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1502A - 투사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1502A
KR20000011502A KR1019990026999A KR19990026999A KR20000011502A KR 20000011502 A KR20000011502 A KR 20000011502A KR 1019990026999 A KR1019990026999 A KR 1019990026999A KR 19990026999 A KR19990026999 A KR 19990026999A KR 20000011502 A KR20000011502 A KR 20000011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display device
plate
adjustment mechanism
angl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26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04420B1 (ko
Inventor
구로다아키토시
Original Assignee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스카와 히데아키, 세이코 엡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스카와 히데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11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1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04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044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16M11/10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around a horizont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5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 G03B21/006Projectors using an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 but not peculiar thereto using LC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2200/00Details of stands or supports
    • F16M2200/04Balancing means
    • F16M2200/041Balancing means for balancing rotational movement of the he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 H04N5/7416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 H04N5/7441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involving the use of a spatial light modulator, e.g. a light valve, controlled by a video signal the modulator being an array of liquid crystal cel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Abstract

소형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피설치면과 대향하는 외장 케이스(2)와, 이 외장 케이스(2)의 피설치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를 구비한다. 이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하부 케이스(4)의 상기 피설치면에의 대향면(4A)에 독립하여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가 수납되는 공간이 없어진다.

Description

투사형 표시 장치{Projection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투사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외장 케이스에 부착된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한 투사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광원 램프로부터 출사되는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따른 광학상을 형성하고, 이 화상을 투사면에 확대 투사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가 알려지고 있다.
이와 같은 투사형 표시 장치는 회의, 학회, 전시회 등에서의 멀티미디어 프레젠테이션(presentation)에 널리 이용되고 있고, 프레젠테이션용의 회의실 등에 설치될 때가 있다.
투사형 표시 장치는 그 투사 렌즈를 스크린 등을 향하여 피설치면에 설치되지만, 그 때에 투사형 표시 장치의 피설치면에 대한 투사 각도를 조정하기 때문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가 장치 하부의 투사 렌즈측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종래의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하단이 노출됨과 동시에 중심부에서 상단에 걸쳐서 장치 내부에 수납된 너트 부재와 이 너트 부재의 하단으로부터서 비틀어 넣어짐과 동시에 하단이 피설치면에 맞닿는 볼트 부재를 구비한 나사식 조정 기구나 장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수납되는 래크 부재와, 이 래크 부재의 하단에 설치됨과 동시에 피설치면과 맞닿는 다리 부분과, 래크 부재를 소정의 위치에서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구비한 래크식의 조정 기구가 있다.
상술의 나사식 조정 기구에서는 너트 부재가 장치 내부에 상하로 연장되어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특히, 볼트 부재는 장치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큰 직경이 필요하고, 또한 조정 각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길이가 길 필요가 있다. 그 때문에, 볼트 부재와 나사식 맞추어지는 너트 부재는 볼트 부재의 크기에 따라서 대형화되고, 그 결과 장치 내부에서 조정 기구가 큰 설치 스페이스가 필요하며, 장치자체가 필연적으로 대형화 및 후형화(厚型化)된다.
또한, 래크식 조정 기구에서는 래크 부재가 장치 내부에 승강가능하게 수납됨과 동시에 래크 부재를 고정하는 고정 부재가 장치 내부에 수납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설치하기 위한 스페이스가 필요하다. 특히, 래크 부재도 볼트 부재와 같이 장치 전체의 하중을 지탱하기 때문에 큰 굵기가 필요하고, 또한 조정 각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길이가 길 필요가 있어 장치가 필연적으로 대형화 및 후형화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형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표시 장치의 상부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2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하부에서 본 외관 사시도.
도 3은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것으로 도 3과는 다른 방향에서 본 사시도.
도 5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정면도.
도 6은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a은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전체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7b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8은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
도 9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0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투사형 표시 장치 내부의 광학계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1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수직단면도.
도 12는 상기 실시예에서의 투사형 표시 장치의 광학계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
도 13은 본 발명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일부를 파단한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투사형 표시 장치, 2… 외장 케이스,
4A… 대향면, 30… 투사 각도 조정 기구,
32… 경첩 부재, 33… 고정 수단,
34…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 35…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
37… 걸기 부재, 39… 슬라이드 부재(이동 부재),
40… 레버 기구, 48… 잡는 부분(조작부)
그 때문에, 본 발명은 종래 장치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던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외장 케이스의 외면에 독립하여 설치함으로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광학계에서 형성되는 화상을 투사면에 투사함과 함께 피설치면에 설치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이고, 적어도 한면이 상기 피설치면과 대향하는 외장 케이스와, 이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투사 각도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이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으로의 대향면에 독립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투사형 표시 장치를 탁상 등의 피설치면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에의 대향면, 즉, 외장 케이스의 하면에 설치된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소정의 각도로 유지한 상태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가 외장 케이스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가 수납되는 스페이스가 없어진다. 그 때문에, 투사형 표시 장치 자체의 스페이스 절약화를 꾀하여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에서는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으로의 대향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 구성에서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외장 케이스에 독립하여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투사형 표시 장치의 외장 케이스를 포함한 본체 부분을 조립한 후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외장 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부착함으로 부품 교환이 용이하다.
또한,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된 경첩 부재와, 이 경첩 부재를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소정의 다리 개방 각도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경첩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의 상기 대향면(하면)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간단히 수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첩 부재는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에 대하여 가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구비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경첩 부재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를 소정 위치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소정의 다리 개방 각도로 거는 걸기 부재를 구비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제1 및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다리 개방함으로 투사 각도를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가 있다. 더구나, 이들의 플레이트형상 부재에 각각 설치된 걸기 부재의 이동 부재에의 고정 위치를 변경함으로 투사 각도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걸기 부재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하기 위한 레버 기구를 갖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걸기 부재에 의한 이동 부재에의 걸기 조작 및 해제 조작을 레버 기구를 사용하여 간단히 할 수 있다.
