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3257Y1 -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3257Y1
KR200153257Y1 KR2019960046759U KR19960046759U KR200153257Y1 KR 200153257 Y1 KR200153257 Y1 KR 200153257Y1 KR 2019960046759 U KR2019960046759 U KR 2019960046759U KR 19960046759 U KR19960046759 U KR 19960046759U KR 200153257 Y1 KR200153257 Y1 KR 20015325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jection angle
image projector
locking
adjusting device
pro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467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832U (ko
Inventor
최승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20199600467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3257Y1/ko
Publication of KR1998003383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83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325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3257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화상투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제공되는 화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그 반사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각각 투사기 본체(10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210)와 조절부(21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삽입위치 및 인출위치를 제공하는 중공부(222)를 갖는 하우징(220)이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0)와, 받침부(310)의 양단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중공부(222)에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부(320)를 갖는 받침대(30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조절수단과, 중공부내에서 상기 신축부(3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를 특징으로 하여 조절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특히, 투사각 조절범위를 확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투사각 조정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Description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본 고안은 화상투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별도로 제공되는 화면에 영상을 투사하여 그 반사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상투사기는 본체 내부에 복수의 액츄에이티드 미러 어레이(Actuated Mirror Array: AMA)를 내장하는 것으로, 광원으로부터 인가되는 빛을 다이크로익 필터(dichroic filter)에 의해 특정의 색만을 그에 해당하는 AMA로 굴절반사하고, 상기 각각의 AMA를 통해 반사시키고 이를 렌즈를 통해 화면상에 투사하는 장치로서, 상기 AMA는 다수의 미세한 반사미러의 집합체로서 각각의 반사미러는 압전식으로 독립구동되며, 간단한 구조와 작동원리를 갖고 있다. 또한 높은 광효율을 제공하여 통상의 실내 광조건하에서도 밝고 선명한 화상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으로 텔레비젼 또는 시청각용의 여러 가지 형태로 사용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젼본체내에 투사체가 내장되어 렌즈를 통해 투사되는 화상을 미러를 통해 반사시켜 본체 전면에 제공되는 화면의 후면에 화상을 투사하여 화면의 전면에서 상기 투사되는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일명 후면투사형 텔레비젼(Rear Projection Television)이 개발되어 있고, 또한, 상기 투사체 만을 별도로 이동 및 휴대 가능토록하여 실내의 적당한 벽면 또는 별도로 제공되는 화면등에 화상을 투사하여 그 반사되는 화상을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투사기(Projector)가 개발되어 있다.
본 고안은 상기 후자의 화상투사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화상투사기는 화면상의 정확한 위치에 화상을 투사하기 위하여 그 투사각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필요로 한다.
도 1을 참고로 하여 종래의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를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도시된 바와 같이 투사기 본체(1) 저면의 후방 양측에 고정다리(2)가 제공되고, 선단에 높이조절용 다리(이하 '조절다리(3)'라 약칭함)가 제공된다. 상기 고정다리(2)는 투사기 본체(1)에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조절다리(3)는 투사기 본체(1)에 나사결합되어 회전에 의해 투사기본체(1)내로 삽입되거나 또는 돌출되어 투사기 본체(1)선단을 높이거나 낮추어 렌즈(4)를 통해 화면(5)으로 투사되는 화상의 투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된다.
도 2에는 종래의 조절다리의 구성이 상세히 도시되어 있다. 이에 따르면 본체(1)에 고정되어 내측에 암나사(12)가 형성되는 하우징(10)이 구비되고, 하우징(10)에 삽입되는 나사축(14)과, 나사축(14)의 하단에 지지부(16)가 일체로 구성되는 조절다리(3)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14)이 주연에는 파지가 용이하도록 주연에 다수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원형의 파지부(16)가 제공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투사각 조절장치는 투사각 조절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투사각 조절을 위해서는 손으로 파지부(16)를 잡고 회전시켜야만 하는데, 이때 조절다리(3)는 투사기 본체(1)를 지지하고 있으므로, 그 투사기 본체(1)의 하중에 의해 회전이 원활하지 않게되므로 큰 힘을 필요로 하게 되고, 특히, 투사각을 상향으로 이동시킬 때에는 조절다리(3)의 회전에 의해 투사기본체(1)를 들어올려야 하므로 더욱 큰 힘을 필요로 하고 있어 조절작업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를 갖고 있었던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조절다리가 본체(1)의 저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조절을 하기위해서는 파지부를 잡기위해 사용자가 고개를 숙여야만 하므로 조절자세가 매우 불안정하여 불편함을 갖게하는 것은 물론 조절작업을 더욱 힘들게 하고, 그로인해 조절의 정확성을 기할 수 없는 문제가 수반되고 있었다.
