上海恒瑞医药有限公司 具有抗肿瘤活性的紫杉酚衍生物
DK2576638T3 (da) 2010-05-25 2021-03-15 Syndevrx Inc Polymerkonjugerede metap2-inhibitorer og terapeutiske fremgangsmåder til anvendelse deraf
US9895449B2 (en) 2010-05-25 2018-02-20 Syndevrx, Inc. Polymer-conjugated MetAP2 inhibitors, and therapeutic methods of use thereof
CN115960111A (zh) 2012-10-11 2023-04-14 第一三共株式会社 抗体-药物偶联物
US9872924B2 (en) 2012-10-19 2018-01-23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body-drug conjugate produced by binding through linker having hydrophilic structure
MX371095B (es) 2013-04-10 2020-01-16 Syndevrx Inc Inhibidores de metionina aminopeptidasa-2 y metodos de tratamiento de la obesidad.
WO2015071841A1 (en) 2013-11-12 2015-05-21 Druggability Technologies Holdings Limited Complexes of dabigatran and its derivative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102088169B1 (ko) 2013-12-25 2020-03-12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 trop2 항체-약물 컨쥬게이트
JP5998289B2 (ja) 2014-01-31 2016-09-28 第一三共株式会社 抗her2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
JP6612738B2 (ja) * 2014-04-10 2019-11-27 第一三共株式会社 抗her2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
WO2015155998A1 (en) 2014-04-10 2015-10-15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Anti-her3 antibody-drug conjugate
JP6787890B2 (ja) 2015-06-29 2020-11-18 第一三共株式会社 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の選択的製造方法
ES2893749T3 (es) 2015-12-10 2022-02-10 Syndevrx Inc Derivados de fumagilol y polimorfos de los mismos
WO2017123603A1 (en) 2016-01-11 2017-07-20 Syndevrx, Inc. Treatment for tumors driven by metabolic dysfunction
US20190330368A1 (en) 2016-10-07 2019-10-31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Therapy for drug-resistant cancer by administration of anti-her2 antibody/drug conjugate
JPWO2018110515A1 (ja) 2016-12-12 2019-10-24 第一三共株式会社 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と免疫チェックポイント阻害剤の組み合わせ
WO2018135501A1 (ja) 2017-01-17 2018-07-26 第一三共株式会社 抗gpr20抗体及び抗gpr20抗体-薬物コンジュゲート
TWI794230B (zh) 2017-05-15 2023-03-01 日商第一三共股份有限公司 抗cdh6抗體及抗cdh6抗體-藥物結合物、以及其製造方法
AU2018327170B2 (en) 2017-08-31 2021-03-11 Daiichi Sankyo Company, Limited Novel method for producing antibody-drug conjugate
KR20200041993A (ko) 2017-08-31 2020-04-22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항체-약물 콘주게이트의 개량 제조 방법
SG11202010496WA (en) 2018-05-18 2020-12-30 Daiichi Sankyo Co Ltd Anti-muc1 antibody-drug conjugate
EP3870231A1 (en) 2018-10-26 2021-09-01 Syndevrx, Inc. Biomarkers of metap2 inhibitors and applications thereof
EP3996749A1 (en) 2019-07-10 2022-05-18 Cybrexa 3, Inc. Peptide conjugates of microtubule-targeting agents as therapeutics
TW202116778A (zh) 2019-07-10 2021-05-01 美商斯布雷克薩二號公司 作為治療劑之細胞毒素之肽結合物
US11806405B1 (en) 2021-07-19 2023-11-07 Zeno Management, Inc. Immunoconjugate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220197A (ja) * 1983-05-30 1984-12-11 Snow Brand Milk Prod Co Ltd 新規な含窒素多糖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604930B2 (ja) * 1990-12-14 1997-04-30 株式会社ディ・ディ・エス研究所 ヒアルロン酸およびコンドロイチン誘導体
DE69225542T2 (de) 1991-02-21 1998-09-10 Drug Delivery System Inst Ltd Carboxymethylmannoglukan und derivate davon
JP3359955B2 (ja) 1992-07-16 2002-12-24 第一製薬株式会社 抗腫瘍剤
ES2149867T3 (es) 1993-02-26 2000-11-16 Drug Delivery System Inst Ltd Derivados de polisacaridos y soportes para farmacos.
JPH0784481A (ja) 1993-06-26 1995-03-31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
US5811510A (en) * 1995-04-14 1998-09-22 General Hospital Corporation Biodegradable polyacetal polymers and methods for their formation and use
SG50747A1 (en) 1995-08-02 1998-07-20 Tanabe Seiyaku Co Comptothecin derivatives
TW527183B (en) * 1996-06-06 2003-04-11 Daiichi Seiyaku Co Drug complex
TW409058B (en) 1996-06-06 2000-10-21 Daiichi Seiyaku Co Method for preparation of a drug complex
US6835807B1 (en) 1998-05-22 2004-12-28 Daiichi Pharmaceuticals Co., Ltd. Drug complex and drug delivery system
US6811996B1 (en) 1998-10-30 2004-11-02 Daiichi Pharmaceutical Co., Ltd. DDS compounds and method for assay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A199900004A1 (ru) 1999-06-24
EP0916348B1 (en) 2004-08-18
ID18298A (id) 1998-03-26
JP4137183B2 (ja) 2008-08-20
ES2229354T3 (es) 2005-04-16
EA001550B1 (ru) 2001-04-23
NO985666D0 (no) 1998-12-04
NO985666L (no) 1999-02-04
EP0916348A1 (en) 1999-05-19
DE69730332D1 (de) 2004-09-23
US6838450B2 (en) 2005-01-04
AU2978797A (en) 1998-01-05
AU723392B2 (en) 2000-08-24
ATE273715T1 (de) 2004-09-15
US6436912B1 (en) 2002-08-20
DE69730332T2 (de) 2005-09-22
DK0916348T3 (da) 2004-12-06
US20030171262A1 (en) 2003-09-11
CA2257245A1 (en) 1997-12-11
TW527183B (en) 2003-04-11
CN1227499A (zh) 1999-09-01
PT916348E (pt) 2004-10-29
WO1997046260A1 (en) 1997-12-11
EP0916348A4 (en) 200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16558A (ko) 약물복합체
ES2229355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on de complejos medicamentosos.
EP0640622B1 (en) Polysaccharide derivative and drug carrier
JP4560210B2 (ja) 薬物複合体
US6811996B1 (en) DDS compounds and method for assaying the same
JP4420472B2 (ja) 薬物複合体
AU4094300A (en) Amplification of folate-mediated targeting to tumor cells using polymers
KR20180090290A (ko) 사차화 튜불리신 화합물들의 컨쥬게이트들
JPH1192405A (ja) 薬物複合体
EP414436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mucositis induced by radiotherapy, chemotherapy, or combination thereof, comprising glp-2 derivatives or long-acting conjugate of same
KR100481434B1 (ko) 약물복합체의제조방법
US8642555B2 (en) Prodrugs
WO2023232144A1 (zh) 寡糖连接子,包含寡糖连接子的连接子-负载物和糖链重塑的抗体偶联药物,其制备方法和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