그 위에, 상기 레버 기구는 상기 걸기 부재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를 갖고,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조작이 가능하게 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복수중의 적어도 1개의 조작부를 잡아 조작 하는 것으로 간단히 걸기 및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기 부재에는 복수의 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상기 걸기 부재의 홈과 접하는 부분에도 복수의 홈이 설치되며, 한쪽에 설치된 홈의 피치는 다른쪽에 설치된 홈의 피치의 복수배로 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걸기 부재 또는 이동 부재의 홈 방향에 다소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걸기 부재와 이동 부재는 원활히 걸어 맞출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투사형 표시 장치는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화상을 투사면으로 향해 투사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서 경사 각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피설치면에 대하여 투사형 표시 장치가 기울어진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투사 각도 조정 기구 자체의 경사를 조정함으로 투사형 표시 장치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가 있다.
이 때,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탄성 변형가능한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이 플레이트형상 부재는 그 양측 단부가 화상을 투사면으로 향해 투사 하는 방향을 축심으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 축받이로 되어 있는 구성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서는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강제적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 투사형 표시 장치의 경사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의 한 형태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1) 장치의 전체 구성
도 1 , 도 2에는 본 실시예에 따른 투사형 표시 장치(1)의 개략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1은 표면측에서 본 사시도, 도 2는 하면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투사형 표시 장치(1)는 광원 램프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적(R), 녹(G), 청(B)의 삼원색으로 분리하고, 이들의 각 색 광속을 액정 라이트 밸브(변조계)를 통해서 화상 정보에 대응시켜 변조하고, 변조한 후의 각 색의 변조 광속을 프리즘 (색합성 광학계)에 의해 합성하여, 투사 렌즈(6)를 통하여 투사면상에 확대 표시하는 형식이다. 투사 렌즈(6)의 일부를 제외하고 각 구성 부품은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 수납되어 있다.
(2) 외장 케이스의 구조
외장 케이스(2)는 기본적으로는 장치 상면을 덮는 상부 케이스(3)와, 장치 저면을 구성하는 하부 케이스(4)와, 배면 부분을 덮는 후부 케이스(5)로 구성되어 있고, 하부 케이스(4)의 하면은 도시하지 않은 피설치면과 대향하는 대향면(4A)으로 된다.
도 l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부 케이스(3)의 상면에 있어서 그 전방측의 좌우 끝에는 다수의 연통 구멍(25R, 25L)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연통 구멍(25R, 25L)사이에는 투사형 표시 장치(1)의 화질 등을 조정하기 위한 조작 스위치(60)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부 케이스(3)의 전면을 향하여 좌측 밑부분에는 도시 생략의 리모트 제어기로부터의 광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광부(70)가 설치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의 저면에는 내부에 수납되는 광원 램프 유닛(8)(후술)을 교환하기 위한 램프 교환 덮개(27), 장치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공기 도입구(240)가 형성된 에어 필터 커버(23)가 설치되어 있다.
후부 케이스(5)에는 외부 전력 공급용의 AC 인렛(AC inlet 도시하지 않음)과각종의 입출력 단자군(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이들의 입출력 단자군에 인접하여 장치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도시하지 않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4)의 대향면(4A), 즉, 하면에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앞단의 대략 중앙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가 독립하여 부착되고, 후단의 좌우 모서리 부분에 다리(31R, 3lL)가 설치되어 있다. 다리(31R, 31L)는 회전시킴으로 돌출 방향으로 진퇴하는 구성이고, 그 진퇴량을 조정함으로써 표시 하면의 경사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3)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구조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의 상세한 구성을 도 3 내지 도 8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는 각각 다른 각도에서 본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의 정면도이고, 도 6은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7a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종단면도이고, 도 7b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의 일부를 도시하는 종단면도이고, 도 8은 투사 각도 조정 기구 일부의 종단면도이다.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하부 케이스(4)의 상기 피설치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것으로, 하부 케이스(4)의 상기 피설치면에 대향하는 대향면(4A)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된 경첩 부재(32)와 이 경첩 부재(32)를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소정의 다리 개방 각도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33)을 구비한 구성이다.
경첩 부재(32)는 평면 구형의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와, 이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아래쪽에 배치되어 피설치면에 하면이 접촉가능한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와, 이들의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와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를 개폐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힌지(36)를 구비하고 있다.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는 플라스틱 등의 탄성 변형가능한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그 4변에 테두리부(34A, 34B)가 세워 설치되고, 또한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부(34A)의 중심부에 걸어 맞춤부(34C)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는 이들의 걸어 맞춤부(34C)를 하부 케이스(4)의 걸어 맞춤부(도시하지 않음)에 걸어 맞춤으로써 하부 케이스(4)의 대향면(4A)에 부착된다. 그리고, 해당 대향면(4A)에 축받이로 됨으로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화상을 투사면을 향하여 투사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서 경사 각도가 조정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는 하부 케이스(4)에 대하여 착탈가능하다.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는 그 앞단 부분이 만곡하게 형성됨과 동시에 이 만곡한 부분의 양 단부(35B)에서 피설치면에 지지된다. 또한,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의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와 대향하는 면에 보강용 리브(35A)가 격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고정 수단(33)은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중앙부에 형성한 개구부(34 D)에 출몰가능하게 된 걸기 부재(37)와,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에 설치되어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의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에 대한 개폐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하는 이동 부재로서의 슬라이드 부재(39)와, 슬라이드 부재(39)의 슬라이드를 가이드하는 가이드 부재(42)와, 슬라이드 부재(39)를 통하여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와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를 걸어 맞추는 걸어 맞춤 부재(43)와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를 하거나 그 걸기를 해제하기도 하기 위한 레버 기구(40)를 구비한 구성이다.