특히, 상기와 같은 구조는 투사각의 조절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믄에 비교적 큰 각도로 화면을 구성할 경우에는 별도의 받침대등을 필요로 하고 있어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를 갖고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큰힘을 들이지 않고 조절을 가능케하여 조절의 편리성을 제공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조절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조절을 이루도록 하여 조절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투사각 조정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상투사기의 투사각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도면
도 2는 종래의 화상투사기의 투사각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투사각조절장치가 채용된 화상투사기의 외관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투사각조절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투사각조절장치의 요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6a 및 6b는 본 고안에 따른 투사각조절장치의 록킹수단의 구성 및 작동을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따른 투사각조절장치의 실시상태를 보인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투사기 본체 102 : 축
200 : 지지부재 210 : 조절부
212 : 조절홈 220 : 하우징
222 : 중공부 224 : 핀홈
300 : 받침대 310 : 받침부
312 : 쿳션부재 320 : 신축부
322 : 삽입록킹홈 324 : 인출록킹홈
400 : 록킹핀 410 : 해제홈
500 : 조절핀 510 : 캡
520 : 스프링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들은 각각 투사기 본체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와 조절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삽입위치 및 인출위치를 제공하는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이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부재와, 받침부의 양단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중공부에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부를 갖는 받침대와, 상기 지지부재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조절수단과, 중공부내에서 상기 신축부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화상 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투사각조절장치가 채용된 화상투사기의 외관구성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투사기 본체(100)의 양측면에 각각 회전축(10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부재(200)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지지부재(200)는 대칭구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200)는 주연에 반경 내측을 향해 반원형으로 몰입되는 복수의 조절홈(212)이 형성되고, 주연 어느 일지점에는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하우징(220)이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하우징(220)은 내측에 단부가 개방되는 중공부(222)를 갖는 것으로 선단부에는 록킹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본체(100)의 측벽에는 상기 복수의 조절홈(212)중 선택된 어느 하나에 결합되어 지지부재(200)의 회전을 제한하는 조절수단이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은 본체(100)의 상면에 횡방향으로 배앨되는 받침부(310)를 갖고, 받침부(310)의 양단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하우징(220)의 중공부(222)내에서 인출위치 및 삽입위치사이를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신축부(320)를 갖는 받침대(300)가 설치된다. 상기 신축부(320)는 중공부(222)내에서 록킹수단에 의해 이동제한되며, 인출위치에 있을때 받침대(300)가 본체(100)의 저면으로 이동가능한 길이를 갖어야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상기 받침대(300)는 운반손잡이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받침부(310)상에는 완충력을 갖는 쿳션부재(312)를 제공하여 운반손잡이로 사용시 파지느낌을 양호하게 하고, 받침대로 사용시 본체(100)를 안정되게 지지하게 된다. 받침대(300)를 운반손잡이로 사용하기 위해서 상기 지지부재(200)는 투사기 본체(100)의 무게중심에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도 4 및 도 6a에 따르면 상기 록킹수단은 항주이 일측에 핀홈(224)이 형성되고, 신축부(320)상에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록킹홈(322) 및 삽입록킹홈(324)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개 이상의 록킹홈이 형성되고, 하우징(220)의 핀홈(224)에 삽입되며 내측에 신축부(320)의 이동을 허용하는 원호형상의 해제홈(410)이 형성되어 해제홈(410)이 중공부(222)의 내경과 일치하는 위치(해제위치) 및 해제홈(410)이 중공부의 내경과 어긋나는 위치(록킹위치)사이를 이동하는 록킹핀(400)으로 이루어져 있다. 록킹핀(400)은 중공부(222)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열되고, 또한 중공부(222)의 중심과 편심되도록 설치된다.
도 5에 따르면 상기 조절수단은 본체(100)의 내측에 제공되는 캡(510)에 의해 스프링(520)탄지되어 항시 외측으로 돌출하려는 힘을 보유하는 조절핀(500)을 포함하는 것으로, 조절홈(212)에 삽입되어 지지부재(200)의 회전을 제한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핀(400)이 해제위치에 있게되면 중공부(222)내에서 신축부(320)의 이동이 허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받침부(310)를 잡아당기면 신축부(320)가 하우징(220)으로부터 인출되고, 신축부(320)가 인출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록킹핀(400)을 록킹위치로 이동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제홈(410)이 이동하며 인출록킹홈(322)으로 진입하여 신축부(320)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이때 신축부(320)는 충분히 인출되므로 받침부(310)는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지나 저면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받침부(310)의 이동은 사용자가 조절핀(500)을 가압하여 지지부재(200)의 회전이 허용되는 것에 의해 가능하게 되고, 받침부(310)가 선택된 위치에 도달하였을 때 조절홈(212)을 놓으면 조절핀(500)이 스프링(520)에 의해 돌출되어 그 위치에 해당하는 조절홈(212)으로 삽입되므로 받침부(310)의 회전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부(310)가 바닥면에 위치하게 되므로 본체(100)의 후면은 바닥면에 닿고 전면은 상부로 들리게되어 비교적 큰 경사각으로 투사각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사각은 조절핀(500)과 대응하는 조절홈(212)의 위치에 따라 비례하며 변화되므로 선택된 투사각을 용이하게 맞출 수 있게 된다.