걸기 부재(37)는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테두리부(34A)에 대략 평행하게 새겨진 복수의 홈(37A)(도 8에 도시한다)을 갖는 대략 판형상의 부재이다. 슬라이드 부재(39)는 도 7a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서로 대향하는 테두리부(34A)의 중앙부에 가설된 장척형상의 가이드 부재(42)를 덮는 것 같은 형상의 부재이다. 슬라이드 부재(39)의 걸기 부재(37)와 접하는 면에는 걸기 부재(37)의 복수의 홈과 걸어 맞추는 복수의 홈(39A)(도 8에 도시한다)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걸기 부재(37)의 홈(37A)과 슬라이드 부재(39)의 홈(39A)이 걸어 맞추어짐으로써 원하는 투사 각도로 장치가 고정된다.
가이드 부재(42)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으로 된 장척형상의 부재이고, 그 내부에 설치된 2개의 고정부(42A)에 의해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42)의 외측면에는 슬라이드 부재(39)의 돌기(39B, lug)을 걸어 맞추기 위한 홈(42B)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드 부재(39)의 동작은 이 홈(42B)에 의해 가이드된다. 또한, 가이드 부재(42)의 걸기 부재(37)와 겹치는 부분에는 가이드 부재(42)와 걸기 부재(37)가 간섭하지 않도록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잘린 부분(42C)이 형성되어 있다.
걸어 맞춤 부재(4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드 부재(39),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의 양쪽에 가동가능하게 걸어 맞추어져 있다. 그 때문에,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가 힌지(36)를 중심으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에 대하여 개폐하면 그 동작에 연동하여 걸어 맞춤 부재(43)을 통하여 슬라이드 부재(39)가 가이드 부재(42)에 따라 왕복운동한다.
레버 기구(4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먼저 설명한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 및 걸기 해제의 조작을 하기 위한 조작부인 잡는 부분(48)과 잡는 부분(48)의 조작과 연동하여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 및 걸기 해제를 하는 레버 본체(41)와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 상태에 있어서 걸기 부재(37)를 슬라이드 부재(39)를 향하여 가압하는 스프링(45)을 구비하고 있다.
레버 본체(41)는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테두리부(34B)에 근접 배치되는 좌우 한쌍의 암 부분(47)과 이들 한쌍의 암 부분(47)을 연결하는 연결부(44)를 갖고 있다. 연결부(44)의 중앙에는 오목부(44A)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오목부(44A)의 하면측에 걸기 부재(37)가 나사(4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레버 본체(41)의 한쌍의 암 부분(47)의 한쪽 끝부는 각각 좌우 한쌍의 잡는 부분(48)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잡는 부분(48)과 반대측의 끝부는 힌지(36)를 거쳐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테두리부(34B)에 대하여 약간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암 부분(47)의 테두리부(34B)에 대한 회동량은 테두리부(34B)에 설치된 볼록부(34E)에 의해 규제된다.
스프링(45)은 그 양 단부가 좌우 테두리부(34B)의 일부에 각각 설치된 스프링 지지부(34F)에 지지된 선스프링이다. 스프링(45)은 그 스프링힘에 의해서 레버 본체(41)의 오목부(44A)를 통하여 그 하면에 고정되어 있는 걸기 부재(37)를 압박하고 있다.
(4) 투사 각도 조정 기구에 의한 각도 조정 방법
이상 설명한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에 의해서 투사 각도의 조정을 하는 경우의 순서를 설명한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잡는 부분(48)을 잡고 투사형 표시 장치의 본체를 들어 올리면 그 조작이 한쌍의 암 부분(47)을 통하여 레버 본체(41)의 연결부(44)에 전해진다. 여기서, 도 7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44)의 요부(44A)에는 걸기 부재(37)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잡는 부분(48)을 잡고 투사형 표시 장치의 본체를 들어 올리면 도 8중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걸기 부재(37)가 들어 올려지고 걸기 부재(37)와 슬라이드 부재(39)와의 걸어 맞춤이 해제된다.
이와 같이 걸어 맞춤이 해제된 채의 상태에서, 즉, 잡는 부분(48)을 잡은채의 상태로, 장치 본체를 상하로 움직이면 그 움직임에 연동하여 슬라이드 부재(39)가 가이드 부재(42)에 따라 왕복 운동한다. 또한, 이것과 동시에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가 힌지(36)를 중심으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에 대하여 개폐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투사된 화면을 관찰하면서 투사 각도의 조절을 할 수 있다.
그리고, 원하는 투사 각도로 된 위치에서 잡는 부분(48)으로부터 손을 떼면 스프링(45)의 가압력과 장치 본체의 무게에 의해 도 8중 실선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걸기 부재(37)와 슬라이드 부재(39)가 걸어 맞추어져 장치의 투사 각도가 고정된다.
또한, 슬라이드 부재(39)에 형성된 홈(39A)의 피치는 걸기 부재(37)에 형성된 홈(37A) 피치의 2배로 되어 있다. 이것은 걸기 부재(37)의 홈(37A)의 방향과 슬라이드 부재(39)의 홈(39A)의 방향이 약간 어긋나더라도 원활하게 걸어 맞춤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슬라이드 부재(39)의 홈(39A)의 피치는 홈(37A) 피치의 2배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3배, 4배일 수도 있다. 단, 피치를 지나치게 거칠게 하면 홈과 홈사이에 형성되는 복수 톱니의 1개 1개에 걸리는 가중이 커져, 톱니의 강도를 크게 할 필요가 생긴다. 따라서, 홈(39A)의 피치는 과도하게 너무 거칠게 하지 않는 것이 좋다.
(5) 장치의 내부 구조
도 9 내지 도 12에는 투사형 표시 장치(1)의 내부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도 10은 장치 내부의 개략 사시도이고, 도 11은 투사형 표시 장치(1)의 수직 방향 단면도이다.
이들의 도면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외장 케이스(2)의 내부에는 전원으로서의 전원 유닛(7), 광원 램프 유닛(8),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유닛(10), 상하 한쌍의 드라이버 보드(11), 메인 보드(12)등이 배치되어 있다.
전원 유닛(7)은 투사 렌즈(6)의 양측에 배치된 제 1, 제 2 전원 블록(7A, 7B)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전원 블록(7A)은 AC 인렛(50)을 통해서 얻어지는 전력을 변압하여 주로 제 2 전원 블록(7B) 및 광원 램프 유닛(8)에 공급하는 것이며, 트랜스(변압기), 정류 회로, 평활 회로, 전압 안정 회로 등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전원 블록(7B)은 제 1 전원 블록(7B)에서 얻어지는 전력을 더욱 변압하여 공급하는 것이며, 제 1 전원 블록(7A)과 같이 트랜스 외, 각종 회로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그 전력은 광학 유닛(10) 아래쪽에 배치된 전원 회로 기판(13)(도 10중에 점선으로 도시) 및 각 전원 블록(7A, 7B)에 인접 배치된 제 1, 제 2 흡기 팬(17A, 17B)에 공급된다. 또한, 전원 회로 기판(13)상의 전원 회로에서는 제 2 전원 블록(7B)에서의 전력을 기초로 하여 주로 메인 보드(12)상의 제어 회로 구동용 전력을 만들어내고 있음과 동시에, 그 밖의 저전력 부품용의 전력을 만들어내고 있다. 여기서, 제2흡기 팬(17B)은 제2전원 블록(7B)과 투사 렌즈(6)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투사 렌즈(6)와 상부 케이스(3)(도 1으로 도시한다)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통해서 냉각용 공기를 외부에서 내부에 흡인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전원 블록(7A, 7B)은 커버 부재(250A, 250B)를 구비하여, 각 커버 부재(250A, 250B)에는 상부 케이스(3)의 연통 구멍(25R, 25L)에 대응하는 위치에 음성 출력용 스피커(251R, 251L)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 램프 유닛(8)은 투사형 표시 장치(1)의 광원 부분을 구성하는 것이며, 광원 램프(181) 및 반사재(182)로 이루어지는 광원 장치(183)와 이 광원 장치(183)를 수납하는 램프 하우징(184)을 갖고 있다. 이러한 광원 램프 유닛(8)은 하 라이트 가이드(902)(도 11에서 도시한다)와 일체로 형성된 수용부(9021)로 덮어져 있고, 상술한 램프 교환 덮개(27)로부터 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수용부(9021)의 후방에는 후부 케이스(5)의 배기구(도시하지 않음)에 대응한 위치에 한쌍의 배기 팬(16)이 좌우에 나란히 설치되어 있고 이들의 배기 팬(16)에 의해 제1 내지 제3 흡기 팬(17A 내지 17C)에서 흡인된 냉각용 공기를 수용부(9021)근방에 설치된 개구부에서 그 내부에 도입됨과 동시에, 이 냉각용 공기로 광원 램프 유닛(8)를 냉각한 뒤, 그 냉각용 공기를 배기구(160)으로부터 배기하고 있다. 또한, 각 배기 팬(16)의 전력은 전원 회로 기판(13)에서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광학 유닛(10)은 광원 램프 유닛(8)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광학적으로 처리하여 화상 정보에 대응한 광학상을 형성하는 유닛이고, 조명 광학계(923), 색분리 광학계(924), 변조계(925) 및 색합성 광학계로서의 프리즘 유닛(9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변조계(925) 및 프리즘 유닛(910) 이외의 광학 유닉(10)의 광학 소자는 상하의 라이트 가이드(901, 902)사이에 상하에 삽입되어 유지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들의 상 라이트 가이드(901), 하 라이트 가이드(902)는 일체로 되어 하부 케이스(4)측에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들의 라이트 가이드(90l, 902)는 프리즘 유닛(910)측에 동일하게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직방체형상의 프리즘 유닛(910)은 마그네슘의 일체 성형품으로 구성되는 측면 대략 L자의 구조체인 헤드체(903)의 이면측에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한, 변조계(925)를 구성하는 각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는 프리즘 유닛(910)의 3측면과 대향 배치되고, 동일하게 헤드체(903)에 대하여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액정 라이트 밸브(925B)는 프리즘 유닛(910)을 삽입하여 액정 라이트 밸브(925R)와 대향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도 l2참조). 그리고, 이들의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는 헤드체(903)의 하면에 위치하고 또한 상술의 공기 도입구(24O)에 대응하여 설치된 제3흡기 팬(17C)에서의 냉각용 공기에 의해서 냉각된다. 또한, 헤드체(903) 전면에는 투사 렌즈(6)의 기단측이 동일하게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프리즘 유닛(910), 변조계(925), 투사 렌즈(6)를 탑재한 헤드체(903)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하부 케이스(4)에 대하여 고정 나사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드라이버 보드(11)는 상술한 변조계(925)의 각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를 제어하기 위한 것이고, 광학 유닛(10)의 윗쪽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아래 쪽의 드라이버 보드(11A)와 윗쪽의 드라이버 보드(11B)는 스터드 볼트(9011)를 거쳐 이간하여 있고, 서로의 대향면에는 제어 회로를 형성하는 도시하지 않은 많은 소자가 실장되어 있다. 즉, 그들의 많은 소자가 각 드라이버 보드(11)사이를 유통하는 냉각용 공기에 의해서 효율적으로 냉각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그러한 냉각용 공기는 주로 상술한 제3흡기 팬(17C)에 의해서 흡인된 것이 각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를 냉각한 후에 상 라이트 가이드(901)의 개구부를 통하여 각 드라이버 보드(11)사이에 유입한 것이다.