투사각 조절시 본체(100)를 받치게 되는 받침부(310)에는 쿳션부재(312)가 제공되어 있으므로 바닥으로부터의 충격등을 막아주며, 바닥면과의 마찰력을 증대시켜 유동을 최소화하게 된다.
그리고 받침대(300)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받침대를 원위치시키고 록킹핀(400)을 삽입록킹홈(324)에 결합하여 신축부(320)가 중공부(222)내에 최대한 삽입한 상태를 유지시켜 운반손잡이로 사용할 수 있게 되어 화상투사기의 취급을 용이하게 이룰 수 있게된다. 이때 지지부재(200)는 본체(100)의 무게중심에 설치되므로 운반시 본체가 기울어 지거나 또는 흔들림 등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화상투사기의 투사각조절장치는 본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각각 중공부를 갖는 하우징이 일체로 형성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하우징에 대해 신축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부를 갖는 받침대와, 신축부가 하우징내에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또는 허용하는 록킹수단을 구비하여 투사각 조절의 범위를 크게할 수 있게되는 것은 물론 조절의 편리성을 제공하게 되고, 특히, 조절시 고개를 숙이지 않고 조절을 이루도록 하여 조절자세를 편안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과 동시에 투사각 조정의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6)

  1. 각각 투사기 본체(100)의 양측벽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조절부(210)와 조절부(210)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삽입위치 및 인출위치를 제공하는 중공부(222)를 갖는 하우징(220)이 일체로 구성되는 지지부재(200)와,
    받침부(310)의 양단에 각각 하부로 절곡되어 상기 중공부(222)에 선택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신축부(320)를 갖는 받침대(300)와,
    상기 지지부재(200)의 회전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조절수단과,
    중공부내에서 상기 신축부(320)의 이동을 선택적으로 제한하는 록킹수단으로 이루어진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수단은 신축부(320)의 일측에 형성되어 삽입록킹홈(324) 및 인출록킹홈(322)을 포함하는 적어도 두 개 이상의 록킹홈과, 일측에 신축부(320)의 이동을 허용하는 호형의 해제홈(410)을 갖고 하우징(220)에 직각방향으로 결합되어 해제홈(410)이 중공부(222)와 어굿나는 록킹위치 및 일치하는 해제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록킹핀(4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수단은 조절부(210)의 주연에 반경방내측으로 몰입되는 복수의 조절홈(212)과, 스프링(520)에 의해 본체(100)의 측벽에 대해 항시 외측으로 돌출하려는 힘을 갖는 조절핀(500)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310)의 주연에는 쿳션부재(312)가 추가로 장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신축부(320)는 인출위치에 있을때 받침부(310)가 본체(100)의 전면 또는 후면을 지나 저면으로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거리를 갖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200)는 본체(100)의 무게중심상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KR2019960046759U 1996-12-09 1996-12-09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KR20015325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759U KR200153257Y1 (ko) 1996-12-09 1996-12-09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46759U KR200153257Y1 (ko) 1996-12-09 1996-12-09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832U KR19980033832U (ko) 1998-09-05
KR200153257Y1 true KR200153257Y1 (ko) 1999-08-02

Family

ID=1947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46759U KR200153257Y1 (ko) 1996-12-09 1996-12-09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3257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6291B2 (ja) * 1998-07-07 2004-12-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投写型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832U (ko) 1998-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18257A (en) Mechanism for supporting camera i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JP3876445B2 (ja) プロジェクタ
JPH0725076Y2 (ja) 高さ調整のできる背もたれ付き椅子、特に事務椅子
KR100469766B1 (ko) 팬헤드
KR100469765B1 (ko) 팬 헤드
US6678153B2 (en) Flat monitor
JPH0618985A (ja) 壁映写用及び磨りガラス板映写用スライド映写機
JP2006090389A (ja) 一脚用筒体の補助三脚構造
KR200153257Y1 (ko)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JPH079530B2 (ja) オ−バ−ヘツドプロジエクタ−
KR200394565Y1 (ko)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0849563B1 (ko) 디스플레이 지지 장치
JP2006522285A (ja) 高さ調整装置及び高さ調整装置を具備する光学システム用支持装置
KR200153258Y1 (ko)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JP2002296670A (ja) レンズキャップ
KR100344800B1 (ko) 영상표시기기의 시야각 조정장치
JP2005037474A (ja) 画像表示プロジェクタ装置
KR100389719B1 (ko) 프로젝터의 경사 조절용 지지 구조
CN209909485U (zh) 张开角度可调的三脚架
JP3789885B2 (ja) ビデオカメラ支持装置
KR200301432Y1 (ko) 의자용 발판
JPS6239735Y2 (ko)
KR930005821Y1 (ko) 프로젝션 각도 조절장치
KR200159085Y1 (ko) 화상투사기의 투사각 조절장치
KR20020013256A (ko) 모니터의 경사조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