메인 보드(12)는 투사형 표시 장치(1)전체를 제어하는 제어 회로가 형성된 것이고, 광학 유닛(l0)의 측방에 세워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메인 보드(12)는 상술의 드라이버 보드(11), 조작 스위치(6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외, 입출력 단자군(51)이 설치된 인터페이스 기판(14) 및 비디오 기판(15)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또한 커넥터 등을 거쳐 전원 회로 기판(13)에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메인 보드(12)의 제어 회로는 전원 회로 기판(13)상의 전원 회로로 만들어진 전력, 즉 제2전원 블록(7B)에서의 전력에 의해 구동되게 되어 있다. 또, 메인 보드(12)의 냉각은 제2흡기 팬(17B)에서 제2전원 블록(7B)를 통하여 유입하는 냉각용 공기로 행하여진다.
도 9에 있어서, 메인 보드(12)와 외장 케이스(2)(도 9에서는 하부 케이스(4)및 후부 케이스(5)만을 도시)사이에는 알루미늄 등의 금속제 가드 부재(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가드 부재(19)는 메인 보드(12) 상하단에 걸친 큰 면형상부(191)를 갖고 있음과 동시에 상부측이 고정 나사(192)로 제2전원 블록(7A)의 커버 부재(250B)에 고정되고, 하단이 하부 케이스(4)의 예컨대 슬릿에 걸어 맞춤 지지되고, 이 결과 하부 케이스(4)에 상부 케이스(3)를 부착할 때에 상부 케이스(3)(도 1)과 메인 보드(12)의 간섭을 막는 외, 메인 보드(12)를 외부 노이즈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6) 광학계의 구조
다음에, 투사형 표시 장치(1)의 광학계 즉, 광학 유닛(10)의 구조에 관해서 도 12에 도시하는 모식도에 의거해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광학 유닛(10)은 광원 램프 유닛(8)으로부터의 광속(W)의 면내 조도 분포를 균일화하는 조명 광학계(923)와, 이 조명 광학계(923)로부터의 광속(W)을 적(R), 녹(G), 청(B)으로 분리하는 색분리 광학계(924)와, 각 색 광속(R, G, B)을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하는 변조계(925)와 변조후의 각 색 광속을 합성하는 색합성 광학계로서의 프리즘 유닛(91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조명 광학계(923)는 광원 램프 유닛(8)로부터 출사된 광속(W)의 광축(1a)을 장치 전방향에 구부리는 반사 미러(931)와 이 반사 미러(93l)를 끼워 배치되는 제 1 렌즈판(921) 및 제 2 렌즈판(922)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렌즈판(921)은 매트릭스상에 배치된 복수의 구형 렌즈를 갖고 있고,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광속을 복수의 부분 광속으로 분할하여 각 부분 광속을 제 2 렌즈판(922) 근방에서 집광시킨다.
제 2 렌즈판(922)은 매트릭스상에 배치된 복수의 구형 렌즈를 갖고 있고, 제 1 렌즈판(921)으로부터 출사된 각 부분 광속을 변조계(925)를 구성하는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후술)상에 중첩시키는 기능을 갖고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의 투사형 표시 장치(1)에서는 조명 광학계(923)에 의해 액정 라이트 밸브(925P, 925G, 925B)위를 대략 균일한 조도의 광으로 조명할 수 있으므로, 조도 얼룩이 없는 투사 화상을 얻을 수 있다.
색분리 광학계(924)는 청녹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와 녹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와, 반사 미러(943)로 구성된다. 우선, 청녹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l)에서 조명 광학계(923)로부터 출사되는 광속(W)에 포함되어 있는 청색 광속(B) 및 녹색 광속(G)이 직각으로 반사되며 녹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측을 향한다.
적색 광속(R)은 이 청녹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를 통과하여 후방의 반사 미러(943)에서 직각으로 반사되어 적색 광속(R)의 출사부(944)로부터 프리즘 유닛(910)측에 출사된다. 다음에, 청녹 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1)에 있어서 반사된 청색, 녹색 광속(B, G)중 녹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에 있어서, 녹색 광속(G)만이 직각으로 반사되어 녹색 광속(G)의 출사부(945)로부터 프리즘 유닛(910)측에 출사된다. 이 녹반사 다이크로익 미러(942)를 통과한 청색 광속(B)은 청색 광속(B)의 출사부(946)로부터 도광계(927)측에 출사된다. 본 예에서는 조명 광학계(923)의 광속(W)의 출사부로부터 색분리 광학계(924)에 있어서의각 색 광속(R, G, B)의 출사부(944, 945, 946)까지의 거리가 모두 같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색분리 광학계(924)의 적색, 녹색 광속(R, G) 출사부(944, 945)의 출사측에는 각각 집광 렌즈(951,952)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각 출사부로부터 출사한 적색, 녹색 광속(R, G)은 이들의 집광 렌즈(951,952)에 입사하여 평행화된다.
이와 같이 평행화된 적색, 녹색 광속(R, G)은 입사측 편광판(960R, 960G)을 통하여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에 입사하여 변조되며, 각 색광에 대응한 화상 정보가 부가된다. 즉, 이들의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는 상술의 드라이버 보드(11)에 의해 화상 정보에 따라서 스위칭 제어되고, 이것에 의해 여기를 통과하는 각 색광의 변조가 행하여진다. 한편, 청색 광속(B)은 도광계(927)를 통하여 대응하는 액정 라이트 밸브(925B)에 이끌어지고, 여기에서 동일하게 화상 정보에 따라서 변조가 실시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로서는 예컨대, 폴리실리콘 TFT를 스위칭 소자로서 사용한 것을 채용할 수 있다.
도광계(927)는 청색 광속(B) 출사부(946)의 출사측에 배치한 집광 렌즈(954)와 입사측 반사 미러(971)와 출사측 반사 미러(972)와 이들의 반사 미러사이에 배치한 중간 렌즈(973)와 액정 라이트 밸브(925B)의 앞측에 배치한 집광 렌즈(953)로 구성되어 있고, 집광 렌즈(953)로부터 출사한 청색 광속(B)은 입사측 편광판(960B)을 통하여 액정 라이트 밸브(925B)에 입사하여 변조된다. 이 때, 광속(W)의 광축(1a) 및 각 색 광속(R, G, B)의 광축(1r, 1g, 1b)은 동일 평면내에 형성되게 된다. 그리고, 각 색 광속의 광로의 길이, 즉, 광원 램프(181)로부터 각 액정 패널까지의 거리는 청색 광속(B)이 가장 길어지고, 따라서 이 광속의 광량 손실이 가장 많아진다. 그러나, 도광계(927)를 개재시킴으로써 광량 손실을 억제할 수 있다.
다음에, 각 액정 라이트 밸브(925R, 925G, 925B)를 통하여 변조된 각 색 광속(R, G, B)은 출사측 편광판(961R, 961G, 961B)을 통하여 프리즘 유닛(910)에 입사되어 여기서 합성된다. 그리고, 이 프리즘 유닛(910)에 의해 합성된 컬러 화상이 투사 렌즈(6)를 통하여 소정의 위치에 있는 투사면(100)상에 확대 투사되게 되어 있다.
(7) 실시예의 효과
이러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① 하면이 피설치면과 대향하는 외장 케이스(2)와 이 외장 케이스(2)의 하부 케이스(4)에 설치되어 하부 케이스(4)의 피설치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를 구비하고, 이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하부 케이스(4)의 상기 피설치면에의 대향면(4A)에 독립하여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가 수납되는 공간이 없어진다. 따라서, 투사형 표시 장치 자체의 공간 절약화를 꾀하여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또한,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하부 케이스(4)에 독립하여 부착되어 있고, 외장 케이스(2), 투사 렌즈(6), 전원 유닛(7), 광원 램프 유닛(8), 광학계를 구성하는 광학 유닛(10) 등으로 이루어지는 본체 부분을 조립한 후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를 외장 케이스(2)에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가 파손한 경우에는 본체 부분을 분해하지 않고 새로운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를 간단히 부착할 수 있다.
②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하부 케이스(4)의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된 경첩 부재(32)와, 이 경첩 부재(32)를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소정의 다리 개방 각도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33)을 구비하여 구성하였기 때문에, 외장 케이스의 상기 대향면(하면)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를 간단히 수납할 수 있다.
③ 경첩 부재(32)는 제l 및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4,35)와 이들의 플레이트형상 부재(34, 35)를 개폐가능하게 걸어 맞추는 힌지(36)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제1 및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4,35)를 힌지(36)를 통하여 개폐함으로 투사 각도를 자유자재로 설정할 수가 있다. 게다가,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의 양단부(35B)에서 피설치면에 지지되는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투사형 표시 장치를 안정되게 피설치면에 지지할 수 있다.
④ 고정 수단(33)은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에 부착된 걸기 부재(37)와,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에 설치되어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35)의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에 대한 개폐 동작에 따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 부재(이동 부재)(39)를 구비하고, 이들의 걸기 부재(37)와 슬라이드 부재(39)의 걸어 맞춤 상태를 변경함으로 투사 각도를 간단하고 또한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⑤ 걸기 부재(37)의 홈(37A)이 일정한 피치마다 형성되고, 슬라이드 부재(39)는 그 홈(39A)이 홈(37A) 피치의 복수배의 피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걸기 부재(37) 또는 슬라이드 부재(39)의 홈(37A, 39A) 방향에 다소의 어긋남이 있더라도 걸기 부재(37)와 슬라이드 부재(39)는 원활히 걸어 맞출 수가 있다.
⑥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화상을 투사면을 향하여 투사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서 경사 각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피설치면에 대하여 투사형 표시 장치가 기운 상태로 설치되더라도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 자체의 경사를 조정함으로 투사형 표시 장치를 안정된 자세로 유지할 수 있다.
⑦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는 탄성 변형가능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를 구비하고 이 플레이트형상 부재(34)는 그 양측 단부가 화상을 투사면을 향하여 투사하는 방향을 축심으로서 하부 케이스(4)에 축받이로 되어 있는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를 강제적으로 탄성 변형시킴으로 투사형 표시 장치의 경사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⑧ 투사형 표시 장치는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하기 위한 레버 기구(40)를 갖으므로, 걸기 부재(37)에 의한 슬라이드 부재(39)에의 걸기 조작 및 해제 조작을 레버 기구(40)를 사용하여 간단히 할 수 있다.
또한, 레버 기구(40)는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잡는 부분(48)(조작부)을 갖고, 이들의 잡는 부분(48)에 의해 상술의 조작이 가능하게 되었기 때문에, 간단히 걸기 및 해제 조작을 할 수 있다.
⑨ 투사형 표시 장치(1)에서는 구성 부품중에서도 비교적 큰 전원 유닛(7)이보다 작은 제1, 제2 전원 블록(7A, 7B)으로 구성되며, 이들이 서로 이간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그들의 전원 블록(7A, 7B)를 장치(1) 내부에 효율적으로 배치함으로써 장치(1) 내부에 데드 스페이스를 생기기 어렵게 할 수 있고, 장치(1)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이것에 대하여, 종래에서는 투사 렌즈(6)의 양측의 스페이스는 각종 구성부품을 수용하는데는 너무 좁으므로 데드 스페이스가 되기 쉬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전원 유닛(7)이 제l, 제2 전원 블록(7A, 7B)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각 전원 블록(7A, 7B)을 그러한 좁은 수용 스페이스에도 양호하게 배치할 수 있고, 배치효율을 향상시켜 소형화를 보다 확실히 촉진할 수 있다.
또한, 제1,제2 전원 블록(7A, 7B)이 투사 렌즈(6)의 양측에 배치됨으로써 중량이 큰 헤드체(903)를 좌우 방향의 거의 중앙에 배치하여 장치(1)의 중량 밸런스를 양호하게 할 수 있고, 투사형 표시 장치(l)를 예컨대 삼각 등으로 고정한 경우에 경사지기 어렵게 할 수 있다.
(8) 변형예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다른 구성 등을 포함하여 이하에 도시하는 변형 등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기 위해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자체를 탄성 변형가능하게 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도 13에 있어서 도시되는대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를 경사지게하기 위한 경사 기구(50)를 설치하는 것이어도 된다. 도 13에 있어서, 경사 기구(50)는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끝면에 고정된 암(51)과, 이 암(51)의 끝부에 회동가능하게 걸어 맞춤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외장 케이스에 가동가능하게 지지된 웜 휠(52)과, 이 웜 휠(52)과 맞물리는 웜 기어(53)를 구비하고, 이 웜 기어(53)를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 휠(52) 및 암(51)을 통하여 걸어 맞춤부(34C)를 중심으로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의 경사 각도를 조정하는 구성이다. 또, 이 경사 기구(50)는 도 13에서 도시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를 경사시키기 위해서 래크 및 피니언 등을 사용한 것이라도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30)의 경사 각도의 조정을 할 수 없도록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34)가 하부 케이스(4)에 고정한 구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고정 수단(33)은 홈(37A)를 갖는 걸기 부재(37)와 홈(39A)을 갖는 슬라이드 부재(39)를 걸어 맞춤으로 걸기를 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들의 걸기 부재(37) 및 슬라이드 부재(39)의 서로 대향하는 부분에 고무 등의 마찰을 발생시키는 부재를 설치하여 마찰력에 의해 걸기를 하는 구조로 할 수도 있다. 또한, 홈(37A)과 홈(39A)의 피치를 동일하게 해도 된다.
또한, 먼저 서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잡는 부분(48)(조작부)에 의해 걸기 부재(37)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조작가능하게 하고 있지만, 일부의 잡는부분(조작부)에 의해 그 조작을 가능하게 하는 것도 생각된다.
또한, 전원 유닛(7)을 제 1 전원 블록(7A)과 제 2 전원 블록(7B)으로 구성하여, 이들을 서로 격리하여 배치하였지만 본 발명에서는 전원 유닛(7)을 복수로 분할하지 않고 1개의 유닛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상으로 서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광학계에서 형성되는 화상을 투사면에 투사함과 함께 피설치면에 설치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이고, 적어도 한면이 상기 피설치면과 대향하는 외장 케이스와, 이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피설치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고, 이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피설치면에의 대향면에 독립하여 부착된 구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장치 내부에 투사 각도 조정 기구가 수납되는 스페이스가 없어져, 투사형 표시 장치 자체의 스페이스절약화를 꾀하여 장치의 소형화 및 박형화를 촉진할 수 있다.

Claims (9)

  1. 광학계에서 형성되는 화상을 투사면에 투사함과 함께 피설치면에 설치되는 투사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한면이 상기 피설치면과 대향하는 외장 케이스와,
    상기 외장 케이스에 설치되어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에 대한 각도를 변경하여 투사 각도를 조정하는 투사 각도 조정 기구를 구비하며,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으로의 대향면에 독립하여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피설치면으로의 대향면에 대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상기 외장 케이스의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개폐가능하게 된 경첩 부재와, 상기 경첩 부재를 상기 대향면에 대하여 소정의 다리 개방 각도로 고정하는 고정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경첩 부재는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와, 상기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에 대하여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수단은 상기 경첩 부재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부재와 상기 이동 부재를 소정 위치에서 고정함으로써 상기 제 1 플레이트형상 부재와 상기 제 2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소정의 다리 개방 각도로 거는 걸기 부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걸기 부재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하기 위한 레버 기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기구는 상기 걸기 부재에 의한 걸기와 그 해제를 조작하기 위한 복수의 조작부를 가지며, 상기 조작부의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조작이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7. 제 4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걸기 부재에는 복수의 홈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 부재의 걸기 부재의 홈과 접하는 부분에도 복수의 홈이 설치되고, 한쪽에 설치된 홈의 피치는 다른쪽에 설치된 홈 피치의 복수배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화상을 투사면으로 향해 투사하는 방향을 회전 중심으로서 경사 각도를 조정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투사 각도 조정 기구는 탄성 변형가능한 플레이트형상 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플레이트형상 부재는 그 양측 단부가 화상을 투사면으로 향해 투사하는 방향을 축심으로서 상기 외장 케이스에 축받이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투사형 표시 장치.
KR10-1999-0026999A 1998-07-07 1999-07-06 투사형 표시 장치 KR1005044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214198A JP3596291B2 (ja) 1998-07-07 1998-07-07 投写型表示装置
JP98-192141 1998-07-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1502A true KR20000011502A (ko) 2000-02-25
KR100504420B1 KR100504420B1 (ko) 2005-07-29

Family

ID=16286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26999A KR100504420B1 (ko) 1998-07-07 1999-07-06 투사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390627B1 (ko)
EP (1) EP0973062B1 (ko)
JP (1) JP3596291B2 (ko)
KR (1) KR100504420B1 (ko)
CN (1) CN1175663C (ko)
DE (1) DE69916181T2 (ko)
TW (1) TW42549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134B1 (ko) * 2005-11-22 2006-11-10 주식회사 두원공조 오일쿨러 일체형 응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3343B2 (ja) * 2001-01-10 2011-02-02 ソニー株式会社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支持機構
JP2002287252A (ja) 2001-03-27 2002-10-03 Seiko Epson Corp プロジェクタ
US7446822B2 (en) * 2002-05-15 2008-11-04 Symbol Technologies, Inc. High-resolution image projection
US7924349B2 (en) * 2002-05-15 2011-04-12 Microvision, Inc. Arrangement for and method of projecting an image with linear scan lines
JP3838983B2 (ja) * 2003-02-27 2006-10-25 Necビュー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装置
CN2754184Y (zh) * 2004-11-04 2006-01-25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可调整角度的支撑架
CN100340944C (zh) * 2005-02-23 2007-10-03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器的支撑架
TW200705083A (en) * 2005-07-29 2007-02-01 Coretronic Corp Projector
JP4900644B2 (ja) * 2005-08-01 2012-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WO2007141933A1 (en) * 2006-06-08 2007-12-13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Image display device
JP5151382B2 (ja) * 2007-10-12 2013-0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
JP5061856B2 (ja) * 2007-11-08 2012-10-3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脚ユニット、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4475319B2 (ja) 2007-11-09 2010-06-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N101957548B (zh) * 2009-07-20 2012-01-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升降组件及具有该升降组件的投影机
JP5505015B2 (ja) * 2010-03-24 2014-05-2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TW201351016A (zh) * 2012-06-08 2013-12-16 Hon Hai Prec Ind Co Ltd 投影裝置
US8974014B1 (en) * 2014-03-14 2015-03-10 Nifty Home Products, Inc. Drawer for holding beverage cartridges
JP6379634B2 (ja) * 2014-04-25 2018-08-2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投射装置及び光源ランプユニット
CN204694984U (zh) 2015-03-16 2015-10-07 深圳市绎立锐光科技开发有限公司 投影仪
JP6737043B2 (ja) * 2016-07-27 2020-08-05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
JP7182067B1 (ja) * 2021-09-15 2022-12-0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投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54832A (en) * 1929-08-10 1932-04-19 Bell Telephone Labor Inc Support
US2431669A (en) * 1944-05-22 1947-11-25 Otto R Nemeth Vertical adjustment device
US2696961A (en) * 1950-09-01 1954-12-14 Eastman Kodak Co Elevating mechanism
US3016793A (en) * 1959-02-03 1962-01-16 American Optical Corp Optical projectors
US3155362A (en) * 1963-07-05 1964-11-03 Lewis Eng Co Foldable leg construction
US3968949A (en) * 1974-07-18 1976-07-13 General Electric Company Projector tilt mechanism
USRE30104E (en) * 1975-05-21 1979-10-02 Harsco Corporation Dock leveling apparatus
US4040585A (en) * 1976-05-18 1977-08-09 Socas Eduardo L Adjustable projector table
DE7626538U1 (de) 1976-08-25 1976-12-16 Rollei-Werke Franke & Heidecke, 3300 Braunschweig Stehbildprojektor mit hoehenverstelleinrichtung
JPS62290292A (ja) 1986-06-10 1987-12-1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型テレビジヨン受像機の投写角度可変装置
JPS6350176A (ja) * 1986-08-19 1988-03-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投写角度設定装置
US5037047A (en) * 1989-05-31 1991-08-06 Fabricated Steel Products Tilt stand
KR930000305Y1 (ko) * 1989-11-30 1993-01-25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모니터의 회전 및 경사 각도 조절장치
KR0128398Y1 (ko) * 1995-07-31 1998-11-16 구자홍 모니터의 경사 및 회전 각도 조절장치
JP3349302B2 (ja) * 1995-08-14 2002-11-25 三洋電機株式会社 プロジェクター及びその高さ調整具
KR200153257Y1 (ko) * 1996-12-09 1999-08-02 전주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DE19653428C1 (de) * 1996-12-20 1998-03-26 Vacuumschmelze Gmbh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Bandkernbändern sowie induktives Bauelement mit Bandkern
JPH10288813A (ja) * 1997-04-14 1998-10-27 Futaba Kinzoku Kogyo Kk 角度調整機能を有する把手
KR200160895Y1 (ko) * 1997-06-10 1999-11-15 윤종용 투영기의 기울기 조절장치
US6019524A (en) * 1998-08-26 2000-02-01 Pelco Surveillance camera mount with adjustable base plate and pivotable tabl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4134B1 (ko) * 2005-11-22 2006-11-10 주식회사 두원공조 오일쿨러 일체형 응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5663C (zh) 2004-11-10
TW425490B (en) 2001-03-11
KR100504420B1 (ko) 2005-07-29
US6390627B1 (en) 2002-05-21
JP3596291B2 (ja) 2004-12-02
DE69916181D1 (de) 2004-05-13
CN1243965A (zh) 2000-02-09
JP2000029134A (ja) 2000-01-28
EP0973062B1 (en) 2004-04-07
DE69916181T2 (de) 2005-04-21
EP0973062A1 (en) 2000-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04420B1 (ko) 투사형 표시 장치
JP3603650B2 (ja) 調整機構及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2000250002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0241884A (ja) 投写型表示装置
US6402324B1 (en) Projection display device
JP4853209B2 (ja) 光源冷却機構およびプロジェクタ
JP3610813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0029139A (ja) 投写型表示装置の脚部構造および投写型表示装置
JP4947626B2 (ja) 画像投影装置
JP3580170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H08184797A (ja) 投写型表示装置
JP3574197B2 (ja) ダイクロイックプリズム、プリズムユニット、およびこれら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並びにこれらの製造方法
JPH01302387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3603647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4252473A (ja) 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3692781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3567743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3460564B2 (ja) 投写型表示装置
JP3589074B2 (ja) 光源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投写型表示装置
JP2004245987A (ja) プロジェクタ
JP2000305165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1264726A (ja) 液晶プロジェクタ
JP2000321664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0010192A (ja) 投写型表示装置
JP2003121941A (ja) 投写型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